KR20010090133A -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압력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압력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133A
KR20010090133A KR1020000014777A KR20000014777A KR20010090133A KR 20010090133 A KR20010090133 A KR 20010090133A KR 1020000014777 A KR1020000014777 A KR 1020000014777A KR 20000014777 A KR20000014777 A KR 20000014777A KR 20010090133 A KR20010090133 A KR 20010090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optical fiber
quartz tube
controll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352B1 (ko
Inventor
방성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1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352B1/ko
Publication of KR2001009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C03B37/0144Means for after-treatment or catching of worked reactant ga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압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개시된 시스템은 석영관내에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석영관내에 증착시켜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변형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한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석영관내에 공급되는 기체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기; 상기 유량 제어기로부터 석영관내에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설정된 유량에 따라 상기 유량제어기를 제어하는 PLC; 및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기준 압력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PLC의 설정 유량을 제어하는 압력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압력 제어 시스템{PRESSURE CONTROLLING SYSTEM OF GAS IN OPTICAL FIBER PREFORM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착 및 응축공정에서 석영관내로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광섬유 제조공정은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과, 제조된 광섬유 모재를 한가닥의 광섬유로 뽑아내는 광섬유 인출공정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은 변형 화학 기상 증착법(MCVD)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지의 변형 화학 기상 증착법은 수평선반(10)에 장착된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척(12)에 석영관(T)의 양단을 고정하고, 화살표①방향으로 석영관(T)를 회전시키고, 토치(14)(torch)를 화살표③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석영관(T)를 가열한다. 동시적으로 석영관(T)내에 SiCl4와 그 외 화학물들을 산소 가스에 실어 기체의 형태로 화살표②방향으로 공급하면서 석영관에 증착시키는 공정이 기상 증착법이다. 이어서 증착공정 후에 콜랩스 공정(collapsing)과 클로우징 공정(closing)을 진행하여 하나의 광섬유 모재(preform)를 제작하게 된다. 이와같은 변형 화학 기상 증착법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화학 기상 증착법중, 석영관(T)내에 수트(soot)를 생성시켜 코어와 클래딩을 형성해가는 증착 및 콜랩스 공정에서는 균일한 광섬유 모재제조를 위하여 석영관(T)내의 설정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균일한 수트를 생성해야 하는 조건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광섬유 모재 증착공정 및 응축공정시, 석영관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종래의 시스템은 모든 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체크되기 때문에 저생산성의 중요한 요인이 되며, 특히 석영관내의 압력을 설정된 압력으로 항시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그 결과로 제조된 광섬유 모재의 품질이 저하되는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종래에서는 시스템 작동중에, 석영관내의 압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한다면 일일이 사용자가 점검해야 하며, 점검시에 시스템을 정지시켜야 함으로서, 생산성 저하의 주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시, 석영관내의 설정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킴으로서, 석영관내에 균일한 수트를 생성시켜 고품질의 광섬유 모재를 생산할 수 있는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증착 및 응축공정의 압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으로 가동되는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증착 및 응축공정의 압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 및 수동 모드중, 하나를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는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증착 및 응축공정의 압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석영관내에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석영관내에 증착시켜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변형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한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석영관내에 공급되는 기체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기;
상기 유량 제어기로부터 석영관내에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설정된 유량에 따라 상기 유량제어기를 제어하는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 및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기준 압력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PLC의 설정 유량을 제어하는 압력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변형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한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증착 및 응축공정에서 압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중, 증착중인 석영관내의 내외경의 직경의 크기를 설정한 기준치대로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석영관내로 공급되는 기체 유량이 균일해야 하며, 아울러 공급되는 기체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려면, 공급되는 유량의 설정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조건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중 석영관내로 공급되는 기체 유량의 설정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고 품질의 광섬유 모재를 제조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석영관내로 공급되는 기체중, 질소를 예를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압력 제어 시스템은 석영관내에 공급되는 모든 기체가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뿐만 아니라, 광섬유 인출공정에서도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압력을 유지하는 것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시스템은 광섬유 1차 모재 제조시에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압력 제어 시스템은 석영관(T)내에 공급되는 기체중, 질소를 예를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자동이나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석영관(T)내에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석영관(T)내에 증착시켜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변형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한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시스템은 상기 석영관(T)내에 공급되는 질소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기(26)와, 상기 유량 제어기(26)로부터 석영관(T)내에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28)와, 설정된 유량에 따라서 상기 유량 제어기(26)를 제어하는 PLC(24)와, 상기 압력 센서(28)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기준 압력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상기 PLC(24)의 설정 유량을 제어하는 압력 콘트롤러(22)를 포함한다. 상기 PLC(24)는 PC(20)에 의해 유량이 설정되고, 상기 압력 콘트롤러(22)는 PC(20)에 의해 제어압력이 설정된다. 아울러, 상기 압력 센서(28)는 석영관(T)내에 공급되는 질소의 압력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유량 제어기(26)에 직접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312단계에서 PC(20)와 압력 콘트롤러(22)간의 통신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PC(20)와 압력 콘트롤러(22)간에 직렬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314단계로 진행하여 수동 또는 자동 모드를 판단한다. 314단계에서 상기 압력 제어 시스템이 수동 모드로 판단되면, 316단계에서 상기 PLC(24)에 공급되려는 유량이 PC(20)에 의해 설정되고, 설정된 유량에 따라서 318단계에서 유량 제어기(26)는 석영관(T)내에 공급되는 질소의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석영관(T)의 증착 및 응축공정이 진행된다.
314단계에서 상기 압력 제어 시스템이 자동 모드로 판단되면, 320단계에서 상기 PC(20)를 통해서 압력 콘트롤러(22)의 제어압력이 설정되고, 322단계에서 상기 압력 콘트롤러(22)는 압력센서(28)에 의해 감지된 값을 기준 압력값과 비교한다. 이어서 상기 압력 콘트롤러(22)는 비교된 값에 따라서 설정 기준치 이내이면, 32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LC(24)는 원하는 기준치가 되게 질소 유량제어기(26)를 제어하고, 상기 유량 제어기(26)에 의해 적당량의 질소를 석영관(T)내에 공급하게 되어 석영관(T)내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시킨다. 한편, 상기 압력 콘트롤러(22)에 의해 비교된 값과 설정된 제어압력값이 기준값 밖에 있다면, 324단계에서 상기 PLC(24)는 설정된 유량에 따라서 상기 유량 제어기(26)의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에 대응하여 유량 제어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서, 석영관내로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일정하여 공급하게 되어 제조되는 광섬유 모재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변형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한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중, 특히 광섬유 1차 모재 제조공정에서, 일정 유량의 기체가 공급되는 석영관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서, 고품질의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게 되었으며, 더불어 고품질의 광섬유 모재로부터 광섬유를 인출하게 되어 한가닥의 고품질 광섬유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수동 또는 자동모드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에러 발생시, 생산성 향상의 한 요인이 되었다.

Claims (1)

  1. 석영관내에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석영관내에 증착시켜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변형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한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석영관내에 공급되는 기체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기;
    상기 유량 제어기로부터 석영관내에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설정된 유량에 따라 상기 유량제어기를 제어하는 PLC; 및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기준 압력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PLC의 설정 유량을 제어하는 압력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압력 제어 시스템.
KR10-2000-0014777A 2000-03-23 2000-03-23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374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777A KR100374352B1 (ko) 2000-03-23 2000-03-23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777A KR100374352B1 (ko) 2000-03-23 2000-03-23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133A true KR20010090133A (ko) 2001-10-18
KR100374352B1 KR100374352B1 (ko) 2003-03-04

Family

ID=1965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777A KR100374352B1 (ko) 2000-03-23 2000-03-23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135B1 (ko) * 2001-11-12 2005-05-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섬유 비원율 개선을 통한 편광모드 분산 특성 향상을위한 광섬유 모재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7633A (ja) * 1983-05-23 1984-12-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アイバ母材の製造装置
JPS61295248A (ja) * 1985-06-21 1986-12-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アイバ母材の製造装置
JP2831802B2 (ja) * 1990-05-16 1998-12-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方法
US6105396A (en) * 1998-07-14 2000-08-2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king a large MCVD single mode fiber preform by varying internal pressure to control preform straightness
JP4228420B2 (ja) * 1998-08-18 2009-02-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線引き炉及び光ファイバ線引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4352B1 (ko) 200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613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ber preform and optical fiber preform apparatus
US7486862B2 (en) Optical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946133B2 (en) Methods for modifying ovality of optical fiber preforms
CN103922579A (zh) 一种基于基管外径维持与修正控制制造光纤预制芯棒的装置及其制造光纤预制芯棒方法
EP0231022B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porous preform of optical fiber
US20060179888A1 (en) Manufacture of optical fibers using enhanced doping
US20060107698A1 (en) Automatic pressure control device for quartz tube
US8181488B2 (en) Method for overcladding an optical fiber preform
KR100374352B1 (ko)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에서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0436299B1 (en) Method for making optical fibers comprising fluorine-doped glass
JP2002293564A (ja) 光ファイバ母材の延伸方法及び延伸装置
US6442978B1 (en) Apparatus for sintering a porous glass base material and a method therefor
JPH04292434A (ja) 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方法
CN203866200U (zh) 一种基于基管外径维持与修正控制制造光纤预制芯棒的装置
KR20000013544A (ko) 고품질의 광섬유용 프리폼 제조장치 및 방법
JP2003020239A (ja) 光ファイバプリフォームの加工方法
EP071604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optical fiber preform
KR100450974B1 (ko) 변형 화학기상 증착 공정의 원료물질 기화량 유지장치
KR100271377B1 (ko) 공정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 및 방법
Bandyopadhyay et al. Fabrication of multimode optical fibres for telecommunication
JPH0672735A (ja) 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方法
JPH0629149B2 (ja) 光フアイバ用多孔質母材焼結装置
KR100365775B1 (ko) 광섬유 모재 내부압력 조절장치
JP2001019453A (ja) 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方法
JP4404214B2 (ja) 光ファイバ用ガラス母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