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496A - 간장해 방어제 - Google Patents

간장해 방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496A
KR20010089496A KR1020017006473A KR20017006473A KR20010089496A KR 20010089496 A KR20010089496 A KR 20010089496A KR 1020017006473 A KR1020017006473 A KR 1020017006473A KR 20017006473 A KR20017006473 A KR 20017006473A KR 20010089496 A KR20010089496 A KR 20010089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ycelium extract
shiitake
shiitake mushroom
liver damage
protective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무라가쯔유끼
야마구찌야스요
스기노레이꼬
시로가네히데끼
다께우찌도요미
Original Assignee
고바야시 가즈마사
고바야시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바야시 가즈마사, 고바야시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바야시 가즈마사
Publication of KR2001008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4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물에 의한 간장해의 방어제.

Description

간장해 방어제{PREVENTIVES FOR HEPATOPATHY}
표고버섯 (Lentinus edodes) 은 일본, 중국의 대표적인 식용 버섯으로, 일본에서는 약 300 년전부터 인공재배가 이루어져 왔다. 일상 식용으로 하고 있는 버섯은 자실체라 불려 균류가 자손을 남기기 위해 포자를 발생하는 생식체이고, 영양체인 균사 세포는 지중이나 원목중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균사체를 형성한다.
표고버섯은 오래전부터 여러가지 병이나 증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말해져 왔으나, 그 약리 작용이 해명되어 온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은 하기를 포함한다: 레트, 마우스에서의 발암 실험에 있어서, 동물의 대장, 간장 등의 종양 형성 및 식물 종양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동물의 생존률을 상승시킨 것(N. Sugano 등, Cancer Letter, 27:1, 1985; Y. Suzuki 등, 일본대장항문병회지, 43:178, 1990 등), 마이토젠 활성을 나타낸 것 (T. Tabata 등, 면역약리학, 24:57, 1992; Y. Hibino 등, 면역약리학, 28:77, 1994등), 항체생산을 증강하여 항체를 통하는 ADCC (antibody-dependent cell-mediated cytotoxicity) 에 의한 면역학적 간세포 장해에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 (Y.Mizoguchi 등, 간담췌, 15:127, 1987),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에는 발근촉진, 농작물의 성장촉진 등의 식물 호르몬 작용 (M. Mitsuhashi-Kato 등, Plant Cell Physiol. 26:221, 1985) 이나 항식물 바이러스 작용 (Y. Komuro 등: 농림수산성 식물 바이러스 연보고, 1977).
본 발명의 목적은,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약리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해명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새로운 의약 용도 또는 보건 용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간장해(肝障害) 방어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장해 방어제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레트의 초대 배양 간세포를 사용하는 생체외(in vitro) 시험에서의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간장해 방어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는, CCl4에서 유도한 레트 간장해를 사용하는 생체내(in vivo) 시험에서의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간장해 방어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은, 약제성 간장해의 인간 환자에 대한 시험에서의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간장해 방어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연구한 결과,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약물에 의한 간장해에 대하여 현저한 방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물에 의한 간장해의 방어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물에 의한 간장해 방어제는,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 및 임의성분으로서 약제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물에 의한 간장해의 치료용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형태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약물에 의한 간장해의 방어제는 식품 또는 음료의 형태이어도 되지만, 이들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약물에 의한 간장해의 방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약물에 의한 간장해 방어제의 제조를 위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물에 의한 간장해 방어제에 사용하는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이란, 표고버섯균을 고체 배지상에서 배양하여 얻어지는 균사체, 바람직하게는 균사체를 포함하는 고체 배지를 물 및 효소의 존재하에 분쇄, 분해하여 얻어지는 추출물을 말한다.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방법으로 얻어진 것을 사용하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바가스(bagasse) (사탕수수를 짜고 남은 찌꺼기) 와 탈지 쌀겨를 기재로 하는 고체 배지상에 표고버섯균을 접종하고, 이어서 균사체를 증식하여 얻어지는 균사체를 포함하는 고체 배지를 12 메시 통과분이 30 중량% 이하로 되도록 해속(解束)하고, 이 해속된 고체 배지에 물 및 셀룰라아제, 프로테아제 또는 글루타아제로부터 선택된 효소의 1 종 또는 그 이상을, 상기 고체 배지를 30 ∼ 55 ℃ 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첨가함과 동시에, 상기 고체 배지를 상기 효소의 존재하에서 분쇄하고 갈아 바가스 섬유의 적어도 70 중량% 이상이 12 메시 통과분이 되도록 하고, 이어서 95 ℃ 까지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효소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멸균하여, 얻어진 현탁상액을 여과함으로써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얻는다.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그대로 본 발명의 방어제로 사용하여도 되지만, 이것을 농축,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보존하여, 사용시에 여러가지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동결건조하여 얻어지는 분말은 갈색 분말로, 흡습성이 있고, 특이한 맛과 냄새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페놀-황산법에 의해 카르보히드레이트를 15 - 50 %, 바람직하게는 20 - 40 % (w/w), 로리(Lowry)법에 단백질을 10 - 40 %, 바람직하게는 13 - 30 % (w/w), 갈산을 표준으로 하는 폴린-데니스(Folin-Denis)법에 의해 폴리페놀을 1 - 5 %, 바람직하게는 2.5 - 3.5 % (w/w) 포함한다.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에는 그 외에 지질 약 0.1 %, 섬유 약 0.4 %, 회분 약 20 % 를 포함하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구성당 조성 (%) 의 일례는 이하와 같지만, 이 조성은 배양 조건 등에 띠라 변동될 수 있다 :
키시로스 15.2; 아라비노스 8.2; 만노스 8.4; 글루코스 39.4; 가락토스 5.4; 가락토사민 12.0; 글루쿠론산 11.3.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약물에 의한 간장해의 방어 효과를 이하의 방법으로 시험한 바, 레트 간세포를 사용하는 생체외 시험, CCl4로 유도한 레트 간장해를 사용하는 생체내 시험 및 약제성 간장해의 인간환자에 대한 시험에 있어서, 모두 현저한 방어 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방어제는, 세프록사딘(Cefroxadine), 세푸록심(Cefuroxim) 나트륨, 라타목세프(Latamoxef) 나트륨 등의 세펨계, 황산아미카신 등의 아미노글리코시드계, 아클라루비신(Aclarubicin) 등의 항종양계, 리팜피신(Rifampicin) 등의 항산균 항생물질계, 테트라사이클린계, 마크로라이드계, 페니실린계 등의 항생물질, 중추신경용약인, 아스피린 등의 해열진통소염계, 클록사졸람(Cloxazolam) 등의 정신신경계, 발프로산나트륨 등의 항전간제계, 할로탄 등의 전신마취제계, 페노바르비탈 등의 최면진정계, 종합감기약계 등의 약제의 투여에 의해 일어나는 간장해, 또, 이들 외에, 핀돌롤 등의 부정맥용계, 트라피딜 등의 혈관확장제계, 염산니카르디핀 등의 순환기관용계, 염산라베탈롤 등의 강압제계, 클로피브레이트 등의 동맥경화용계에서 알려진 순환기용약, 또한 테카푸르(tegafur) 등의 대사길항제계나 에스트라사이트(estracyt) 등의 호르몬제나 술파메톡사졸 등의 술파제, 이소니아지드 (isoniazid) 등의 항결핵제, 노르플록사신(norfloxacin) 등의 합성항균제 등의 약제의 투여에 의해 일어나는 간장해, 또한, 생활환경중에 존재하는 비스페놀, 프탈산에스테르, 염화비닐모노머, 노닐산에스테르, 알코올류 등의 환경호르몬에 의해 일어나는 간장해에 유용하다. 따라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 및 임의성분으로서 약제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물에 의한 간장해의 치료용및/또는 예방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투여경로는 경구투여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정맥내투여, 피하투여 등이어도 된다. 경구투여에 적합한 제제에는, 정제, 캡슐제, 산제, 과립제, 용액제, 시럽제 등이 포함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약제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담체에는, 당업계에서 공지의 적당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착향료, 착색제, 용해보조제, 현탁제, 코팅제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어제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 투여경로 등을 고려하여 의사, 약제사, 영양사 등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방어제에 함유되는 표고버섯 균사체는 식품으로서 사용되어온 것으로, 매우 안전한 점에서, 투여량을 까다롭게 한정할 필요는 없지만, 통상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분말로 환산하여 1 일당 40 ㎎ - 6 g, 바람직하게는 400 ㎎ - 1.8 g 이다. 또한, 간장해의 원인이 되는 약제와 병용하여 투여하여도 지장은 없다.
본 발명의 방어제는, 식품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식품으로서는 과립, 면류, 캔디, 젤리, 쿠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어제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식품, 음료에는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 외에, 비타민제, 칼슘 등의 무기성분, 키토산 등의 식물섬유, 대두추출물 등의 단백질, 레시틴 등의 지질, 젖당 등의 당류 등을 추가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을 여러가지 변경, 수식하여 사용하는 것이 당업자에세는 가능하고, 이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실시예 1 :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제조법
바가스 90 중량부, 쌀겨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고체 배지에 순수(純水)를 적당히 포함시킨 후에, 표고버섯종균을 접종하고,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한 배양실내에 방치하여, 균사체를 증식시켰다. 균사체가 고체 배지에 만연된 후, 바가스 기재의 섬유소를 해속 하여, 12 메시 통과분이 24 중량% 이하로 되도록 하였다. 이 해속된 배지 1.0 ㎏ 에, 순수 3.5 ㎏ 을 추가하여, 40 ℃ 로 유지하면서 정제 셀룰라아제 2.0 g 을 추가하여 배지함유 혼합물로 하였다.
이어서 배지함유 혼합물을 변속이 부착된 기어 펌프로 순환시키면서, 고체 배지에 기어부분에서 분쇄 및 가는 작용을 200 분 정도 추가하여 바가스 섬유의 약 80 중량% 가 12 메시 통과분이 되도록 하였다. 배지함유 혼합물의 분쇄 및 가는 것은, 이 혼합물의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실행하였다. 그 후 배지함유 혼합물을 더욱 가열하여, 90 ℃ 로 하여 30 분간 방치하였다. 90 ℃ 로의 가열에 의해, 효소를 활성화시키고, 또한 살균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배지함유 혼합액을 60 메시의 여과포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으로 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2 : 초대 배양 간세포를 사용하는 생체외 시험
1) 레트 간세포의 분리 및 초대 배양
레트 (Wistar, 수컷, 생후 6 - 8 주) 의 간세포를 분리하여, 37℃, 5% CO2조건하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2) 간세포의 CCl4및 피험물질에 의한 처리
로 조제한 간세포에, CCl4(DMSO 용액 : 간장해 유도 물질) 및 피험 물질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 또는 대조물질) 을 여러가지의 농도로 조정한 1) 에서 제조된 무혈청 배지를 500 ㎕ 추가하여, 24 시간 인큐베이트하였다.
3) GOT 활성측정
배양 상등액을 에펜도르프(Eppendorf) 튜브로 옮겨, 10000 rpm, 5 분간, 실온에서 원심하였다. 이 상등액중의 GOT 활성을 GOT 측정시약 (Liqui Tech GOT IFCC : 베링거만하임사 제조)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피험 물질을 추가하고 있지 않은 배양액 상등액의 GOT 활성의 평균값을 100 으로 했을 때의 각 배양액 상등액의 GOT 활성의 비율을 구하여, 간장해 강도로 하였다.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로부터 명확한바와 같이,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간장해 방어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 : CCl 4 로 유도한 레트 간장해를 사용하는 생체내 시험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 분말을 20% 포함하는 (잔여는 젖당)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 과립을 조제하여 레트에 7 일간 경구투여하여, CCl4유도의 간장해 방어효과를 검토하였다. 투여 종료후, CCl4를 복강내투여하여, 간장해를 일으킨 후, 복대동맥에서 채혈하여, 혈청중의 GOT, GPT 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2 에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간장해 방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4 : 약제성 간장해의 인간환자에 대한 시험
약제 치료에 의해 약제성 간장해를 발증하고 있는 인간환자 2 명 (모두 합병증으로 간결핵을 발증하고 있음) 에게,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 과립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 분말을 20 % 포함하고, 잔여는 젖당) 6 g 을 4 주간에 걸쳐 매일 섭취시켰다. 간장해의 원인 약제 (에탐부톨, 이소니아지드, 리팜피신) 는 계속하여 복용시켰다. 4 주간후에 환자의 말초혈로부터 GOT, GPT 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3 에 나타낸다. 2명 모두의 GOT, GPT 가 기준치내로 저하되었다. 또, 부작용은 볼 수 없었다.
본 발명의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물에 의한 간장해의 방어제는, 약제투여에 의해 일어나는 간장해를 방어하는 효과를 갖고 있고, 약제투여에 의해 일어나는 간장해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어제는, 간장해의 원인이 되는 약제의 투여와 병용할 수 있고, 또 부작용이 없는 점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산업상의 이용가능성을 크게 기대할 수 있다.

Claims (7)

  1. 표고버섯(Lentinus edodes)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물에 의한 간장해의 방어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 및 임의성분으로서 약제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물에 의한 간장해의 치료용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인 방어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경구투여하는 방어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식품의 형태인 방어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음료의 형태인 방어제.
  6.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약물에 의한 간장해의 방어 방법.
  7. 약물에 의한 간장해의 방어제의 제조를 위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용도.
KR1020017006473A 1998-11-27 1999-11-26 간장해 방어제 KR200100894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338085 1998-11-27
JP33808598A JP4405611B2 (ja) 1998-11-27 1998-11-27 肝障害防御剤
PCT/JP1999/006618 WO2000032214A1 (en) 1998-11-27 1999-11-26 Preventives for hepatopath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496A true KR20010089496A (ko) 2001-10-06

Family

ID=1831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473A KR20010089496A (ko) 1998-11-27 1999-11-26 간장해 방어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85974B1 (ko)
JP (1) JP4405611B2 (ko)
KR (1) KR20010089496A (ko)
CN (1) CN1195542C (ko)
CA (1) CA2352525A1 (ko)
GB (1) GB2363570B (ko)
HK (2) HK1041643B (ko)
TW (1) TW570800B (ko)
WO (1) WO20000322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819B1 (ko) * 2018-11-21 2019-05-15 주식회사 엠진바이오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지방성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1151B1 (fr) * 2009-01-22 2012-05-11 Caster Extrait de lentinus pour son action sur la cellulite et les amas graisseux.
US20190381120A1 (en) 2016-12-20 2019-12-19 Kinki University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peripheral sensory neuropathy
JP7345771B2 (ja) * 2018-06-27 2023-09-19 学校法人近畿大学 糖尿病によって誘発される知覚過敏または知覚異常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0428A (ja) * 1982-04-14 1983-10-21 Noda Shiyokukin Kogyo Kk 皮膚病治療剤
JPH0714885B2 (ja) 1986-05-20 1995-02-22 野田食菌工業株式会社 免疫活性物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819B1 (ko) * 2018-11-21 2019-05-15 주식회사 엠진바이오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지방성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63570A (en) 2002-01-02
GB2363570B (en) 2004-03-31
HK1041643A1 (en) 2002-07-19
HK1042443A1 (zh) 2002-08-16
JP2000159683A (ja) 2000-06-13
TW570800B (en) 2004-01-11
GB0113002D0 (en) 2001-07-18
WO2000032214A1 (en) 2000-06-08
HK1041643B (zh) 2005-01-28
CN1332632A (zh) 2002-01-23
CA2352525A1 (en) 2000-06-08
US6585974B1 (en) 2003-07-01
CN1195542C (zh) 2005-04-06
JP4405611B2 (ja)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061B1 (ko) 땅콩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700799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WO2016190566A9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CN105664140A (zh) 一种糖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2370496A (zh) 枸杞叶有效成分在制备预防或治疗肝纤维化药物中的应用
KR20010089496A (ko) 간장해 방어제
JP4949272B2 (ja) エリンギ、五加皮及び三七根の混合生薬材抽出物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歯周疾患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US2010007497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101491493B1 (ko) 감귤 과피 및 구아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 조성물
CN107890486A (zh) 一种中药外用消炎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81220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JP4371431B2 (ja) 抗アレルギー性組成物
KR100493708B1 (ko) 면역활성 및 항암 효과 증진용 조성물
JP2002000229A (ja) 健康食品
KR20150072659A (ko)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010089497A (ko)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γδT 세포 면역활성증강제
WO2019083264A1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89315A (ko)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851071A (zh) 沙棘vp营养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90142672A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10855B1 (ko) 장 누수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090935A (ko)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0157204A (ja) シイタケ菌糸体抽出物の分画物及びその用途
KR100493709B1 (ko) 면역활성 및 항암 효과 증진용 건강 보조식품
KR20210060233A (ko) 장 누수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929

Effective date: 2007092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1010087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929

Effective date: 2007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