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8653A -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 Google Patents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8653A
KR20010088653A KR1020010049508A KR20010049508A KR20010088653A KR 20010088653 A KR20010088653 A KR 20010088653A KR 1020010049508 A KR1020010049508 A KR 1020010049508A KR 20010049508 A KR20010049508 A KR 20010049508A KR 20010088653 A KR20010088653 A KR 20010088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classification
word
main word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연근
Original Assignee
우연근
원종태
주식회사 차세대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연근, 원종태, 주식회사 차세대정보통신 filed Critical 우연근
Priority to KR1020010049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8653A/ko
Publication of KR20010088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6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06F16/287Visualization; Brow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 설정되어진 분류기준에 따라 소정의 과정을 통해 해당하는 기호를 부여하는 기호부여단계와; 상기 기호부여단계의 동작 수행이 완료된 후 입력되는 주제어에 대한 기호검색을 소정의 과정을 통해 수행한 다음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분류표기단계로 이루어진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은 자료를 분류할 때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주제에 대해서도 기존 주제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개념적이고 주관적 기준이 아닌 직관적이고 객관적인 분류기준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그 분류 기호가 한 번 부여되면 바뀌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 CLASSIFICATING NOTE METHOD FOR ON AND OFF LINE DATA }
본 발명은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오프라인 상에서 주제를 분류하고 기호를 부여하는데 있어서, 주제를 개념상이 아닌 직관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으로 분류하고, 자료의 전산처리화로의 변화와 사용자 개별적인 환경을 고려한 유기적인 분류기호 표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21세기는 학문이 급속하게 변하는 정보사회로서, 새로운 학문의 출현과 전문화, 세분화가 동시에 가속화되어, 학문 연구 결과물인 자료들이 넘쳐나는 시대이다. 그래서 이러한 방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하여 필요한 자료를 쉽게 찾아 이용할 수 있는 자료 분류 체계 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자료 분류 체계 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바로 듀이십진분류표(DDC: Dewey Decimal Classification)와 국내 유일의 표준분류표로서 대부분의 공공도서관, 학교 도서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십진분류표(KDC: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이다.
도 1은 종래의 듀이십진분류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주제가 000번부터 900번까지 분류가 되어 있으며, 각 상위 주제에서 다시 010번부터 940번까지 세부 주제별로 분류한 목록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듀이십진분류법과 한국십진분류법은 모든 주제를 3자리의 십진수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방식으로 학문의 전 분야를 10개의 기본류로 나누고 다시 각 류별로 10개의 강으로 구분하며, 각각의 강은 다시 각각의 목으로 이루어진다.
즉 첫 번째 자리가 류이고, 두 번째 자리가 강이고, 세 번째 자리가 목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그리고, 이후의 세분되는 주제는 마침표를 찍고 세목을 계속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그 일례로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주제를 표시하려면 사회과학을 뜻하는 류 3과, 교육학에 해당하는 강 7과, 교육과정을 뜻하는 목 5와, 마침표를 찍고 세목인 4를 합쳐서 375.4로 표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열거식 분류표는 개념의 열거와 고정배열이 원칙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첫째로, 새로운 학문의 출현과 전문화, 세분화가 동시에 가속화되어 새로운 개념이나 주제가 실시간별로 생성되는 현대 사회에 있어서, 그 새로운 개념이나 주제를 새로운 항목으로 채택해야 하는데 새로운 항목으로 채택하는데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 종래의 분류법들은 주제를 개념적인 것으로 구분함으로써, 그 주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바뀌면 기호도 바뀌게 된다. 예를 들어, 문헌정보학을 생각해 볼 때 지금은 총류인 000에 분류되어 있지만, 학문이 바뀌면서 사회학으로 분류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같은 주제에 대한 기호가 여러 번 바뀔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로, 십진수를 이용한 표기 방법은 그 분류가 기계적이고 인위적일 수밖에 없으며, 구분 방식 또한 비논리적이어서 구조 자체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넷째로, 듀이십진분류체계를 가지는 종래의 검색엔진들에서 제공하는 주제별인덱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주제별로 나눈다는 것이 검색엔진 프로그래머가 가지고 있는 주관적인 면에 의해서 좌우되는 경우가 많아서 일반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의도와 많이 틀릴 가능성이 높으며 여러 주제에 공통되는 분야가 존재할 때 해당 주제에서 그 분야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다시 해당 주제 목차를 통해서 검색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또한 최하위에 분류되어 있는 주제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최상위 주제에서 몇 번의 분류를 거쳐야 사용자가 원하는 주제를 찾을 수 있으며 최하위로 분류된 주제는 너무나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주제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상술한 바의 검색 과정을 되풀이 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다섯째, 단순히 키워드만 가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문서 내 키워드의 빈도수나 키워드의 위치를 근거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은 인터넷과 같은 너무나 방대한 양의 정보를 검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빠른 시간에 관련문서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키워드를 통해 검색 결과를 출력할 때 검색엔진은 키워드의 단순한 빈도수로 나타나는 점수의 우선 순위로 문서를 나열하기 때문에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자신들이 스스로 관련이 높을 것 같은 디스플레이된 순서에 관계없이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일례로 키워드 검색어를 도장으로 입력해서 검색을 하면 음식에서의 불도장까지 검색이 된다. 이와 같이, 키워드로 검색을 하면 그 키워드 단어를 포함하는 뜻이 전혀 다른 낱말들도 검색되어 원하지 않는 자료까지 출력해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섯째, 듀이십진분류법을 이용하는 종래의 검색엔진들에서 주제의 일부분으로 검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한국십진분류표에서 한국시는 811, 중국시는 821, 일본시는 831이라는 기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시라는 분류를 따로 추출해내는데는 문제점이 따른다. 즉 여기서 공통적인 세 번째 수인 1이 시를 뜻하는데 이것을 근거로 검색을 하면 101, 111, 121 등의 세 번째 수가 1인 번호를 갖는 분야의 자료가 모두 검색이 되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알파벳과 숫자를 이용한 기호의 조합으로 간단하게 자료를 분류하여 자료를 검색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에 더 가까운 자료를 검색 할 수 있게 해주는 온온오프라인 자료의 주제 분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자료를 분류할 때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주제에 대해서도 기존 주제를 표현하는 기호를 조합하여 나타낼 수 있는 온오프라인 자료의 주제 분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듀이 십진분류표.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호 부여를 위한 동작 흐름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흐름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류기준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기호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어를 검색하는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101 : 사용자 201 : 기호설정부
202 : 저장부 203 : 웹서버
204 : 주제어부 205 : 검색부
300 : 주제어입력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은, 기 설정되어진 분류기준에 따라 소정의 과정을 통해 해당하는 기호를 부여하는 기호부여단계와; 상기 기호부여단계의 동작 수행이 완료된 후 입력되는 주제어에 대한 기호검색을 소정의 과정을 통해 수행한 다음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분류표기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망과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하여 접속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는 모든 이용자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웹서버(203)와; 주제어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한 기호를 부여하는 기호설정부(201)와; 상기 기호설정부(201)에서 부여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02)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20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요청한 주제어에 대한 해당 주제어가 있는가를 검색하는 검색부(205)와; 상기 웹서버(203) 혹은 근거리통신망(LAN)을 통해 입력되는 요청 주제어를 입력받아 상기 검색부(205)를 통해 검색한 후 그 결과를 해당 사용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주제어부(204)로 구성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기호부여단계와 분류표기단계로 나뉘어지는데, 먼저 기호부여단계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제어입력부(300)로부터 새로운 주제어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분류기준에 따른 해당 기준을 선택하는데(S10), 상기 분류기준은 도 5에 도시한 분류기준표에서 같이 정신적 행동, 육체적 행동, 개념적인 결과물,규범(체계), 물질적인 도구, 단체(모임) 등으로 분류된 항목으로 되어 있다.
상기 단계(S10)의 분류기준 선택에 따라 기 설정한 기호표에서 미부여 기호를 검색하여 이 검색결과에 따라 미부여 기호 중 지정된 순서로 순차적으로 부여한 후 저장한다(S12~S13).
그리고, 상기 분류표기단계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100, 101)로부터 요청 주제어가 입력되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주제어와 동일한 동의어가 있는가를 판단하고(S40~S42), 이 판단결과 주제어와 동일한 기호가 없으면 새로운 주제어로 판단하여 기호부여단계를 수행하고 다시 상기 단계(S42)를 반복하여 수행하며(S43), 상기 단계의 판단결과 동일한 기호가 있으면 임시로 저장한 후 주제어와 유사한 단어가 있는가를 판단하고(S44~S45), 이 판단결과에 따라 저장하거나 스킵(skip)한 후, 다시 주제어와 전행일치 및 후행일치 단어가 있는가를 판단하여(S46~S47) 판단결과에 따라 저장하거나 스킵한 후, 상기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토대로 해당 기호를 최종적으로 결정한 다음 분류에 따른 검색결과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종료한다(S48~S50).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기호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어를 검색하는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검색에 의한 분류는 상위, 중위 및 하위로 나뉘어지며, 그 나누어진 분류에 각각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기호를 부여하는데, 상기 기호는 3개의 알파벳 및 2개의 숫자 자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호의 자리 중 3개의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는 자리는 주제어의 분류기준에 따른 해당 기준을 나타내며,상기 기호의 자리 중 2개의 숫자로 이루어지는 자리의 네 번째 및 다섯 번째 자리는 주제를 세분화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설명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포토샵을 검색하고 자 할 때 컴퓨터를 상위 개념으로 가지는 포토샵이 검색되고, 디자인을 상위 로 가지는 포토샵이 검색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분야의 포토샵을 정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가수에 대한 검색을 하려고 한다면 검색어인 가수를 가지고 도 5에서 가수에 해당하는 기호 iba1g를 검색해와서 이를 단서로 온라인 자료 DB에서 검색한 후 가져오는데, 이 때 싱어송 라이터 역시 iba1g라는 기호를 가지고 있음으로 이것 역시 검색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두 가지 이상의 주제어를 조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두 가지 주제 kac12와 kac18을 합쳐서 표기할 경우 kac1a로 표기되는데, 이는 kac12와 kac18의 공통부분 kac1까지는 그대로 쓰고 마지막 알파벳 a는 32진수의 10을 나타내며 이는 두 코드의 마지막 숫자 2와 8을 합쳐서 표기된 것이며, 단일 주제의 경우 1,2,4,8,g 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알파벳 a와 중복되지 않는다.
만약, kac15와 kac85를 합쳐서 표기할 경우 이는 955 = 1, 5+8, 5=9(1+8), 5, 5 로 표시하여 kac955로 표기가 되며, kac11, kac12, kac14의 세 가지 주제를 합쳐서 표기 할 때 kac17로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서 7 = 1 + 2 + 4이고, kac1은 중복되므로 그대로 기재하며, kac11, kac24, kac41을 세 가지 주제를 합쳐서 표기 할 때는 kac7141로 표기될 수 있고, 여기서 7141 = 7(1+2+4)141이고, kac까지만 중복되므로 중복된 부분만 그대로 기재한다.
또한, 공통되는 부분이 없는 주제어를 표기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군대(hda11), 기업(hfa11)의 두 주제를 표현할 경우 ,(쉼표)로 구분해서 hda11,hfa11로 표기한다. 예를 들면, 창업=제작+회사, 렌트카=임대+자동차, 작사작곡도 모두 하는 가수를 싱어송라이터라고 하면 싱어송라이터를 분류기호로 나타내면 작사가를 뜻하는 기호 iba14, 작곡가를 뜻하는 기호 iba18, 가수를 뜻하는 기호 iba1g를 합쳐서 iba1s로 나타낼 수 있어 새로운 코드를 만들 필요없이 새로운 주제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특별히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은 자료를 분류할 때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주제에 대해서도 기존 주제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개념적이고 주관적 기준이 아닌 직관적이고 객관적인 분류기준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그 분류 기호가 한 번 부여되면 바뀌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는 임의로 기호를 부여할 수 있게 u로 시작하는 기호를 비워두었으며 zd에는 DDC를 zk에는 KDC를 기재할 수 있게 하고, 본 발명에서는 숫자로 시작하는 기호는 사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기존에 숫자로 시작하는 분류법도 같이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미 기존의 분류법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도 거부감을 주지 않으며, 그 표현범위도 그 만큼 넓어지게 된다.
그리고, 2가지 이상의 주제를 표현 할 때도 각각의 기호를 분리해서 표기하므로, 각각의 주제를 찾을 때에도 검색되어져서 사용자가 검색하려는 주제에 정확히 맞는 검색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기 설정되어진 분류기준에 따라 소정의 과정을 통해 해당하는 기호를 부여하는 기호부여단계와; 상기 기호부여단계의 동작 수행이 완료된 후 입력되는 주제어에 대한 기호검색을 소정의 과정을 통해 수행한 다음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분류표기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부여단계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새로운 주제어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분류기준에 따른 해당 기준을 선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선택에 따라 기 설정한 기호표에서 미부여 기호를 검색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검색결과에 따라 미부여 기호 중 지정된 순서로 순차적으로 부여한 후 저장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표기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주제어가 입력되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주제어와 동일한 기호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주제어와 동일한 기호가 없으면 새로운 주제어로 판단하여 기호부여단계를 수행하고 다시 상기 제1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동일한 기호가 있으면 임시로 저장한 후 주제어와 유사한 단어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저장하거나 스킵(skip)한 후, 주제어와 전행일치 및 후행일치 단어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저장하거나 스킵한 후, 상기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토대로 해당 기호를 최종적으로 결정한 다음 분류에 따른 검색결과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종료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부여단계는 검색에 의한 분류를 상위, 중위 및 하위로 나누고, 그 나누어진 분류에 각각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기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기준은 정신적 행동, 육체적 행동, 개념적인 결과물, 규범(체계), 물질적인 도구, 단체(모임)등으로 분류된 항목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는 3개의 알파벳 및 2개의 숫자 자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의 자리 중 3개의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는 자리는 주제어의 분류기준에 따른 해당 기준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의 자리 중 2개의 숫자로 이루어지는 자리의 네 번째 및 다섯 번째 자리는 주제를 세분화한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되는 부분이 없는 주제어를 표기하는 경우에 ,(쉼표)로 구분해서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는 두 가지 이상의 유사 주제어를 조합하는 경우에 공통되는 부분(알파벳 자리 및 숫자자리 포함)은 그대로 쓰고, 공통되지 않는 숫자 부분은 서로 합하여 32진수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KR1020010049508A 2001-08-17 2001-08-17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KR20010088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508A KR20010088653A (ko) 2001-08-17 2001-08-17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508A KR20010088653A (ko) 2001-08-17 2001-08-17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653A true KR20010088653A (ko) 2001-09-28

Family

ID=1971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508A KR20010088653A (ko) 2001-08-17 2001-08-17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86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006A (ko) * 2001-09-24 2003-03-31 한국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표준상품코드에 의한 상품정보 입력 및 검색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188A (ko) * 1996-02-29 1997-09-12 구자홍 방송 프로그램의 주제별 통합 분류방법
WO1998025269A1 (en) * 1996-12-02 1998-06-1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information stored on a medium
JPH10340275A (ja) * 1997-06-09 1998-12-22 Fuji Xerox Co Ltd 情報抽出装置
JPH1185796A (ja) * 1997-09-01 1999-03-30 Canon Inc 文書自動分類装置、学習装置、分類装置、文書自動分類方法、学習方法、分類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5895470A (en) * 1997-04-09 1999-04-20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ategorizing documents in a linked collection of documents
KR19990087858A (ko) * 1998-05-23 1999-12-27 구자홍 데이터의자동분류방법및분류데이터의검색/분석방법
JP2000222431A (ja) * 1999-02-03 2000-08-11 Mitsubishi Electric Corp 文書分類装置
KR20010060623A (ko) * 1999-12-27 2001-07-07 정명식 웹사이트 자동 분류방법
KR20010102687A (ko) * 2000-05-04 2001-11-16 정만원 카테고리 학습 기법을 이용한 주제별 웹 문서 자동 분류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188A (ko) * 1996-02-29 1997-09-12 구자홍 방송 프로그램의 주제별 통합 분류방법
WO1998025269A1 (en) * 1996-12-02 1998-06-1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information stored on a medium
US5895470A (en) * 1997-04-09 1999-04-20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ategorizing documents in a linked collection of documents
JPH10340275A (ja) * 1997-06-09 1998-12-22 Fuji Xerox Co Ltd 情報抽出装置
JPH1185796A (ja) * 1997-09-01 1999-03-30 Canon Inc 文書自動分類装置、学習装置、分類装置、文書自動分類方法、学習方法、分類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19990087858A (ko) * 1998-05-23 1999-12-27 구자홍 데이터의자동분류방법및분류데이터의검색/분석방법
JP2000222431A (ja) * 1999-02-03 2000-08-11 Mitsubishi Electric Corp 文書分類装置
KR20010060623A (ko) * 1999-12-27 2001-07-07 정명식 웹사이트 자동 분류방법
KR20010102687A (ko) * 2000-05-04 2001-11-16 정만원 카테고리 학습 기법을 이용한 주제별 웹 문서 자동 분류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006A (ko) * 2001-09-24 2003-03-31 한국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표준상품코드에 의한 상품정보 입력 및 검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0252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item from a database
US6751605B2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input character strings by inference
US5774118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help for operations and concepts matching skill level
US5369763A (en) Data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 improved data base structure
KR101276602B1 (ko) 표의문자적 내용을 가지는 데이터를 서치하고 매칭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0511671A (ja) 自動文書分類システム
WO2005084235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large databases via limited query symbol sets
JPH11272688A (ja) インデックスインジケータ、インデックス表示方法並びにインデックスインジケ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16167355A (zh) 一种意图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0231505A (ja) データオブジェクト群の自動命名方法およびその記憶媒体
KR20010088653A (ko) 온오프라인 자료의 분류 표기방법
Rogers Genre and terminology
KR20170059628A (ko)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S63249267A (ja)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の管理方法
Zimmermann Information Architecture
Moreiro-González et al. Folksonomy Indexing From the Assignment of Free Tags to Setup Subject: A Search Analysis into the Domain of Legal History
JP2021149364A (ja) 情報処理装置、資料作成支援システム、資料作成支援方法、及び資料作成支援プログラム
Ostrove Music subject cataloging and form/genre implementation at the Library of Congress
JPH10269210A (ja) 文字入力装置
KR102082845B1 (ko) 중국어 음성의 일일 오디오북 생성 서버 및 방법
JP2022189173A (ja) 作図システム
Buttliere Adopting standard variable labels solves many of the problems with sharing and reusing data
WO2020240831A1 (ja)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einberg Cutter J4: Tampering with the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for Judaica
Fearrien Implementing Creative Approaches within Google Scholar’s Advanced Search Interface to Retrieve Higher Likelihood for Journal Articles: A Quantitative Study into Google Scholar’s Lack of Format Limi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