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628A -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628A
KR20170059628A KR1020150163799A KR20150163799A KR20170059628A KR 20170059628 A KR20170059628 A KR 20170059628A KR 1020150163799 A KR1020150163799 A KR 1020150163799A KR 20150163799 A KR20150163799 A KR 20150163799A KR 20170059628 A KR20170059628 A KR 20170059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s
note
user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돈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Priority to KR1020150163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9628A/ko
Publication of KR20170059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기가 스마트노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학습 내용을 필기할 수 있도록 2 이상의 필기 노트들을 레이어 형식으로 제공하는 학습 내용 필기 단계; (b) 사진 첨부 기능, 녹음 기능, 다이어그램 작성 기능, 표 작성 기능, 또는 그래프 작성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필기 노트에 기재된 상기 학습 내용들 중 핵심 내용들 또는 질문 사항들을 축약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내용 축약 단계; 및 (c) 상기 작성된 필기 노트와 상기 축약 및 정리된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MART NOTE FOR IMPROVING EFFICIENCY OF LEARNING}
본 발명은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억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학습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업을 듣거나 학습을 할 경우,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그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면서 학습을 하는 방법을 많이 이용한다.
과거에는 이러한 학습 내용 정리를 종이로 된 노트에 수기로 필기하여야 했으므로, 학습하는 과목 수가 많을 경우, 수많은 책들과 관련 노트들을 들고 다니기가 어렵고, 한 과목에 대한 학습 내용이 수개의 노트에 산발적으로 정리되어 한 눈에 들어오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업 또는 강의 도중 수기로 노트 필기를 하다 보면, 속도가 늦어져 강의 내용을 놓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났으며, 정리한 노트로 복습을 할 경우, 필기가 되어있는 노트 위에 중첩적으로 체크 또는 기타 보충 기재 등의 표시를 할 경우, 정리된 노트가 지저분해져 알아보기 힘든 문제점 또한 존재하였다.
현대사회에서 컴퓨터 관련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해 필기하고, 학습 내용을 정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단순히 필기, 정리 및 저장하는데 그치고 있어, 학습 효율 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학습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필기 내용과 함께 각 카테고리 별로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학습 시기별로 기억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스마트노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학습 내용을 필기할 수 있도록 2 이상의 필기 노트들을 레이어 형식으로 제공하는 학습 내용 필기 단계; (b) 사진 첨부 기능, 녹음 기능, 다이어그램 작성 기능, 표 작성 기능, 또는 그래프 작성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필기 노트에 기재된 상기 학습 내용들 중 핵심 내용들 또는 질문 사항들을 축약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내용 축약 단계; 및 (c) 상기 작성된 필기 노트와 상기 축약 및 정리된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저장된 학습 자료 노트와 상기 필기 노트들을 레이어 형식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필기 노트의 일부 영역을 가리는 방법에 의한 마스킹 학습,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인지 유형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구성하는 인지 유형 학습 또는 연관 학습 컨텐츠의 그룹화를 통한 암기에 해당하는 청크 학습 중 적어도 하나의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학습 내용 암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각 학습 내용에 대한 학습 정도를 체크하여, 학습 정도에 따라, 우선순위 또는 비중을 결정하여 복습학습 과정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 내용들을 마인드 맵 형식으로 정리할 수 있는 요약 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되어, (a) 사용자가 학습 내용을 필기할 수 있도록 2 이상의 필기 노트들을 레이어 형식으로 제공하는 학습 내용 필기 단계; (b) 사진 첨부 기능, 녹음 기능, 다이어그램 작성 기능, 표 작성 기능, 또는 그래프 작성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필기 노트에 기재된 상기 학습 내용들 중 핵심 내용들 또는 질문 사항들을 축약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내용 축약 단계; 및 (c) 상기 작성된 필기 노트와 상기 축약 및 정리된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저장된 학습 자료 노트와 상기 필기 노트들을 레이어 형식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필기 노트의 일부 영역을 가리는 방법에 의한 마스킹 학습,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인지 유형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구성하는 인지 유형 학습 또는 연관 학습 컨텐츠의 그룹화를 통한 암기에 해당하는 청크 학습 중 적어도 하나의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학습 내용 암기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각 학습 내용에 대한 학습 정도를 체크하여, 학습 정도에 따라, 우선순위 또는 비중을 결정하여 복습학습 과정을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 내용들을 마인드 맵 형식으로 정리할 수 있는 요약 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수개의 과목 또는 수개의 카테고리에 대한 학습 자료를 다운로드하고, 그에 대한 필기 내용과 함께 저장할 수 있어, 책과 노트를 직접 들고 다녀야만 하는 사용자의 수고를 덜 수 있고, 각 카테고리 별로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시기별로 기억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노트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학습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서 스마트노트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노트의 신규학습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필기 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자료 노트 및 필기 노트의 레이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학습 내용 필기에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노트의 다양한 기능들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학습 내용 축약 작성 과정을 나타낸 필기 노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습학습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서 스마트노트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습학습 과정에서, 마스킹 학습에 의한 학습 내용 암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습학습 과정 중 학습 유형 암기 단계에서, 인지 유형 학습을 위한 인지 유형 검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습학습 과정에서, 청크화 학습에 의한 학습 내용 암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내용 점검을 위한 플래시 카드 생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내용을 다지기 위한 요약 노트 작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의 "가맹점" 이란, 카드사의 회원인 상점이나 업체를 일컫는 말로 사용되며, 특정 카드사의 가맹점은 특정 카드사의 결제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가맹점은 상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노트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노트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100),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 및 웹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이 WWW(World Wide Web)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 및 웹 서버(300) 등의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 및 웹 서버(300) 등의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이 가능하고, 웹 접속이 가능한 모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가 제공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웹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요청할 수 있다.
웹 페이지의 요청은 웹 페이지의 주소 입력, 특정 웹 페이지에서 링크 선택,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검색 요청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스마트노트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 때,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제공할 수 있고, 스마트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스마트노트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등록된 스마트노트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메모리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스마트노트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노트는 신규학습 과정 및 복습학습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규학습 과정은 학습자, 즉, 사용자가 스마트노트에 기록 또는 저장하지 않은 새로운 학습 내용에 대하여, 학습을 시작하기 위한 과정에 해당하며, 복습학습 과정은 스마트노트에 기 저장되어 있는, 과거 학습했던 내용을 일정 시간 뒤에 복습 및 점검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이하, 도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노트 서비스 중 신규학습 과정의 스마트노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학습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스마트노트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신규학습 과정을 선택하게 되면, 학습의 카테고리(예를 들면, 과목명 등)를 작성한 후, 해당 카테고리 내 사용자가 학습한 내용들을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학습 자료가 따로 있는 경우, 학습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S201).
예를 들어, 학습 교재, 프리젠테이션 자료, 논문 또는 사진 등과 같은 PPT, PDF, HWP, 또는 JPG 등의 형식으로 제작된 학습 관련 전자 문서를 스마트노트 애플리케이션 또는 스마트노트 웹 서버 상에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학습 내용을 스마트노트 애플리케이션 또는 스마트노트 웹 서버의 필기 노트에 필기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키보드를 통해 스마트노트에 입력하거나,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스마트노트에 입력하는 직접적인 필기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운로드한 학습 자료의 일부분을 스크랩하여, 별개의 노트 페이지에 스크랩하는 방법 등의 간접적인 필기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내용의 필기는 사용자가 학습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한 경우, 상기 저장된 학습 자료 노트와 별개의 필기 노트에 필기할 수 있다.
상기 필기 노트는 필기된 학습 내용과 관련된 학습 자료 노트 위에 레이어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이어 기능에 의해, 학습 자료 노트와 필기 노트를 연계하여 함께 학습하기가 수월해질 뿐만 아니라, 학습 내용을 필기할 때에도, 학습 자료의 일부를 체크하거나 스크랩하는 등과 같은 필기 과정의 수행이 편의성 및 효율성 면에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노트는 수개의 노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개의 노트 또한, 학습 자료 노트 위에 레이어 형태로 겹겹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기 노트를 예습 노트, 본 학습 노트, 및 복습 노트로 나누어, 3개의 노트를 레이어 형태로 구성하고, 각 레이어의 색상을 달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가 구분하기 쉽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필기 노트 개수, 종류 및 레이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학습 내용 필기 이후, 사용자는 학습 자료 노트 및 필기 노트의 내용을 토대로 학습 내용을 축약하여 정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203).
학습 내용 축약 단계는 수업 내지는 학습이 끝난 이후에, 학습한 내용을 한 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정리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따라서, 학습 내용 축약 단계는 필기 노트 또는 학습 자료 노트의 중요한 키워드 및 핵심 내용을 추출하여 따로 정리해두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노트는 상기 축약 단계의 정리를 위한 도구로서, 다양한 텍스트 모양, 색상 및 기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 자료 저장 이후, 사용자가 학습 내용을 필기하고, 그것을 정리하여 축약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되면, 해당 과목 또는 수업에 대한 신규학습 스마트노트가 작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S204).
이하, 상술한 스마트노트의 신규학습 과정의 각 단계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노트의 신규학습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필기 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필기 노트는 학습 자료 노트 위에 레이어 될 수 있으며, 학습 내용 필기 및 축약을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필기 노트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타이틀 영역(301)의 경우, 과목, 강의 주제, 단원 또는 날짜 등을 적을 수 있고, 필기 영역(302)에는 학습 내용을 필기할 수 있다.
필기 영역(302)은 색, 기호, 도형, 사진 또는 녹음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핵심 내용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보충 설명들을 효율적으로 기재하도록 할 수 있다.
키워드 영역(303)은 학습 내용을 축약하여 작성하는 영역으로, 필기 영역(302)에 필기한 학습 내용들 중 핵심적인 키워드 또는 학습자가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간 부분, 즉, 질문 사항 등이 추출되어 상기 키워드 영역(303)에 작성될 수 있다.
요약 영역(304)은 필기 영역(302)에 작성된 학습 내용을 한 문장 내지는 두 문장 정도로 간결하게 요약하여 정리하는 영역으로, 후에 상기 요약 영역(304)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추후 복습학습 과정의 요약 노트를 작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자료 노트 및 필기 노트의 레이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노트는 사용자가 다운로드한 학습 자료 노트(401)와 필기 노트(402, 403, 404)를 도 4와 같은 레이어 형식으로 구성하여, 학습 자료와 연계된 학습 내용 필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필기 노트의 경우, 예습 노트(402), 본 학습 노트(403) 및 복습 노트(40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예습 노트(402), 본 학습 노트(403) 및 복습 노트(404)가 모두 학습 자료 노트(401) 위에 레이어 형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일거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레이어의 색상을 다르게 하여, 해당 노트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수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필기 노트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학습 내용 필기에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노트의 다양한 기능들이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단말기(100) 상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진, 다이어그램, 또는 녹음 등의 기능을 이용한 학습 필기가 가능하다.
사진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을 이용할 수도 있고, 인터넷 등을 통해 수집된 사진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그램의 경우, 학습 내용을 필기할 때, 흐름도, 주기도, 또는 관계도 등의 도식화 또는 통계화에 이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로 학습 내용을 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노트는 도 5의 사진, 다이어그램, 및 녹음 기능 이외의 표나 그래프 등의 기능 또한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들의 제공을 통해, 학습 내용 필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학습 내용 축약 작성 과정을 나타낸 필기 노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의 (a)를 참고하면, 필기 영역의 기재 내용 중 중요한 부분이나, 질문 사항 등 사용자가 눈에 띄게 표시해 두고 싶은 영역을 지정한다.
도 6의 (b) 및 (c)와 같이 지정된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색상 및 기호를 지정한 후, 키워드를 작성하면, 도 6의 (d)와 같이 Cue 영역, 즉, 키워드 영역에 선택된 색상과 기호, 그리고 키워드가 작성되고, 필기 영역 내 해당 부분은 상기 색상과 기호로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도7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노트 서비스 중 복습학습 과정의 스마트노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습학습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스마트노트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습학습은 신규학습 이후, 이루어지는 과정으로서 학습 경과일에 따라 상이한 복습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복습학습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복습하려는 학습 항목을 선택한다(S701). 상기 학습 항목은 신규학습 과정에서 기 저장된 스마트노트 중 하나에 해당한다.
선택된 학습 항목에 대한 현재 학습 경과일이 단기인 경우, 사용자는 학습 내용 암기에 해당하는 복습학습을 수행한다(S7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기 단계는 학습 내용의 일부를 가리는 방법에 의한 마스킹 학습, 이미지와 텍스트의 학습 컨텐츠 순서 조작에 의한 인지 유형 학습 및 연관 학습 컨텐츠의 그룹화를 통한 암기에 해당하는 청크 학습 등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선택된 학습 항목에 대한 현재 학습 경과일이 중기인 경우, 사용자는 학습 내용 점검에 해당하는 복습학습을 수행한다(S7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 단계는 플래시카드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기 노트에서 플래시카드 생성 대상 노트 목록들을 선택하여, 해당 목록들의 키워드 등에 의해 플래시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생성된 플래시카드 각각에 대해 자신의 학습 정도 또는 이해 정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분류된 플래시카드에서 사용자는 학습 정도가 낮은 플래시카드에 대해 우선적으로 복습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선택된 학습 항목의 학습 경과일이 장기인 경우, 사용자는 학습 내용 다지기를 수행한다(S7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지기 단계에서는 마인드 맵(Mind Map) 형색의 요약 노트를 작성할 수 있다. 요약 노트는 모든 필기 노트의 요약 영역을(도 3 참고) 바탕으로 작성될 수 있다.
요약 노트는 스마트노트의 카테고리, 즉, 해당 과목 또는 해당 단원 전체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으로서, 상위 개념으로부터 하위 개념까지 큰 흐름을 요약 및 정리하는 단계이다.
이하, 상술한 스마트노트의 복습학습 과정의 각 단계별로 제공되는 기능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습학습 과정에서, 마스킹 학습에 의한 학습 내용 암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마스킹 학습이란, 필기 노트의 학습 내용 중 중요한 부분으로서, 암기가 필요한 부분을 도 8의 (b)와 같이 가리고, 사용자가 키워드 영역의 키워드들만 보고 가려진 부분을 떠올릴 수 있도록 하는 암기 방법이다.
종래 수기로 작성하는 노트 필기의 방법에서도 손으로 노트의 일부분을 가리고 암기하는 상기 마스킹 방법이 다수 사용되었으나, 손으로 가려지기 전, 사용자에게 필기 내용이 보여질 수 밖에 없는 등 비효율적이고 번거로운 방법으로 수행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학습의 경우, 다수의 부분을 마스킹하는 것도 가능하며, 마스킹 기능뿐 아니라 정답을 확인하는 과정 또한 수월하고 철저하게 가려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습학습 과정 중 학습 유형 암기 단계에서, 인지 유형 학습을 위한 인지 유형 검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지 유형 학습이란, 학습 내용을 암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각 학습자 별로 암기에 유리한 인지 유형에 따라, 학습 컨텐츠의 순서를 조작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 A의 경우, 이미지에 대한 인지 능력 및 암기 능력이 텍스트에 대한 인지 능력 및 암기 능력보다 더 빠르고 오래 지속된다면, 학습자 A에게는 해당 학습 내용을 이미지화하여 이미지 위주로 먼저 제공하고, 후에 텍스트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학습자 B의 경우, 텍스트에 대한 인지 능력 및 암기 능력이 이미지보다 뛰어날 경우, 텍스트 위주의 학습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표나 그래프에 의한 통계적 정리에 대한 인지 능력 및 암기 능력이 뛰어난 학습자에게는 표나 그래프 위주로 정리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학습자, 즉 사용자 별로 적합한 인지 유형 학습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사용자의 인지 유형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와 같은 인지 유형 검사를 통해, 텍스트, 어휘, 지도, 그림 또는 그래프 등과 관련하여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인지 유형을 검출하여 해당 인지 유형에 맞는 암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습학습 과정에서, 청크 학습에 의한 학습 내용 암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크 학습이란 연관어를 이용한 암기 방법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성이 있는 2 이상의 학습 내용을 청크로 묶어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청크 학습은 연상 작용에 의한 기억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내용 점검을 위한 플래시 카드 생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는 (a)와 같이, 카테고리 및 스마트노트를 선택하고, (b)에 도시되어 있는 키워드들, 즉, 각 필기 노트의 키워드 영역에 기재되어 있는 키워드마다 플래시카드를 생성하여, (c)의 플래시카드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학습 정도 또는 암기 정도에 따라 생성된 플래시카드들에 대한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의 '×' 표시는 학습 정도가 미진하여 잘 모르는 경우에 해당하고, '△' 표시의 경우 어느 정도는 학습되었으나 완벽하지 않은 경우, '○' 표시는 잘 알고 있을 경우로 나누어, 각 플래시카드의 키워드가 나타내는 학습 내용들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 단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플래시카드에 학습 정도가 표시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학습 정도에 적합한 난이도 및 암기 강도를 조절하여 복습학습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정도가 부족한 플래시카드에 해당되는 내용 위주로 학습을 유도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내용을 다지기 위한 요약 노트 작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a)를 참고하면, 각 카테고리에 속해있는 수개의 필기 노트들의 요약 영역에 기재된 내용들이 나열되어 있는 리스트를 바탕으로 (b)의 마인드 맵 형식의 요약 노트를 작성할 수 있다.
마인드 맵은 핵심 단어를 중심으로 사고가 파생되고 확장되어 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일종의 생각의 지도로서, 알고 있는 것을 검토하고 고려할 수 있는 일종의 시각화된 브레인스토밍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인드 맵에 의한 요약 노트 기재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 내용 숙지를 강화시키고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고하여 마인드 맵의 작성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마인드 맵은 상위 개념에서 하위 개념으로 파생되는 형태로서, (b)의 경우, '조선'에 해당하는 가장 상위 개념(121)이 가운데 위치하며, 이는 가장 상위 폴더, 즉, 카테고리 또는 과목에 해당할 수 있다. '조선'에서 파생되는 하위 개념(122)들의 경우, 서브 카테고리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한 단원의 개념에 해당할 수 있다.
단원 개념의 서브 카테고리(122)들의 하위 개념(123)으로는 각각의 필기 노트에 대응할 수 있고, 마지막 최하위 개념(124)은 필기 노트 내의 내용에 해당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마인드 맵의 구성에 의해, 한 과목 또는 큰 카테고리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며 암기할 수 있다.
도 12는 마인드 맵 작성의 일 실시예일뿐, 마인드 맵의 상위 개념 및 하위 개념들 각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
300 : 웹 서버

Claims (12)

  1. 사용자 단말기가 스마트노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학습 내용을 필기할 수 있도록 2 이상의 필기 노트들을 레이어 형식으로 제공하는 학습 내용 필기 단계;
    (b) 사진 첨부 기능, 녹음 기능, 다이어그램 작성 기능, 표 작성 기능, 또는 그래프 작성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필기 노트에 기재된 상기 학습 내용들 중 핵심 내용들 또는 질문 사항들을 축약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내용 축약 단계; 및
    (c) 상기 작성된 필기 노트와 상기 축약 및 정리된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학습 자료 노트와 상기 필기 노트들을 레이어 형식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필기 노트의 일부 영역을 가리는 방법에 의한 마스킹 학습,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인지 유형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구성하는 인지 유형 학습 또는 연관 학습 컨텐츠의 그룹화를 통한 암기에 해당하는 청크 학습 중 적어도 하나의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학습 내용 암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각 학습 내용에 대한 학습 정도를 체크하여, 학습 정도에 따라, 우선순위 또는 비중을 결정하여 복습학습 과정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 내용들을 마인드 맵 형식으로 정리할 수 있는 요약 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7.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되어,
    (a) 사용자가 학습 내용을 필기할 수 있도록 2 이상의 필기 노트들을 레이어 형식으로 제공하는 학습 내용 필기 단계;
    (b) 사진 첨부 기능, 녹음 기능, 다이어그램 작성 기능, 표 작성 기능, 또는 그래프 작성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필기 노트에 기재된 상기 학습 내용들 중 핵심 내용들 또는 질문 사항들을 축약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내용 축약 단계; 및
    (c) 상기 작성된 필기 노트와 상기 축약 및 정리된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학습 자료 노트와 상기 필기 노트들을 레이어 형식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필기 노트의 일부 영역을 가리는 방법에 의한 마스킹 학습,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인지 유형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구성하는 인지 유형 학습 또는 연관 학습 컨텐츠의 그룹화를 통한 암기에 해당하는 청크 학습 중 적어도 하나의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학습 내용 암기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각 학습 내용에 대한 학습 정도를 체크하여, 학습 정도에 따라, 우선순위 또는 비중을 결정하여 복습학습 과정을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 내용들을 마인드 맵 형식으로 정리할 수 있는 요약 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63799A 2015-11-23 2015-11-23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59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799A KR20170059628A (ko) 2015-11-23 2015-11-23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799A KR20170059628A (ko) 2015-11-23 2015-11-23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628A true KR20170059628A (ko) 2017-05-31

Family

ID=5905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799A KR20170059628A (ko) 2015-11-23 2015-11-23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96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227B1 (ko) * 2022-05-30 2023-02-06 이승호 인공지능 및 온라인 융합을 통한 수학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7994B1 (ko) * 2022-10-20 2023-02-08 김군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21070B1 (ko) * 2023-08-03 2024-01-03 김미영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227B1 (ko) * 2022-05-30 2023-02-06 이승호 인공지능 및 온라인 융합을 통한 수학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234651A1 (ko) * 2022-05-30 2023-12-07 이승호 인공지능 및 온라인 융합을 통한 수학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7994B1 (ko) * 2022-10-20 2023-02-08 김군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21070B1 (ko) * 2023-08-03 2024-01-03 김미영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eo ‘Nothing is the same as something else’: significant properties and notions of identity and originality
US2015032445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build a common classification system across multiple content entities
US10409854B2 (en) Image selection based on text topic and image explanatory value
US20140162243A1 (en) Method for Creating and Displaying Content
Kane Computers for composing
Bold et al. Marginalia in the digital age: Are digital reading devices meeting the needs of today's readers?
Dougherty et al. Hands-on data visualization
Gavin How to Think about EEBO
Hillesund Reading Books in the Digital Age subsequent to Amazon, Google and the long tail
KR20170059628A (ko)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30227682A1 (en) Apparatus for E-Learning and method therefor
Carneiro et 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visual content analysis in the study of websites
CN104063367A (zh) 注释检索装置、方法及程序
CN110968757B (zh) 政策文件处理方法及装置
KR101995315B1 (ko) 검색을 통한 폰트 제시 시스템 및 방법
Brookbank et al. MLA guide to undergraduate research in literature
US11907643B2 (en) Dynamic persona-based document navigation
Rodrigues et al. NetLangEd, a web editor to support online comment annotation
Lambert et al. MOS 2016 Study Guide for Microsoft Word
Lambert Microsoft Word Step by Step (Office 2021 and Microsoft 365)
Nazemi Non-visual representation of complex documents for use in digital talking books
Rodrigues NetLangEd, an editor to support Comment Analysis
Haddad Educational Effects of Class Size. World Bank Staff Working Paper No. 280.
Divya Students’ Preference of Reading Print and Digital Resources: A Study in Universities in Kerala, India
Kanika et al. AENTO: A Note-Taking Application for Comprehensive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