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315B1 - 검색을 통한 폰트 제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을 통한 폰트 제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315B1
KR101995315B1 KR1020170095889A KR20170095889A KR101995315B1 KR 101995315 B1 KR101995315 B1 KR 101995315B1 KR 1020170095889 A KR1020170095889 A KR 1020170095889A KR 20170095889 A KR20170095889 A KR 20170095889A KR 101995315 B1 KR101995315 B1 KR 101995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interface
information
user
fo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195A (ko
Inventor
임순범
김현영
도상미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3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1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자료에 적합한 폰트를 제시하기 위한 폰트 제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폰트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로서,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자료의 사용 목적을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감성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기하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 폰트 타입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리 스타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폰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폰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시스템의 폰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정보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폰트를 검색하는 폰트 검색부와; 폰트의 종류와 속성이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모양 데이터베이스와, 문서의 종류와 그 문서에 사용된 폰트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폰트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시스템과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 상의 다른 서버의 웹문서를 검색 및 수집하고, 그 문서의 폰트를 분석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검색 엔진으로서, 상기 검색 엔진은 상기 수집된 웹문서의 용도(종류)를 규정하고, 그 웹문서 및 상기 웹문서의 특정 텍스트에 사용된 폰트를 분석함과 아울러, 상기 웹문서에 해당 폰트가 사용된 빈도를 계산하여 상기 웹문서에 연관시켜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인, 상기 검색 엔진과; 상기 폰트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폰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폰트 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검색을 통한 폰트 제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FONTS THROUGH RETRIEVAL}
본 발명은 폰트 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료, 특히 PPT와 같은 발표 자료 작성시 그 발표 자료의 의도에 맞게 사용자가 적절한 폰트를 사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폰트 제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 많은 자료, 예컨대 논문, PPT 자료, 일반 발표 자료 등을 작성하여 공개, 배포, 발표 등을 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는 각 발표 자료에 맞게 폰트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중요한 자리에서 발표할 PPT 자료에 지인들끼리 흔히 사용하는 가벼운 폰트를 사용하여 발표 자료를 구성한다면, 그 자료의 중요성이 많이 줄어들 수 있다.
즉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자료들은 모두 폰트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폰트를 통해 사람들에게 주는 시각적 영향을 무시할 수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적절한 폰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정확히 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 포스터를 제작할 때, PPT를 제작할 때, 로고를 만들 때 등의 상황에서 상황에 맞는 적절한 폰트를 찾기 어렵다. 특히, 요즈음 대학생들의 경우, PPT 자료를 통해 많은 자료를 작성하여 발표하는 경우가 많다. MS의 파워포인트와 같은 프로그램에 능숙한 사용자라면, 각 발표의 성격에 맞게 적절한 폰트를 사용하여 PPT 자료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PPT 자료의 경우, 목차, 제목, 부제목, 메인 부분(예컨대, 각 장의 제목), 내용 부분 등 여러 부분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각 부분에 내용에 맞는 적절한 폰트를 선택하는 것은 전문적인 디자인 감각을 갖고 있는 사용자가 아니라면, 원활하게 수행하기가 쉽지 않다.
기존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폰트를 선택할 수는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 한 가지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폰트 선택에 있어서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수 많은 폰트들이 무엇인지 하나하나 확인해야 하며, 폰트 크기를 선택함에 있어서 생소한 단위로 인해 직관적이지 못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고 할 수 있어, 많은 불편함이 초래된다. 폰트를 선택하기 위해서, 폰트 콤보 박스만을 이용하여 수 십개 내지 수 백개에 달하는 폰트 중 하나를 선택하고, 미리 보기에 나타나는 결과를 가지고 확정하거나 다시 수정을 반복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수 많은 폰트를 선택하여 일일이 미리보기 등을 통해 이용하는 것은 참으로 번거로운 일이며, 또 각 자료에 맞게 폰트를 적절히 선택했는지를 자신할 수 없는 등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수기로 입력하는 스트로크를 통하여 원하는 폰트를 설정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하지만, 이 역시 사용자의 스킬이나 감각에 의존해야 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고, 또 자료의 성격에 맞게 적절한 폰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폰트 선택 방법에 따르면, 전적으로 사용자의 감각이나 스킬 등에 의존하고 있으며, 폰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는 특정 자료에 적절한 폰트를 사용하여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한 가지 목적은 사용자가 각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제작할 때 그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폰트를 일일이 확인하여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자료의 성격에 맞는 폰트를 자동적으로 제시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폰트 제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자료의 성격이나 사용에 연관하여 그 자료에 맞는 폰트를 적절히 제공할 수 있는 폰트 제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여러 프로그램에 내장되어, 외부의 서버와 접속하지 않고도 적절한 폰트 목록을 받아 자료에 반영할 수 있는 폰트 제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자료에 적합한 폰트를 제시하기 위한 폰트 제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폰트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로서,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자료의 사용 목적을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감성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기하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 폰트 타입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리 스타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폰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폰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시스템의 폰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정보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폰트를 검색하는 폰트 검색부와; 폰트의 종류와 속성이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모양 데이터베이스와, 문서의 종류와 그 문서에 사용된 폰트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폰트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시스템과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 상의 다른 서버의 웹문서를 검색 및 수집하고, 그 문서의 폰트를 분석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검색 엔진으로서, 상기 검색 엔진은 상기 수집된 웹문서의 용도(종류)를 규정하고, 그 웹문서 및 상기 웹문서의 특정 텍스트에 사용된 폰트를 분석함과 아울러, 상기 웹문서에 해당 폰트가 사용된 빈도를 계산하여 상기 웹문서에 연관시켜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인, 상기 검색 엔진과; 상기 폰트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폰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폰트 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 상기 감성 인터페이스 및 상기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각 정보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중치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가중치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는 상기 폰트를 사용할 자료로서, 종이 자료, 웹/모바일 자료, 전자 문서 자료 및 디자인 자료와 각 자료의 세부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감성 인터페이스는 상기 폰트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 감성인지, 활동적인지 차분한 감성인지, 강한 또는 부드러운 감성인지, 조직적인 또는 자유로운 감성인지의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는 프린팅 폰트, 스크립트 폰트, 인스크립트 폰트 및 장식 폰트의 각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의 각 세부 항목은 클릭 동작을 통해 선택할 수 있고, 상기 감성 및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는 스크롤 동작을 통해 그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폰트 제시부는 상기 폰트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폰트를 포함하는 예시 문장을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나란히 표시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색 엔진은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상기 시스템과 접속된 다른 서버의 웹문서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폰트 용도 DB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자료에 적합한 폰트를 제시하기 위한 서버을 통한 폰트 제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폰트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자료의 사용 목적을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감성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기하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 폰트 타입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리 스타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와;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 상기 감성 인터페이스 및 상기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각 정보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중치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폰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가중치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중치가 입력되면, 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폰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버의 폰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정보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폰트를 검색하는 폰트 검색 단계로서, 상기 폰트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폰트의 종류와 속성이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모양 데이터베이스와, 문서의 종류와 그 문서에 사용된 폰트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폰트 검색 단계와; 상기 폰트 단계를 통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폰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폰트 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 상의 다른 서버의 웹문서를 검색 및 수집하고, 그 문서의 폰트를 분석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로서, 이 단계에서 상기 수집된 웹문서의 용도(종류)를 규정하고, 그 웹문서 및 상기 웹문서의 특정 텍스트에 사용된 폰트를 분석함과 아울러, 상기 웹문서에 해당 폰트가 사용된 빈도를 계산하여 상기 웹문서에 연관시켜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인, 상기 업데이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는 상기 폰트를 사용할 자료로서, 종이 자료, 웹/모바일 자료, 전자 문서 자료 및 디자인 자료와 각 자료의 세부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감성 인터페이스는 상기 폰트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 감성인지, 활동적인지 차분한 감성인지, 강한 또는 부드러운 감성인지, 조직적인 또는 자유로운 감성인지의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는 프린팅 폰트, 스크립트 폰트, 인스크립트 폰트 및 장식 폰트의 각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의 각 세부 항목은 클릭 동작을 통해 선택할 수 있고, 상기 감성 및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는 스크롤 동작을 통해 그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폰트 제시 단계에서, 상기 폰트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폰트를 포함하는 예시 문장을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나란히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자료에 적합한 폰트를 제시하기 위한 폰트 제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폰트 제시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폰트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자료의 사용 목적을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감성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기하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 폰트 타입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리 스타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와;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 상기 감성 인터페이스 및 상기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각 정보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중치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폰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가중치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중치가 입력되면, 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폰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로서, 상기 폰트 데이터베이스는 폰트의 종류와 속성이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모양 데이터베이스와, 문서의 종류와 그 문서에 사용된 폰트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폰트 검색 단계와; 상기 폰트 단계를 통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폰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폰트 제시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폰트 제시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호출 창이 선택되면 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폰트 제시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 상의 다른 서버의 웹문서를 검색 및 수집하고, 그 문서의 폰트를 분석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이 단계에서 상기 수집된 웹문서의 용도(종류)를 규정하고, 그 웹문서 및 상기 웹문서의 특정 텍스트에 사용된 폰트를 분석함과 아울러, 상기 웹문서에 해당 폰트가 사용된 빈도를 계산하여 상기 웹문서에 연관시켜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폰트 제시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 상의 서버를 통해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넷 상의 서버는 그 서버와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 상의 다른 서버의 웹문서를 검색 및 수집하고, 그 문서의 폰트를 분석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며, 이 단계에서 상기 수집된 웹문서의 용도(종류)를 규정하고, 그 웹문서 및 상기 웹문서의 특정 텍스트에 사용된 폰트를 분석함과 아울러, 상기 웹문서에 해당 폰트가 사용된 빈도를 계산하여 상기 웹문서에 연관시켜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폰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만 하면, 그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이 원하는 폰트에 대한 정보를 받을 수 있어, 이를 작성하고자 하는 자료에 반영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폰트 제시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PANOSE 분류 번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기하 형태의 각 속성에 있어서의 대표적 폰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 목적의 각 속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감성 속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한글과 영문의 예시 어휘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폰트 제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폰트 제시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당업계에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컨대,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서버(예컨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그 서버를 통해 각종 작업(예컨대, 문서 작성 작업, PPT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과정 자체는 이미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이러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당업자라면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배경 내지 기본적 아이디어를 설명한다.
책, 서류, 웹 페이지 및 e-북의 최초 인상은 주로 커버의 콘텐츠로부터 온다고 할 수 있다. 폰트는, 저자 및 디자이너가 가장 좋은 인상을 만들어내기 위해 고려하는 주요 콘텐츠 중 하나이다. 그러나, 폰트 제시 시스템은 흔치 않고, 이러한 시스템은 폰트 관리의 개념을 채용하고 있어,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폰트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나 디자인적 감각을 갖고 있어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한글 폰트 제시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출판 소프트웨어는, 폰트 교체나 제시가 필요할 때 디폴트 폰트를 활용한다. 즉 사용자 스스로 특정 목적의 자료에 맞게 폰트를 선택하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
텍스트에 이용하기 위한 적절한 활자체를 선택하는 것은 디자인 프로젝트의 주요 양태이다. 최상의 시작은 저자의 의도, 클라이언트의 요구, 대중의 요구를 확인하는 것이다. 수 분이 걸리든 수 일이 걸리든 적절한 폰트 옵션을 탐색하는 시간을 갖는 것은 현명한 투자라 할 수 있다. 이는 효과적인 디자인 해결책을 찾고 또 시간을 절약하는 방법이 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사실상 실행하기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보통, 디자이너들은 경험이나 감각에 따라 폰트를 선택한다. 이들은 폰트에 대한 일반적인 관념을 따른다. 예컨대, 매우 어린 독자를 대상으로 한 아이들의 책은 단순한 글자 형태의 폰트를 필요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높은 수준의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선명하고 모던하고 또 엣지 있게 보이는 폰트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개인의 경험이나 상식에는 독립적인 자동 폰트 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폰트의 분류가 요구된다는 것은 명확하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일부 분류 규칙을 정의하고 사용 목적, 감성 및 기하 형태의 3가지 속성을 제안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폰트를 제시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ISO/IEC 9541-1 정보 기술에 따르면, 대부분의 로마자 및 라틴어는 7개의 그룹, 즉 uncials, inscriptionals, blackletters, those with serifs, those without serifs, scripts 및 decorative syles 중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라틴어 분류 체계는 폰트를 식별, 선택 및 조합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7개의 카테고리는 폰트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에게는 부적절하지만, 한글 폰트의 분류 체계에 좋은 기준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 체계는 분류자의 주관적 결정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객관적 결정을 위해 기하 형태 특징을 갖는 것으로 확장하고, 이를 모양, 사용 목적 및 감성으로 추가 확장한다. 이를 본 명세서에서는 기하 형태, 사용 목적 및 감성으로 지칭한다.
<기하 형태>
기하 형태 성질을 규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로마자 폰트 시스템인 'PANOSE' 폰트 분류 및 매칭 시스템'을 연구하였는데, 이 시스템은 serif 스타일, 컨트라스트 등과 같은 시각적 특성에 기초하여 칸테고리 숫자 집합을 할당한다(도 2 참조).
파노스 분류 숫자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는 일련의 측정으로 시작한다. 총 측정 숫자가 텍스트 폰트에 대하여 65개에 접근하는 동안에, 측정치를 이용하여 36개의 비율이 계산된다. 파노스의 분류 카테고리는 이들 상호간의 비율에 기초한다. 이 때문에, 파노스 특정치는, 측정 시스템이 분류 프로세스 동안 변하지 않는 한, 임의의 사이즈의 샘플 형태로 취할 수 있다.
적절한 측정을 위한 규칙은 폰트를 분류하는 데 최소한으로 인간이 간섭하도록 규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파노스 분류 숫자 할당의 자동화를 위해, 허락된 툴이 없다. 따라서, 일관되고 정확하게 파노스 분류 숫자들을 수작업을 생성하는 것은 폰트 디자이너들에게 여전히 어려운 작업이다.
본 발명에서는 한글 폰트 기하 형태에 기초하여 한글 분류 체계를 구축하는데, 그 일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기하 형태에서 각 속성에 대한 대표적인 폰트를 보여주며, 후술하는 폰트 모양 DB에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가 폰트 제시를 요청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이 기하 형태 속성의 정도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체계는 모음 및 자음 형태 특성에 적용되는 한글 폰트 속성을 정의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4개의 기하 형태 스타일 속성을 선택하여 적용한다(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printing 스트일은 serif 및 san-serif와 같은 2개의 설정값을 가고 있으며, script 스타일은 brush script, pen script 및 other scrips와 같은 3개의 설정값을, inscriptional 스타일은 woodcarving, engraving과 같은 2개의 설정값을, decorative 스타일은 graphic font, pattern font, other decorative font와 같은 3개의 설정값을 갖는다.
<사용 목적>
전통적인 출판 및 공표의 영역의 영역은 web, 모바일, 웨어러블과 같은 다른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발표 자료가 도 4에 도시된 영역 중 하나인 것으로 가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그 발표자료 사용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하 형태처럼,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사용 목적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감성>
본 발명에서는 폰트 제시시 감성적인 면을 고려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서, 감성 및 관련 상태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감성 어휘들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료 작성시 감성적인 면을 고려하여 폰트 제시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감성을 크게 4개의 그룹, 즉 긍정적(pleasure), 활동적(arousal), 강한(dominance), 조직적(organized)으로 구분하고, 사용자가 이러한 감성에 맞춰 그 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세부적인 속성을 도 5에 나타낸다. 이러한 감성 속성 역시, 상기 기하 형태 및 사용 목적과 마찬가지로,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사용 목적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사용자가 소정의 발표 자료를 작성할 때, 어떠한 폰트를 사용해야 할지 쉽게 선택할 수 없는 경우, 그러한 폰트를 제시하고자 할 때,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속성, 즉, 기하 형태, 사용 사용 및 감성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복수의 폰트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크게 두 가지 양태로 구현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 하나는 예컨대, 파워 포인트 작성 프로그램에 외부의 폰트 제시 시스템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폰트 제시창이 내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자동으로 외부 폰트 제시 시스템에 접속되어 그 시스템 상에서 사용자가 폰트 제시를 받기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며, 시스템이 검색 후 폰트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 다른 하나는 예컨대, 워드 프로세서에 내장된 수식 편집기나 사전 등과 같이 외부 서버에의 접속 없이도(단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된다) 해당 프로그램 내에서 폰트 제시를 받아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현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두 가지 양태가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폰트를 제시받고 클라우드 서버 상에서 발표 자료 작성과 관련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외부 폰트 제시 시스템(예컨대, 클라우드 서버)을 통해 폰트 제시를 받아 자료를 작성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100)(예컨대, 노트북, 태블릿 PC, 데스크탑 등)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폰트 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00)에 접속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에서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자료 작성 전에, 상기 프로그램에 제공된 폰트 제시 창을 클릭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제시 창을 클릭하면, 이 정보가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200)로 전송되어, 서버(200)의 명령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다.
상기 정보가 수신되면, 서버의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220)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은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이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한 본 발명의 3가지의 속성, 즉 사용 목적, 감성, 기하 형태의 속성을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먼저 자신이 작성하려는 자료의 언어를 선택하고(도시 생략) 사용 목적을 검토한다. 즉 페이퍼 발표 자료의 형태인지, 웹/모바일 공표 형태인지, 잔자 문서 형태인지, 디자인 자료인지를 선택하고, 그 각각의 형태의 세부 사용에 맞는 목적을 선택한다(예컨대, 전자 문서의 PDF를 선택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그 자료가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면 좋은지, 즉 감성 속성을 선택한다. 예컨대, 폰트가 긍정적인지, 활동적인지, 강한 이미지인지, 조직적인 폰트인지를 선택하고 추가로 각 감성 속성의 정도를 선택한다. 이러한 감성 속성의 정도는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예컨대, 긍정 5, 활동 3을 선택하고 강한 이미지와 조직적 이미지는 디폴트 값, 즉 중간값을 선택한다)(도면 참조). 이어서, 사용자는 폰트의 기하 형태를 선택한다. 즉 폰트를 printing 스타일로 할지, script 스타일로 할지, inscriptional 스타일로 할지, decorative 스타일로 할지를 결정하고, 각 결정한 스타일의 세부 속성의 설정값을 선택한다. 감성 속성과 마찬가지로, 기하 형태 역시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좌우로 이동시켜, 그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예컨대, 프린팅 스타일의 serif 중간을 선택한다).
한편,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폰트를 자유롭게 입력할 있도록 해주는 프리 스타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3가지의 기본 속성에 구속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임의의 폰트 타입을 프리 스타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서버(200)는 가중치 설정부(230)도 포함한다. 즉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는 가중치 설정부(230)를 통해 제공되는 가중치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3가지의 속성 카테고리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의 경우, 가중치는 0부터 5까지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비중으로 가정하며, 특정 카테고리(예컨대, 감성)에 가중치를 설정하면, 감성 속성에 대해 높은 비중을 부여하여, 폰트 제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폰트를 제시하는 알고리듬의 일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7072894103-pat00001
폰트 제시시, 지수를 고려한다. 폰트 제시 지수는 사용자가 선택한 속성들을 고려한다. 각 속성의 최대치는 예컨대, 5로 설정되고, 따라서 각 폰트의 설정별 오차(5-폰트가 가진 값)의 제곱의 합을 구한다. 사용자가 각 속성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한 경우, 가중치를 곱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속성에 대해 폰트가 갖는 값과의 오차를 가지고 계산하였으므로, 이 폰트 제시 지수가 낮을수록 오차가 작음을 의미하고,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폰트에 근접함을 의미한다. 한편, 이러한 폰트 제시 알고리듬의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3가지의 속성(및 가중치)의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폰트 검색부(240)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폰트를 검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폰트 검색부(240)는 일차적으로 사용자 컴퓨터(100) 내의 폰트를 검색하고, 최적화된 폰트가 있다면, 그 폰트를 검색 결과로서 찾아냄과 아울러, 서버의 폰트 DB(270a, 270b)를 검색하여 폰트를 찾아낸다. 즉 서버에는 폰트 모양 DB(270a)와 폰트 용도 DB(270b)가 구비되어 있는데, 폰트 모양 DB(270a)에는 폰트의 종류 및 속성이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다(예컨대, 각 폰트의 굵기, serif 유무 등). 폰트 용도 DB(270b)는 각 자료 및 그 자료의 폰트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즉 서버의 문서 검색/수집 및 폰트 분석부(250)는 일종의 검색 엔진으로서, 서버(200)와 접속되어 있는 타서버의 문서자료를 검색 및 수집하고, 그 문서의 폰트를 분석하여 폰트 사용 DB(270b)에 저장한다. 예컨대, 문서 검색/수집 및 폰트 분석부(250)는 검색하여 수집한 웹문서의 용도를 규정하고(에컨대, 상기 사용 목적 카테고리), 그 문서 중 특정 텍스트가 어떤 폰트로 작성되어 있는지(예컨대, 상기 감성 및 기하형태 카테고리), 추가로 문서 중 해당 폰트가 어떠한 빈도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계산하여, 수집 문서에 대응하여 폰트 사용 DB(270b)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폰트 용도 db는 고정된 값이 아니라, 문서 검색/수집 및 폰트 분석부(250)에 의해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계속 업데이트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폰트를 제시할 때 그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컴퓨터나 서버에 저장된 수많은 폰트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가 검색하여 찾아낼 수 있는 인터넷 상의 문서, 예컨대 웹 문서도 대상으로 한다. 즉, 문서 검색/수집 및 폰트 분석부(250)는 이러한 웹문서를 검색하여 수집하고 문서 용도별로 저장함과 아울러, 문서의 특정 문단 등 텍스트를 분석하여, 텍스트별로 어떠한 폰트로 작성되었는지를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공문서라면, 그 공문서를 예컨대 단락별로 구분하고 각 단락이 어떠한 폰트로 작성되었는지, 또 특정의 ppt 자료라면 그 자료가 제목, 소제목 등에 있어서 어떠한 폰트로 작성되었는지를 분석하여, 상기 용도별로 분류되어 저장된 문서와 연관시켜 저장한다. 또한, 문서별로 어떠한 폰트가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지도 함께 분석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된 폰트를 대상으로 검색하여 폰트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폰트는 물론이고,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웹문서를 수집 및 분석하여, 문서별로 폰트의 활용 양태를 함께 분석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폰트 검색시 보다 능등적으로 또 더욱 신뢰성 있게 폰트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문서 검색/수집 및 폰트 분석부(250)의 기능/구성은 본 발명의 중요한 한 가지 특징을 구성한다.
폰트 검색부(240)는 사용자 컴퓨터 및 폰트 용도 DB(270b)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가장 가까운 폰트를 하나 이상 검색한다. 이때 사용되는 알고리듬의 일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검색 알고리듬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폰트가 검색되면, 폰트 제시부(260)는 검색된 그 폰트들을 사용자 컴퓨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시예에서, 그 검색된 폰트는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나란히 표시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폰트와 보다 매칭되는 폰트를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때 폰트 자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폰트로 작성된 임의의 예시 문장 형태로 검색된 폰트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일실시예에서 10개의 예시 문장이 표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해서 자료를 작성하는 경우,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폰트를 제시받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사용자는 직접 서버(200), 즉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 후, 클라우드 서버 상에서 자료를 작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폰트를 제시하는 일련의 과정은 소정의 프로그램 자체에 내장될 수도 있다(예컨대, 수식 편집기나 사전 프로그램이 워드 프로세서 프로그램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PP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PT 자료 작성시, 먼저 그 프로그램에 설치된 폰트 제시 실행기(창의 형태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를 실행하여, 상기 일련의 과정을 통해 폰트를 제시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문서 검색/수집 및 폰트 분석부(250)는 PPT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동작을 실행하여, 폰트 사용 DB를 업데이트 할 수 있고, 또는 PPT 프로그램의 업데이트시 폰트 사용 DB도 함께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고,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200: 서버
210: 명령 수신부
220: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
230: 가중치 설정부
240: 폰트 검색부
250: 문서 검색/수집 및 폰트 분석부
260: 폰트 제시부
270a: 폰트 모양 DB
270b: 폰트 용도 DB

Claims (12)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자료에 적합한 폰트를 제시하기 위한 폰트 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폰트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로서,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자료의 사용 목적을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감성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기하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 폰트 타입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리 스타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폰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폰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시스템의 폰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정보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폰트를 검색하는 폰트 검색부와;
    폰트의 종류와 속성이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모양 데이터베이스와, 문서의 종류와 그 문서에 사용된 폰트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폰트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시스템과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 상의 다른 서버의 웹문서를 검색 및 수집하고, 그 문서의 폰트를 분석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검색 엔진으로서, 상기 검색 엔진은 상기 수집된 웹문서의 용도(종류)를 규정하고, 그 웹문서 및 상기 웹문서의 특정 텍스트에 사용된 폰트를 분석함과 아울러, 상기 웹문서에 해당 폰트가 사용된 빈도를 계산하여 상기 웹문서에 연관시켜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인, 상기 검색 엔진과;
    상기 폰트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폰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폰트 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폰트 정보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 상기 감성 인터페이스 및 상기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각 정보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중치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가중치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는 상기 폰트를 사용할 자료로서, 종이 자료, 웹/모바일 자료, 전자 문서 자료 및 디자인 자료와 각 자료의 세부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감성 인터페이스는 상기 폰트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 감성인지, 활동적인지 차분한 감성인지, 강한 또는 부드러운 감성인지, 조직적인 또는 자유로운 감성인지의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는 프린팅 폰트, 스크립트 폰트, 인스크립트 폰트 및 장식 폰트의 각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의 각 세부 항목은 클릭 동작을 통해 선택할 수 있고, 상기 감성 및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는 스크롤 동작을 통해 그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시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제시부는 상기 폰트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폰트를 포함하는 예시 문장을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나란히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시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엔진은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상기 시스템과 접속된 다른 서버의 웹문서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폰트 용도 DB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시 시스템.
  6.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자료에 적합한 폰트를 제시하기 위한 서버를 통한 폰트 제시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폰트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자료의 사용 목적을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감성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기하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 폰트 타입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리 스타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와;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 상기 감성 인터페이스 및 상기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각 정보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중치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폰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가중치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중치가 입력되면, 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폰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버의 폰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정보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폰트를 검색하는 폰트 검색 단계로서, 상기 폰트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폰트의 종류와 속성이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모양 데이터베이스와, 문서의 종류와 그 문서에 사용된 폰트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폰트 검색 단계와;
    상기 폰트 검색 단계를 통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폰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폰트 제시 단계와,
    상기 서버와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 상의 다른 서버의 웹문서를 검색 및 수집하고, 그 문서의 폰트를 분석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로서, 이 단계에서 상기 수집된 웹문서의 용도(종류)를 규정하고, 그 웹문서 및 상기 웹문서의 특정 텍스트에 사용된 폰트를 분석함과 아울러, 상기 웹문서에 해당 폰트가 사용된 빈도를 계산하여 상기 웹문서에 연관시켜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인, 상기 업데이트 단계
    를 포함하는 폰트 제시 방법.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는 상기 폰트를 사용할 자료로서, 종이 자료, 웹/모바일 자료, 전자 문서 자료 및 디자인 자료와 각 자료의 세부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감성 인터페이스는 상기 폰트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 감성인지, 활동적인지 차분한 감성인지, 강한 또는 부드러운 감성인지, 조직적인 또는 자유로운 감성인지의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는 프린팅 폰트, 스크립트 폰트, 인스크립트 폰트 및 장식 폰트의 각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의 각 세부 항목은 클릭 동작을 통해 선택할 수 있고, 상기 감성 및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는 스크롤 동작을 통해 그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시 방법.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폰트 제시 단계에서, 상기 폰트 검색 단계를 통해 검색된 폰트를 포함하는 예시 문장을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나란히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시 방법.
  10.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자료에 적합한 폰트를 제시하기 위한 폰트 제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폰트 제시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폰트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자료의 사용 목적을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감성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인터페이스와, 상기 자료에 적용될 폰트의 기하 형태를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 폰트 타입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리 스타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와;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사용 목적 인터페이스, 상기 감성 인터페이스 및 상기 기하 형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각 정보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중치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폰트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폰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가중치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중치가 입력되면, 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폰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로서, 상기 폰트 데이터베이스는 폰트의 종류와 속성이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모양 데이터베이스와, 문서의 종류와 그 문서에 사용된 폰트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폰트 데이터베이스 검색 단계와;
    상기 폰트 데이터베이스 검색 단계를 통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폰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폰트 제시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 상의 다른 서버의 웹문서를 검색 및 수집하고, 그 문서의 폰트를 분석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단계로서, 이 업데이트 단계에서 상기 수집된 웹문서의 용도(종류)를 규정하고, 그 웹문서 및 상기 웹문서의 특정 텍스트에 사용된 폰트를 분석함과 아울러, 상기 웹문서에 해당 폰트가 사용된 빈도를 계산하여 상기 웹문서에 연관시켜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인, 상기 업데이트 단계
    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폰트 제시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호출 창이 선택되면 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폰트 제시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 상의 서버를 통해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넷 상의 서버는 그 서버와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 상의 다른 서버의 웹문서를 검색 및 수집하고, 그 문서의 폰트를 분석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며, 이 단계에서 상기 수집된 웹문서의 용도(종류)를 규정하고, 그 웹문서 및 상기 웹문서의 특정 텍스트에 사용된 폰트를 분석함과 아울러, 상기 웹문서에 해당 폰트가 사용된 빈도를 계산하여 상기 웹문서에 연관시켜 상기 폰트 용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70095889A 2017-07-28 2017-07-28 검색을 통한 폰트 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995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889A KR101995315B1 (ko) 2017-07-28 2017-07-28 검색을 통한 폰트 제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889A KR101995315B1 (ko) 2017-07-28 2017-07-28 검색을 통한 폰트 제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195A KR20190014195A (ko) 2019-02-12
KR101995315B1 true KR101995315B1 (ko) 2019-09-25

Family

ID=6536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889A KR101995315B1 (ko) 2017-07-28 2017-07-28 검색을 통한 폰트 제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913B1 (ko) * 2023-03-22 2023-10-23 류용주 사용자 맞춤형의 글자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연희 외, ‘Find Your Font: 사용자 맞춤형 폰트 추천 프로그램’, 한국정보과학회 2016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2016.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195A (ko)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15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visual learning environment for creation, presentation, sharing, organizing and analysis of knowledge on subject matter
US10896214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document processing
US9418654B1 (en) Presentation of written works based on character identities and attributes
AU2018205185B2 (en) Scalable font pairing with asymmetric metric learning
US201803660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visual learning environment for creation, presentation, sharing, organizing and analysis of knowledge on subject matter
US11907669B2 (en) Creation of component templates based on semantically similar content
US9483460B2 (en) Automated formation of specialized dictionaries
JP2022003512A (ja) 品質評価モデルを構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電子機器、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445408B2 (en) Automatically identifying complementary digital fonts based on digital text in electronic documents
US20220188514A1 (en) System for analyzing and prescribing content changes to achieve target readability level
CN109783796A (zh) 预测文本内容中的样式破坏
US11182540B2 (en) Passively suggesting text in an electronic document
JP2005292958A (ja) 教師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言語解析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要約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95315B1 (ko) 검색을 통한 폰트 제시 시스템 및 방법
JP4831737B2 (ja) キーワード強調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612291B2 (ja) 類似文書検索装置、類似文書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09537B1 (ko) 소셜 데이터 분류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86452A1 (en) Tracking concepts within content in content management systems and adaptive learning systems
US11907643B2 (en) Dynamic persona-based document navigation
Trips et al. From original sources to linguistic analysis: Tools and datasets for the investigation of multilingualism in medieval english
KR20240021387A (ko) 구인구직 매칭 방법 및 시스템
CN116362241A (zh) 一种基于界面设计的用户评论分析方法、装置
JP2019008572A (ja) 類似文書検索装置、類似性計算装置、これら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Říha Tvorba elektronických šablon pro UTB ve Zlín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