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994B1 -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994B1
KR102497994B1 KR1020220135906A KR20220135906A KR102497994B1 KR 102497994 B1 KR102497994 B1 KR 102497994B1 KR 1020220135906 A KR1020220135906 A KR 1020220135906A KR 20220135906 A KR20220135906 A KR 20220135906A KR 102497994 B1 KR102497994 B1 KR 102497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block
abbreviation
content
learn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군
Original Assignee
김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군 filed Critical 김군
Priority to KR1020220135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학습단말기에 학습 컨텐츠를 출력하여 학습 과정을 진행한 후, 학습단말기 또는 전자식 가림판을 이용하여 본문 블록, 요약 블록 및 축약 블록이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학습 컨텐츠의 특정 블록을 숨김 처리하여 암기하는 암기 과정을 수행하며, 암기 과정 수행시에 숨김 처리된 특정 블록에 대한 화자의 음성으로부터 암기 여부를 판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 요약 블록 및 축약 블록 중에서 숨김 처리를 통해 선택적으로 가려지는 블록에 대한 내용을 입으로 말하며 연상시키는 연습을 반복함으로써 암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Learning device for implementing teachdent study methodolog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학습 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블록을 숨김 처리하여 암기 학습을 수행하는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암기를 잘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백지에 빼곡하게 필기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해당 방법은 필기가 무의식으로 반복됨에 따라 암기 효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학습자의 의식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연상법이 그 중 하나이다. 연상법은 학습자의 경험을 학습 컨텐츠와 연관시켜 학습하는 방법이다. 즉, 학습 컨텐츠를 기억할 때 에피소드를 만들면 우뇌와 상호 작용하여 보다 명확하게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암기 효율뿐 아니라 문제 풀이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요약 및/또는 축약 등의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다양하고 방대한 학습 내용 전체를 통째로 외우는 것은 실질적으로 거의 불가능할 뿐 아니라 효율적이지도 않다. 이에, 해당 학습 내용을 연상 추론할 수 있는 단어 또는 문장으로 요약하거나 축약시켜 정보량을 현저히 줄인 후, 이러한 단어 또는 문장으로부터 학습 전체 본문 내용을 역으로 유추함으로써 암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요약 및/또는 축약된 학습 내용은 이미지화하는 작업을 병행시키면 암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미지화 작업에는 그림으로 전환하거나 그림을 병행하는 방법이 있으며, 글자 자체를 이미지화할 수도 있다. 이미지화된 학습 컨텐츠는 단순히 단어 또는 문장 형태로 된 학습 컨텐츠보다 암기 효율을 더 향상시키게 된다. 즉, 이미지가 병행되는 학습 컨텐츠의 기억 메카니즘은 문자로만 이루어진 학습 컨텐츠의 기억 메카니즘과 다르게 작동됨에 따라 암기 효율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미지화된 학습 컨텐츠가 더 잘 외워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리고, 암기할 때 시각과 함께 청각, 촉각이 함께 동원되면 암기 효율이 더욱 상승하게 된다. 즉, 오감을 적절하게 조화시킴으로써 암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암기 방법에는 해당 내용의 이해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즉, 단순히 무조건 외우는 것이 아니라, 해당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된 후 암기가 후행되는 과정을 거쳐야 암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요약 및/또는 축약된 학습 내용에 대한 암기가 실제 힘을 발휘하는 때는 시험을 치를 때일 것이다. 이는 대부분의 시험이 제한된 시간 내에 문제 풀이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지만, 시험과 같은 상황에서는 요약되거나 축약된 암기 내용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번호 제10-2019-0122561호, "축약 문자 암기 기반의 학습 교재와 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 요약 블록 및 축약 블록이 선택적으로 가려지는 숨김 처리를 통해 암기 학습을 수행하고, 숨김 처리된 블록에 대한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암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학습 컨텐츠를 출력 제어하고, 출력된 상기 학습 컨텐츠에 대한 암기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학습 컨텐츠의 선택적인 숨김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암기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및 상기 학습 컨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터치 패널은 수동식 터치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수동식 터치판은,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제조된 바디; 및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화면에 대한 상기 바디의 위치정보를 생성시키는 포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은 전자식 가림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가림판은,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화면에 대한 상기 바디의 위치정보를 생성시키는 포인터; 색,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및 학습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바디에 내장되는 제어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기판은, 상기 학습단말기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바람직하게는 (a) 학습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b) 본문 블록, 요약 블록 및 축약 블록이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학습 컨텐츠의 특정 블록을 숨김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숨김 처리된 특정 블록에 대한 화자의 음성으로부터 암기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본문 블록에 대해 요약된 요약 내용을 상기 요약 블록(b)에 저장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요약 내용이 축약된 축약 내용을 상기 축약 블록(c)에 저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감지된 수동식 터치판의 위치에 대응하여 학습단말기에 출력된 해당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 요약 블록 및 축약 블록을 선택적으로 숨김 처리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감지된 전자식 가림판의 위치에 따라 학습단말기에 출력된 해당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 요약 블록 및 축약 블록에 대응하는 전자식 가림판의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숨김 처리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숨김 처리된 블록에 대해 마이크를 통해 화자의 음성을 집음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을 텍스트화하여 해당 숨김 처리된 블록의 텍스트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 요약 블록 및 축약 블록 중에서 숨김 처리를 통해 선택적으로 가려지는 블록에 대한 내용을 입으로 말하며 연상시키는 연습을 반복함으로써 암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상 작용을 통해 요약 및/또는 축약된 내용으로부터 본문 내용 전체를 유추할 수 있으므로 방대한 학습량을 효과적으로 암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문제 풀이의 속도를 요구하는 시험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습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암기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학습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암기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적용된 가림판의 제어회로기판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학습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암기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티치던트(Teachdent)란 가르치다(Teach)와 학생(Student)를 합쳐서 만든 신조어로서, 가르치는 학생이라는 의미이다. 완전학습을 위해서는 스스로 남을 가르쳐 보는 훈련, 연습을 하여야 하며, 남을 가르칠 수 있을 정도로 또는 남을 가르치는 것과 유사한 과정으로 학습하는 방법론을 본 발명에서는 티치던트 학습법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창안된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할 때, 학습시 모르는 부분을 정확하게 발견하여 반 또는 반의 반으로 나눠서 기입하여 이를 반복암기함으로써 완전학습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10)(이하, "학습단말기"라 함)는, 학습 컨텐츠를 출력 제어하고, 출력된 학습 컨텐츠에 대한 암기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 컨텐츠의 선택적인 숨김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암기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1)와,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2)와,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13)와, 학습 컨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출력부(14)를 포함한다.
제어부(11)는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고 컴퓨터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 Unit)일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수학적 계산을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 및/또는 부동 소수점 코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및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의 형태일 수 있는 시스템 메모리일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운영 체제, 유틸리티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명령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광학 매체, 자기 테이프,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와 저장 디바이스에 대해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저장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서 처리된 데이터 또는 처리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13)는 키보드, 마우스, 스타일러스, 터치 패드와 같은 다양한 입력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입력부(13)로서 사용자 음성을 집음하는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부(13)는 스캐너와 통신하는 스캐너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4)는 음극선관, 박막 트랜지스터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와 통신하기 위한 프린터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학습 컨텐츠가 외부(예를 들어, 서버)에서 지원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학습단말기(10)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인터넷, 이더넷 클라우드, FCoE/DCB 클라우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SAN(Storage Area Network)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적외선 신호를 포함한 적절한 전자기 캐리어 신호를 통해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든 주요 시스템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서로 근접해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데이터 및/또는 출력 데이터는 한 물리적 위치에서 다른 물리적 위치로 원격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위치(예를 들어, 서버)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홀로그램 장치와 같은 광학 매체, 자기 광학 매체, ASIC(주문형 집적 회로), PLD(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ROM 및 RAM 장치와 같은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에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거나 저장 및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처리 유닛에 대한 명령으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인코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 또는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구현을 포함하는 대안적인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하드웨어 구현 기능은 ASIC(들), 프로그래밍 가능한 어레이,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 등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실시예에서 "수단"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현을 모두 포함한다.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명칭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매체"는 그 위에 구현된 명령어 프로그램을 갖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 대안을 염두에 두고 도면 및 첨부된 설명은 당업자가 프로그램 코드(즉, 소프트웨어)를 작성하고/하거나 회로(즉, 하드웨어)를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갖는 컴퓨터 제품에 더 관련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및 컴퓨터 코드는 본 발명의 학습 컨텐츠 암기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 학습 컨텐츠는 학습단말기(10)에 내장되거나 외부(예를 들어,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저장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습단말기(10)가 부팅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학습 컨텐츠의 실행이 요청되면, 제어부(11)는 저장부(12)에서 해당 학습 컨텐츠를 독출하여 출력부(14)의 화면 상에 출력하는 제어를 수행한다(S11).
이 때, 화면 상의 본문 블록(a)에 학습 컨텐츠가 출력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학습 컨텐츠가 모두 출력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터치펜을 이용하여 본문 블록(a)을 터치하는 것에 대응하여 해당 학습 컨텐츠만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학습 컨텐츠는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을 하나의 세트(Set)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학습 컨텐츠가 시험 문제일 경우에는 답을 체크하는 체크란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2개 세트의 학습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하나의 화면 상에 출력되는 학습 컨텐츠의 개수는 본문 블록(a)의 분량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학습을 위해 특정 학습 컨텐츠가 선택되는 것에 대응하여 해당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a)의 내용이 전체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학습단말기(10)의 전체 화면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편안한 상태에서 학습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특정 학습 컨텐츠가 선택되면 나머지 학습 컨텐츠가 일시적으로 사라지고, 해당 공백에 학습을 위한 동영상 등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학습이 완료되어 사용자에 의해 요약 블록(b)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면, 제어부(11)는 저장부(12)의 해당 학습 컨텐츠의 요약 블록(b)에 저장하는 저장 제어를 수행한다(S12).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축약 블록(c)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면, 제어부(11)는 저장부(12)의 해당 세트의 축약 블록(c)에 저장하는 저장 제어를 수행한다(S13).
한편,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은 연상 추론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단어 또는 문장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단어 또는 문장으로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을 구성할 때, 그림을 병행하거나, 글자 자체를 이미지화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에 대해 단어 또는 문장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학습단말기(10)는 검색엔진을 구동시켜 입력된 단어 또는 문장과 매칭되는 연상 요소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단어 또는 문장이 특정 음악의 가사 내용과 일부 일치할 경우에 해당 특정 음악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음악의 음률에 입력된 단어 또는 문장으로 개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색엔진의 검색 결과물을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의 입력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해당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a)에 대응하는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이 저장부(12)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에 대한 암기를 수행한 후, 사용자가 암기 테스트를 요청하면, 제어부(11)는 해당 학습 컨텐츠에 대한 암기 여부 확인 과정을 진행한다. 암기 테스트의 요청을 위해 화면 상에 아이콘(미도시)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제어부(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숨김(블랭크(Blank), 블랙(Black)) 처리한다(S14). 일례로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을 순차적으로 숨김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자가 되어 숨김 처리된 블록에 대해 입으로 말하는 확인 학습을 수행한다. 이에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집음한다(S15).
제어부(11)는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텍스트화하여 해당 숨김 처리된 블록의 텍스트와 비교한다(S16).
제어부(11)는 텍스트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암기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텍스트 간 비교가 90% 이상일 경우에 암기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암기 여부 확인 과정은 각 블록에 대해 수행되며, 2개 블록을 함께 숨김 처리하거나, 3개 블록을 모두 숨김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암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문 블록(a)만 출력하여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에 대한 음성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요약 블록(b)만 출력하여 축약 블록(c) 및 본문 블록(a)에 대한 음성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축약 블록(c)만 출력하여 본문 블록(a) 및 요약 블록(b)에 대한 음성 입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암기 여부 확인시, 설정값(예를 들어, 텍스트 간 90% 일치)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는 암기 여부 확인 과정을 반복하거나 재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설정값에 이르지 못한 블록에 대해서만 암기 여부 확인 과정을 반복하거나 재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학습 내용으로 구성된 학습 컨텐츠는 시험 내용으로 구성된 학습 컨텐츠와 그룹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해당 학습에 대한 시험출제 유형을 즉시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 과정 및 재학습 과정은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에 서로 다른 시간을 부여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암기 테스트시에는 사용자가 암기된 바에 따라 발표형식으로 소리내도록 하여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해당 학습 컨텐츠의 모든 내용이 이야기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a)으로부터 학습 내용의 이해를 바탕으로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이 완성되고, 암기시에는 숨김 처리되는 시각적 방법과 연상법이 적용되고, 암기 여부 확인시에는 말하는 청각적 방법이 함께 병행됨으로써, 암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 구성을 3개 블록(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으로 구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2개 블록(본문 블록(a), 요약 블록(b))(본문 블록(a), 축약 블록(c))(요약 블록(b), 축약 블록(c))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학습 컨텐츠가 시험 문제일 경우에는 답은 체크하는 체크란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4개 블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면 구성은 학습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본문 블록(a):요약 블록(b):축약 블록(c)을 6:3:1의 비율로 화면을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예시하고 있으나, 해당 비율은 학습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학습단말기(10)의 디바이스 종류에 대응하여 화면 구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우측 방향으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 순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고, 좌측 방향으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 순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본문 블록(a)과 요약 블록(b), 본문 블록(a)과 축약 블록(c),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화면 크기가 클 경우에는 좌측 화면 상에 우측 방향으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 순으로 화면을 구성하고, 우측 화면 상에 좌측 방향으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 순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대칭 구조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학습단말기(30)는, 상기한 제1실시예의 학습단말기(10)에 대응하는 구성(31 ~ 34)에 수동식 터치판(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수동식 터치판(40)은,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제조된 바디(41)와, 바디(41)에 형성되어 학습단말기(30)에 대한 바디(41)의 위치정보를 생성시키는 포인터(42)와, 바디(41)에 결합되어 사용자 파지를 지원하는 파지부(43)를 포함한다.
바디(41)는 판 형태 또는 바(Bar) 형태일 수 있다.
포인터(42)는 각 블록(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별로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43)는 바디(4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41)의 일부로서 바디(41)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포인터(42)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학습단말기(30)는 포인터(42)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 수단이 더 포함된다. 위치 확인 수단은 터치 패널(35)일 수 있다. 터치 패널(35)에는 정전식, EMR 방식, AES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외의 학습단말기(30)의 구성은 상기한 제1실시예의 학습단말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 학습 컨텐츠는 학습단말기(30)에 내장되거나 외부(예를 들어,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저장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학습단말기(30)가 부팅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학습 컨텐츠의 실행이 요청되면, 제어부(31)는 저장부(32)에서 해당 학습 컨텐츠를 독출하여 출력부(34)의 화면 상에 출력하는 제어를 수행한다(S31).
이 때, 화면 상의 본문 블록(a)에 학습 컨텐츠가 출력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학습 컨텐츠가 모두 출력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수동식 터치판(40)이 지정된 위치에 놓이는 것에 대응하여 해당 학습 컨텐츠만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학습 컨텐츠는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을 하나의 세트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학습 컨텐츠가 시험 문제일 경우에는 답을 체크하는 체크란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2개 세트의 학습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하나의 화면 상에 출력되는 학습 컨텐츠의 개수는 본문 블록(a)의 분량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을 위해 수동식 터치판(40)을 이용하여 특정 학습 컨텐츠가 선택되는 것에 대응하여 해당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a)의 내용이 전체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학습단말기(30)의 전체 화면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편안한 상태에서 학습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특정 학습 컨텐츠가 선택되면 나머지 학습 컨텐츠가 일시적으로 사라지고, 해당 공백에 학습을 위한 동영상 등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수동식 터치판(40)에 의해 특정 학습 컨텐츠가 선택될 때, 제어부(31)는 각 블록에 미리 설정된 수동식 터치판(40)의 포인터(42)의 개수가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각 블록에 미리 설정된 수동식 터치판(40)의 포인터(42)의 개수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에는, 특정 학습 컨텐츠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수동식 터치판(40)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라는 메시지 또는 경고를 학습단말기(30)의 출력부(34)에 출력할 수 있다.
각 블록에 미리 설정된 수동식 터치판(40)의 포인터(42)의 개수가 인식되면, 선택된 학습 컨텐츠(예를 들어, 도 7의 상부 학습 컨텐츠)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고, 이후, 학습이 완료되어 사용자에 의해 요약 블록(b)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면, 제어부(31)는 저장부(32)의 해당 학습 컨텐츠의 요약 블록(b)에 저장하는 저장 제어를 수행한다(S32).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축약 블록(c)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면, 제어부(31)는 저장부(32)의 해당 세트의 축약 블록(c)에 저장하는 저장 제어를 수행한다(S33).
한편,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은 연상 추론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단어 또는 문장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단어 또는 문장으로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을 구성할 때, 그림을 병행하거나, 글자 자체를 이미지화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에 대해 단어 또는 문장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학습단말기(30)는 검색엔진을 구동시켜 입력된 단어 또는 문장과 매칭되는 연상 요소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단어 또는 문장이 특정 음악의 가사 내용과 일부 일치할 경우에 해당 특정 음악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음악의 음률에 입력된 단어 또는 문장으로 개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색엔진의 검색 결과물을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의 입력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해당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a)에 대응하는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이 저장부(32)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에 대한 암기를 수행한 후, 사용자가 암기 테스트를 요청하면, 제어부(31)는 해당 학습 컨텐츠에 대한 암기 여부 확인 과정을 진행한다. 암기 테스트의 요청을 위해 화면 상에 아이콘(미도시)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제어부(3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숨김(블랭크(Blank), 블랙(Black)) 처리한다(S34). 일례로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을 순차적으로 숨김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자가 되어 숨김 처리된 블록에 대해 입으로 말하는 확인 학습을 수행한다. 이에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집음한다(S35).
제어부(31)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텍스트화하여 해당 숨김 처리된 블록의 텍스트와 비교한다(S36).
제어부(31)는 텍스트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암기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텍스트 간 비교가 90% 이상일 경우에 암기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암기 여부 확인 과정은 각 블록에 대해 수행되며, 2개 블록을 함께 숨김 처리하거나, 3개 블록을 모두 숨김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암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문 블록(a)만 출력하여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에 대한 음성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요약 블록(b)만 출력하여 축약 블록(c) 및 본문 블록(a)에 대한 음성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축약 블록(c)만 출력하여 본문 블록(a) 및 요약 블록(b)에 대한 음성 입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암기 여부 확인시, 설정값(예를 들어, 텍스트 간 90% 일치)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는 암기 여부 확인 과정을 반복하거나 재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설정값에 이르지 못한 블록에 대해서만 암기 여부 확인 과정을 반복하거나 재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판 위치"라고 표시된 영역으로 수동식 터치판(40)을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학습 컨텐츠에 대한 학습 과정 및 암기 확인 과정이 반복되게 된다. 즉, 수동식 터치판(40)은 화면 상에 출력된 다수의 학습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 학습 컨텐츠와 하부 학습 컨텐츠는 학습 내용과 시험 내용으로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해당 학습에 대한 시험출제 유형을 즉시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 과정 및 재학습 과정은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에 서로 다른 시간을 부여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암기 테스트시에는 사용자가 암기된 바에 따라 발표형식으로 소리내도록 하여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해당 학습 컨텐츠의 모든 내용이 이야기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a)으로부터 학습 내용의 이해를 바탕으로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이 완성되고, 암기시에는 숨김 처리되는 시각적 방법과 연상법이 적용되고, 암기 여부 확인시에는 말하는 청각적 방법이 함께 병행됨으로써, 암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 구성을 3개 블록(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으로 구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2개 블록(본문 블록(a), 요약 블록(b))(본문 블록(a), 축약 블록(c))(요약 블록(b), 축약 블록(c))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학습 컨텐츠가 시험 문제일 경우에는 답은 체크하는 체크란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4개 블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면 구성은 학습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본문 블록(a):요약 블록(b):축약 블록(c)을 6:3:1의 비율로 화면을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예시하고 있으나, 해당 비율은 학습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학습단말기(30)의 디바이스 종류에 대응하여 화면 구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우측 방향으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 순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고, 좌측 방향으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 순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본문 블록(a)과 요약 블록(b), 본문 블록(a)과 축약 블록(c),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화면 크기가 클 경우에는 좌측 화면 상에 우측 방향으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 순으로 화면을 구성하고, 우측 화면 상에 좌측 방향으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 순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대칭 구조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학습단말기(50)는, 상기한 제1실시예의 학습단말기(10)에 대응하는 구성(51 ~ 54)에 전자식 가림판(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자식 가림판(60)은, 바디(61)와, 바디(61)에 형성되어 학습단말기(50)에 대한 바디(61)의 위치정보를 생성시키는 포인터(62)와, 바디(61)에 결합되어 사용자 파지를 지원하는 파지부(63)와, 색,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64)와, 학습단말기(50)와 통신하여 디스플레이(64)를 제어하며, 바디(61)에 내장되는 제어회로기판(65)을 포함한다.
바디(61)는 판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바디(61)의 폭은 화면 상의 본문 블록(a)의 세로 폭과 동일하거나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61)의 폭이 화면 상의 본문 블록(a)의 세로 폭과 동일할 경우에는 학습단말기(50)의 측면에 슬롯(미도시)을 형성시키고, 해당 슬롯에 전자식 가림판(50)을 삽입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전자식 가림판(50)으로 특정 학습 컨텐츠를 스크롤하여 선택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포인터(62)는 각 블록(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별로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63)는 바디(6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61)의 일부로서 바디(61)에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64)는 박막 트랜지스터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빛이 투과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64)는 전자잉크가 충진된 투명판일 수 있다.
제어회로기판(6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단말기(50)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651)와, 근거리 통신부(651)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64)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52)와, 컨트롤러(65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53)를 포함한다.
한편, 포인터(62)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학습단말기(50)는 포인터(62)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 수단이 더 포함된다. 위치 확인 수단은 터치 패널(55)일 수 있다. 터치 패널(55)에는 정전식, EMR 방식, AES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식 가림판(60)의 근거리 통신부(651)와의 통신을 위해 학습단말기(50)에도 근거리 통신부(56)가 마련된다.
이외의 학습단말기(50)의 구성은 상기한 제1실시예의 학습단말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 학습 컨텐츠는 학습단말기(50)에 내장되거나 외부(예를 들어,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저장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학습단말기(50)가 부팅된 상태에서, 전자식 가림판(60)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면(S51), 학습단말기(50)와 전자식 가림판(60) 간의 페어링이 이루어지게 된다(S52).
전자식 가림판(60)은 최초 투명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53).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학습 컨텐츠의 실행이 요청되면, 제어부(51)는 저장부(52)에서 해당 학습 컨텐츠를 독출하여 출력부(54)의 화면 상에 출력하는 제어를 수행한다(S54).
이 때, 화면 상의 본문 블록(a)에 학습 컨텐츠가 출력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학습 컨텐츠가 모두 출력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자동식 가림판(60)이 지정된 위치에 놓이는 것에 대응하여 해당 학습 컨텐츠만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학습 컨텐츠는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을 하나의 세트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학습 컨텐츠가 시험 문제일 경우에는 답을 체크하는 체크란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2개 세트의 학습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하나의 화면 상에 출력되는 학습 컨텐츠의 개수는 본문 블록(a)의 분량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을 위해 전자식 가림판(60)을 이용하여 특정 학습 컨텐츠가 선택되는 것에 대응하여 해당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a)의 내용이 전체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학습단말기(50)의 전체 화면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편안한 상태에서 학습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특정 학습 컨텐츠가 선택되면 나머지 학습 컨텐츠가 일시적으로 사라지고, 해당 공백에 학습을 위한 동영상 등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전자식 가림판(60)에 의해 특정 학습 컨텐츠가 선택될 때, 제어부(51)는 각 블록에 미리 설정된 전자식 가림판(60)의 포인터(62)의 개수가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각 블록에 미리 설정된 전자식 가림판(60)의 포인터(62)의 개수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에는, 특정 학습 컨텐츠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전자식 가림판(60)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라는 메시지 또는 경고를 전자식 가림판(60)에 출력할 수 있다.
각 블록에 미리 설정된 전자식 가림판(60)의 포인터(62)의 개수가 인식되면, 선택된 학습 컨텐츠(예를 들어, 도 12의 하부 학습 컨텐츠)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고, 이후, 학습이 완료되어 사용자에 의해 요약 블록(b)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면, 제어부(51)는 저장부(52)의 해당 학습 컨텐츠의 요약 블록(b)에 저장하는 저장 제어를 수행한다(S55).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축약 블록(c)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면, 제어부(51)는 저장부(52)의 해당 세트의 축약 블록(c)에 저장하는 저장 제어를 수행한다(S56).
사용자에 의한 학습이 진행되거나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에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전자식 가림판(60)의 각 블록은 투명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은 연상 추론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단어 또는 문장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단어 또는 문장으로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을 구성할 때, 그림을 병행하거나, 글자 자체를 이미지화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에 대해 단어 또는 문장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학습단말기(50)는 검색엔진을 구동시켜 입력된 단어 또는 문장과 매칭되는 연상 요소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단어 또는 문장이 특정 음악의 가사 내용과 일부 일치할 경우에 해당 특정 음악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음악의 음률에 입력된 단어 또는 문장으로 개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색엔진의 검색 결과물을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의 입력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해당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a)에 대응하는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이 저장부(52)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학습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자식 가림판(60)에 학습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시간이 종료되면, 전자식 가림판(60)을 블랙 처리하거나 블러 처리할 수 있다. 즉, 학습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전자식 가림판(60)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에 대한 암기를 수행한 후, 사용자가 암기 테스트를 요청하면, 제어부(51)는 해당 학습 컨텐츠에 대한 암기 여부 확인 과정을 진행한다. 암기 테스트의 요청을 위해 전자식 가림판(60)의 디스플레이(64) 상에 아이콘(미도시)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제어부(5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에 대응하는 전자식 가림판(60)의 해당 영역을 숨김(블랙(Black)) 처리한다(S57). 일례로서, 전자식 가림판(60)을 이용하여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을 순차적으로 숨김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전자식 가림판(60)이 숨김 처리를 수행하므로 학습단말기(50)는 학습 컨텐츠가 출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자가 되어 전자식 가림판(60)을 이용하여 숨김 처리된 블록에 대해 입으로 말하는 확인 학습을 수행한다. 이에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집음한다(S58).
제어부(51)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텍스트화하여 전자식 가림판(60)을 이용하여 숨김 처리된 해당 블록의 텍스트와 비교한다(S59).
제어부(51)는 텍스트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암기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텍스트 간 비교가 90% 이상일 경우에 암기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암기 여부 확인 과정은 각 블록에 대해 수행되며, 전자식 가림판(60)을 이용하여 2개 블록을 함께 숨김 처리하거나, 3개 블록을 모두 숨김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암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자식 가림판(60)을 이용하여 본문 블록(a)만 노출시켜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에 대한 음성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전자식 가림판(60)을 이용하여 요약 블록(b)만 노출시켜 축약 블록(c) 및 본문 블록(a)에 대한 음성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전자식 가림판(60)을 이용하여 축약 블록(c)만 노출시켜 본문 블록(a) 및 요약 블록(b)에 대한 음성 입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암기 여부 확인시, 설정값(예를 들어, 텍스트 간 90% 일치)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는 암기 여부 확인 과정을 반복하거나 재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설정값에 이르지 못한 블록에 대해서만 암기 여부 확인 과정을 반복하거나 재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전자식 가림판(60)을 예를 들어 상부 학습 컨텐츠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학습 컨텐츠에 대한 학습 과정 및 암기 확인 과정이 반복되게 된다. 즉, 전자식 가림판(60)은 화면 상에 출력된 다수의 학습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학습 순서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표시(예를 들어, 화살표)를 전자식 가림판(6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학습 컨텐츠와 하부 학습 컨텐츠는 학습 내용과 시험 내용으로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해당 학습에 대한 시험출제 유형을 즉시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 과정 및 재학습 과정은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에 서로 다른 시간을 부여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암기 테스트시에는 사용자가 암기된 바에 따라 발표형식으로 소리내도록 하여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해당 학습 컨텐츠의 모든 내용이 이야기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a)으로부터 학습 내용의 이해를 바탕으로 요약 블록(b) 및 축약 블록(c)이 완성되고, 암기시에는 숨김 처리되는 시각적 방법과 연상법이 적용되고, 암기 여부 확인시에는 말하는 청각적 방법이 함께 병행됨으로써, 암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 구성을 3개 블록(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으로 구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2개 블록(본문 블록(a), 요약 블록(b))(본문 블록(a), 축약 블록(c))(요약 블록(b), 축약 블록(c))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학습 컨텐츠가 시험 문제일 경우에는 답은 체크하는 체크란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4개 블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면 구성은 학습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본문 블록(a):요약 블록(b):축약 블록(c)을 6:3:1의 비율로 화면을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예시하고 있으나, 해당 비율은 학습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단말기(50)의 화면 구성이 변화되면, 이와 동일하게 전자식 가림판(60)의 컨트롤러(642)는 디스플레이(64)의 화면 구성을 변화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학습단말기(50)의 디바이스 종류에 대응하여 화면 구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우측 방향으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 순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고, 좌측 방향으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 순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본문 블록(a)과 요약 블록(b), 본문 블록(a)과 축약 블록(c), 요약 블록(b)과 축약 블록(c)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화면 크기가 클 경우에는 좌측 화면 상에 우측 방향으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 순으로 화면을 구성하고, 우측 화면 상에 좌측 방향으로 본문 블록(a), 요약 블록(b), 축약 블록(c) 순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대칭 구조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학습단말기(50)의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 및 제어알고리즘을 갖는 전자식 가림판(60)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수동식 터치판(40) 및 전자식 가림판(60)을 이용하여 암기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통상의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된 블록을 블랭크 처리 또는 블랙 처리하여 암기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터치펜에 의해 특정 블록이 터치되면, 해당 블록의 내용이 숨김 처리되고, 이에 사용자에 의한 음성 입력이 이루어지면, 이를 확인하여 암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터치펜의 터치를 해제하면, 해당 블록의 내용이 다시 출력되고, 암기 여부에 대한 정답률 등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펜의 터치를 해제하면, 해당 블록의 내용을 음성으로 빠르게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암기한 내용을 청각을 통해 다시 한번 들려주어 기억에 각인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터치펜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시간을 카운트하여 암기를 확인하는 설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암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재학습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학습단말기를 이용한 학습은 사용자가 임의의 순서대로 학습하는 기본 모드, 학습 컨텐츠 전체를 그대로 다 표시하되 주로 많이 틀린 부위를 터치펜, 수동식 터치판(40), 전자식 가림판(60)으로 가리고 암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복습 모드, 틀린 블록 취약한 블록만 모아서 학습할 수 있도록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표시하는 오답노트 모드로 구성된 3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복습 모드시 하나의 세트의 학습 컨텐츠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면 다음 가릴 부위(즉, 학습 및 암기 연습을 할 부위)를 학습단말기의 화면 또는 전자식 가림판의 디스플레이(64)에 아이콘 등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가림판을 이용하여 취약한 블록만 골라서 복습을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학습 트래킹 결과(사용자의 행위 기반 또는 테스트 결과 기반) 암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해당 세트의 학습 컨텐츠들을 모두 모아서 오답 노트를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 30, 50 : 학습단말기
40 : 수동식 터치판
60 : 전자식 가림판
a : 본문 블록
b : 요약 블록
c : 축약 블록

Claims (13)

  1. 학습 컨텐츠를 출력 제어하고, 출력된 상기 학습 컨텐츠에 대한 암기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학습 컨텐츠의 선택적인 숨김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암기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및
    상기 학습 컨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수동식 터치판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수동식 터치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부에 출력된 해당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 요약 블록 및 축약 블록을 선택적으로 숨김 처리하는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터치판은,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제조된 바디; 및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화면에 대한 상기 바디의 위치정보를 생성시키는 포인터를 포함하는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5. 학습 컨텐츠를 출력 제어하고, 출력된 상기 학습 컨텐츠에 대한 암기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학습 컨텐츠의 선택적인 숨김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암기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및
    상기 학습 컨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전자식 가림판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전자식 가림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출력부에 출력된 해당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 요약 블록 및 축약 블록에 대응하는 전자식 가림판의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숨김 처리하는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가림판은,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화면에 대한 상기 바디의 위치정보를 생성시키는 포인터;
    색,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및
    학습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바디에 내장되는 제어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기판은,
    상기 학습단말기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8. (a) 학습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b) 본문 블록, 요약 블록 및 축약 블록이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학습 컨텐츠의 특정 블록을 숨김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숨김 처리된 특정 블록에 대한 화자의 음성으로부터 암기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는
    감지된 수동식 터치판의 위치에 대응하여 학습단말기에 출력된 해당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 요약 블록 및 축약 블록을 선택적으로 숨김 처리하는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본문 블록에 대해 요약된 요약 내용을 상기 요약 블록(b)에 저장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요약 내용이 축약된 축약 내용을 상기 축약 블록(c)에 저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a) 학습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b) 본문 블록, 요약 블록 및 축약 블록이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학습 컨텐츠의 특정 블록을 숨김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숨김 처리된 특정 블록에 대한 화자의 음성으로부터 암기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는
    감지된 전자식 가림판의 위치에 따라 학습단말기에 출력된 해당 학습 컨텐츠의 본문 블록, 요약 블록 및 축약 블록에 대응하는 전자식 가림판의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숨김 처리하는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8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숨김 처리된 블록에 대해 마이크를 통해 화자의 음성을 집음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을 텍스트화하여 해당 숨김 처리된 블록의 텍스트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본문 블록에 대해 요약된 요약 내용을 상기 요약 블록(b)에 저장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요약 내용이 축약된 축약 내용을 상기 축약 블록(c)에 저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220135906A 2022-10-20 2022-10-20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97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906A KR102497994B1 (ko) 2022-10-20 2022-10-20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906A KR102497994B1 (ko) 2022-10-20 2022-10-20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994B1 true KR102497994B1 (ko) 2023-02-08

Family

ID=8522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906A KR102497994B1 (ko) 2022-10-20 2022-10-20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9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657A (ko) * 2010-11-18 2012-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책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59628A (ko) * 2015-11-23 2017-05-31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122561A (ko) 2018-04-21 2019-10-30 류형준 림프 순환 장애의 치료 또는 경감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657A (ko) * 2010-11-18 2012-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책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59628A (ko) * 2015-11-23 2017-05-31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스마트노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122561A (ko) 2018-04-21 2019-10-30 류형준 림프 순환 장애의 치료 또는 경감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tos et al. Augmented reality as multimedia: the case for situated vocabulary learning
Kucer Dimensions of literacy: A conceptual base for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in school settings
US55966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handwritten inputs in a computerized teaching system
US10861347B2 (en) Device and method for teaching phonics using a touch detecting interface
KR20100136529A (ko) 다중-양상 학습 시스템
CN108628939B (zh) 信息显示装置、信息显示方法及计算机能读取的存储介质
US20220215772A9 (en) Symbol Manipulation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CN108628940B (zh) 信息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US10984671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957210B2 (en) Language-adapted user interfaces
Ng et al. An adaptive mobile learning application for beginners to learn fundamental japanese language
KR102497994B1 (ko) 티치던트 학습법의 구현을 위한 학습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US202301543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aching users how to read via 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s
KR102320579B1 (ko) 반복 학습을 통한 수학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eegers et al. Special technological possibilitie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Pender et al. Accessible circuit diagrams
Pan et al.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system with an MVC framework: A case study of the IEEE floating-point standard
US11410569B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identifying and scoring assignment answers
KR102017471B1 (ko) 수학적 알고리즘 표시 시스템
Jamal et al. The akeffa tutor application: a new Arabic writing system
Schwarz et al. Interface for Automatic Tactile Display of Data Plots
CN111401082A (zh) 一种智能个性化二语学习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90100621A (ko) 학습용 이미지 카드를 이용한 교육장치
Baillie et al. Web-based teaching: communicating technical diagrams with the vision impai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