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8426A - 유동 전환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유동 전환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8426A
KR20010088426A KR1020010011650A KR20010011650A KR20010088426A KR 20010088426 A KR20010088426 A KR 20010088426A KR 1020010011650 A KR1020010011650 A KR 1020010011650A KR 20010011650 A KR20010011650 A KR 20010011650A KR 20010088426 A KR20010088426 A KR 20010088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hot
hot water
water inlet
mix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쿡윌리엄디.
이노셀다아더씨.
타이스로버트지.
Original Assignee
존월터랜덜
엠하아트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월터랜덜, 엠하아트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월터랜덜
Publication of KR2001008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42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16K27/04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with pivotal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01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23/13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wo fluids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 G05D23/1306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wo fluids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for liquids
    • G05D23/1313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wo fluids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for liquids withou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109Convertible
    • Y10T137/5196Unit orientable in a single location between plural 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504Removable valve head and seat unit
    • Y10T137/7668Retained by bonnet or 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15Multiple inlet with single out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49Multiple inlet with multiple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위치의 판형 유동 전환기 조립체는 온수를 혼합 밸브의 동일 지정된 온수 유입구에 그리고 냉수를 혼합 밸브의 동일 지정된 냉수 유입구에 항상 전달하도록 혼합 밸브에 연결된다. 유동 전환기 조립체는 하우징과, 2개의 위치 중 하나 또는 다른 위치에 연결되는 온수 및 냉수 유입관과, 온수 또는 냉수 유입관이 하나 또는 다른 위치에 연결되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온수 및 냉수를 혼합 밸브의 동일한 유입구에 항상 전달하는 다수의 상호 접속된 판 부재를 포함한다. 판 부재는 혼합 밸브에 연결된 상부 부재와, 2개의 위치 중 하나 또는 다른 위치에서 온수 및 냉수 유입관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기부 부재와, 온수 및 냉수 유입관이 온수 및 냉수를 혼합 밸브의 동일한 유입구에 항상 전달하도록 연결되는 하나의 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 반응하여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동 전환기 조립체 {A FLOW DIVERTER ASSEMBLY}
본 발명은 주로 유동 전환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일 욕실 및 샤워실에 표준 설치할 때, 또는 공통의 벽 및 그 벽 내의 공통의 공급관을 공유하는 다중 욕실 및 샤워룸에 연속 설치할 때 사용하기 위한 유동 전환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연속 설치에 사용될 때 종래의 유동 전환기는 복잡하고 설치 비용이 높고 몇몇은 설치할 때 매우 조심하지 않으면 누수되는 경향이 있고, 특히 이러한 것들은 밸브를 밀봉하기 위해서 수압을 필요로 한다. 또한, 어댑터가 표준 유동 패턴을 얻기 위고 연속설치와 연관된 제어 밸브의 냉온수 제어의 역전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어댑터의 사용은 사용 목록에 여분의 부품을 필요로 하여 설치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간단하고 경제적이고 신뢰성을 갖고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유동 전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자체 수용되고 표준용 및/또는 연속 설치용 두 개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는 유동 전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 균형기와 혼합 밸브 사이에 개재된, 일반적으로는 표준 또는 연속 설치용 세라믹 카트리지형의 판 부재의 방향성을 사용하는 유동 전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 공급 라인이 표준 또는 역전 방향을 갖는 것에 상관없이, 혼합 밸브에 제공되는 냉온수의 표준 또는 연속 설치하기 위해 판 부재의 중간 판의 방향성을 사용하는 유동 전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냉온수를 혼합실로 이송하는 온수 공급 라인 및 냉수 공급 라인의 방향성과는 상관없이, 물 공급 라인으로부터의 온수를 항상 혼합실의 동일한 온수 입구 포트로 안내하고, 냉수 공급 라인으로부터의 냉수를 항상 혼합실의 동일한 냉수 입구 포트로 안내하는 유동 전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후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충분히 명백해 질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1b는 도1a에 도시된 판 부재들 중 기부 부재의 확대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3은 판 부재들 중 두 개의 위치, 즉 유입되는 온수(H) 및 냉수(C)의 규칙적인 유동 패턴을 보이는 위치1과 유입되는 온수(H) 및 냉수(C)의 유동 패턴의 절환을 보이는 위치2를 도시한 부분 분해도.
도4a는 도3에 도시된 위치1에 상응하는 판부재들 중 중간 부재의 사시도.
도4b는 도3에 도시된 위치2에 상응하는 판부재들 중 중간 부재의 사시도.
도5a는 도3에 도시된 위치1에 대응하는 판 부재 중의 중간 부재의 평면도.
도5b는 도3에 도시된 위치2에 대응하는 판 부재들 중의 중간 부재의 평면도.
도6은 도5a의 선6-6을 따라 취한 도면.
도7은 도5a의 선7-7을 따라 취한 도면.
도8은 도5a의 선8-8을 따라 취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밸브 조립체
22: 덮개부
42: 혼합 밸브
48: 상부 부재
50: 기부 부재
52: 중간 부재
전체 구역 내에 각각의 설비에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혼합 밸브를 갖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는 연속하는 설비들이 온수 공급 라인으로부터 온수가 상기 설비의 혼합 밸브의 각각의 동일한 온수 입구 포오트로 배향되며 냉수 공급 라인으로부터 냉수가 상기 설비의 혼합 밸브들의 각각의 동일한 냉수 입구 포오트로 배향되도록 필요시에 유입 고온 및 저온 유동 패턴을 역전시키도록 일형태의 유동 변환기 또는 일부 다른 형태의 어댑터를 이용함으로 인해 요구된다. 상기 설명으로서, 욕조 또는 샤워 또는 다른 욕실 혼합 밸브들이 설치되고 공용 벽 및 상기 벽 내에 부설된 공용 공급기를 공유할 때, 혼합 밸브를 덜 복잡하고 덜 고가의 연속 설치로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밸브가 연속 구조로 설치될 때, 혼합 밸브 중의 하나는 정규적인 온수 입구에 접속된 유입 온수 공급 라인 및 정규적인 냉수 입구에 접속된 유입 냉수 공급 라인으로 정확하게 부설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혼합 밸브는 냉수 입구에 접속된 유입 온수 공급 라인 및 온수 라인에 접속된 유입 냉수 공급 라인과 부정확하게 부설된다. 혼합 밸브가 이러한 방식으로 부정확하게 부설될 때, 고온에서 저온으로 조절하기 위한 회전 방향은 혼합 밸브 외장에 나타난 방향으로부터 역전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임의의 재부설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기 위해 정규적인 및/또는 연속하는 설비에 대한 혼합 밸브 작동의 동일한 조절 방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필요로 하는 것등은 온수 냉각 라인으로부터 온수가 상기 설비의 혼합 밸브의 각각의 동일한 온수 입구 포오트로 배향되며 냉수 공급 라인으로부터 냉수가 상기 설비의 혼합 밸브들의 각각의 동일한 냉수 입구 포오트로 배향되도록 필요시에 유입 고온 및 저온 유동 패턴을 간단히 역전시키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 내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낸다. 도1a 및 도2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 욕조, 또는 샤워 설비용 밸브 조립체(20)가 도시되어 있다. 밸브 조립체(20)는 4개의 나사(26)에 의해 주물(24)에 밀봉 연결된 덮개부(22)의 외부 구성요소를 포함하며,각각의 나사는 덮개부(22)의 이부(36)의 개구(34)와 정열된 리테이너(32)의 이부(30) 내의 개구(28) 및 주조체(24)의 이부(40)의 치형 개구(38)를 통과하여 그 사이에 밀봉 접속을 형성한다. 밸브 조립체(20)의 내부 구성요소는 상호접속된 덮개부(22) 및 주조체(24) 내에 밀봉 장착되며 덮개부(22) 내에 장착된 세라믹 카트리지 밸브인 혼합 또는 조절 밸브(42) 및 주조체(24) 내에 장착된 압력 균형기(44)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48), 기부 부재(50) 및 중간 부재(52)로 제조된 3개의 판 부재(46)가 그 사이에 끼워진다. 각각의 부재의 목적 및 설명은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밸브 조립체(20)는 압력 균형기(44)에 장착된 주조체(24)를 포함하며, 혼합 밸브(42) 내에 장착된 3개의 판 부재(46) 및 덮개부(22)를 포함한다. 압력 균형기(44)는 도1a 및 도2의 좌측면 상에 도시된 물 공급 라인(58)의 연속인 물 공급 포오트(56)와 연통하며 (도시되지 않은)온수 공급원에 접속되어질 도3에 도시된 판형 부재(46)의 위치1에 상응하는 주조체(24)의 챔버(54) 내에 장착된다. 도3의 위치1에 상응하는 물 공급 라인(62)의 연속인 물 공급 포오트(60)가 도1a 및 도2의 우측면 상에 놓여져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냉수의 공급원에 연결되어질 것이다. 압력 균형기(44)는 제1 플라스틱 단면(64), 제2 플라스틱 단면(66) 및 양판 조립체(68)를 포함한다. 압력 균형기(44)는 챔버(54) 내의 주조체(24)에 의해 형성된 견부(70)에 대해 놓여진다. 한쌍의 시일(72,74)은 압력 균형기(44)의 단면(64)과 온수 포오트(56)(도3의 위치1) 및 냉수 포오트(60)(도3의 위치1) 및 압력 균형기(44)의 단면(66) 사이의 접속부를 밀봉시킨다. 양판(poppet) 조립체(68)는 섹션(64, 67)에 의해 형성되는 챔버 내에 배치된다. 양판 조립체(68)는 일편의 양판 유닛(76)과 다이아프램(78)을 포함한다. 양판 유닛(76)은 양판 유닛(76) 상에 형성된 환형 견부(80)에 다이아프램(78)을 오버 몰딩함으로써 다이아프램(78)에 부착된다.
다이아프램(78)은 도1의 위치1에 도시된 유동 패턴에 대응하는 냉수 챔버(86)와 온수 챔버(84) 내로 섹션(84, 86)에 의해 한정되는 챔버를 분리하는 액밀 연결을 제공하도록 섹션(64, 66) 사이에 끼워진다. 도3의 위치2에서, 진입하는 온수와 냉수의 역전이 있지만, 이 변화를 제외하고는, 압력 균형기(44)는 동일한 기능을 계속할 것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온수 챔버(84)는 온수 포트(56), 중앙부(90) 및 출구부(92)와 통하는 입력부(88)를 구비한다. 냉수 챔버(86)는 입구부(94), 중앙부(99) 및 출구부(98)를 구비한다. 양판 유닛(76)은 중앙부(90) 내에 배치되는 온수 양판(100)과 중앙부(96) 내에 배치되는 냉수 양판(102)을 구비한다. 양판(100, 102)은 다이아프램(78)을 장착하는 양판 유닛(76)의 중앙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보어(104)는 온수가 섹션(64)과 양판(100) 후방으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양판(100)을 통해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마찬가지로, 보어(106)는 냉수가 섹션(66) 및 양판(102) 후방으로부터 유동하는 허용하도록 양판(102)을 통해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양판(100)은 중앙부(90) 내에 위치된 온수 포트(108)를 개폐함으로써 온수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고 양판(102)은 중앙부(96) 내에 위치된 냉수 포트(110)를 개폐함으로써 냉수의 유체 유동을 제어한다.
온수 압력 및 냉수 압력이 동일할 때, 다이아프램(78)은 동일량의 온수 및 냉수가 압력 균형기(44)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챔버(84, 86) 사이에 중앙 위치된다. 도3의 위치1에 유사하게, 온수는 고온 포트(56)를 통해 부분(88)에 공급되고, 중앙부(90)와 포트(108)를 통하여 결국은 출구 포트(99) 외부로 공급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냉수는 냉수 포트(62)를 통해 입구 포트(94)에 공급되고, 중앙부(96)와 포트(110)를 통하여 출구 포트(98) 외부로 공급된다. 온수 압력이 감소되어야 한다면, 양판 조립체(68)는 도2에 도시된 위치의 좌측으로 강제되거나 또는 온수 챔버(84)를 향해 강제된다. 이러한 이동은 냉수 포트(110)의 개구를 감소시키고 온수 포트(108)의 개구를 증가시켜 혼합 밸브(42)에 공급되는 혼합수의 온도를 안정화시키도록 온수와 냉수의 비율을 유지시킨다. 유사한 방식으로, 냉수 압력이 감소되어야 한다면, 양판 조립체(68)는 도2에 도시된 위치의 우측으로 강제되거나 또는 냉수 챔버(86)를 향해 강제된다. 이러한 이동은 온수 포트(108)의 개구를 감소시키고 냉수 포트(110)의 개구를 증가시켜 혼합 밸브(42)에 공급되는 혼합수의 온도를 안정화시키도록 냉수 및 온수의 비율을 유지시킨다. 압력 균형기(44)의 세부사항 및 그 기능은 본원에서 참조로 사용되는 개시물인, 양도인의 미국 특허 제5,501,244호에서 자세히 기술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1a 및 도2에 도시된 주조체(24)는 온수가 도면의 좌측에 도시되는 물 공급 포트(58)에 공급되고 냉수가 도면의 우측에 도시되는 물 공급 포트(62)에 공급되는 도3의 위치1에 대응한다. 또한, 혼합 밸브(42)로부터의 물 방출은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통(tub)으로의 유동을 위한 방출출구(114)를 통해 또는 (도시되지 않은) 샤워기로의 유동을 위한 방출 출구(116)를 통해 방출될 도2에만 도시된 방출 챔버(112)에 방출하도록 전달될 것이다.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밸브는 방출 유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이를 통 또는 샤워기로 향하게 한다.
덮개부(22)는 혼합 밸브(42)가 장착된 챔버(117)로 형성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혼합 밸브(42)는 유동 체적과 온도를 모두 조절하는 단일 제어형이지만, 임의의 혼합 밸브가 물론 사용될 수 있다. 유동 체적은 혼합 밸브(42)가 장착되는 덮개부(22)의 챔버(117)에 형성된 상부 개구(120)의 외향으로 돌출하는 도1a 및 도2에 도시된 조절 스템(stem; 118)을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제어된다. 조절 스템(118)을 상승시키면 유동 체적은 증가할 것이고, 조절 스템을 하강시키면 유동 체적은 감소할 것이다. 조절 스템(118)의 최하 위치는 유동을 정지시킬 것이고, 조절 스템(118)의 최고 위치는 최대 유동 체적을 제공할 것이다. 원한다면, 물 온도가 종래의 수준에 머무는 것을 보장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장치에 의해 온도의 범위 내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물 온도는 시계 방향 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의 조절 스템(118)을 회전시킴으로써 의해 제어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온수를 제어하는 시계반대 방향 회전과 냉수를 제어하는 시계 방향 회전인 종래 기술이 기술될 것이다. 따라서, 조절 스템(118)을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림으로써 물 온도는 증가되어 물은 더 뜨거워지고, 조절 스템(118)을 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물 온도는 하강하여 물은 더 차가워진다. 최고온수 온도는 조절 스템(118)을 시계반대방향으로 최대한 돌림으로써 달성되고 최저온수 온도는 조절 스템(118)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돌림으로써 달성된다. 최종적으로, 조절 스템(118)은 수온 기억장치로서 작용하고, 물의 체적이 많아지거나 적어질 때마다, 조절 스템(118)으로 인해 동일한 회전 위치에서 회전 위치를 위한 물의 온도는 유지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밸브(42)는 종래의 구성을 가지며, 조절 스템(118)은 커플러(122)를 통해 고정 세라믹 디스크(126)와 결합되어 작동식으로 위치된 이동가능한 세라믹 디스크(124)에 연결되어 공지의 방법으로 유량을 제어하고 혼합한다. 온수 및 냉수 각각은 분리 입구 포트(도시되지 않은)를 통해 혼합 밸브(42)로 분리되어 운반되고, 적당히 조절가능한 혼합 챔버(도시되지 않은)는 디스크(124,126) 내에 제공된다. 판 부재(46) 내에 형성된 각각의 배출 개구를 통해 혼합 밸브(42)로부터 압력 균형기(44)의 챔버 외부로, 최종적으로는 배출 챔버(112)로 혼합된 온수 및 냉수의 배출을 위한 출구 포트(도시되지 않은)가 제공되고, 배출 챔버(112)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된 온수 및 냉수는 통 또는 샤워기로 운반된다. 혼합 밸브(42)의 보다 상세한 이해 및 기능은 양수된 미국 특허 제5,329,957호 및 제5,402,827호에 기술되고, 그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설명되고 있다.
도1a, 도1b, 도2 및 도3에 도시되는 세 개의 판 부재(4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밀봉 연결되고, 기부 부재(50)는 도2에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캐스팅(24)의 챔버(54) 내에 장착된다. O-링 가스켓(28)은 기부 부재(50)의 원형 외부 환경에 형성된 환형 리세스(130) 내에 배열되어 캐스팅(24)의 챔버(54) 내에 그 장착물을 밀봉한다. 기부 부재(50)는 디스크형이며 가상선(131)을 따라 놓여지는 세 개의 개구를 가지며, 개구를 통해 연장된다. 도1a, 도1b,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선(131)을 따라 형성된 기부 부재(50)는 좌측에 형성된 개구(132), 중앙 배출 개구(134), 및 우측에 형성된 개구(136)를 갖는다. 기부 부재(50)의 기부 단부(138)는 도1b에 잘 도시되는 압력 균형기(44)의 상부 단부(144) 상에 형성된 한 쌍의 대향 탭(142) 상으로 안착되는 한 쌍의 대향 탭(140)을 갖는다. 압력 균형기(44)의 출구부(92)는 개구(132)의 편평 바닥과 밀봉 결합하고, 압력 균형기(44)의 출구부(98)는 개구(136)의 편평 바닥과 밀봉 결합한다. 도3의 위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32, 136)를 통해 입구 통로가 제공되고, 온수는 기부 부재(50)의 개구(132)로, 냉수는 기부 부재(50)의 개구(136)로 공급된다. 도1a, 도2, 도3에서, 온수는 굵은 선 화살표 H로 표시되고, 냉수는 일반 선 화살표 C로 표시된다.
기부 부재(50)의 중앙 개구(134)는 배출되어 압력 균형기(44)의 폐쇄된 외부를 통과하는 배출류를 수납하고(도1a, 도1b,도2에서), 상기 배출류는 배출 챔버(112)로 운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출구(114,116) 중의 하나를 통해 밸브 조립체(20)로부터 배출된다. 도1b에 잘 도시된, 기부 부재(50)의 상부 단부(146)는 편평면을 갖고, 이 면으로부터 두 개의 위치설정 핀(148)이 짧은 거리로 상부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서 적당히 배향되도록 중간 부재(52) 내에 배열된다(도시되지 않음). 또한, 두 쌍의 리세스가 중앙 개구(134)에 형성되고, 그 중 한 쌍의 리세스(150)는 우측에서 수평에서 상부로 45°증가하는 점선 대각선(152) 상에 형성되고, 다른 한 쌍의 리세스(154)는 좌측에서 수평에서 상부로 45°증가하는 점선대각선(157) 상에 형성된다. 리세스(150,154)의 쌍은 중앙에 중앙 개구(134)를 갖는 가상 정사각형의 코너에 배열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리세스(154)는 도3의 위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52)를 적당히 배향하도록 사용되고, 리세스(150)는 도3의 위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52)를 적당히 배향하도록 사용된다.
도3에만 도시되는 덮개부(22)는 챔버(117) 내에 형성되고, 한 쌍의 수직 리세스(156)는 덮개부(22)의 기부 단부에 도시된 점선(158)으로 표시되는 X-평면 상의 대향 측면에 배열되고, 한 쌍의 수직 리세스(160)는 덮개부(22)의 기부 단부에 도시된 점선(162)으로 표시되는 Y-평면을 따라 대향 측면에 배열된다. 상부 부재(48)는 디스크 형상이며, 기부 부재(50)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도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48)는 편평 기부 단부(164)를 갖고, 이것으로부터 소 반경 외부 돌출부(166)가 전방 측면에서 연장되고, 소 반경 외부 돌출부(168)는 우측면에서 연장되어, 전방 돌출부(166)에 대해 90°각도로 형성된다. 챔버(117) 내에 장착되는 상부 부재(48) 상에서, 돌출부(168)는 덮개부(22)의 전방 리세스(160) 내에 배열되고, 돌출부(168)는 우측 리세스(156) 내에 배열되어 챔버(117) 내에서 상부 부재(48)를 배향한다. 도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48)는 가상선(169)을 따라 놓여지고, 꾸불꾸불하게 연장되어 상부 부재(48)(도1a 참조)의 편평 상부 단부(171) 내로 빠져나간다. 또한, 이들 기부 부재(50)의 가상선을 따라 놓이는 개구와 상부 부재(48)의 가상선(169)을 따라 놓이는 세 개의 개구는 인접한 각 개구와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가상선(131, 169)는 서로 그리고가상선(158)에 대해 평행히고, 각각은 가상선(169)을 따라 형성된 X 평면 내에 놓인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부재(48)는 좌측에 형성된 온수 개구(170)와, 유동 방출을 위한 중앙 개구(172) 및 우측에 형성된 냉수 개구(174)를 구비하고 있다. 각 개구는 꾸불꾸불한 통로를 따라 상부 부재(48)를 통해 편평 상단(171)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서(도1a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음), 냉수 개구(170)는 혼합 밸브(42)의 온수 입구 포트(도시 않음)와 연통하고 냉수 개구(174)는 혼합 밸브(42)의 토출 포트(도시 않음)와 연통한다. 상부 부재(48)와 혼합 밸브(42) 사이의 물 유동 연결은 모두 가스켓(도시 않음) 등으로 적절히 밀봉되어 있다. 상부 부재(48)의 편평 하단부(164)는 기부 부재(50)의 가상 정사각형과 같은 크기 및 배향으로 되어 중앙 개구(172)에 대해 겹치게 형성된 가상 정사각형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부 부재(48)의 하단부(164)의 가상 정사각형은 도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사각형 코너에 형성된 상향 연장 리세스(178, 178 및 180, 180) 쌍들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리세스(178, 178)는 그 좌측에서 수평면으로부터 상향 증가하는 45도 경사 점선(182)을 따라 중앙 개구(172)의 양측 상에 형성되고, 다른 쌍의 리세스(180, 180)는 그 우측에서 수평면으로부터 상향 증가하는 45도 경사 점선(184)을 따라 중앙 개구(172)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중간 부재(52)는 상부 부재(48)와 저부 부재(50) 사이에 밀봉 장착되고 덮개부(22)의 챔버(117) 내에 거의 단독으로 배치된다. 중간 부재(52)는 부재952)를 통해 연장되는 세 개의 개구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들 개구는 각각 도3의 위치 1 및 X 평면에서 가상선(131, 158, 169)에 평행한 가상 수평선(179)을 따라 형성되고, 도3의 위치 2는 Y평면에서 가상선(162)에 평행하게 놓이게 된다. 중간 부재(52)는 도3의 위치(1)에 배치되어 있고 도1a,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에 형성된 개구(186)는 저부 부재(50)의 개구(132) 및 상부 부재(48)의 개구(170)와 축방향 정렬되어 공급 라인(58) 내에서부터 나오는 온수가 압력 균형기(44)를 통과하게 되어 판 부재(46)의 개구(132, 186, 170)를 통과하고, H로 굵은 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혼합 밸브(42)의 온수 입구 포트로 반송된다. 중간 부재는 저부 부재(50)의 개구(136) 및 상부 부재(48)의 개구(174)와 축방향 정렬되어 우측에 형성된 개구(188)를 갖고 있어서 공급 라인(62) 내에서 발생하는 냉수는 압력 균형기(44)를 통과하게 되고 판 부재(46)의 개구(136, 188, 174)를 통과하여 화살표(C) 방향으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 밸브(42)의 냉수 입구 포트로 반송된다. 혼합 밸브(42)의 토출 포트의 유동은 도3의 위치1과 도3의 위치 2에서 동일하며, 유동은 상부 부재의 중앙 개구(172), 중간 부재(52)의 중앙 개구(190), 및 저부 부재(50)의 중앙 개구(134)를 통해 하향 통과하게 된다. 저부 부재(50)와 상부 부재(48) 내의 각 개구 쌍들은 도3의 위치 1 및 도3의 위치 2에 대해 축방향 정렬되어 유지된다.
도1 내지 도8에 도시한 중간 부재(52)는 상부 부재(48)의 것과 같은 직경 및 크기로 대략 디스크형태로 되어 있다. 짧은 수직 전방 돌기(192)는 외주로부터 반경 외향으로 중앙점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다. 중간 부재(52)의 적절한 배향은 상부 위치에 항상 배치된 상태로 돌기(192)에 의해 유지된다. 짧은 제2 후방 외향 돌기(194)는 돌기(192)로부터 외주 180도의 반대편의 중앙점으로부터 연장된다.도3, 도4a 및 도5a의 위치 1에서, 돌기(192)는 가상선(162)에 평행한 선에 대해 평행한 선 상에 놓여서, 덮개부(22)의 챔버(117) 내의 중간 부재(52)를 조립할 때, 돌기(192)는 전방 리세스(160)로 들어가게 되고 후방 돌기(194)는 후방 리세스(160)에 들어가게 된다.
도5a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위치 1), 중간 부재(152)는 상부 부재(48)의 경사 점선에 평행한 단면선(6-6)을 따라 놓이는 한 쌍의 짧은 상부 상향 돌기(196, 196)들을 갖고 있다. 제2의 짧은 하향 연장 돌기(198, 198)들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저부 부재(50)의 경사 점선(154)에 평행하게 놓여 있다(도1b). 중간 부재(52)의 돌기(196, 196 및 198, 198)는 상부 부재(48)의 리세스(178, 178 및 180, 180) 및 저부 부재(50)의 리세스(150, 150 및 154, 154)에 의해 형성된 각 가상 정사각형과 같은 크기 및 같은 코너 위치에 놓여 있다.
도3, 도4a 및 도5a의 위치 1에서, 중간 부재(52)의 돌기(196)는 상부 부재(48)의 리세스(178) 내에 배치되고 중간 부재(52)의 돌기(198)는 기부 부재(50)의 리세스(154) 내에 배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 부재(52)의 돌기(192, 194)는 덮개부(22)의 리세스(160)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3, 도4a 및 도5a의 위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52)는 기부 부재(50)의 개구(132) 및 상부 부재(48)의 개구(170)와 직접 연결되는 개구(186)와, 기부 부재(50)의 개구(136) 및 상부 부재(48)의 개구(174)와 직접 연결되는 개구(188)를 갖도록 지향된다. 도4a 및 도5a에 도시된 굵은 선 화살표(H)로 표시된 바와 같이, 온수는 개구(186)를 통하여 수직하게 위로 통과한다. 같은방식으로, 도4a 및 도5a에 도시된 일반 선 화살표(C)로 표시된 바와 같이, 냉수는 개구(188)를 통하여 수직하게 위로 통과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방향은 덮개부(22)의 전방 리세스(160)를 결합하는 돌기(192) 및 덮개부(22)의 후방 리세스(160)를 결합하는 돌기(194)에 의해 확보된다. 중간 부재(52)의 상부 돌기(196)는 상부 부재(48)의 리세스(180) 내에 배치되고 기부 돌기(198)는 기부 부재(50)의 리세스(154) 내에 배치된다.
중간 부재(52)는 상부(200)로부터 바닥(202)으로 연장되는 중심 개구(190)를 갖고 상부 부재(48) 및 기부 부재(50)의 해당 개구(172, 134)와 일렬을 이룬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부재의 해당 부재(48, 50, 52)의 다양한 개구의 접촉은 중간 부재(52)의 어느 한 측면에 위치된 이중 다원형 가스켓(204)에 의해 밀봉된다. 가스켓(204)은 중간 부재(52)의 중심 개구(190)의 상부 및 바닥을 둘러싸는 중심 개구(206)를 갖는다. 도7을 보면, 중간 부재(52)의 상부(200) 및 바닥(202) 사이 부재의 중심에 있는 중심 개구(190)에 대하여 형성된 환형 분배벽(208)이 있다. 도5a, 도5b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52)의 개구(186, 188)는 분배벽(208)을 통하여 연장된다. 위로부터 본 모양으로 도5a 및 도5b에 가장 잘 도시된 한 쌍의 상부 채널(210)은 개구(186, 188)로부터 약 90°정도 연장되도록 분배벽(208) 위를 시계방향으로 이어지며 해당 돌기(194, 192)의 안쪽으로 종결되고 이에 인접한다. 위로부터 본 모양으로 도5a 및 도5b에 가장 잘 도시된 한 쌍의 기부 채널(212)은 개구(186, 188)로부터 약 90°정도 연장되도록 분배벽(208) 아래를 반시계방향으로 이어지며 해당 돌기(192, 194)의 안쪽으로 종결되고 이에 인접한다.
공급 라인(58)이 냉수(도시 생략)을 수용하도록 연결되고 공급 라인(62)이 온수(도시 생략)을 수용하도록 연결될 때마다, 도3, 도4b 및 도5b의 위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를 지향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중간 부재(52)는 개구(186, 188)를 가상선(162)에 평행하고 Y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지향된다. 돌기(192)는 좌측 리세스(156)와 결합하고 돌기(194)는 우측 리세스(156)와 결합함과 함께, 돌기(192, 194)는 가상선(158)에 평행하고 덮개부(22)의 리세스(156) 내에 배치된다. 중간 부재(52)의 상부 돌기(196)는 상부 부재(48)의 리세스(178) 내에 배치되고 바닥 돌기(198)는 기부 부재(50)의 리세스(150) 내에 배치된다. 이는 각각의 바닥 채널(212)의 폐쇄 단부를 기부 부재(50)의 해당 개구(132, 냉수 및 136, 온수)와 연결하도록 위치한다. 위로부터 본 모양으로 도4b 및 도5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는 바닥 채널(212) 내에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고 중간 부재(52)의 상부 채널(210) 내에서 시계방향으로 운동을 계속하도록 중간 부재(52)의 개구(186)를 통하여 혼합 밸브(42)의 냉수 입구 포트로 이어지는 상부 부재(48)의 개구로 전달되도록 상부 채널(210)의 단부까지 수직으로 위를 향하여 이동한다. 기부 부재(50)의 개구(132)로부터 상부 부재(48)의 개구(174)로 가는 냉수에 있어서, 냉수는 중간 부재 내에서 180°이동하여 온 위치(도3의 위치 1)로부터 냉 위치(도3의 위치 2)로 물 공급 라인이 180°절환되는 것을 막도록 그 차체를 효과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바꾼다. 같은 방식으로, 온수는 그 자체를 기부 부재(50)의 개구(132)로부터 상부 부재(48)의 개구(170)로 가는 유동의 방향을 효과적으로 반대로 바꾸도록 중간 부재(52) 내에서 180°이동한다. 이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52) 내에서 이동하는 도4b 및 도5b에 도시된 일반 선 화살표(C)에 의해 표시된 냉수에 의해 일어나고, 또한 위에서 설명된 중간 부재(52) 내에서 이동하는 도4b 및 도5b에 도시된 굵은 선 화살표(H)에 의해 표시된 온수에 의해 일어난다. 그러므로, 혼합 밸브(42)는 온수와 냉수를 그 설치가 표준(위치 1) 또는 연속(위치 2)이건 간에 동일한 해당 온수 입구 포트 및 냉수 입구 포트 내에 항상 수용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가 위에 설명된 반면, 많은 수정, 치환 및 대안들이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뿐만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도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경제적이고 신뢰성을 갖고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동 전환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혼합 밸브의 지정된 온수 입구 포트로 온수가 전달되고 혼합 밸브의 지정된 냉수 입구 포트로 냉수가 전달되도록 혼합 밸브에 항시 연결된 유동 전환기 조립체에 있어서,
    하우징과,
    2개의 위치 중 하나에 연결된 온수 입구 라인과,
    2개의 위치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냉수 입구 라인과,
    온수 및 냉수를 분리하여 혼합 밸브에 전달하도록 상호 연결된 통로를 구비한 하우징 내에 밀봉식으로 장착된 복수의 상호연결 판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판 부재들은 상부 부재, 기부 부재 및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부재는 혼합 밸브에 결합되고,
    상기 기부 부재는 2개의 위치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서 온수 입구 라인 및 냉수 입구 라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온수 및 냉수를 혼합 밸브의 입구 포트로 항시 전달하도록 온수 입구 라인 및 냉수 입구 라인이 연결되는 하나의 위치 또는 다른 하나의 위치에 반응하여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전환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온수 및 냉수가 혼합 밸브의 상기 입구 포트로 항시 전달되도록 하우징 내의 판 부재들의 중간 부재를 하나의 위치 또는 다른 하나의 위치로배향하기 위한 위치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전환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는 온수용 및 냉수용의 한쌍의 개구를 갖고, 상기 기부 부재는 온수 또는 냉수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한쌍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온수 입구 라인 및 냉수 입구 라인의 하나의 위치 및 다른 하나의 위치로 한 통로 내의 온수와 다른 통로 내의 냉수가 혼합 밸브의 상기 입구 포트로 연속적으로 전달되기 위해 관통 개구가 90도 내지 180도 범위에 걸쳐 판 부재의 기부 부재와 상부 부재와 연통하도록 채널 쌍들이 관통 개구의 각 측면상의 중간 부재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전환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위치 및 다른 하나의 위치는 사실상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고, 온수 입구 라인 및 냉수 입구 라인은 사실상 동일한 평면에서 하나의 위치 또는 다른 하나의 위치 내에 역전식으로 위치하고, 판 부재들 내의 관통 개구들은 하나의 위치 내에서 사실상 선상으로 배치되고 중간 부재 및 상부 부재는 다른 위치에서 각각 약 90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전환기 조립체.
  5. 제1 입구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제2 입구로부터 물을 받아, 그 물을 출구로 배출하는 밸브 카트리지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서 서로 밀봉식으로 상호 접속된 다수의 판 부재와,
    제1 위치에서 하우징 내의 판 부재를 배향시키는 위치 설정 수단을 포함하고,
    판 부재는 상부 부재, 기부 부재 및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각각의 판 부재는 제1 입구와 제2 입구에 각각 연통되는 상호 접속 개구를 구비하고,
    중간 부재는 그 각각의 개구로부터 연장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한 쌍의 기부 채널과, 그 각각의 개구로부터 연장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 채널을 구비하고,
    기부 채널은 기부 부재에 인접 형성되고 상부 채널은 상부 부재에 인접 형성되고, 기부 채널과 상부 채널은 중간 부재의 양 측면 상에 형성되고,
    각각의 기부 채널은 상부 채널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개구는 그 사이의 상호 연결로서 채널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판 부재 내의 개구들은 실제 직접 연통되거나, 중간 부재의 기부 및 상부 채널을 이용하여 중간 부재를 약 90°배향하고 판 부재 내의 개구를 약 180°배향하여 이동시키도록 제2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KR1020010011650A 2000-03-07 2001-03-07 유동 전환기 조립체 KR200100884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19,275 2000-03-07
US09/519,275 US6237622B1 (en) 2000-03-07 2000-03-07 Flow diverte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426A true KR20010088426A (ko) 2001-09-26

Family

ID=2406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650A KR20010088426A (ko) 2000-03-07 2001-03-07 유동 전환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37622B1 (ko)
KR (1) KR20010088426A (ko)
CN (1) CN1196879C (ko)
CA (1) CA2337125A1 (ko)
MX (1) MXPA010024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20948B1 (en) * 1998-07-22 2002-06-29 Kerox Multipolar Ii Kft Mixing battery
US7392307B2 (en) * 2001-02-14 2008-06-24 Ricoh Co., Ltd. Method and system of remote diagnostic, control and information collection using a shared resource
WO2004027298A1 (ja) * 2002-09-17 2004-04-01 Hayakawa Valve Production Co., Ltd. 切換コック用の弁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切換コック
US7100630B2 (en) * 2003-12-12 2006-09-05 Newfrey Llc Water guard pressure balancer
US20050151106A1 (en) * 2004-01-08 2005-07-14 Yong Qiang He Ceramic cartridge for a stop valve
CN100445618C (zh) * 2004-09-05 2008-12-24 耿玉顺 一种新型混水笼头阀
KR100670931B1 (ko) * 2004-12-29 2007-01-19 김종구 수도 밸브
US8578966B2 (en) 2006-07-28 2013-11-12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Mixing valve
US7753074B2 (en) 2006-07-28 2010-07-13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Mixing valve
CA2686832A1 (en) * 2007-05-08 2008-11-20 Kohler Co. Coupling assembly for plumbing fitting
ATE482018T1 (de) * 2007-09-24 2010-10-15 Siemens Ag Mischvorrichtung mit ventilscheiben
US20090242051A1 (en) * 2008-03-25 2009-10-01 Lan Xinlu Internal assembly for a faucet
US8667987B2 (en) * 2011-02-14 2014-03-11 Stoneage, Inc. Flow controlled switching valve
US8733396B2 (en) * 2011-09-07 2014-05-27 Chun-Chieh Huang Controlling seat structure for a faucet
US9395001B2 (en) 2014-03-18 2016-07-19 Stoneage, Inc. High pressure fluid spray nozzle incorporating a flow controlled switching valve
JP5577364B2 (ja) * 2012-03-05 2014-08-20 株式会社タカギ 湯水混合栓
CN202561120U (zh) * 2012-04-17 2012-11-28 北京科勒有限公司 分水器
US8695635B1 (en) * 2012-10-25 2014-04-15 Hsiang Hung Wang Mixing valve device switchable to different outlet
US9416884B2 (en) 2013-03-13 2016-08-16 Kohler Co. Fluid control valve and assembly
US9069359B2 (en) 2013-03-13 2015-06-30 Kohler Co. Pressure balance unit
US9182045B2 (en) * 2013-03-13 2015-11-10 Kohler Co. Concentric diverter cartridge
US9334971B2 (en) 2013-03-13 2016-05-10 Kohler Co. Universal valve body
US9879407B2 (en) 2014-12-12 2018-01-30 Kohler Co. Faucet handle fitting
CN104896145B (zh) * 2015-05-20 2017-12-08 路达(厦门)工业有限公司 混合阀
DE102015012040A1 (de) * 2015-09-21 2017-03-23 Oras Oy Ein Bausatz für eine sanitäre Unterputzarmatur mit einem Verbindungsbauteil und einer Ventilfunktionseinheit
US20170328042A1 (en) * 2016-05-16 2017-11-16 Dahata Inc. Wall faucet
GB2558891B (en) * 2017-01-13 2022-05-04 Kohler Mira Ltd Multiple outlet shower control
US10935157B2 (en) * 2017-07-12 2021-03-02 Masco Canada Limited Low profile faucet handle assembly for a roman tub
CN112512957B (zh) * 2018-07-26 2023-03-28 神乐飞思特株式会社 分配器和旋塞
EP3883695B1 (en) 2019-02-19 2024-02-14 Stoneage, Inc. Switcher nozzle high efficiency flow insert
CA3094865C (en) 2019-10-07 2024-01-02 Masco Canada Limited Mixing valves, valve modules, and valve module assemblies
US11215289B1 (en) * 2021-04-08 2022-01-04 Chunhe Qiu Valve core assembly
US20220325809A1 (en) * 2021-04-08 2022-10-13 Chunhe Qiu Valve core assembly
US11614174B1 (en) * 2022-01-03 2023-03-28 Chunhe Qiu Fluid channel structure, valve core assembly and tap
US20220325808A1 (en) * 2021-04-08 2022-10-13 Chunhe Qiu Valve cor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4048A (en) 1970-04-09 1972-07-04 Masco Corp Mixing valve
US3823737A (en) 1973-07-26 1974-07-16 American Standard Inc Adaptor for plumbing fitting
US4397330A (en) 1981-08-19 1983-08-09 United States Brass Corporation Mixing valve for back to back installation
IT1185805B (it) 1985-06-13 1987-11-18 Gevipi Ag Cartuccia con fondello rimovibile per rubinetto miscelatore a piastrine in materiale duro
US4676270A (en) 1985-12-03 1987-06-30 Masco Corporation Single handle mixing valve incorporating a cartridge and a reversing piston
JPH0652104B2 (ja) 1987-06-25 1994-07-06 マスコ コーポレーション 方位決定機構付可逆底部弁カートリッジ
US4981156A (en) 1988-09-30 1991-01-01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Temperature and volume control valve assembly
US5095934A (en) 1991-04-16 1992-03-17 Kohler Co. Fluid valve
CH685205A5 (de) 1992-05-18 1995-04-28 Fides Treuhand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e sanitäre Mischarmatur.
IT1260748B (it) * 1992-06-01 1996-04-22 Orlando Bosio Dispositivo di ingresso separato di acqua calda e fredda e di uscita di acqua calda, fredda o miscelata in cartuccia miscelatrice monocomando particolarmente adatta per gruppo vasca
US5806552A (en) 1997-03-21 1998-09-15 Sterling Plumbing Group, Inc. Fluid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37125A1 (en) 2001-09-07
CN1196879C (zh) 2005-04-13
US6237622B1 (en) 2001-05-29
CN1321842A (zh) 2001-11-14
MXPA01002428A (es) 200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8426A (ko) 유동 전환기 조립체
US7143786B2 (en) Two-handle flow-through valve
US4378029A (en) Single control faucet
US4617965A (en) Control insert for sanitary mixer valves
US8613293B2 (en) Insertion to a single-grip, rotation-operated mixing faucet
US4676270A (en) Single handle mixing valve incorporating a cartridge and a reversing piston
US3929283A (en) Thermostatic mixing apparatus and a related method for regulating temperature
KR20070027313A (ko) 수도밸브카트리지
US5507314A (en) Mixer valve having a ball valve element
US4972877A (en) Bypass valve
US3794074A (en) Mixer taps
US4346735A (en) Water faucet and attachment therefor
EP0593489B1 (en) Mixer valve having a ball valve element
US4328830A (en) Fluid mixing valve
KR19980087042A (ko) 2/3 핸들 압력 평형기 시스템
CA2398028A1 (en) Hot and cold water mixer tap with thermostatic and flow diverter unit
CN111904308A (zh) 一种双水路淋浴器
CA2351277A1 (en) Faucet assembly
JPH0535250Y2 (ko)
US20060219304A1 (en) Increased area single handle fluid cartridge
JP3594114B2 (ja) 風呂装置及び切り替え弁
KR920008601B1 (ko) 단일 핸들형 위생 혼합 밸브
EP0092545B1 (en) Single control faucet
CN214789184U (zh) 一种调温模组及龙头
KR100445456B1 (ko)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