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456B1 -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 Google Patents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456B1
KR100445456B1 KR10-2002-0004057A KR20020004057A KR100445456B1 KR 100445456 B1 KR100445456 B1 KR 100445456B1 KR 20020004057 A KR20020004057 A KR 20020004057A KR 100445456 B1 KR100445456 B1 KR 10044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termittent
cold
hot 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771A (ko
Inventor
서완석
Original Assignee
서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완석 filed Critical 서완석
Priority to KR10-2002-0004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456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4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65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flat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2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providing a continuous small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Abstract

본 발명은 냉, 온수를 혼합하여 온도조절기능을 수행하는 조절밸브가 출수노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그 구조가 간단히 구성되도록 하므로써, 제작원가의 절감 및 고장발생률의 감소와 고장발생에 따른 유지보수가 손쉬운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냉수와 온수가 구분되어 입수되도록 하기 위해 일측에 입수구가 형성된 설치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입수구가 형성된 결합부에 삽입되어 입수구가 형성된 면과 밀착결합되며, 냉, 온수가 각각 독립되게 형성된 입수구에 각각 대응되도록 입수구멍이 형성되고, 입수구멍의 일측에 입수된 냉, 온수가 혼합되는 혼합홈이 구분되게 형성된 단속판A와; 상기 단속판A와 각도회동 가능하게 밀착결합되며, 단속판A와 대향되는 면에 입수구멍으로 공급되는 용수를 혼합홈으로 전달시키도록 단속홈이 형성되고, 혼합홈과 대향되는 단속홈 내측에 출수구멍이 형성된 단속판B와; 상기 단속판A와 단속판B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본체의 설치부와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출수구멍과 연통되어 용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하는 출수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Intermittence valve having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water}
본 발명은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냉, 온수를 혼합하여 온도조절기능을 수행하는 조절밸브가 출수노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그 구조가 간단히 구성되도록 하므로써, 제작원가의 절감 및 고장발생률의 감소와 고장발생에 따른 유지보수가 손쉬운 수전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각종 건축물에는 상, 하수도를 유도하여 생활에 필요한 용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도가 설치되며, 이 수도는 상기 건축물에 자체 설치된 보일러 등에 의해 냉수와 온수로 구분되어 공급된다.
상기 수도에 의해 공급되는 용수는 각 건축물의 보일러 등에 공급된 후 각각 다른 관체에 의해 이송되며, 목적하는 장소에서 이들을 혼합하여 목적하는 온도의 용수(주로 적용되어지는 용수로는 수돗물이 적용됨)로 취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된 냉, 온수를 혼합하기 위해서는 냉, 온수의 유입정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단속밸브(이하, 수전금구라 칭함)가 설치되며, 이와 같은 수전금구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종래의 구성을 갖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수전금구는 크게 외장이 되는 케이싱부(10)와, 상기 케이싱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취출되는 용수의 단속 및 냉, 온수의 온도조절을 수행하는 단속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부(10)는 냉수와 온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냉, 온수를 취출하는 출수노즐(11)을 갖는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 온수를 목적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용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레버(13)와, 상기 레버(13)와 본체(12)의 사이에 설치되어 레버(13)에 의해 용수의 단속 및 온도를 조절하는 단속부(20)가 내장되는 외장커버(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2)에는 단속부(20) 측으로 냉, 온수를 각각 구분하여 공급하기 위해 결합홈(16)이 형성되고, 결합홈(16)의 바닥면에 입수구(18)와, 단속부(20)를 통과한 용수가 출수되기 위한 출수구(17)가 출수노즐(11)과 연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속부(20)는 단속부(2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이 내부에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단속부 커버(21)와, 상기 단속부 커버(2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레버(13)와 결합되는 레버연결돌기(21a)가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판(22)과, 상기 레버연결돌기(21a)의 하측에 결합되어 레버연결돌기(21a)의 회동에 의해 고정판(22)에서 전, 후로 슬라이딩 되는 유동판(23)과, 상기 유동판(23)에 단속상판(31)이 결합되고 단속상판(31)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단속하판(33)이 결합된 단속판 결합체(30)와, 상기 고정판(22) 내지 단속판 결합체(30)가 내장되는 단속부 커버(21)의 개방된 하측단부를 마감하는 마감체(24)로 구성된다.
상기 단속판 결합체(30)는 단속하판(33)에 냉, 온수가 각각 유입되는 입수구멍(34)과 출수구멍(35)이 구분되게 형성되고, 단속상판(31)에는 각각 입수된 냉, 온수가 혼합되기 위한 혼합홈(32)이 형성되며, 단속상판(31)과 단속하판(33)은 세라믹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호 밀착되는 면이 다이아몬드휠에 의해 극히 미세한 거칠기로 연마되어 상호 면 사이에 밀착력이 발생됨으로 인해 특별한 체결구조를 갖지 않는 상태에서도 슬라이드 가능하게 밀착구성된다.(상기 단속하판과 단속상판은 당업계에서 주로 '캐트리지'라 호칭되어짐)
또한, 상기 단속부(20)가 본체(12)의 결합홈(16)에 안착된 상태에서 냉,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마감체(24)에도 입수구멍(25)과 출수구멍(26)이 형성됨은 당연하며, 입수 및 출수시 물이 결합홈(16) 측으로 누수됨을 방지하기 위해 입수구멍(25)과 출수구멍(26)에는 실링부재(27)가 간섭되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속밸브는 냉, 온수가 본체(12)에 각각 구분되어 유입되고, 유입된 냉, 온수가 각각의 입수구(17), 마감체(24)의 유입구멍(25) 및 단속하판(33)의 입수구멍(34)을 통해 입수된 후, 단속상판(31)의 혼합홈(32)에서 혼합되어 단속하판(33), 마감체(26)의 출수구멍(35, 26)과 본체(12)의 출수구(18) 및 이와 연통된 출수노즐(11)을 통해 외부로 출수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13)를 상, 하로 유동시킴에 의해 상기 단속상판(31)이 단속하판(33)에서 슬라이딩되어 입수구멍(34)을 통과한 냉, 온수가 혼합홈(32) 내로 유입 및 차단되어 용수의 단속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냉, 온수의 혼합비율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레버(13)를 좌, 우로일정각도 회동시킴에 의해 레버연결돌기(21a)와 고정판(22) 및 유동판(23)이 레버(13)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어 단속상판(31)이 단속하판(33)에서 일정각도 이격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혼합홈(32)이 냉수와 온수의 입수구멍(34)에 의해 개방되는 정도가 변화되어 냉수와 온수의 유입되는 정도에 차등이 발생됨으로써 냉수와 온수의 비율이 변화된다.
이에 따라, 상기된 냉, 온수의 혼합에 따른 용수의 온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된 것과 같은 종래의 수전금구는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과정에서의 복잡성과, 조립 및 각 부품의 제작에 따른 시간지연이 발생되어 생상성의 저하와 이에 따라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의 단속밸브는 많은 개수의 부품이 결합되어 결합된 부위가 각각 슬라이딩 또는 회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장발생률이 높아지게 되며,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분해 조립이 난해하여 유지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냉, 온수를 혼합하여 용수의 온도 조절 및 용수의 차단 및 취출되는 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손쉬운 조립상태 제공 및 작업시간, 작업경비를 단축시키고,상호 슬라이딩 또는 회동되는 결합부위를 최소화 한 단속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수전금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수전금구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전금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전금구의 결합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냉,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 작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본체 41: 설치부
50: 단속기구 51: 단속판A
52: 입수구멍 53: 혼합홈
54: 단속판B 55: 단속홈
56: 출수구멍 60: 출수노즐
70: 표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특징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냉수와 온수가 구분되어 입수되도록 하기 위해 일측에 입수구가 형성된 설치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입수구가 형성된 결합부에 삽입되어 입수구가 형성된 면과 밀착결합되며, 냉, 온수가 각각 독립되게 형성된 입수구에 각각 대응되도록 입수구멍이 형성되고, 입수구멍의 일측에 입수된 냉, 온수가 혼합되는 혼합홈이 구분되게 형성된 단속판A와; 상기 단속판A와 각도회동 가능하게 밀착결합되며, 단속판A와 대향되는 면에 입수구멍으로 공급되는 용수를 혼합홈으로 전달시키도록 단속홈이 형성되고, 혼합홈과 대향되는 단속홈 내측에 출수구멍이 형성된 단속판B와; 상기 단속판A와 단속판B로 이루어진 단속기구를 내부에 위치되도록 본체의 설치부와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출수구멍과 연통되어 용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하는 출수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전금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수전금구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수전금구는 본체(40)와, 본체(40)를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차단 및 개방시키거나 냉, 온수의 혼합량을 조절하여 용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속기구(50)와, 단속기구(50)를 동작시키기 위해 본체(40)와 상, 하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동시에 용수가 출수되는 통로가 되는 출수노즐(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40)는 단속기구(50)와 출수노즐(60)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41)를 가지며, 이 결합부(41)는 본체(40)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일측면에 결합홈(4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홈(42)에는 냉수와 온수가 구분되어 입수되기 위한 입수구멍(4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입수구멍(43)은 본체(40)의 양측으로 연통형성된 통로(44)를 통해 건축물의 관체(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결합홈(42)과 결합되는 출수노즐(60)의 단부에는 결합홈(42)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턱(61)이 형성되며, 상기 출수노즐(60)이 결합홈(42) 상에서 상, 하로 일정각도 회동하기 위해서는 결합홈(42)과 출수노즐(60)이 원형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결합홈(42)과 결합턱(61)의 사이에는 연질의 합성수지나 고무재의 실링부재(62)가 장착되어 결합홈(42)의 입수구멍(43)을 통해 공급된 물이 결합홈(42)과 출수노즐(60)의 결합부분으로 누수됨을 방지한다.
상기된 것과 같은 구성은 상기 결합홈(42)과 출수노즐(60)의 결합턱(61) 내부에 단속기구(50)가 장착됨을 의미하게 되며, 상기 단속기구(50)는 단속판A(51)와, 단속판B(54)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속판A(51)는 입수구(43)가 형성된 결합홈(42)에 삽입되어 입수구(43)가 형성된 면과 밀착결합되며, 냉, 온수가 각각 독립되게 형성된 입수구(43)에 각각 대응되도록 입수구멍(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속판B(54)와 대향되는 단속판A(51)의 면에는 입수구멍(52)의 일측에 입수된 냉, 온수가 혼합되는 혼합홈(53)이 구분되게 형성되며, 결합홈(42)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단속판B(54)는 단속판A(51)와 밀착결합되며, 단속판A(51)와 대향되는 면에 입수구멍(52)으로 공급되는 용수를 혼합홈(53)으로 전달시키도록 단속홈(5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속판B(54)의 혼합홈(53)과 대향되는 단속홈(55) 내측에 출수구멍(56)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멍(56)은 상기된 출수노즐(60)의 내부 통로(63)와 연통되어 용수가 외부로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출수노즐(60)과는 고정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단속판A(51)와 단속판B(54)는 세라믹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호 접합면이 다이아몬드휠에 의해 극히 미세하게 가공되어 상호 슬라이딩 및 회전가능하게 밀착 결합되며, 이는 주지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된 입수구멍(52)은 도면에서와 같이 만곡된 슬릿형태의 홈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사각형태 마름모의 형태 등 여러 형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이는 물이 입수되기 위해 저항이 가장 적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설계상의 차이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만곡된 슬릿형태를 기본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출수노즐(60)이 상, 하로 회동될 때 용수가 차단된 상태 및 냉, 온수가 혼합되고 출수되는 온도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결합부(41)와 출수노즐(60)에는 눈금표시부(71) 및 지침(72) 등이 표현된 표시부(70)가 형성된다.
도 5a는 상기된 수전금구에 의해 용수가 차단된 상태의 예시도이며, 이는 본체(40)를 통해 입수된 용수가 결합부(41)의 입수구(43)를 통해 단속기구(50)로 진행될 때, 상기 단속판A(51)의 입수구멍(52)은 단속판B(54)의 단속홈(55)과 연통되지 않아 차단되는 상태이다.
즉, 상기 상태는 단속판B(54)의 입수구멍(52)이 단속판A(51)의 면에 의해 밀폐된 상태임을 의미하며, 이 때, 상기 출수노즐(60)은 최상측을 향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도 5b는 상기된 수전금구에 의해 용수 중 냉수만이 출수되는 상태의 예시도이며, 이는 상기 단속판B(54)의 단속홈(55)이 단속판A(51)의 냉수가 입수되는 입수구멍(52)(도면의 상측에 형성된 입수구멍)에만 연통되고, 온수가 입수되는 입수구멍(52)(도면의 하측에 형성된 입수구멍)을 밀폐시킨 상태이다.
이 때, 상기 출수노즐(60)은 도 5a에 비해 낮은 경사도를 유지하며 구비된다.
도 5c는 상기된 수전금구에 의해 냉수와 온수가 혼합되어 출수되는 상태의 예시도이며, 이는 상기 단속판B(54)의 단속홈(55)이 단속판A(51)의 냉수 및 온수가 입수되는 입수구멍(52)에 모두 연통된 상태이다.
이 때, 상기 출수노즐(60)은 도 5b에 비해 낮은 경사도를 유지하며 구비되고, 이와 같이 출수노즐(60)이 점점 낮은 경사도로 하강 회동될수록 냉수에 비해 온수의 유입량이 높아지게 되며, 최하단까지 하강 회동되면 온수만이 출수됨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단속판A(51)의 혼합홈(53)은 양측에서 입수되는 용수를 혼합하기 위한 공간을 넓혀 혼합홈(53)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분히 혼합되지 않은 용수가 공급될 때 온도가 불안정하게 가변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더불어 양측에서 일정 압력으로 입수되는 용수의 압력을 낮춘 후 출수되도록 하기 위한 증설된 혼합공간이 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1>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에 관한 것으로써, 이는 냉수 또는 온수 중 어느 일측의 용수(주로 냉수)만이 공급될 때 구성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1에 의한 수전금구는 본체(40)로 유입되는 단일의 용수에 대한 입수구(43)가 설치홈(42)에 형성되고, 이로 인해 상기 단속판A(51)의 입수구멍(52)도 단독적으로 형성되어 출수노즐(60)의 상, 하 회동에 의해 용수의 차단 및 개방 또는 회동정도의 조절에 따른 출수되는 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된 다른 실시예는 원실시예의 간단한 구성에서 더 나아가 건축물의 특성상 냉수 또는 온수가 공급되는 지점에서 단속밸브를 더욱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2>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에 관한 분해사시도로써, 이는 상기 단속기구를 더욱 단순화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2에 의한 단속기구(80)는 단속판A(81)의 입수구멍(82)과 대응되도록 단속판B(83)에 단속구멍(84)을 형성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에 의해 용수의 출수를 단속하게 된다.
상기된 구성의 단속기구(80)는 도 8에서와 같이 은선도에서와 같이 용수가 출수되지 못하는 밀폐상태, 일점쇄선도에서와 같은 냉수만 출수하는 상태, 실선도와 같이 냉, 온수의 동시 출수상태, 또한, 이를 더 유추하여 출수노즐(60)을 더욱 하강시켰을 때 온수만이 출수되는 상태를 각각 유지하는 작용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냉, 온수가 동시에 출수될 경우에 냉, 온 용수는 출수노즐(60)에서 혼합되어 출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해진 구조에 의해 그 중량이 현격히 감소될 뿐만아니라, 각 부품의 우수한 조립성 및 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작원가가 절감되고, 상호 슬라이딩 또는 회동되는 결합부위를 최소화하여 고장발생률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간단한 구조에 의해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손쉬워지도록 한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5)

  1. 냉수와 온수가 구분되어 입수되도록 하기 위해 일측에 입수구(43)가 형성된 설치부(41)를 갖는 본체(40)와;
    상기 입수구(43)가 형성된 결합부(41)에 삽입되어 입수구(43)가 형성된 면과 밀착결합되며, 냉, 온수가 각각 독립되게 형성된 입수구(43)에 각각 대응되도록 입수구멍(52)이 형성되고, 입수구멍(52)의 일측에 입수된 냉, 온수가 혼합되는 혼합홈(53)이 구분되게 형성된 단속판A(51)와;
    상기 단속판A(51)와 각도회동 가능하게 밀착결합되며, 단속판A(51)와 대향되는 면에 입수구멍(52)으로 공급되는 용수를 혼합홈(53)으로 전달시키도록 단속홈(55)이 형성되고, 혼합홈(53)과 대향되는 단속홈(55) 내측면에 출수구멍(56)이 형성된 단속판B(54)와;
    상기 단속판A(51)와 단속판B(54)로 이루어진 단속기구(50)를 내부에 위치되도록 본체(40)의 설치부(41)와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출수구멍(56)과 연통되어 용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하는 출수노즐(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41)에는 입수구(43)가 형성된 면이 함몰되어 결합홈(42)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출수노즐(60)의 단부에 결합턱(61)이 형성되어 이들이 끼워맞춤결합되며, 결합홈(42)과 결합턱(61)의 사이에 실링부재(62)가 간섭결합되어 용수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41)와 출수노즐(60)의 경계부분에는 용수의 차단 및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표시한 표시부(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40)에 온수 또는 냉수 중 어느 하나가 배제된 용수가 입수될 경우, 본체(40)의 입수구(43), 단속판A(51)의 입수구멍(52)이 이와 대응되게 단일 형성되어 공급되는 용수를 차단 및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기구(50)는
    단속판B(83)에 단속판A(81)의 냉, 온수 입수구멍(82)과 각각 대응되는 단속구멍(84)이 형성되어 단속구멍(84)을 통해 출수된 냉, 온 용수가 출수노즐(60)에서 혼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KR10-2002-0004057A 2002-01-24 2002-01-24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KR100445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057A KR100445456B1 (ko) 2002-01-24 2002-01-24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057A KR100445456B1 (ko) 2002-01-24 2002-01-24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771A KR20030063771A (ko) 2003-07-31
KR100445456B1 true KR100445456B1 (ko) 2004-08-21

Family

ID=3221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057A KR100445456B1 (ko) 2002-01-24 2002-01-24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694B1 (ko) * 2008-06-17 2011-02-10 김영애 자가발전에 의해 발광하는 교통신호 보조기
KR20160033465A (ko) 2014-09-18 2016-03-28 주식회사 한국선급엔지니어링 휴대용 발전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7389A (ko) * 1986-01-06 1987-08-18 김상철 토수구를 움직여 개폐하는 유량제어밸브
JPS62261766A (ja) * 1986-05-07 1987-11-13 Kitamura Valve Kk 水栓
US4768557A (en) * 1985-03-26 1988-09-06 Walter Holzer Procedure and device for the operation of water mixer unit
JPS63185858U (ko) * 1987-05-21 1988-11-29
JPH0422557U (ko) * 1990-06-13 1992-02-25
KR200231085Y1 (ko) * 2001-02-22 2001-07-19 이상국 혼합수전용 냉,온수 토출량 제어부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8557A (en) * 1985-03-26 1988-09-06 Walter Holzer Procedure and device for the operation of water mixer unit
KR870007389A (ko) * 1986-01-06 1987-08-18 김상철 토수구를 움직여 개폐하는 유량제어밸브
JPS62261766A (ja) * 1986-05-07 1987-11-13 Kitamura Valve Kk 水栓
JPS63185858U (ko) * 1987-05-21 1988-11-29
JPH0422557U (ko) * 1990-06-13 1992-02-25
KR200231085Y1 (ko) * 2001-02-22 2001-07-19 이상국 혼합수전용 냉,온수 토출량 제어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771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8029A (en) Single control faucet
US6237622B1 (en) Flow diverter assembly
JP5037509B2 (ja) 給水弁カートリッジ
CN1099538C (zh) 防烫伤水龙头装置
JP3043664B2 (ja) 混合弁及び混合弁用ボール弁
US4328830A (en) Fluid mixing valve
US6446655B1 (en) Faucet assembly with independent controls for temperature and flow rate
KR100445456B1 (ko)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CN111904308A (zh) 一种双水路淋浴器
JP4976664B2 (ja) 混合水栓
IE56389B1 (en) Single control hot and cold water supply valve
US20060219304A1 (en) Increased area single handle fluid cartridge
CN211875170U (zh) 一种平面转动带挡位切换功能的压力平衡阀芯
KR101277080B1 (ko) 냉온수 및 배출량 조절용 수전금구
CN217153100U (zh) 一种分水阀芯及相应的出水装置和淋浴器
CN111878606A (zh) 一种双水路调温阀芯
EP0092545B1 (en) Single control faucet
KR200175247Y1 (ko) 수전금구 카트리지
CN219493223U (zh) 一种平开式电磁阀芯模组
CN214789184U (zh) 一种调温模组及龙头
KR200165958Y1 (ko) 압력조절밸브가 내장된 냉온수배출장치
CN110131443B (zh) 一种多功能恒温龙头
CN215861863U (zh) 一种双水路调温阀芯
AU550476B2 (en) Single control faucet
KR200289789Y1 (ko) 온도조절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