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567A -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567A
KR20010087567A KR1020000011353A KR20000011353A KR20010087567A KR 20010087567 A KR20010087567 A KR 20010087567A KR 1020000011353 A KR1020000011353 A KR 1020000011353A KR 20000011353 A KR20000011353 A KR 20000011353A KR 20010087567 A KR20010087567 A KR 20010087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orizontal deflection
horizontal
cor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9810B1 (ko
Inventor
박광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1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810B1/ko
Publication of KR20010087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이상 고전압 발생을 차단하여 해당 제어구성의 동작이상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에 수평 구동펄스를 인가받고 컬렉터에 전원단이 연결되며,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와,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전원단 사이에 연결된 수평편향 코일과, 수평편향 코일과 직렬 연결되어 수평편향 코일의 인덕턴스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제2 코일과, 제2 코일의 인덕턴스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차동 인덕터와, 수평 구동펄스의 주파수에 따라 차동 인덕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수평편향 제어를 위한 구성요소 즉, 코일간의 간섭을 차단하여 회로동작이 안정되고 효율이 증가하여 소전력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ING HORIZONTAL DEFLECTION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편향을 이용하는 영상기기 즉, 칼라 CRT(Cathode Ray Tube)는 컴퓨터용 모니터, 티브이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전자총에서 발생된 전자빔을 편향시켜 스크린상에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 편향코일을 구비하는데, 수평주파수가 변화할 경우 그에 대응하여 화면 좌/우측의 밸런싱(Balancing)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자빔 편향각 조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수평 편향코일은 인가되는 전류에 따른 고정된 인덕턴스 특성을 나타내므로 수평 주파수 변화에 대응하여 전자빔 편향각 조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외부적으로 인덕턴스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수평편향 제어장치가 연계 구성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평편향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에 수평 구동펄스를 인가받고 컬렉터에 제1 코일(L1)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1),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코일(L1) 사이에 일단이 연결된 수평편향 코일(H-DY), 상기 수평편향 코일(H-DY)의 타단과 그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커패시터(C2)를 통해 접지된 제2 코일(LL), 상기 제2 코일(LL)의 인덕턴스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3 코일(LC), 상기 수평 구동펄스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 제3 코일(LC) 인가되는 직류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부(11),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상기 수평편향 코일(H-DY) 사이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 다이오드(D1) 및 커패시터(C1)로 구성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코일(LL)은 제3 코일(LC)과의 연계동작에 의해 화면 좌/우측의 밸런싱(Balancing)이 이루어지도록 수평주파수 변동에 대응하여 수평편향 코일(H-DY)의 인덕턴스 특성을 직접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때 인덕턴스값을 '0'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영구자석이 양측에 부착된 제1 코아에 권선된다.
그리고 제3 코일(LC)은 상기 제2 코일(LL)의 인덕턴스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1 코아에 부착된 제2 코아에 권선되며, 그 권선수는 제2 코일(LL)의 권선수에 비해 수백배에 해당한다.
이때 제3 코일(LC)에 유기되는 전압을 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1과 같이, 제3 코일(LC)의 권선수(NS)와 제2 코일(LL)의 권선수(NP)의 비에 제2 코일(LL) 양단에 유기되는 전압(V1)을 곱한 값으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수평편향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정 주파수를 갖는 수평 구동펄스의 '로우'구간동안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고 그에 따라 음(-) 극성의 전원(Eb)이 수평편향 코일(H-DY)을 경유하여 제2 코일(LL)에 인가된다.
이때 제2 코일(LL)은 도 3의 'a'와 같이, 음(-) 극성의 전류가 증가할수록 인덕턴스값이 증가하는 기본특성을 나타내는데, 상기 수평편향 코일(H-DY)이 현재 수평 주파수에 대해 적절한 전자빔 편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 코일(LL)이 'b'와 같은 인덕턴스 특성을 나타내야 한다고 가정하자.
따라서 전류 제어부(11)는 현재 수평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2 코일(LL)의 인덕턴스 특성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제3 코일(LC)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제3 코일(LC)에 흐르는 전류와 제2 코일(LL)에 흐르는 전류의 중첩에 의해 제2 코일(LL)의 인덕턴스 특성이 상술한 'b'와 같이 보정된다.
그에 따라 수평편향 코일(H-DY)은 직렬 연결된 제2 코일(LL)에 의해 보정된 인덕턴스값에 따라 전자빔을 편향시킨다.
이때 수학식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코일(LC)은 그 권선수가 제2 코일(LL)에 비해 수백배에 달하고 그 구조특성상 트랜스로 동작하므로 제3 코일(LC)에는 제2 코일(LL) 양단에 인가된 전압의 수백배에 해당하는 고전압이 인가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는 수평편향 코일의 인덕턴스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코일의 구조적 특성상 이상 고전압이 발생되므로 이를제어하기 위한 구성의 발열로 회로동작이 불안정해지고 심할 경우 제어 구성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상 고전압 발생을 차단하여 해당 제어구성의 동작이상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
도 2는 도 1의 LL및 LC코일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LL코일의 전류에 따른 인덕턴스 변화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
도 5는 도 4의 차동 인덕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전류 제어부 21: 차동 인덕터
H-DY: 수평 편향코일 L1, LL, LC,Lm1,Lm2: 코일
Q1: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베이스에 수평 구동펄스를 인가받고 컬렉터에 전원단이 연결되며,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와,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전원단 사이에 연결된 수평편향 코일과, 수평편향 코일과 직렬 연결되어 수평편향 코일의 인덕턴스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제2 코일과, 제2 코일의 인덕턴스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차동 인덕터와, 수평 구동펄스의 주파수에 따라 차동 인덕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이고, 도 5는 도 4의 차동 인덕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편향 제어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에 수평 구동펄스를 인가받고 컬렉터에 제1 코일(L1)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1),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코일(L1) 사이에 일단이 연결된 수평편향 코일(H-DY), 상기 수평편향 코일(H-DY)의 타단과 그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커패시터(C2)를 통해 접지되어 상기 수평편향 코일(H-DY)의 인덕턴스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제2 코일(LL), 상기 제2 코일(LL)의 인덕턴스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차동 인덕터(21), 수평 구동펄스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차동 인덕터(21)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부(11),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상기 수평편향 코일(H-DY) 사이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 다이오드(D1) 및 커패시터(C1)로 구성된다.
이때 차동 인덕터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극 코아의 제2 극(P2)에 전류 제어부(11)와 연결된 제3 코일(LC)이 권선되고, 서로 연결된 제4 코일(Lm1)과 제5 코일(Lm2)이 코아 양측의 제1 극(P1)과 제3 극(P3)에 각각 권선된다. 그리고 상기 제4 코일(Lm1)과 제5 코일(Lm2)은 상기 제2 코일(LL)과 병렬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평편향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정 주파수를 갖는 수평 구동펄스의 '로우'구간동안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고 그에 따라 음(-) 극성의 전원(Eb)이 수평편향 코일(H-DY)을 경유하여 제2 코일(LL)에 인가된다.
이때 제2 코일(LL)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인덕턴스 특성을 나타내므로 현재 수평 주파수에 따라 수평편향 코일(H-DY)에 의해 화면 좌/우측의 밸런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인덕턴스 특성 보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류 제어부(11)가 현재 수평주파수에 따라 제2 코일(LL)의 인덕턴스 특성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차동 인덕터(21)의 제3 코일(LC)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그에 따라 제3 코일(LC)에서 생성된 자속(φ3)이 제4 코일(Lm1) 및 제5 코일(Lm2)에 영향을 끼치고 상기 제4 코일(Lm1) 및 제5 코일(Lm2)과 병렬 연결된 제2 코일(LL)의 인덕턴스 특성이 원하는 수준으로 보정된다.
이어서 수평편향 코일(H-DY)은 직렬 연결된 제2 코일(LL)에 의해 보정된 인덕턴스값에 따라 전자빔을 편향시켜 좌/우측의 밸런싱이 이루어진 화면을 구현한다.
이때 제4 코일(Lm1)과 제5 코일(Lm2)에서 형성된 자속(φ1)(φ2)은 서로 반대방향이므로 상쇄(φ1- φ2 = 0)되고 그에 따라 제4 코일(Lm1) 및 제5 코일(Lm2)과 제3 코일(LC)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류 제어부(11)측으로 고전압이 유기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는 수평편향 제어를 위한 구성요소 즉, 코일간의 간섭을 차단하므로 동작이 안정되고 효율이 증가하여 소전력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베이스에 수평 구동펄스를 인가받고 컬렉터에 전원단이 연결되며,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상기 전원단 사이에 연결된 수평편향 코일,
    상기 수평편향 코일과 직렬 연결되어 상기 수평편향 코일의 인덕턴스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제2 코일,
    상기 제2 코일의 인덕턴스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차동 인덕터,
    수평 구동펄스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차동 인덕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인덕터는 3극을 갖는 코아(Core)와,
    상기 코아의 제2 극에 권선되고 상기 전류 제어부와 연결된 제3 코일과,
    상기 코아의 제2 극의 일측에 위치한 제1 극에 권선되고 일단이 상기 제2 코일의 일단과 연결된 제4 코일과,
    상기 코아의 제2 극의 타측에 위한 제3 극에 권선되고 일단이 상기 제4 코일의 타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 코일의 타단과 연결된 제5 코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
KR1020000011353A 2000-03-07 2000-03-07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 KR100359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353A KR100359810B1 (ko) 2000-03-07 2000-03-07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353A KR100359810B1 (ko) 2000-03-07 2000-03-07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567A true KR20010087567A (ko) 2001-09-21
KR100359810B1 KR100359810B1 (ko) 2002-11-07

Family

ID=1965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353A KR100359810B1 (ko) 2000-03-07 2000-03-07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9318A (zh) * 2021-09-30 2022-01-21 上海玛吉科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幅度频率相位可调的电感传感器驱动方法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9318A (zh) * 2021-09-30 2022-01-21 上海玛吉科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幅度频率相位可调的电感传感器驱动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9810B1 (ko)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61839A (ja) 画歪補正装置
US5350980A (en) Nonlinear inductor with magnetic field reduction
US6020694A (en) Horizontal size regulation circuit of display device
KR100359810B1 (ko)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
US5420483A (en) Television deflection distortion correcting circuit
EP04827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field suppression using inductive resonant and non-resonant passive loops in a cathode ray tube
JPH08251435A (ja) 受像管のチルト補正装置
JPS58157260A (ja) 映像画面の補正方式
JPS63250988A (ja) Crtディスプレイに生じる像の回転を補償するための装置
US5986406A (en) Electric field noise eliminating circuit in a video display appliance
US6404133B1 (en) Cathode ray tube device that reduces magnetic field leakage
US6366034B1 (en) Electric current variable-type inductor having closed loop characteristics and a horizontal linearity compensation circuit
JPH05161148A (ja) フォーカス回路
JPH0515715Y2 (ko)
KR100355852B1 (ko) 편향요크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장치
KR0130939B1 (ko) 피·씨·에스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20030085245A (ko) 영상 표시 기기의 수평 편향 제어 회로
JP2552717B2 (ja) 陰極線管のフォーカス電圧調整回路
US5990636A (en) Linearity coil of horizontal deflecting circuit
KR100439505B1 (ko) 편향요크
KR940005876B1 (ko) 칼라 콘버젼스 자동 보상회로
KR20020011536A (ko)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
JP2001084936A (ja) 電子顕微鏡
JP2000182541A (ja) 偏向ヨーク装置
JPH02213281A (ja) 高圧トランス用補助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