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939B1 - 피·씨·에스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피·씨·에스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939B1
KR0130939B1 KR1019940032726A KR19940032726A KR0130939B1 KR 0130939 B1 KR0130939 B1 KR 0130939B1 KR 1019940032726 A KR1019940032726 A KR 1019940032726A KR 19940032726 A KR19940032726 A KR 19940032726A KR 0130939 B1 KR0130939 B1 KR 013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convergence
coil
vertical deflection
correction
p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2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458A (ko
Inventor
지철순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40032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939B1/ko
Publication of KR96001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면코너의 비선형 미스컨버젼스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수평편향코일의 양단에는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수평편향 보정코일이 서브마그네트 드럼코어에 권선되고, 수직편향코일 양단에는 병렬 연결된 수직편향 보정코일이 메인마그네트 드럼코어에 이중 권선되어, 상기 수직편향 보정코일의 양단에서 출력되는 리액턴스값을 가변저항으로 조정하는 피·씨·에스(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를 구현하였다.

Description

피·씨·에스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피·씨·에스(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피·씨·에스(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에 의거 미스컨버젼스가 보정된 상태를 나타낸 화면 특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20 : 피·씨·에스(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11 : 보빈 12 : 메인마그네트드럼코어
13a,13b,13c,13d : 서브마그네트 드럼코어 14 : 원형 마그네트
LH1,LH2 : 수평 편향코일 LV1, LV2 : 수직 편향코일
V1,V2 : 수직편향 보정코일 H1,H2 : 수평편향 보정코일
VR : 가변저항
이 발명은 피·씨·에스(Precision Convergence System:이하 PCS라 한다)를 이용한 피·씨·에스(PCS)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너 비선형 미스컨버젼스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한 PCS의 메인마그네트 드럼코어에 수직편향 권선코일을 2중으로 권선하여 미스컨버젼스가 발생한 스크린의 위치에 따라 자계의 흐름을 변화시킴으로써, 비선형적으로 발생한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도록 한 피·씨·에스(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요크는 전자총에서 발생한 전자빔을 스크린의 각 화소에 정확하게 주사하기 위하여, 일정 관계를 형성하여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작용을 하는 장치이며, 이는 크게 코일 새퍼레이터와 수직편향코일 및 수평편향코일과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로 구분된다.
그런데, 화면이 평면화 또는 대형화됨에 따라 국부적인 미스컨버젼스의 량은 전자총과 스크린간의 거리에 비례하지 않고 비선형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미스컨버젼스를 코너 비선형 미스컨버젼스라 하는데 여기서는 코너 비선형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장치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종래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상기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10)는 2개의 칸막이가 설치되어 3분할된 타원형 보빈(11)의 중앙부에는 수직편향 보정코일(V1)이 권선된 메인마그네트 드럼코어(12)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보빈(11)의 좌측과 우측에는 수평편향 보정코일(H1,H2)이 권선된 복수개의 서브마그네트 드럼코어(13a,13c)(13b,13d)가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마그네트 드럼코어(13a,13c)(13b,13d)의 일측면에는 원형 마그네트(14)가 내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10)는 수평편향코일의 양단에 연결된 서브마그네트 드럼코어(13a~13d)의 수평편향 보정코일(H1,H2)에 일정한 전류를 인가하고, 수직편향코일의 양단에 연결된 메인마그네트 드럼코어(12)의 수직편향 보정코일(V1)에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함에 따라 마그네트(14)의 좌/우측에서 발생하는 자계와 수직편향 보정코일(V1)에 의한 리액턴스(ΔL)값의 차이에 의해 화면의 코너에서 발생하는 미스컨버젼스량을 보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는 바이어스 전압이 변하여도 이에따라 변화되는 리액턴스(ΔL)값이 일정하므로 사용자 조정화면에서 임의로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화면의 코너에서 발생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에 한계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화면의 코너에서 발생하는 비선형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하여 메인마그네트 드럼코어에 수직편향 코일을 이중으로 권선시킨후, 수직편형 코일의 리액턴스값을 가변저항에 의해 조정할 수 있는 피·씨·에스(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피·씨·에스(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특징은, 수평편향코일의 양단에는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수평편향 보정코일이 서브마그네트 드럼코어에 권선되고, 수직편향코일 양단에는 병렬 연결된 수직편향 보정코일이 메인마그네트 드럼코어에 이중 권선되어, 상기 수직편향 보정코일의 양단에서 출력되는 리액턴스값을 가변저항으로 조정함에 의해 화면 코너의 비선형 미스컨버젼스량을 조정하도록 한 피·씨·에스(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이하, 이 발명에 따른 피·씨·에스(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에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피·씨·에스(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상기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20)는 2개의 칸막이가 설치되어 3분할된 타원형 보빈(11)의 중앙부에는 수직편향 보정코일(V1)(V2)이 이중으로 권선된 메인마그네트 드럼코어(12)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보빈(11)의 좌측과 우측에는 수평편향 보정코일(H1,H2)이 권선된 복수개의 서브마그네트 드럼코어(13a,13c)(13b,13d)가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마그네트 드럼코어(13a,13c)(13b,13d)의 일측면에는 원형 마그네트(14)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피·씨·에스(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20)를 제3도에 도시된 회로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평편향코일(LH1)(LH2)의 양단에는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수평편향 보정코일(H1,H2)이 서브마그네트 드럼코어(13a~13d)에 권선되어 잇고, 수직편향코일(LV1)(LV2)의 양단에는 병렬 연결된 수직편향 보정코일(V1)(V2)이 메인마그네트 드럼코어(12)에 이중으로 권선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편향 보정코일(V1)(V2)의 양단에는 가변저항(VR)과 저항(R)이 병렬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회로도에 의거 조정되는 가변저항(VR)값에 따라 수직편향 보정코일(V1)(V2)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리액턴스(ΔL)값이 변화되므로 제 4도의 화면 특성도에 제시된 바와 같이 수직자계의 편향폭(a,b,c,d)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보정의 첫 번째 예로서 가변저항(VR)값을 높게 설정하면 수직편향 보정코일(V1)에만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상측 또는 하측코너에서 발생하는 비선형 미스컨버젼스량이 조절되며, 두 번째 예로서 가변저항(VR)값을 낮게 설정하면, 수직편향 보정코일(V1)(V2)의 각각에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상측 및 하측 코너에서 발생하는 비선형 미스컨버젼스량이 조절된다.
따라서 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로서, 화면의 코너에서 발생하는 적색(R) 및 청색(B)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피·씨·에스(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의하면, 불균형적으로 발생한 수직 비선형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해 수평편향코일의 양단에는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수평편향 보정코일이 서브마그네트 드럼코어에 권선되고, 수직편향코일 양단에는 병렬 연결된 수직편향 보정코일이 메인마그네트 드럼코어에 이중 권선되어, 상기 수직편향 보정코일의 양단에서 출력되는 리액턴스값을 가변저항으로 조정함으로써 화면코너에서의 비선형 미스컨버젼스량을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수평편향코일의 양단에는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수평편향 보정코일이 서브마그네트 드럼코어에 권선되고, 수직편향코일 양단에는 병렬 연결된 수직편향 보정코일이 메인마그네트 드럼코어에 이중 권선되어, 상기 수직편향 보정코일의 양단에서 출력되는 리액턴스값을 가변저항으로 조정함에 의해 화면 코너의 비선형 미스컨버젼스량을 조정하도록 한 피·씨·에스(PCS)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19940032726A 1994-11-30 1994-11-30 피·씨·에스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0130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726A KR0130939B1 (ko) 1994-11-30 1994-11-30 피·씨·에스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726A KR0130939B1 (ko) 1994-11-30 1994-11-30 피·씨·에스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458A KR960019458A (ko) 1996-06-17
KR0130939B1 true KR0130939B1 (ko) 1998-04-15

Family

ID=1940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726A KR0130939B1 (ko) 1994-11-30 1994-11-30 피·씨·에스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995B1 (ko) * 2000-06-24 2003-03-26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어 핀 개선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458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7122A (en) Convergence device for projection type color television system
JPH11261839A (ja) 画歪補正装置
KR0130939B1 (ko) 피·씨·에스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0133625B1 (ko) 발란스 보빈을 이용한 인덕턴스의 산포 보정장치
JPS58157260A (ja) 映像画面の補正方式
US6201360B1 (en) Deflection yoke and cathode-ray tube device
JP2561958Y2 (ja) ダイナミック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KR0154175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0116742Y1 (ko) 피.씨.에스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JPH0515715Y2 (ko)
KR0177690B1 (ko) 피.씨.에스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0180663B1 (ko) 미스컨버젼스보정장치
KR20020050805A (ko) 화면 불균형 개선 회로
JPS63195935A (ja) 偏向装置
KR20020001109A (ko) 화면 불균형 개선 회로
US6455996B1 (en) 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and cathode-ray tube using such 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JP3031925B2 (ja) 電磁集束ブラウン管装置
KR100355852B1 (ko) 편향요크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장치
KR970004318B1 (ko) 편향요크
US6252359B1 (en) Deflection apparatus
KR100786852B1 (ko)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930009237B1 (ko) 편향요크의 미스콘버젼스 보정장치
KR20000048400A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 및 그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사용하는음극선관
JPH11176358A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
JPS63298946A (ja) 偏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