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536A -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 - Google Patents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536A
KR20020011536A KR1020000044865A KR20000044865A KR20020011536A KR 20020011536 A KR20020011536 A KR 20020011536A KR 1020000044865 A KR1020000044865 A KR 1020000044865A KR 20000044865 A KR20000044865 A KR 20000044865A KR 20020011536 A KR20020011536 A KR 20020011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traightness
operating voltage
coil module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보현
Original Assignee
김홍기
이미지퀘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기, 이미지퀘스트(주) filed Critical 김홍기
Priority to KR1020000044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1536A/ko
Publication of KR2002001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53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을 사용하는 화상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 내부에 구비되는 직진성 보정용 코일의 구조중 영구자석을 제외하고, 2차측 코일(L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기존의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바꾸어 줌으로서, CRT 모니터 내부에 자계의 영향을 덜 미치도록 하며, 색 번짐 없이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고, 소비전력 또한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CORRECTING COIL MODULE HAVING DIRECT DRIVING DISPOSITION}
본 발명은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을 사용하는 화상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 내부에 설치되는 직진성 보정용 코일의 구조를 개선하여화상의 선명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화상출력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에 관한 것이다.
CRT를 사용하는 모니터에서는 CRT 캐소드(cathode)에서 방출하는 전자빔과 주사되는 면과의 이루는 각이 작을수록 광점의 이동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직진성을 왜곡하므로 화상의 번짐현상을 볼 수 있다. 이를 보상해주는 것이 직진성 보정용 코일로서 인덕턴스의 값을 이용하여 직진성을 보정한다. 이러한 것을 종래에는 영구자석을 사용하여 직진성을 보상하였다.
상기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상기 직진성 보정용 코일의 개략도로서, 동 도면에 의하면, 직진성 보정용 코일과,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중심부의 단면적이 양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만들어진 코어 및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영구자석의 자속(Φ1)과 권선에 흐르는 자속(Φ2)의 양의 합(Φ1+ Φ2)에 따라 CRT 내부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전자빔에 영향을 미쳐 화상의 선명도가 떨어지고, 색 번짐 등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차측에 권선된 코일(L1)에 흐르는 전류(Id)는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계(Φ1)와 2차측에 권선된 코일(L2)에 전류가 흘러 발생되는 자계(Φ2)에 의하여 화면 번짐등의 영향을 받는다. 여기서, 모니터가 동작하는 최저 주파수(fmin)에서는 2차측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영구자석에 의한자계(Φ1)만으로 직진성을 보상할 수 있도록 1차측 L1값을 정하며, 모니터가 동작하는 최대 주파수(fmax)에서는 I2가 최대로 흐를때 발생하는 자계(Φ2max)와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인 Φ1의 합인 Φ12max가 직진성을 보상하도록 설계되져 있다. 이와 같이 최대 동작주파수에서 직진성을 보상해 주기 위한 토탈(total)자속은 영구자속과 2차측 L2에 의해 발생된 자계가 합하여지므로 많은 양의 자속이 발생되고, 이 많은 양의 자속은 CRT 내부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영향을 주어 CRT 표면에 정확한 색상이 나타내는 것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최대 동작주파수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양을 줄여 CRT 내의 전자빔의 흐름을 방해하기 위해, 항상 일정한 자속(Φ1)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기존방식과는 동일하게 전 동작주파수 범위 내에서 직진성 보상이 가능하도록 2차측 코일(L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기존의 단방향에서 양방향으로 바꾸어 줌으로서 직진성 보상을 위해 발생시키는 자속의 최대량을 기존보다 낮추어 CRT 모니터 내부에 흐르는 전류에 영향을 덜 미치도록 하는 직진성 보정용 코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진성 보정용 코일을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보정용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의 영향을 줄여 색 번짐 현상을 감소시키는 직진성 보정용 코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CRT 모니터의 전체 소비전력을 삭감할 수 있는 직진성 보정용 코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직진성 보정용 코일의 개념도,
도 2는 영구자석을 사용하고 있는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의 회로도,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회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00 컨트롤 전압
I1,I2전류 Q1,Q2트랜지스터
L1,L2코일 C1커패시터
R 저항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의 권선된 1차측 코일(L1) 상부에 설치된 영구자석을 제거한 1차측에 권선된 코일(L1)과, 2차측에 권선된 코일(L2)과, 트랜지스터(Q1, Q2)와 커패시터(C1), 저항(R1)으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코일의 한쪽의 단부에는 동작전압(V1)이 공급되며, 상기 2차측 코일의 다른쪽의 단부에는 동작전압(V2)가 공급되고, 상기 2차측 코일의 동작전압(V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단자에는 컨트롤전압(100)이 공급되어, 상기의 컨트롤전압의 크기에 따라 전류의 방향을 양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그 변화에 따라 직진성 보정을 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직진성 보정용 코일의 기본원리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단, V2≒ 2V1)
도 3의 (a)는 컨트롤 전압(100)이 V1보다 낮은 경우로서, 컨트롤 전압이 6V보다 낮은 경우이다. 이때, Q1은 오프상태이고, Q2는 온상태가 되어 L2에 흐르는 전류는 I2방향으로 흐른다. 또한, I2의 양은 컨트롤 전압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이전류의 양에 따라 L2에서 발생하는 자계의 양 또한 달라진다.
도 3의 (b)는 컨트롤 전압(100)이 V1보다 높은 경우로서, 컨트롤 전압이 V1보다 높은 경우이다. 이때, Q1은 온상태이고, Q2는 오프상태가 되어 L2에 흐르는 전류는 I1방향으로 흐른다. 또한 I1의 양은 컨트롤 전압(1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이 전류의 양에 따라 L2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양 또한 달라진다.
상기와 같이 컨트롤 전압(100)의 크기에 따라 L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양이 달라지며, L2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의 방향 및 양도 틀려지게 된다. 이 L2에 의해 발생된 자계는 1차측 코일(L1)에 흐르는 Id에 영향을 미쳐 Id를 감소 또는 동등 또는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인덕턴스 값의 변화에 따라 CRT 모니터의 직진성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낮은 컨트롤전압으로 컨트롤 할 경우, 직접 구동하기 어려우므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Q3의 트래지스터와 저항(R3)를 추가하여 컨트롤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직진성 보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직진성 보정용 코일의 설계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차측 코일의 L1값은 CRT 모니터가 동작하는 전체 주파수 범위중 약 중간 정도의 주파수에서 2차측 코일(L2)에 발생되는 자계가 없을 때 화면의 좌우가같도록 L1값을 정한다. 둘째, 2차측 L2값 및 동작전압(V1, V2)은 2차측 코일(L2)의 값이 클수록 L2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많을수록 2차측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양은 많고, 따라서 1차측에 흐르는 전류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그 만큼 보정할 수 있는 범위가 넓게 된다. 그러므로, 2차측 L2값 및 동작전압은 최저 동작주파수와 최대 동작주파수에서 직진성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을 해준다.
종래의 영구자석을 사용한 직진성 보정용 코일을 사용할 경우에는 영구자석과 보정용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의 합이 CRT 모니터 내부에 흐르는 전자빔의 경로에 영향을 주어 CRT 표면에 나타내는 색 번짐 현상을 발생시키나 본 발명은 영구자석을 사용하지 않고서 직진성을 보정해 주기 때문에 기존 방식보다 CRT 표면에 나타나는 색 번짐 현상을 감소시켜 줄 수 있으며, 직진성 보정용 코일의 온도를 낮추어 줄 수 있으며 보정을 위해 필요한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줄일 수 있어 모니터 전체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에 있어서,
    1차측에 권선된 코일(L1)과, 2차측에 권선된 코일(L2)과, 트랜지스터(Q1, Q2)와 커패시터(C1), 저항(R1)으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코일의 한쪽의 단부에는 동작전압(V1)이 공급되며, 상기 2차측 코일의 다른쪽의 단부에는 동작전압(V2)가 공급되고, 상기 2차측 코일의 동작전압(V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단자에는 컨트롤전압(100)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저항(R3)과 트랜지스터(Q3)를 더 연결함으로써, 직진성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
KR1020000044865A 2000-08-02 2000-08-02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 KR20020011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865A KR20020011536A (ko) 2000-08-02 2000-08-02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865A KR20020011536A (ko) 2000-08-02 2000-08-02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536A true KR20020011536A (ko) 2002-02-09

Family

ID=1968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865A KR20020011536A (ko) 2000-08-02 2000-08-02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15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2904B1 (ko) 화상왜보정장치
US6265836B1 (en) Image distortion compensating apparatus
US5420483A (en) Television deflection distortion correcting circuit
KR20020011536A (ko) 직진성 보정용 코일모듈
JPH0414829B2 (ko)
KR100359810B1 (ko) 영상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
KR100379700B1 (ko) 화상왜곡 보정회로
JPH0568178A (ja) 偏向電流発生回路
KR100355852B1 (ko) 편향요크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장치
JP2561958Y2 (ja) ダイナミック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JPH05161148A (ja) フォーカス回路
KR100621186B1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
KR0130939B1 (ko) 피·씨·에스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200155031Y1 (ko) 리액터 코일을 갖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US5990636A (en) Linearity coil of horizontal deflecting circuit
JP2650567B2 (ja) 高電圧発生回路
KR20030085245A (ko) 영상 표시 기기의 수평 편향 제어 회로
JP3339294B2 (ja) 水平偏向高圧発生回路
KR20000067211A (ko) 멀티동기 모니터의 리니어리티 보상 회로
JPH06225173A (ja) 直線性歪補正回路
JPH07111658A (ja) 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JPH06133178A (ja) 水平リニアリティ補正回路
KR19990055314A (ko) 모니터의 틸트 보정회로
KR19990040086A (ko)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회로
JPH02198275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水平リニアリティ補正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