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626A - 펠리누스 린테우스에서 분리한 다당류의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펠리누스 린테우스에서 분리한 다당류의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626A
KR20010086626A KR1020000007137A KR20000007137A KR20010086626A KR 20010086626 A KR20010086626 A KR 20010086626A KR 1020000007137 A KR1020000007137 A KR 1020000007137A KR 20000007137 A KR20000007137 A KR 20000007137A KR 20010086626 A KR20010086626 A KR 20010086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betes
cells
weight
nod mice
m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묵
한상배
이창우
이기훈
홍동호
Original Assignee
복성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복성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복성해
Priority to KR1020000007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6626A/ko
Priority to US10/149,117 priority patent/US6809084B1/en
Priority to AU64788/00A priority patent/AU6478800A/en
Priority to PCT/KR2000/000879 priority patent/WO2001060385A1/en
Priority to KR10-2001-7009040A priority patent/KR100441643B1/ko
Publication of KR20010086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6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펠리누스 린테우스(Phellinus linteus)에서 분리한 다당류(PL)의 당뇨병 예방 및 치료효과에 관한 것으로, 다당류(PL)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품 또는 식품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펠리누스 린테우스에서 분리한 다당류의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Novel use of PL from Phellinus linteus for treating diabetes mellitus}
본 발명은 펠리누스 린테우스(Phellinus linteus)에서 분리한 다당류(P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 및 그의 합병증은 암, 신장순환기 질환과 더불어 전세계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미국의 당뇨병 협회의 보고에 따르면 현재에도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건강한 정상인에 비해 당뇨병에 걸린 환자는 안 질환, 신장질환, 심장질환 등의 합병증에 걸릴 위험성이 높다는 보고도 있다. 현재 인슐린 치료법에 의해 당뇨병의 급성증상 또는 치명적인 증상이 경감하고 있으나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서는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제 1 형 당뇨병으로 불리며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제 2 형 당뇨병으로 불린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 세포가 심하게 파괴되어 인슐린의 감소 및 hyperglycemia로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수 년 동안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이기간 동안 베타 세포는 파괴된다. 이기간 동안에는 혈중에서 인슐린에 대한 항체가 검출되며 베타 세포에 대한 항체도 검출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인해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자가면역질환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NOD 마우스 및 BB 랫드 등의 실험으로 확인되었다. 이 동물들은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을 자발적으로 일으키며 인간의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낸다. NOD 마우스는 자연적으로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을 나타내는 동물로서 12 내지 14 주령부터 발증을 시작하여 20 내지 24 주령에는 80% 이상의 발증을 나타낸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 원인에 의해 면역세포는 활성화되고 이들 세포는 췌도(pancreatic islet)로 침윤한다. 췌도에서 면역세포는 인슐린을 만드는 베타세포를 파괴하여 당뇨병을 유발하게 된다. 인슐린은 근육세포, 간세포, 지방세포 등에 작용하여 당대사를 촉진시키고 혈중 당농도를 낮추는 기능을 하는 물질이다. 그러나 베타 세포의 파괴에 의해 혈중 인슐린 양이 감소되면 근육세포나 지방세포의 당대사가 낮아져 당뇨가 유발된다. 많은 연구에 의해 베타 세포 항원(beta cell antigen), 대식세포(macrophages), Th 세포(helper Tcells), 세포독성 T 세포(cytotoxic T cells, CTLs) 등이 NOD 마우스의 당뇨발병에 관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이나 유리기(oxygen free radical) 등이 베타 세포의 파괴에 관여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PL은 펠리누스 린테우스 (Phellinus linteus)에서 분리한 다당류 물질이다. PL의 추출법은 이미 보고되었다(Chem Pharm Bull., 43(12), 2105-2108, 1995). 다당류 물질인 PL은 열수 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DEAE-셀룰로즈 크로마토그래프법,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추출했다. PL은 13.2%의 단백질, 82.5%의 당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류의 6.8%는 유론산이었다. PL의 분자량은 겔투과 HPLC 분석결과 153Kdalton으로 거의 균질했다. 중성당 구성분석 (Neutral sugar composition analysis) 결과 PL은 7.0% Ala, 3.7% Xyl, 21.1% glucose, 24.1% Gal, 44.2% Man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기체 크로마티그래프 분석결과 유론산은 글루쿠론산으로 확인되었다. 10종의 아미노산이 확인되었으며 Asp와 Glu가 주요한 구성성분이었다. PL의 생리활성에는 당부분과 완전한 전체구조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단백질 부분은 중요하지 않았다. 또한 PL은 O-type linkage로 연결된 polymer임을 규명했다(Chem Pharm Bull, 44(5), 1093-1095, 1996). PL은 면역증강성 면역조절제로 밝혀졌다(Int J Immunopharmacol, 18(5), 295-303, 1996). PL은 전반적인 면역반응을 증가시켰다. T 세포, 대식세포(macrophages), 자연살해세포(NK cells), B 세포의 면역기능을 증가시킴을 세포실험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규명했다. PL은 면역증강을 통하여 암세포 성장억제 및 전이억제효과가 있음을규명했다(Immunopharmacol, 41, 157-164, 1999). PL은 B16F10 동물암세포의 성장 및 전이를 억제했으며 NCI-H23 인체고형암의 성장을 억제시켰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의 연구는 예방 및 치료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췌도염 방지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한 연구가 NOD 마우스 등의 질환모델 동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당뇨병 치료전략은 베타 세포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면역반응 억제 및 조절에 집중하고 있다. 자가면역질환인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비정상적인 면역기능의 증강에 기인한다. 췌장의 베타 세포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면역치료법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신생아 흉선 제거법(neonatal thymectomy)은 T 세포를 제거하여 NOD 마우스에서 당뇨발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T 세포에 대한 항체를 처리하여 T 세포를 제거하거나 대식세포를 제거해도 당뇨발병을 억제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NO 등의 유리기(free radical)의 생성 및 작용을 항 산화제를 사용하여 억제하여 당뇨를 억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nicotinamide, vitamin E, probucol, MDL29311, U78518F 등의 항 산화제가 보고되었다.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치료법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나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를 이용한 당뇨병 치료는 전혀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최근 시클로스포린 A (cyclosporin A), 리파마이신(rapamycin), FK506을 이용한 당뇨병의 치료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지만 그 결과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면역억제제를 사용한 치료법은 과도한 면역억제로 인해 2차 감염, 신장독성, 간 독성 등을 야기 시켜 당뇨병 치료제로서의 사용에는 아직도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장기간 투여에 의한 치료 시에는 암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면역조절제을 이용한 당뇨병 치료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IL-4 및 IL-10 등의 사이토카인 처리에 의해 NOD 마우스의 당뇨병이 억제됨이 보고되었다. NOD 마우스에서 OK-432, LZ-8, BCG, CFA 등의 면역조절제가 당뇨병을 억제한다고 보고되었으며,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펠리누스 린테우스(Phellinus linteus)에서 분리한 다당류(PL)가 부작용이 없이 베타 세포의 파괴를 방지하여 당뇨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 물질임을 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펠리누스 린테우스(Phellinus linteus)에서 분리한 다당류(P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펠리누스 린테우스로부터 분리한 다당류(PL)를 NOD 마우스에 투여하여 당뇨병 예방 및 치료효과를 규명하고 사이토카인 생성억제능과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에 의한 당뇨병 억제능을 조사하여 PL의 당뇨병 억제 효과는 면역반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임을 확인하므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PL 처리에 의한 당뇨병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뇨당(urine glucose)을 측정하여 당뇨병 마우스를 선발했으며 전체 마우스(10마리)에 대한 비율로 표시했다. 열린원(○)은 대조군의 NOD 마우스이고 닫힌원(●)은 프로디지오신 투여군의 NOD 마우스이다.
도 2는 PL 처리에 의한 혈당(blood glucose)의 감소를 나타낸다. NOD 마우스에서 플라즈마를 분리한 후 혈액 생화학분석기(Cibacorning, USA)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했다.
도 3은 PL 처리에 의한 췌도염(insulitis)의 감소를 나타낸다.
도 4는 PL 처리에 의한 췌도염의 감소를 나타낸다. 대조군 NOD 마우스(A)는 심한 췌도염을 보이며, PL을 처리한 NOD 마우스(B, C, D)에서는 췌도염이 감소했다.
도 5는 PL 처리에 의해 면역세포의 사이토카인 발현 양상이 변화되었음을 나타낸다. A는 당뇨발증이 없는 6 주령의 NOD 마우스의 결과이고, B는 당뇨발증이 나타나는 11 주령의 NOD 마우스의 결과이고, C는 프로디지오신을 투여한 11 주령 NOD마우스의 결과이다.
도 6은 NOD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NOD.Scid 마우스에 이식했을 때의 당뇨의 발병도를 나타낸다(○은 발증 NOD 마우스의 비장세포 이식군이고 ●은 PL을 투여한 NOD의 비장세포 이식군이다.).
도 7은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유발 당뇨병 시험계에 대한 PL의 효과를 나타낸다. 혈당을 아큐트랜드 측정기(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도 8은 PL이 부작용이 없음을 나타낸다. PL을 처리한 NOD 마우스는 사망하지 않았으며 체중감소도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은 펠리누스 린테우스로부터 분리한 PL을 NOD 마우스에 복강투여 하고 PL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NOD 마우스의 뇨당과 비교하여 본 발명 PL이 당뇨병 발병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본 발명 PL을 투여한 NOD 마우스와 투여하지 않은 NOD 마우스의 췌장에서 췌도염의 유발 정도를 측정 비교하여 본 발명 PL이 췌도염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본 발명 PL은 NOD 마우스에 격일로 복강 투여하고 비장 세포를 분리하여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도를 측정하여 본 발명 PL이 면역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을 조절하여 당뇨병 발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본 발명 PL을 투여하지 않은 NOD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NOD.Scid 마우스에 이식하고 당뇨발병 양상을 측정하여 본 발명 PL이 면역반응을 조절하므로써 당뇨발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스트렙토조토신을 복강투여한 ICR 마우스와 투여하지 않은 ICR 마우스의 혈당량을 측정하여 PL은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한 베타세포의 파괴는 억제하지 못함을 확인하므로써 본 발명 PL은 면역반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당뇨병 발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PL의 투여에 의한 NOD 마우스의 부작용을 몸무게 측정 및 사망율을 측정하여 조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 PL의 투여량은 100 mg/kg/day로 2일에 한번씩 복강으로 투여했다. 그러나 PL의 투여량, 투여방법 및 투여기간은 일정하지 않으며 당뇨병 증세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
PL은 NOD 마우스의 당뇨 발증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PL의 당뇨예방 및 치료효과는 뇨당량 및 혈당량을 측정하여 규명했으며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L은 췌도(pancreatic islet)로의 면역세포의 침윤(Lymphocyte infiltration)을 억제하여 췌도염(insulitis)을 억제시켰다.
자가면역질환에는 T 세포 및 대식세포의 활성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IL-2 및 IFN-gamma는 Th1 세포가 만드는 사이토카인으로 자가면역반응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IL-2는 세포독성 T 세포(cytotoxic T cells, CTLs)을 활성화 시켜 베타세포의 파괴를 촉진시킨다. IFN-gamma는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활성화 된 대식세포는 T 세포로의 항원제시기능(antigen presenting function)을 증폭시켜 자가면역반응을 증가시킨다. 또한 활성산소등의 유리기 생산을 증가시켜 베타세포 파괴를 증가시킨다. IL-10 및 IL-4는 Th2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으로 이들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증가하면 Th1 세포의 기능이 억제되어 궁극적으로 자가면역반응을 약화시킬 수 있다. IL-6 및 IL-12는 대식세포가 발현하는 사이토카인이다. 특히, IL-12는 Th1 세포를 자극하여 IL-2 생성을 증가시키는 사이토카인으로 당뇨병등의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PL은 NOD 마우스에서 당뇨병 발병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IL-2, IFN-gamma, IL-10, IL-6, IL-12등의 발현을 억제했다. Th2에서 발현하는 IL-4 발현의 증가는 Th1 세포의 기능을 약화시키는데 중요한 기능을 했을 것으로 생각되나 IL-10 발현의 감소에 대해서는 아직 그 원인을 추정할 수 없다. PL의 사이토카인 발현조절은 당뇨병발병억제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주는 것은 PL은 부작용이 없이 당뇨병을 치료한다는 것이다. PL을 투여한 NOD 마우스는 체중의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사망동물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PL이 동물에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을 사용하여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렙토조토신은 베타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물질로서 NOD 마우스와 유사한 형태의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NOD 마우스는 자가면역반응을 매개하여 베타세포를 파괴하는 것이고 스트렙토조토신은 면역반응을 매개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PL은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한 베타세포의 파괴는 억제하지 못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PL이 면역반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당뇨병 발병을 억제하는 물질임을 나타낸다.
NOD 마우스는 사람의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을 연구하는데 가장 좋은 질환모델동물이다. NOD 마우스는 자연적으로 당뇨병을 유발하며 당뇨병 증상이 사람의 경우와 매우 유사하다. PL의 당뇨병 예방 및 치료효과는 NOD 마우스를 이용하여 증명하였으며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했다. 그러나 실시 예는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시 예 1. PL 투여에 의한 당뇨병 예방 및 치료효과
PL은 8 주령부터 24 주령까지 100 mg/kg의 농도로 복강으로 투여했으며, 뇨당(urine glucose)은 유로페이퍼(EIken Chemical Co. Ltd., 일본)를 이용하여 매주 측정했다. PL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NOD 마우스는 15 주령부터 뇨당이 검출되기 시작하여 24 주령에서는 80%의 NOD 마우스에서 뇨당이 검출되었다(도 1). PL을 투여한 실험군의 NOD 마우스에서는 뇨당이 검출되지 않아 당뇨병 발병을 완전히 억제했음을 알 수 있었다. 25 주령 째에 NOD 마우스의 안와 정맥에서 채혈한 후 플라즈마(plasma)를 분리했으며 혈당량을 측정했다. PL을 투여하지 않은 NOD 마우스의 평균 혈당양은 500 mg/dl로 당뇨가 발병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PL을 투여한 NOD 마우스의 평균 혈당량은 100 mg/dl로 정상수준의 혈당량임을 알 수 있었다(도 2). 이와 같은 결과는 PL이 NOD 마우스의 당뇨병 발병을 완전히 억제했음을 나타낸다.
실시 예 2. PL에 의한 췌도염(insulitis) 억제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에서는 면역세포의 췌도로의 침윤(lymphocyte infiltration) 및 이에 의한 베타세포의 파괴로 췌도염이 유발된다. 대식세포 및 T 세포가 주로 침윤을 하며 이들 면역세포는 베타 세포를 파괴한다. PL을 투여한 NOD 마우스와 투여하지 않은 NOD 마우스의 췌장을 분리하여 포르말린으로 고정했으며 조직표본을 만들었다. 헤마토자일렌/에오신을 이용하여 염색하였으며 면역세포의 침윤정도를 측정했다. 췌도염이 25, 50, 75% 유발되었을 때를 각각 1, 2, 3점으로 계산하여 평균 췌도염을 구하였다(도 3). PL을 투여하지 않은 NOD 마우스의 췌도염은 2 이상으로 50% 이상의 침윤도를 보였으나 PL을 투여한 NOD 마우스의 경우 췌도염이 1 이하로 20% 미만의 침윤도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PL은 췌도로의 면역세포 침윤을 억제하여 췌도염을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도 4에서는 병리검사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A는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NOD 마우스의 췌도염을나타내는 것으로 면역세포가 대부분의 췌도에 침윤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B, C, D는 PL 처리에 의해 면역세포 침윤이 감소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PL이 췌도염을 억제하여 당뇨병 발병을 억제하였음을 나타낸다.
실시 예 3. PL에 의한 사이토카인 생성억제
당뇨병의 발병에는 Th 세포 및 대식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려지지 않은 기전에 의해 대식세포가 활성화되고 이 세포는 IL-12를 생성하게 된다. IL-12는 Th1 cell을 활성화 시켜 IL-2, IFN-gamma 생성을 촉진시키게 되며 이들 사이토카인은 세포독성 T 세포 (cytotoxic T cells, CTLs) 및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CTLs 과 대식세포는 베타 세포를 공격하여 파괴시키며 인슐린 생성을 감소시켜 당뇨병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단계의 다양한 기전에 의해 베타세포는 파괴된다. 이와 같은 면역반응에서 사이토카인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사이토카인 생성을 조절하면 당뇨병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도 5는 PL에 의한 면역세포의 사이토카인 발현 양상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PL은 NOD 마우스에 8 주령부터 격일로 복강 투여했다. 11주령 마우스에서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사이토카인 mRNA 발현도를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A는 6주령 NOD 마우스 경우이고, B 는 11 주령 NOD 마우스의 경우이고, C는 PL을 투여한 11 주령 NOD 마우스의 사이토카인 발현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6 주령 NOD mouse는 당뇨증상 및 췌도염이 없는 정상적인 상태이고, 11 주령은 췌도염이 시작되는 시점이다. 다시 말해서 11 주령 NOD 마우스는 면역기능이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고 침윤이 시작되는 시점이다. 면역기능이 활발한 시점인 11 주령에 비장세포의 면역기능을 측정했으며 PL에 의한 조절양상을 측정했다. 11 주령 NOD 마우스에서 IL-2, IL-10, IL-6 mRNA 발현이 강하게 증가했으며 PL 처리에 의해 IL-2, IFN-gamma, IL-10, IL-6, IL-12의 발현이 강하게 억제되었다. 이와 같은 사이토카인 발현의 감소는 베타 세포에 대한 자가면역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당뇨병을 치료할 수 있다. Th2 세포에서 발현하는 IL-4, IL-10은 Th1 세포의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PL에 의한 IL-4 발현의 증가는 당뇨병발병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Th1 세포의 기능을 억제했으리라 사료된다. 그러나 IL-10와 IL-4 사이토카인 발현 양상이 상이한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 수 없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L은 면역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을 조절하여 당뇨병 발병을 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 예 4. NOD.Scid 마우스로의 이식 시험법
PL에 의한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의 치료가 면역반응조절에 의한 것임을 규명하기 위하여 NOD.Scid 마우스를 이용한 이식실험을 실시했다. NOD.Scid 마우스는 T 세포가 없는 마우스로 당뇨가 일어나지 않는 마우스이다. 실시 예 1에서 사용한 NOD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NOD.Scid 마우스에 이식했으며 당뇨발병 양상을 측정했다. 실시 예 1에서 사용한 마우스 중에서 PL을 투여하지 않은 25 주령 NOD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NOD.Scid 마우스에 이식을 할 경우 이식 후 6 주령에 모든 NOD.Scid 마우스가 당뇨 발증을 보였다(도 6). 이와 같은 결과는 이식되는비장세포 중의 T cell이 NOD.Scid 마우스의 베타 세포를 파괴하여 당뇨를 일으키는 것으로 NOD 마우스의 당뇨가 면역반응에 의해 일어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PL을 투여한 NOD mouse의 비장세포를 이식할 경우 NOD.Scid 마우스는 6 주령까지 당뇨가 일어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PL이 면역반응을 조절하여 베타세포를 파괴하는 T 세포의 생성을 억제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실시 예 5.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병 시험계에 대한 영향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은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로서 베타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물질이며 NOD 마우스와 유사한 형태의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NOD 마우스는 자가면역반응을 매개하여 베타세포를 파괴하는 것이고 스트렙토조토신은 면역반응을 매개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스트렙토조토신은 ICR 마우스에 60 mg/kg의 농도로 복강으로 3번 투여했다. 스트렙토조토신은 사이트레이트 완충액 (citrate buffer, pH4.2, 4도)에 사용 직전에 녹여서 사용했다. 스트렙토조토신을 투여하지 않은 ICR mouse는 200 mg/dl의 혈당을 보였으며 스트렙토조토신을 투여한 ICR 마우스는 450 mg/dl 이상의 혈당량을 보였다(도 7). PL은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한 베타세포의 파괴는 억제하지 못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PL이 화학물질에 의한 베타 세포의 파괴는 억제하지 못하고, 면역반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NOD 마우스의 당뇨병 발병을 억제하는 물질임을 나타낸다.
실시 예 6. PL의 부작용
PL을 8 주령부터 24 주령까지 투여한 NOD 마우스에서 몸무게 및 사망동물을 관찰하여 PL의 부작용을 검사했다(도 8). PL 투여에 의해 NOD 마우스의 몸무게는 감소하지 않았으며 사망동물도 관찰되지 않았am여 이는 PL이 NOD 마우스에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음을 나타낸다.
상기의 실시 예를 통하여 PL은 부작용이 없이 베타 세포의 파괴를 방지하여 당뇨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물질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당류(PL)은 당뇨병 환자의 질환 예방 및 치료와 관련한 의약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펠리누스 린테우스에서 분리한 하기와 같은 성질을 갖는 다당류 물질인 P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13.2%의 단백질, 82.5%의 당류로 구성되고, 당류의 6.8%는 유론산임.
    (b)PL의 분자량 : 153Kdalton(겔투과 HPLC 측정)
    (c)중성당 구성분석 (Neutral sugar composition analysis) : 7.0% Ala, 3.7% Xyl, 21.1% glucose, 24.1% Gal, 44.2% Man로 구성됨.
    (d)기체 크로마티그래프 분석결과 유론산은 글루쿠론산이고, 10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며 Asp와 Glu가 주요한 구성성분임.
KR1020000007137A 2000-02-15 2000-02-15 펠리누스 린테우스에서 분리한 다당류의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010086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137A KR20010086626A (ko) 2000-02-15 2000-02-15 펠리누스 린테우스에서 분리한 다당류의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US10/149,117 US6809084B1 (en) 2000-02-15 2000-08-10 Compositions containing polysaccharides from phellinus linteus and methods for treating diabetes mellitus using same
AU64788/00A AU6478800A (en) 2000-02-15 2000-08-10 Novel use of polysaccharide from phellinus linteus for treating diabetes mellitus
PCT/KR2000/000879 WO2001060385A1 (en) 2000-02-15 2000-08-10 Novel use of polysaccharide from phellinus linteus for treating diabetes mellitus
KR10-2001-7009040A KR100441643B1 (ko) 2000-02-15 2000-08-10 펠리누스 린테우스에서 분리한 다당류의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137A KR20010086626A (ko) 2000-02-15 2000-02-15 펠리누스 린테우스에서 분리한 다당류의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626A true KR20010086626A (ko) 2001-09-15

Family

ID=196466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137A KR20010086626A (ko) 2000-02-15 2000-02-15 펠리누스 린테우스에서 분리한 다당류의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2001-7009040A KR100441643B1 (ko) 2000-02-15 2000-08-10 펠리누스 린테우스에서 분리한 다당류의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040A KR100441643B1 (ko) 2000-02-15 2000-08-10 펠리누스 린테우스에서 분리한 다당류의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09084B1 (ko)
KR (2) KR20010086626A (ko)
AU (1) AU6478800A (ko)
WO (1) WO200106038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712B1 (ko) * 2005-05-24 2007-01-03 (주)새롬바이오 상황버섯의 균사체로부터 얻은 항당뇨 활성이 있는세포외다당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63511B1 (ko) * 2007-04-16 2010-06-15 윤종원 제2형 당뇨치료 효과가 있는 상황 버섯 균사체 유래의항당뇨 활성 세포외다당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73087B1 (ko) * 2006-01-18 2010-07-30 (주)에스.앤.디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당뇨병 치유용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111606B1 (ko) * 2010-05-13 2012-04-12 (주)에스.앤.디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당뇨병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553B1 (ko) * 2001-09-26 2006-02-0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갭 결합을 통한 세포간정보전달의 억제 및 항상성의 불균형과 관련된 질환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50042306A1 (en) * 2003-08-21 2005-02-24 Christopher Marrs Stabilized compositions containing an oxygen-labile active agent
US20050042233A1 (en) * 2003-08-21 2005-02-24 Christopher Marrs Stabilized compositions containing an oxygen-labile active agent and a fungal extract
JP2011506307A (ja) * 2007-12-07 2011-03-03 ハンコック ファーム.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桑黄キノコ菌糸体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移植片拒絶抑制用組成物
KR102368446B1 (ko) 2020-05-28 2022-02-28 이삼구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2936A (ja) * 1993-04-30 1994-11-08 Yukiguni Maitake:Kk I型及びii型糖尿病に対して改善効果を有する物質の製造方法
CN1116906A (zh) * 1995-04-26 1996-02-21 严正华 一种保健食品菇王精及其制作方法
KR0174433B1 (ko) * 1995-09-06 1999-02-18 김은영 펠리누스 린테우스로부터 분리된 항암 면역활성 다당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9990029838A (ko) * 1997-09-19 1999-04-26 테츠로 이케카와 버섯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278928B1 (ko) * 1998-04-30 2001-01-15 박호군 펠리누스린테우스로부터분리한다당류물질의신규한용도
KR20010046517A (ko) * 1999-11-12 2001-06-15 임상규 상황버섯류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1582A (en) * 1984-04-05 1989-01-31 Toyo Yakushoku Kogyo Co., Ltd.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hypoglycemia using aloe polysaccharides
KR100252194B1 (ko) * 1997-10-10 2000-04-15 박호군 참당귀에서분리한신규한펙틴질다당류와그분리정제방법및그의면역증강제로서의용도
JP3093194B2 (ja) 1998-04-30 2000-10-03 韓国科学技術研究院 新規のペリヌス属菌株から分離した免疫増強活性多糖類物質及びその使用
US6869625B2 (en) * 2001-10-09 2005-03-22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Method of treating diabetes using plant argyrolobium roseum extract, and a process for the isolation of extract from the said pla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2936A (ja) * 1993-04-30 1994-11-08 Yukiguni Maitake:Kk I型及びii型糖尿病に対して改善効果を有する物質の製造方法
CN1116906A (zh) * 1995-04-26 1996-02-21 严正华 一种保健食品菇王精及其制作方法
KR0174433B1 (ko) * 1995-09-06 1999-02-18 김은영 펠리누스 린테우스로부터 분리된 항암 면역활성 다당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9990029838A (ko) * 1997-09-19 1999-04-26 테츠로 이케카와 버섯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278928B1 (ko) * 1998-04-30 2001-01-15 박호군 펠리누스린테우스로부터분리한다당류물질의신규한용도
KR20010046517A (ko) * 1999-11-12 2001-06-15 임상규 상황버섯류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712B1 (ko) * 2005-05-24 2007-01-03 (주)새롬바이오 상황버섯의 균사체로부터 얻은 항당뇨 활성이 있는세포외다당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73087B1 (ko) * 2006-01-18 2010-07-30 (주)에스.앤.디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당뇨병 치유용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963511B1 (ko) * 2007-04-16 2010-06-15 윤종원 제2형 당뇨치료 효과가 있는 상황 버섯 균사체 유래의항당뇨 활성 세포외다당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111606B1 (ko) * 2010-05-13 2012-04-12 (주)에스.앤.디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당뇨병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1643B1 (ko) 2004-07-23
AU6478800A (en) 2001-08-27
KR20010113654A (ko) 2001-12-28
WO2001060385A1 (en) 2001-08-23
US6809084B1 (en) 2004-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 et al.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Terminalia catappa
Chandirasegaran et al. Berberine chloride ameliorates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apoptosis in the pancreas of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Gharib et al. Study of the antidiabetic activity of Punica granatum L. fruits aqueous extract on the alloxan-diabetic wistar rats
Sandberg et al.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prevents low-dos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in mice
Zhou et al. Protection of trigonelline on experimental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Park et al. Olive leaf down-regulates the oxidative stress and immune dysregula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Tong et al. Multitarget and promising role of dihydromyricetin in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s
Miaffo et al. Hypoglycemic, antidyslipidemic and antioxydant effects of Vitellaria paradoxa barks extract on high-fat diet and streptozotocin-induced type 2 diabetes rats
Kang et al. Opuntia ficus-indica seed attenuates hepatic steatosis and promotes M2 macrophage polarization in high-fat diet–fed mice
KR100441643B1 (ko) 펠리누스 린테우스에서 분리한 다당류의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Chen et al. Aronia melanocarpa anthocyanin extracts improve hepatic structure and function in high-fat diet-/streptozotocin-induced T2DM mice
Doss et al. Antidiabetic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Solanum trilobatum (Linn.) in alloxan-induced diabetes in rats
Saleh et al. Insulin-mimetic activity of stevioside on diabetic rats: biochemical, molecular and histopathological study
KR100406848B1 (ko) 프로디지오신의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41644B1 (ko) 참당귀에서 분리한 다당류의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eterson et al. Effect of chronic ethanol administration on intermale aggression in rats
Martin et al. Screening of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properties of aqueous and hydroethanolic extracts of the leaves of Acalypha wilkesiana Muel
Zhang et al. Nrf2 and mitochondria form a mutually regulating circuit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Koshy et al. Anti hyperglycemic activity of Elytraria acaulis Lind.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R102610157B1 (ko) 마르멜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4162163A (zh) 脂酰辅酶a氧化酶作为糖尿病的治疗靶点的应用
CN111032067A (zh) 用于治疗脂肪肝病的刺地榆提取物
KR102421111B1 (ko) 마르멜로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식품 조성물
RU2683311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адаптации организма к экстремальным и стрессовым факторам и способ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адаптации организма к экстремальным и стрессовым факторам
Suhasini et al. Ameliorative effect of Ipomoea pes-caprae ethanolic leaf extract on carbohydrate metabolizing enzymes and oxidative stat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Wistar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