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607A - 키패드를 포함하는 장치, 및 불필요한 침입으로부터 키를보호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키패드를 포함하는 장치, 및 불필요한 침입으로부터 키를보호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607A
KR20010085607A KR1020010009688A KR20010009688A KR20010085607A KR 20010085607 A KR20010085607 A KR 20010085607A KR 1020010009688 A KR1020010009688 A KR 1020010009688A KR 20010009688 A KR20010009688 A KR 20010009688A KR 20010085607 A KR20010085607 A KR 20010085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enabling
disabling
sim card
against unwa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수아 꾸땅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08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60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키(10, 11, 12 ...)를 누름으로써 키패드를 잠그는 것이 제안된다. 그러나, 장치의 부적절한 사용을 피하기 위해, 비밀키 시퀀스라 불리는 키의 시퀀스는, 장치가 동작가능하게 되도록 눌러져야 한다. 유리한 방법에서, 이러한 시퀀스는 SIM 카드(30)에 포함된 PIN 코드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발명은 셀룰러 이동 전화에 적용된다.

Description

키패드를 포함하는 장치, 및 불필요한 침입으로부터 키를 보호하는 방법{APPARATUS COMPRISING A KEYPAD AND METHOD OF PROTECTING KEYS AGAINST UNWANTED INTRUSIONS}
본 발명은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를 활성화(activating)하고, 비활성화(deactivating)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이동 전화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응용을 발견한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에서, 주소록의 변경 또는 비상 호출(call)을 계속할 필요가 없을지라도, 예를 들어, 이 주소록의 변경 또는 비상 호출과 같은 부적절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키 중 하나를 우연히 누르는 것을 피하기 위해 키패드를 차단(block)시켜 비활성화할 필요성을 알게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미숙하게 키를 누르는 것으로부터 키패드를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전술한 장치에 적합하다.
그러한 장치는 유럽 특허 공보(제 0 453 089호)에서 알려져 있다. 2개의 키의 시퀀스를 누름으로써, 키패드는 차단되고, 이러한 동일한 키를 누름으로써, 키패드는 해제(unblocked)된다.
상기 공보에서 알려진 장치는, 이러한 시퀀스가 알려져 있고, 이해 관계없는 제 3자가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고, 합법적인 소유자에게 손해를 끼치고 통화할 수 있다는 결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개시부에서 한정된 유형의 장치를 제안하는데, 상기 장치는, 키를 부적절하게 건드리게 되는 불필요한 효과로부터 보호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의 부정한 사용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키패드 10, 11, 12: 동작 키
30: SIM 카드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러한 장치는, 활성화 수단이 활성화 암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한정된 유형의 방법은, 키패드가 제 1 비활성화 동작에 의해 비활성화되고, 비밀키(secret key) 시퀀스에 적격의 키 누름 시퀀스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활성화 코드가 어느 정도 비밀이 유지되기 때문에, 그 장치는 이에 따라 다소 치밀한 제 3자의 악의적인 행동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된다.
비활성화 수단이 호출 수신 수단과 독립적인 일실시예는, 그 장치가 복귀 호출을 신호 발신(signaling)하는데 이용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 표준을 충족시키는 장치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실시예는, 상기 키패드의 활성화가 상기 표준의 CHV1 코드를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임의의 추가 하드웨어를 수반하지 않아도 되는 추가 장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이들 측면과 다른 측면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를 참조하여 한정되지 않은 예로서 명백하고, 명료하게 될 것이다.
특히, 안테나(2), 스크린(3), 확성기(5), 마이크로폰(6), 키패드(7) 및 여러 가지 다른 동작키(10, 11, 12 ...)를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1)으로 형성된 이동 전화가 도 1에 도시된다. 사용자에 대한 몇몇 정보는, 장치의 후면부에 수용되는 SIM 카드(30) 내에 포함된다. 이러한 SIM 카드(30)는 GSM형의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장치에 매우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 시스템의 표준이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장치의 동작(operation)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전의 도면의 요소와 동일하게 적용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수반한다. 본 발명의 동작은, 메모리(45) 및 또한 SIM 카드(30)와 함께 동작하는 프로세서(40)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조립체(assembly)에 의해 한정된다. 모든 이러한 요소는 공통 라인(BUSAD)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장치의 다른 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이 라인(BUSAD)은 장치의 키패드(7)와 트랜시버 조립체(50) 모두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키패드는 비밀 암호에 의해 해제됨에 따라 활성화된다. 이러한 암호가 SIM 카드에 기록된 PIN 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장치의 스위칭 온(switching on)과 같은 절차가 수행된다.
키패드가 비활성화될 때, 트랜시버 조립체는 호출을 여전히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가 비활성화된다고 할지라도, 사용자 식별 매체를 구성하는 SIM 카드의 PIN 코드에 대응하는 키 누름 시퀀스를 행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다.
도 3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흐름도 상의 박스(K1)는 장치의 동작에 대한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데, 즉, 장치의 모든 기능을 사용자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키패드를 차단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키의 시퀀스, 또는 단일키를 누르며, 이것은 박스(K3)로 나타난다. 그 후에, 잠겨진 상태는 시작한다{박스(K5)}.
본 발명의 구성(framework) 내에서의 PIN 코드의 사용은, GSM 표준 ETS 300 608에서 설명된 "VERIFY CHV 및 STATUS"를 포함하는 일련의 명령으로 인해 매우 간단하게 행하여진다. 그래서, 추가 하드웨어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일단 키패드가 차단되면{박스(K5)}, 이동 전화는 동작을 기다린다{박스(K6)}. 이것은 인입 호출(incoming call), 비상 호출일 수 있지만, 또한 키패드를 해제하기{박스(K8)} 위한 키(또는 키의 시퀀스)의 누름일 수도 있다. 일단 키패드를 해제하라는 명령이 주어지면, 이동 전화는, CHV1이 명령(STATUS)으로 인해 활성화되는지를 검사한다{박스(K9)}. 이러한 명령은 CHV1의 상태(차단되거나 해제되고, 인에이블링되거나 디스에이블링되는)를 반영한다.
CHV1이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PIN 코드를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코드를 사용하여, 이동 전화는 명령"VERIFY CHV1"을 SIM 카드에 어드레싱하고{박스(K10)}, SIM 카드로부터의 응답이 올바르면, 동작의 정상 상태가 시작된다. 만약 올바르지 않으면, 동작의 정상 상태는, CHV1이 인에이블링되는 상태로 되돌아간다{박스(K7)}.
박스(K9)의 시험이, 절차(CHV1)가 디스에이블링되는 지를 보여주는 명령(STATUS)을 발생시키면, 이것은, 사용자가 자신의 SIM 카드를 보호하기 위해 PIN 코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자신의 PIN 코드를 사용자에게 요청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박스(K1)로 되돌아간다.
PIN 코드를 얻으려는 3번의 헛된 시도를 한 후에{박스(K12)}, SIM 카드는 차단되고{박스(K11)}, 조작자(operator)에게 알려진 특정한 해제 코드는 카드를 해제하는데 필요하다.
본 발명은 키패드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키를 부적절하게 건드리게 되는 불필요한 효과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장치의 부정한 사용으로부터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를 인에이블링(enabling)하고 디스에이블링(disabling)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인에이블링 수단은 인에이블 암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를 인에이블링하고 디스에이블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에이블 수단은 디스에이블 암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를 인에이블링하고 디스에이블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기능(functioning)은 식별 매체에 포함된 정보에 따르며, 적어도 상기 디스에이블링된 암호는 상기 매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를 인에이블링하고 디스에이블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deactivation) 수단은 호출 수신(call reception) 수단에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를 인에이블링하고 디스에이블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에 적합한, 불필요한 키 누름으로부터 키패드를 보호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키패드는 제 1 디스에이블링 동작에 의해 디스에이블링되고, 비밀에 적격인 키 누름 시퀀스에 의해 인에이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보호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식별 매체를 구비하는 장치에 적합하며, 상기 비밀 시퀀스는 상기 식별 코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보호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GSM 표준을 충족시키는 장치에 적합한, 키패드를 보호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인에이블링하는 것은 상기 표준의 CHV 절차를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보호하는 방법.
KR1020010009688A 2000-02-29 2001-02-26 키패드를 포함하는 장치, 및 불필요한 침입으로부터 키를보호하는 방법 KR200100856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02555 2000-02-29
FR0002555 2000-0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607A true KR20010085607A (ko) 2001-09-07

Family

ID=884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688A KR20010085607A (ko) 2000-02-29 2001-02-26 키패드를 포함하는 장치, 및 불필요한 침입으로부터 키를보호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10029586A1 (ko)
EP (1) EP1130934A1 (ko)
JP (1) JP2001296956A (ko)
KR (1) KR20010085607A (ko)
CN (1) CN123777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4346A1 (de) * 2007-07-24 2009-01-29 Cherry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sicheren Eingabe einer P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6616B1 (fr) * 2002-02-25 2004-09-03 Schlumberger Systems & Service Procede de controle d'acces a au moins certaines fonctions d'un terminal, en particulier terminal telephonique mobile et terminal correspondant
FR2843520B1 (fr) * 2002-08-12 2005-01-07 Sagem Procede d'utilisation d'un telephone mobile
JP2006303701A (ja) 2005-04-18 2006-11-02 Fujitsu Ltd 電子機器、その動作抑止制御方法及び動作抑止制御プログラム
WO2010054472A1 (en) 2008-11-17 2010-05-20 Sierra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identity modules and terminal equipment
US11429153B2 (en) * 2017-04-25 2022-08-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sitive disconnection of integrated inpu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354A (ja) * 1985-07-09 1987-01-20 Alpine Electron Inc 自動車電話システムの機能ロツク方法
US4843385A (en) * 1986-07-02 1989-06-27 Motorola, Inc. Electronic lock system for a two-way radio
JP2743501B2 (ja) * 1989-07-28 1998-04-22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車電話端末装置の制御方式
US5313639A (en) * 1992-06-26 1994-05-17 George Chao Computer with security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thereto
US5812954A (en) * 1995-11-27 1998-09-22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telephone power key lock function
JPH09261759A (ja) * 1996-03-19 1997-10-03 Sony Corp 通信端末装置
US5930703A (en) * 1996-03-21 1999-07-27 Ericss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gramming a cellular radiotelephone
US5842124A (en) * 1996-11-16 1998-11-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ser-programmable service programming of cellular telephones
FI105762B (fi) * 1997-11-21 2000-09-29 Nokia Mobile Phones Ltd Langaton viestin
FI106904B (fi) * 1998-12-08 2001-04-30 Nokia Mobile Phones Ltd Langaton viestin ja ohjauselin
US6141564A (en) * 1999-09-30 2000-10-31 Motorola, Inc. Method of sharing a SIM card between two masters
US6449492B1 (en) * 1999-12-02 2002-09-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nadvertant operation of a manual input device
US6871063B1 (en) * 2000-06-30 2005-03-2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computer system
US6532393B1 (en) * 2000-08-31 2003-03-11 Shin Jiuh Corp. Keypad structure
US6696941B2 (en) * 2001-09-04 2004-02-24 Agere Systems Inc. Theft alarm in mobil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4346A1 (de) * 2007-07-24 2009-01-29 Cherry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sicheren Eingabe einer P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0934A1 (fr) 2001-09-05
US20010029586A1 (en) 2001-10-11
CN1237773C (zh) 2006-01-18
CN1313698A (zh) 2001-09-19
JP2001296956A (ja) 200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928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honeypot mode for an electronic device
EP0976278B1 (en) Preventing misuse of a copied subscriber ident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62551A (ko) 무선전화기 장치를 위한 도난방지 보호 장치 및 방법
AU715486B2 (en) Check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a mobile subscriber
KR100623340B1 (ko) 디지털 사용자 단말기에서 인증 및 암호 사용자 정보의 관리 방법 및 장치
JPH08186869A (ja) 不正使用防止機能付き無線電話機
CN100353787C (zh) 一种移动终端内存储的资料信息的安全保障方法
US20100177899A1 (en) Encrypted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85607A (ko) 키패드를 포함하는 장치, 및 불필요한 침입으로부터 키를보호하는 방법
CA2593991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honeypot mode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1262669A (zh) 一种移动终端内存储的资料信息的安全保障方法
JP2000049933A (ja) キ―ボ―ドを有する無線電話装置
US20070142086A1 (en) Method of securing a mobile telephone identifier and corresponding mobile telephone
KR100591341B1 (ko)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인증방법
CN1512799A (zh) 一种保密手机实现远程密钥销毁的方法
CN109561224B (zh) 一种通话处理方法及通话终端
CN1182339A (zh) 移动电话防盗码方法
KR1007870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방법
KR2007005649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기능 설정/해제 방법
KR10059417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방법
JP3037276B2 (ja) 防犯機能付き携帯電話機及びその遠隔操作方法
JP2002077371A (ja) 電話機
KR100348290B1 (ko) 단말기인증에관련된파라미터누출방지방법
KR1010108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보안 방법
KR20050113534A (ko) 유료 서비스 접속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