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506A - 자동차의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및 그러한 단자조립체를 구비한 시동 접촉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및 그러한 단자조립체를 구비한 시동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506A
KR20010085506A KR1020010009168A KR20010009168A KR20010085506A KR 20010085506 A KR20010085506 A KR 20010085506A KR 1020010009168 A KR1020010009168 A KR 1020010009168A KR 20010009168 A KR20010009168 A KR 20010009168A KR 20010085506 A KR20010085506 A KR 20010085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p
contactor
terminal assembl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1740B1 (ko
Inventor
바딩미쇼질르
Original Assignee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filed Critical 레메이르 마르
Publication of KR2001008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4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the motors being associated with current 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자기 릴레이형의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는 접촉기 본체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된 캡을 구비한다. 상기 캡은 접촉기의 가동 접점과 협력하는 2개의 고정 접점과 접속 단자를 지지하며,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고정 접점 중 하나를 전원에 접속하고 또 다른 하나를 시동기 모터 로터의 권선에 접속한다. 상기 캡은 접촉기의 전자기 릴레이를 규정하는 수단의 릴레이 코일에 상기 단자를 접속하는 수단과 함께, 여자 권선을 추가로 지지한다. 고정 접점 중 하나를 상기 전원에 접속하는 접속 단자는 캡의 측면에 위치하며, 캡의 주 축에 평행하지 않은 축을 갖는다. 상기 접속 단자는 캡에 지지된 상보형 지지부상에 부착된 새들 부재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및 그러한 단자 조립체를 구비한 시동 접촉기{A TERMINAL ASSEMBLY FOR A VEHICLE STARTER CONTACTOR, AND A CONTACTOR HAVING SUCH A TERMINAL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및 그러한 단자 조립체를 구비한 시동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시동 접촉기는 가동 접점(3)이 달린 코어(2)를 구비한 전자기 릴레이(1)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접점(3)은 시동기의 전기 모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코어(2) 및 가동 접점(3)의 변위는 하나 이상의 릴레이의 권선(4)의 여자(勵磁)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한 접촉기는 캡(5)에 지지된 3개의 단자를 구비하며, 캡(5)의 일단부는 접촉기의 본체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 중 하나는 전력 단자로서, 대체로 +BAT 로 표시되고 시동기를 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접속하는 케이블의 일 단부를 수용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BAT 단자는 캡(5)의 기부상에 부착된 대체로 구리제의 스크류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크류의 헤드는 캡(5)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는 2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단자를 캡에 고정시키고, 또 릴레이의 가동 접점(3)용의 고정된 전기 접점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단자 중 다른 하나는 전기 시동기 모터의 로터의 권선에 접속된 이른바 유도자 단자(도 1의 IND) 이다. 이러한 단자는 +BAT 단자와 유사한 스크류로 이루어져 있고, 또 릴레이의 가동 접점용의 고정된 전기 접점으로서 기능한다.
제 3 단자는 여자 단자로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대체로 EXC 로 표시된다. 이러한 EXC 단자는 자동차의 점화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회로로부터 접촉기 권선(4)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단자는, 모터 산업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유형의 보호 및 밀봉 시스템을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지 않는 스크류나 너트 또는 태그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3개의 단자(+BAT, IND, EXC)는 릴레이 코어의 축에 대체로 평행하다. 즉, 시동기의 축에 평행하다.
그러한 장치는 문제점이 없지는 않다.
엔진에 장착되는 배기관 또는 도입관이나 다른 구성 요소와 근접하기 때문에, 시동기의 단자에 축방향으로의 접근성이 비교적 곤란하여 전력 케이블의 장착이 어려울 수 있다.
한가지 해결책은, 접촉기의 축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방해가 되는 구성 요소를 수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은 엔진의 소형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해결책은, +BAT 및 EXC 접속을 횡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이다(이러한 접속에서, 유도자는 시동기 모터의 제조중에 그것의 권선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자세를 취하기가 덜 어렵다).
특히, 본 출원인의 프랑스 특허 출원 FR 2 751 124 호에는, 시동기의 접점상에 횡방향으로 고정되기에 적합하고 또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었는데,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해 시동기의 단자가 부착 단자에 접속되고, 하우징이 접촉기상에 배치될 때 상기 부착 단자는 최초의 주 단자에 대해 90°로 배치되고 배향된다.
이러한 장치는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하고 덜 복잡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기 릴레이형의 시동 접촉기용의 단자 조립체를 제안하는바, 접촉기 본체상에 축방향으로 부착되고 또 그것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접촉기의 가동 접점과 협력하기에 적합한 2개의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점점 중 하나를 전원에 접속하고 또 상기 다른 하나의 고정 접점을 전기 시동 모터의 로터 권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캡은 접촉기의 전자기 릴레이를 구성하는 수단의 권선에 상기 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수단 및 여자 단자를 추가로 지지하며, 고정 접점 중 하나를 상기 전원에 접속하는 접속 단자는 캡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캡의 주축에 평행하지 않은 연결 축을 구비하는, 단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캡의 상보형 지지 요소상에 부착되고그것에 고정된 새들 부재(saddle member)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단자 조립체는 종래의 장치에 비해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제조 비용이 적으며 제조하기가 용이하다.
그것은, 단독으로 또는 가능하다면 함께 선택되는 다음의 여러 특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접속 단자는 스크류 및 너트 고정에 의해 상보형 지지 요소상에 고정된다.
- 여자 단자는 캡의 측면에 배치되고 캡의 주 축에 대해 평행하지 않은 접속 축을 갖는다.
- 상기 접촉 축은 캡의 주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 캡은 새들 부재를 수용하는 지지 요소의 측면에 위치한 벽을 구비하며, 상기 벽은 기부를 구성하는 벽과 함께, 접속 단자상에 부착될 상보형 스페이드 단자를 안내하고 배치하기에 적합한 구성을 규정한다.
- 캡은 새들 부재의 평탄한 부분중 하나와 일치하는 러그에 의해 연장되고, 고정 접점 중 하나를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가 상기 새들 부재상에 장착된다.
- 상기 평탄한 부분의 말단은 굽혀져 있다.
- 고정 접점 중 하나를 전원에 접속하기에 적합한 접속 단자 및 여자 단자는 평행한 축을 갖는다.
- 벽 안에 수용되는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벽은 캡의 잔여부에 대해 돌출하고 또 상기 너트상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스레드 단자 또는 웅형 커넥터와 협력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단자 또는 커넥터상에 고정되고 또 상기 단자 또는 커넥터와 소자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접속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소자는 상기 단자 또는 커넥터를 커넥터의 권선에 접속시키거나 또는 상기 권선으로의 전력 공급을 조절하는 전자 인쇄 회로에 접속시킨다.
- 여자 단자는 접속 소자와 통합되어 있다.
- 캡은 여자 단자를 수납하는 공동을 구비하며, 상기 공동은 상보적 형태의 접속 소자를 수납하고 보유하기에 적합한 형태를 갖는다.
- 공급 단자는 그것의 연장부인 패드와 함께 원위치의 성형에 의해 캡에 형성되고, 상기 패드(또는 그것의 연장 요소)는 고정된 접점을 구성하도록 그의 면 중 하나를 통해 캡으로부터 돌출한다.
- 패드의 한 면은 고정 접점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꼭지(spigot)에 의해 연장된다.
- 패드의 2개의 각각의 면은 꼭지에 의해 연장된다.
- 꼭지는 패드상에 억지 끼워맞춤되고 패드와는 다른 재료로 형성된다.
- 고정된 접점 중 하나를 전원에 접속하기에 적합한 접속 단자는, 상기 접속 단자 및 여자 단자를 장착하기 위한 캡의 돌기에 대해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가동 접점을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전자기 릴레이를 구성하는 수단이 배치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상에 축방향으로 부착되며 본체상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캡을 포함하는 단자 조립체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캡은 커넥터의 가동 접점과 협력하기에 적합한 2개의 고정된 접점과 함께, 고정된 단자 중 하나를전원에 접속하고 다른 하나를 시동기의 전기 모터의 로터 권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캡은 여자 단자를 전자기 릴레이의 권선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 및 여자 단자를 추가로 지지하는 유형의 시동 접촉기에 있어서, 단자 조립체가 전술한 유형의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명세서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본 명세서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제한적이지 않다. 본 명세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유형의 접촉기의 개략적 단면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가능한 일실시예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가능한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가능한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가능한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
도 5e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조립체를 구비한 커넥터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e와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가능한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기 릴레이 3 : 가동 접점
11 : 고정 접점 12 : 새들 부재
13 : +BAT 단자 14 : 너트
15 : 캡 15a, 15b : 벽
16 : 전력 공급 리벳 17 : 박 커넥터
20 : 스크류 22a : 패드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촉기는 전기 절연재로 제조된 캡(15)을 구비한다. 상기 캡(15) 상에는 2개의 스크류 단자[+BAT(13) 및 EXC(19)]가 통합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 캡(15)은 주조된 형태로 되어 있다. 2개의 단자(13, 19)는 서로 평행하고 또 캡(15)의 주 축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어 캡(15)에 대해 횡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로부터 케이블의 단부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배치된 스레드 단자(13)는 2개의 평탄한 부분(12a, 12b)을 갖는 전기 전도성 재료의 새들 부재(12)상에 장착되어 있다. 특히, 단자(13)는 평탄한 부분(12b)에 대향된 부분(12a)의 측면상에서 그 부분(12a)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어 있다. 평탄한 부분(12a)은 부분(12b)에 이어진 단부에서 절곡되어 있다.
상기 단자(13)는 새들 부재(12)에 고정될 수도 있고, 스크류 고정, 이어 붙임 또는 용접에 의해 그것과 함께 부 조립체를 형성한다.
다른 변형예에서, 새들 부재(12) 및 스레드 단자(13)는 소망한다면 단일 부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새들 부재(12)는 캡(15)의 외측에 지지된 안장(saddle) 형상의 상보형 지지부상에 배치된다.
상기 캡(15)은 벽(15a)을 포함하며, 그 벽은 U자 형상의 지지부의 측면에 접경하고 기부(15b)와 함께 슈(shoe)를 형성하며, 새들 부재(12)가 지지부상에 위치도록 상기 슈 안에 안내된다.
벽(15a, 15b)에 의해 규정되는 지지 슈는, 한편으로는 조립체(12, 13)에 대해 양호한 기계적 위치설정을 제공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공장에서 작업할 때 케이블, 링크, 공구 등의 접지된 금속제 부품에 근접한 것에 기인하는 우발적인 단락에 대비한 전기적 보호를 제공한다.
또한, 슈는 단자(13)상에 지지되도록 배치되고 평탄한 부분(12a)과 단자(13)상에 나사결합되는 너트(참조 번호는 없음)의 사이에서 파지되는 상보형 케이블 커넥터를 안내하고 파지한다. 스레드 볼트(11)가 캡(15)의 내측에서 종단되고 헤드(11a)에 대향된 단부에 너트(14)를 수용하며, 상기 볼트(11)는 너트(14)와 협력하여 평탄한 부분(12b) 및 헤드(11a)와 너트(14)의 사이의 캡(15)의 대응 지지부를 파지한다.
헤드(11a)는, 접촉기의 가동 접점에 결합되어 그 가동 접점을 배터리에 접속하는 고정 접점이다.
단자(19)는 저가의 표준 스크류로 이루어져 있다. 단자(19)는 벽(15e)에 형성된 상보적 형태의 하우징(15d) 안에 수용된 너트(18)상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벽(15e)은 캡(15)의 평탄부로부터 돌출하고, 또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인 너트를 끼우기 위해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벽(15e) 및 그것의 하우징(15d)은 너트(18)를 고정시키며, 측벽(15e)에는 단자(19)의 통과를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안장 형상으로 형성된 전기 접속 박(leaf)(17)이 벽(15e)에 지지되어, 상기 전기 접속 박(17)의 일부분상에 결합되는 단자(19)의 헤드를 접점 및 전력 공급 리벳(16)과 접속한다. 상기 전력 공급 리벳(16)은 캡을 통해 뻗어 있고 접촉기의 릴레이 권선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리벳(16)은 박(17)의 눈 부분에 끼워진다. 변형예에서, 박(17)은 접촉기의 권선을 공급하거나 또는 전자 커넥터의 경우에 상기 단자(19)를 전자 제어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소자를 접속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캡(15)은 단자 IND(유도 단자) 및 상기 유도 단자를 로터 권선에 접속하는 종래의 접속 수단(10)을 지지한다. 상기 단자 IND는,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캡(15)의 기부상에 부착되고 또 상기 캡의 축(즉, 시동기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스크류로 이루어져 있다.
접속 수단(10)은 각종 소자, 즉 단자 IND(유도 단자)와 관련된 제 1 소자 및 새들 부재(12)와 관련된 제 2 소자를 포함하므로 여러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각각의 이러한 소자는 캡의 평탄한 표면(15f)상에 결합되는 눈에 의해 종단되는 금속 스트립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눈은 평탄한 표면을 통해 연장되는 중공형 리벳에 고정되어, 리벳의 자유단을 단압(鍛壓)하는 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소자가 평탄한 표면(15f)에 고정된다.
중공형인 접촉 리벳(16)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구성이 적용되지만, 중공형 접촉 리벳은 나중에 설명하게 될 다른 평탄한 표면(15i)에 고정된다.
전기 와이어가 접점의 내부로부터 눈에 용접될 중공형 리벳을 통과한다.
이런 방식으로, 권선 또는 관련된 전기 회로에 전류가 흐른다.
접속 소자 및 와셔를 구성하는 박 커넥터(17)는 단자 IND상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속 수단의 전술한 제 1 및 제 2 소자를 고정시키는 리벳(16) 및 기타 리벳에 의해 분실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접속 소자를 구성하는 금속 스트립은 와셔에 끼워지는 반면, 커넥터(10)의 제 2 접속 소자의 금속 스트립은 새들 부재의 부분(12b)에 끼워지며, 벽(15a)은 금속 스트립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국부적 개구를 형성하고 있다.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에 통하는 케이블상의 케이블 커넥터는 와셔와 단자 IND의 스레드상에 나사결합된 너트(도시 안됨)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유사하게, 시동기 모터를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의 단자가 단자(13)상에 나사결합된 너트(참조 번호 없음)와 부분(12a)의 사이에 고정된다.
단자 IND는 평행육면체의 일반적 형태를 갖는 돌기(15g)의 상부 벽으로부터 돌출한 횡단 벽(15h)에 의해 볼트(11)로부터 그리고 새들 부재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상부 벽은 횡단 벽(15h)의 다른 측면상에 있는 표면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부분적으로 접경하며, 접속 수단의 제 1 소자의 와셔가 상기 다른 측면상의 표면에 지탱한다.
돌기(15g)는 그것의 상부 벽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2개의 벽과 접경하며, 돌기의 상부 벽은 IND 단자 및 단자(13)와 관련된 고정 접점을 보유하도록 중공형으로 되어 있고, 단자 IND의 고정 접점의 형태는 고정 접점(11a)과 동일하다.
돌기(15g)는 캡(15)에 대해 직경방향으로 뻗어 있고, 그것의 기부는 원형으로 되어 있다.
벽(15a, 15b)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기부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지지부가 측방향으로 돌기를 한정하며, 이 지지부는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할 방식으로 러그를 규정하도록 돌기보다 더 하부로 연장된다.
평탄한 표면(15f, 15c)은 돌기의 각 측면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돌출 벽(15e)은 2개로 분할된 표면(15c)에 대해 돌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돌출 벽(15e)은 횡단 벽(15h)의 연장부 이지만, 단자(17)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단자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돌기의 상부 벽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단자(19)도 그와 마찬가지이다.
단자(19)는 캡(19)의 전체 주변부 내에 위치하는 반면, 단자(13)는 상기 캡(15)에 대해 돌출되어 있다.
변형예에서, 벽(15e)은 횡단 벽(15h)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특히 캡(15)이 성형가공 되어 있으므로 제조하기가 용이하고 또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해결책이 달성된다.
와셔가 단자 IND상에 억지 끼워맞춤되어 있으므로 단자 IND는 분실될리 없다.
전술한 여러 접속 수단은 캡을 접촉기상에 끼우기 전에 캡(15)에 조립될 수도 있다.
변형예에서, 단자(13)가 접촉기에서 통상적인 외피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수행하기가 까다로울 수도 있는 조립 작업(이어 붙임, 용접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캡(15)을 접촉기의 잔여부에 조립한 후에만 새들 부재(12) 및 단자(13)를 적소에 끼울 수도 있다.
캡(15)을 이용하는 다른 실시예를 생각할 수도 있다.
특히, 도 3a 내지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EXC)는 접속 박(17)의 일단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여기서 캡(15)은 수정되지 않는 상태로 있다.
특히, 단자(EXC)는 접속 박(17)과 일체로 된 평탄하거나 둥근 웅형 또는 자형 요소의 형태로 될 수도 있고, 특히 접속 박(17)내에 찍는 것에 의해 형성되며, 스크류 및 너트 파스너(18, 19a)에 의해 또는 리벳(도시 안됨)에 의해 캡(5)상에 지지된다. 이 경우에 단자 EXC는 굽혀져 있다.
또한, 단자 EXC가 캡에 그러한 목적으로 형성된 공동내에 수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공동은 차량용 케이블의 커버로부터 이어진 상보적 형태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기능한다. 클립 및 밀봉 시스템이 그것에결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캡(15)에 지지된 단자 EXC는 자형 부재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그것은 케이블 커넥터를 끼울 때 스크류(20)(도 4a 내지 4c 참조)를 수용하기 위해 벽(15e) 및 너트(15d)와 협력하는 박(17)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는 포크 형태의 평탄한 단자(21)일 수도 있다. 캡(15)은 새들 부재(12)의 부분(12a)과 정렬된 러그(15j)까지 연장되어, 단자(13)가 그것의 하부에 위치된다.
도 5a 내지 5e에 도시된 또 다른 변형예에서, 부재(11), 새들 부재(12) 및 단자(13)는 원위치 주조에 의해 캡(15)상에 형성되는 부품 또는 조립체(22)로 교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품 또는 조립체(22)는 캡(15)의 벽에 성형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평행육면체 형태의 패드(22a)를 포함하며, 단자(13)는 패드(22a)의 일면으로부터 캡(15)의 재료 안으로 연장된다.
패드(22a)의 하부면, 다시 말하면 패드가 적소에 위치할 때 캡(15)이 배치되는 접촉기의 주요부와 인접한 면은 캡(15)의 내측으로 개방되고 계전(繼電) 기능을 위한 전기 접촉기로서 기능한다.
이 면은 꼭지(22b)에 의해 연장되거나 임의의 다른 공지된 형태의 접점(반구형 또는 동심형 환상 링을 갖는 표면 등)에 의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의 이점은 전압 강하, 마모, 결빙 민감도 등이 낮다는 것이다.
꼭지(22b)는 패드(22a) 안에 억지 끼워맞춤될 수도 있고, 꼭지로 이루어지는전기 점점에 내식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패드(22a) 및 단자(13)에 저렴한 재료(강)를 사용할 수 있다.
그것은 패드(22a)를 통해 연장되어 그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그것에 의해 원위치 성형 작업중에 오 장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단자(3)와 관련된 접속 수단은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케이블용 와셔를 포함한다.
벽(15a)은 돌기의 위로 돌출하지 않지만, 단자(13) 및 와셔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돌기의 측면 연부(15g)까지 뻗어 있다.
따라서, 그것은 활주면과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도 5d는 접속 수단(10)의 눈과 리벳의 형태를 명확하게 도시하고 있고, 이들 눈은 눈(16)과 같이 리벳과 조화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 다른 변형예에서, 단자(13)(+BAT 단자)는 새들 부재(12)의 평탄한 부분(12b)의 연장부에 의해, 그리고 캡(15)의 스커트의 연장부에 의해 접촉기의 본체를 향하여 옮겨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평탄한 부분(12b)이 접촉기의 본체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평탄한 부분(12b)의 단부는 단자(13)를 접촉기 본체로부터 더욱 멀리 분리시키도록 중첩되게 굽혀질 수도 있다.
모든 경우에, 단자(13)(+BAT) 및 EXC 단자는 도 1, 5e 및 6에 도시된 캡의 주축(P)에 평행하지 않은 접속 핀을 갖는 캡의 측면상에 연장되어 있다.
단자(13)는 돌기에 대해, 또 캡(15)에 대해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단자 조립체는 종래의 장치에 비해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제조 비용이 적으며 제조하기가 용이하다.

Claims (17)

  1. 전자기 릴레이 유형의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로서, 접촉기 본체상에 축방향으로 부착되고 끼워지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접촉기의 가동 점점과 협력하는 2개의 고정 접점과 함께, 상기 고정 점정 중 하나를 전원에 접속하고 다른 하나의 고정 접점을 시동기의 전기 모터의 로터 권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캡은 접촉기의 전자기 릴레이를 구성하는 수단의 권선에 상기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과 여자 단자를 추가로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 접점 중 하나를 전원에 접속하기 위해 제공된 접속 단자는 상기 캡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캡의 주축에 평행하지 않은 접속 축을 갖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캡의 상보형 지지 소자상에 부착되어 끼워진 새들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스크류 및 너트 고정에 의해 상기 상보형 지지 소자상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 단자는 상기 캡의 측면상에 위치하고, 상기 캡의 주축에 평행하지 않은 접속 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축은 상기 캡의 주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새들 부재를 수용하는 지지 소자의 측면에 위치한 벽을 구비하고, 상기 벽은 기부를 구성하는 벽과 함께, 접속 단자에 부착될 상보형 스페이드 단자를 안내하고 배치하는 형상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고정 접점 중 하나를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가 장착되는 새들 부재의 평탄한 부분 중 하나와 일치하는 러그에 의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한 부분은 말단에서 굽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8. 제 3 에 있어서,
    상기 여자 단자 및 상기 고정 접점 중 하나를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는 평행한 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잔여부에 대해 돌출하고 스레드 단자 또는 웅형 커넥터와 협력하는 벽에 수용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웅형 커넥터는 상기 너트에 고정되고, 상기 단자 또는 커넥터를 상기 접촉기의 권선에 접속하거나 또는 상기 권선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인쇄 회로에 접속하는 소자와 상기 단자 또는 커넥터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고 또 상기 단자 또는 커넥터상에 고정되도록 배열된 접속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 단자는 상기 접속 소자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여자 단자를 수용하는 공동을 구비하며, 상기 공동은 상보적 형상의 접속 소자를 수용하고 보유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단자는 그것의 연장부인 탭과 함께 원위치 성형에 의해 캡에 형성되고, 상기 패드 또는 그것에서 연장된 소자는 그의 표면 중 하나를 통해 캡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 접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하나의 표면은 고정 접점을 구성하는 꼭지에 의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그의 2개의 표면상의 꼭지에 의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패드에 억지 끼워맞춤되고, 패드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을 전원에 접속하는 접속 단자는 상기 접속 단자 및 여자 단자를 장착하기 위한 상기 캡(15)의 돌기(15g)에 대해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17. 가동 접점을 이동시키는 전자기 릴레이를 구성하는 수단이 배치된 본체를 포함하는 유형의 시동 접촉기로서, 상기 본체상에 축방향으로 부착되고 고정되는 캡을 포함하는 단자 조립체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캡은 접촉기의 가동 접점과 협력하는 2개의 고정 접점과 함께, 고정 접점 중 하나를 전원에 접속하고 또 다른 하나를 시동기의 전기 모터의 로터 권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캡은 전자기 릴레이의 권선에 여자 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수단 및 여자 단자를 추가로 지지하는, 시동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조립체는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접촉기.
KR1020010009168A 2000-02-29 2001-02-23 자동차의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KR100771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02608 2000-02-29
FR0002608A FR2805660B1 (fr) 2000-02-29 2000-02-29 Ensemble d'extremite pour contacteur de demarreur pour vehicule, notamment automobile, et contacteur comportant un tel ensemble d'extrem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506A true KR20010085506A (ko) 2001-09-07
KR100771740B1 KR100771740B1 (ko) 2007-10-30

Family

ID=884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168A KR100771740B1 (ko) 2000-02-29 2001-02-23 자동차의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71740B1 (ko)
CN (1) CN1258793C (ko)
FR (1) FR2805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923B1 (ko) * 2011-08-19 2013-07-02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터 모터용 마그네트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8271B2 (ja) * 2015-04-13 2019-06-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および電磁継電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82379A5 (ko) * 1970-03-12 1971-12-10 Paris & Du Rhone
US4293835A (en) * 1980-01-28 1981-10-06 Roper Corporation Solenoid for an electric starting motor for garden tractor or the like
FR2567584B1 (fr) * 1984-07-10 1986-12-19 Paris & Du Rhone Electrocontacteur pour demarreur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AU572732B2 (en) * 1985-06-20 1988-05-1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Battery mounted electromagnetic switch
US5245304A (en) * 1992-12-15 1993-09-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ic switch for a starter motor
FR2736099B1 (fr) * 1995-06-27 1997-08-01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et contacteur pour un tel demarreur comportant un relais auxiliaire de commande integre au contacteur
FR2762135B1 (fr) * 1997-04-09 1999-05-14 Valeo Equip Electr Moteur Contacteur de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JP3583581B2 (ja) * 1997-07-01 2004-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923B1 (ko) * 2011-08-19 2013-07-02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터 모터용 마그네트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05660B1 (fr) 2002-07-19
FR2805660A1 (fr) 2001-08-31
CN1311516A (zh) 2001-09-05
KR100771740B1 (ko) 2007-10-30
CN1258793C (zh)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1959B1 (en) Electromagnetic switch equipped with built-in electronic control circuit
CN101113711B (zh) 具有最小化电磁开关的起动机
US7414501B2 (en) Electromagnetic switch for starter
US7728704B2 (en) Method for reducing continuous charge
US6224169B1 (en) Integrated brake fluid control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US5132653A (en) Electromagnetic switch
CN1963974A (zh) 起动机的电磁开关
EP1202435A3 (en) Terminal unit for electric motor
US6943655B1 (en) Direct current contactor assembly
EP0177349B1 (en) Fuse circuit unit
JP2008295213A (ja) 電動機のコイル結線構造およびその結線方法
US5757256A (en) Starter and contactor therefor
US6107790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771740B1 (ko) 자동차의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JPH07226249A (ja) コネクタ装置
KR101281383B1 (ko) 시동기 접촉기
US10249462B2 (en) Power relay for a vehicle
CN105745795A (zh) 用于继电器系统的继电器连接器组件
US5912518A (en) Motor coil assembly
CN110600328B (zh) 一种防水常开直流接触器
JP2003031095A (ja) 電磁リレー
EP0706195B1 (en) Magnet switch for starter
JP2698722B2 (ja) 電磁弁
CN220065591U (zh) 一种高效安装的智能断路器
JP4132067B2 (ja) 通電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