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3991A -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3991A
KR20010083991A KR1020000008708A KR20000008708A KR20010083991A KR 20010083991 A KR20010083991 A KR 20010083991A KR 1020000008708 A KR1020000008708 A KR 1020000008708A KR 20000008708 A KR20000008708 A KR 20000008708A KR 20010083991 A KR20010083991 A KR 20010083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guide
roller
support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5800B1 (ko
Inventor
유영식
Original Assignee
유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식 filed Critical 유영식
Priority to KR1020000008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800B1/ko
Publication of KR2001008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8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1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65G47/642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in a horizont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이송컨베이어에서 가지이송컨베이어가 교차되게 설치되는 부분을 절단 이격시켜 방향전환장치를 설치하되, 방향전환장치는 이격된 메인이송컨베이어의 사이에는 개별 동력수단이 구비된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를 직선으로 설치하고 이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에서 가지이송컨베이어 측으로는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제품을 직선으로 이송시키고자 할 때에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를 수평상태로 유지시켜서 제품을 메인이송컨베이어 이송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제품을 가지이송컨베이어측으로 이송시켜주고자 할 때에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를 방향전환집입컨베이어측으로 기울여지게 하여 메인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지던 제품이 기울어져 작동되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에 의해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측으로 방향전환 되어진 후 경사진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에서 슬라이딩되어 가지이송컨베이어측으로 진입되어지도록 된 것으로서,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의 독립컨베이어(11-1)를 수평상태 또 기울여 경사진 상태로 유지시킴에 따라 제품을 직진 이송시키거나 또는 방향 전환시켜 가지이송컨베이어측으로 이송시켜줄 수 있게 되고, 특히 독립컨베이어(11-1)의 이송롤러(20)의 사이에 굴대설치 된 방향전환유도 롤러(37)와 방향전환유도롤러(30)들이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측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고 방향전환진입롤러(50)가 독립적으로 작동되므로 제품을 신속하게 방향 전환시켜 공급시킬 수 있어 제품이 적체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처리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센싱수단에의해 독립컨베이어(11-1)를 수평 또는 경사지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게되면 이송컨베이어의 제품이송처리시스템을 자동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Change apparatus for conveyer}
본 발명은 소정의 제품들을 연속적으로 자동 이송시켜 주도록 하는 이송컨베이어에 있어서, 특정 제품을 방향 전환시켜 메인이송컨베이어에서 가지이송컨베이어로 공급시켜 주도록 하는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이송컨베이어에서 가지이송컨베이어가 교차되게 설치되는 부분을 절단 이격시켜 방향전환장치를 설치하되, 방향전환장치는 이격된 메인이송컨베이어의 사이에는 개별동력수단이 구비된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를 직선으로 설치하고 이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에서 가지이송컨베이어 측으로는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제품을 직선으로 이송시키고자 할 때에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를 수평상태로 유지시켜서 제품을 메인이송컨베이어로 이송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제품을 가지이송컨베이어 측으로 이송시켜 주고자 할 때에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를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측으로 기울여지게 하여 메인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지던 제품이 기울어져 작동되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에 의해 방향전압진입컨베이어 측으로 방향 전환되어진 후 경사진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에서 슬라이딩되어 가지이송컨베이어 측으로 진입되어지도록 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이송컨베이어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는, 한쌍의 지지판을 메인이송컨베이어의 지지대와 나란하게 이격시키고 이 지지판 사이에 이송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등간격으로 굴대 설치하여 동력수단에 의해 이송롤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독립컨베이어를 설치하되 이 독립컨베이어는 상하작동수단에 의해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 측으로 경사지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 이송롤러의 사이에는 복수개씩의 방향전환유도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개별적으로 굴대 설치하되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 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진입선단의 이송롤러 사이에는 방향전환유도롤러를 굴대 설치하여서 된 것이고,
상기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의 일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는 인입유도지지판의 사이에 경사이송롤러를 등간격으로 굴대 설치하되 진입선단에는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방향전환진입롤러를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와 평행하게 굴대 설치하여서 된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송컨베이어상에 설치되는 종래의 방향전환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방향전환장치는 일체형으로 된 메인이송컨베이어(1)의 일측편에 경사이송롤러(60)가 굴대 설치된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를 설치하고 그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의 배출 측에 가지이송컨베이어(3)를 연하여 설치하되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가 설치되는 메인이송컨베이어(1)상에 작동수단에 의해 상하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가이드유도판(39)을 구비하여 된 것으로서,
제품을 직선으로 공급시키고자 할 때에는 가이드유도판(39)을 하향시켜 놓은 상태에서 메인이송컨베이어(1)를 가동시킴으로서 직선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고, 직선 이송되는 제품을 가지이송컨베이어(3)측으로 방향전환 시켜주고자 할 때에는 메인이송컨베이어(1)를 가동시켜 제품을 직선 이송시키는 상태에서 가이드유도판(39)을 상향시켜주면 직선 이송되는 제품이 가이드유도판(39)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2)측으로 진입되어진 후 가지이송컨베이어(3)측으로 이송되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방향전환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종래의 방향전환장치는 메인이송컨베이어(1)에서 제품을 지속적으로 이송시켜주도록 하면서 단순히 가이드유도판(39)에 의해 방향 전환하여 주도록 하기 때문에 가이드유도판(39)과 접촉되는 제품의 부분에 저항력이 발생하여 방향이 원활하게 전환되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제품이 방향을 전환하더라도가이드유도판(39)과의 접촉점을 기준으로 하여 제품이 회전하게 되므로 제품의 위치가 틀어진 상태에서 이송되어지며, 따라서 자동화시스템에서는 제품을 이송시키는 도중에 실시하거나 또는 최종도착지에서 제품의 위치를 바르게 교정시켜 주어야만 제품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방향전환장치는 가이드유도판(39)에 의해 가이드 전환되는 제품은 그 전환 진행속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제품이 원활하게 전환 이송되지 못하고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적체되는 제품들이 뒤엉켜 이송되어 지면서 이송컨베이어의 외측으로 낙하되어 제품이 손상되기까지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지이송컨베이어가 교차되게 설치되는 메인이송컨베이어를 분할 이격시켜 이격된 메인이송컨베이어와 가지이송컨베이어의 사이에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와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로 되는 별도의 방향전환장치를 구비하되, 동일직선상의 메인이송컨베이어에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를 구비하여 수평상태에서는 제품을 직선이송 시킬 수 있도록 하고 기울여준 상태에서는 제품을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측으로 방향전환 시켜주도록 하며,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는 방향 전환되어지는 제품이 인입되어지면 제품을 강제 인입시키고 하강 이송시켜 가지이송컨베이어로 공급시켜 주도록 된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격된 메인이송컨베이어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는 독립컨베이어를 수평상태로 하였을 때, 독립컨베이어의 이송롤러가 그의 이송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유도롤러들의 상측으로 돌출 되어 메인이송컨베이어와 평행하게 되어지도록 하여 제품을 직선상태로 이송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독립컨베이어를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 측으로 경사지게 하였을 때에는 이송롤러가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독립 설치된 방향전환유도롤러들과 일치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이송되는 제품을 가지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 측으로 방향 전환시켜줄 수 있도록 하며, 이송롤러들이 등간격으로 굴대 설치된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의 선단부에는 동력장치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방향전환진입롤러를 구비하여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지는 제품이 인입되어지면 제품을 곧 바르게 이송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에서 독립컨베이어의 선행부에 굴대 설치된 이송롤러 사이에는 외주가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 측을 향하여 경사면으로 되는 방향전환유도롤러를 구비하여 제품이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에 인입되면 방향이 자연스럽게 전환되어지면서 이송되어지도록 하고, 그 후측의 각 이송롤러의 사이에 굴대 설치되는 각 방향전환유도롤러는 전방에서 후측방향으로 외측에서 방향전환방향측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제품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방향시켜줄 수 있도록 된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메인이송컨베이어의 선상에 이송롤러사이에 가이드유도판을 구비하여 작동수단에 의해 상하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가이드유도판이 구비된 메인이송컨베이어(1)의 일측에 가지이송컨베이어(3)를 구비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메인이송컨베이어를 메인이송컨베이어(1)(2)로 분리이격시키고 가지이송컨베이어(3)도 이격시켜, 이격된 메인이송컨베이어(1)(2)의 사이에는 제품을 직진이송 또는 방향 전환하여 이송시키도록 하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를 설치하고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와 가지이송컨베이어(3)의 사이에는 방향 전환 되는 제품을 신속하게 진입시켜 주도록 하는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를 설치하되, 상기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는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21)(22)사이에 이송롤러(20)를 등간격으로 굴대 설치하여서된 독립컨베이어(11-1)를 메인이송컨베이어(1)(2)의 사이에서 동일선상으로 설치하되 각 이송롤러(20)는 동력수단에 의해 공전되는 롤링이송벨트(35)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독립베이어(11-1)는 지지판(21)측을 축으로 하여 작동수단에 의해 지지판(22)측을 상하 작동시켜 수평 또는 경사지게 가변 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각 이송롤러(20)의 사이에서 인입유도판(62)의 연장선상에 설치된 가이드수단에 내측에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하나 또는 하나이상씩의 방향 전환유도롤러(30)를 굴대 설치하되 각 방향전환유도롤러(30)는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를 향하면서 경사지게 설치한 것과,
선단의 이송롤러(20)의 사이에는 외면이 경사면으로 되는 방향전환유도롤러(37)를 굴대 설치하여서 된 것이고,
상기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는 안입유도지지판(61)(62)를 이격시켜 경사지게 설하고 그 내측에 경사이송롤러(60)를 등간격으로 굴대 설치하되 인입유도판(61)(62)의 인입선단부에는 동력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방향전환진입롤러(50)를 굴대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장치(1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되어 있으므로,
독립컨베이어(11)를 수평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는 제품은 메인이송컨베이어(1)(2)를 따라 직진 이송시킬 수 있게되고, 독립컨베이어(11)를 경사지게 기울여준 상태에서는 제품이 기울여진 독립컨베이어(11)를 통과할 때 방향전환유도롤러(37)와 각 방향전환유도롤러(30)에 의해 방향이 점진적으로 회전되어지면서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에 진입되어지는데 진입되는 제품은 방향전환진입롤러(50)에 의해 이끌리어 신속히 진입되어져서 경사이송롤러(60)에 의해 슬라이딩 이송된 후 가지이송컨베이어(3)에 공급시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장치가 이송메인컨베이어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장치를 정면에서 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장치를 측면에서 본 상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A.B.C.D.E.F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메인이송컨베이어 3. 가지이송컨베이어
10. 방향전환장치 11.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
12.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 20. 이송롤러
21,22. 지지판 23. 받침판
24,28,29. 지지편 27. 동력수단
30. 방향전환유도롤러 31. 브라켓
32. 경사받침판 33. 감속모터
34. 기동풀리 35. 롤링이송벨트
36. 연동풀리 37. 방향전환유도롤러
40. 지지대 41. 힌지부
42. 받침대 44. 높낮이조절수단
50. 방향전환진입롤러 51. 지지대
52. 연동스프로켓 53. 체인
54. 기동스프로켓 55. 감속모터
56. 받침판 57,57-1. 지지편
58,58-1. 지지대 59,59-1 축
60. 경사이송롤러 61,62. 인입유도지지판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f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장치(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을 정면 및 측면에서 본 상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f는 도 1에서 방향전환유도롤러(30)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장치(10)는 이격된 메인이송컨베이어(1)(2)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와, 상기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와 가지이송컨베이어(3)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로 구성된다.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의 구성을 설명한다.
한 쌍의 지지판(21)(22)을 이격시키고 이들 사이에 이송롤러(20)를 등간격으로 굴대 설치하여서 된 독립컨베이어(11-1)를 설치하였는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1)(22)의 저면에는 받침판(23)을 고정시켜 지지하였다. 받침판(23)의 위에는 기동풀리(34)가 장착된 감속모터(33)를 고정시켜 주었고, 기동풀리(34)의 양측 상부에 방향전환풀리(34-1)(34-2)를 굴대 설치하였으며, 최 외측에 위치하는 각 이송롤러(20)의 외측 하부에 풀리(34-3)(34-4)를 굴대 설치하고 풀리(34-3)(34-4)의 사이에도 복수개의 지지풀리(34-5)를 이송롤러(20)들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굴대 설치하되, 이들 풀리(34-3)(34-4)와 지지풀리(34-5)는 그들의 상측부가 이송롤러(20)의 하측부와 서로 중첩되어지도록 하면서 굴대 설치하였다. 이들 감속모터(33)의 기동풀리(34)와 방향전환풀리(34-1)(34-2) 및 풀리(34-3)(34-4) 지지풀리(34-5)에는 롤링이송벨트(35)를 걸어주되 롤링이송벨트(35)가 모든 이송롤러(20)들의 저면과 접촉되어지도록하여 롤링이송벨트(35)가 공전될 때 각 이송롤러(20)들은 동일방향(진행방향)으로 회전되어지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독립컨베이어(11-1)은 받침판(23)의 하측에 받침대(42)를 이격시켜 구비하되 받침대(42)의 각 모서리부에는 높낮이조절수단(44)을 각각 구비하였고, 받침대(42)의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지지대(40)를 세워 고정시키고 지지대(40)의 상단부와 지지판(21)과의 사이에는 힌지부(41)를 구비하였으며, 지지판(22)이 고정된 받침판(23)의 하측부와 받침대(42)의 사이에는 독립컨베이어(11)를 수평 또는 경사지게 가변시키는 작동수단을 단독형 또는 복수형으로 구비하였다.
상기 작동수단은 받침판(23)과 받침대(42)의 대향면에 지지편(24)(29)을 각각 고정시키고 지지편(29)에는 동력수단(27)의 하측에 고정된 지지편(28)을 핀(25-1)으로 굴대 설치하며 지지편(24)에는 동력수단(27)의 로드(27-1)에 고정된 링크(26)를 핀(25)으로 연결시켜서된 것으로서, 상기 동력수단(27)은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실린더와 전기를 이용하는 솔레노이드를 들 수 있으며, 상기 동력수단(27)의 로드(27-1)를 지지편(24)에 직접 굴대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받침대(42)의 각 모서리부에 장착되어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높낮이조절수단(44)은, 받침판(45)의 상면 중앙에 복수개의 높낮이가이드공(45-1)이 길이로 길게 뚫어진 높이조절판(45)을 고정시키고 각 높낮이가이드공(45-1)에 고정볼트(47)를 삽입하여 높낮이조절판(45)을 받침대(46)의 일면에 나사결합시키되 받침대(42)에서 받침판(46)의 상측으로 고정너트(49)가 구비된 지지볼트(48)를 나사결합시켜 높이조절판(45)과 지지볼트(48)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받침판(23)과 이송롤러(20)의 사이에는 경사받침판(32)을 구비하여 지지대(37)에 의해 받침대(42)에 고정시키고, 상기 경사받침판(32)의 위에는 각 이송롤러(20)의 사이에서 방향전환유도롤러(30)와 가이드수단을 설치하되, 가이드수단은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인입유도지지판(62)의 연장선상에 설치하고, 방향전환유도롤러(30)는 가이드수단의 전방으로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복수개씩을 방향전환진입베이어(12)측을 향하도록 각각 굴대 설치하였으며, 경사받침판(32)의 최선단에서 이송롤러(20)의 사이에는 외면이 경사면으로 된 방향전환유도롤러(37)를 굴대 설치하되, 방향전환유도롤러(37)는 작은지름측이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측을 향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가이드수단은 가이드유도판(39)을 대신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유도롤러(39-1)를 수평상태로 굴대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에서 지지판(22)의 외측으로는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를 구비하였다.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는 한쌍의 인입유도지지판(61)(62)을 경사지게 이격시키고 이들의 사이에 경사이송롤러(60)를 등간격으로 굴대 설치하되 최선행부(인입부)에는 별도의 방향전환진입롤러(50)를 지지대(51)에 의해 지지판(22)과 나란하게 굴대 설치하였다.
상기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는 인입유도지지판(61)(62)의 하측에 한쌍의 지지편(57)(57-1)을 전후부에 각각 고정시키고 각 지지편(57)(57-1)의 상단을 축(59)(59-1)으로 굴대 설치하였으며, 지지대(57)(57-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높이조절수단(44)은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의 받침대(42)에 구비된 높이조절수단(44)과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특히, 방향전환진입롤러(50)를 회전 작동시키는 동력수단은 방향전환진입롤러(50)의 축에 연동스프로켓(52)과 기동스프로켓(54)을 체인(53)으로 연결시켜서 된 것으로서, 상기 감속모터(55)는 받침판(56)을 이용하여 지지대(58)에 고정시켜주도록 하였다.
이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를 메인이송컨베이어(1)(2)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의 지지대(51)의 외측으로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를 연접되게 연결 설치하며,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의 배출측에 가지이송컨베이어(3)를 연결 설치시켜준 상태에서 작동시키게 된다.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ON시켜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측의 감속모터(33)와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의 감속모터(15)를 작동시켜 준다.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측의 감속모터(33)를 작동시키게 되면 기동풀리(34)가 회전하게 되고, 기동풀리(34)가 회전하게 되면 기동풀리(34) 및 방향전환풀리(34-1)(34-2), 풀리(34-3)(34-4), 지지풀리(34-5)에 의해 지지되는 롤링이송벨트(35)가 공전하게 되며, 롤링이송벨트(35)가 공전하게 되면 롤링이송벨트(35)와 접촉되어 있는 이송롤러(20)들이 진행방향인 메인이송컨베이어(2)측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측의 감속모터(33)가 작동하게 되면 기동스프로켓(54)이 회전하게 되고 기동스프로켓(54)의 회전에 의해 체인(53)으로 연결된 연동스프로켓(52)이 회전하게 되므로 방향전환진입롤러(50)는 가지이송컨베이어(3)측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의 이송롤러(20)와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의 방향전환진입롤러(50)가 회전(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물품을 이송시키게 된다.
먼저, 물품을 직진으로 이송시키도록 하고자 할 때에는 독립컨베이어(11-1)를 메인이송컨베이어(1)(2)와 수평상태로 유지시켜준 상태에 이송시키게 되며, 독립컨베이어(11-1)를 수평상태로 유지시켜준 상태에서 이송시키게 되며, 독립컨베이어(11-1)를 수평상태로 유지시켜 주면 독립컨베이어(11-1)의 이송롤러(20)가 방향전환유도롤러(30)(37)와 가이드유도판(39) 및 가이드유도롤러(39-1)의 상측으로 돌출 되어있는 메인이송컨베이어(1)(2)의 이송롤러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메인이송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되어지던 제품은 독립컨베이어(11-1)측으로 자연스럽게 전이되어 이송되고 독립컨베이어(11-1)측에서도 메인이송컨베이어(1)측으로 용이하게 전이 되어지며, 따라서 제품을 용이하게 직진 이송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메인이송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을 가지이송컨베이어(3)측으로 방향 전환하여 이송시키고자 할 때에는 독립컨베이어(11-1)를 경사지게 기울여준 상태에서 이송시키게 된다.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여 동력수단(27)을 작동시키면 동력수단(27)의 로드(27-1)가 동력수단(27)으로 인입되면서 링크(26)와 함께 지지편(24)을 당기게 되고 따라서 독립컨베이어(11-1)의 받침판(23)은 힌지부(41)를 축으로 하여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독립컨베이어(11-1)가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이송롤러(20)는 방향전환유도롤러(30)와 동일한 기울기 상태를 유지하여 상면이 거의 일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메인이송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제품이 독립컨베이어(11-1)의 선단에 진입 되어지면 외면이 경사면으로 된 방향전환유도롤러(37)에 의해 제품은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측으로 점진적으로 방향전환 되어지는데, 방향 전환하는 제품은 저면의 일부가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이송롤러(20)에 의해 전진이송 되어지려하고 저면의 다른 일부가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측을 향하면서 일정하게 기울어져 있는 방향전환유도롤러(30)들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제품이 전진 이송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회전하면서 이송 되어진다.
제품이 점진적으로 회전이송 되어질 때 그의 일측면이 가이드유도판(39) 또는 가이드유도롤러(39-1)와 접촉되면서 메인이송컨베이어(2)측으로 슬립되는 것이 방지되어지지만, 제품은 방향전환유도롤러(37)를 비롯하여 기울어져 있는 이송롤러(20)와 방향전환유도롤러(30)에 의해 가이드유도판(39) 또는 가이드유도롤러(39-1)와 거의 접촉되지 않으면서 신속하게 방향전환 되어지면서 이송되어진다.
특히, 방향전환 되어지면서 이송되는 제품이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측의 방향전환진입롤러(50)로 인입되어지기 시작하면 제품은 그의 저면이 회전(자전)되는 방향전환진입롤러(50)에 의해 이끌려지게 되므로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측으로 진입되어진 제품은 경사이송롤러(60)를 따라 하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경사이송롤러(60)에 의해 하향 이동하는 제품은 가지이송컨베이어(3)로 전이 되어진 후 소정의 장소로 이송되어진다.
이와 같이 메인이송컨베이어(1)를 통해 이송 되어지는 제품을 방향전환장치(10)에 의해서 진행방향을 전환시킨 후 가지이송컨베이어(3)측으로 공급, 이송시켜주는 상태에서 제품을 메인이송컨베이어(2)측으로 직진시켜주고 할 때에는 기울어져 있는 독립컨베이어(11-1)를 수평상태로 유지시켜주기만 하면 된다.
즉, 동력수단(27)의 작동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역으로 작동시키면 동력수단(27)의 내부로 유입되어 있던 로드(27-1)가 인출되면서 링크(26) 및 지지편(24)으로 연결된 받침판(23)을 밀어 상승시키게 되므로 기울져 있던 독립컨베이어(11-1)는 힌지부(41)를 축으로 하여 상향 회전되면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독립컨베이어(11-1)가 수평상태로 되면 이송롤러(20)가 방향전환유도롤러(30)(37)의 상측으로 돌출 상승하여 메인이송컨베이어(1)(2)의 이송롤러들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메인이송컨베이어(1)에서 공급되는 제품은 독립컨베이어(11-1)로 용이하게 전이되어 이송된 후 메인이송컨베이어(2)로 전이되어지므로 제품을 용이하게 직진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방향전환장치(10)를 정지시키고자 할 때에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의 감속모터(33)와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의 감속모터(55)에 각각 공급되던 전원을 OFF시켜 작동을 정지시키고 이송롤러(20)와 방향전환진입롤러(50)의 작동을 정지시켜줌으로서 방향전환장치(1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장치(10)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와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데, 받침대(42) 및 지지대(58)(58-1)에 장착되어 있는 높낮이조절수단(44)에서 고정볼트(47)와 고정너트(49)를 풀어주고 높낮이 조정판(45)과 지지볼트(48)를 조정하여 높낮이를 적정하게 맞춰준 후 풀어 놓았던 고정볼트(47)와 고정너트(49)를 조여줌으로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는 지지대(58)에 구비되어 있는 높낮이조절수단(44)을 조정하여 줌으로서,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의 전체기울기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전환진입롤러(50)의 높이를 기울어 경사지는 독립컨베이어(11-1)의 이송롤러(20)의 하측부와 일치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의 독립컨베이어(11-1)를 수평상태 또 기울여 경사진 상태로 유지시킴에 따라 제품을 직진 이송시키거나 또는 방향 전환시켜 가지이송컨베이어측으로 이송시켜줄 수 있게 되고, 특히 독립컨베이어(11-1)의 이송롤러(20)의 사이에 굴대설치 된 방향전환유도 롤러(37)와 방향전환유도롤러(30)들이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측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고 방향전환진입롤러(50)가 독립적으로 작동되므로 제품을 신속하게 방향 전환시켜 공급시킬 수 있어 제품이 적체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처리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센싱수단에 의해 독립컨베이어(11-1)를 수평 또는 경사지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게되면 이송컨베이어의 제품이송처리시스템을 자동화시킬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메인이송컨베이어의 선상에서 이송롤러사이에 가이드유도판을 구비하여 작동수단에 의해 상하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가이드유도판이 구비된 메인이송컨베이어(1)의 일측에 가지이송컨베이어(3)를 구비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메인이송컨베이어를 메인이송컨베이어(1)(2)로 분리이격시키고 가지이송컨베이어(3)도 이격시켜 이격된 메인이송컨베이어(1)(2)의 사이에는 제품을 직진이송 또는 방향 전환하여 이송시키도록 하는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 를 설치하고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와 가지이송컨베이어(3)의 사이에는 방향전환 되는 제품을 신속하게 진입시켜 주도록 하는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를 설치하되,
    상기 방향전환유도컨베이어(11)는,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21)(22)사이에 이송롤러(20)를 등간격으로 굴대 설치하여서된 독립컨베이어(11-1)를 메인이송컨베이어(1)(2)의 사이에서 동일선상으로 설치하되 각 이송롤러(20)는 동력수단에 의해 공전되는 롤링이송벨트(35)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독립컨베이어(11-1)는 지지판(21)측을 축으로 하여 작동수단에 의해 지지판(22)측을 상하 작동시켜 수평 또는 경사지게 가변 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각 이송롤러(20)의 사이에서 인입유도판(62)의 연장선상에 설치된 가이드수단에 내측에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하나 또는 하나이상씩 방향전환유도롤러 (30)를 굴대 설치하되 각 방향전환유도롤러(30)는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를 향하면서경사지게 설치한 것과,
    선단의 이송롤러(20)의 사이에는 외면이 경사면으로 되는 방향전환유도롤러 (37)를 굴대 설치하여서 된 것이고, 상기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는 안입유도지 지판(61)(62)를 이격시켜 경사지게 설하고 그 내측에 경사이송롤러(60)를 등간격으 로 굴대 설치하되 인입유도판(61)(62)의 인입선단부에는 동력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방향전환진입롤러(50)를 굴대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독립컨베이어(11-1)은, 받침판(23)의 하측에 받침대(42)를 이격시켜 구비하되 받침대(42)의 각 모서리부에는 높낮이조절수단(44)을 각각 구비하였고, 받침대(42)의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지지대(40)를 세워 고정시키고 지지대(40)의 상단부와 지지판(21)과의 사이에는 힌지부(41)를 구비하였으며, 지지판(22)이 고정된 받침판(23)의 하측부와 받침대(42)의 사이에는 독립컨베이어(11)를 수평 또는 경사지게 가변시키는 작동수단을 단독형 또는 복수형으로 구비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독립컨베이어(11-1)를 수평 또는 경사지게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은, 받침판(23)과 받침대(42)의 대향면에 지지편(24)(29)을 각각 고정시키고지지편(29)에는 동력수단(27)의 하측에 고정된 지지편(28)을 핀(25-1)으로 굴대 설치하며 지지편(24)에는 동력수단(27)의 로드(27-1)에 고정된 링크(26)를 핀(25)으로 연결 시켜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방향전환진입컨베이어(12)는, 인입유도지지판(61)(62)의 하측에 한쌍의 지지편(57)(57-1)을 전후부에 각각 고정시키고 각 지지편(57)(57-1)에는 하단부에 높이조절수단(44)이 구비된 지지대(58)(58-1)의 상단을 축(59)(59-1)으로 굴대 설치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방향전환진입롤러(50)를 회전 작동시키는 동력수단은, 방향전환진입롤러(50)의 축에 연동스프로켓(52)을 장착하고 감속모터(55)의 축에 기동스프로켓(54)을 장착하여 연동스프로켓(52)과 기동스프로켓(54)을 체인(53)으로 연결시켜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6.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높낮이조절수단(44)은, 받침판(45)의 상면 중앙에 복수개의 높낮이가이드공(45-1)이 길이로 길게 뚫어진 높이조절판(45)을 고정시키고 각 높낮이 가이드공(45-1)에 고정볼트(47)를 삽입하여 높낮이조절판(45)을 받침대(46)의일면에 나사 결합시키되 받침대(42)에서 받침판(46)의 상측으로 고정너트(49)가 구비된 지지볼트(48)를 나사 결합시켜 높이조절판(45)과 지지볼트(48)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수단은 가이드유도판(39), 가이드유도롤러(3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KR1020000008708A 2000-02-23 2000-02-23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KR100355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708A KR100355800B1 (ko) 2000-02-23 2000-02-23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708A KR100355800B1 (ko) 2000-02-23 2000-02-23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991A true KR20010083991A (ko) 2001-09-06
KR100355800B1 KR100355800B1 (ko) 2002-10-19

Family

ID=1964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708A KR100355800B1 (ko) 2000-02-23 2000-02-23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8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1435A (zh) * 2016-12-15 2017-05-17 仙桃市犇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口罩一拖二自动生产机
KR20190089535A (ko) 2018-01-23 2019-07-31 주식회사 디이엔티 롤 컨베이어용 방향 전환장치
CN116986280A (zh) * 2023-09-28 2023-11-03 兴化市佳辉电力器具有限公司 一种电气设备加工输送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480B1 (ko) 2020-12-29 2022-12-02 (주)진성 테크템 컨베이어용 이송방향 교차변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1435A (zh) * 2016-12-15 2017-05-17 仙桃市犇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口罩一拖二自动生产机
KR20190089535A (ko) 2018-01-23 2019-07-31 주식회사 디이엔티 롤 컨베이어용 방향 전환장치
CN116986280A (zh) * 2023-09-28 2023-11-03 兴化市佳辉电力器具有限公司 一种电气设备加工输送机
CN116986280B (zh) * 2023-09-28 2023-12-26 兴化市佳辉电力器具有限公司 一种电气设备加工输送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5800B1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9236A (en) Roller conveying device
KR101335779B1 (ko) 벨트 컨베이어 분류기
JP5140601B2 (ja) コンベヤ切換器
CN1305743C (zh) 带式输送机和带式聚积装置
US3690435A (en) Article conveyor system
KR101866402B1 (ko) 병렬배치형 이송 컨베어의 디버팅장치
US6648121B2 (en) Deviating device for a conveyor
JP2002538058A (ja) 整頓・配列コンベヤ
KR20180014679A (ko) 방향전환장치를 갖는 컨베이어
JP4828801B2 (ja) コンベヤにおける搬送物の方向転換方法
JP5024631B2 (ja) 仕分け設備
KR100355800B1 (ko) 이송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JP4269838B2 (ja) 物品の方向変更装置
JP2018203460A (ja) 移載装置
KR20220094913A (ko) 컨베이어용 이송방향 교차변환장치
JP2005263359A (ja) 搬送装置
KR200427982Y1 (ko) 강판 적재용 이송 가이드장치
JPH07300226A (ja) 搬送物の搬送方向変換装置
US1450225A (en) Conveyer
KR200263589Y1 (ko)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
KR100213723B1 (ko) 제품용 캐비넷의 이송장치
KR200356779Y1 (ko) 다규격 팔레트용 디버터
KR100213700B1 (ko) 제품용 캐비넷의 이송장치
KR0152250B1 (ko) 타이어 이송장치
KR20070005230A (ko) 스틸 벨트 재단장치의 보조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