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3422A - 채널 등화기 - Google Patents

채널 등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3422A
KR20010083422A KR1020000006665A KR20000006665A KR20010083422A KR 20010083422 A KR20010083422 A KR 20010083422A KR 1020000006665 A KR1020000006665 A KR 1020000006665A KR 20000006665 A KR20000006665 A KR 20000006665A KR 20010083422 A KR20010083422 A KR 20010083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sato
value
pseudo
channel equa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214B1 (ko
Inventor
김강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06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214B1/ko
Priority to US09/780,380 priority patent/US7068714B2/en
Publication of KR2001008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 H04L25/0301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 H04L25/0301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 H04L25/03057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with a recursiv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2Estimation of channel variability, e.g. coherence bandwidth, coherence time, fading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 등화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sato 에러와 DD 에러에 의해 수렴 특성을 좋게 하는 G-pseudo 채널 등화기는 대부분의 채널 환경에서는 잘 수렴하지만 DD에러 크기 계산부의 복잡도가 높고, 특히 sato 에러에 DD 에러의 절대값을 곱하는 두 번째 구간()의 경우 이 절대값()은 복잡도에서는 실수에러를 제곱한 값과 허수에러를 제곱한 값을 더한 후에 제곱근을 취해야 하므로(

Description

채널 등화기{CHANNEL EQUALIZER}
본 발명은 디지털 채널 등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합 G-pseudo 채널 등화기에 있어서 복잡도와 에러 갱신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채널 등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널 등화기는 고화질 티브이와 같은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송신 신호가 다중 경로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왜곡을 보상함으로써 비트 검출 오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왜곡된 신호에 잡음이 더해지면 송신된 신호를 정확히 복원하기가 어려워지고, 신호 레벨이 증가할수록 에러가 발생할 확률은 점점 높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신호 왜곡을 보상하여 에러가 발생할 확률을 줄이기 위하여 수신단에서는 채널 등화기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채널 등화기가 왜곡된 신호를 보상하는 과정은 크게 두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왜곡된 신호를 보상할 수 있는 적절한 상태까지 에러를 줄여주는 획득(acquisition)단계와; 일단 적절한 상태에 도달한 후 채널의 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는 트래킹(tracking)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신호 왜곡이 심해서 송신단에서 보낸 신호가 수신단에서 많이 변형된 경우에는 등화기가 제대로 수렴을 못하고 발산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송신하는 신호 사이사이에 송/수신단에서 미리 약속한 훈련열신호를 보냄으로써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훈련열은 실제로 필요한 신호가 아니기 때문에 대역폭의 손실이 필연적으로 수반되고, 또한 송신단에 이 훈련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분이 필요하므로 복잡도(complexity)가 증가하게 된다.
그래서, 훈련열을 보내지 않고도 수렴 특성을 좋게 할 수 있는 블라인드(Blind) 등화기가 나오게 되었고, 대표적인 것으로 G-pseudo 채널 등화기가 있다.
도1은 복합 G-pseudo 채널 등화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그 계수 갱신식과 필터 출력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는 다음 시간의 등화기의 필터탭의 계수,
는 현재시간의 등화기의 필터탭의 계수,
는 스텝 크기,
는 현재시간의 필터탭에 저장된 데이터,
는 현재시간의 G-pseudo 에러,
는 현재시간의 sato 에러,
는 현재시간의 결정(decision-directed)에러,
는 스케일 상수이다.
이때, 훈련 신호열이 없이 등화기를 DD(Decision Directed)에러에 의해서만 갱신하는 경우에는 등화기가 발산하기 쉽기 때문에 sato 에러를 같이 이용하여 등화기를 수렴시켜야 하고, 또한 sato 에러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최종 수렴 후에도 잔류 에러가 많이 남아 있게 되어, 어느 정도 수렴한 시점에서 DD에러로 등화기가 수렴할 수 있도록 바꾸어 주어야 하는데 그 시점을 선택하기가 쉽지 않았다.
여기서, sato 에러란 훈련신호가 함께 전송되지 않을 때 평균 전력에 의해 검출된 에러로 sato 슬라이서(3)에 의해 결정된 값에서 등화기 필터 출력을 감산하여 그 차이에 의해 생성하고, DD 에러란 등화기 필터(1)의 출력을 DD 슬라이스(2)에 입력받아 가장 근사한 값으로 결정된 데이터 심볼에서 필터 출력에 의한 값의 차이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G-pseudo 등화 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sato 에러와 DD 에러를 모두 사용하면서 실험을 통해 적당한 스케일 상수()값을 찾아 곱해줌으로써 자동적으로 sato 에러 모드와 DD 에러 모드의 변환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은 대부분의 채널 환경에서는 잘 수렴하지만 DD에러 크기 계산부(7)의 복잡도가 높고, 특히 sato 에러에 DD 에러의 절대값을 곱하는 두 번째 구간()의 경우 이 절대값()은 복잡도에서는 실수(real)에러를 제곱한 값과 허수(imaginary)에러를 제곱한 값을 더한 후에 제곱근(square root)을 취해야 하므로(), 이를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할 경우 많은 게이트수(complexity)가 필요하게 되어 크기가 커지고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제곱근을 취한 값을 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수신기 전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복합 G-pseudo 채널 등화기의 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DD에러 크기 계산부의 구조를 변형시켜 게이트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에러 갱신 속도를 개선하여 수신기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채널 등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복합 G-pseudo 채널 등화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sato 에러와 DD 에러의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도.
도3은 종래와 본 발명에 의해 구한 DD 에러의 절대값에 의한 에러 분포를 비교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G-pseudo 채널 등화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DD 에러 크기 계산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DD(decision directed) 슬라이서에 의해 계산된 DD 에러와 sato 슬라이서에 의해 계산된 sato 에러에 각각의 스케일 상수를 곱하고, 상기 DD 에러의 크기를 상기 스케일 상수가 곱해진 sato 에러에 곱하여 스케일 상수가 곱해진 DD 에러를 더해 구하여진 G-pseudo 에러에 의해 필터탭 계수를 생신하는 G-pseudo 채널 등화기에 있어서, 상기 DD 에러의 크기는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해 각각 절대값을 취해 합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신단에서 보내는 신호(a)가 채널(s)을 통과해 채널 등화기에 입력된다면 등화기가 할 일은 s-1이라는 채널(s)의 역 응답을 만들어 등화기의 출력단에서 "ass-1=a"의 원래 전송된 신호(a)를 재생해 내는 것이다.
복합 G-pseudo 채널 등화기가 s-1의 최적값을 찾아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등화기가 초기상태에 있을 때는 즉, s-1의 값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때는 도2에서 알 수 있듯이 DD(Decision directed)에러는 거의 화이트한 즉, 균등한 에러값을 갖는다.
따라서, 이 구간 동안에는 sato 에러가 주로 G-pseudo 에러를 줄여 준다.
그러나, 등화기가 s-1의 최적값에 가까워질수록 즉, 그래프의 t1지점을 지나면서부터는 sato 에러값은 거의 균등해지고 DD 에러값이 G-pseudo 에러값을 줄여준다.
그러나, sato 에러는 최적의 지점까지 수렴한 이후에도 상당량의 에러값을 가지고 있게 되는데, 이것이 블라인드 방법의 한계이다.
따라서, 단순히 DD 에러와 sato 에러를 더해준 식을 G-pseudo 에러값으로 사용한다면 DD 에러값이 거의 0의 값을 갖게 되더라도 G-pseudo 에러값은 sato 에러값 만큼의 에러값을 갖게 될 것이다.
그래서, sato 에러값에 DD 에러값의 절대값을 곱해주면 t1 이전 구간에서는 이 값은 거의 일정한 값을 가지므로 sato 에러의 수렴 특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t1 이후 구간에서는 이 값이 거의 0으로 수렴하므로 G-pseudo 에러 갱신식에서 sato 에러에 DD 에러의 절대값을 곱하는 두 번째 과정을 거의 0으로 수렴하게 하여 DD 에러값만을 가지고 최적값을 찾는 것과 거의 같은 성능을 갖게 한다.
또한, 에러 갱신식의는 sato 에러는 항상 어느 정도는 큰 값을 갖기 때문에 t1 이후의 구간에서 sato 에러가 에러 변동값은 작더라도 에러 자체의 크기가 DD 에러보다 커서 에러 갱신이 sato 에러에 의해서 좌우되는 경우가 발생할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G-pseudo 에러 갱신식의 첫 번째 구간과 두 번째 구간의 크기를 비슷하게 조절해 주는데, 정확하게 정해져 있는 값은 없고, 실험을 통해서 찾아야 하는데, 보통은값을값의 3∼4배 큰 값으로 설정한다.
그런데, G-pseudo 채널 등화기의 에러 갱신 수식에서 DD에러의 절대값의 역할을 살펴보면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 DD 에러값을 갖지 않아도 됨을 알 수 있다.
즉, 크기는 DD에러의 절대값과 똑같지 않더라도 DD에러 절대값이 균등한 값을 가질 때 역시 균등한 값을 갖고, 이 값이 크거나 작아질 때 선형적으로 비례관계에 있는 값이라면값을 조절하여 DD에러 절대값을 쓰는것과 똑같은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3은 상기 두 경우에 대한 에러값의 분포를 보인 예시도로서, DD에러의 절대값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지점에서나 항상 같은 값을 갖지만,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의 절대값을 취한 후 두 값을 더할 경우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에 따라 조금씩 다른 에러값을 갖고 대부분의 에러값이 (A)의 경우보다 약간 크지만 선형적으로 비례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4와 같이 DD 에러의 크기 계산부(7)를 실수에러와 허수에러 각각의 절대값을 취한 후 두 값을 더해주는() 구성으로 대치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똑같은 수렴 특성을 얻으면서도 동작 시간이나 복잡도면에서 더 좋은 특성을 가진 채널 등화기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수에러와 허수에러를 각각 10비트라고 가정하고, 복합에러의 절대값을 취하는 경우 이 블록의 게이트 수가 4960개인 반면에 실수에러의 절대값과 허수에러의 절대값을 취한 후 두 개를 더한 블록은 단지 292개의 게이트만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수렴 특성이나 수렴 후 잔류 에러 특성에서도 별다른 차이점이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채널 등화기는 복합 G-pseudo 채널 등화기의 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DD에러 크기 계산부의 구조를 변형시켜 게이트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에러 갱신 속도를 개선하여 수신기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DD(decision directed) 슬라이서에 의해 계산된 DD 에러와 sato 슬라이서에 의해 계산된 sato 에러에 각각의 스케일 상수를 곱하고, 상기 DD 에러의 크기를 상기 스케일 상수가 곱해진 sato 에러에 곱하여 스케일 상수가 곱해진 DD 에러를 더해 구하여진 G-pseudo 에러에 의해 필터탭 계수를 생신하는 G-pseudo 채널 등화기에 있어서, 상기 DD 에러의 크기는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해 각각 절대값을 취해 합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등화기.
KR1020000006665A 2000-02-12 2000-02-12 채널 등화기 KR100320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665A KR100320214B1 (ko) 2000-02-12 2000-02-12 채널 등화기
US09/780,380 US7068714B2 (en) 2000-02-12 2001-02-12 Err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equal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665A KR100320214B1 (ko) 2000-02-12 2000-02-12 채널 등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422A true KR20010083422A (ko) 2001-09-01
KR100320214B1 KR100320214B1 (ko) 2002-01-10

Family

ID=1964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665A KR100320214B1 (ko) 2000-02-12 2000-02-12 채널 등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68714B2 (ko)
KR (1) KR100320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255B1 (ko) * 2002-02-27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등화 장치
GB2401291B (en) * 2003-05-01 2005-12-28 Phyworks Ltd Receiver
CN104821853B (zh) * 2015-03-05 2017-04-12 北京北方烽火科技有限公司 一种pccpch载干比的计算方法和装置
TWI627846B (zh) * 2016-03-30 2018-06-2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等化增強模組、解調變系統以及等化增強方法
CN109510788A (zh) * 2017-09-14 2019-03-22 晨星半导体股份有限公司 信号处理装置及相关的均衡电路与信号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9774A (en) * 1994-06-15 1996-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ual decision equalization method and device
JP2737730B2 (ja) * 1995-11-30 1998-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ペクトル拡散送受信機
US5966188A (en) * 1996-12-26 1999-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cimation of baseband DTV signals prior to channel equalization in digital television signal receivers
JP3865482B2 (ja) * 1997-10-07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信号波形等化装置
US6496229B1 (en) * 1998-04-02 2002-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V receiver using read-only memory shared during VSB and QAM reception for synchrodyning I-F signal to baseband
US6188722B1 (en) * 1998-04-29 2001-02-13 Nortel Networks Limited Sequential blind convergence process in an adaptive decision feedback equalizer
US6426972B1 (en) * 1998-06-19 2002-07-30 Nxtwave Communications Reduced complexity equalizer for multi mode signaling
US6426680B1 (en) * 1999-05-26 2002-07-30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rrow band PLL tuning
US6505222B1 (en) * 1999-10-29 2003-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trolling undesirable bias in an equa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68714B2 (en) 2006-06-27
US20010016003A1 (en) 2001-08-23
KR100320214B1 (ko)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38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equalization in the presence of large multipath echoes
US6021161A (en) Adaptive equalizer for controlling a step size in proportion to an estimated delay of received signals
US75121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channel correction in a digital data link
US20100046598A1 (en) Adaptation Of A Linear Equalizer Using A Virtual Decision Feedback Equalizer (VDFE)
JP2007514388A (ja) デターミニスティックジッターイコライザ
US10721106B1 (en) Adaptive continuous time linear equalization and channel bandwidth control
US11368278B2 (en) Skew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orthogonal differential vector signaling codes
US7421020B2 (en) Channel equalizing device and method of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system
US5461644A (en) Adaptive viterbi detector
US6873279B2 (en) Adaptive decision slicer
KR100320214B1 (ko) 채널 등화기
US8432960B2 (en) Digital adaptive channel equalizer
EP0577212B1 (en) Adaptive viterbi detector
US200700092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agnostic features for an optical transceiver
CA2471626A1 (en) Adaptive thresholding algorithm for the noise due to unknown symbols in correlation based channel impulse response (cir) estimate
US8644369B1 (en) Equalizer adaptation for heavily compressed or clipped communications signals
US20070104263A1 (en) Method for adaptively tuning an equalizer
KR100398449B1 (ko) 블라인드 판정 궤환 등화 장치 및 그 방법
KR960012496B1 (ko) 등화 알고리즘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화기
KR20030071046A (ko) 채널 등화 장치
KR100525431B1 (ko) 채널 등화 장치
Fan et al. Efficient fast blind equalization with two‐stage single/multilevel modulus and DD algorithm for 64/256/1024qam wired cable communications
Haunstein et al. Control of 3-tap electrical feed-forward equalizer by conditional error counts from FEC in the presence of PMD
KR100866868B1 (ko) 채널 등화 방법
KR20000018829U (ko) 채널 등화기의 탭 계수 갱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