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3172A - Vehicle Frame Structure - Google Patents

Vehicle Fram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3172A
KR20010083172A KR1020010007566A KR20010007566A KR20010083172A KR 20010083172 A KR20010083172 A KR 20010083172A KR 1020010007566 A KR1020010007566 A KR 1020010007566A KR 20010007566 A KR20010007566 A KR 20010007566A KR 20010083172 A KR20010083172 A KR 20010083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coupled
cross
vehicl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5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02441B1 (en
Inventor
타케모토요리토
타카오카쿠니오
나구라히로유키
사쿠라이토시아키
코바야시에이이치
미우라마사타카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무라히로까즈
Publication of KR20010083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1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44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To provide a vehicle body structure surely improving rigidity of the body as a whole. CONSTITUTION: Beneath a floor panel member 7, a pair of side members 1 are connected together by means of a lower cross member 3d, both ends of an upper cross member 25 are passed through side wall members 20, 21 of the vehicle so as to be fixed to them, and along the side wall members 20, 21, reinforcing members 23a, 24, 27 are arranged for connecting the upper cross member 25 and the lower cross member 3d together. In this way,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together is constructed of the upper cross member 25 serving as an upper side, the lower cross member 3d serving as the lower side, and the reinforcing members 23a, 24, 27 serving as the left and right sides.

Description

차체 구조{Vehicle Frame Structure}Vehicle Frame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dy structure.

이러한 종류의 차체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실용신안공개 평4-67189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차체 구조에서는, 후륜 하우스에 보강 부재를배열 설치하여 폐쇄 단면을 형성하고, 이러한 폐쇄 단면에 의해 플로어 팬의 하측에 배열 설치된 사이드 멤버의 폐쇄 단면과 리어 쿼터 패널에 형성된 폐쇄 단면을 연결하여, 후륜 하우스의 강성 향상을 도모한다.As this kind of vehicle body structure, the thing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4-67189 is mentioned, for example. In such a vehicle body structure, the rear wheel house is arranged in a rear wheel house to form a closed cross section. The closed cross section connects the closed cross section of the side members arranged below the floor fan with the closed cross section formed in the rear quarter panel. We plan to improve house rigidity.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후륜 하우스 부근의 폐쇄 단면끼리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후륜 하우스 단체의 강성 향상은 달성할 수 있으나, 좌우의 후륜 하우스를 개별적으로 보강하고 있는 데 불과하며, 차체 전체의 강성 향상에는 거의 공헌하지 못한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차체를 보강하고 차체 전체의 강성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차체 구조가 요망된다.However, in such a prior art, since the closed sections near the rear wheel hous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rigidity improvement of the rear wheel house alone can be achieved, but it is merely reinforcing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 houses individually, and the rigidity of the entire vehicle body. Contributes little to improvement.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vehicle body structure that can reinforce the vehicle body more effectively and realize the stiffness improvement of the entire vehicle body.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차체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such a subject,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vehicle body structure which can improve the rigidity of the whole vehicle body.

제 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에서는, 차량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부재와, 상기 플로어 패널 부재의 양 측부를 따라 각각 배열 설치된 한쌍의 사이드 멤버와, 상기 플로어 패널 부재의 하측에 배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사이드 멤버를 서로 결합하는 하측 크로스 멤버와,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의 대략 윗쪽 위치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양 단이 상기 차량의 측벽 부재에 대하여 각각 관통한 상태에서 결합된 중공 형상의 상측 크로스 멤버와, 상기 각각의측벽 부재를 따라 배열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의 상기 측벽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부위의 부근에 결합되어, 하단부가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의 상기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어 있는 부위의 부근에서 결합된 한쌍의 보강 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측 크로스 멤버를 상변으로 하고, 하측 크로스 멤버를 하변으로 하며, 한쌍의 보강 부재를 좌변 및 우변으로 하여, 차체의 좌우를 결합하는 대략 사각형상의 프레임 구조가 형성되고, 차체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Claim 1, the floor panel member which comprises the floor surface of a vehicle, a pair of side members each arranged along both sides of the said floor panel member, and the lower side of the floor panel member are arrange | positioned. And a lower cross member for coupling the pair of side members to each other, extending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an approximately upper position of the lower cross member, and being coupled in a state where both ends penetrate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member of the vehicle, respectively. An upper cross member having a hollow shape and arranged along each of the side wall members, and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vicinity of a portion where the upper cross member is engaged with the side wall member of the upper cross member, the lower end being the side member of the lower cross member; And a pair of reinforcing members joined in the vicinity of the portion engaged with the. Therefore, the upper cross member is made the upper side, the lower cross member is made the lower side, and a pair of reinforcement members are mad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and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tructure which combine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vehicle body is formed, and the rigidity of the whole vehicle body is improved. You can.

또한, 제 2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에서는, 상기 보강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전후 한쌍의 비드를 갖는 휠 하우스 이너와, 하부가 휠 하우스 이너에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에 결합된 브래킷 서포트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대하여, 또한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실 내로의 돌출을 작게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the wheel house inner having a pair of beads before and after the reinforcing member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wheel house inner, and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cross member. It includes a combined bracket support. Therefore, with respect to the prior art, the torsional rigidity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projection into the vehicle compartment can be reduced.

또한, 제 3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에서, 상기 브래킷 서포트는 그 하부가 상기 휠 하우스 이너의 각 비드에 결합되며, 그 상부가 상기 각 비드간의 윗쪽에 있어서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에 결합된다. 따라서, 전후 한쌍의 비드로부터의 비틀림 강성을 효과적으로 브래킷 서포트에 전달할 수 있다.Further,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the bracket support has a lower portion coupled to each bead of the wheel house inner,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coupled to the upper cross member above the respective beads. Therefore, the torsional rigidity from the front and rear pair of beads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bracket support.

또한, 제 4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에서, 상기 측벽 부재는 리어 쿼터 패널 이너와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 멤버가 양 쿼터 패널을 관통한 상태에서 양 쿼터 패널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차체 강성에 관하여 거의 공헌하지 않았던 리어 쿼터 패널을 강도 보강재의 일부로서 활용할 수 있다.Further,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4, the side wall member includes a rear quarter panel inner and a rear quarter panel outer, and is coupled to both quarter panels in a state where the cross member penetrates through both quarter panels. . Therefore, the rear quarter panel which has hardly contributed to the vehicle body rigidity in the prior art can be utilized as part of the strength reinforcing material.

또한, 제 5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에서, 상기 리어 쿼터 패널 이너에 있어서의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의 부착 부분을 포함하는 주변에, 상기 쿼터 패널 아우터측으로 돌출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차체 전체의 강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리어 쿼터 패널의 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의 경량화가 가능하다.Moreover,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Claim 5, the bead extended in the up-down direction which protrudes to the said quarter panel outer side is formed in the periphery including the attachment part of the said upper cross member in the said rear quarter panel inner. It is. Therefore, the rigidity of the entire vehicle body can be improved, and the thickness of the rear quarter panel can be reduced, so that the vehicle body can be reduced in weight.

또한, 제 6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에서, 상기 쿼터 패널 아우터에 있어서의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의 부착 부분의 외면에, 가니쉬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크로스 멤버의 단부가 쿼터 패널에 장착된 가니쉬에 의해 은폐되기 때문에 미관성이 향상된다.Moreover,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Claim 6, the garnish is affix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rt of the said upper cross member in the said quarter panel outer. Therefore, aesthetics is improved because the end of the upper cross member is concealed by the garnish attached to the quarter panel.

또한, 제 7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에서, 상기 전후 한쌍의 비드의 내측, 전측 비드에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가 직접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차체 전체의 강성이 향상된다.Further,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the lower cross member is directly coupled to the inner and front beads of the pair of front and rear beads. Therefore, the rigidity of the whole vehicle body is improved.

또한, 제 8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에서,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는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플로어 패널 부재는 차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아래쪽으로 개구하여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의 적어도 일부가 들어가는 오목형 단면을 갖는 비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차체 전체의 강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ross member is formed of a pipe member, and the floor panel member extends downward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open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cross member. A bead having a concave cross section is provided. Therefore, the rigidity of the whole vehicle body is improved.

도 1은 실시형태의 차체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embodiment.

도 2는 차체 우측의 후륜 하우스 주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round the rear wheel house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body;

도 3은 차체 우측의 후륜 하우스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 2의 Ⅲ-Ⅲ선을 취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showing a configuration around the rear wheel house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body.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보강 부재와 브래킷 서포트를 도시한 사시도.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bracket support in FIG. 2.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사이드 멤버 3d : 제 4 크로스 파이프1: side member 3d: fourth cross pipe

7 : 리어 플로어 팬 20 : 리어 쿼터 패널 이너(측벽 부재)7: Rear floor fan 20: Rear quarter panel inner (side wall member)

21 :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 23a, 24 : 비드(보강 부재)21: rear quarter panel outer 23a, 24: beads (reinforcement member)

25 : 제 6 크로스 파이프 27 : 브래킷 서포트(보강 부재)25: 6th cross pipe 27: Bracket support (reinforcement member)

이하, 본 발명을 승용차의 후륜 하우스의 주변의 차체 구조에 구체화한 1실시형태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which actualized this invention to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the periphery of the rear wheel house of a passenger car is demonstrated.

도 1은 실시형태의 차체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차체 우측의 후륜 하우스 주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동일한 차체 우측의 후륜 하우스 주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에 있어서 왼쪽이 차량의 전방에 해당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좌측의 후륜 하우스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우측의 것에 대하여 좌우 대칭의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the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rear wheel house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body,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rear wheel house on the right side of the same vehicle body. The left side corresponds to the front of the vehicl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the structure of the rear wheel house of the left side has the same structure of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thing of the right side shown in FIG. 2 and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는 한쌍의 사이드 멤버(1)가 배열 설치되고, 각 사이드 멤버(1)는 윗쪽으로 개방된 오목형상 단면을 이루며, 차량의 플로어 등의 형상에 따라 상하로 기복(起伏)하여 절곡된다. 한쌍의 사이드 멤버(1)의 선단부(1a)의 구간에 있어서는, 차량 전(前)면 충돌시 에너지 흡수 특성이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폐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사이드 멤버(1) 사이에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을 이루는 1개의 크로스 멤버(2)와 단면이 대략 원형상을 이루는 합계 5개의 크로스 파이프(3a 내지 3e)가 차폭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이들의 크로스 멤버(2)와 크로스 파이프(3a 내지 3e)에 의해 양 사이드 멤버(1)가 서로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pair of side members 1 ar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each side member 1 forms a concave cross section which is open upwards, and has a shape such as the floor of the vehicle. It bends up and down accordingly. In the section of the tip part 1a of the pair of side members 1, it is formed in the closed cross section shape in order to ensure the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 and intensity | strength at the time of a front collision of a vehicle. In addition, between the side members 1, one cross member 2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five cross pipes 3a to 3e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are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Both side members 1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se cross members 2 and cross pipes 3a to 3e.

각 크로스 파이프(3a 내지 3e)는 기성의 강관을 소정 치수로 절단한 것으로 직선 형상을 이루며, 이하, 전방으로부터 제 1 크로스 파이프(3a), 제 2 크로스 파이프(3b), 제 3 크로스 파이프(3c), 제 4 크로스 파이프(3d), 제 5 크로스 파이프(3e)로 한다. 또한, 상기 크로스 멤버(2)는 제 1 크로스 파이프(3a)와 제 2 크로스 파이프(3b)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크로스 파이프(3a)는 사이드 멤버(1)에 관통된 상태에서 용접 고정되며,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제 2 내지 제 5 크로스 파이프(3b 내지 3e)는, 사이드 멤버(1)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노치(1a) 내에 윗쪽에서부터 끼워지고, 그 접촉부분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Each of the cross pipes 3a to 3e is formed by cutting a ready-made steel pipe to a predetermined dimension and forms a straight line. Hereinafter, the first cross pipe 3a, the second cross pipe 3b, and the third cross pipe 3c from the front. ), 4th cross pipe 3d, and 5th cross pipe 3e. In addition, the cross member 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cross pipe 3a and the second cross pipe 3b. The 1st cross pipe 3a is welded and fixed in the state penetrated by the side member 1, Moreover, as shown in FIG. 2, the other 2nd thru | or 5th cross pipe 3b-3e is a side member ( It fits in the arc-shaped notch 1a formed in 1) from above, and the contact part is welded and fixed.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멤버(1)상에는 차량 전방에서부터 라디에이터 서포트(4), 대시 패널 유닛(5), 프론트 플로어 팬(6), 플로어 패널 부재로서의 리어 플로어 팬(7)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서포트(4)는 제 1 크로스 파이프(3a)상에 용접 고정되고, 대시 패널 유닛(5)은 크로스 멤버(2)상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플로어 팬(6)은 제 2 크로스 파이프(3b)상에 용접 고정되며, 리어 플로어 팬(7)은 제 3 내지 제 5 크로스 파이프(3c 내지 3e)상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on the side member 1, the radiator support 4, the dash panel unit 5, the front floor fan 6, and the rear floor fan 7 as a floor panel member are arrange | positioned from the front of a vehicle. It is. The radiator support 4 is welded and fixed on the first cross pipe 3a, and the dash panel unit 5 is welded and fixed on the cross member 2. Further, the front floor fan 6 is welded and fixed on the second cross pipe 3b, and the rear floor fan 7 is welded and fixed on the third to fifth cross pipes 3c to 3e.

프론트 플로어 팬(6)은 중앙의 터널부(10)와 좌우의 플로어부(11)의 3부재로 구성되어 서로 용접되고, 상기 프론트 플로어 팬(6)의 후측에 리어 플로어 팬(7)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프론트 플로어 팬(6) 및 리어 플로어 팬(7)에는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비교적 얕은 리브 형상을 이루는 멤버 용접부(11a, 13)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멤버 용접부(11a, 13)에는, 아래쪽에서 상기 사이드 멤버(1)가 폐쇄 단면을 형성하도록 접촉하여 용접 고정되어 있다.The front floor fan 6 is composed of three members of the center tunnel part 10 and the left and right floor parts 11 and welded to each other, and the rear floor fan 7 is welded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floor fan 6. Are combined by The front floor fan 6 and the rear floor fan 7 are formed so that the member welds 11a and 13 having a relatively shallow rib shape opening downward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In each member welding part 11a, 13, the side member 1 is contacted and fixed by welding so that the said side member 1 may form a closed cross section from the bottom.

또한, 프론트 플로어 팬(6)에는 아래쪽으로 개방되는 비교적 깊은 리브 형상을 이루는 파이프 용접부(11b)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리어 플로어 팬(7)에는 동일하게 아래쪽으로 개방되는 파이프 용접부(14, 15)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 용접부(11) 내에는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제 2 크로스 파이프(3b)가 끼워지고, 파이프 용접부(14)에는 상기 제 3 크로스 파이프(3c)가, 파이프 용접부(15)에는 제 4 크로스 파이프(3d)가 각각 끼워져 있다. 이들의 크로스 파이프(3b 내지 3d)는, 단면의 3개소를 긴변방향 전체에 걸쳐 파이프 용접부(11b, 14, 15)의 내벽에 대해 용접 고정되어 있다(용접 개소는 도 2에서 A로 도시한다).In addition, the pipe weld portion 11b having a relatively deep rib shape that is opened downward is formed in the front floor fan 6 so as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pipe weld portion 14 that is opened downward in the same manner in the rear floor fan 7. , 15) is formed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econd cross pipe 3b is fitted into the pipe weld 11 from below, the third cross pipe 3c is inserted into the pipe weld 14, and the fourth cross pipe 3d is attached to the pipe weld 15. Are fitted respectively. These cross pipes 3b to 3d are welded and fixed to the inner walls of the pipe welded portions 11b, 14, and 15 over the entire long side direction (weld points are shown as A in FIG. 2). .

또한, 제 5 크로스 파이프(3e)는, 리어 플로어 팬(7)의 뒤에 마련된 리어 엔드 패널(16)의 하부에 용접되어 있다. 또한, 리어 엔드 패널(16)은, 리어 엔드 플로어 팬(16a)에 리어 엔드(16b)를 용접 고정시킨 것이다.In addition, the fifth cross pipe 3e is wel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end panel 16 provided behind the rear floor fan 7. In addition, the rear end panel 16 welds and fixes the rear end 16b to the rear end floor fan 16a.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플로어 팬(7)의 좌우 양측에는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가 배열 설치되고, 상기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의 하부는 리어 플로어 팬(7)의 좌우 양단에 용접되어 있다.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의 외측에는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21)가 배열 설치되고, 상기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21)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도어 개구개소(B)나 도 3에 도시한 휠 아치개소(C) 등으로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에 대해 용접되며, 양 패널(20, 21) 사이에 폐쇄 단면이 형성되어 있다.2 and 3, rear quarter panel inners 20 are arrang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floor fan 7, and a lower portion of the rear quarter panel inner 20 is a rear floor fan 7. It is weld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he rear quarter panel outer 21 is arranged in the outer side of the rear quarter panel inner 20, and the rear quarter panel outer 21 is, for example, in the door opening B shown in FIG. It is welded to the rear quarter panel inner 20 by the wheel arch part C etc. which were shown, and the closed cross section is formed between both panels 20 and 21. As shown in FIG.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에는 차내로 돌출하는 휠 하우스(22)가 용접되며, 상기 휠 하우스(22)에는 전후 한쌍의 보강용 비드(23a, 23b)가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휠 하우스(22) 및 그 비드(23a, 23b)는 리어 플로어 팬(7)의 하측까지 연장 설치되며, 리어 플로어 팬(7)의 좌우 양단에 용접되는 동시에, 양 비드(23a, 23b)의 하부는 상기 사이드 멤버(1)의 측면에도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측 비드(23a)의 차체 전후 방향 위치는 상기 제 4 크로스 파이프(3d)와 일치하고 있으며, 그 전측 비드(23a)의 하부에는 제 4 크로스 파이프(3d)가 관통한 상태로 용접 고정되는 동시에, 제 4 크로스 파이프(3d)를 내포하는 파이프 용접부(15)의 단부가 용접되어 있다.A wheel house 22 protruding into the vehicle is welded to the rear quarter panel inner 20, and a pair of front and rear reinforcement beads 23a and 23b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house 22. The wheel house 22 and its beads 23a and 23b are extend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ar floor fan 7 and welded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floor fan 7 and at the bottom of both beads 23a and 23b. Is weld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member 1. In addition, the vehicle body front-rear position of the front bead 23a coincides with the fourth cross pipe 3d, and is welded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bead 23a in a state where the fourth cross pipe 3d penetrates. At the same time, the end part of the pipe welding part 15 containing the 4th cross pipe 3d is welded.

즉 제 4 크로스 파이프(3d)의 좌우 양단은 휠 하우스(22)의 전측 비드(23a)에 대해,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사이드 멤버(1)나 파이프 용접부(15)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도 결합되어 있다. 또한,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에는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21)측으로 돌출하는 비드(24)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드(24)는 휠 하우스(22)의 전후의 비드(23a, 23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의 비드(24)의 하부는 휠 하우스(22)의 비드(23a, 23b)의 상부와 중복되며, 그 결과 쌍방의 비드(24, 23a, 23b)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That is,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ourth cross pipe 3d are directly coupled to the front bead 23a of the wheel house 22, and are also indirectly coupled via the side member 1 or the pipe weld 15. It is. In addition, the rear quarter panel inner 20 has beads 24 protruding toward the rear quarter panel outer 2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beads 24 have beads 23a and 23b before and after the wheel house 22. Is located between). As is apparent from FIG. 3, the lower portion of the beads 24 of the rear quarter panel inner 20 overlaps the upper portions of the beads 23a, 23b of the wheel house 22, so that both beads 24, 23a, 23b) is continued in an up-down direction.

한편, 차내에는 제 6 크로스 파이프(25)가 차폭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기 제 6 크로스 파이프(25)는 상기 제 4 크로스 파이프(3d)의 대략 윗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6 크로스 파이프(25)도 다른 크로스 파이프(3a 내지 3e)와 같은 기성의 강관을 소정 치수로 절단한 것으로 직선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6 크로스 파이프(25)의 좌우 양단은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의 비드(24)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 구멍(20a) 및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21)에 형성된 삽입 구멍(21a)에 삽입되고, 그 외주를 각 삽입 구멍(20a, 21a)의 내주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6 크로스 파이프(25)의 단부는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21)의 외측면에 노출되어,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21)에 장착된 가니쉬(26)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sixth cross pipe 25 is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n the vehicle, and the sixth cross pipe 25 is located substantially above the fourth cross pipe 3d. In addition, the sixth cross pipe 25 also forms a straight line by cutting the same existing steel pipe as other cross pipes 3a to 3e to a predetermined dimensi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ixth cross pipe 25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0a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d 24 of the rear quarter panel inner 20 and the insertion hole 21a formed in the rear quarter panel outer 21. The outer circumference is weld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insertion holes 20a and 21a. Moreover, the edge part of the 6th cross pipe 25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quarter panel outer 21, and is concealed by the garnish 26 attached to the rear quarter panel outer 21. As shown in FIG.

상기 휠 하우스(22)의 전후의 비드(23a, 23b)에는 프레스 성형된 브래킷 서포트(27)가 윗쪽으로부터 덮혀 끼워지고, 상기 브래킷 서포트(27)는 휠 하우스(22)의 비드(23a, 23b) 부분이나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의 내측면에 대해 용접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 서포트(27)에는 휠 하우스(22)의 양 비드(23a, 23b)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브래킷부(27a)가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브래킷부(27a)의 상부에 형성된 단면 반원형상의 시트면(27b)은 상기 제 6 크로스 파이프(25)의 단부 외주에 접촉하여 용접 고정되어 있다.A press-fit bracket support 27 is fitted to the bead 23a, 23b before and after the wheel house 22, and the bracket support 27 is a bead 23a, 23b of the wheel house 22. It is weld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 or the rear quarter panel inner 20. As shown in FIG. The bracket support 27 is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bracket portion 27a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two beads 23a and 23b of the wheel house 22, and has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portion 27a. The surface 27b is welded and fixed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sixth cross pipe 25.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는, 제 4 크로스 파이프(3d)의 좌우 양단이 휠 하우스(22)의 전측 비드(23a)에 대해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사이드 멤버(1)나 파이프 용접부(15)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도 결합되며, 또한, 그 전측 비드(23a)가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의 비드(24) 및 브래킷 서포트(27)를 개재하여 제 6 크로스 파이프(25)의 좌우 양단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에서 보아 제 6 크로스 파이프(25)를 상변으로 하고, 제 4 크로스 파이프(3d)를 하변으로 하고, 휠 하우스(22)의 전측 비드(23a),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의 비드(24), 브래킷 서포트(27)를 좌변 및 우변으로 하여, 좌우의 휠 하우스(22)를 결합하는 대략 사각형상의 프레임 구조가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의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ourth cross pipe 3d are directly coupled to the front bead 23a of the wheel house 22, and the side member 1 and the pipe It is also indirectly coupled via the weld 15, and the front bead 23a is connected to the sixth cross pipe 25 via the bead 24 and the bracket support 27 of the rear quarter panel inner 20. It is coupl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erefore, the 6th cross pipe 25 is made into the upper side, the 4th cross pipe 3d is made into the lower side, and the front bead 23a of the wheel house 22 and the rear quarter panel inner 20 are seen from the front of a vehicle. With the bead 24 and the bracket support 27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tructure for engaging the left and right wheel houses 22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rear suspension of the vehicle.

그 결과, 실용신안공개 평4-67189호 공보의 종래 예와 같이 단지 휠 하우스 단체의 강성 향상뿐만 아니라, 차체 전체의, 특히 리어 서스펜션 부분의 강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리어 서스펜션의 지오메트리를 적정화하거나, 주행시의 정숙성이나 제어 진보성을 개선할 수 있다.As a result, not only the rigidity of the wheel house alone, but also the rigidity of the entire rear suspension portion, in particular, can be drastically improved, as in the conventional example of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4-67189. For example, the geometry of the rear suspension can be optimized, and the quietness and controllability of driving can be improved.

이상의 설명으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크로스 멤버로서 제 4 크로스 파이프(3d)가 기능하고, 측벽 부재로서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및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21)가 기능하고, 보강 부재로서 휠 하우스(22)의 전측 비드(23a),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의 비드(24) 및 브래킷 서포트(27)가 기능하다.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urth cross pipe 3d functions as a lower cross member, the rear quarter panel inner 20 and the rear quarter panel outer 21 function as sidewall members, and the reinforcing member As a function, the front bead 23a of the wheel house 22, the bead 24 of the rear quarter panel inner 20, and the bracket support 27 function.

이상으로 실시형태의 설명은 종결하지만, 본 발명의 양태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승용차의 후륜 하우스(22) 주변의 차체 구조에 대하여 구체화하였으나, 그 적용 차종은 승용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왜건이나 원박스 차량에 적용하여도 좋으며, 또한 적용 개소는 후륜 하우스(22) 주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개소에 적용하여도 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description of embodiment is completed, the aspect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r body structure around the rear wheel house 22 of the passenger car is specified. However, the applied vehicle model is not limited to a passenger car, but may be applied to a wagon or a one-box vehicle. It is not limited to the rear wheel house 22 periphery, You may apply to another location.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크로스 멤버 및 하측 크로스 멤버로서 단면 원형상의 크로스 파이프(25, 3d)를 사용하였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것이라면, 그 단면 형상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각각의 크로스 멤버로서 단면 사각형상의 크로스 파이프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하측 크로스 멤버에 관해서는 반드시 속이 비어 있을 필요도 없으며, 예를 들면 사이드 멤버(1)와 같이 리어 플로어 팬(7)과 협동하여 폐쇄 단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cross-sectional circular pipes 25 and 3d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re used as the upper cross member and the lower cross member.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you may use cross-sectional rectangular cross pipe as each cross member. In addition, the lower cross member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hollow, and may be configured to cooperate with the rear floor fan 7 to form a closed cross section like the side member 1, for exampl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6 크로스 파이프(25)의 단부를 리어 쿼터 패널 이너(20)의 삽입구멍(20a) 및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21)의 삽입구멍(21a)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용접 고정하였지만,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21)에 관해서는 반드시 관통시킬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제 6 크로스 파이프(25)의 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21)의 안쪽면에 접촉시켜, 외측으로부터 레이저용접 등에 의해 결합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welding fixed in the state which penetrated the edge part of the 6th cross pipe 25 through the insertion hole 20a of the rear quarter panel inner 20, and the insertion hole 21a of the rear quarter panel outer 21.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penetrate the rear quarter panel outer 21, for example, by forming a flange at the end of the sixth cross pipe 25 and contacting the inner side of the rear quarter panel outer 21, The outer side may be joined by laser welding or the lik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는, 차량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부재와, 상기 플로어 패널 부재의 양 측부를 따라 각각 배열 설치된 한쌍의 사이드 멤버와, 상기 플로어 패널 부재의 하측에 배열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사이드 멤버를 서로 결합하는 하측 크로스 멤버와,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의 대략 윗쪽위치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차량의 측벽 부재에 대해 각각 관통한 상태로 결합된 속이 빈 형상의 상측 크로스 멤버와, 상기 측벽 부재의 각각을 따라 배열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의 상기 측벽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부위의 부근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의 상기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어 있는 부위의 부근에 결합된 한쌍의 보강 부재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상측 크로스 멤버를 상변으로 하고, 하측 크로스 멤버를 하변으로 하고, 한쌍의 보강 부재를 좌변 및 우변으로 하여, 차체의 좌우를 결합하는 대략 사각형상의 프레임 구조가 형성되어, 차체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ncludes a floor panel member constituting a floor of a vehicle, a pair of side members arranged along both sides of the floor panel member, and the floor panel. It is arranged in the lower side of the member, the lower cross member for coupling the pair of side members to each other, and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approximately upper position of the lower cross member, both ends penetrate to the side wall member of the vehicle, respectively An upper cross member having a hollow shape coupled in a state and arranged along each of the side wall members, and an upper end coupled to a vicinity of a portion where the upper cross member is engaged with the side wall member of the upper cross member, and a lower end crossed the lower cross. And a pair of reinforcing members coupled to the vicinity of the portion engaged with the side member of the member. . Therefor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tructure is formed in which the upper cross member is the upper side, the lower cross member is the lower side, the pair of reinforcing members ar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and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tructure is formed to coupl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thereby 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entire vehicle body. You can.

또한, 제 2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는, 상기 보강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전후 한쌍의 비드를 갖는 휠 하우스 이너와, 하부가 휠 하우스 이너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에 결합된 브래킷 서포트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대해, 또한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실 내로의 돌출을 작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the wheel house inner having a pair of beads before and after the reinforcing member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wheel house inner, the upper portion is the upper cross member It includes a combined bracket support. Therefore, with respect to the prior art, the torsional rigidity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projection into the vehicle compartment can be made small.

또한, 제 3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는, 상기 브래킷 서포트는, 그 하부가 상기 휠 하우스 이너의 각 비드에 결합되고, 그 상부가 상기 각 비드사이의 윗쪽에 있어서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 한쌍의 비드로부터의 비틀림 강성을 효과적으로 브래킷 서포트에 전달할 수 있다.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3, the bracket support has a lower portion coupled to each bead of the wheel house inner, and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cross member at an upper side between the beads. It is. Therefore, the torsional rigidity from the front and rear pair of beads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bracket support.

또한, 제 4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는, 상기 측벽 부재는 리어 쿼터 패널 이너와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멤버가 양 쿼터 패널을 관통한 상태에서 양 쿼터 패널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차체 강성에 관하여 거의 공헌하지 않았던 리어 쿼터 패널을 강도 보강재의 일부로서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ide wall member includes a rear quarter panel inner and a rear quarter panel outer, and is coupled to both quarter panels in a state where the cross member passes through both quarter panels. . Therefore, the rear quarter panel which has hardly contributed to the vehicle body rigidity in the prior art can be utilized as part of the strength reinforcing material.

또한, 제 5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는, 상기 쿼터 패널 이너에 있어서의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의 부착부를 포함하는 주변에, 상기 쿼터 패널 아우터측으로 돌출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체 전체의 강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리어 쿼터 패널의 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의 경량화가 가능하다.Moreover,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Claim 5, the bead extended in the up-down direction which protrudes to the said quarter panel outer side is formed in the periphery including the attachment part of the said upper cross member in the said quarter panel inner. . Therefore, since the rigidity of the whole vehicle body can be improved and the plate | board thickness of a rear quarter panel can be made thin, the vehicle body weight can be reduced.

또한, 제 6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는, 상기 쿼터 패널 아우터에 있어서의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의 부착부분의 외면에 가니쉬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크로스 멤버의 단부가 쿼터 패널에 장착된 가니쉬에 의해 은폐되기 때문에, 미관성이 향상된다.Moreover,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this invention of Claim 6, the garnish is affix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rt of the said upper cross member in the said quarter panel outer. Therefore, since the end of the upper cross member is concealed by the garnish attached to the quarter panel, aesthetics is improved.

또한, 제 7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는, 상기 전후 한쌍의 비드의 내측, 전측 비드에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에 직접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차체 전체의 강성이 향상된다.Moreover, the vehicle body structure of this invention of Claim 7 is directly couple | bonded with the said lower cross member to the inner side and front side beads of the said front-rear pair. Therefore, the rigidity of the whole vehicle body is improved.

또한, 제 8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차체 구조는,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는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 부재는, 차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의 적어도 일부가 들어가는 오목형 단면을 갖는 비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차체 전체의 강성이 향상된다.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8, the lower cross member is formed of a pipe member, and the floor panel member is opened downward while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so that at least part of the lower cross member is closed. A bead having a concave cross section to be provided is provided. Therefore, the rigidity of the whole vehicle body is improved.

Claims (8)

차량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부재와,A floor panel member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상기 플로어 패널 부재의 양 측부를 따라 각각 배열 설치된 한쌍의 사이드 멤버와,A pair of side members each arranged along both sides of the floor panel member; 상기 플로어 패널 부재의 하측에 배열 설치되며, 상기 한쌍의 사이드 멤버를 서로 결합하는 하측 크로스 멤버와,A lower cross member arranged in a lower side of the floor panel member and coupling the pair of side members to each other;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의 대략 윗쪽위치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양 단이 상기 차량의 측벽 부재에 대해 각각 관통한 상태에서 결합된 속이 빈 형상의 상측 크로스 멤버와,An upper cross member having a hollow shape extending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at an approximately upper position of the lower cross member, and coupled in a state where both ends penetrate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member of the vehicle; 상기 각각의 측벽 부재를 따라 배열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의 상기 측벽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부위의 부근에서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의 상기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어 있는 부위의 부근에서 결합된 한쌍의 보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Arranged along each of the side wall members, the upper end being engaged in the vicinity of the part which is engaged with the side wall member of the upper cross member, and the lower end being in the vicinity of the part being engaged with the side member of the lower cross member. A vehicle body structure comprising a pair of reinforcing members coupled thereto.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강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전후 한쌍의 비드를 갖는 휠 하우스 이너와, 동 하부를 휠 하우스 이너에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에 결합된 브래킷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The body structure includes a wheel house inner having a front and rear pair of beads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lower portion being coupled to the wheel house inner, and a bracket support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cross member. .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브래킷 서포트는 그 하부가 상기 휠 하우스 이너의 각 비드에 결합되며, 그 상부가 상기 각 비드사이의 윗쪽에 있어서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The bracket support has a lower body coupled to each bead of the wheel house inner,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coupled to the upper cross member at an upper side between the respective bead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측벽 부재는 리어 쿼터 패널 이너와 리어 쿼터 패널 아우터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멤버가 양 쿼터 패널을 관통한 상태에서 양 쿼터 패널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The side wall member includes a rear quarter panel inner and a rear quarter panel outer, and the body structure is coupled to both quarter panels in a state where the cross member passes through both quarter panel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쿼터 패널 이너에 있어서의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의 부착 부분을 포함하는 주변에 상기 쿼터 패널 아우터측으로 돌출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A bea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protruding toward the quarter panel outer side is formed in a periphery including an attachment portion of the upper cross member in the quarter panel inne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쿼터 패널 아우터에 있어서의 상기 상측 크로스 멤버의 부착 부분의 외면에 가니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A vehicle body structure, wherein a garnish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an attachment portion of the upper cross member in the quarter panel out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후 한쌍의 비드의 내측, 전측 비드에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가 직접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The lower body member is directly coupled to the inner and front beads of the pair of front and rear bead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는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 부재는 차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측 크로스 멤버의 적어도 일부가 들어가는 오목형 단면을 갖는 비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The lower cross member is formed of a pipe member, and the floor panel member has a bead having a concave cross sec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cross member enters while being opened downward while extending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rescue.
KR10-2001-0007566A 2000-02-22 2001-02-15 Vehicle Frame Structure KR10040244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44558A JP3888415B2 (en) 2000-02-22 2000-02-22 Body structure
JP??2000-044558 2000-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172A true KR20010083172A (en) 2001-08-31
KR100402441B1 KR100402441B1 (en) 2003-10-22

Family

ID=1856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566A KR100402441B1 (en) 2000-02-22 2001-02-15 Vehicle Frame Structur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88415B2 (en)
KR (1) KR100402441B1 (en)
MY (1) MY125963A (en)
TW (1) TW48384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8733B2 (en) * 2005-03-15 2011-03-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Body structure
JP2010000997A (en) * 2008-06-23 2010-01-07 Kanto Auto Works Ltd Rear suspension tower structure of automobile
KR102383255B1 (en) * 2017-12-08 2022-04-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Center floor panel for vehicle
WO2020174989A1 (en) * 2019-02-28 2020-09-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body side part structure
CN115123400A (en) * 2022-06-29 2022-09-30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Split type modular rear flo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88415B2 (en) 2007-03-07
JP2001233247A (en) 2001-08-28
TW483846B (en) 2002-04-21
MY125963A (en) 2006-09-29
KR100402441B1 (en)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066B1 (en) Joint method of vehicle front interior
JP6319215B2 (en) Vehicle skeleton structure
JP3976198B2 (en) Body front structure
KR20040082026A (en) Car side member
JP3951507B2 (en) Car side body structure
JP2009126197A (en) Rear structure of vehicle body
JP3876279B2 (en) Automobile pillar reinforcement structure
JP4285414B2 (en) Body frame structure
JP3852733B2 (en)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KR20010083172A (en) Vehicle Frame Structure
JP2006306135A (en) Rear bodywork of vehicle
JP4081635B2 (en) Vehicle roof structure
JP2011068285A (en) Upper structure of body of vehicle
JP3537669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lower part of car body
JP5515956B2 (en) Upper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JP2003118634A (en) Connection structure of upper frame member of vehicle
JP2018149953A (en) Vehicle body rear part structure
JP2018149945A (en) Vehicle body rear part structure
JP2022089486A (en)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JP2013119337A (en) Body side part structure
JPH11192977A (en) Body frame reinforcing structure for automobile
JP5358597B2 (en) Frame structure at the rear of the body
JP2002019643A (en) Car body floor side part structure of automobile
JP2000072043A (en) Automobile body rear structure
JPH09109926A (en) Combining structure of upper part of center pil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