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0866A - 양방향 무접촉 데이터 송신을 위해 조작 보안을 강화하는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무접촉 데이터 송신을 위해 조작 보안을 강화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0866A
KR20010080866A KR1020010006097A KR20010006097A KR20010080866A KR 20010080866 A KR20010080866 A KR 20010080866A KR 1020010006097 A KR1020010006097 A KR 1020010006097A KR 20010006097 A KR20010006097 A KR 20010006097A KR 20010080866 A KR20010080866 A KR 20010080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comparison
receiver uni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4537B1 (ko
Inventor
베르너 블랏츠
마르코 슈바르츠뮐러
Original Assignee
.
아트멜 게르마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 아트멜 게르마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
Publication of KR2001008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5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무접촉 데이터 송신을 위해 조작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방향 무접촉 통신을 위한 공지된 방법으로, 통신 거리는 비인증된 사람들이 자신을 인증시킬수 있도록 무선 중계기를 사용하여 확장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신규한 방법으로, 조작은 전자기 신호의 선택된 물리 전기량의 고정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방지된다. 최종적으로, 예를 들어, 트랜스폰더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는 한 숫자만큼 곱해지고 베이스 유니트로 재송신된다. 베이스 유니트에서, 상기 재송신된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와 동일한 수로 분할된다. 다음으로, 주파수 비교는 원래 방출된 신호와 재송신된 신호사이에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 비교에 의해 결정된 값이 미리 조절된 값 이하이면, 양 신호들간에는 고정 주파수 관계가 있다. 이 경우에, 중계기들에 의한 통신 거리의 확장은 배제될 수 있으며, 더한 인증 프로세스가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무접촉 데이터 송신을 위해 조작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PROCEDURE FOR INCREASING THE MANIPULATION SECURITY FOR A BI-DIRECTIONAL CONTACTLESS DATA TRANSMISSION}
본 발명은 제 1 송신 및 수신기 유니트(BA)와 제 2 송신 및 수신기 유니트를 사용하여 양방향 무접촉 데이터 송신을 위해 조정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방향 무접촉 데이터 송신에 대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신원 확인 시스템에 대해 사용된다. 이것은 키 팝(key fob) 또는 소위 스마트 카드중 하나로 집적되는 트랜스폰더 및 고정 베이스 유니트로 이루어진다. 자동차 공학(트랜스폰더 기술에 대한 응용의 주요 영역들 중 하나)에서, 베이스 유니트는 자동차들에 적합하다. 트랜스폰더와 베이스 유니트간의 통신은 상기 통신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방향 또는 양방향 프로토콜 중 하나를 갖는 유도 접속에 기초한다. 트랜스폰더 또는 베이스 유니트에 대한 완성 신원 확인 프로세스는 인증으로 지정된다. 트랜스폰더가 자신의 파워 서플라이를 갖고 있지 않으면, 또는 이것이 비어 있으면, 트랜스폰더는 베이스 유니트에 의해 방출된 LF 필드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것이다. 이 경우에, 데이터 송신 범위는 소정의 센티미터로 제한될 것이다. 다른 경우에, 상기 범위는 보안 요건 및 시스템 한계들에 의해 결정된다. 특별히 고수준의 보안이 신원 확인에 대해 요구되는 한(예를 들어, 소위 "수동 입장", 즉 도어 핸들을 끌어당겨서 자동차를 열 때), 통신 거리는 양방향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 2.5m로 제한될 것이다. 최종적으로, 바람직하게는, 125 kHz의 LF 반송 주파수는 자동차와 키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반면, 키와 자동차의 통신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433.92 MHz의 UHF 범위내의 반송 주파수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근처에 있을 때 키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능동으로 개방하는 것과 같이, 보안 요건들이 감소된 경우에, 30m까지의 범위가 허용된다. 최종적으로, 전방향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433.92 MHz 근처의 UHF 반송 주파수와 연관되어 사용될 것이다. 인증 프로세스 동안의 양방향 프로토콜의 더 큰 보안성은 전방향 프로토콜(트랜스폰더의 단일 인증 체크를 위해서만 제공하는)에 비해 베이스 유니트가 또한 인증되는 것이다. 트랜스폰더 기술에서의 모든 응용들에 대해, 인증 프로세스를 위해 요구되는 시간은 가능한한 짧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자동차 공학에서, 인증에 대해 소모된 전체 시간 주기는 130ms를 초과하면 안된다. 높은 보안 요구들때문에, 양방향 프로토콜은 우선권의 문제로 사용된다. 조작 보안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특히 양방향 프로토콜에 대해, 새로운 해결책을 필요로 하고 있다.
현재 기술상태로, 1998년 VDI 보고서 No. 1415에 예시로 기술된 바와 같이, 양방향 프로토콜을 갖는 인증은 다음의 패턴에 따라 달성될 것이다.
트랜스폰더가 베이스 유니트에 의해 송신된 활성화 명령에 의해 활성화 되고나서, 예를 들어, 자동차상의 도어 핸들을 동작시킴으로써, 인증이 상호 신원 확인 체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랜덤한 수가(소위 "챌린지") 베이스 유니트 뿐만 아니라 트랜스폰더에서도 교환될 것이며, 영구히 프로그램된 알고리즘은 응답으로 지정되는 수를 계산할 것이다. 그후에 트랜스폰더와 베이스 유니트간에 계산된 응답은 사용자 계산된 응답에 대한 동의에 다시 교체되고 체크될 것이다. 상기 체크들은 베이스 유니트 뿐만 아니라 트랜스폰더에 대해 명확하다면, 인증은 성공적이다. 신원 확인에 대해 교환된 데이터 시퀀스들은 UHF 반송 주파수로 변조될 것이다. 반송 주파수는 석영에 의해 생성될 것이다. 후자의 정확도는 일반적으로 ±100ppm이다. 433.92 MHz의 반송 주파수에 대하여, 이것은 ±43.392 KHz의 정확도에 일치한다. 베이스 유니트 뿐 아니라 트랜스폰더 양쪽이 자신의 주파수 안정화로 동작하고, 석영에 대한 여진 회로들이 비정밀한 주파수를 형성함에 따라, 각각의 수신기 유니트에서의 입력 대역폭은 안정한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약 300-600 kHz로 설계된다.
그러나, 입력 필터들의 상당한 대역폭 때문에, 양방향 프로토콜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에서의 어떤 장해없이, 적합한 보조물을 사용하여 트랜스폰더와 베이스 유니트간의 통신 거리의 부가적 확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확장은 2.5m 보다 상당히 큰 교락되는 거리들을 허용하기 때문에, 조작 또한 배제될 수없다. 최종적으로, 베이스 유니트로부터 방출된 신호들 및 트랜스폰더는 하나의 중계기가 베이스 유니트의 근처에 위치한 반면 다른 중계기는 트랜스폰더의 근처에 위치하도록 두개의 매매 기준 중계기들에 의해 전달될 것이다. 피드백을 피하기 위해, 양쪽 중계기들은 예를 들어, 433.92 MHz에서 방출된 신호들을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혼합한다. 발생하는 소수 주파수 시프팅은 비교적 넓은 입력 필터들 때문에 현저하지 않을 것이다. 중계기의 송신 전력에 따라, 큰 거리들이 예를 들어 자동차에 대해 상당히 주목되지 않는 인증되지 않은 액세스를 가장 짧은 가능 시간(130ms)내에서 얻어지도록 이 방법으로 교락될 수 있다. 양방향 데이터 송신의 기반상의 인증동안 상기 상당한 보안 갭을 막기 위해, 통신 거리의 비의도된 확장이 방지되도록 하는 해결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베이스 유니트와 트랜스폰더간의 통신 거리의 의도되지 않은 확장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그로인해 조작에 대해 상당히 증가된 보안을 제공하는 양방향 무접촉 데이터 송신에 대한 저비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전체 인증 시간을 증가시켜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제는 독립항 1항의 특징부를 형성하는 상기에 기술된 형태의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형성은 종속항에 나타난다.
도 1은 양방향 데이터 송신의 경우에 고정된 주파수 관계를 체킹하는 방법으로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조사에 의하면, 트랜스폰더와 베이스 유니트간의 양방향 통신의 경우에, 정보 교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자기 신호들로부터의 물리 전기량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역으로 바뀌면, 트랜스폰더 베이스 유니트 시스템의 조작 보안이 상당히 증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전자기 신호는 예를 들어 베이스 유니트에 포함된 송신기 유니트와 같은 송신기 유니트로부터 방출될 것이다. 트랜스폰더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전자기 신호에 대해, 신호를 특성화하는 물리적 전기량 중 하나의 값은 그후에 변할 것이다. 그리고 그후에 변화된 전자기 신호는 베이스 유니트로 되돌려질 것이다. 베이스 유니트에서, 상기 값은 순차적으로 되돌려질 것이다. 역으로 변화된 물리적 전기량의 값과 원래의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값은 상기 물리적 전기량의 이탈이 예측된 허용 오차 범위내에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을 것이다. 랜덤한 수로부터 계산된 숫자값(응답)들과의 비교만을 포함하는 양방향 프로토콜에 따른 존재하는 인증 프로세스에 대해, 값들의 부가 비교는 트랜스폰더와 베이스 유니트간의 통신 거리의 허용할 수 없는 확장이 탐지되도록 한다. 상기 방법의 정확도는 물리 전기량의 원래 값과 역으로 변화된 값과의 비교에 대해 사용되는 시간 윈도의 크기에 비례한다.
특히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물리 전기량의 값이 역으로 변하면, 전자기파의 주파수가 사용된다. 이것은 베이스 유니트에 UHF 반송 주파수(예를 들어, 433.92 MHz)를 생성하고 상기 주파수를 트랜스폰더에 송신함으로써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데이터 신호는 상기 반송 주파수상에 변조될 수 있다. 트래스폰더에서, 데이터 신호는 더한 평가에 대해 분리될 것이고, 마지막으로, 수신된 UHF 반송 주파수는 다른 주파수 범위로 변환될 것이다. 데이터 신호로 가능한 변조에 따라, 변화된 반송 주파수는 베이스 유니트로 재송신될 것이다. 베이스유니트에서, 원래의 반송 주파수에 대한 재변환후에, 이전에 방출된 반송 주파수와 비교되는 주파수가 달성될 것이다. 고려하의 시간 윈도내에서, 이 방법으로 결정된 주파수 시프팅이 미리 조절된 값보다 작으면, 통신 거리의 비인증된 확장은 배제될 수 있다. 응용에 따라, 상기 체크는 교환된 랜덤 숫자(챌린지)들로부터의 숫자들의 응답 계산에 대해 병렬로 또는 직렬로 달성될 수 있다. 트랜스폰더와 베이스 유니트 시스템의 인증은 모든 개별 체크들의 결과가 긍정이면 긍정으로만 될 것이다. 상기 접속에서, 전체 인증 프로세스는 기껏해야 300ms내에서 완료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따라 도시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유니트에서, 발진기 OSC에 의해 생성된 반송 주파수 fUL는 데이터 신호를 갖는 송신기(TX1)에 의해 변조될 것이다. 이 방법으로 생성된 신호 fULmod는 송신기 유니트에 의해 방출될 것이다. 트랜스폰더에서, 주파수 f'UL은 주파수 재생성 유니트(CLK2)에 의해 수신된 신호 f'ULmod로부터 생성된다. 상기 방법으로 생성된 신호 f'UL과 함께, 그리고 반송 주파수상에 변조된 데이터 신호인 입력 신호 f'ULmod는 수신기(RX2)에서 재획득될 것이다. 합성기(Synth2)를 사용하여 Z수만큼 주파수 f'UL을 곱함으로써 주파수 f'UL로부터 주파수 f'DL이 생성된다. 출원인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숫자 Z는 두개 자연수의 비율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특히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신기(TX2)에서, 송신 데이터는 생성에 수반되며 주파수 f'DL로부터의 신호 f'DL mod의 방출상에 변조될 것이다. 베이스 유니트에서,트랜스폰더 데이터는 수신기 유니트(RX1)에 의해 수신된 신호 f''DL로부터 재획득된다. 최종적으로, 수신기 유니트(RX1)는 숫자 Z 만큼 곱함으로써 주파수 fUL로부터 합성기(Synth1)를 사용하여 생성된 주파수 fDL을 공급받을 것이다. 게다가, 주파수 f''DL은 주파수 재생성 유니트(CLK1)에 의해 수신된 신호(f''DL)mod로부터 생성된다. 합성기(Synth3)를 사용하면, 주파수 f''UL은 숫자 Z만큼 동일하게 분할함으로써 주파수 f''DL로부터 생성된다. 신호 처리기(SP)를 사용하면, 두개 주파수 fUL 및 f''UL의 차가 계산되고 시간주기(t)에 걸친 미리 조절된 한계값과 비교된다. 두 주파수 fUL 및 f''UL의 차가 미리 조절된 한계값 이하이면, 트랜스폰더와 베이스 유니트간의 통신 거리의 인증되지 않은 확장은 배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ms의 시간 윈도로부터 시작하면, 1ppm의 확실한 주파수 시프팅을 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433.92 MHz 에서 상기 시프팅은 433 Hz이다. 상기 값은 기술분야의 이전 상태에 의해 제공된 값보다 인수 100만큼 더 작다.
인증이 트래스폰더 및 베이스 유니트 각각에 의해 달성되었던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와 다른 방법은 또한 여러 트래스폰더 또는 베이스 유니트들의 경우의 인증에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하게, 트랜스폰더는 전자기 신호의 방출에 대한 시작 포인트로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유니트와 트랜스폰더간의 통신 거리의 의도되지 않은 확장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그로인해 조작에 대해 상당히 증가된 보안을 제공한다. 이것은 전체 인증 시간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Claims (10)

  1. 제 1 송신 및 수신기 유니트(BA) 및 제 2 송신 및 수신기 유니트(TR)에 의한 양방향 무접촉 데이터 송신을 위한 조작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송신 및 수신기 유니트(BA)로부터 송신된 전자기 신호(fULmod)를 수신한 제 2 송신 및 수신기 유니트(TR)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물리적인 전기량에 비례하여 상기 송신된 전자기 신호를 응답 신호(f'DLmod)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응답 신호를 제 1 송신 및 수신기 유니트(BA)로 재송신하며,
    상기 응답 신호(f''DLmod)를 수신하는 제 1 송신 및 수신기 유니트(BA)는 제 2 송신 및 수신기 유니트(TR)에서 달성된 변환을 보상하도록 선택된 물리 전기량과 관련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테스트 신호(f''UL)로 변환하며,
    최종적으로, 제 1 송신 및 수신기 유니트(BA)에서 상기 테스트 신호(f''UL)와 상기 송신된 전자기 신호(fUL)가 비교되며, 및
    상기 비교의 결과(CF)인 하나의 값이 조작 표시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된 물리적 전기량에 대해 고정된 관계가 있는지를 시간 주기(t)내의 비교동안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비교의 결과(CF)가 선택된 한계값 이하이면, 조작 표시는0 값을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SP)는 바람직하게는 원래의 전자기 신호(fULmod)의 송신후 최대 300ms 주기(t1)내에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SP)에 대한 물리적 전기량으로서 테스트 신호의 위상, 크기 또는 주파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정보는 주파수 또는 크기 변조에 의해 전자기 신호 (fUL, f'DL)상에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SP)는 전자기 신호(f''UL, fUL)의 주파수에 의해서만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및 수신기 유니트(TR)에서는 수신된 전자기 신호(f'UL)의 주파수가 숫자(Z)와 곱해지며, 상기 제 1 송신 및 수신기 유니트 (BA) 에서는 상기 수신된 전자기 신호(f''DL)의 주파수가 상기 숫자(Z)에 의해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곱셈 및 나눗셈은 두개 자연수들로 이루어진 비율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주파수 비교의 결과(CF)가 선택된 한계값 이하이면, 조작 표시는 0 값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06097A 2000-02-08 2001-02-08 양방향 무접촉 데이터 송신을 위해 조작 보안을 강화하는방법 KR100814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5503A DE10005503C2 (de) 2000-02-08 2000-02-08 Verfahren zur Erhöhung der Manipulationssicherheit bei einer bidirektionalen, kontaktlosen Datenübertragung
DE10005503.6 2000-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866A true KR20010080866A (ko) 2001-08-25
KR100814537B1 KR100814537B1 (ko) 2008-03-17

Family

ID=763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097A KR100814537B1 (ko) 2000-02-08 2001-02-08 양방향 무접촉 데이터 송신을 위해 조작 보안을 강화하는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42493B2 (ko)
EP (1) EP1124197B1 (ko)
JP (1) JP2001292086A (ko)
KR (1) KR100814537B1 (ko)
DE (2) DE1000550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6120B2 (en) 1998-12-11 2008-03-1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istance measuring and direction finding using ultrawide bandwidth transmissions
DE10106736B4 (de) * 2001-02-14 2006-11-09 Atmel Germany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Weiterleitung bei einer bidirektionalen, kontaktlosen Datenübertragung
DE10159604A1 (de) 2001-12-05 2003-06-12 Atmel Germany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Weiterleitung bei einer kontaktlosen Datenübertragung
US20040213336A1 (en) * 2002-10-15 2004-10-28 Jandu Daljit S. Micro-modem
EP1876551A1 (de) 2006-07-03 2008-01-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FID-Systems und Lesegerät für ein RFID-System
EP1906363A1 (de) * 2006-09-29 2008-04-02 Delphi Technologies, Inc. Zugangskontrollsystem
US9608698B2 (en) * 2012-12-26 2017-03-28 Nxp B.V. Wireless power and data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9741A (en) * 1979-03-12 1980-10-21 Motorola, Inc. Two-way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synchronizing
US4364043A (en) * 1979-05-30 1982-12-14 The University Of Adelaide Efficient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DE3275712D1 (en) * 1982-12-23 1987-04-23 Ant Nachrichtentech Automatic information system for mobile objects
DE3820353A1 (de) * 1988-06-15 1989-12-21 Nicolay Dieter Diebstahlwarneinrichtung
US5070500A (en) * 1988-08-30 1991-12-03 Tokyo Keiki Company Ltd. Memory package system utilizing inductive coupling between memory module and read/write unit
DE4003280C5 (de) * 1990-02-03 2007-06-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5193114A (en) * 1991-08-08 1993-03-09 Moseley Donald R Consumer oriented smart card system and authentication techniques
DE4205827C2 (de) * 1992-02-26 1997-10-16 Angewandte Digital Elektronik Chipkarte zum kontaktfreien, bidirektionalen Übertragen von Energie und Daten mit einem Schreib/Lesegerät
DE4213880A1 (de) * 1992-04-28 1993-11-04 Bosch Gmbh Robert System zur bidirektionalen datenuebertragung zwischen mehreren feststehenden einrichtungen und einem fahrzeug
JPH0749839A (ja) * 1993-08-06 1995-02-21 Nri & Ncc Co Ltd カオスを利用した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被認証装置、および認証方法
DE4409167C1 (de) * 1994-03-17 1995-06-29 Siemens Ag Schlüssellose Zugangskontrolleinrichtung
US5504485A (en) * 1994-07-21 1996-04-02 Amtech Corporation System for preventing reading of undesired RF signals
DE19546171C1 (de) * 1995-12-11 1996-11-28 Siemens Ag Diebstahl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5862225A (en) * 1996-12-16 1999-01-19 Ut Automotive Dearborn, Inc. Automatic resynchronization for remote keyless entry systems
DE19827722A1 (de) * 1998-06-22 1999-12-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icherheits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05503C2 (de) 2003-01-30
KR100814537B1 (ko) 2008-03-17
DE10005503A1 (de) 2001-08-16
US6842493B2 (en) 2005-01-11
EP1124197A2 (de) 2001-08-16
JP2001292086A (ja) 2001-10-19
US20010014117A1 (en) 2001-08-16
EP1124197A3 (de) 2003-01-29
EP1124197B1 (de) 2006-08-30
DE50110840D1 (de)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8074B2 (en)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US10369965B2 (en) Electronic key system, on-board device, and electronic key
JP5730338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CN102694422B (zh) 无线电力传送装置和无线电力传送系统
JP6334311B2 (ja) 距離測定システム
CN103178863B (zh) 场叠加装置、系统及其方法
EP1314140B1 (de) Ein sicherheitssystem
CN101411076A (zh) 用于补偿在发射射频信号期间调制引起的频率偏移的系统和方法
US8164417B2 (en) In-vehicle apparatus remote control system and in-vehicle apparatus remote control method
JP2007199871A (ja) 非接触icカードリーダ装置
EP0874439B1 (en) Charging a transponder in a security system
CN104885133A (zh) 用于远程控制机动车的安全装置的功能的移动无线电话
KR100814537B1 (ko) 양방향 무접촉 데이터 송신을 위해 조작 보안을 강화하는방법
CN113068186A (zh) 通信装置以及系统
US5606574A (en) Mobile unit identifying system and method of demodulating for the same
CN113449285A (zh) 认证系统以及认证方法
EP0790160A2 (en) A vehicle security system
JP2013083096A (ja) 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Rajoria et al. Multi-carrier backscatter communication system for concurrent wireless and batteryless sensing
JP2002271304A (ja) データ伝送中の転送の検知方法
JP2008258817A (ja) 通信装置
JP2016022917A (ja) 車両通信装置、携帯機および車両通信システム
WO2016063717A1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2018137610A (ja) 通信システム
US7064457B2 (en) Recognition device intended to order the unlocking of a vehicle door and/or to authorize the starting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