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0216A -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0216A
KR20010080216A KR1020017004836A KR20017004836A KR20010080216A KR 20010080216 A KR20010080216 A KR 20010080216A KR 1020017004836 A KR1020017004836 A KR 1020017004836A KR 20017004836 A KR20017004836 A KR 20017004836A KR 20010080216 A KR20010080216 A KR 20010080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s
receptor
gene
dna
endoc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곤도아키히로
사가와히로아키
미네노주니치
기미주카후사오
가토이쿠노신
Original Assignee
오미야 히사시
다까라 슈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미야 히사시, 다까라 슈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미야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10080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21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내분비교란물질을 포함하는 샘플에 접촉된 세포, 조직 또는 유기체로부터 유래된, mRNAs 또는 그의 cDNAs를 포함하는 핵산 샘플을 제조하고;
핵산 샘플을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고정화되는 DNA 어레이와 혼성화시키며;
상기 결과를 대조 샘플로부터 유래된 또다른 핵산 샘플을 사용하여 제조된 핵산 샘플에 대한 결과와 비교하여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선별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검출하는 방법.

Description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검출 방법{Method for detecting gene affected by endocrine disruptor}
내분비교란물질(환경 호르몬으로 자주 언급됨)은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호르몬성 또는 항호르몬성 활성이 발견된 화학 물질을 언급한다. 생식능력의 변화(특히, 수컷의 암컷으로의 전환), 생식능력의 감소, 부화능력의 감소, 자손의 생존률 감소, 비정상적인 생식 행위 등은 내분비교란물질의 야생 동물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으로부터 기인한다고 보고되어 왔다. 증명되지는 않았으나, 정소수의 감소,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불임, 난소암, 자궁암, 전립선암 등은 내분비교란물질의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으로부터 기인하다고 예측되어 왔다.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물질(또는 물질의 그룹)이 환경청의 "엑소지니어스 엔도크린 디스터빙 케미컬 테스크 포스(Exogenous Endocrine Disturbing Chemical Task Force)"(7, 1997)에 의해 중간 보고되었다. 그러나, 조사 및 연구 과정에서 그런한 타입의 물질은 미래에 더욱 증가될 것으로 여겨진다.
내분비교란물질을 측정하는 공지된 방법은 두 그룹, 즉, 시험관내 방법 및생체내 방법으로 분류된다. 전자 그룹의 방법의 예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또는 안드로겐 수용체에 대한 결합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 호르몬 합성 효소계의 억제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후자 그룹의 방법의 예로는 생후 상이한 기간이 경과된 래트에서의 다양한 호르몬의 생성 및 비정상 조직 형성을 측정하는 방법, 및 어류의 비정상적 성숙을 측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Analytical Chemistry, 70(15):528 A-532A(1998)).
그러나, 관심의 내분비교란물질로 예측된 물질이 실질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데이타는 명확하게 증명되지 않았다. 또한, 이들이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경우, 이들이 영향을 주는 메커니즘 및 위험 가능한 흡수량 및 기간은 명확하게 증명되지 않았다.
예를 들면, 통상의 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결합 시험이 1차 스크린으로서 필요하고 중요하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얻은 결과를 통해 내분비교란물질로의 동정을 단언할 수 없다. 특이적으로, 에스트라디올(자연 생성의 여성 호르몬), 디에틸스틸베스트롤(합성 여성 호르몬), 이소플라본(인간에 무해한 펄스(pulses)내 성분) 및 비스페놀-A(내분비교란물질로 예측된 물질)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하지만, 이들 물질에 대한 EC50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이 분석법에 따라 각 물질의 내분비교란 활성도를 측정할 수 없다. 유사하게, 이스트 또는 배양된 세포가 사용되는 분석 시스템, 및 마우스의 자궁의 무게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상의 방법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활성을 측정할 수 없다.
또한, 시험관내에서 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결합 활성 또는 호르몬 합성 효소계의 억제 활성을 측정하는 통상의 방법이 내분비 교란물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필수 조건을 만족시킨다. 그러나, 이들은 충분 조건은 만족시키지 않는다. 또한, 생체내에서 래트, 프러그(frog), 어류등의 성장 또는 형태 발생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는 방법은 덜 민감하고 복잡하며, 다수의 샘플을 작동시키기에 장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잠재성 내분비교란물질 및 수용체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기 기재된 통상의 분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하류(downstream) 신호 전달 시스템의 분석을 위해서는 사용할 수 없다.
상기 기재된 바, 환경 호르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분비교란물질을 동정하고 상기 물질에 의한 내분비계의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신호 전달 경로 및 물질이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것을 분석하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주목적은 (1)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검출하는 방법; (2)언급된 방법에 의해 검출된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검출하는 방법; (3)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고정화되는 DNA 어레이(array); 및 (4)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연구결과, 본 발명자는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여러 타입의 유전자를 신속하고, 고감도로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을 구성하였다. 본 발명자는 언급된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이 고정화되는 DNA 어레이를 사용하여 내분비교란물질을 검출하는 방법를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완성되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1]내분비교란물질을 포함하는 샘플에 노출된 세포, 조직 또는 유기체로부터 유래된, mRNAs 또는 그의 cDNAs를 포함하는 핵산 샘플을 제조하고;
상기 핵산 샘플을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또는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고정화되는 DNA 어레이와 혼성화시키며;
상기 결과를 대조 샘플을 사용하여 제조된 핵산 샘플에 대한 결과와 비교하여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선별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검출하는 방법;
[2](1)핵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transcriptional coupling) 관련 유전자;
(2)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관련 유전자;
(3)생식소 분화 관련 유전자;
(4)수용체형 키나아제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5)중간섬유 표지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6)세포주기 또는 성장 조절 관련 유전자;
(7)암유전자(oncogene), 암유전자 관련 유전자 또는 종양 억제 관련 유전자;
(8)고사 관련 유전자;
(9)DNA의 손상 반응, 수복 또는 재조합 관련 유전자;
(10)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11)세포 사멸 또는 분화 조절 관련 유전자;
(12)세포의 부착, 운동 또는 침입 관련 유전자;
(13)혈관형성 촉진 관련 유전자;
(14)세포성 침입 관련 유전자;
(15)세포-세포 상호작용 관련 유전자;
(16)Rho 패밀리, GTPase 또는 그의 조절자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17)성장 인자 또는 사이토카인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사용되는 상기[1]에 따른 방법;
[3]방법이 상기[1] 또는 [2]에 따른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내분비교란물질의 검출 방법;
[4]내분비교란물질이
(1)다이옥신;
(2)유기염소 화합물;
(3)페놀;
(4)프탈레이트 에스테르;
(5)방향족 탄화수소;
(6)살충제;
(7)오르가노틴(organotin) 화합물;
(8)에스트로겐; 또는
(9)미렉스(mirex), 톡사펜(toxaphene), 알디카르브(aldicarb) 또는 케폰(kepone)으로 분류된 것으로부터 선택된, [3]에 따른 방법;
[5]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샘플에 노출된 세포, 조직 또는 유기체로부터 유래된 mRNAs 또는 그의 cDNAs를 포함하는 핵산 샘플을 제조하고;
상기 핵산 샘플을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또는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고정화되는 DNA 어레이와 혼성화시키며;
상기 결과를 대조 샘플을 사용하여 제조된 핵산 샘플에 대한 결과와 비교하여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을 검출하는 방법;
[6]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이
(1)다이옥신;
(2)유기염소 화합물;
(3)페놀;
(4)프탈레이트 에스테르;
(5)방향족 탄화수소;
(6)살충제;
(7)오르가노틴 화합물;
(8)에스트로겐; 또는
(9)미렉스, 톡사펜, 알디카르브 또는 케폰으로 분류된 상기[5]에 따른 방법;
[7]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또는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고정화되는,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의 검출용 DNA 어레이;
[8](1)핵수용체 유전자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transcriptional coupling) 관련 유전자;
(2)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관련 유전자;
(3)생식소 분화 관련 유전자;
(4)수용체형 키나아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5)중간섬유 표지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6)세포주기 또는 성장 조절 관련 유전자;
(7)암유전자, 암유전자 관련 유전자 또는 종양 억제 관련 유전자;
(8)고사 관련 유전자;
(9)DNA의 손상 반응, 수복 또는 재조합 관련 유전자;
(10)수용체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11)세포 사멸 또는 분화 조절 관련 유전자;
(12)세포의 부착, 운동 또는 침입 관련 유전자;
(13)혈관형성 촉진 관련 유전자;
(14)세포성 침입 관련 유전자;
(15)세포-세포 상호작용 관련 유전자;
(16)Rho 패밀리, GTPase 또는 그의 조절자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17)성장 인자 또는 사이토카인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고정화되는, 상기 [7]에 따른 DNA 어레이;
[9]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슬라이드 글래스에 고정화되는 상기 [7] 또는 [8]에 따른 DNA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명체의 항상성에 영향을 주는 내분비교란물질, 및 언급된 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1)본 발명의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검출하는 방법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 내분비교란물질(또한, 외인성 내분비교란물질 또는 환경 호르몬으로 언급됨)이 동물의 생체내에 혼입된 경우, 생체내에서 자연적으로 호르몬의 정상적인 활성에 영향을 주는 외인성 물질을 의미한다. 내분비교란물질은 호르몬의 정상적인 활성을 유지, 촉진 또는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잠재적으로 호르몬의 정상적인 활성에 영향을 주는 물질 또한 정의에 포함된다.
현재, 약 70가지의 물질(또는 물질의 그룹)이 내분비교란 활성을 갖는 것으로 예측된다. 이들 물질은 상응하는 물질을 분석하는 방법에 기초하여 1998년에 개최된 제 24회 환경 화학에 대한 일본 사회 회합(Meeting of the Japan Society for Enviromental Chemistry)의 발췌 자료에서 하기와 같이 분류되었다:
(1)카테고리 1: 유기염소 화합물(예: 일반 유기염소, 폴리염화 비페닐(PCB)); (2)카테고리 2: 페놀(예: 일반 페놀, 비스페놀-A, 2,4-디클로로페놀, 펜타클로로페놀); (3)카테고리 3: 프탈레이트 에스테르(예: 일반 프탈레이트 에스테르); (4)카테고리 4: 방향족 탄화수소(예: 벤조(a)피렌, 디-2-에틸헥실 아디페이트(DEHA), 벤조페논, 4-니트로톨루엔, 스틸렌 다이머 및 트리머, 1,2-디브로모-3-클로로프로판, 스틸렌, n-부틸렌벤젠); (5)카테고리 5: 살충제(예: 일반 살충제, 2,4,5-T(트리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2,4-D(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베노밀, 아미트롤, 메토밀); (6)카테고리 6: 오르가노틴 화합물; (7)카테고리 7: 에스트로겐; 상기 언급된 7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지 않는 다이옥신; 및 상기 카테고리로부터 제외된 물질, 즉, 미렉스, 톡사펜, 알디카르브 또는 케폰(클로로데콘). 이들 카테고리 및 물질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카테고리/ 물질
카테고리 1 카테고리 3
폴리염화비페닐(PCB)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폴리브롬화비페닐(PBB) 부틸벤질 프탈레이트
헥사클로로벤젠(HCB) 디-n-부틸 프탈레이트
헥사클로로사이클로헥산 디사이클로헥실 프탈레이트
클로르데인 디에틸 프탈레이트
옥시클로르데인 디펜틸 프탈레이트
트랜스-노나클로르 디헥실 프탈레이트
디디티 디프로필 프탈레이트
디디이, 디디디
켈테인 카테고리 4
알드린 1,2-디브로모-3-클로로프로판
엔드린 벤조(a)피렌
디엘드린 디-2-에틸헥실 아디페이트
엔도설판(벤조에핀) 벤조페논
헵타클로르 4-니트로톨루엔
헵타클로르 에폭사이드 스틸렌 다이머 및 트리머
메톡시클로르 스틸렌
옥타클로로스틸렌 n-부틸벤젠
카테고리 2 카테고리 5
펜타클로로페놀(PCP) 2,4,5-트리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알킬페놀(C5-C9)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비스페놀-A 아미트롤
2,4-디클로로페놀 아트라진
카테고리 5(계속) 카테고리 6
알라클로르 트리부틸틴
시마진 트리페닐틴
에틸파라티온
카르바릴 카테고리 7
말라티온 에스트라디올
메토밀
니트로펜 카테고리로 분류되지 않는 것
트리플라린 다이옥신
베노밀
만제브(만코제브) 카테고리로부터 제외된 환경 호르몬
마네브 미렉스
매티람 톡사펜
메트리부진 알디카르브
사이퍼메트린 케폰(클로르데콘)
에스펜발레이트
펜발레이트
페르메트린
빈클로졸린
지네브
지람
내분비교란물질은 상기 기재된 것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간에서 질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공지된 디에틸스틸베스트롤(DES), 및 에스트로겐(암컷) 에 대한 활성 및 독성이 관찰된 비스페놀-A가 내분비교란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들 물질은 하기의 1차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1)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직접적인 활성(예: 합성 호르몬 제제, 디디티, 프탈레이트 에스테르 등); 2)다른 수용체를 통한 활성(예: 다이옥신 등); 3)대사 억제 활성(예, 스테로이드성 대사 억제자, 아로마타아제 또는 5 α-환원제의 억제자 등); 및 4)다른 시스템을 통한 활성(예:신경계 또는 면역계에 영향을 주는 물질). 따라서, 이들의 작용 양식은 다양하다[Kagaku (Chemistry), 53(7):12-15(1998)].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 대조군과 비교할 때,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는 발현이 상기-기재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촉진 또는 억제되는 유전자로서 정의된다. 유전자(들)의 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발현이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직접 및/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작용물질의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가 본 발명의 DNA 어레이상에 고정화되는 유전자로서 선택될 수 있다. 발현이 촉진된 유전자 및 발현이 억제된 유전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유전자(즉,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에 대한 바람직한 캔디데이트의 예로는, 제한된 것은 아니지만, 하기와 같이 분류된 것으로 표 2에 나타낸 것을 포함한다: (1)핵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관련 유전자(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2)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관련 유전자(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3)생식소 분화 관련 유전자(생식소 분화); (4)수용체형 키나아제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수용체형 키나아제); (5)중간섬유 표지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중간섬유 표지); (6)세포주기 또는 성장 조절 관련 유전자(세포 주기 & 성장 조절자); (7)암유전자, 암유전자 관련 유전자 또는 종양 억제 관련 유전자(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8)고사 관련 유전자(고사); (9)DNA의 손상 반응, 수복 또는 재조합 관련 유전자(DNA의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10)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수용체); (11)세포 사멸 또는 분화 조절 관련 유전자(세포 사멸 & 분화 조절자); (12)세포의 부착, 운동 또는 침입 관련 유전자(세포의 부착, 운동 & 침입); (13)혈관형성 촉진 관련 유전자(혈관형송 조절자); (14)세포성 침입 관련 유전자(침입 조절자); (15)세포-세포 상호작용 관련 유전자(세포-세포 상호작용); (16)Rho 패밀리, GTPase 또는 그의 조절자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Rho 패밀리, GTPase & 그의 조절자); (17)성장 인자 또는 사이토카인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또한, 직접 및/또는 간접적으로 발현이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는 작용물질에 대한 다른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또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본 발명의 유전자에 포함한다.
표 2
유전자 명칭 수탁번호 분류
타입I 사이토스켈레톤 10 케라틴;사이토케라틴 10(K10) X14487 중간섬유 표지
세포 분열 조절 단백질 2 동족체(EC 2.7.1-);사이클린-의존성 키나아제 1(CDK1) X05360 세포 주기 & 성장 조절자
세포분열 단백질 4(EC 2.4.1-)(PSK-J3) M14505 세포 주기 & 성장 조절자
타입I 사이토스켈레톤 13 케라틴;사이토케라틴 13(K13;CK 13) J00124 중간섬유 표지
타입I 사이토스켈레톤 14 케라틴;사이토케라틴 14(K14;CK14) M26326 중간섬유 표지
타입I 사이토스켈레톤 18 케라틴;사이토케라틴 18(K18) Y00503 중간섬유 표지
타입I 사이토스켈레톤 19 케라틴;사이토케라틴 19(K19;CK19) X80343 중간섬유 표지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아제 5활성제 전구체(CDK5 활성제) M81933 세포 주기 & 성장 조절자
세포분열 사이클 단백질 25A티로신포스파타아제(cdc25A);M기 유도제 포스파타아제1(EC 3.1.3.48) S78187 세포 주기 & 성장 조절자
CDC25B; M기 유도제 포스파타아제2 (EC 3.1.3.48) M34065 세포 주기 & 성장 조절자
CLK-2 L29218 세포 주기 & 성장 조절자
CLK-3 L29220 세포 주기 & 성장 조절자
세린/트레오닌-단백질 키나아제 KKIALRE X66358 세포 주기 & 성장 조절자
타입 II 사이토스켈레톤 11 케라틴; 사이토케라틴 1 (K1; CK 1); 67-kDa 사이토케라틴; 헤어 알파 단백질 M98776 중간섬유 표지
CDC2-관련 단백질 키나아제 CHED M80629 세포 주기 & 성장 조절자
CDC2-관련 단백질 키나아제 PISSLRE L33264 세포 주기 & 성장 조절자
사이클린 A X51688 세포 주기 & 성장 조절자
타입 II 사이토스켈레톤 4 케라틴; 사이토케라틴 4(K4;CK4) X07695 중간섬유 표지
사이클린 C G1/S-특이 M74091 세포 주기 & 성장 조절자
타입II 사이토스켈레톤 6 케라틴;사이토케라틴 5(K5;CK 5);58-kDa사이토케라틴 M21389 중간섬유 표지
사이클린 E D13639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사이클린 D M73812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사이클린 G1 X77794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사이클린 G2 U47414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타입II 사이토스켈레톤 6 케라틴;사이토케라틴 6B(CK 6B);K6B케라틴 L42610 중간섬유 표지
AMP 디아민아제 L형 이성체(AMPD2) mRNA M91029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타입II 사이토스켈레톤 7 케라틴;사이토케라틴 7(K7; CK 7) M13955 중간섬유 표지
CDK6 억제자 2c(p18) mRNA, 완전 cds U17074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타입II 사이토스켈레톤 8 케라틴;사이토케라틴 7(K7; CK 8) X74929 중간섬유 표지
p35 사이클린성 CAK1-관련 단백질 X87843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위(wee) 1Hu CDk 티로신 15-키나아제; 위-1-성 단백질 키나아제 U10564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세린/트레오닌-단백질 키나아제 PLk(EC 2.7.1-)(PLK-1)(STPK13) U01038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포스포리파아제 D1(PLD1);콜린 포스파타아제 1 U38545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CDC10 단백질 동족체 S72008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CDC27HS단백질 S78234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CDC16HS U18291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CDC37 동족체 U43077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CDC6-관련 단백질 U77949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세포외 시그날-조절 키나아제1(ERK1) X60188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세포외 시그날-조절 키나아제2(ERK) Z11695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세포외 시그날-조절 키나아제3(ERK3) X80692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세포외 시그날-조절 키나아제4(ERK4) X59727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세포외 시그날-조절 키나아제5(ERK5) U29726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미토젠-활성 단백질 키나아제 p38(MAP KINASE p38) L35263 세포주기&성장 조절자
비멘틴 Z19554 중간섬유 표지
프로필린 J03191 중간섬유 표지
c-준 N-터미날 키나아제 3(JNK3) U34819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중복 특이성 미토젠-활성된 단백질 키나아제 키나아제 5 U25265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중복 특이성 미토젠-활성된단백질 키나아제 키나아제1 L11284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중복 특이성 미토젠-활성된단백질 키나아제 키나아제6 U39065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PCNA;사이클린 M15796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망막아세포종결합단백질(RBP) S66427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RBQ1망막아세포종결합단백질 X85133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E2f-3 D38550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E2F-5 U31556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E2F-관련 전사 인자 L23959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기본 전사인자 2 p44(btf2p44) 유전자 U80017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전사인자 DP2(Humdp2);E2F 이합체화 파트너 2 U18422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성장 인자 수용체-결합된 단백질(2)GRB2)이성체 M96995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GRB-IR/GRB10 D86962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raf전암유전자 세린/트레오닌-단백질 키아아제(raf-1;c-raf) X03484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b-raf M95712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jun B 전자활성제 U20734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N-myc 암유전자 단백질 Y00664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C-myc 결합 단백질 D89667 세포주기 & 성장 조절자
p53-의존성 세포 성장 조절자 CGR19 U66469 고사
고사 조절자 bcl-2 M14745 고사
Bcl2 및 p53 결합 단백질 Bbp/53BP2(BBP/53BP2) U09582 고사
클론53BP1p53-결합 단백질 mRNA, 부분 cds U09477 고사
고사 조절자 bcl-w;KIAA0271 D87461 고사
유도된 골수성 백혈병 세포 분화 단백질 MCL-1 L08246 고사
bcl-2-관련 단백질A1; bfl-1 단백질 U29680 고사
BCL-2 유사 길항제/킬러(BAK)단백질 U23765 고사
뇌-관련 고사 유전자(BRAG-1);Bcl-2 동족체 AB011170 고사
BAD 단백질 (BCL-2 결합 성성 6) U66879 고사
BCL2/아데노바이러스 E1B 19kD-상호단백질2(BNIP2)mRNA, 완전 cds U15173 고사
BCL2/아데노바리어스 E1B 19kD-상호단백질1(BNIP2)mRNA, 완전 cds AF083957 고사
인터루킨-1 베타 컨버타아제 전구체(IL-1BC) M87507 고사
아포페인 전구체;시스테인 프로테아제;YAMA 단백질 U13737 고사
ICH-2 프라테아제 전구체(EC 3.4.22.-);TX프로테아제(ICEREL-IL);카스파제-6 전구체(EC 3.4.22.-) U28014;U28015 고사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MCH2 이성체 알파 및 베타(MCH2);카스파제-6전구체(EC 3.4.22.-) U20537 고사
카스파제-7전구체(EC3.4.22.-) U37448 고사
아포-2- 리간드;TNF-관련 고사 유도성 리간드 TRAIL U37518 고사
카스파제-8구체(EC3.4.22.-) X98173 고사
카스파제-9체(EC3.4.22.-) U56390 고사
카스파제-10(EC3.4.22.-) ICE-LIKE 고사 프로테아제 4 U60519 고사
티로신-단백질 키나아제 수용체 tyro3 전구체;티로신-단백질 키나아제 D17517 암유전자&종양 억제자
TRAF5 AB000509 고사
TRAF6 U78798 고사
TRAF-상호 단백질 I-TRAF;TRAF 패밀리 멤버-관련 NF-kB 활성제 TANK U59863 고사
TRAF-상호 단백질(TRIP) U77845 고사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아제 NIK;TRAF2에 특이적으로 결합 Y10256 고사
카스퍼, 고사의 FADD-및 카스파제-관련 유도제(CASH-알파 +CASH-베타) AF015450 고사
사이토톡신 리간드 TRAIL 수용체 AF016266 고사
사멸 부위 함유 단백질 CRADD U79115 고사
수용체 상호 단백질 U25994 고사
DAXX;JNK 및 고사를 활성시키는 FAS-결합 단백질 AF039136 고사
종양괴사 인자 타입 2수용체 관련 단백질(TRAP3) U12597 고사
CD40 수용체 관련 인자 1(CRAF1) U21092 고사
고사 억제자 단백질1(HIAP-1)(C-IAP2) U45878 고사
고사 억제자 단백질2(IAP-1) U45879 고사
TNF-알파 전환 효소 U69611 고사
이온화 라디에이션 저항-컨퍼 단백질; 사멸-연관 단백질3(DAP-3) U18321 고사
Fas-활성된 세린/트레오닌(FAST)키나아제 X86779 고사
c-yes-1 M15990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FAS/APO 1 D49396 고사
5'-AMP 활성된 단백질 키나아제; 감마1 U42412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Akt 1;rac 단백질 키나아제 알파; 단백질 키나아제B; c-Akt M63167 고사
AKT2;rac 단백질 키나아제 베파 M77198 고사
7개의 앱센티아 동족체 U63295 고사
전사 1-알파/베타의 시그날 트랜스듀서 및 활성제(STAT1) M97935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고사-연관 단백질 TFAR15(TFAR15) AF022385 고사
시그날 트랜스듀서 및 전사 활성제 5B(STAT5B) U47686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CD27BP(시바) U82938 고사
CSE1 AF053640 고사
고사 억제자 서비빈 U75285 고사
전암유전자 rhoA 멀티드러그 저항성 단백질; GTP-결합 단백질(rhoA) L25080 고사
Pig7(PIG7) AF010312 고사
Pig10(PIG10) AF010314 고사
Pig11(PIG11) AF010315 고사
Pig12(PIG12) AF010316 고사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라아제 동족체 U90313 고사
cdc42동족체(G25K)(뇌 이성체+태반 이성체) U02570 고사
마크로파지 콜로니 자극인자 I 수용체 전구체(CSF-1-R) X03663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C-fos V01512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c-kit X06182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fgr 전암유전자 코딩 p55-c-frg단백질 M19722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DNA 미스매치 수복 단백질 MSH6(mutS 알파 160-kDa 서브유니트) U03911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DNA 미스매치 수복 단백질 MSH6(mutS 알파 160-kDa 서브유니트) U54777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K-ras 암유전자 M54968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MET J02958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유방암민감(BRCA2) X95152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BRCA1-관련 고리 부위 단백질 U76638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p53 세포성 암 항원 X54156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mdm2 단백질; p53-연관 단백질 M92424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망막아세포증 민감 L41870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RB2/p130 X74594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RBA/p48 X74262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RBP2망막아세포증 결합 단백질 S66431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GADD153=성장 저해 및 DNA-손상 유도 S66431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인슐린성 성장 인자I 수용체(IGF1R) X04434 수용체
DNA-PK 촉매성 서브유니트(XRCC7) U47077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모세혈관확장성(혈관확장성) 운동실조증(ATM) U82828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양이온-비의존성 만노오스-6-포스페이트 수용체 전구체(CIman-6-P 수용체;CI-MPR) Y00285 수용체
Ku 단백질 서브유니트; ATP-의존성 DNA 헬리카아제 II 70-kDa 서브유니트 M32865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Ku (p70/p80) 서브유니트; ATP-의존성 DNA 헬리카아제 II 86-kDa 서브유니트 M30938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DNA 절단 수복 단백질ERCC1 M13194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DNA 리가아제 III (LIG3);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합성제(ATP) X84740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DNA 리가아제 IV ;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합성제(ATP) X83441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DNA 폴리메라아제 알파-서브유니트 X06745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인슐린성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2(IGFBP2) X16302 수용체
recA성 단백질 HsRad51;DNA 수복 단백질 RAD51 동족체 L07493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DNA 상해 수복 및 재조합 단백질 RAD52 U12134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DNA 토포이소머라제I(TOP1) M60706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성장 호르몬-의존성 인슐린-성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M35878 수용체
IGFBP5 L27560 수용체
DNA 절단 수복 단백질 ERCC2 3'말단;XP-D 세포 보충DNA-수복 단백질 X52222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IGFBP6 M62402 수용체
ERCC5절단 수복 단백질 X69978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6-O-메틸구아닌-DNA 메틸트랜스퍼라아제(MGMT); 메틸화-DNA-단백질-시스테인 메틸트랜스퍼라아제 M29971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근육 특이성 DNase I성(DNase X) X90392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DNA 미스매치 수복 단백질 hmlh1 U07418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당뇨 연관 GTP-결합 단백질 ras(RAD1) L24564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복제 인자 C37-kDa서브유니트 M87339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복제 인자 C38-kDa서브유니트(RFC38);활성제 1 38-kDa 서브유니트 LO7541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복제 단백질 A 70-kDa서브유니트(RP-A)(RF-A);싱글-스트랜드 DNA-결합 단백질 M63488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1 사이토졸릭 X02317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싱글-스트랜드 DNA-결합 단백질 pur-알파 M96684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HHR6A(이스트RAD6동족체) M74524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라이소자임 M19045 DNA 손상 반응, 수복 & 재조합
노치2노치동족체3 U97669 세포 운명 & 발달 조절자
CDW40 항원;CD40L 수용체 전구체 X60592 수용체
재그드 1 AF028593 세포 운명 & 발달 조절자
재그드 2 AF029778 세포 운명 & 발달 조절자
델타성 단백질 전구체(dlk);태아 항원 1 포함(FA1)(DLK) U15979 세포 운명 & 발달 조절자
루네틱 푸린지 U94354 세포 운명 & 발달 조절자
wnt-2 단백질 전구체;IRP 단백질 int-1 연관 단백질 X07876 세포 운명 & 발달 조절자
Wnt-5a L20861 세포 운명 & 발달 조절자
프리즐-연관 FrzB(Fritz);프리즐드(fre) U24163 세포 운명 & 발달 조절자
디스헤벨드2(DVL) AF006012 세포 운명 & 발달 조절자
패취드 동족체(PTC) U43148 세포 운명 & 발달 조절자
스므던드 U84401 세포 운명 & 발달 조절자
레틴산 수용체 엡실론(RAP-엡실론); 레틴산 수용체 베타2(RAR-베타2) Y00291 수용체
종양 고사 인자 타입 1수용체 연관 단백질(TRAP1)mRNA, 부분 cds U12595 수용체
종양 고사 인자 수용체 2(75 kD)(TNFR2) U52165 수용체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키나아제 기질 15 (EPS18); AF-1P 단백질 U07707 수용체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키나아제 기질 EPS8 U12535 수용체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EPOR) M60459 수용체
NT-3 성장인자 수용체 전구체;trk-c 티로신 키나아제 GP145-TRKC U05012 수용체
GARP Z24680 수용체
레틴산 수용체 알파(RXRA) X52773 수용체
HGF 활성제 동족체 D49742 수용체
N-sam;섬유아세포성장인자 수용체1전구체(FGFR1) X66945 수용체
저친화성의 신경성장인자 수용체 (NGF수용체; NGFR);GP80-LNGFR M14764 수용체
혈소판-유래의 성장 인자 수용체전구체 (PDGFR-베타);CD140B항원 M21574 수용체
베타 혈소판-유래의 성장 인자 수용체전구체 (PDGFR-베타); CD140B 항원 J03278 수용체
콜론 암종 키나아제-4(CCK4);세포막 수용체 전구체(PTK7) U33635 수용체
레틴산 수용체 감마 M38258 수용체
형질전화 성장 인자(TGF)-베타 수용체타입III전구체(TGFR-3); 베타그리칸 L07594 수용체
세포막 단백질TMP21 AJ004913 수용체
고친화성 신경 성장 인자 수용체 전구체 X03541 수용체
뇌-유래 신경성 인자(BDNF)/NT-3성장인자 수용체 전구체 U12140 수용체
적혈구조혈인자성 전구세포 CD34항원전구체 S53910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CD59 M84349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혈관형성인자 1 수용체 전구체;티로신-단백질키나아제단백질 TIE-2 L06139 혈관 형성
콜라젠 타입 I J03464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콜라젠 타입 II 알파I X16468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콜라젠 타입III 프로-알파-1 X14420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콜라젠 타입IV알파 M26576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콜라젠 티입VI알파-3 X52022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콜라젠 타입VIII 알파-1 X57527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 B 전구체 U43368 혈관 형성
콜라젠 타입 XI 프로-알파-2 U32169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콜라젠 타입XVI 알파-1 M92642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콜라젠 타입 XVIII 알파 L22548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라미닌 알파-4 서브유니트 전구체(LAMA4) S78569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라미닌 베타-2 서브유니트 전구체(LAMB2); S-라미닌 M94362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라미닌 베타-1 서브유니트 전구체(LAMB1);라미닌B1쇄 M61916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라미닌 감마-1 서브유니트 전구체(LAMG1);라미닌B2 쇄 M55210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라미닌67kDa RECEPTOR X15005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니도젠전구체(NID);엔트엑틴 M30269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테나신 전구체(TN);헥사브라키온;사이트액틴;뉴로넥틴 X78565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버시칸코어단백질 전구체; 대섬유아세포프로페오글라이칸 J02814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스파크전구체(산성 및 시스테인이 풍부한 분비된 단백질;오스테오넥틴)(ON) J03040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트롬본스폰딘1 전구체 X14787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트롬본스폰딘2 전구체 L12350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비트로넥틴 전구체;혈정스프레딩 인자; S-단백질(소마토메딘B함유) X03168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피브로넥틴 전구체(FN) X02761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헤파란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HSPH2) M85289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인테그린 알파 서브유니트 X68742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혈관내피성장인자 C전구체(VEGF-C) U43142 혈관 형성 조절자
인테그린 알파-3쇄 M59911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인테그린 알파-4 서브유니트 전구체(인테그린 알파-IV;IVGA4);VLA-4;CD49D 항원 L12002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태반성장인자 1(PLGF-1) X54936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인테그린 알파 7B X74295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인테그린 알파 9 D25303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인테그린 알파-E 전구체(ITFAE);점성림프구-1항원;hml-1 항원; CD103항원 L25851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인테그린 베타1 M34189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인테그린 베타4 X53587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인테그린 베타-5서브유니트(ITGB5) J05633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인테그린 베타8 M73780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포컬 부착 키나아제(FADK);프롤린-풍부티로신키나아제2(PYK2) L13616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인테그린-린크 키아아제(ILK) U40282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세포 부착 키나아제 베타(CAK베타);프로테인 티로신 키나아제 Pyk2 U43522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팍실린 U14588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알파1,2-만노시다아제 1BmRNA AF027156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자인신 연관 단백질 ZRP-1 AF000974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베타 3-엔도넥신 U37139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사이토헤신-1;Sec-7p성 단백질 U70728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CD9 항원; p24; 백혈구항원MIC;운동성 연관단백질(MRP-1) M38690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에즈린(사이토빌린2) X51521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모에신-에즈린-라딕신성 단백질;메르린;슈완노민;뉴로피브로마토시스 2 L11353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신경세포부착분자 L1전구체(N-CAM L1); MIC5 AF002246 세포 부착, 운동성 & 침입
닌주린-1 U91512 세포 부착 & 운동성, 침입
포르밀 펩타이드 수용체1 M60626 세포 부착 & 운동성, 침입
P37NB U32907 세포 부착 &운동성, 침입
세마포린(CD100) U60800 세포 부착&운동성, 침입
세마포린E AB000220 세포 부착&운동성, 침입
TAX1;액소닌-1/TAQ1 X67734 세포 부착&운동성, 침입
백혈구항원관련 단백질 전구체(LAR);PTPRF Y00815 세포 부착&운동성, 침입
하이알루로난 수용체(RHAMM) U29343 세포 부착& 운동성, 침입
혈소판 글리코프로테인IV(GPIV)(GPIIIB);CD36항원)(PASIV);PAS-4단백질 M98399 세포 부착&운동성, 침입
카베올린-2 AF035752 세포 부착&운동성, 침입
FGFR3;FLG-2 M64347 혈관형성 조절자
각질세포성장인자 수용체(KGFR);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2(FGFR2) M80634 혈관형성 조절자
MMP-1;콜라게나아제-1 X54925 침입 조절자
MMP-2;젤라티나아제 A Z48482 침입 조절자
MMP-16 D85511 침입 조절자
MMP-7; 매트리라이신 X07819 침입 조절자
EB1(APC에 결합하는 단백질) U51677 세포-세포 상호작용
MMP-10;스트로메라이신-2 X07820 침입 조절자
MMP-13;콜라게나아제-3 X75308 침입 조절자
프로토카드헤린 43 L11373 세포-세포 상호작용
데스모플라킨 I M77830 세포-세포 상호작용
에보플라킨(EVPL) U53786 세포-세포 상호작용
수포성 펨피고이드 항원 M69225 세포-세포 상호작용
TIMP-2(MI) J05593 침입 조절자
TIMP-3;미토젠-유도성 유전자 4(mig-5) Z30183 침입 조절자
바스진 전구체(BSG);백혈구 활성 항원M46 X64364 침입 조절자
유로키나아제형 플라스미노젠 활성제 전구체 (EC 3.421.73); U-플라스미노젠 활성제(UPA) X02419 침입 조절자
조직형 플라스미노젠 활성제전구체 (EC 3.4.21.68); T-플라스미노젠 활성제(T-PA) M15518 침입 조절자
플라스미노젠 전구체(EC 3.4.21.7) M34276 침입 조절자
태반 플라스미노젠 활성제 억제자-2(PAI-2);모노사이트ARG-세르핀;유로키나아제억제자;PLANH2 Y00630 침입 조절자
단백질 C 억제자, 플라즈마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자 전구체, 프라스미노젠 활성제 억제자-3(PAI3) M68516 침입 조절자
유로키나아제형 프라스미노젠 활성제 수용체 U09937 침입 조절자
저밀도 리포프로테인 수용체-관련 단백질 1 전구체(LRP);알파-2-마크로글로블린 수용체(A2MR) X13916 침입 조절자
알파-2-마크로글로블린 전구체(알파-2-M) M11313 침입 조절자
혈소판 기본 단백질 전구체(PBP) M54995 침입 조절자
알파-2-마크로글로블린수용체-관련 단백질 전구체(알파-2-MRAP) M63959 침입 조절자
뉴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 키나아제A(EC2.7.4.6)(NDK A) X17620 침입 조절자
c-myc 푸린-결합 전사 인자puf; 뉴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 키나아제B(NDP키나아제B;NDKB) M36981 침입 조절자
nm23-H4;뉴클레오사이드-디포스페이트키타아제(EC2.7.4.6);뉴클레오사이드5'-디소프페이트 포스포트랜스퍼라아제(NDK) Y07604 침입 조절자
악성 멜라노마 전이-억제자(KiSS-1) 유전자 U43527 침입 조절자
전이관련 MTA1 U35113 침입 조절자
메탈로프로테아제/디스인테그린/시스테인-풍부 단백질 전구체(MDC9) U41766 침입 조절자
DDX8;RNA 헬리카아제 D50487 침입 조절자
포그헤드성 7 AF048693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rhoG X61587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Rho6 단백질 Y07923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Rho8 단백질 X95282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에프린-B3 전구체; eph-관련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리간드 8(LERK-8) U66406 세포-세포 상호작용
ras-유사 단백질 TC10 M31470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ras-유사 소 GTPase TTF Z35227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rhoHP1 D85815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rho-관련 코일형-코일(coiled-coil) 함유 단백질 키나아제 p160ROCK U43195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CDC42 GTPase-활성 단백질 U02570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TIAM1 함유 T-림프종 침입 및 전이 U16296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rho/rac 구아닌 뉴클레오티드 교환 인자(rho/rac GEF); 파시오제니탈 디스플라시아 단백질(FGD1) U64105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에프린 타입-A 수용체 2 전구체; 상피 세포 키나아제(ECK); 티로신-단백질 키나아제 수용체 ECK M59371 세포-세포 상호작용
rho GDP 분리 억제자 2(rho GDI 2); LY-GDI L20688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rho GDP 분리 억제자 1(rho GDI 1) X69550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p21-활성 키나아제; p65-PAK; 세린/트레오닌-단백질 키나아제 PAK-알파 U24152 Rho 패밀리 소 GTPase &그의 조절자
신경-캐드헤린 전구체 (N-캐드헤린); 캐드헤린-2 S42303 세포-세포 상호작용
캐드헤린-3 태반-캐드헤린 전구체;P-캐드헤린 X63629 세포-세포 상호작용
캐드헤린-5 혈관 내피 캐드헤린 전구체;VE-캐드헤린;7B4항원;CD144항원 X79981 세포-세포 상호작용
캐드헤린-6 D31784 세포-세포 상호작용
캐드헤린-8 L34060 세포-세포 상호작용
카제인 키나아제II, 알파 서브유니트 J02853 세포-세포 상호작용
에프린 타입-B 수용체 2 전구체; 티로신-단백질 키나아제 수용체 EPH-3; DRT; HEK; ERK L41939 세포-세포 상호작용
캐드헤린-13 T-캐드헤린 전구체(사절-캐드헤린:; H-캐드헤린; 심장-캐드헤린 U59289 세포-세포 상호작용
캐드헤린-14 근육-캐드헤린 전구체; M-캐드헤린; 캐드헤린-14; 캐드헤린-15 U59325 세포-세포 상호작용
알파-캐테닌; 캐드헤린-관련 단백질; 알파 E-캐테닌 D13866 세포-세포 상호작용
알파-캐테닐 관련 단백질(캐테닌 알파-2) M94151 세포-세포 상호작용
베타-캐테닌 X87838 세포-세포 상호작용
티로신-단백질 키나아제 HCK (EC 2.7.1.112); P59-HCK & P60-HCK; 조혈성 세포 키나아제 M16591 세포-세포 상호작용
APC M73548 세포-세포 상호작용
종양 탈저 인자 멤버 2(TNF) X02910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엠피레귤린(aAR); 결장직장 세포-유도 성장 인자(CRDGF) M30704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뇌-유도 신경친화성 인자(BDNF) M61176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베타 NGF X52599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클론 pSK1 인터페론 감마 수용체 부속 인자-1(AF-1); 인터페론-감마 수용체 베타 쇄) U05875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BIGH3 M77349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뼈 형태발생 단백질 1(BMP1) U50330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인터페론-알파/베타 수용체 알파 서브유니트 전구체(IFN-알파 수용체; IFNAR) J03171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뼈 형태발생 단백질 3B D49493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뼈 형태발생 단백질 2B(BMP2B) D30751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뼈 형태발생 단백질 6 M60315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뼈 형태발생 단백질 7; 골형성 단백질 1 X51801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뼈 형태발생 단백질 8; 골형성 단백질 2 M97016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BPGF-1 L42379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결합 조직 성장 인자(CTGF) M92934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헤파린-결합 EGF-유사 성장 인자(HBEGF);디프테리아 독소 수용체(DTR) M60278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인터페론-알파/베타 수용체 베타 서브유니트 전구체(IFN-알파-R) L42243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화이브릴린 2(선천성 구축 지주지증) U03272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FGF2;헤파린-결합 성장 인자 2 전구체; 프로스타트로핀) J04513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케라티노사이트 성장 인자(KGF); 화이브로블라스트 성장 인자 7(FGF-7) M60828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사이토킨 휴미그; 인터페론-감마-유도 모노킨(MIG) X72755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신경교 성숙 인자 베타(GMF-베타) M86492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신경교 성장 인자 전구체(GGFHPP2); 뉴리귤린; 헤리귤린 베타 1 L12261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 2 전구체(TGF-베타2; TGFB2) M19154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인터페론-감마 유도 단백질 전구체(감마-IP10) X02530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전사 인자 ETR03; 초기 성장 대응 단백질 1(EGR-1)(KROX24) X52541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간세포 성장 인자-유사 단백질;마크로파지-자극 단백질(MSP) L11924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혈종-유도 성장 인자(HDGF) D16431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간암-유도 성장 인자(HDGF) X16323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간세포 성장 인자(HGF); 산란 인자(SF);헤파토포이에틴 A U65590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인터로킨-1 알파 전구체(IL-1; IL1A);헤마토포이에틴 A M28983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인터로킨-1 베타 전구체(IL-1; IL1B);이화대사산물 K02770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MADER X70991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인터로킨-6 전구체(IL-6); B-세포 자극성 인자 (BSF-2) X04430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인터로킨-15 (IL-15) U14407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인터페론 감마 전구체(FIN-감마;IFNG); 면역 인터페론 V00543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백혈구 인터페론-유도성 펩티드 X57351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백혈병 억제 인자 전구체(LIF); 분화-자극 인자(D 인자) X13967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PDGF 관련 단백질 U41745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혈소판-유도 성장 인자 A서브유니트 전구체(PDGFA; PDGF-1) X06374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혈소판-유도 성장 인자 B서브유니트 전구체(PDGFB; PDGF-2);바캅플러민; c-시스 X02811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기질 세포 유도 인자 1 전구체(SDF);전 B-세포 성장 자극 인자(PBSF) L36033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TGF-b 수퍼패밀리 수용체 타입 I(ALK-1)(SRK3) L17075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형질전환 성장 인자-베타 3(TGF-베타3) X14885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혈소판형성소 전구체 (THPO);거핵구 콜로니 자극 인자 L33410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형질전환 성장 인자-알파(TGF-알파; TGFA); EFG-유사 TGF (ETGF) X70340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인터페론-자극 전자 인자 3, 감마(48kD) M87503 성장 인자 & 사이토카인
유비퀴틴 S79522 하우스키핑 유전자
포스포리파아제 A2 U03090 하우스키핑 유전자
아데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아제 Y00486 하우스키핑 유전자
튜블린 알파 L11645 하우스키핑 유전자
HLA 클래스 I 조직적합성 항원A-3 알파 쇄(MHC) D32129 하우스키핑 유전자
대동맥형 평활근 알파-액틴 유전자,엑손 9 3216M3 하우스키핑 유전자
리보솜 단백질 S5 U14970 하우스키핑 유전자
p300/CBP U47741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전사 커플링
SRC-1 U40396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전사 커플링
N-CoR/SMRT AF044209/U37146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전사 커플링
ACTR AF036892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전사 커플링
RIP140 X84373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TRIP1 L38810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TIF2 X97674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Smad3 AB004924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efp D21205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락토페린 X53961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M15716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카텝신 G J04990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pS2 단백질 X52003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프로락틴 E02152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ARA70 L49399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비타민 D 수용체 J03258 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p38 L35253 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p38 감마 U66243 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JNK1 L26318 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JNK2 U09759 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JNK3 AA992006 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ERK1 M76585 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BMKa,b,g U29725-U29727 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DAX1 U31929 생식소 분화
SOX9 Z46629 생식소 분화
WT1 X51630 생식소 분화
SRY L10101 생식소 분화
Ad4BP/SF-1 D84206-D84209 생식소 분화
EMX2 X68880 생식소 분화
c-Fos K00650/M16287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c-Myc J00120/K01908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Bcl-2 M13994-M13995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Bax a,b,g L22473-L22475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Bax d U19599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Bcl-x U72398 암유전자 & 종양 억제자
NGF 수용체 M14764 수용체형 키나아제
FGF 수용체 M34641 수용체형 키나아제
VEGF 수용체 AF016050 수용체형 키나아제
PDGF 수용체 M21616 수용체형 키나아제
CSF1 수용체 M33208-M33210 수용체형 키나아제
EGF 수용체 M29366 수용체형 키나아제
인슐린 수용체 M10051 수용체형 키나아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는 유전자는 또한 디에틸스틸베스트롤, 비스페놀-A, 17 β-에스트라디올 등에 결합하는 것으로 공지된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및 신호 전달 경로에 포함된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대한 유전자에 의해 구체화된다.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유전자는 하기와 같이 검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 DNA 어레이는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고정화되는 지지체를 언급하고 예로 이른바 DNA 칩을 포함한다. 혼성화(hybridezation)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어느 지지체도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글라스, 실리콘 칩, 니트로셀룰로오스 또는 나일론 막 등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지지체상에 고정화되는 유전자 또는 그의 DNA 단편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방법인 PCR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 쌍을 고정화되는 유전자에 지정된 GenBank 수탁번호에 의해 동정된 염기 서열 또는 유전자 산물에 기초하여 올리고TM프라이머 분석 소프트웨어(OligoTMPrimer Analysis Software(Takara Shuzo))와 같은 프라이머 분석/작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제조 할 수 있다. 관심의 PCR-증폭된 단편은 프라이머 쌍 및 게놈 DNA, 표준 프로토콜에 따른 주형으로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PCR 키트에 결합하는 게놈 DNA 라이브러리 또는 cDNA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생성된 DNA 단편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콘-100(Microcon-100(Takara Shuzo)를 사용하여 정제될 수 있다. 정제된 DNA 단편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DNA 어레이는 예를 들면, 아미노산을 지지체에 삽입시키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을 지지체 상에 고정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유전자가 고밀도로 어레이되고 고정화되는 DNA 어레이는 GMS사로부터 구입한 DNA 칩 제조용 기기와 같은 DNA 어레이 제조용 기기를 사용하여 고정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DNA 어레이의 사용이 핵산 샘플중의 다양한 핵산 분자의 함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소량의 핵산 샘플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어느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DNA 어레이상에 고정화된다. 바람직하게, 내분비물질 교란 활성과 관련된 작용을 갖는 것으로 예측되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로부터 유래되는 DNA 단편이 고정화된다. 단편이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면, 약 1Kb 길이의 단편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단편의 길이는 특정의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편이 특이적으로 시험 샘플로부터의 핵산과 혼성화되는 한, 길이는 상기 기재된 것보다 짧거나 길 수 있다. 그러한 유전자의 예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호르몬 수용체, 수용체에 대한 보조인자를 코딩하는 유전자. 수용체로부터 신호 전달에 포함된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생합성 또는 호르몬 대사에 포함된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및 암유전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발현이 내분비교란물질의 영향의 결과로서 변경된 유전자를 포함하는 핵산 샘플로서 내분비교란물질에 민감한 세포 또는 조직(기관)으로부터 제조된 mRNA 또는 주형으로 그 mRNA를 사용하여 역전사에 의해 얻은 cDNA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mRNA는 내분비교란물질에 노출된 후 계속하여 또는 상이한 날에 얻는다.
내분비교란물질을 포함하는 샘플에 노출된 세포는 유기체로부터 수득한 세포이거나, 배양된 세포일 수 있다. 조직은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예측되는 한, 특정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되는 세포 또는 조직, 또는 유기체의 유래는 인간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내분비교란물질에 대한 노출 시간 시간은 사용되는 유기체, 내분비교란물질,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대조군으로서 세포, 조직 또는 유기체로부터 유사하게 제조된, mRNA, 또는 그의 cDNA를 포함하는 핵산 샘플을 엄격한 조건하에서 혼성화시킨다. 핵산 샘플은 DNA 어레이 상의 DNA와의 혼성화 여부를 용이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적절히 라벨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사선 동위원소, 형광 물질, 화학발광 물질, 적절한 항체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 등이 라벨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초기에 핵산 샘플을 라벨링하지않고 혼성화를 시킨 후, 이어서 형광 또는 화학 발광을 발하는 삽입 물질을 라벨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공지된 방법에 따라,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된 핵산 샘플을 DNA 어레이상의 DNA와 혼성화시킬 수 있다. DNA 어레이상의 DNA의 길이 등에 따라 최적의 조건하에서 혼성화 및 세척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들 단계는 예를 들면,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 pp. 0.52-9.55(1989)]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대조 핵산 샘플에 대한 결과를 내분비교란물질을 포함하는 샘플에 노출된 세포, 조직 또는 유기체부터 유래된 핵산 샘플에 대한 것과 비교하여, 두 핵산 샘플사이에서 시그날 세기가 현저하게 상이한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어레이를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라벨된 핵산 샘플과 혼성화시킨다. 혼성화된 어레이에 대한 방사능, 형광, 발광 등의 시그날 세기를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램 스캐너(chromatogram scanner) 또는 이미지 분석기(image analyzer)와 같은 특수 측정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내분비교란물질의 영향에 의해 발현이 현저히 변경된 유전자를 시그날 세기의 차이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다.
여러개(예: 두개 타입의 형광)의 라벨을 탐지할 수 있는 다중 파장 탐지 형광 분석기를 사용하여, 동일한 DNA 어레이상에서 대조 핵산 샘플에 대한 유전자 발현을 내분비교란물질에 노출된 세포, 조직 또는 유기체로부터 유래된 핵산 샘플에 대한 것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분비교란물질에 노출된 세포로부터 유래된 핵산 샘플은 Cy3-dUTP로, 대조 핵산 샘플은 Cy5-dUTP로 형광-라벨시킨다. 동일한 양의 두 핵산 샘플을 혼합하고 혼합물을 DNA 어레이와 혼성화시켜 두 핵산 샘플사이의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색의 차이로서 측정하였다. 발현 수준이 내분비교란물질의 영향에 의해 현저하게 변경된 유전자를 그 결과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유전자는 내분비교란물질 검출용 인덱스로서도 유용하다.
발현 수준 인덱스로서 측정된 시그날 세기를 대조 샘플을 사용하여 제조된 핵산 샘플을 사용하여 얻은 것과 비교하여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선별한다. 예를 들면, 값은 내분비교란물질을 포함하는 샘플에 대한 형광 시그날 값을 대조 샘플에 대한 형광 시그날 값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1.00 보다 대값은 유전자 발현이 시험 물질의 처리에 의해 촉진되었음을 나타낸다. 1.00 보다 소 값은 유전자 발현이 시험 물질의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음을 나타낸다. 1.00과 동일한 값은 유전자가 시험 물질의 처리에 의해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발현이 촉진된 경우, 값은 1.10, 바람직하게는 1.3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보다 크게 나타한다. 발현이 억제된 경우, 값은 0.90, 바람직하게는 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0.70보다 작게 나타난다.
상기 기재된 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예를 들면, 세포내에서 핵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및 신호 전달 경로의 하류에 포함된 다수의 유전자)의 발현을 시험관내에서 동시에, 신속하고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선행의 공지되지 않은 신호 전달 경로에 포함된 공지된 유전자를 발견할 수 있다.
(2)하기와 같이 인덱스로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의 발현을 사용하여 내분비교란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내분비교란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된 유전자가 고정화되는 DNA 어레이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핵산 샘플을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예측되는 세포, 조직 또는 유기체로부터 제조한다. 이어서, 핵산 샘플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혼성화시킨다.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시그날 세기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내분비교란물질의 존재 여부를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또다른 구체예에서, 내분비교란물질의 존재여부를 하기와 같이 판단할수 있다.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된 유전자에 대한 mRNA와 경쟁하는 RNA 또는 DNA를 제조한다. 경쟁의 RT-PCR을 내부 기준으로서 RNA 또는 DNA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이어서 영향을 받은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경쟁의 RT-PCR에 의해 수량으로 측정한다.
상기 기재된 바, 본 발명에 따라 인덱스로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예를 들면, 세포내 핵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또는 다수의 하류 유전자중 하나)의 발현을 사용하여 내분비교란물질의 존재 또는 부재 여부를 실질적이고 쉽게 측정할 수 있다.
(3)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을 하기와 같이 검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은 생체내에서 자연적으로 정상적인 호른몬의 활성에 영향을 주는 물질을 의미한다. 활성이 이미 확인된 물질 및 확인되지 않은 물질이 상기 정의에 포함된다.
상기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된 유전자를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고정화시켜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의 검출용 DNA 어레이를 제조하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샘플에 노출된 세포, 조직 또는 유기체로부터 핵산 샘플을 제조한다. 이어서 핵산 샘플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혼성화시킨다. 시그날 세기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결과에 기초하여 물질을내분비교란물질로서 판단할 수 있다.
시그날 변화가 DNA 어레이상의 모든 DNA에 대해 관찰된 경우 및 일부의 DNA에 대해 관찰된 경우의 결과에 기초하여 물질을 내분비교란물질로서 판단한다. 특히, 시그날 세기의 변화가 일부의 DNA에 대해 관찰된 경우, 상기 물질처럼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을 더욱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물질 작용으로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추가로 선별하는 검출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된 유전자에 대한 mRNA와 경쟁하는 RNA 또는 DNA를 제조한다. 경쟁 RT-PCR을 내부 기준으로서 RNA 또는 DNA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내분비교란 정도를 유전자 발현에 기초하여 수량으로 측정할 수 있다. 방법이 유전자의 검출/수량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한, 상기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득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의 검출, 또는 수량 측정을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4)본 발명의 DNA 어레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 DNA 어레이는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이 고정화되는 지지체를 언급하고 예로 이른바 DNA 칩을 포함한다.
혼성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어느 지지체도 본 발명의 DNA 어레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글라스, 실리콘 칩, 니트로셀룰로오스 또는 나일론 막 등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비침투성이고 평면을 갖는 물질로부터 제조된 지지체(예: 슬라이드 글라스와 같은 글라스)가 사용될 수 있다. 표면상에 DNA가 공유결합 또는 비공유결합으로 고정화될 수 있는 어느 지지체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들의 표면상에 친수성 또는 소수성 작용 그룹을 갖는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의 표면상의 바람직한 작용 그룹의 예로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하이드록시 그룹, 아미노 그룹, 티올 그룹, 알데하이드 그룹, 카복실 그룹 및 아실 그룹이 포함한다. 작용 그룹은 지지체 자체의 표면 특성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표면처리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표면 처리를 포함하는 지지체의 예로는 아미노알킬실란과 같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실란 커플링제로 처리되거나 폴리라이신 또는 폴리에틸렌이민과 같은 양이온(polycation)으로 처리된 글라스를 포함한다.
내분비교란물질에 영향을 받은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을 본 발명의 DNA 어레이상에 고정화시킨다. DNA 어레이는 변성 조건하에서 상기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의 더블 스트랜드(double-strand) 가 어레이되어있고 동일 지지체상에 고정화되는 DNA 마이크로어레이일 수 있다. 고정화되는 DNA 중 적어도 일부는 싱글 스트랜드 일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DNA 어레이는 변성 조건하에서 어레이중 동일한 지지체상에 더블 스트랜드 DNA들을 스팟팅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DNA 어레이중 어레이의 밀도는 특정하게 제한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DNA들이 100다트/㎠이상으로 고정화되는 어레이와 같이 고밀도의 DNA 어레이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지체상에 어레이되고 고정화되는 DNA 단편은 특정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중합효소연쇄반응(PCR) 등에 의한 효소성 증폭 으로 제조되고 DNA 고정화을 위해 지지체상에서 고정화하면서 동시에 변성화시켜 싱글-스트랜드의 DNA 또는 그의 유도체로 전환되는 길이 50베이스 이상의 더블-스트랜드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도체는 지지체의 표면상에 고정화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유도체의 예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미노 그룹 또는 티오 그룹과 같은 작용 그룹이 DNA의 5'-말단에 삽입된 DNA를 포함한다.
예로는, 주형으로 게놈 DNA 라이브러리 또는 cDNA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PCR 등으로 증폭된 DNA가 지지체상에 고정화되는 유전자 또는 DNA 단편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기초하여 합성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혼성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DNA 이외의 핵산(예: 생체내 전사에 의해 제조된 RNA)을 DNA를 대신하여 고정화시킬 수 있다. DNA 어레이를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아미노 그룹을 지지체에 삽입하여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을 지지체상에 고정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유전자가 어레이되고 고정된 본 발명의 DNA 어레이를 GMS사로부터 구입한 DNA 칩 제조용 기기와 같은 DNA 어레이 제조용 기기를 사용하여 고정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호르몬의 활성에 영향을 주는 기능을 갖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을 본 발명에 사용되는 DNA 어레이상에 고정화시킨다. 단편이 사용되는 경우, 예로서 약 100b 내지 1kb 길이의 단편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단편의 길이를 특정한 것으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단편이 시험 샘플의 핵산과 특이적으로 혼성화되는 한, 길이는 상기 기재된 것보다 짧거나 길 수 있다. 그러한 유전자의 예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수용체에 대한 보조인자를 코딩하는 유전자, 수용체로부터의 신호 전달 관련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호르몬의 생합성 또는 대사 관련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암유전자 등을 포함한다. 또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예를 들면, 상기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유전자를 고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모두를 상기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유전자 모두가 고정화되는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의 검출용 DNA 어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 예를 들면, 세포내 핵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및 하류 신호 전달 경로 관련 유전자를 본 발명의 방법 및 DNA 어레이를 사용하여 시험관내에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의 존재 또는 부재 여부를 실질적이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그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표3에 나타내었다.
표 3
이들 유전자에 대한 3'-비전사 부위를 포함하는 cDNA의 약 1kb의 단편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간단히, 관심의 cDNA 단편을 주형으로 인간 또는 마우스(Clontech)로부터 유래된 세포 또는 조직의 mRNA들을 사용하여 역전사 PCR(RT-PCR)에 의해 증폭시켰다. 증폭된 cDNA를 이들의 염기 서열을 분석하여 관심의 단편임을 확인하였다. 증폭된 단편을 에탄올 침전으로 회수하고 농도 1μM에 10mM의 탄산염 완충액(pH 9.5)에 용해시켰다. 또한, 하우스키핑(housekeeping) 유전자로서 β-액틴 유전자 및 음성 대조으로서 플라스미드 pUC18을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이들 단편을 DNA 칩(GMS) 제조용 기기를 사용하여 아미노 그룹이 삽입된 슬라이드 글라스(Sigma)상에 스팟시키고UV 조사로 픽싱시켰다.
실시예 2
(1)마우스로의 투여
10마리의 암컷 마우스(생후 2일)를 내분비교란물질 투여 그룹 및 미투여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디에틸스틸베스트롤(DES)를 2일동안 0.1mg/마우스/일로 투여 그룹중의 각 마우스에 정맥 주사하였다. 4일째되는 날 난소를 제거하고 , mRNA 추출 키트(Qiagen)를 사용하여 mRNA를 제조하였다.
약 3㎍의 mRNA, 올리고-dT 프라이머, 투여 그룹에 대한 Cy3-dUTP(Amersham) 또는 미투여 그룹에 대한 Cy5-dUTP(Amersham), dNTP 및 역전사 효소(Gibco-BRL)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하여 cDNA 합성 반응을 수행하였다. 혼합물을 겔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형광 라벨된 cDNA를 제조하기 위해 4xSSC/0.2% SDS에 용해시켰다.
(2)배양 세포의 처리
인간 유방암 MCF-7 세포를 5% 우 태아 혈청(FBS)을 포함하는 DME 배지중에서 배양하였다. 트립신화 시킨후, 2x105세포를 12웰 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위치시켰다. 상기 세포를 24시간동안 동일한 배지중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배지를 제거한 후, 세포를 10pM 농도에 17-β에스트라디올의 존재 또는 부재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활성화된 탄소-덱스트란의 처리에 의해 제거된 5% 인간 혈청을 포함하는 DME 배지중에서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회수하고, mRNA를 실시예 2-(1)에기재된 바와 같이 추출하였다.
약 3㎍의 mRNA, 올리고-dT 프라이머, 17-β에스트라디올에 노출된 세포에 대한 Cy3-dUTP 또는 17-β에스트라디올에 노출된지 않은 세포에 대한 Cy5-dUTP(Amersham), dNTP 및 역전사 효소(Gibco-BRL)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하여 cDNA 합성 반응을 수행하였다. 혼합물을 겔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형광 라벨된 cDNA를 제조하기 위해 4xSSC/0.2% SDS에 용해시켰다.
(3)라벨된 cDNA와 DNA 어레이의 혼성화
상기 (1)에서 제조된 동일한 부피의 Cy3 라벨된 cDNA 및 Cy5 라벨된 cDNA를 함께 혼합하고 열변성시켰다. 5㎕의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 제조된 DNA 어레이상에 드랍시켰다. 커버 글라스를 혼합물상에 위치시키고 커버 글라스의 한 쪽에 필름을 실링하였다. 10시간동안 40 내지 45℃에서 인큐베이션시킨 후, 커버 글라스를 제거하였다. DNA 어레이를 30분동안 0.2 x SSC/0.1% SDS 및 30분동안 0.2 x SSC에서 세척하고, 이어서 공기 건조시켰다. 마이크로어레이 스캐너(GMS)를 사용하여 DNA 어레이상의 각 스팟의 형광 시그날을 분석하였다. 또한, 상기 (2)에서 얻은 라벨된 cDNA에 대해 유사한 과정을 수행하였다.
결과로서, DES 투여된 마우스의 난소 및 17-β 에스트라디올에 노출된 MCF-7 세포에 대하여 시그날의 중요한 변화를 관찰하였다. 따라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1)DNA 어레이 제조
33개의 유전자를 실시예 1의 표 3에 기재된 유전자로부터 선별하였다. 선별된 유전자를 표 4에 나타내었다. β-액틴 유전자 및 플라스미드 pBR322를 하우스키핑 유전자 및 음성 대조으로서 각각 사용하였다.
표 4
DNA 어레이를 제조하기 위해 이들 유전자에 대한 약 100b 내지 약 1kb의 cDNA 단편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표 4에서 지정된 각 프라이머쌍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스팟시켰다. 인간 유니진 DNA 세트(Human UniGene DNAset(Research Genetics))를 포함하는 각 유전자에 대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카텝신 G, NGF 수용체 및 CSF1 수용체에 대한 유전자를 증폭시켰다.
(2)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한 영향 조사
배양된 세포상에서 2 또는 24시간동안 다양한 내분비교란물질의 처리에 의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2시간동안 처리: 인간 유방암 MCF-7 세포를 10% 우 태아 혈청(FBS)를 포함하는 DME 배지중에서 배양하였다. 트립신화시킨 후, 2 x 106세포를 10㎝ 디쉬에 위치시켰다. 상기 세포를 활성화된 탄소-덱스트란의 처리에 의해 스테로이드성 호르몬이 제거된 5% 우 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 배지중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지을 제거한 후, 세포를 10nM 17-β에스트라디올(E2), 10nM 디에틸스틸베스트롤(DES) 또는 5μM 비스페놀-A(BisA)를 포함하는 동일한 배지중에서 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대조으로서, 그러한 화학 물질의 부재에서 배양된 세포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회수하고, 전체 RNA를 실시예 2(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추출하였다.
24시간동안 처리: 인간 유방암 MCF-7 세포를 10% 우 태아 혈청(FBS)를 포함하는 DME 배지중에서 배양하였다. 트립신화시킨 후, 2 x 106세포를 10㎝ 배양 디쉬에 위치시켰다. 상기 세포를 동일한 배지중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세포를 10nM 17-β에스트라디올(E2), 10nM 디에틸스틸베스트롤(DES) 또는5μM 비스페놀-A(BisA)의 존재에서 활성화된 탄소-덱스트란의 처리에 의해 스테로이드성 호르몬이 제거된 5% 인간 혈청을 포함하는 DME 배지중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대조으로서, 그러한 화학 물질의 부재에서 배양된 세포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회수하고, 전체 RNA를 실시예 2(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추출하였다.
(3)상기 (2)에서 제조된 전체 RNA를 DNase로 처리하였다. 약 100 내지 300μg의 전체 RNA, 10㎕의 10 x AMV 완충액(Life Science) 및 10U의 DNaseI(Takara Shuzo)을 포함하는 12㎕의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고, 10분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하고, 페놀/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고, 이어서 에탄올 침전시켰다. 생성된 전체 RNA의 농도를 그의 일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상기 (3)에서 제조된 전체 RNA중 하나를 사용하여 역전사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조성물은 하기와 같다.
반응 혼합물 A: 약 130μg의 전체 RNA, 10μg의 올리고-dT 프라이머(Takara Shuzo) 및 디에틸피로카보네이트(DEPC,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로 처리된 20㎕의 물.
반응 혼합물 B: 12㎕의 5 x AMV RTase 완충액(Life Science), 각각 0.5mM의 dATP, dCTP 및 dGTP, 0.2mM의 dTTP, 60U의 RNase 억제자(Takara Shuzo) 및 0.1mM의 Cy3-라벨된 dUTP(Amersham Pharmacia).
반응 혼합물 A를 10분동안 70℃에서 인큐베이션시키고 이어서 얼음상에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 B를 상기에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5분동안 42℃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약 60U의 AMV RTase(Life Science)를 상기에 가하였다. DEPC 처리된 물을 추가로 가하여 최종 부피 60㎕로 만들었다. 생성된 RT 반응 혼합물을 70분동안 42℃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7.5㎕의 500mM EDTA 용액 및 15㎕의 1M 수산화나트륨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동안 60℃에서 인큐베이션시켜 주형 RNA을 분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37.5㎕의 1M 트리-하이드로클로라이드(pH 7.5)를 혼합물에 가하였다. 용액을 마이크로콘 YM-30(Microcon YM-30(Millipore))을 사용하여 20㎕로 농축시키고, 1mM EDTA를 포함하는 200㎕의 10mM 트리-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상기에 가하고, 이어서 생성된 혼합물을 20㎕로 농축시켰다. 그렇게 얻은 Cy3-라벨된 cDNA 용액을 연속되는 혼성화를 위해 사용하였다.
(5)상기 (4)에서 제조된 Cy3-라벨된 cDNA를 열변성시키고, 전체 용액을 상기(1)에서 제조된 DNA 어레이상에 드롭시켰다. 커버 글라스를 스팟된 용액상에 위치시키고 커버 글라스의 한쪽을 필름으로 실링하였다. 10시간동안 40 내지 45℃에서 인큐베이션시키고, 커버 글라스를 제거하였다. DNA 어레이를 30분동안 0.2 x SSC/0.1% SDS, 30분동안 0.2 x SSC중에서 세척하고, 이어서 공기 건조시켰다. 마이크로어레이 스캐너(GMS)를 사용하여 DNA 어레이상의 각 스팟의 형광 시그날을 분석하였다. 상기 물질들 중 하나로 처리된 샘플에 대한 형광 시그날 값을 대조 샘플에 대한 형광 시그날 값으로 나누어 얻은 각각의 대표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에서, 1.00보다 대 값은 유전자 발현이 상기 물질의 처리에 의해 촉진된 것임을 나타낸다. 1.00보다 소 값은 유전자 발현이 상기 물질의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음을 나타낸다. 1.00의 값은 유전자 발현이 시험 물질의 처리에 의해 아무런 영향을 받지않았음을 나타낸다.
표 5
다수의 경우에서, 내분비교란 활성에 의한 교란으로 유발된 것으로 예측되었된 야생 동물의 비정상적인 생식 및 인간의 정자형성의 감소는 특정 단계에서 내분비 작용에 대한 시그날의 억제 또는 방해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대조 세포에서의 발현과 비교할 때, 발현이 억제된 유전자는 또한 과잉 발현된 유전자로 인식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비록 경로, 대사 등에 대해 알려지지 않았지만,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유전자중 에스트로겐의 작용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는 다수의 유전자(예: p300/CBP, ACTR, RIP 140, TIF2, PDGF 수용체 및 VEGF 수용체)의 발현이 E2의 자극에 의해 촉진되었음이 관찰되었다.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DES로 24시간동안 처리한 결과, 거의 모든 유전자를 c-Myc보다 더 활성화되었다. DES를 2시간동안 처리한 결과 N-Cor/SMRT 및 ARA 70(핵수용체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p38 감마(데이타를 나타내지 않음) 및 JNK2(키나아제 타입 신호 전달), 및 PDGF 수용체(수용체 타입 키나아제)에 대한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었음이 관찰되었다. 한편, 내분비교란활성을 갖는 것으로 예측된 BisA를 2시간동안 처리한 결과, ACTR(핵수용체 EH는 핵수용체 전자 커플링) 및 VEGF 수용체(수용체 타입 키나아제)에 대한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었다. BisA의 처리에 의한 유전자에 대한 영향은 DES의 자극에 의해 관찰된 것보다 소 것으로 생각되었다. BisA를 24시간동안 처리한 결과, JNK2 및 BMK2(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및 VEGF 수용체(수용체형 키나아제)에 대한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BisA 처리에 의한 유전자 발현이 DES의 자극에 대하여 관찰된 것과 상이한 방식으로 조절됨이 관찰되었다. 상기 기재된 바, 본 발명의 칩의 사용이 처리에 사용되는 물질 및 처리 시간의 길이에 따라 발현에 대해 상당히 다양한 시그날이 관찰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내분비교란에 영향을 받은 유전자, 특히, 발현이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성
상기 기재된 바, 본 발명의 방법은 시험관내에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다수의 유전자를 동시에, 신속하고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탁월하게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동시에, 신속하고 고감도로 검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DNA 어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앞서 공지되지 않은 신호 전달 경로에 포함된 유전자를 검출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분비교란물질 또는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물질을 유발하는 물질의 존재 또는 부재 여부를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얻은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다수의 유전자의 발현을 인덱스로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었다.
서열 목록 프리 텍스트
서열번호 1: Smad 3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 Smad 3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3: VEGF 수용체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4: VEGF 수용체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5: ACRT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6: ACTR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7: N-CoR/SMRT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8: N-CoR/SMRT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9: efp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10: efp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11: c-Myc-1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12: c-Myc-1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13: 비타민 D 수용체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14: 비타민 D 수용체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15: c-Myc-2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16: c-Myc-2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17: Bax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18: Bax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프라이머.
서열번호 19: JNK1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0: JNK1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1: p38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2: p38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3: TRIP 1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4: TRIP 1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5: ARA 70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6: ARA 70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7: 인슐린 수용체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8: 인슐린 수용체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9: PDGF 수용체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30: PDGF 수용체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31: CSF1 수용체-2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32: CSF1 수용체-2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33: FGF 수용체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34: FGF 수용체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35: p38 감마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36: p38 감마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37: Bcl-X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38: Bcl-X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프라이머.
서열번호 39: c-Myc-3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40: c-Myc-3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41: pS2 단백질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42: pS2 단백질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43: 락토페린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44: 락토페린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45: RIP 140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46: RIP 140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47: TIF2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48: TIF2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프라이머.
서열번호 49: JNK2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50: JNK2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51: Bax 델타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52: Bax 델타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53: BMK-1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54: BMK-1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55: BMK-2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56: BMK-2 3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57: Src-1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58: Src-1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프라이머.
서열번호 59: p300/CBP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60: p300/CBP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61: β-액틴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62: β-액틴 mRNA를 증폭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Claims (9)

  1. 내분비교란물질을 포함하는 샘플에 노출된 세포, 조직 또는 유기체로부터 유래된, mRNAs 또는 그의 cDNAs를 포함하는 핵산 샘플을 제조하고;
    핵산 샘플을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또는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고정화되는 DNA 어레이와 혼성화시키며;
    상기 결과를 대조 샘플을 사용하여 제조된 핵산 샘플에 대한 결과와 비교하여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선별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검출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유전자가
    (1)핵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관련 유전자;
    (2)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관련 유전자;
    (3)생식소 분화 관련 유전자;
    (4)수용체형 키나아제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5)중간섬유 표지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6)세포주기 또는 성장 조절 관련 유전자;
    (7)암유전자, 암유전자 관련 유전자 또는 종양 억제 관련 유전자;
    (8)고사 관련 유전자;
    (9)DNA의 손상 반응, 수복 또는 재조합 관련 유전자;
    (10)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11)세포 사멸 또는 분화 조절 관련 유전자;
    (12)세포의 부착, 운동 또는 침입 관련 유전자;
    (13)혈관형성 촉진 관련 유전자;
    (14)세포성 침입 관련 유전자;
    (15)세포-세포 상호작용 관련 유전자;
    (16)Rho 패밀리, GTPase 또는 그의 조절자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17)성장 인자 또는 사이토카인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사용되는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검출된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내분비교란물질의 검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내분비교란물질이
    (1)다이옥신;
    (2)유기염소 화합물;
    (3)페놀;
    (4)프탈레이트 에스테르;
    (5)방향족 탄화수소;
    (6)살충제;
    (7)오르가노틴 화합물;
    (8)에스트로겐; 또는
    (9)미렉스, 톡사펜, 알디카르브 또는 케폰으로 분류된 것으로부터 선택된 방법.
  5.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샘플에 노출된 세포, 조직 또는 유기체로부터 유래된 mRNAs 또는 그의 cDNAs를 포함하는 핵산 샘플을 제조하고;
    핵산 샘플을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또는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고정화되는 DNA 어레이와 혼성화시키며;
    상기 결과를 대조 샘플을 사용하여 제조된 핵산 샘플에 대한 결과와 비교하여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을 검출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이
    (1)다이옥신;
    (2)유기염소 화합물;
    (3)페놀;
    (4)프탈레이트 에스테르;
    (5)방향족 탄화수소;
    (6)살충제;
    (7)오르가노틴 화합물;
    (8)에스트로겐; 또는
    (9)미렉스, 톡사펜, 알디카르브 또는 케폰으로 분류된 방법.
  7.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또는 잠재적으로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고정화되는,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의 검출용 DNA 어레이.
  8. 제 7항에 있어서,
    (1)핵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또는 핵수용체 전사 커플링 관련 유전자;
    (2)키나아제형 신호 전달 관련 유전자;
    (3)생식소 분화 관련 유전자;
    (4)수용체형 키나아제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5)중간섬유 표지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6)세포주기 또는 성장 조절 관련 유전자;
    (7)암유전자, 암유전자 관련 유전자 또는 종양 억제 관련 유전자;
    (8)고사 관련 유전자;
    (9)DNA의 손상 반응, 수복 또는 재조합 관련 유전자;
    (10)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11)세포 사멸 또는 분화 조절 관련 유전자;
    (12)세포의 부착, 운동 또는 침입 관련 유전자;
    (13)혈관형성 촉진 관련 유전자;
    (14)세포성 침입 관련 유전자;
    (15)세포-세포 상호작용 관련 유전자;
    (16)Rho 패밀리, GTPase 또는 그의 조절자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
    (17)성장 인자 또는 사이토카인에 대한 유전자 또는 관련 유전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고정화되는 DNA 어레이.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이 슬라이드 글래스상에 고정화되는 DNA 어레이.
KR1020017004836A 1998-10-30 1999-10-28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검출 방법 KR20010080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0285/1998 1998-10-30
JP31028598 1998-10-30
PCT/JP1999/005964 WO2000026404A1 (en) 1998-10-30 1999-10-28 Method for detecting gene affected by endocrine disrup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216A true KR20010080216A (ko) 2001-08-22

Family

ID=1800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836A KR20010080216A (ko) 1998-10-30 1999-10-28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126035A4 (ko)
KR (1) KR20010080216A (ko)
CN (1) CN1331754A (ko)
AU (1) AU6487899A (ko)
WO (1) WO200002640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26B1 (ko) * 2006-10-18 2008-01-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양서류 여포를 이용한 환경유해물질의 검출 및 독성평가방법
KR100896934B1 (ko) * 2003-10-17 2009-05-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호르몬 검색용 cDNA 칩
KR101017060B1 (ko) * 2009-02-19 2011-02-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톡사펜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확인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8388B2 (ja) 2001-03-14 2007-12-26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プロモーター
US20040241690A1 (en) * 2001-08-03 2004-12-02 Takayuki Souka Method of evaluating biocompatibility
KR100748182B1 (ko) 2005-03-16 2007-08-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분비계 장애물질 검색용 마커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내분비계 장애물질의 검색 방법
WO2007113204A2 (en) * 2006-03-30 2007-10-11 Vib Vzw Method for detecting and classifying endocrine disruptor compounds
CN108061804B (zh) * 2016-11-09 2020-05-12 北京大学人民医院 用于诊断子宫内膜异位症的生物标志物
KR101933695B1 (ko) 2017-06-30 2018-12-2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스페놀 a 노출 진단용 바이오 마커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WO2021007101A1 (en) * 2019-07-05 2021-01-14 Medimmune, Llc Method and molecules
JP2021145635A (ja) * 2020-03-23 2021-09-27 住友化学株式会社 化学物質が有する内分泌系に影響を与える要因の判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8807A (en) * 1986-06-24 1989-01-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onoclonal antibodies and method for detecting dioxins and dibenzofurans
US5143854A (en) * 1989-06-07 1992-09-01 Affymax Technologies N.V. Large scale photolithographic solid phase synthesis of polypeptides and receptor binding screening thereof
ES2115683T3 (es) * 1991-11-15 1998-07-01 Cornell Res Foundation Inc Inmunoensayo indirecto para detectar compuestos de tipo dioxina.
WO1997013877A1 (en) * 1995-10-12 1997-04-17 Lynx Therapeutics, Inc. Measurement of gene expression profiles in toxicity determin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934B1 (ko) * 2003-10-17 2009-05-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호르몬 검색용 cDNA 칩
KR100789726B1 (ko) * 2006-10-18 2008-01-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양서류 여포를 이용한 환경유해물질의 검출 및 독성평가방법
KR101017060B1 (ko) * 2009-02-19 2011-02-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톡사펜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확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1754A (zh) 2002-01-16
WO2000026404A1 (en) 2000-05-11
AU6487899A (en) 2000-05-22
EP1126035A4 (en) 2002-09-11
EP1126035A1 (en) 2001-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k et al. Current issues for DNA microarrays: platform comparison, double linear amplification, and universal RNA reference
Perera et al. Leptin-regulated gene expression in MCF-7 breast cancer cells: mechanistic insights into leptin-regulated mammary tumor growth and progression
Kakar et al. Identification of distinct gene expression profiles associated with treatment of LβT2 cells wit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using microarray analysis
Ivins et al. Microarray analysis detects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the pharyngeal region of mice lacking Tbx1
EP1006181A2 (en) Expression monitoring of downstream genes in the BRCAl Pathway
KR20010080216A (ko) 내분비교란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전자 검출 방법
JP2007530058A5 (ko)
Kirkegaard et al.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in the rat cochlea after exposure to impulse noise
Hiyama et al.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rofiles between neuroblastomas with high telomerase activity and low telomerase activity
KR101342035B1 (ko) 신장독성 및 부작용 유발 약물 검색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이용한 신장독성 및 부작용 유발 약물 검색 방법
EP1277842B1 (en) Method for quantifying nucleic acid by cell counting
EP2585612B1 (en) Gene expression analyses for characterizing and identifying genotoxic compounds
KR20090080679A (ko) 트리클로로에틸렌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이용한 확인 방법
Mamo et al. Transcript Profiles of Some Developmentally Important Genes Detected in Bovine Oocytes and In Vitro‐produced Blastocysts Using RNA Amplification and cDNA Microarrays
EP1693452B1 (en) Method of estimating toxicity of drug
KR101194260B1 (ko) 디에틸스틸베스트롤에 의해 유도된 생식계 유전독성을 이용한 유전독성물질 검출용 키트 및 이의 검출 방법
Marsico et al. Transcriptional profiling of embryo cryotolerance
US8435734B2 (en) Cancer marker and use thereof
Shirota et al.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level of c-maf and glutathione peroxidase-3 in c-maf−/− mice kidney and c-maf overexpressed renal tubular cells
KR101138954B1 (ko) 갑상선 과산화효소 활성 저해 화학물질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확인방법
KR101131843B1 (ko) 발프론산의 최기형성 검색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검색 방법
KR100962211B1 (ko) 에틸벤젠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확인 방법
Kai et al. Altered gene expression in the subdivisions of the amygdala of Fyn-deficient mice as revealed by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and mKIAA cDNA array analysis
KR101079250B1 (ko) 카바릴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확인 방법
KR101457481B1 (ko) 탈요오드화효소 활성 저해 화학물질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확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