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6704A -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6704A
KR20010076704A KR1020000004044A KR20000004044A KR20010076704A KR 20010076704 A KR20010076704 A KR 20010076704A KR 1020000004044 A KR1020000004044 A KR 1020000004044A KR 20000004044 A KR20000004044 A KR 20000004044A KR 20010076704 A KR20010076704 A KR 20010076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user
address
data
mai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3464B1 (ko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장수영
주식회사 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영, 주식회사 루트 filed Critical 장수영
Priority to KR10-2000-000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464B1/ko
Publication of KR2001007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클라이언트 PC 사용자들이 소정의 서류나 상품 등을 다른 지역에 있는 수신자에게 빠르게 송달하기 위해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배달운송을 요청하면, 메인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운송업체를 연결하여 빠른 배달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통신망과;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의 배달운송을 요청하기 위한 각 사용자의 통신접속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접속하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와;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을 배달운송하는 배달운송 업체의 주소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로부터 배달운송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자체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배달운송 업체중 사용자 주소와 가장 근접한 배달운송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배달운송 업체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출력하며, 특정 배달운송 업체에 의한 배달운송 결과를 입력받아 클라이언트 PC 사용자에게 배달운송 결과를 알려주는 메인 서버와; 메인 서버로부터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배달운송 업체에 소속된 배달운송자 또는 해당 주소의 근접 위치에 있는 배달운송자에게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를 방문하여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을 수령한 후 특정 수신자에게 배달운송하도록 메인 서버로부터 입력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제공하며, 배달운송 결과를 메인 서버로 출력하는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달운송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해당 배달운송 업체에 직접 요청할 필요 없이 메인 서버에 배달운송을 요청하면 메인 서버에서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배달운송 업체를 자동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배달운송 서비스를 이용하기가 매우 편리하며, 각 배달운송 업체측에서도 업체홍보를 위해 소요되는 광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 {Management system for delivery service using a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 PC 사용자들이 소정의 서류나 상품 등을 다른 지역에 있는 수신자에게 빠르게 송달하기 위해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배달운송을 요청하면, 메인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운송업체를 연결하여 빠른 배달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가 폭발적으로 보급되면서 전세계의 사용자들이 시간과 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영역인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인터넷 상에 많은 기업들이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전세계의 네티즌들에게 자사를 홍보하거나 또는 자신의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즉 사용자가 컴퓨터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구동시켜 인터넷에 접속한 후 특정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입력시키면 웹 브라우저는 해당 웹사이트가 있는 서버에 접속하고, 사용자는 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또는 그래픽으로 된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전세계의 인터넷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 없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인터넷 상에서 의류, 도서, 음반 등의 각종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전자 상거래 웹사이트, 각 회원 가입자들에게 전자우편 어드레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소정의 가상 공간을 제공하여 각 개인들이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포털(portal)형 웹사이트 등 수많은 웹사이트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웹사이트들 중에서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택배(宅配) 서비스 또는 퀵(quick) 서비스 등과 같은 배달운송과 관련되어 특정 사용자가 요청한 서류나 상품을 다른 지역에 있는 수신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배달운송 업체를 관리하는 웹사이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 PC 사용자들이 소정의 서류나 상품 등을 다른 지역에 있는 수신자에게 빠르게 송달하기 위해 배달운송을 관리하는 인터넷 상의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배달운송을 요청하면, 메인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운송업체를 연결하여 빠른 배달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메인 서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방법의 흐름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4 내지 7은 도 3의 각 서브루틴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네트워크 통신망 20 : 클라이언트 PC
30 : 메인 서버 31 : 데이터 입력부
32 : 메인 제어부 33 : 데이터베이스부
34 : 통신 제어부 40 :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은, 불특정 다수간의 통신접속을 수행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과;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의 배달운송을 요청하기 위한 각 사용자의 통신접속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접속하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와;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을 배달운송하는 배달운송 업체의 주소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로부터 배달운송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자체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배달운송 업체중 사용자 주소와 가장 근접한 배달운송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배달운송 업체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출력하며, 특정 배달운송 업체에 의한 배달운송 결과를 입력받아 클라이언트 PC 사용자에게 배달운송 결과를 알려주는 메인 서버와; 메인 서버로부터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배달운송 업체에 소속된 배달운송자 또는 해당 주소의 근접 위치에 있는 배달운송자에게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를 방문하여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을 수령한 후 특정 수신자에게 배달운송하도록 메인 서버로부터 입력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제공하며, 배달운송 결과를 메인 서버로 출력하는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방법은, (1) 배달운송 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 서버에서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를 모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과; (2) 메인 서버에 접속한 복수의 클라이언트 PC 사용자의 배달운송 요청에 따라 입력되는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통해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중 어느 하나의 배달운송 업체를 선택하는 과정과; (3) 메인 서버로부터 제공된 배달운송 요청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통해 특정 배달운송 업체에서 해당 사용자와 연결하여 배달운송을 수행하는 과정과; (4) 메인 서버에서 배달운송 업체로부터 입력되는 배달운송 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 PC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망(10)은 후술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20)와 메인 서버(30) 사이의 통신접속을 수행하여 각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들의 배달운송 요청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망(10)은 메인 서버(30)와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와의 통신접속을 수행하여 메인 서버(30)에서 출력되는 각 사용자의 배달운송 요청에 따른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에서 입력받아 배달운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술한 네트워크 통신망(10)은 인터넷인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공중회선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 될 수도 있다.
복수의 클라이언트 PC(20)는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의 배달운송을 요청하기 위한 각 사용자의 통신접속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후술되는 메인 서버(30)와 접속하며, 메인 서버(30)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양식에 따라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메인 서버(30)로 출력한다.
메인 서버(30)는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을 배달운송하는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의 주소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복수의 클라이언트 PC(20)로부터 배달운송을요청하는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자체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배달운송 업체중 사용자 주소와 가장 근접한 배달운송 업체를 선정하며, 배달운송 업체의 선정이 완료되면 후술되는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출력하여 빠른 배달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술한 메인 서버(30)는 특정 배달운송 업체에 의한 배달운송 결과를 해당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로부터 입력받아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에게 배달운송 결과를 알려준다.
이때, 상술한 메인 서버(30)에서는 배달운송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가 접속을 진행할 때 입력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회원등록시 입력한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토대로 배달운송 요청을 접수할 수 있다.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는 메인 서버(30)로부터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배달운송 업체에 소속된 배달운송자 또는 해당 주소의 근접 위치에 있는 배달운송자에게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를 방문하여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을 수령한 후 특정 수신자에게 배달운송 하도록 메인 서버(30)로부터 입력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술한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는 배달운송이 종료되면 배달운송 결과를 메인 서버(30)로 제공한다.
또한, 도 2는 상술한 도 1의 메인 서버(3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부(31)는 서버 운영자에 의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들의 배달운송 요청에 따라 각 사용자와 배달운송 업체간에 이루어지는 배달운송 서비스의 중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운영프로그램과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의 주소 데이터를 입력받아 후술되는 메인 제어부(32)로 출력한다.
메인 제어부(32)는 데이터 입력부(31)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의 주소 데이터를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부(33)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접속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PC(20)로부터 배달운송을 요청하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 입력부(31)에서 입력된 운영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33)에 저장된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들중 사용자 주소와 가장 근접한 배달운송 업체를 선택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32)는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에서 가장 근접된 배달운송 업체의 운영서버(40)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후술되는 통신 제어부(34)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배달운송이 완료된 후 특정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로부터 입력되는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의 저장 및 해당 클라이언트 PC(20)로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부(33)는 메인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메인 서버(30)에 회원으로 가입된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의 주소 데이터를 저장하고, 복수의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들의 배달운송 요청에 따라 입력되는 해당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데이터를 저장하며, 배달운송 업체 운용서버(40)로부터 입력된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 제어부(34)는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PC(20)로부터 입력되는 각 사용자들의 배달운송 요청에 따른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메인 제어부(32)로 출력하고, 메인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특정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로 메인 제어부(32)에서 출력된 배달운송 요청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34)는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를 특정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로부터 입력받아 메인 제어부(32)로 출력하며, 메인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를 해당 클라이언트 PC(20)로 출력한다.
이때,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PC(2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유무선 전화기 및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로 확장하여 적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메인 서버(30)가 인터넷 상에 개설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이외에 상술한 메인 서버(30)를 음성정보를 토대로 하는 서비스로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방법의 흐름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배달운송 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 서버(30)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들이 배달운송을 요청하는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에 회원가입을 유도하여 각 배달운송 업체의 주소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10).
즉, 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 서버(30)에서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측에 회원가입을 요청하고(S11), 배달운송 업체측으로부터 회원가입 신청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며(S12), 판단 결과 배달운송 업체측으로부터 회원가입 신청이 이루어지면 해당 배달운송 업체로 소정의 데이터 양식을 제공하여 각 배달운송 업체로부터 사업장이 소재하고 있는 주소를 입력받는다(S13).
그리고 상술한 단계(S13)를 통해 각 배달운송 업체가 입력하는 주소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S14).
이처럼 메인 서버(30)에 각 배달운송 업체들의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이후, 메인 서버(30)는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들의 배달운송 요청과 함께 사용자 자신의 주소와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는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중 어느 하나의 배달운송 업체를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에 따라 선택한다(S20).
즉, 메인 서버(30)는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들의 통신접속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S21), 메인 서버(30)로 통신접속이 수행된 이후 해당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에 의해 배달운송 요청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한다(S22).
상술한 단계(S22)의 판단 결과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에 의해 배달운송 요청이 이루어지면 메인 서버(30)는 해당 클라이언트 PC(20)로 배달운송에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정보인 주소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소정의 데이터 입력양식과 함께 출력하고(S23), 해당 클라이언트 PC(20)로부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주소 및 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4).
그리고, 상술한 단계(S24)의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주소 및 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중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 데이터에 가장 근접한 배달운송 업체를 선택한다(S25).
한편, 상술한 과정(S20)의 설명과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서버(30)는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들의 통신접속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S21A), 메인 서버(30)로 통신접속이 수행된 이후 해당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에 의해 배달운송 요청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한다(S22A).
그리고 상술한 단계(S22A)의 판단 결과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에 의해 배달운송 요청이 이루어지면 메인 서버(30)는 해당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가 회원등록시 입력한 데이터중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추출하고(S23A), 추출된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중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 데이터에 가장 근접한 배달운송 업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S24A).
이와 같이, 상술한 과정(S20)을 통해 메인 서버(30)에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 데이터에 따라 특정 배달운송 업체가 선택되면, 메인 서버(30)에서는 해당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출력하며, 해당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에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를 방문하여 배달운송을 수행한다(S30).
즉, 메인 서버(30)는 상술한 과정(S20)을 통해 선택된 특정 배달운송업체 운영서버(40)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출력하며(S31), 해당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에서는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메인 서버(30)로부터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32).
판단 결과 메인 서버(30)로부터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는 사용자의 주소 데이터에 따라 배달운송자가 해당 사용자를 방문하도록 하여 특정의 수신자에게 배달운송될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을 수령하고(S33), 사용자로부터 수령한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을 모터사이클(motorcycle) 또는 자동차 등의 차량을 활용하여 특정 수신자에게 전달한다(S34).
이제, 특정 배달운송 업체에서 메인 서버(3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에 따라 배달운송이 완료되면, 메인 서버(30)는 배달운송 업체로부터 입력되는 배달운송 결과를 입력받아 해당 클라이언트 PC(20) 사용자에게 그 결과를 알려준다(S40).
즉, 특정 배달운송 업체에서의 배달운송이 완료되면,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에서는 메인 서버(30)로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를 출력한다(S41).
그리고 메인 서버(30)에서는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에서 출력된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42),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40)로부터배달운송 결과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사용자의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를 저장한다(S43).
그리고 저장된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PC(2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는 자신이 요청한 배달운송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에 따르면, 인터넷 상에 개설된 메인 서버에서 배달운송을 요청하는 사용자들과 각 배달운송 업체들 사이의 중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택배 서비스 또는 퀵 서비스 등과 같은 배달운송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해당 배달운송 업체에 직접 요청할 필요 없이 메인 서버에 배달운송을 요청하면, 메인 서버에서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배달운송 업체를 자동으로 연결해 주기 때문에 배달운송 서비스를 이용하기가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배달운송 업체측에서도 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 서버에 등록하면 배달운송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을 연결해 주기 때문에 별도의 광고비를 지출할 필요가 없어 업체홍보를 위해 소요되는 광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불특정 다수간의 통신접속을 수행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의 배달운송을 요청하기 위한 각 사용자의 통신접속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접속하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PC;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을 배달운송하는 배달운송 업체의 주소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로부터 배달운송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자체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배달운송 업체중 사용자 주소와 가장 근접한 배달운송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배달운송 업체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출력하며, 특정 배달운송 업체에 의한 배달운송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클라이언트 PC 사용자에게 배달운송 결과를 알려주는 메인 서버; 및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배달운송 업체에 소속된 배달운송자 또는 해당 주소의 근접 위치에 있는 배달운송자에게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를 방문하여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을 수령한 후 특정 수신자에게 배달운송하도록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입력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제공하며, 배달운송 결과를 상기 메인 서버로 출력하는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서버 운영자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PC 사용자들의 배달운송 요청에 따라 각 사용자와 배달운송 업체간에 이루어지는 배달운송 서비스의 중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운영프로그램과,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의 주소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의 주소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PC로부터 배달운송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 입력부에서 입력된 운영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 주소와 가장 근접한 배달운송 업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배달운송 업체의 운영서버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특정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로부터 입력되는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의 저장과 상기 클라이언트 PC로의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의 주소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PC 사용자들의 배달운송 요청에 따라 입력되는 해당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저장하며, 배달운송 업체에서 수행된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 PC로부터 입력되는 각 사용자들의 배달운송 요청에 따른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상기 메인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특정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로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출력된 배달운송 요청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출력하고,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를 특정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메인 제어부로 출력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를 해당 클라이언트 PC로 출력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배달운송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PC 사용자가 접속을 진행할 때 입력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에 따라 회원등록시 입력한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토대로 배달운송 요청을 접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
  4. (1) 배달운송 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 서버에서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를 모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
    (2) 메인 서버에 접속한 복수의 클라이언트 PC 사용자의 배달운송 요청에 따라 입력되는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통해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중 어느 하나의 배달운송 업체를 선택하는 과정;
    (3) 메인 서버로부터 제공된 배달운송 요청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통해 특정 배달운송 업체에서 해당 사용자와 연결하여 배달운송을 수행하는 과정; 및
    (4) 메인 서버에서 배달운송 업체로부터 입력되는 배달운송 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 PC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1)은,
    (1-1) 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 서버에서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측에 회원가입을 요청하는 단계;
    (1-2) 배달운송 업체측으로부터 회원가입 신청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1-3) 배달운송 업체측의 신청이 이루어지면 해당 배달운송 업체의 주소를 입력받는 단계; 및
    (1-4) 각 배달운송 업체의 주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2)은,
    (2-1) 메인 서버로 복수의 클라이언트 PC 사용자들의 통신접속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2-2) 통신접속이 이루어진 후 해당 클라이언트 PC 사용자에 의해 배달운송 요청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2-3) 사용자에 의해 배달운송 요청이 이루어지면 메인 서버에서 해당 클라이언트 PC로 배달운송에 필요한 주소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2-4) 해당 클라이언트 PC로부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주소 및 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2-5) 사용자에 의해 주소 및 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중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 데이터에 가장 근접한 배달운송 업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2)은,
    (2-1-1) 메인 서버로 복수의 클라이언트 PC 사용자들의 통신접속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2-2-1) 통신접속이 이루어진 후 해당 클라이언트 PC 사용자에 의해 배달운송 요청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2-3-1) 해당 사용자에 의해 배달운송 요청이 이루어지면 해당 사용자의 회원등록 데이터중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2-4-1) 해당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복수의 배달운송 업체중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 데이터에 가장 근접한 배달운송 업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은,
    (3-1) 메인 서버에서 선택된 특정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3-2) 해당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에서 배달운송을 요청한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메인 서버로부터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3) 사용자의 주소/전화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주소 데이터에 따라 배달운송자가 해당 사용자를 방문하여 배달운송될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을 수령하는 단계; 및
    (3-4) 사용자로부터 수령한 소정의 서류 또는 상품을 차량을 활용하여 특정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4)은,
    (4-1) 배달운송 완료 후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에서 메인 서버로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4-2)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에서 출력된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가 메인 서버로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3) 배달운송 업체 운영서버로부터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사용자의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4-4) 해당 배달운송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클라이언트 PC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방법.
KR10-2000-0004044A 2000-01-27 2000-01-27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 KR100373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044A KR100373464B1 (ko) 2000-01-27 2000-01-27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044A KR100373464B1 (ko) 2000-01-27 2000-01-27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704A true KR20010076704A (ko) 2001-08-16
KR100373464B1 KR100373464B1 (ko) 2003-02-25

Family

ID=1964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044A KR100373464B1 (ko) 2000-01-27 2000-01-27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4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661A (ko) * 2000-07-25 2002-01-31 김영관 우편번호를 이용한 지역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55949A (ko) * 2000-12-29 2002-07-10 김동암 인터넷상의 물품 주문 중개시스템
KR20030064133A (ko) * 2002-01-26 2003-07-31 (주) 지오비 홈스토어를 이용한 상품판매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35B1 (ko) 2004-11-17 2007-02-27 정현철 물류 정보 흐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755B1 (ko) * 1999-11-05 2004-12-14 김선교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주문 접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661A (ko) * 2000-07-25 2002-01-31 김영관 우편번호를 이용한 지역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55949A (ko) * 2000-12-29 2002-07-10 김동암 인터넷상의 물품 주문 중개시스템
KR20030064133A (ko) * 2002-01-26 2003-07-31 (주) 지오비 홈스토어를 이용한 상품판매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3464B1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574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 discussion relating to an item
US68892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users of different web pages
US7756903B2 (en) Configuring a search engine results page with environment-specific information
US200200593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distributing non-sensitized information summaries to users
US8918495B2 (en) Link tracking
US200201382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nic personas
US7328172B2 (en) Provision of electronic commerce services
US200900559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user cookies between network domains
US20030061114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generating interactive on-line neighborhoods
CA2602711A1 (en) Referral tracking
KR10037346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운송 관리시스템
KR20020012749A (ko) 전자상거래 실시간 지원시스템 및 그 방법
US68266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verse content distribution
US7526435B1 (en) Information offering system automating registration of advertisement information on home pages
JP2002324114A (ja) 海外渡航情報管理サーバーシステム
US20020019773A1 (en) Point managing method
JP2002183496A (ja) 買い物代行斡旋システムおよび買い物代行斡旋方法
WO2005094186A2 (ja) 電子メール自動処理プログラム、電子メール自動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電子メール自動処理システム
WO20010521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for sales using centralized ordering and decentralized shipping
US20020143712A1 (en) Process for mediating price information, system for implementing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implementing price mediating process
JP2007094465A (ja) 負荷分散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10107061A (ko) 개인 신상 정보에 관한 자동 양식 완성 시스템 및 방법
JP2002230443A (ja) ビデオ、cd等のレンタルシステム
JP3617035B2 (ja) 会員登録システム及び電子メール送信システム
JP2001243313A (ja) 通信ネットワーク上の懸賞広告を取り扱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