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5133A - Celp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Celp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133A
KR20010075133A KR1020017003363A KR20017003363A KR20010075133A KR 20010075133 A KR20010075133 A KR 20010075133A KR 1020017003363 A KR1020017003363 A KR 1020017003363A KR 20017003363 A KR20017003363 A KR 20017003363A KR 20010075133 A KR20010075133 A KR 20010075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book
signal block
encoding
signal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6362B1 (ko
Inventor
우블리덴안데르스
스베드베르그요나스
Original Assignee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04126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7513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filed Critical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Publication of KR20010075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08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excitation function; 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long-term prediction parameters
    • G10L19/12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excitation function; 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long-term prediction parameters the excitation function being a code excitation, e.g. in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CELP] vocod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2Mode decision, i.e. based on audio signal content versus external parame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2019/0001Codebooks
    • G10L2019/0004Design or structure of the codebook
    • G10L2019/0005Multi-stage vector quant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다중-코드북 고정 비트속도 CELP 신호 블록 인코더/디코더는, 각각의 신호 블록에 대해서, 신호 형태에 무관한 결정론적 선택 절차에 따라서 대응하는 코드북 식별을 선택하기 위한 코드북 선택기(22)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된 코드북을 식별하는 코드북을 이용함으로서 각각의 신호 블록을 인코딩/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된다.

Description

CELP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CELP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CELP 음성 코더는 통상적으로 합성 음성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합성 필터를 여기시키는 여기 벡터(excitation vectors)를 저장하는데 코드북(codebook)을 사용한다. 고속의 비트속도를 위해 이러한 코드북은 매우 다양한 여기 벡터를 포함하여 사운드 형태의 커다란 스펙트럼을 처리한다. 그러나, 4-7 킬로비트/초와 같이, 저속의 비트속도에서는, 코드북 인덱스에서 사용이 가능한 비트 수가 제한되는데, 이는 선택이 가능한 벡터의 수가 감소되어야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낮은 비트속도의 코더는 정확도와 수의 확보 사이에서 절충하는 코드북 구성을 갖는다. 그러한 코더는 일부 형태의 사운드에 대해서는 양호한 음질을 제공하며 다른 형태의 사운드에 대해서는 덜 바람직한 음질을 제공한다.
낮은 비트속도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다중-모드 해결방안이 제안되었다[1-5].
참고[1-2]는 동적으로 비트를 할당하는 가변 비트속도 코딩 방법에 대해서기술하는데, 여기서 엔코드되는 사운드의 형태가 인코딩을 위해서 사용되는 비트의 수를 제어한다.
참조번호[3-4]는 상이한 사운드 형태에 최적화되는 여러 동일 규격의 코드북을 사용하는, 일정한 비트속도 코딩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인코드되는 사운드 형태가 어떤 코드북이 사용되는지를 제어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코딩 방법은 모두 디코더가 정확한 디코딩 모드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인코더로 부터 디코더로 모드 정보가 전달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모드 정보는 여분의 대역폭을 필요로 한다.
참조번호[5]는 동일 규격의 코드북을 사용하는 일정한 비트속도 다중-모드 코딩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이 경우에 이전의 서브프레임의 이미 결정된 적응 코드북 이득은 하나의 코딩 모드로 부터 또 다른 코딩 모드로 스위치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파라메터가 인코더로 부터 디코더로 어떤 방식으로든 전달되므로, 더 이상의 모드 정보가 필요치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전달 채널에 의해서 야기되는 이득 요소에서 비트 에러에 민감하다.
본 발명은 다중-코드북 고정 비트속도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와 다중-코드북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기술의 CELP 인코더/디코더의 합성부에 대한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CELP 인코더/디코더의 합성부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지정되는 상이한 대수 코드북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CELP 인코더/디코더의 합성부에 대한 블록도, 및
도5는 본 발명의 CELP 인코딩/디코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의 목적은 인코더로부터 디코더로 코딩 모드 정보를 전달할 필요없이 코딩이 자유로운 인코딩/디코딩 스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라서 해결된다.
간단히, 본 발명은 여러 상이한 동일 규격의 코드북을 사용함으로써 전술된 목적을 달성한다. 각각의 코드북은 어떤 신호에 대해서는 약하지만, 다른 코드북은이러한 신호에 대해서 약하지 않다. 결정론적으로 (신호 형태에 무관하게) 음성 블록마다 이러한 코드북 사이를 스위칭시킴으로서, 코딩 질이 개선된다. 코드북이 특정 음성 블록에 선택되는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인코더 및 디코더가 모두 동일 결정론적 스위칭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다음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인코더/디코더"라는 표현은 인코더 또는 디코더를 의미하는데, 이는 본 발명이 두 경우에 동일하게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1은 종래 기술의 CELP (코드 여기 선형 예측(Code Excited Linear Predictirve)) 인코더/디코더의 합성부의 블록도이다. 코드북(10)으로 부터 선택된코드 벡터는 이득 블록(12)내의 배율 인자G에 의해서 배율화되며 장시간 예측기(14)으로 전달된 후 이어서 단시간 예측기(16)로 전달된다. 단시간 예측기(16)으로 부터의 출력 신호는 (가능성 있는 이전 처리에 앞선) 최종 합성 음성 신호(n)이다. 장시간 예측기(14)는 제어 라인(18)상에서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제어 신호는 배율 인자(이득) 및 지연(lag)을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단시간 예측기(16)는 제어 라인(20)상의 필터 계수를 표시하는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인코더는 제어 라인(18,20)상의 제어 라인과 서치 절차(분석에 이은 합성)에 의해서 최상의 코드북 벡터를 결정하며, 그에 따라서 디코더가 동일 제어 신호를 결정하며 전송 채널상에서 수신된 정보로 부터 코드북 벡터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다른 CELP 인코더/디코더의 합성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구성요소(12-20)는 도1의 종래 장치의 동일 참조 부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대응한다. 그러나, 도1에서와 같이 단지 하나의 코드북(10)을 제공하는 대신에, 본 발명의 장치는 동일 길이의 벡터를 갖는 동일하게 규격이 되어 있는 코드북(10A-D)를 제공한다. 도2에는, 4개의 코드북이 있으나, 그 셋내의 코드북 숫자는 이 숫자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셋트은 적어도 2개의 코드북을 포함해야 한다. 비트속도가 낮기 때문에, 각각의 코드북은 어느정도 위크 포인트(weak point)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이 코드북은 셋트내의 다양한 코드북이 동일하게 위크 포인트를 갖지 않도록 설계/트레인된다.
코드북을 보는 한가지 방법은 다중 차원(전형적으로 40 차원) "니들 쿠션"으로서 고려하는 것이며, 여기서 "니들"은 코드 벡터를 나타낸다. 이 모델에서 언트레인드 추계학적 코드북은 "하이퍼-구면" 니들 쿠션으로 표시되며, 여기서 코드 벡터는 모든 "방향"으로 공평하게 분배된다(코드북은 "화이트"). 전술된 트레이닝 과정은 어떤 "방향"이 다른 "방향" 보다 더 조밀하게 밀집되는 방식으로 이러한 벡터를 재분배한다. 최저로 조밀하게 밀집된 "방향"은 코드북의 위크 포인트에 대응한다. 각각의 코드북은 코드북이 공통 위크 포인트를 갖지 않도록 보장하는 방식으로 서로 다르게 트레인된다.
때로는 추계학적 코드북이 대수 코드북에 의해서 근사된다. [6] 참조. 그러한 코드북은 예를들어, 40 샘플의 길이를 갖는 코드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매우 적은 샘플 위치만이 실제로 제로가 아닌 값을 갖는다. 더욱이, 그러한 많은 대수 코드북에서 (제로가 아닌) 허용된 값은 +1 또는 -1 뿐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계되는 4개의 다양한 대수 코드북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코드북은 40 샘플의 길이를 갖으며 5ms의 음성 서브프레임에 대응한다. 각각의 코드북은 2개의 트랙 쌍, 트랙 0, 트랙 1을 갖는다. 각각의 트랙은 8개의 허용된 펄스 위치 P를 갖는다. 예를들어, 코드북 B내의 제1 트랙 상 트랙 0의 제2 트랙은 펄스 위치가 샘플 위치 3, 8, 13, 23, 28, 33, 38 이 되도록 허용한다. 도3에서 알 수 있드시, 코드북내의 다른 트랙은 다른 허용된 펄스 위치를 갖는다. 더욱이, 하나의 코드북으로 부터의 어떤 트랙은 다른 코드북에서도 발견될 수 있지만, 또 다른 트랙에서 발견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각각의 코드북은 샘플 위치를 제외하였으며, 이는 도3에서 지워졌다. 이것들은 코드북의 "위크 포인트"이다. 이 코드북 구성은 다음 테이블에 요약된다.
코드북 구성
코드북 트랙 트랙 쌍 0 트랙쌍 1 제외된 위치
A 0 0 5 10 15 20 25 30 35 1 6 11 16 21 26 31 36 4 9 14 24 29 34 39
1 27 12 17 22 32 37 3 8 13 18 23 28 33 38
B 0 0 5 10 15 20 25 30 35 2 7 12 17 22 27 32 37 16 11 16 21 26 31 36
1 3 8 13 18 23 28 33 38 4 9 14 19 24 29 34 39
C 0 0 5 10 15 20 25 30 35 1 6 11 16 21 26 21 36 3 8 13 18 23 28 33 38
1 2 7 12 17 22 27 32 37 4 9 14 19 24 29 34 39
D 0 0 5 10 15 20 25 30 35 1 6 11 16 21 26 31 36 2 7 12 17 22 27 32 37
1 3 8 13 18 23 28 33 38 4 9 14 19 24 29 34 39
이러한 코드북중 하나가 검색될 때, 1개의 펄스가 트랙 0 의 허용된 위치중 하나에 배치되며, 1개의 펄스는 트랙 쌍의 트랙1의 허용된 위치중 하나에 배치된다. 이러한 펄스 조합은 가능성있는 코드 벡터 그룹으로서 사용된다. 이 그룹은 4개의 가능성있는 코드 벡터를 포함하는데, 이른바 1 벡터는 2개의 정의 펄스를, 1 벡터는 2개의 부의 펄스를, 2 벡터는 1개의 정의 펄스와 1개의 부의 펄스를 갖는다. 트랙 쌍에서 2 트랙 각각에서 펄스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서 그와같은 또 다른 코드 벡터 그룹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동일 원칙이 트랙 쌍 1에도 적용된다. 각각의 가능성있는 조합을 검사함으로서, 최상의 벡터가 선택된다. 이러한 코드 벡터는 그 대응하는 트랙 쌍에 의해서 정의되며, 2 펄스가 이러한 쌍의 트랙에 배치되며, 그 펄스는 부호(sign)를 달고 있다. 이것은 트랙 쌍을 규정하기 위한 1 비트, 이 트랙 쌍에서 펄스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2·3=6 비트(하나의 트랙에 8 위치가 있으며, 이는 3 비트를 필요로 한다), 각각의 펄스의 부호를 규정하기 위한 2 비트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총 9 비트가 코드 벡터를 정의한다.
도2로 돌아가서, 코드북 선택기(22)는 신호 블록을 인코딩/디코딩하기 위한셋트에서 코드북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예를들면, 음성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전형적으로 하나의 블록은 5-10ms의 길이를 갖는다)을 선택한다. 이것은 제어 라인(24)상에서 제어 신호로 스위치(23)를 제어함으로서 수행된다. 스위치(23)는 신호 형태에 무관한 결정론적 선택 절차에 따라서 제어된다. 여기서 "결정론적"이라는 것은 코드북 선택기(22)가 각각의 신호 블록을 인코딩/디코딩하기 위해 상기 셋트로 부터 코드북을 선택하지만, 신호 형태에 대해서 알지 못하고 이를 수행하며, 선택 알고리즘은 인코더 및 디코더에 대해서 모두 동일하며 인코더로 부터 디코더로 전달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인코더는 전술된 음성 절차에 따라 선택된 코드북으로 부터 최상의 벡터를 결정하며, 그에 따라서 디코더는 수신된 "인덱스"(코드 벡터 식별자)를 이용하여 동일 코드북내의 대응하는 벡터를 선택한다.
코드북 10A-D는 모두 동일 비트속도를 갖으며, 그중 가장 위크 성능 포인트는 공유되지 않는다. 신호 블록들 간에 코드북 사이를 결정론적으로 연결시킴으로서, 각 코드북의 결함이 시간이 지날수록 보상된다. 인코드되고 이어서 디코드된 오디오 신호의 평균 인식 사운드 질은 신호 형태가 스위칭 알고리즘에서 무시된다할지라도 결국은 증가된다. 이것은 하나의 단일 코드북으로 부터 결과로서 나타나는 왜곡이 모든 서브프레임 또는 블록에서 반복되지 않음을 유의함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그 대신에 변동하는 왜곡은 평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낮은 비트 속도 (다중) 코드북으로 부터의 왜곡은 덜 곤란스럽게 인식되는데, 이는 연속적으로 반복되지 않기 때문이다.
선택 알고리즘의 일 실시예는 각각의 코드북 10A-D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주기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인코더 및 디코더는 코드북의 수는 인코더내의 프레임 및 코드북 카운터내의 서브프레임의 수에 대응하며 디코더는 매 프레임마다 리셋트된다. 그렇지 않으면 동기화는 모듈로 n 카운터를 리셋팅함으로서 수행되며, 여기서 n은 호출-설정 및 핸드오버의 인코더 및 디코더에서, 코드북의 수이다.
또 다른 선택 알고리즘은 셋트로 부터 코드북을 선택하기 위한 의사-랜덤 순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의사-랜덤 순서를 발생하는 알고리즘의 속도는 인코더 및 디코더에 모두 알려진다. 인코더 및 디코더 사이의 동기화는 예를들어, 코드북 검색에 앞서서 결정 및 분석되는 송신 및 수신된 프레임 파라메터에 기초한 의사 랜덤 순서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CELP 인코더/디코더의 합성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는 도2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이 경우에 여러 코드북 셋트 26A-C가 있다. 각각의 셋트는 도2에서와 같이 동일 위크 포인트를 공유하지 않는 코드북을 포함하지만, 각각의 셋트는 서로 다른 환경, 예를들면 배경 사운드의 다양한 신호 형태 또는 레벨을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다. 각각의 셋트의 설계는 참고 [5]에 기술된 원칙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도4는 3 셋트의 코드북을 예시하지만, 2 이나 3 이상도 가능할 수 있다.
도2에서, 코드북은 이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23A-C 및 제어 라인24A-C 상에서 각각의 신호 블록에 대해서 결정론적으로 선택된다. 그러나, 코드북이 한 셋트로 부터 선택되지 전에, 셋트 선택기(28)는 스위치(29) 및 제어 라인(30)에서 어떤 셋트가 사용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셋트 설정기(28)의 선택은 라인(18, 20) 및 이득구성 요소(12)내의 다른 미리 결정된 파라메터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해 있다. 이 정보는 예를들어, LPC(선형 예측 코딩) 또는 LTP(장시간 예측기) 파라메터로 부터 또는 LPC 및 LTP 파라메터의 조합으로 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LTP 파라메터의 검출된 정지성(stationarity)은 신호 형태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셋트 선택에 사용되는 파라메터가 인코더로 부터 디코더로 어떤 방식으로든 전달된다는 사실로 인해서, 셋트 선택 정보를 전달하는데 대역폭이 손실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셋트 검출을 위해서 채널 보호 파라메터만이 사용된다. 더욱이, 도4의 인코더/디코더의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사용하기 위해서 설정되는 코드북을 결정하기 위해서 에러를 검출하는 채널 보호 파라메터의 일부만을 사용한다. 예를들어, GSM 시스템에서 LTP 파라메터의 9 래그 비트중 6 과 4 이득 비트중 3에는 에러 검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비트속도는 정지성을 검사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코드북 셋트를 결정한다.
셋트 선택이 코드북 선택을 앞서가므로, 도4의 실시예는 각각의 셋트 26A-C에서 코드북이 다양한 수가 되도록 허용한다. 이것은 각각의 스위치23A-C에 대해서 분리된 제어 라인을 필요로 하며 각각의 셋트에 대해서 코드북 선택기(22)에서 분리된 스위칭 알고리즘을 필요로 한다. 모든 셋트가 동일 수의 코드북을 갖으면, 모든 스위치에 대한 공통 제어 라인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실시예는 (인과관계를 고려한다면) 셋트 및 코드북 선택을 역으로 할 가능성을 허용한다.
전형적으로 셋트 및 코드북 선택기(22,28)의 기능성이 하나 또는 여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신호 프로세서 조합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CELP 인코딩/디코딩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단계 S1에서 다음 블록을 선택하여 인코드/디코드되게 함으로서 스타트한다. 단계 S2에서는 결정론적 선택 알고리즘에 따라 코드북 번호를 선택한다. 단계 S3에서는 선택된 코드북으로 부터 최상의 벡터를 선택/검색한다. 그 후 이 절차는 단계 S1으로 루프된다. 도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여러 코드북 셋트가 사용되면, 적당한 코드북 셋트를 결정하는 여분의 단계 S4(도5에서 점선으로 도시됨)가 있다. 이 단계 S4는 단계 S2에 앞서거나 뒤 따를 수 있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참고
[1] 1988년 12월, Proc. GLOBCOM, 제290-294면, M.Yong and A.Gersho의 "Vector Excitation Coding with Dynamic Bit Allocation"
[2] 1989년 5월, Proc.ICASSP, 제66-68면, N.S.Jayant and J.H.Chen의 "Speech Coding with Time-Varying Bit Allocaiton to Excitation and LPC Parameters"
[3] 1989년 5월 Proc. ICASSP, 제156-159면, T.Taniguchi 등의 "Multimode Coding: Application to CELP"
[4] 1990년 Proc.ICASSP, 제29-32면, M.Akamine and K.Miseki의 "CELP Coding with an Adaptive Density Pulse Exciation Model"
[5] 1998년, Proc.ICASSP. 제153-156면, K.Ozawa and M.Serizawa의 "High Quality Multi-Pulse Based CELP Speech Coding at 6.4 kb/s and its Subjective Evaluation"
[6] 1987sus Proc.ICASSP, 제1957-1960면, J-P Adoul 등의 "Fast CELP Coding Based on Algebrraic Codes"

Claims (25)

  1. 다중-코드북 고정 비트속도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 블록에 대해서, 신호 형태에 무관한 결정론적 선택 절차에 따라서 대응하는 코드북 식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코드북을 식별하는 코드북을 이용함으로서 각각의 신호 블록을 인코딩/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여러 셋트의 코드북을 제공하는 단계;
    각각의 신호 블록에 대해서, 다른 신호 블록 특징 파라메터중 미리 결정된 값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셋트의 코드북을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신호 블록에 대해서, 신호 형태에 무관한 결정론적 선택 절차에 따라서 결정된 셋트에서 대응하는 코드북 식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코드북을 식별하는 상기 결정된 셋트로 부터 코드북을 사용함으로서 각각의 신호 블록을 인코딩/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 블록에 대해서, 신호 형태에 무관한 결정론적 선택 절차에 따라서 대응하는 코드북 식별을 선택하는 단계;
    여러 셋트의 코드북을 제공하는 단계;
    각각의 신호 블록에 대해서, 다른 신호 블록 특징 파라메터중 미리 결정된 값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셋트의 코드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코드북을 식별하는 상기 결정된 셋트로 부터 코드북을 사용함으로서 각각의 신호 블록을 인코딩/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파라메터는 채널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에러 검출을 허용하는 상기 채널이 보호되는 파라메터중 일부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 방법.
  6. 전술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론적 선택 절차는 상기 셋트의 코드북중 각각의 코드북 식별을 주기적으로 옮겨감으로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 방법.
  7. 제1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론적 선택 절차는 상기 셋트의 코드북중 각각의 코드북 식별을 무작위로 옮겨감으로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 방법.
  8. 전술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은 고정된 코드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은 대수 코드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 방법.
  10. 전술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블록은 오디오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 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블록은 오디도 서브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인코딩/디코딩 방법.
  12. 다중-코드북 고정 비트속도 CELP 신호 블록 인코더/디코더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 블록에 대해서, 신호 형태에 무관한 결정론적 선택 절차에 따라서 대응하는 코드북 식별을 선택하기 위한 코드북 선택기(22); 및
    선택된 코드북을 식별하는 코드북을 이용함으로서 각각의 신호 블록을 인코딩/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더/디코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여러 셋트의 코드북(26A-C);
    각각의 신호 블록에 대해서, 다른 신호 블록 특징 파라메터중 미리 결정된 값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코드북 셋트를 결정하기 위한 셋트 선택기(28);
    신호 형태에 무관한 결정론적 선택 절차에 따라서 결정되는 셋트에서 대응하는 코드북 식별을 선택하기 위한 코드북 선택기(22); 및
    상기 선택된 코드북을 식별하는 상기 결정된 셋트로 부터 코드북을 이용함으로서 각각의 신호 블록을 인코딩/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더/디코더.
  14.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 블록에 대해서, 신호 형태에 무관한 결정론적 선택 절차에 따라서 대응하는 코드북 식별을 선택하기 위한 코드북 선택기(22);
    여러 셋트의 코드북(26A-C);
    각각의 신호 블록에 대해서, 다른 신호 블록 특징 파라메터중 이전에 결정된 값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코드북 셋트를 결정하기 위한 셋트 선택기(28); 및
    상기 선택된 코드북을 식별하는 상기 결정된 셋트로 부터 코드북을 이용함으로서 각각의 신호 블록을 인코딩/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더/디코더.
  15. 제12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 선택기(22)는 상기 코드북 셋트에서 각각의 코드북 식별을 주기적으로 옮겨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더/디코더.
  16. 제12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 선택기(22)는 상기 코드북 셋트에서 각각의 코드북 식별을 무작위로 옮겨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더/디코더.
  17. 제12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10A-D)은 고정된 코드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인코더/디코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10A-D)은 대수 코드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더/디코더.
  19. 다중-코드북 고정 비트속도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코드북 선택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 블록에 대해서, 신호 형태에 무관한 결정론적 선택 절차에 따라서 대응하는 코드북 식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코드북 선택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론적 선택 절차는 코드북 셋트에서 각각의 코드북 식별을 주기적으로 옮겨감으로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코드북 선택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론적 선택 절차는 코드북 셋트에서 각각의 코드북 식별을 무작위로 옮겨감으로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을 위한코드북 선택 방법.
  22. 다중-코드북 고정 비트속도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코드북 선택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 블록에 대해서, 신호 형태에 무관한 결정론적 선택 절차에 따라서 대응하는 코드북 식별을 선택하기 위한 코드북 선택기(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코드북 선택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 선택기(22)는 코드북 셋트에서 각각의 코드북 식별을 주기적으로 옮겨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코드북 선택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 선택기(22)는 코드북 셋트에서 각각의 코드북 식별을 무작위로 옮겨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LP 신호 블록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코드북 선택 장치.
  25. 대수적 다중-코드북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코드북은 상이하게 미리결정된 허용 펄스 위치 및 제외된 펄스 위치를 갖춘 분리된 트랙을 갖으며;
    각각의 코드북은 상이하게 제외된 펄스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적 다중-코드북 구성.
KR10-2001-7003363A 1998-09-16 1999-08-24 Celp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0416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3164-4 1998-09-16
SE9803164A SE521225C2 (sv) 1998-09-16 1998-09-16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CELP-kodning/avkod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133A true KR20010075133A (ko) 2001-08-09
KR100416362B1 KR100416362B1 (ko) 2004-01-31

Family

ID=2041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363A KR100416362B1 (ko) 1998-09-16 1999-08-24 Celp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7146311B1 (ko)
EP (1) EP1114413B1 (ko)
JP (1) JP4651195B2 (ko)
KR (1) KR100416362B1 (ko)
CN (1) CN1143270C (ko)
AR (1) AR020466A1 (ko)
AU (1) AU756483B2 (ko)
BR (1) BRPI9913756B8 (ko)
CA (1) CA2343191C (ko)
DE (1) DE69929069T2 (ko)
MY (1) MY121083A (ko)
SE (1) SE521225C2 (ko)
TW (1) TW516275B (ko)
WO (1) WO2000016314A2 (ko)
ZA (1) ZA20010186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316B1 (ko) * 2002-11-18 2005-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부호화기 및 이를 이용한 음성 부호화 방법
KR100795727B1 (ko) * 2005-12-08 2008-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elp기반의 음성 코더에서 고정 코드북 검색 장치 및방법
RU2772356C2 (ru) * 2010-01-19 2022-05-19 Долби Интернешнл Аб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гармоническое преобразование на основе блока поддиапазонов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725500A (en) * 1999-08-23 2001-03-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oice encoder and voice encoding method
JP3900000B2 (ja) 2002-05-07 2007-03-28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方法及び装置、復号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FR2867649A1 (fr) * 2003-12-10 2005-09-16 France Telecom Procede de codage multiple optimise
JP5174651B2 (ja) * 2005-03-09 2013-04-0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低演算量符号励振線形予測符号化
US8031583B2 (en) 2005-03-30 2011-10-04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ound trip latency and overhead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8712766B2 (en) * 2006-05-16 2014-04-2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coding an information signal using closed loop adaptive bit allocation
CA2671068C (en) * 2006-11-29 2015-06-30 Loquendo S.P.A. Multicodebook source-dependent coding and decoding
KR101398836B1 (ko) * 2007-08-02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치 코덱들의 고정 코드북들을 공통 모듈로 구현하는방법 및 장치
JP2011518345A (ja) * 2008-03-14 2011-06-23 ドルビー・ラボラトリーズ・ライセンシング・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ピーチライク信号及びノンスピーチライク信号のマルチモードコーディング
KR101520685B1 (ko) * 2008-07-04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코드북을 이용하는 다중 셀 환경에서의 셀 간 간섭 제거 방법
US20120008687A1 (en) * 2010-07-06 2012-01-12 Apple Inc. Video coding using vector quantized deblocking filters
US9628821B2 (en) 2010-10-01 2017-04-18 Apple Inc. Motion compensation using decoder-defined vector quantized interpolation filters
CA2929800C (en) * 2010-12-29 2017-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decoding for high-frequency bandwidth extension
AU2012217158B2 (en) 2011-02-14 2014-02-2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Information signal representation using lapped transform
PL2676268T3 (pl) 2011-02-14 2015-05-29 Fraunhofer Ges Forschung Urządzenie i sposób przetwarzania zdekodowanego sygnału audio w domenie widmowej
ES2535609T3 (es) 2011-02-14 2015-05-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Codificador de audio con estimación de ruido de fondo durante fases activas
CN103493129B (zh) 2011-02-14 2016-08-10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用于使用瞬态检测及质量结果将音频信号的部分编码的装置与方法
PT2676267T (pt) * 2011-02-14 2017-09-26 Fraunhofer Ges Forschung Codificação e descodificação de posições de pulso de faixas de um sinal de áudio
BR112013020324B8 (pt) 2011-02-14 2022-02-08 Fraunhofer Ges Forschung Aparelho e método para supressão de erro em fala unificada de baixo atraso e codificação de áudio
PL2676266T3 (pl) 2011-02-14 2015-08-31 Fraunhofer Ges Forschung Układ kodowania na bazie predykcji liniowej wykorzystujący kształtowanie szumu w dziedzinie widmowej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500843A (nl) * 1985-03-22 1986-10-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uls-excitatie lineair-predictieve spraakcoder.
JPH02250100A (ja) * 1989-03-24 1990-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音声符合化装置
JPH0365822A (ja) * 1989-08-04 1991-03-20 Fujitsu Ltd ベクトル量子化符号器及びベクトル量子化復号器
US5754976A (en) * 1990-02-23 1998-05-19 Universite De Sherbrooke Algebraic codebook with signal-selected pulse amplitude/position combinations for fast coding of speech
JP2796408B2 (ja) * 1990-06-18 1998-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音声情報圧縮装置
JP3151874B2 (ja) * 1991-02-26 2001-04-03 日本電気株式会社 音声パラメータ符号化方式および装置
JPH04333900A (ja) * 1991-05-10 1992-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符号化装置
US5371853A (en) * 1991-10-28 1994-12-06 University Of Maryland At College Park Method and system for CELP speech coding and codebook for use therewith
JPH05265496A (ja) * 1992-03-18 1993-10-15 Hitachi Ltd 複数のコードブックを有する音声符号化方法
US5717824A (en) * 1992-08-07 1998-02-10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Adaptive speech coder having code excited linear predictor with multiple codebook searches
DE4335305A1 (de) * 1993-10-16 1995-04-20 Philips Patentverwaltun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Übertragung von Sprachsignalen
JPH07202820A (ja) 1993-12-28 1995-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ットレート制御システム
JP3020819B2 (ja) * 1994-10-20 2000-03-1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JPH08179796A (ja) * 1994-12-21 1996-07-12 Sony Corp 音声符号化方法
FR2729245B1 (fr) * 1995-01-06 1997-04-11 Lamblin Claude Procede de codage de parole a prediction lineaire et excitation par codes algebriques
SE506379C3 (sv) * 1995-03-22 1998-01-19 Ericsson Telefon Ab L M Lpc-talkodare med kombinerad excitation
TW321810B (ko) 1995-10-26 1997-12-01 Sony Co Ltd
KR0176788B1 (ko) * 1995-12-27 1999-04-01 구자홍 음성인식의 자동모델 결정방법
US5778335A (en) * 1996-02-26 1998-07-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multiband celp wideband speech and music coding and decoding
JPH1020889A (ja) * 1996-07-01 1998-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符号化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H1020891A (ja) * 1996-07-09 1998-01-23 Sony Corp 音声符号化方法及び装置
US6055496A (en) * 1997-03-19 2000-04-25 Nokia Mobile Phones, Ltd. Vector quantization in celp speech coder
TW408298B (en) * 1997-08-28 2000-10-11 Texas Instruments Inc Improved method for switched-predictive quantization
KR19990061297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자동차의 음성명령 인식방법 및 음성명령 인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316B1 (ko) * 2002-11-18 2005-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부호화기 및 이를 이용한 음성 부호화 방법
KR100795727B1 (ko) * 2005-12-08 2008-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elp기반의 음성 코더에서 고정 코드북 검색 장치 및방법
RU2772356C2 (ru) * 2010-01-19 2022-05-19 Долби Интернешнл Аб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гармоническое преобразование на основе блока поддиапазоно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1083A (en) 2005-12-30
SE9803164L (sv) 2000-03-17
CN1318189A (zh) 2001-10-17
CN1143270C (zh) 2004-03-24
CA2343191A1 (en) 2000-03-23
JP2002525666A (ja) 2002-08-13
DE69929069T2 (de) 2006-07-20
BRPI9913756B8 (pt) 2016-08-02
US7194408B2 (en) 2007-03-20
EP1114413A2 (en) 2001-07-11
BR9913756A (pt) 2001-06-05
KR100416362B1 (ko) 2004-01-31
TW516275B (en) 2003-01-01
AU6375699A (en) 2000-04-03
US20050096901A1 (en) 2005-05-05
BRPI9913756B1 (pt) 2016-07-05
ZA200101866B (en) 2001-09-11
AU756483B2 (en) 2003-01-16
SE9803164D0 (sv) 1998-09-16
EP1114413B1 (en) 2005-12-21
SE521225C2 (sv) 2003-10-14
AR020466A1 (es) 2002-05-15
DE69929069D1 (de) 2006-01-26
JP4651195B2 (ja) 2011-03-16
CA2343191C (en) 2009-10-27
WO2000016314A3 (en) 2000-06-08
WO2000016314A2 (en) 2000-03-23
US7146311B1 (en)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362B1 (ko) Celp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9852740B2 (en) Method for speech coding, method for speech decoding and their apparatuses
KR20010024935A (ko) 음성 코딩
CN1303508A (zh) 语音编码的方法和装置
MXPA01002654A (en) Celp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JPH07271397A (ja) 音声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