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5065A -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065A
KR20010075065A KR1020017003210A KR20017003210A KR20010075065A KR 20010075065 A KR20010075065 A KR 20010075065A KR 1020017003210 A KR1020017003210 A KR 1020017003210A KR 20017003210 A KR20017003210 A KR 20017003210A KR 20010075065 A KR20010075065 A KR 20010075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pulp
wires
wire
dewatering
pulp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사 주우티넨
조우코 하우탈라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메트소 페이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메트소 페이퍼 인크.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7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06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1/00Methods of beating or refining; Beaters of the Hollander type
    • D21D1/20Methods of refining
    • D21D1/40Washing the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9/00After-treatment of cellulose pulp, e.g. of wood pulp, or cotton linters ; Treatment of dilute or dewatered pulp or process improvement taking place after obtaining the raw cellulosic material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D21C9/02Washing ; Displacing cooking or pulp-treating liquors contained in the pulp by fluids, e.g. wash water or other pulp-treating agents
    • D21C9/06Washing ; Displacing cooking or pulp-treating liquors contained in the pulp by fluids, e.g. wash water or other pulp-treating agents in filters ; Washing of concentrated pulp, e.g. pulp mats, on filtering surfac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66Pulp catching, de-watering, or recovering; Re-use of pulp-water
    • D21F1/80Pulp catching, de-watering, or recovering; Re-use of pulp-water using endless screening bel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per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 및 물과 함께 회분 혹은 다른 입자 형태의 불순물을 섬유 펄프 혼합물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방법에 있어서, 세척되는 섬유 펄프가 두 와이어 사이로 공급되고, 물과 회분을 섬유 펄프로부터 상기 두 와이어를 통해 제거하며, 그 후 상기 두 와이어 및 이들 와이어 사이의 섬유 펄프를 만곡형 표면을 따라 유도하여, 상기 두 와이어의 압력과 원심력에 의해 과잉의 물을 제거하게 한다.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장치는 두 와이어(1,2) 및 이들 와이어(1,2) 사이에 탈수부를 구비하며, 물과 불순물을 상기 탈수부(3)에서 상기 두 와이어(1,2)를 통해 제거한다.

Description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FIBRE PULP MIXTURE}
상기와 유사한 장치는 예를 들면, 1998년 6월 15일로부터 19일까지 태피 컨퍼런스(Tappi Conference)에서 발표되었으며, 상기 컨퍼런스에서 행해진 발표에 따라, 두 개의 와이어 형태의 장치에 의해서만 양호한 세척 결과가 달성되었다. 하나의 장치는 와이어를 주행하는 별도의 직경이 큰 두 롤러를 포함한다. 이 해결책에있어서, 세척되는 섬유 물질은 상기 롤러 및 와이어 사이의 틈새로 공급된다. 또 다른 장치는 관련 장치의 단 하나의 직경이 큰 롤러 및 별도의 와이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해결책에 있어서, 섬유 물질은 상기 직경이 큰 롤러 및 와이어부 사이의 틈새로 공급된다. 두 장치에 있어서, 대부분의 물은 하나의 와이어를 통해 제거된다.
두 장치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장치의 폭 길이 당 섬유 물질의 세척 용량이 작다는 것이다. 두 장치에 있어서의 또 다른 문제점은 와이어의 불충분한 내구성인데, 왜냐하면 두 해결책에 있어서, 와이어의 가느다란 측부가 상기 롤러와 마주하여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와이어를 교체하는 것 외에는 다른 어떤 수단에 의해서도 탈수 레벨이나 그에 따른 세척 작업 동안 가느다란 와이어의 손실 양을 실질적으로 조정하는데 대한 어떤 해결책도 제공하지 못한다. 두 장치에 있어서의 또 다른 문제점은 장치를 빠져나가는 세척된 섬유 물질의 건조 재료 함량(dry stuff content)이 비교적 낮으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또 다른 가공 처리에 앞서 별도의 농축 작업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두 장치에 있어서의 또 다른 문제점은 에너지 소모 및 와이어의 내구성에 대해 불리할 수 있는 높은 속도의 와이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탈수부 안으로 섬유 펄프가 공급되고, 물 및 물과 함께 회분 및/또는 다른 불순물이 탈수부 내의 섬유 펄프와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되는 와이어를 통해 제거되는 섬유 펄프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에 의해 획정되는 탈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부의 일단부로 섬유 펄프 혼합물이 제공되고, 그에 상응하게 이 섬유 펄프 혼합물이 타단부에서 제거되며, 물은 섬유 펄프 혼합물로부터 탈수부 내의 와이어를 통해 제거되는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생 섬유와 같은 섬유 펄프는 가공 처리되면서 세척된다. 섬유 펄프가 세척될 때, 물은 물과 함께 회분과 같은 입자 형태의 물질을 제거하도록 섬유 펄프로부터 제거되는 반면에, 유용한 섬유는 섬유 펄프 안에 유지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장치의 탈수부의 출구 개구부 뒤의 소정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및 상기 구조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실행되는 섬유 펄프의 섬유 분포에 대한 세척 작업의 효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 펄프로부터 불순물을 단순히 그리고 효과적으로 세척하는 동시에, 또 다른 가공 처리에 충분한 레벨로 섬유 펄프를 일관성 있게 세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두 와이어 사이에 형성되는 탈수부 안으로 섬유 펄프가 공급되며, 상기 두 와이어는 탈수부가 공급 단부로부터 출구 단부로 수렴하는 방식으로 주행하게 배치되며, 물과 불순물이 탈수부 내에서 두 와이어를 통해 제거되며, 그리고 상기 탈수부의 뒤에서, 와이어 및 이들 와이어 사이의 섬유 펄프가 상기 와이어의 긴장에 의해 야기되는 압력 및 곡선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과잉의 물을 상기 섬유 펄프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곡면을 따라 주행하게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구비되고, 이들 와이어의 사이에는 탈수부가 형성되며, 물과 불순물이 상기 두 와이어를 통해 제거되며, 탈수부가 섬유 펄프 혼합물이 공급되는 일단부로부터 탈수부의 출구 단부를 향해 수렴하도록 상기 와이어가 주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장치는 탈수부의 뒤에 위치하는 곡면을 포함하고, 이 곡면을 따라 상기 두 와이어 및 이들 와이어 사이의 섬유 펄프 혼합물이 선회되게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긴장에 의해 야기되는 압력 및 곡선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과잉의 물을 섬유 펄프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본질적인 사상은 두 와이어의 사이에 섬유 펄프가 공급되며, 이로써 탈수 작용을 하고, 그에 따라서 탈수부의 양방향에서 또한 세척 작용을 일으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본질적인 사상은 와이어 사이의 탈수부 외측으로 나오는 섬유 펄프가 두 와이어에 의해 함께 유도되어, 곡면 바람직하게는 회전 롤러를 따라 주행하게 하며, 이로써 과잉의 물이 와이어의 긴장에 의해 야기되는 압력및 곡선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섬유 펄프는 와이어 사이에서 탈수 챔버가 수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와이어가 주행하는 폐쇄된 탈수 챔버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는 탈수부로 공급되기 전의 섬유 펄프에 난류가 발생되며, 그에 따라서 탈수 및 그에 따른 세척은 와이어의 상부에 섬유를 적층시킴이 없이 탈수부의 길이를 따라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그리고 가능한 한 멀리 실행되는 사상에 기초를 두고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의 본질적인 사상은 탈수 영역의 시작부에서의 탈수는 섬유 펄프의 유동율이 탈수부의 시작부에서의 와이어의 운동 속도와 다르도록 하는 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탈수부 안으로 공급되기 전의 섬유 펄프에 발생되는 난류는 가능한 한 오랫동안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본질적인 사상은 탈수부의 단면 윤곽이 후단부에서 보다는 전단부에서 더 가파르게 감소하도록 탈수부를 내측부를 향해 굽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방식으로 매우 효과적으로 탈수를 달성하는 이점을 제공하며, 이는 회전 롤러에 의해 실행되는 탈수 작용과 결합하여 또 다른 가공 처리를 위해 세척된 섬유 물질이 바람직하게 충분히 높은 건조 재료 함량을 갖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섬유 펄프를 세척할 경우, 회분 혹은 다른 입자 형태의 물질은 물과 함께 섬유 펄프로부터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반면에, 바람직한 길이의 섬유는 섬유 펄프 혼합물 내에 유효하게 남아 있게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추가의 프레스 또는 이에 상응하는 기계 장치 없이도 세척작업 후에 충분히 높게 농축된 섬유 펄프를 얻게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탈수 및 그 후의 세척 결과는 탈수 챔버의 영역 내의 제어 밸브 또는 다른 제어 요소에 의해 실질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세척 결과와 미세 입자의 분리를 향상시킨다.
강력한 세척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운동방향의 섬유 펄프 혼합물의 길이 당 더 많은 물이 탈수 영역의 후방 단부에서 보다는 전방 단부에서 제거되도록 탈수력은 조정된다. 그에 따라서, 조심스러운 세척/미세 입자 분리 세척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운동방향의 섬유 펄프 혼합물의 길이 당 동일량의 물 또는 이 보다 적은 양의 물이 탈수 영역의 후방 단부에서 보다는 전방 단부에서 제거되도록 탈수력은 조정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탈수부의 뒤에 위치하는 곡면, 예를 들면 회전 롤러에 의해 추가적인 탈수 작용을 또한 행할 수 있다. 현행의 탈수부의 뒤에는 에지 밀봉이 필요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탈수부의 출구 단부에서 섬유 펄프 혼합물의 건조 재료 함량이 이미 효과적으로 높아지도록 상기 탈수부의 출구 단부의 틈새가 조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현행의 추가적인 탈수 작용은 와이어의 긴장 및 곡면에 대한 원심력에 기초를 두고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다른 상응하는 장치와 비교할 때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탈수 및 세척은 양방향에서 발생하며, 이는 전술된 장치의 작업 폭과 비교할 때 탈수 및 세척 용량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상기 장치는 또한 별도의 난류 요소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 의해, 탈수부 내의 섬유 펄프 혼합물의 유동율은 와이어의 속도에 대해 안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두 인자는 와이어의 표면 상에 섬유 펄프 혼합물이 필요 이상으로 빨리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하며, 따라서 양호한 세척 결과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 세척 결과 및 미세 입자 분리는 장치의 길이방향에서 다른 방식으로 탈수를 제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또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상기 장치는 제1 와이어(2) 및 제2 와이어(2)를 포함하고, 이들 와이어 사이에 탈수부(3)가 형성된다. 제1 와이어(1)는 가이드 롤러(4a-4d)의 둘레에 폐 루프로서 주행하고, 제2 와이어(2)는 그에 상응하여 회전 롤러(5) 및 가이드 롤러(6a,6b)의 둘레에서 폐 루프로서 주행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의 개수와 위치는 어떤 적절한 것이어도 좋으며,이 사실은 그 자체로 공지되고 또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세척될 섬유 펄프 혼합물은 공급기 챔버(7) 안으로 공급되며, 이 챔버로부터 예를 들면, 바람직하기로는 이미 공지된 난류 발생기(8)를 통해, 제1 와이어(1) 및 제2 와이어(2) 사이에 형성된 탈수부(3)로 공급된다. 탈수부(3)의 양측부 상에는 상기 제1 와이어(1) 및 제2 와이어(2)의 외부 표면과 마주하여, 탈수 박스(9,10)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물은 화살표(9a,10a)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부(3) 내의 섬유 펄프 혼합물로부터 상기 탈수 박스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탈수부(3)는 측부 및 이 측부 사이의 와이어 지지 구조체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된 챔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와이어(1) 및 제2 와이어(2)는 상기 측부 및 지지 구조체를 따라 탈수 챔버의 내측으로 주행하게 된다. 상기 탈수 박스(9,10) 등은 제1 및 제2 와이어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상기 와이어 지지 구조체를 통해 탈수 박스 등으로 흘러들어 가도록 상기 와이어 지지 구조체에 설치된다. 다공판이나, 다양한 박판 구조체 등일 수 있는 와이어 지지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그 자체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와이어 지지 구조체 및 이 와이어 지지 구조체의 작동은 더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본원 출원 및 첨부된 청구 범위에 있어서, 폐쇄된 탈수 챔버라 함은 특히, 섬유 펄프 및 이 섬유 펄프가 함유하는 물이 소기의 탈수 경로와는 다른 탈수 경로를 따라서는 탈수부를 빠져나갈 수 없게 되어 있는 구조체를 말한다.
탈수부의 양측부가 폐쇄되고 제1 와이어(1)와 제2 와이어(2) 및 가이드 롤러(4a,6b) 사이의 영역이 섬유 펄프 혼합물이 어떤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을방지하도록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 펄프 혼합물은 상기 탈수부(3)로부터 상기 제1 와이어(1) 및 제2 와이어(2)와 동일한 방향으로 앞으로 흘러가야 한다. 그와 동시에, 물은 상기 탈수부로부터 전체 경로를 따라 제거된다. 예를 들면, 운동방향으로 섬유 펄프 혼합물의 길이 당 더 많은 물이 탈수부(3)의 후방 단부에서 보다는탈수부(3)의 전방 단부, 즉 섬유 펄프 혼합물의 도입 단부에서 제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탈수부에서의 탈수가 행해진다. 미리 섬유 펄프 혼합물에서 야기되는 난류는 또한 속도 비의 차를 기초로 탈수 작용을 조절하면 유지될 수 있으며, 섬유는 상기 제1 와이어(1) 및 제2 와이어(2)의 표면에 과다하게 침투하지 않고 적당히 혼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이 회전 롤러(5)에 도달하면,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의 원심력 및 압착에 의하여 더 많은 물이 제1 와이어(1)를 통해서 탈수 트레이(11)로 제거되며, 섬유 펄프 혼합물은 적당한 건조 재료 함량을 갖게 된다. 상기 탈수부(3) 외측으로 나올 경우의 섬유 펄프 혼합물의 농도가 오히려 더 높기 때문에, 섬유 펄프 혼합물은 측부로부터 분출함이 없이 제1 와이어(1) 및 제2 와이어(2) 사이에서 머물러 있다. 따라서, 이 장치는 탈수부의 뒤에 어떤 별도의 밀봉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이 하부의 제2 와이어(2)를 따르도록 하는데는 이러한 방향으로 영향을 주는 몇 가지 종류의 힘이 필요하다. 이는 회전 롤러(5)와 같은 매끄러운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롤러(5)의 좌측에서, 제2 와이어(2)가 상기 회전 롤러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제2 와이어(2)와 회전 롤러(5) 사이의 공간에 부압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 도면에 도면 번호 12로 표시되어 있다. 이 공간은 그 자체로 낮은압력을 야기시켜,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이 제2 와이어(2)에 흡착되게 하며, 그에 따라서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은 상부의 제1 와이어(1)로부터 분리된다.
탈수부의 상하 표면을 탈수에 적합하게 설계함으로써, 탈수부의 길이에 따른 탈수 분포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 탈수부의 전방 단부에서, 물이 탈수부의 단면적이 감소하는 속도 보다 더 빨리 섬유 펄프 혼합물로부터 배출되는 경우,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의 유동 속도는 이 영역에서 감소한다. 다른 한 가지 결과는 물은 상기 탈수부의 출구 개구부에 접근할수록 탈수부의 단면적 감소 속도 보다 더 느리게 섬유 펄프 혼합물로부터 배출되며, 이는 상기 출구 개구부에서의 섬유 펄프 혼합물 속도를 상기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의 운동 속도와 동일해지게 한다는 것이다. 이에 상응하여, 탈수부의 전방 단부에서, 물이 탈수부의 단면적이 감소하는 속도 보다 더 적게 배출되는 경우,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의 속도는 상기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의 운동 속도 보다 더 높게 되며, 이 경우 탈수부의 출구 개구부에 더 근접할 수록 탈수부의 단면적의 감소에 비해 탈수가 더 많아져야 하며, 따라서 출구 개구부에서의 섬유 펄프 혼합물의 속도가 제1 와이어(1) 및 제2 와이어(2)의 운동 속도와 동일해지게 된다. 두 가지 대안은 예를 들면, 탈수 채널을 수축시킴으로써 유출을 조정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여러 가지 다른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의 운동 속도와 다른 섬유 펄프 혼합물의 유동 속도는 난류를 유지/야기시켜 어떤 조건에서든 상기 장치의 작동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섬유 펄프 혼합물 내의 회분 혹은 다른 물질을 가능한 한 완전히 제거할 필요가 있는 섬유 펄프 세척 작업에 있어서, 회전 롤러(5) 앞에서 물을 제2 와이어(2) 아래에 배치된 노즐(13)로부터 섬유 펄프 혼합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물은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을 통해 흐르면서, 섬유 펄프 혼합물의 타측부로 그리고 계속해서 제1 와이어(1)를 통해 입자 형태의 고체를 운반하며, 그 후 물과 입자 모두가 탈수 트레이(11) 내로 방출된다.
도 2a는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 그리고 섬유 펄프가 회전 롤러(5)에 도달하기 전의 탈수부의 출구 개구부의 바로 뒤에 배치되는 본 발명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은 탈수 영역이 어떻게 커버 부분(3a 또는 3b) 또는 측부(3c)와 같은 상부 또는 하부 지지 구조체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그에 상응해서 제1 와이어(1) 및 제2 와이어(2)가 어떻게 상부 및 하부 지지 구조체에 압착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은, 그 자체로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와 탈수부 사이의 공간을, 이들 와이어로부터 에지를 향하여 채운다. 도면에서 상부 제1 와이어(1)는 하부의 제2 와이어(2) 보다 약간 폭이 더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와이어(1) 및 제2 와이어(2), 그리고 섬유 펄프 혼합물이 탈수부(3)를 빠져 나올 때, 상부의 제1 와이어의 측부 상의 워터젯(14)이 제1 와이어의 외측에 남아있는 섬유 펄프 혼합물의 일부를 세척시켜 버리며, 이로써 제2 와이어(2)의 에지에서는 섬유 펄프 혼합물이 제거되고, 이 섬유 펄프 혼합물은 상기 장치의 다른 부분에 들러붙어 상기 장치를 불필요하게 더럽힐 수 없게 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는 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 2b에 더 자세히 나타나 있다. 점선이 제1 와이어(1)와 제2 와이어(2) 사이의 섬유 펄프 혼합물의 일부 둘레를 도시하고 있는데,이 혼합물 부분은 상기 워터젯(14)으로 인해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와이어(2)의 에지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한다.
도 3은 탈수부와 회전 롤러(5)의 사이에 별도의 탈수 슈(15)가 추가 되었고, 이 탈수 슈를 따라 제1 와이어(1) 및 제2 와이어(2)가 주행하여 섬유 펄프 혼합물로부터 물이 제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장치의 실시예와 상응하는 제2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탈수 슈(15)는 유리하게는 만곡면을 구비하며, 그 만곡면의 곡선이 그 뒤의 회전 롤러(5), 또는 임의의 다른 상응하는 곡면의 곡선 보다 짧은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잡하거나 비싼 프레스 혹은 다른 상응하는 장치 없이도 건조 재료 함량을 훨씬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도면은 이 경우에는 제2 와이어(2)의 탈수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스트립(16)인 압력 펄스 요소를 도시한다. 이들 스트립은 제2 와이어를 통해 교번 압력 펄스를 발생시키는데, 이들 중 하나의 압력 펄스 부분은 제2 와이어(2)의 표면 상의 섬유 펄프를 제2 와이어로부터 멀리 밀어내고, 반대방향의 압력 펄스는 제2 와이어를 향한 흡착을 야기시키며, 이로써 제2 와이어의 표면 상에 축적되는 섬유 물질층이 파열되어, 탈수 작용을 방해하는 효과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으로, 탈수부 내에서 난류가 유지되어 제2 와이어 표면 상의 침전 또는 적층 없이 탈수 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다. 스트립(16) 대신에, 탈수부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압력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자체로 공지된 여러 가지 회전 압력 펄스 요소 또는 다른 해결책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회전 롤러(5)가 만곡된 슈(17)로 대체되고, 이 만곡된 슈 둘레로 제1와이어와 제2 와이어 및 섬유 펄프 혼합물이 선회하게 되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만곡된 슈는 스트립이 있는 표면을 구비하거나, 또는 그 자체로 공지된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써 물은 또한 상기 제2 와이어(2)를 통해서 흡착될 수 있으며, 또한 탈수력을 증진시키도록 흡착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스트립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충족되는 섬유 펄프의 섬유 분포에 대한 세척 작용의 효과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관련 시험에 있어서, 그 자체로서 공지된 측정 방법으로 다른 길이의 섬유 분포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도면은 세척 전후의 시험에 사용된 섬유 펄프에 있어서 다른 길이의 섬유의 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서, Ⅰ은 가장 긴 섬유의 비를 나타내며, Ⅴ는 섬유 펄프 내의 미세 입자나 회분의 비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Ⅴ 그룹 내의 상당량의 부분, 즉 미세 입자나 회분은 세척하는 동안 제거되며, 그 결과로 세척된 섬유 펄프 내의 미세 입자나 회분의 상대적인 비는 현저히 감소된다. 그와 동시에, 세척된 섬유 펄프 내의 다른 섬유 함량 비도 그에 상응해서 더 높아지게 된다. 도면은 세척에 의해 펄프의 예상되는 세척 대상 부분이 제거되고, 다른 섬유는 세척되는 섬유 펄프 내에 온전히 남아 있는 상태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전술된 설명과 도면에서,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방법으로 기술된 것으로, 그와 같이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술된 사항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섬유 펄프를 탈수부(3) 안으로 공급하고, 상기 탈수부 내의 섬유 펄프와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되는 와이어를 통해 물 및 이 물과 함께 회분 및/또는 다른 불순물을 제거하는 섬유 펄프 세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되는 섬유 펄프는 두 개의 와이어(1,2) 사이에 형성되는 탈수부(3) 안으로 공급되고, 이들 와이어는 상기 탈수부(3)가 공급 단부로부터 출구 단부로 수렴하도록 주행하게 배치되며, 물과 불순물은 상기 탈수부(3) 내에서 상기 두 개의 와이어(1,2)를 통해 제거되고, 상기 탈수부(3)의 뒤에서, 상기 와이어(1,2) 및 이들 와이어 사이의 섬유 펄프는 상기 와이어의 긴장에 의해 야기된 압력 및 곡선 운동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섬유 펄프로부터 과잉의 물이 제거되도록 곡선 표면을 따라 주행하게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세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3)로서 측부가 폐쇄된 탈수 챔버를 사용하며, 상기 탈수부의 내측에는 상기 와이어(1,2)가 주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세척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3) 안으로 공급되기 전의 세척되는 섬유 펄프에 난류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세척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는 별도의 난류 발생 요소(8)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세척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되는 섬유 펄프는 탈수부(3) 안으로 공급되며, 상기 와이어(1,2) 중 적어도 하나는 볼록한 경로를 따라 상기 탈수부(3)를 향해 주행하게 유도되어, 상기 탈수부(3)의 후방 단부에서 보다는 전방 단부에서 탈수가 실질적으로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세척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되는 섬유 펄프는 상기 와이어(1,2)의 사이에서, 상기 탈수부의 뒤에 위치하는 회전 롤러(5)의 표면을 따라 선회하도록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세척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되는 펄프는 상기 탈수부(3)의 뒤에 위치하는 만곡형 슈(15,17)의 표면을 따라 선회하도록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세척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척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곡면 및 이 곡면을 따라 주행하는 상기 와이어의 사이에는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세척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되는 섬유 펄프에는 상기 탈수부(3)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측부 상에서 압력 펄스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세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펄스는 상기 세척되는 섬유 펄프와 대향되는 상기 와이어 측부 상의 상기 탈수부(3)에 위치하는 별도의 압력 펄스 요소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세척 방법.
  11.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에 의해 획정되는 탈수부(3)를 포함하며, 이 탈수부의 일단부로 섬유 펄프 혼합물이 공급되고, 그에 상응하게 이 섬유 펄프 혼합물이 타단부에서 제거되며, 물 및 물과 함께 회분 및/또는 다른 불순물이 섬유 펄프 혼합물로부터 탈수부(3) 내의 와이어를 통해 제거되는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와이어(1) 및 제2 와이어(2)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부(3)는 상기 제1 와이어(1) 및 제2 와이어(2)의 사이에 형성되며, 물과 불순물은 상기 두 개의 와이어(1,2)를 통해 제거되며, 이들 와이어(1,2)는 상기 탈수부(3)가 섬유 펄프 혼합물의 자유 단부로부터 상기 탈수부의 출구 단부로 수렴하도록 주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탈수부(3)의 뒤에 위치하는 곡면을 포함하고, 이 곡면을 따라 상기 두 와이어(1,2) 및 이들 와이어 사이의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이 상기두 와이어(1,2)의 긴장에 의해 야기되는 압력 및 상기 곡선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로부터 과잉의 물을 제거하도록 선회되게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3)는 측부가 폐쇄된 탈수 챔버이며, 상기 탈수 챔버의 내측에는 상기 두 와이어(1,2)가 주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3) 안으로 공급되는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에 난류를 발생시키는 별도의 난류 발생 요소(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혼합물 세척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와이어(1,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탈수부의 볼록한 경로를 따라 상기 탈수부(3) 안에서 주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회전 롤러(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3)의 뒤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형 슈(15,17)를 포함하고, 이 만곡형 슈의 표면을 따라 상기 두 와이어(1,2) 및 이들 와이어 사이의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은 주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장치.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이 상기 탈수부(3) 내에 있을 경우, 상기 세척되는 섬유 펄프 혼합물에 압력 펄스를 발생시키는 요소(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장치.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와이어(1,2)는 다른 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개의 와이어(1,2) 및 이들 와이어 사이의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이 상기 탈수부(3) 외측으로 나올 경우, 상기 폭이 좁은 와이어(1) 밖의 상기 섬유 펄프 혼합물은 상기 폭이 넓은 와이어의 표면으로부터 세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장치.
KR1020017003210A 1998-09-14 1999-09-14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방법 및 장치 KR200100750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81974 1998-09-14
FI981974A FI114812B (fi) 1998-09-14 1998-09-14 Menetelmä ja laite kuitumassaseoksen pesemiseksi
PCT/FI1999/000751 WO2000015900A1 (en) 1998-09-14 1999-09-14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fibre pulp mix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065A true KR20010075065A (ko) 2001-08-09

Family

ID=855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210A KR20010075065A (ko) 1998-09-14 1999-09-14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20056532A1 (ko)
EP (1) EP1115945B1 (ko)
JP (1) JP2002525446A (ko)
KR (1) KR20010075065A (ko)
CN (1) CN1156629C (ko)
AT (1) ATE456700T1 (ko)
AU (1) AU5749399A (ko)
BR (1) BR9913695A (ko)
CA (1) CA2343957A1 (ko)
DE (1) DE69941984D1 (ko)
FI (1) FI114812B (ko)
WO (1) WO20000159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678B1 (ko) * 2006-09-01 2008-09-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불순입자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0880B (fi) * 2008-10-24 2010-04-15 Metso Paper Inc Muodostusos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42657C2 (de) * 1981-09-29 1985-06-20 Sulzer-Escher Wyss GmbH, 7980 Ravensburg Entwässerungsvorrichtung
AT376722B (de) * 1983-02-09 1984-12-27 Andritz Ag Maschf Entwaesserungsmaschine fuer zellstoff od. dgl. fasermaterial
AT402370B (de) 1991-06-13 1997-04-25 Andritz Patentverwaltung Doppelsiebentwässerungsein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678B1 (ko) * 2006-09-01 2008-09-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불순입자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56532A1 (en) 2002-05-16
FI981974A0 (fi) 1998-09-14
EP1115945B1 (en) 2010-01-27
ATE456700T1 (de) 2010-02-15
EP1115945A1 (en) 2001-07-18
DE69941984D1 (de) 2010-03-18
JP2002525446A (ja) 2002-08-13
CN1318119A (zh) 2001-10-17
FI114812B (fi) 2004-12-31
FI981974A (fi) 2000-03-15
WO2000015900A1 (en) 2000-03-23
AU5749399A (en) 2000-04-03
CA2343957A1 (en) 2000-03-23
BR9913695A (pt) 2001-06-05
CN1156629C (zh)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1910A (en) Liquid extracting apparatus and method
JPS6321994A (ja) パルプおよび紙料濃縮装置
SE505790C2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tvättning av en fibersuspension vid medelkoncentration
SU1405709A3 (ru) Система дл сухого формовани из частиц или волокна бумаги или другого материала
JPH0616879B2 (ja) 被覆装置及び方法
FI69884B (fi) Anordning foer vaetskehantering vid vals
CZ275699A3 (cs) Stroj na kontinuální výrobu krepového papíru
JP5724075B2 (ja) 脱墨排液処理装置、脱墨システム及び脱墨排液の処理方法
KR20010075065A (ko) 섬유 펄프 혼합물 세척 방법 및 장치
US2993470A (en) Apparatus for saturating webs of felted fibres
US4199966A (en) Impregnator/rinser
US5109764A (en) Double screen belt press with a wedge compression zone for dewatering mixtures of fibrous material suspensions
US28816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watering stock on a fourdrinier type paper or board-making machine
KR100361407B1 (ko) 직물처리장치
CA2325507A1 (en) Process and device for dust removal from a moving paper web
JP4605962B2 (ja) 繊維パルプ混合物の洗浄方法および装置
US64917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roll surfaces and/or fabrics
US5935386A (en) Suction roll box
CA2208262A1 (en) Washing pulp using an endless support fabric
US6153056A (en) Device and method for draining a paper machine felt
FI120746B (fi) Paperi- tai kartonkikoneen kuivatusosa
WO1996011297A9 (en) Washing pulp using an endless support fabric
US6126788A (en) Apparatus for dewatering of paper machine felts
CA20455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pulp solids from whitewater
RU212408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воживания и промывки волокнистой масс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