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893A - 다이얼-업 모뎀 연결을 위한 전화 시스템 설정의 자동검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얼-업 모뎀 연결을 위한 전화 시스템 설정의 자동검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893A
KR20010074893A KR1020017002670A KR20017002670A KR20010074893A KR 20010074893 A KR20010074893 A KR 20010074893A KR 1020017002670 A KR1020017002670 A KR 1020017002670A KR 20017002670 A KR20017002670 A KR 20017002670A KR 20010074893 A KR20010074893 A KR 20010074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ing
telephone line
call waiting
dial
central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9956B1 (ko
Inventor
웨메이어카이스레이놀즈
쿠루피다니엘로버트
모리슨휴보이드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7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데이타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가입자 전화선에 연결된 전화선 인터페이스 회로와 상기 전화선 인터페이스 회로에 연결된 변복조기 회로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는 변복조기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변복조기 회로를 상기 가입자 전화선으로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조정되고 상기 가입자 전화선이 연결된 중앙국이 톤-다이얼 중앙국 또는 펄스-다이얼 전용 중앙국인지 여부, 다이얼링 프리픽스가 가입자 전화선에 억세스할 필요가 있는 지 여부 및 콜 대기 기능이 상기 가입자 전화선에 실행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이얼-업 모뎀 연결을 위한 전화 시스템 설정의 자동 검출 장치 및 그 방법{AUTOMATIC DETECTION OF PHONE SYSTEM SETTINGS FOR DIAL-UP MODEM CONNECTIONS}
최근에는 사용자의 위치 및 중앙에 위치된 컴퓨터 사이에 전송되는 정보를 필요로 하는 가전 시스템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 일예로 텔레비젼 채널 분배용 직접 위성 시스템(DSS)이 있다. 이 DSS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유료 시청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 그 정보는 사용자 전화선을 통해 중앙 컴퓨터로 역전송되어 시청자가 시청료를 내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텔레비젼 스크린과 키보드로서 텔레비젼 리모트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텔레비젼 셋-탑 박스가 있다. 이 셋-탑 박스는 셋-탑 박스에서 컴퓨터와 사용자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으로 억세스하는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ISP)를 연결한다. 데이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ISP로 전송된 다음, 해당 데이타는 셋-탑 박스의 제어하에 모두 텔레비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ISP로부터 수신된다.
컴퓨터끼리 협동하는 전화/모뎀 데이타 전송 링크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인터넷 셋-탑 박스의 경우에서, 이 셋-탑 박스는 컴퓨터 조작자의 제어하에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부품이 아니다. 대신에, 사용자는 최소한의 기술적 지식을 가지고 셋-탑 박스를 설치할 수 있다.
모뎀이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바로 잡아 왔다. 그 일예는 "자동 가입자 콜백 시스템"이라는 제목으로 1996년 12월 17일 피트쉬 등에 의해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제PCT/US96/20514호에 게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 자동 모뎀은 DSS 위성 텔레비젼 분배 시스템의 수신기용으로 개시되어 있다. 이 수신기는 정보 예컨대, 가입자에 의해 시청된 유료 시청 프로그램을 수집하고, 콜백(callback)이라고 명명된 동작으로 이 정보를 중앙 컴퓨터로 전송한다. 상기 특허에서는 자동 방식으로 동작하는 콜백 모뎀의 수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첫째, 상기 개시된 콜백 모뎀은 전화선을 사용하고 있는 가입자에 관한 방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콜백은 소정 시간에 자동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가입자가 전화선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갖지 않고, 상기 개시된 콜백 메카니즘은 전화선을 사용하고 있는 가입자를 방해하지 않고, 가입자의 전화 조작을 저하하지 않고 이 콜백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증한다. 특히, 이 콜백 모뎀은 가입자가 전화선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콜백을 시도하지 않고, 가입자가 콜백 중에 전화에 억세스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마다 전화선을 즉시 해제한다.
둘째, 상기 개시된 콜백 모뎀은 비정상 인터페이스 동작을 할 수 있는 전화중앙국으로 자동 조작된다. 일부 비정상 인터페이스는 중앙국에 의해 제시되며, 최단 다이얼 톤, 펄스 다이얼 전용, 왜곡된 다이얼 톤, 다이얼 톤 발생 전의 장기 지연, 전화 억세스중 요동하는 전화선 전류 및/또는 오프 훅 조작 중 요동 전류를 포함한다. 상기 개시된 콜백 모뎀은 다이얼 톤 검출기, 라인 전류 모니터 및 억세스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비정상을 검출하고 적절하게 모뎀 조작을 조정한다.
셋째, 상기 개시된 모뎀은 미지의 왜곡이 콜백 시스템 및 중앙 컴퓨터 사이를 연결하는 전화선에 도입될 수 있음을 인지한다. 일부 이 왜곡은 어댑티브 이퀄라이져를 사용하여 보상되는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 모뎀 커플링 트랜스포머에 의해 제시된 전화선의 동적 조건, 콜된 모뎀 위치에서 라인 손실 조건 및 왜곡은 어댑티브 이퀄라이져로 보정될 수 없다. 전술한 콜백 모뎀은 이 왜곡에 대한 보상을 위해 악조건에서 출력 전력의 제어와 가능한 데이타 검증 및 재전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원격지 모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작 조건의 변경에 따라 중앙 컴퓨터를 콜하여 원격지 및 중앙 컴퓨터 사이에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뎀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콜백을 생성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모뎀의 제어 회로에 의해 수행된 과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블럭도의 전화선 억세스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럭도의 다이얼링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블럭도의 다이얼링 매개변수 검출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럭도.
본 발명자도 알고 있지만, 전술한 특허(피트쉬 등)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모뎀은 자율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고 또, 사용자가 용이하게 연결하여 모뎀 "바로 사용 가능"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낸다. 예컨대, 조작이 처음으로 시도된 경우, 모뎀은 전화선에 연결되지 않거나 전화선이 사용중일 수 있다. 또한, 이 장치는 다이얼링 프리픽스(prefix)가 외부선과 억세스할 필요가 있는 오피스 환경에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화선이 '콜 대기'라고 알려진 전화 서비스를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콜가 가입자 전화선에 대해 수신됨과 동시에 데이타 전송 콜가 처리 중인 경우 기존의 모뎀 연결을 방해할 수 있음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자동 모뎀은 이 조건을 검출하여 현 상태에서 올바르게 조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데이타 연결을 자동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장치는 가입자 전화선에 연결된 전화선 인터페이스 회로와 상기 전화선 인터페이스 회로에 연결된 변복조기 회로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는 상기 가입자 전화선에 연결을 설정하도록 장치를 조정하고, 상기 가입자 전화선이 연결된 중앙국이 톤-다이얼 중앙국인지 펄스-다이얼 전용 중앙국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 다이얼링 프리픽스가 상기 가입자 전화선을 억세스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 및 콜 대기 기능이 상기 가입자 전화선에 실행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한 텔레비젼 셋-탑 박스를 참조하여 기재한다. 그러나, 후술될 모뎀에 대한 설명을 이해할 수 있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모뎀을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이 모뎀은 중앙 위치에서 그 장치와 컴퓨터 사이에 데이타를 자동 전송할 필요가 있는 가전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나타낸 셋-탑 박스 모뎀은 표준 모뎀 제어 코드 예컨대, 헤이즈 컴파니에 의해 처음으로 제안된 코드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태 신호를 공급하여 제어될 수 있는 모뎀 및 아날로그 전화선을 통해 데이타 연결을 필요로 할 수 있는 장치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셋-탑 박스 모뎀(1)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서, 입력 단자(5)는 가입자 전화 회사(TELCO)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입력 단자(5)는 예컨대, 표준 RJ11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입력 단자(5)는 전화 회사(TELCO)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10)의 제1 양방향 단자에 연결된다. TELCO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10)는 전자기 간섭(EMI), 정전하 방전(ESD), 번개 등 모든 공지된 방법으로부터 상기 설명된 회로의 잔여부를 보호하는 격리 및 보호 회로를 포함한다. TELCO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10)의 제2 양방향 단자는 변복조기 회로(50)의 해당 단자에 연결되고, TELCO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10)의 출력 단자는 연결 검출 회로(40)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연결 검출 회로(40)의 출력 단자는 제어 회로(60)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제어 회로(60)의 제1 양방향 제어 단자는 변복조기 회로(50)의 해당 제어 단자에 연결되고, 제어 회로(60)의 제2 양방향 데이타 단자는 셋-탑 박스 모뎀(1)의 동작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 예컨대, 셋-탑 박스(70)의 해당 단자에 연결된다. TELCO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10), 연결 검출 회로(40), 변복조기 회로(50) 및 제어 회로(60)의 조합은 셋-탑 박스 모뎀(1)을 형성한다. 예컨대, 처리기를 포함하는 제어 회로(60)는 도 1에 도시한 셋-탑 박스 모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셋-탑 박스가 사용자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 전화선에 부착된 박스를 필요로 한다. 또, 전화 연결을 위한 여러 가지 다이얼링 매개 변수는 중앙 컴퓨터로 콜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정된다. 최종적으로, 콜가 실제로 실행되기 전에, 셋-탑 박스가 연결된 전화선이 프리(free) 상태 즉,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방향은 이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셋-탑 박스 모뎀(1)과 중앙 컴퓨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 장치(70)(예컨대, 셋-탑 박스)는 제어 회로에 연결을 개시하도록 조정하면서 제어 신호를 제어 회로로 전송한다. 이 연결 검출 회로(40)는 TELCO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10)가 전화선(5)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연결되었다면 후술하는 방법으로 전화선이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TELCO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10)를 통해 전화선(5)을 모니터한다. 이 연결 검출 회로(40)는 전화선 상태에 관하여 제어 회로(60)에 신호를 공급한다. TELCO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10)가 전화선(5)에 연결되어 사용중이 아니 경우, 제어 신호를 제어 회로(60)로 전송하고 제어 회로로부터 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변복조기 회로(50)는 중앙 컴퓨터에 데이타 연결을 개시하도록 제어 회로를 조정한다.
변복조기 회로(50)가 중앙 컴퓨터에 연결된 경우, 제어 회로(60)는 셋-탑 박스(70)로부터 예컨대, 인터넷까지 통신하도록 데이타를 수신한다. 제어 회로(60)는 이 데이타를 변복조기 회로(50)로 공급하고, 공지된 방법에서 ISP 중앙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에 전송하기 위해 데이타를 오디오로 변환한다. 동시에, 변복조기 회로(50)는 ISP 중앙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으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하고, 공지된 방법으로 데이타로 변환하고, 이 데이타를 제어 회로(60)로 공급하고, 이 데이타를 예컨대, 수신된 데이타에 응답하여 텔레비젼 스크린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셋-탑 박스(70)로 지연한다.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셋-탑 박스 모뎀(1)은 블럭(100)에서 동작을 개시한다. 셋-탑 박스 모뎀(1)이 중앙 컴퓨터로 콜하고자 하는 경우, 블럭(200)은 전화 연결이 설정되도록 입력된다. 셋-탑 박스 모뎀(1)이 전화선에 연결되지 않거나 전화선이 이미 사용중인 경우, 가입자는 셋-탑 박스 모뎀(1)의 전화선으로 정상 연결을 할 수 있거나 본 실시예에서 처럼 전화선의 사용이 종료되도록 문제를 통지받는다. 이후 콜는 나중 시간에 다시 시도된다.
셋-탑 박스 모뎀(1)이 전화선에 정상 연결되어 라인이 프리한 경우, 제어 회로(60)는 제어 신호를 변복조기 회로(50)에 공급한다. 처음부터 셋-탑 박스 모뎀(1)이 이 위치로부터 이 사용자 전화선(5)에 연결되는 경우, 이들 제어 신호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이 위치에 대한 여러 가지 다이얼링 매개 변수를 판정하도록 변복조기 회로(50)를 조정한다. 이들 다이얼링 매개변수는 이 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처음부터 셋-탑 박스 모뎀(1)이 이 사용자 전화선에 연결되는 경우 또는다이얼링 매개 변수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성공적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어 신호(60)는 제어 신호를 변복조기 회로로 전송하고 리모트 컴퓨터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도록 조정한다.
리모트 컴퓨터로의 전화 연결이 블럭(200)에서 설정되는 경우, 제어 회로(60)는 제어 신호를 변복조기 회로(50)로 공급하고 블럭(400)에서 데이타 연결을 중앙 컴퓨터에 설정하도록 시도하는 조정을 하고 있다. 변복조기 회로로부터의 상태 신호는 제어 회로(60)에 의해 분석되어 이 연결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여러 가지 데이타 연결 매개 변수는 연결을 설정하도록 시도되는 공지의 방법으로 설정 및/또는 가변된다.
데이타 연결이 블럭(400)에서 설정되는 경우, 데이타 전송은 블럭(400)에서 셋-탑 박스 모뎀(1)과 리모트 컴퓨터 사이에서 개시된다. 셋-탑 박스(70)로부터의 데이타는 변복조기 회로(50)에 공급되고 오디오로 변환되어 중앙 컴퓨터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리모트 컴퓨터는 데이타를 셋-탑 박스 모뎀(1)으로 복귀하도록 전송하고, 수신된 오디오를 데이타로 변환하여 제어 회로(60)를 통해 수신된 데이타를 셋-탑 박스(70)에 공급한다. 블럭(500)에서 데이타 전송 중, 연결은 블럭(400)에서 모니터되어 모든 공지된 방법으로 유지되도록 보증된다. 사용자가 세션을 종료한 경우, 블럭(100)이 재입력된다.
도 3은 전화 연결이 설정되는 도 2에 나타낸 블럭도의 블럭(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블럭(200)이 입력되는 경우(도 2), 셋-탑 박스 모뎀(1) 콜의 개시가 지적되고, 도 3의 블럭(205)이 입력된다. 블럭(205)에서, 전화선(5)은 셋-탑 박스 모뎀(1)이 라인 전압 감지 기술을 사용하여 전화선(5)에 정상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연결 검출 회로(40)에 의해 테스트된다.
가입자 위치에서 전화선은 전화선(5)의 2 개 배선을 통해 전화 회사 중앙국에 연결된다. 이 전화 회사는 중앙국에서 배터리를 통해 이들 2 개의 라인 양단에 전압을 유지한다. 연결 검출 회로(40)는 라인 전압 감지(LVS)로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이 전압을 감지한다. 전압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셋-탑 박스 모뎀(1)은 전화선에 정상 연결되지 않고, 신호는 이것을 표지하도록 제어 회로(60)에 공급된다.
셋-탑 박스 모뎀(1)이 전화선(5)에 정상 연결되고 이 전화선에 부설된 모든 전화가 온 훅이라고 명명된 행 업의 경우, 2 개의 배선 사이 루프를 통해 흐르는 전류(또는 작은 누설 전류)는 없다. 이 경우, 2 개의 배선 양단 전압은 최대 레벨에 있다. 그러나, 오프-훅이라 명명된 전화기를 집어 들고 2 개의 배선 사이의 루프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이들 전류는 중앙국에 의해 감지되고, 그것에 응답하여 다이얼 톤을 전화기로 공급한다. 전화기가 오프훅이고 전류가 2 배선 사이에 흐르는 경우, 2 배선 사이의 양단 전압은 감소된다. 연결 감지 회로(40)는 전압의 감소를 감지한다. 감소된 전압이 연결 검출 회로(40)에 의해 검출된 경우, 가입자 전화선이 사용중임을 표시하고, 이것에 검출된 신호는 제어 회로(60)에 전송된다.
다른 예로, 제어 회로(60)는 제어 신호를 변복조기 회로(50)로 전송하여 오프훅으로 조정하고 다이얼 톤을 대기할 수 있다. 이것은 다이얼링 절차를 개시하고 다이얼 톤을 대기함으로써 행해지지만, 다이얼링 그 자체는 수행하지 않는다(헤이드 코포레이션 커맨드 세트에서 커맨드 ATDTW). 커맨드가 실행된 경우, 변복조기회로(50)는 제어 회로(60)에 3 가지 응답 중 하나를 공급한다 : 다이얼 톤이 검출됨(헤이즈 코포레이션 응답 세트에서 응답 OK), 비지(busy) 신호가 검출됨(헤이즈 코포레이션 응답 세트에서 응답 비지) 또는 다이얼 톤이 검출되지 않음(헤이즈 코포레이션 응답 세트에서 응답 다이얼 톤 없음). 다이얼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응답 다이얼 톤 없음), 셋-탑 박스 모뎀(1)은 전화선(5)에 연결되지 않거나 라인이 사용중이다. 그렇지 않으면, 셋-탑 박스 모뎀(1)은 전화선(5)에 정상 연결되거나 전화선이 사용중인 경우가 아니다.
셋-탑 박스 모뎀(1)이 전화선(5)에 정상 연결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블럭(207)에서 알려 준다. 사용자는 셋-탑 박스로부터 전력을 수동으로 제거하고, 셋-탑 박스 모뎀(1)을 전화선(5)에 연결한 다음, 전력을 재공급하거나 셋-탑 박스(1)가 연결되지 않은 전화선이 사용중이 아니라고 보장한다. 이 콜는 다시 시도된다.
셋-탑 박스 모뎀(1)이 전화선(5)에 연결된 경우, 블럭(210)은 입력된다. 블럭(210)에서, 변복조기 회로(50)는 제어 신호에 의해 공급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개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개시는 (1)다이얼 톤이 검출될지 여부를 다이얼 하고 비지 신호(커맨드 X3)를 검출하도록 변복조기 회로(50)를 설정, (2)캐리어가 다이얼링 후 30초 대기하도록 시간 설정(레지스터 S07=30) 및 블라인드 다이얼링 전 2초 대기하도록 시간 설정(레지스터 S06=2)을 포함한다.
변복조기 회로(50)가 블럭(21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되는 경우, 전화 연결은 블럭(220)에서 다이얼 톤을 검출하도록 테스트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다이얼링 절차를 개시하여 다이얼 톤을 대기함으로써 행해지지만, 다이얼링 그 자체(커맨드 ATDTW)는 수행하지 않는다. 변복조기 회로(50)는 3 가지 응답 중 하나 : 다이얼 톤이 검출됨(응답 OK), 비지 신호가 검출됨(응답 비지) 또는 다이얼 톤이 없음을 검출(헤이즈 코포레이션 응답 세트에서 응답 다이얼 톤 없음). 다이얼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응답 다이얼 톤 없음)를 발생한다. 다이얼 톤이 검출된 경우(응답 OK),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콜백은 블럭(250)을 입력함으로써 계속될 수 있다. 비지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콜는 지연을 개시함으로써 나중 시간에 시도된 다음, 블럭(210)에서 변복조기 회로(50)를 재개시할 수 있다. 비지 신호가 소정 길이의 시간 동안 지속된 경우, 사용자는 정보를 받고 나중에 다시 수동으로 옵션을 준다.
그러나, 다이얼 톤 없음이 블럭(220)에서 검출된 경우, 유니트는 변복조기 검출 회로(50)가 그 존재를 정확히 검출하지 않도록 다이얼 톤이 충분히 비표준으로 가정된다. 블럭(230)이 입력되어 공지된 방법에서 번호가 블라인드 다이얼링으로 명명된, 다이얼 톤이 검출되기 위한 대기없이 다이얼된다. 블라인딩 다이얼링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 콜는 블럭(250)을 입력함으로써 놓여진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럭도의 다이얼링부(250)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처음에 블럭(250)은 전원 투입시에 입력되거나 리셋후에 블럭(252)이 입력된다. 블럭(252)에서, 전화선(5)의 중앙국으로의 연결에 대한 매개 변수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검출된다. 블럭(252)에 의해 검출된 매개 변수 중 하나는 중앙국이 펄스 다이얼링 전용으로 수용된다. 전화선 매개변수 검출기 블럭(252)에 의해 만들어진 판정의 제어하에, 중앙국이 펄스 다이얼링 전용으로 수용하는 경우 도 4의 좌측이수행되고, 중앙국이 톤 다이얼링을 수용하는 경우 도 4의 우측 작은 판정 블럭(253)에 의해 표지되고 전화선 매개 변수 검출기 블럭(252)로부터 판정 블럭(253)까지 대시라인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펄스 다이얼 전용 중앙국을 참조하면, 중앙 컴퓨터가 다이얼된 경우, 도 1의 변복조기 회로(50)는 블럭(254)에서 초기화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어 회로(60)는 다이얼 전에 다이얼 톤에 대한 대기가 없지만, 비지 신호(커맨드 X3), 블라인드 다이얼링 2초 전 대기 시간 설정(레지스터 S06=2) 및 다이얼링 30초 후 캐리어를 위한 대기 시간 설정(레지스터 S07=30)을 인지하도록 조정하는 변복조기 회로(50)에 커맨드를 공급한다. 변복조기 회로(50)는 펄스 다이얼링을 위한 전화선에 연결하지만, 번호는 다이얼하지 않는다(커맨드 ATDPW;). 변복조기 회로(50)가 다이얼 톤을 수신하는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는 이것을 표지하기 위해 응답을 발한다(응답 OK). 변복조기 회로(50)로부터의 다른 응답은 블럭(210)(도 3)으로 복귀를 초래하고 콜를 초기화하는 과정은 재개시된다.
변복조기 회로(50)가 블럭(254)에서 다이얼 톤을 수신하는 경우, 블럭(258)은 수행된다. 블럭(258)에서, 리모트 컴퓨터 시스템의 전화 번호는 펄스 다이얼 된다( 커맨드 ATDP[전화번호]). 전화 번호가 다이얼된 후에, 블럭(258)에서 또는 블럭(230)에서 블라인드 다이얼되는 제어 회로(60)는 연결이 블럭(260)에서 설정된 변복조기 회로(50)로부터의 표지를 기다린다. 변복조기 회로(50)가 다이얼링 후에 리모트 컴퓨터에 성공적으로 연결된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는 이것을 표지하기 위해 응답을 발한다(응답 연결). 콜가 블럭(26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완료되고,데이타 전송(도 2의 블럭(400))이 발생한다. 콜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로부터의 다른 응답에 의해 표지된 바와 같이, 블럭(210)(도 3)은 입력되고 콜를 초기화하는 과정은 재개시된다. 다음 시간 블럭(250)이 입력되고, 중앙국이 펄스 다이얼 전용인지 톤 다이얼인지 여부를 검출할 필요가 없어, 블럭(252)은 수행되지 않는다. 대신에, 블럭(253)은 블럭(252)으로부터 블럭(253)까지 대시된 라인에 의해 표지된 바와 같이 엔트리에 수행된다.
톤 다이얼 중앙국을 참조하면, 중앙 컴퓨터가 다이얼된 경우, 도 1의 변복조기 회로(50)는 블럭(264)에서 초기화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어 회로(60)는 다이얼 전에 다이얼 톤에 대한 대기가 없지만, 비지 신호(커맨드 X3), 블라인드 다이얼링 2초 전 대기 시간 설정(레지스터 S06=2) 및 다이얼링 30초 후 캐리어를 위한 대기 시간 설정(레지스터 S07=30)을 인지하도록 조정하는 변복조기 회로(50)에 커맨드를 공급한다. 변복조기 회로(50)는 펄스 다이얼링을 위한 전화선에 연결하지만, 번호는 다이얼하지 않는다(커맨드 ATDPW;). 변복조기 회로(50)가 다이얼 톤을 수신하는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는 이것을 표지하기 위해 응답을 발한다(응답 OK). 변복조기 회로(50)로부터의 다른 응답은 블럭(210)(도 3)으로 복귀를 초래하고 콜백을 만드는 과정은 재개시된다.
변복조기 회로(50)가 블럭(264)에서 다이얼 톤을 수신하는 경우, 블럭(268)은 수행된다. 블럭(258)에서, 리모트 컴퓨터 시스템의 전화 번호는 펄스 다이얼 된다( 커맨드 DP[전화번호]). 이후, 블럭(270)이 입력된다. 변복조기 회로(50)가 다이얼링 후에 리모트 컴퓨터에 성공적으로 연결된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는 이것을 표지하기 위해 응답을 발한다(응답 연결). 콜가 블럭(26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완료되고, 데이타 전송(도 2의 블럭(400))이 발생한다. 콜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로부터의 다른 응답에 의해 표지된 바와 같이, 블럭(210)(도 3)은 입력되고 콜를 초기화하는 과정은 재개시된다. 다음 시간 블럭(250)이 입력되고, 중앙국이 펄스 다이얼 전용인지 톤 다이얼인지 여부를 검출할 필요가 없어, 블럭(252)은 수행되지 않는다. 대신에, 블럭(264)은 블럭(252)으로부터 블럭(253)까지 대시된 라인에 의해 표지된 바와 같이 엔트리에 수행된다.
도 5는 전화선 매개 변수 검출기를 나타내고 있다(도 3). 도 5에서 도시한 동작은 일단 수행되고, 처음부터 셋-탑 박스 모뎀(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전력 응용 또는 설정된 후 리모트 컴퓨터를 다이얼한다. 첫째, 셋-탑 박스 모뎀(1)이 장착된 중앙국의 다이얼링 특성이 판정된다. 블럭(271)에서, 변복조기 회로(50)는 초기화된다(도 1). 이후, 블럭(272)에서, 단일 수자 예컨대, "1"(커맨드 DT1;)만을 다이얼링하는 보충 다이얼링 절차가 초기화되고, 다이얼링 후 캐리어에 대한 대기 시간은 7초(레지스터 S07=7)로 설정된다. 이후, 블럭(274)에서, 변복조기 회로(50)는 다이얼 톤을 검출하도록 조정된다(커맨드 DTW;). 다이얼 톤이 검출되는 경우, 이것은 중앙국이 단일 톤 다이얼 자리수를 인식하지 않고 처음 다이얼된 자리수를 수신하도록 대기하는 것 즉, 중앙국이 펄스 다이얼 전용으로 인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는 다이얼 톤의 인지를 표시하는 응답을 발생한다(응답 OK). 변복조기 회로(50)는 블럭(276)에서 행 업(커맨드 H0)하도록 조정되고, 펄스 다이얼링이 사용된다. 다이얼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이것은 중앙국이 단일 톤 다이얼 자리수를 인식하고 추가 자리수 즉, 중앙국이 톤 다이얼을 대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는 다이얼 톤 없음을 검출하는 것을 표지하는 응답을 발생한다(응답 다이얼 톤 없음). 변복조기 회로(50)는 블럭(278)에서 행 업(커맨드 H0)하도록 조정되고, 톤 다이얼링이 사용된다.
그 다음, 이것은 다이얼링 프리픽스화가 중앙 컴퓨터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하는데 필요한 경우를 결정한다. 도시한 실시예의 블럭(280)에서, 제어 회로(60)는 프리픽스가 없는 중앙 컴퓨터(커맨드 ATDx1800[전화 번호])용 톨 프리 전화 번호를 다이얼하도록 변복조기 회로(50)를 조정한다. 변복조기 회로(50)가 중앙 컴퓨터에 성공적으로 연결된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는 이것(결과 OK)을 표시하는 결과를 생성한다. 이것은 프리픽스가 필요하지 않고, 비휘발성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 중앙 컴퓨터의 번호가 변경되지 않음을 표시한다. 이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는 블럭(282)에서 행업(커맨드 H0)에 조정된다.
한편, 변복조기 회로(50)가 중앙 컴퓨터에 성공적으로 연결하지 못한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는 이것(결과 NO CARRIER)을 표시하는 결과를 발생한다. 이 경우에, 셋탑 박스가 회사 장치에 있는 전자 장치는 PBX에 의해 서버되고, 다이얼링 프리픽스는 외부 전화선을 억세스하는데 필요하다고 가정된다. 블럭(284)에서, 이러한 장치에서 외부선을 얻기 위한 기준 다이얼링 프리픽스, 예를 들면 '9'는 톨 프리 전화 번호에 프리픽스화된다. 프리픽스를 갖는 수정된 전호 번호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중앙 컴퓨터에 배치된 모든 전화 콜은 이 수정된 전화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콜은 블럭(280)(커맨드 ATDx9W1800[전화 번호])에서프리픽스를 갖는 전화 번호를 사용하여 반복된다. 수정된 전호 번호가 중앙 컴퓨터에 성공적으로 연결된 경우, 블럭(282)은 다시 입력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블럭(284)은 다시 입력된다. 이것은 블럭(284)에서 매시간 이러한 프리픽스의 리스트를 시도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블럭(280)을 재입력함으로써 프리픽스를 지정할 수 있다. 또, 이것은 가능한 프리픽스 리스트가 가장 가능성 있는 프리픽스(예를 들면 "9")에서 가장 가능성 없는 프리픽스까지 명령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리스트가 구성될 수 있고, 리스트가 중앙 컴퓨터로부터 셋탑 박스 모뎀(1)의 비휘발성 메모리 내로 다운로드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새로운 프리픽스가 발견됨으로써, 프리픽스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존재하는 셋탑 박스에 전송될 수 있다.
블럭(284)의 처리에 의해 공급된 리스트에 프리픽스가 중앙 컴퓨터에 성공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블럭(286)에서 형성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정확한 다이얼링 프리픽스를 가질 수 있다. 이 새롭게 입력된 프리픽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능한 다이얼링 프리픽스의 중앙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중앙 컴퓨터에 전송될 수 있고, 셋탑 박스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이얼링 프리픽스가 정확한 전화 번호는 셋탑 박스 모뎀(1)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모든 최종 전화 콜은 정확한 다이얼링 프리픽스를 갖는 저장된 전화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변복조기 회로(50)는 블럭(282)에서 행업(커맨드 H0)으로 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블럭(280)에서, 제어 회로(60)는 가능한 다이얼링 프리픽스 및 다이얼 톤 대기를 나타내는 한자리수를 다이얼하도록 변복조기 회로(50)를 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프리픽스는 한자리수 "9"(커맨드 ATDX 9W)이다. 다이얼 톤이 검출된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는 이것(응답 OK)을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것은 외부선이 리치되고, 중앙국이 전화 번호 대기임을 표시한다. 중앙 컴퓨터의 전호 번호는 프리픽스 "9"를 포함하기 위해 수정되고, 수정된 번호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 수정된 번호는 중앙 컴퓨터가 콜될 때마다 사용될 수 있다.
다이얼 톤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블럭(284)은 입력된다. 블럭(284)에서, 다른 프리픽스, 예를 들면 "8"은 가능한 다이얼링 프리픽스로서 선택된다. 블럭(280)은 새로운 프리픽스가 다이얼될 때 재입력된다. 다이얼 톤이 검출된 경우, 이 프리픽스는 중앙 컴퓨터의 전화 번호 및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수정된 번호로 프리픽스화된다. 전술한 동일 방법에서, 가능한 프리픽스의 리스트는 정확한 프리픽스가 결정될 때까지 이 방법에서 시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리스트는 구성될 수 있고 다운로드될 수 있는 가능성으로 명령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것은 전화선이 콜 대기 기능을 포함할 경우에 결정된다. 전화국에 의해 제공된 이 기능은 전화선을 최근에 사용하는 사용자가 제2 콜이 수신될 때마다 중앙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허용된다. 이 신호는 톤 형태이다. 그러나, 데이타 콜 동안 수신된 이러한 톤은 데이타 방해 및 데이타 콜의 비연결을 이끄는 데이타 콜에 역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콜백 기능은 콜이 다이얼되기 전에 사용자가 콜백 기능을 디세이블하는 해당 기능을 포함한다. 이것은 모든 공지된 방법에서 콜 대기 신호에 의한 방해성없이 형성된 데이타 콜을 허용한다.
셋탑 박스 모뎀(1)이 연결된 중앙국이 다이얼 톤 중앙국인 경우, 블럭(290)은 (다이얼 특성 블럭과 콜 대기 블럭 사이의 대시선에 의해 도시된) 블럭(270 내지 278)에 의해 수행된 테스팅의 결과에 기초한 작은 결정 블럭(288)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된다. 톤 다이얼된 시스템에서, 콜 대기 기능을 디세이블하는 2개의 번호가 있는데,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기 전의 다이얼링 '*70' 또는 다이얼링 '70#'이다. 펄스 다이얼된 시스템에서도, 콜 대기 기능을 디세이블하는 2개 번호가 있는데, 다이얼링(1170) 또는 다이얼링(7011)이다. 이 경우에, 콜 대기 기능이 나타날 경우, 디세이블 번호가 다이얼링된 후, 제2 다이얼 톤은 수신될 수 있고, 가입자가 목표한 전화 번호를 다이얼하도록 허용한다.
블럭(290)에서, 먼저 디세이블 번호 '*70'는 다이얼되고, 변복조기 회로(50)는 (커맨드 ATDT*70W)가 검출되도록 다이얼 톤 대기를 조정한다. 콜 대기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및 '*70'이 디세이블하는 번호인 경우, 다이얼 톤은 발생될 수 있다. 다이얼 톤이 블럭(294)에서 검출된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는 이것(결과 OK)를 표시하는 코드를 생성한다. 이 경우에, 프리픽스 '*70'은 디세이블 코드를 다이얼한 후, 다이얼 톤 대기 방향을 따라 현재 저장된 전화 번호(다이얼링 프리픽스 후)에 프리픽스화된다.
다이얼 톤이 블럭(294)에서 검출되지 않은 경우, 블럭(290)은 재입력된다. 디세이블 번호'70#'는 다이얼되고, 변복조기 회로(50)는 다이얼 톤(커맨드 ATDP1170W) 대기를 조정한다. 콜 대기 기능이 인에이블되고, 이것이 디세이블하기 위한 번호인 경우, 다이얼 톤은 발생될 수 있다. 다이얼 톤이 블럭(294)에서 검출된 경우, 변복조기 회로(50)는 이것(결과 OK)를 표시하는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리픽스 '70#'은 디세이블 코드를 다이얼한 후, 다이얼 톤 대기 방향을 따라 현재 저장된 전화 번호(다이얼링 프리픽스 후)에 프리픽스화된다.
다이얼 톤이 블럭(294)에서 즉시 검출되지 않는 경우, 셋탑 박스 모뎀(1)에 연결된 전화 번호는 콜 대기 기능을 인에이블하지 않고, 디세이블 번호를 전화 번호에 프리픽스화한다.
유사한 처리는 셋탑 박스 모뎀(1)이 연결된 중앙국이 펄스 다이얼 전용 중앙국인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에, 블럭(292)은 결정 블럭(288)으로 입력된다. 블럭(292)에서, 처음 다이얼링 코드(1170)는 다이얼되고, 변복조기 회로(50)는 다이얼 톤(커맨드 ATDP1170W) 대기를 조정한다. 다이얼 톤이 블럭(294)에서 검출된 경우, 이것은 콜 대기가 인에이블되고, 1170이 디세이블하기 위한 코드임을 표시한다. 이 경우에, 1170은 디세이블 코드를 다이얼한 후, 다이얼 톤 대기 방향을 따라 전화 번호(다이얼링 프리픽스 후)에 프리픽스화된다.
다이얼 톤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블럭(292)은 재입력되고, 디세이블 코드(7011)는 다이얼되며, 변복조기 회로(50)는 블럭(294)에서 다이얼 톤 대기를 조정한다. 다이얼 톤이 검출된 경우, 이것은 콜 대기가 인에이블되고, 디세이블하는 코드임을 표시한다. 이 경우에, 7011은 디세이블 코드를 다이얼한 후, 다이얼 톤 대기 방향을 따라 전화 번호(다이얼링 프리픽스 후)에 프리픽스화된다.
다이얼 톤이 즉시에 블럭(294)에서 검출된 경우, 셋탑 박스 모뎀(1)이 연결된 전화선은 콜 대기 기능을 인에이블할 수 없고, 디세이블 코드는 전화 번호에 프리픽스화되지 않는다. 이 점에서, (도 3의) 결정 블럭(253)은 입력되고, 중앙 컴퓨터에 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합한 다이얼링 프리픽스를 외부선에 억세스하도록 결정함으로써, 콜 대기를 디세이블하는 다른 코드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의 가능한 리스트는 제어 회로(60)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들 코드는 톤 다이얼링용으로 블럭(290 및 294)에 의한 1 대 1로 시도되고, 펄스 다이얼링용으로 블럭(292 및 294)에 의한 1 대 1로 시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콜 대기를 디세이블하는 가능한 코드의 리스트는 최상 코드에서 최저 코드까지 명령될 수 있고,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수정은 후술되는 청구항의 정신 및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고 만들 수 있다.

Claims (20)

  1. 가입자 전화선에 연결된 모뎀을 자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가입자 전화선이 연결된 중앙국이 톤-다이얼 중앙국인지 펄스-다이얼 전용 중앙국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다이얼링 프리픽스가 상기 가입자 전화선에 억세스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콜 대기 기능이 상기 가입자 전화선에 실행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전화선이 프리(free)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중앙국이 톤-타이알 중앙국인지 펄스-다이얼 전용 중앙국인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한자리수로 다이얼 톤을 내는 단계와,
    상기 다이얼 톤을 검출하도록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얼 톤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중앙국이 펄스 다이얼 전용 중앙국으로 판정하여 펄스 다이얼링을 사용하여 데이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얼 톤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중앙국이 톤 다이얼 전용 중앙국으로 판정하여 톤 다이얼링을 사용하여 데이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다이얼링 프리픽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다이얼링 프리픽스가 없는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을 검출하도록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을 검출한 경우, 다이얼링 프리픽스 없음이 필요하다고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다이얼링 프리픽스가 필요하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다이얼링 프리픽스가 필요하다고 판정한 경우, 다이얼링 프리픽스를 전화 번호로 프리픽스화함으로써 상기 전화 번호를 수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정된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을 검출하도록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수정된 전화 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각각의 상이한 다이얼링 프리픽스를 사용하여 수정 단계, 다이얼링 단계 및 대기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이 상기 각각의 상이한 다이얼링 프리픽스로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정확한 다이얼링 프리픽스를 사용자에게 조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이한 다이얼링 프리픽스를 사용하여 수정, 다이얼링 및 대기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는 다이얼링 프리픽스 리스트로부터 각각의 상이한 다이얼링 프리픽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다이얼링 프리픽스 리스트는 가장 가능성이 있는 다이얼링 프리픽스로부터 가장 가능성이 없는 프리픽스까지 명령되고, 선택 단계는 가장 가능성이 있는 다이얼링 프리픽스로부터 가장 가능성이 없는 프리픽스까지 순서대로 상기 다이얼링 프리픽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다이얼링 프리픽스 리스트는 배치할 수 있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다이얼링 프리픽스 리스트는 배치할 수 있고 중앙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콜 대기 기능이 실행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를 다이얼링하는 단계와,
    다이얼 톤을 검출하도록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얼 톤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콜 대기 기능이 실행되었음을 판정하고 상기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를 포함하도록 연결을 설정하는데 사용된 전화 번호를 수정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얼 톤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콜 대기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를 다이얼링하는 단계는
    중앙국이 톤-다이얼 중앙국으로 판정된 경우 제1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를 다이얼링하는 단계와,
    중앙국이 펄스-다이얼 전용 중앙국으로 판정된 경우 제2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를 다이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콜 대기 기능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를 다이얼링하는 단계와,
    다이얼 톤을 검출하도록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얼 톤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콜 대기 기능이 실행되었음을 판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 중 하나를 포함하도록 연결을 설정하는데 사용된 전화 번호를 수정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얼 톤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각각의 상이한 콜 대기 기능을 선택하여 다이얼링 및 대기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얼 톤이 상기 각각의 상이한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콜 대기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선택 단계는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 리스트로부터 각각의 상이한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는 가장 가능성이 있는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로부터 가장 가능성이 없는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까지 명령되고, 선택 단계는 가장 가능성이 있는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로부터 가장 가능성이 없는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까지 순서대로 상기 리스트로부터 상기 각각의 상이한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 리스트는 배치할 수 있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콜 대기 기능 디세이블링 코드 리스트는 배치할 수 있고 중앙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는 방법.
  17. 데이타 연결을 자동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가입자 전화선이 연결된 전화선 인터페이스 회로와,
    상기 전화선 인터페이스 회로에 연결된 변복조기 회로와,
    상기 변복조기 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변복조기 회로가 상기 가입자 전화선에 데이타 연결을 설정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전화선이 연결된 중앙국이 톤-다이얼 중앙국인지 펄스-다이얼 전용 중앙국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타 연결 자동 설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다이얼링 프리픽스가 상기 가입자 전화선을 억세스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를 더 포함하는 데이타 연결 자동 설정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콜 대기 기능이 상기 가입자 전화선에 실행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를 더 포함하는 데이타 연결 자동 설정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전화선 인터페이스 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전화선 인터페이스 회로가 상기 가입자 전화선에 연결된 경우와 상기 가입자 전화선이 사용중인 경우를 검출하기 위한 연결 검출 장치와,
    상기 변복조기 회로에 추가로 응답하여 상기 전화선 인터페이스 회로가 상기 가입자 전화선에 연결된 경우와 상기 가입자 전화선이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만 상기 변복조기 회로가 상기 가입자 전화선에 연결을 설정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데이타 연결 자동 설정 장치.
KR1020017002670A 1998-08-28 1999-08-27 다이얼-업 모뎀 연결을 위한 전화 시스템 설정의 자동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0669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43,249 1998-08-28
US09/143,249 US6546091B1 (en) 1998-08-28 1998-08-28 Automatic detection of phone system settings for dial-up modem connec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893A true KR20010074893A (ko) 2001-08-09
KR100669956B1 KR100669956B1 (ko) 2007-01-18

Family

ID=2250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670A KR100669956B1 (ko) 1998-08-28 1999-08-27 다이얼-업 모뎀 연결을 위한 전화 시스템 설정의 자동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546091B1 (ko)
EP (1) EP1108321B1 (ko)
JP (1) JP2002524925A (ko)
KR (1) KR100669956B1 (ko)
CN (2) CN1156130C (ko)
AU (1) AU5589599A (ko)
DE (1) DE69943268D1 (ko)
MX (1) MXPA01001976A (ko)
TW (1) TW424372B (ko)
WO (1) WO200001339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4846B1 (en) * 1999-07-22 2004-01-06 Conexant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modem pulse dialing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3929673B2 (ja) * 1999-09-30 2007-06-13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
US20020112241A1 (en) * 2001-02-14 2002-08-15 Cocchi Ronald P. Internet service provider callback for satellite systems
GB0103830D0 (en) * 2001-02-16 2001-04-04 Pace Micro Tech Plc Broadcast data reciever system
US7127209B2 (en) * 2001-04-27 2006-10-24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urate service record using phone line detector
WO2005114444A1 (en) * 2004-04-30 2005-12-01 America Online, Inc. Network configuration management
CN101626433B (zh) * 2008-07-08 2013-08-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调制解调器接口测试装置和方法
CN109561194B (zh) * 2018-12-27 2021-08-06 深圳市新国都支付技术有限公司 一种pos机拨号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1688A (fr) * 1971-11-24 1973-03-16 Western Electric Co Montage pour systeme d'autocommutateur prive
US4852151A (en) 1988-02-24 1989-07-25 Hayes Microcomputer Products, Inc. Modem with call waiting
JPH02105796A (ja) * 1988-10-14 1990-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構内交換機
US5268959A (en) * 1990-06-22 1993-12-07 Hong Inpon D Telephone long distance redialing apparatus and process
JPH05199290A (ja) * 1992-01-22 1993-08-06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ダイアル方式自動切替装置
US5581369A (en) * 1992-09-25 1996-12-03 Rali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electrocardiographic data to a facsimile machine
WO1994019896A1 (en) 1993-02-25 1994-09-01 Caulton, Brett, Nixon Telelphone dialling code processor
GB2296158B (en) 1994-12-15 1999-06-23 Nokia Mobile Phones Ltd Dialling apparatus
US5546451A (en) * 1995-05-31 1996-08-13 Aastra Technologies Inc. Call waiting cancellation device
US5519767A (en) 1995-07-20 1996-05-21 At&T Corp. Voice-and-data modem call-waiting
US5930346A (en) * 1996-10-17 1999-07-27 Chen; Abraham Y. Extended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rchitecture with enhanced subscriber control on call setup
JPH10164260A (ja) * 1996-11-29 1998-06-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変復調装置
US5946390A (en) * 1997-02-28 1999-08-31 Lucent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telephone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aling prefixes
US6081508A (en) * 1998-02-25 2000-06-27 Indus River Networks, Inc. Remote computer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2731A (zh) 2004-07-14
CN1156130C (zh) 2004-06-30
WO2000013395A2 (en) 2000-03-09
MXPA01001976A (es) 2002-04-24
TW424372B (en) 2001-03-01
CN100367742C (zh) 2008-02-06
KR100669956B1 (ko) 2007-01-18
DE69943268D1 (de) 2011-04-21
US6546091B1 (en) 2003-04-08
AU5589599A (en) 2000-03-21
WO2000013395A3 (en) 2000-06-08
JP2002524925A (ja) 2002-08-06
CN1325585A (zh) 2001-12-05
EP1108321B1 (en) 2011-03-09
EP1108321A2 (en) 200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983B1 (ko) 자동가입자콜백시스템
CA2159845A1 (en) Enabling technique for quickly establishing high speed pstn connections in telecommuting applications
KR987001183A (ko) 자동 콜백 설비를 갖는 모뎀(Modem with Automatic Callback Provisions)
KR100669956B1 (ko) 다이얼-업 모뎀 연결을 위한 전화 시스템 설정의 자동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34855A (ko) 팁 및 링 톤신호 검출기용 근거리 종단 음성 제거 방법 및시스템
US6353748B1 (en) Digital wireless local loop fax/data interface
EP0396105A2 (en) Data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telephone receiver and data terminal unit
US5978461A (en) Telephone switching system with internal and external channel
KR100194456B1 (ko) 하나의 가입자선로를 이용한 단말장치의 선택 호출방법
US6980630B1 (en) Self contained voice and internet device with telephone keypad controls
RU2121236C1 (ru) Удаленный абонентский модуль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в нем внутреннего вызова
JPH04188944A (ja) Dtmf信号検出方法
KR200169422Y1 (ko) 무선 컴퓨터 통신장치
JPH0825137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334720A (ja) 電話通信装置
EP1011238A2 (en) Network selection device
JP200304667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20090794A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서의 온/오프 후크 전환 장치 및방법
JPH0131446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における電話回線設定方式
JP2001016361A (ja) 通信装置および回線付加サービス対応機能設定方法
JPH068598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式
JPH1098549A (ja) Faxデータ送信音認識装置
JPH07177253A (ja) データ疑似受信機能付電話機
JPH04319859A (ja) 自動発呼機能付き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22450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