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856A - 다중접속장치와이를이용한전기.전자제품통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접속장치와이를이용한전기.전자제품통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856A
KR20010073856A KR1020000003004A KR20000003004A KR20010073856A KR 20010073856 A KR20010073856 A KR 20010073856A KR 1020000003004 A KR1020000003004 A KR 1020000003004A KR 20000003004 A KR20000003004 A KR 20000003004A KR 20010073856 A KR20010073856 A KR 20010073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ircuit
code
signal
micom1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돈
Original Assignee
고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돈 filed Critical 고돈
Priority to KR102000000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3856A/ko
Publication of KR20010073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8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1. 기술 분야 : 컴퓨터 통신(디지털 통신)
2. 해결 문제 :
종래에는 없는 방법으로서 전기장치들을 통신망에 연결하여 컴퓨터로 관리하고 터미널 또는 리모콘으로 제어 하게하여 원격 제어 또는 통합관리의 편리함 또는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여, 가종 전기장치를 종래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수있게 해준다.
3. 해결 방법 :
도면 제 6 도의 자동접속회로((RD1, RD2, RD3, RD4) => (O1, O2, O3, O4) => K1 => MRD 와 MTD => N1 => (D1, D2, D3, D4) => (D5, D6, D7, D8) => (O1, O2, O3, O4) 와 (RD1, RD2, RD3, RD4) => (D1, D2, D3, D4)) 그리고, 도면 제 15 도의 자동접속회로((RD1, RD2, RD3, RD4) => (D1, D2, D3, D4) => N1 => MRD 와 MTD => T1 => (G5, G6, G7, G8) => (G9, G10, G11, G12) => (D1, D2, D3, D4) 와 (RD1, RD2, RD3, RD4) => (G1, G2, G3, G4) => (G5, G6, G7, G8) 와 (RD1, RD2, RD3, RD4) => (N1, N2, N3, N4) => (TD1, TD2, TD3, TD4)) 그리고, 도면 제 16 도의 자동접속회로 ((RD1, RD2, RD3, RD4) => (D1, D2, D3, D4) => N1 => MRD 와 (D1, D2, D3, D4) => (G1, G2, G3, G4) => (D1, D2, D3, D4) 와 (D1, D2, D3, D4) => (N2, N3, N4, N5) => (TD1, TD2, TD3, TD4)) 그리고 버퍼 ((RB1, RB2, RB3, RB4) => (O2, O3, O4, O5) => N6 => MRB 와 (MTB => (N7, N8, N9, N10) => (TB1, TB2, TB3,TB4)) 들을 이용한 통신회로를 사용하여 해결.
4. 발명 용도 : 각종 전기장치들을 통신으로 통합관리한다.

Description

전기.전자제품 통합관리 시스템 구성방법{.}
본 발명은주택/아파트/사무실/공장 등에서 전기.전자 제품(이하 통칭하여 "전기장치"라 부르기로한다.)들을 사용(제어)함에 있어 이것들을 마이크로 컴퓨터(또는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되는 중앙통제 시스템에 접속되게 한후 이전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관리 할수있게한 전기장치 통합관리 시스템(이하 줄여서 "통합관리 시스템" 이라 부른다.)의 구성 방법에 관한것이다.
이렇게 모든 전기장치를 통합하여 관리 한다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수있다.
1) 원거리에 있는 전기장치를 이동 하지않고 바로 동작 시킬수 있으며 그 결과도 즉시 확인할수 있다.
(터치스크린 터미널(화면에 손가락을 접촉시켜 제어를 지시할수 있는 터미널)을 통해 중앙통제 시스템에 지정된 전기장치의 동작 실행을 요구한다.
=> 그후 중앙통제 시스템은 지정된 전기장치로 제어코드를 전송한다.
=> 그후 지정된 전기장치는 요구된 동작을 실행후 동작 결과상태를 중앙통제 시스템으로 되돌려준다. => 그후 중앙통제 시스템에서는요구된 동작이 제대로 실행 되었는지를 확인후 이상이 있으면 재실행 또는 적당한 처리를 한다.
작업 종료후 동작결과를 상태코드를 터치스크린 터미널로 되돌려준다.
=> 그후 터치스크린 터미널은 실행 결과를 스크린으로 출력한다.)
2) 원거리에 있는 전기장치의 동작상태(ON/OFF 또는 고장)를 이동 하지 않고 바로 확인할수있다.
3) 중앙통제 시스템에서 각 전기장치들의 고장 유무를 감시하여 고장시에는 중앙통제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경보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고장에 대처한 응급조작을 자동으로 취할수있게 하므로서 예외상황(비상사태)를 대비하여 운영되게 할수있다.
4) 연결된 센서 터미널로부터 그날의 날씨 또는 햇볕의양 또는 화재발생 여부등과 같은 외부 또는 내부의 환경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한 적절한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하게 할수있다.
5) 중앙통제 시스템의 예약기능을 사용한다면 알람기능(멜로디를 출력) 또는 일정관리에 의한 일정예고 방송(음성을 출력) 과 같은 기능을 사용할수 있고, 또 예약 기능이 없는 VTR 을 이용하여 예약녹화를 하는것처럼 연결된 모든 전기장치에 예약 기능을 부여 할수도 있다.
6) 두대의 녹음기가 연결 되어있지 않더라도 중앙통제 시스템을 통하여, 한쪽 녹음기의 재생출력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후 반대측 녹음기로 전송하여 반대측 녹음기에서 녹음이 되게 할수있다.
7) 음향(소리의 주파수로 판단) 또는 음성(음성을 인식하여 판단)의 입력으로 각종 전기장치의 동작을 지시하여 줄수있다.
앞으로는 이와 같은 자동화주택(통합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주택)을 기본으로하여 모든 건물들이 지어질것으로 예상한다.
이미 부분적으로 이러한 편리함을 제공하는 자동화 주택형 건물들이 많이 건설되고 있다. 이미 기술적으로는 앞에서 제시된 모든 기능을 충분히 제공할수있는 수준에 있지만 아직 모든 건물들에서 특별한 전기장치에 대해서만 자동화를 지원하고, 일반 전기장치에 대해서는 자동화의 편리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통합관리 시스템을 지원 하기위한 표준규격(일반 전기장치들을 통합관리 시스템에 접속하려 할때 필요한 통신규격으로서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필요한 규격들)이 마련되어 있지않은 관계로 공장에서 통합관리 시스템용 전기장치들을 생산하지 못하게되고, 이에 따라 이것들을 사용하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자동화 주택이 건설되지 못하고 있는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이유로 자동화 주택이 건설되지 못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자동화주택을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의 표준규격"과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법" 들을 제시 하고자한다.
앞에서 표준규격이 없기 때문에 통합관리 시스템용 전기장치들이 생산되지 못하고 있다고 하였는데 꼭 그렇지는 않다.
원한다면 인터넷과 LAN 의 통신규격과 같이 현재 사용되도있는 통신규격을 기본으로하여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성할수도 있다. 그렇지만 현재의 통신규격들은 통합관리 시스템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않다. 때문에 현재의 통신규격들은 통합관리 시스템용으로 변형된 규격이 나오지 않는한 사용되지 못할것이다.
그러면 왜 종래의 통신규격이 통합관리 시스템용으로 적합하지 않는지 알아보자.
종래의 변복조 방식으로 신호전송 회로를 구성할경우 비용 상승 문제가 발생한다.
전등 또는 모터와 같은 간단한 동작만 하는 수많은 전기장치를 위하여 변복조회로가 사용된다면 시스템의 설치 비용이 너무 많이 들게된다.
그래서 신호를 변복조 하지않고 베이스밴드 방식으로 신호를 직접 전송할 경우, 각각의 전기장치는 1 개씩의 독립된 케이블을 사용하게된다. 이럴경우 보통의 가정집에서는 적어도 수백개 이상의 전기장치를 사용 하게될것이고, 이렇게되면 또 이 전기장치를 연결하기위해 수백개 이상의 신호선이 모여서 중앙 통제 시스템에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도 무리가 있다.
그러면 또 시분할 전송을 생각 해볼수 있지만 이렇게 접속되는 회로가 수백개 이상으로 되는 시스템에서는 시간 지연으로 인한 전기장치의 오동작이 발생 할수 있다. 사실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신호전송의 경우 사용자가 건드리지 않으면 언제까지라도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데 이렇게 잠들어 있는 전기장치를 위하여 시간을 할애 한다면 시간낭비가 너무 심하게된다. 이렇게 종래의 방식처럼 각각의 전기장치를 일일이 감시하는 방식의 신호전송 회로를 사용한다면 효과적인 해결을 할수 없게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모든 전기 장치들을 1 개의 케이블에 연결되게한후 공통 케이블과 각각의 전기장치 사이에 자동접속회로를 사용하여 현재 연결을 시도하는 전기장치 또는 연결을 시도하는 연결 전기장치들중 한개의 전기장치만이 공통 케이블에 연결되게 한후, 연결된 전기장치의 번지값과 우선 순위값만(3 BYTE)을 입력 받은후, 그 즉시 또 다른 전기장치의 접속을 허용하여 또 다시 번지값과 우선 순위값만을 입력 받은후, 또 다른 전기장치의 접속을 기다리게되는데, 이렇게 접속된 전기장치들은 백그라운드 공통케이블(또 하나의 회선)에 의하여 우선순위값 순서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이나마 대부분의 전기장치는 수십 BYTE 이하의 제어코드 전송만으로 작업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시간 지연에 의한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않는 "자동접속기에 의한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 방법"을 제시하고있다.
(시간을 요하는 작업은 우선순위가 낮은 작업으로 한정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은 시간을 적게 할당함을 원칙으로 한다.)
(최초에 제출된 명세서에는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자동접속기에 의한 통합관리 시스템회로 구성 방법" 에 대해 제시된후, 상업화 이전에 완성된 "통신 프로토콜"과 "각종 전기적 기계적 규격" 을 제시 할것이다.)
(차후의 "통합관리 시스템" 에서는 제어시스템이 아닌 데이터처리 시스템으로 발전하여 백그라운드회선으로 각종 고속통신망 방식을 지원하게 될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 제 17 도와 같이 중앙통제 시스템에 LAN 카드를 설치한후, 중앙통제 시스템과 LAN 카드의 접속으로 인터넷에 연결 되게한후, 인터넷을 통한 통합관리시스템의 제어와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터넷과 별개의 통신망으로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 1 도는 제어 장치없이 순수한 전기회로 만으로 구성된 종래 방식의 전등회로도로서 동작은 다음과 같다.
1) 배전반으로 부터 AC 220V 의 전원이 L1 과 L2 단자에 공급된다.
2) 그후 SW1 과 SW2 로서 L2 단자의 전원을 제어 함으로서 전등 FL1 과 FL2 가 ON/OFF 되어진다.
도면 제 2 도는 비동기식 시리얼 통신의 데이터포맷을 나타낸것이다.
송신측의 데이터가 없을때 신호선은 "H" 레벨로 되어있고 수신측은 이 선이 "L"로 될때까지 대기 하게된다. 이때 송수신측은 같은 주파수값을 가지는 크리스탈을 사용하여 클록 발생회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후 수신측에서는 스타트비트 하강에서 듀티폭 1/2 만큼 지연된 클럭펄스를 발생시켜 데이터를 읽어들이게된다.
송신데이터에는 스타트비트외에 실제의 정보가 되는 데이터비트(8비트)와 패리티체크를 위한 패리티비트와 스타트비트를 유효하게 하기위한 스톱비트가있다.
이렇게 비동기식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송신하거나 직렬로 수신된 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 해주는 인터페이스 회로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미 이러한 기능의 LSI(Z80 CPU 용으로는 8251A 와 Z80SIO 가 있다)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직접 설계할 필요는 없다.
8251A 를 RS-232C 용 포트로 사용할경우 (-)DTR, (-)DSR, (-)RTS, (-)CTS, RxD, TxD 6 개의 단자가 사용되지만 8251A 에서 8251A 로 직접 연결하여 통신을 할 경우에는 (-)DTR 과 (-)DSR 을 접속하고 (-)RTS 와 (-)CTS 를 접속한후 나머지 RxD 와 TXD 2 개의 단자만을 사용하여 비동기식 통신을 하게된다.
도면 제 3 도는 신호를 변복조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식하게 1 개의 케이블(4선식)에 모든 전기장치의 신호선을 접속시킨, 문제 해결전의 통합관리 시스템 전등회로의 블록도 (복잡한 회로를 간단히 블록으로 처리하여 단순화시킨 회로도)로서 구성과 동작은 다음과 같다.
<*> MICOM1 은 중앙통제 시스템 부분을 블록도로 그린것으로서 신호의 송수신 과정만을 설명하기 위해 최소한의 구성 요소들로 마이크로 컴퓨터회로가 구성되어있다.
구성은 CPU 외에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RAM 과 ROM 을 가지고 있으며 입출력 처리를 위해 I/O 인터페이스(비동기 시리얼통신용 LSI)부와 신호 입력단자 RD(RxD)와 신호 출력단자 TD(TxD)와 그라운드단자 GND 를 가지고있다.
<*> TM1 과 TM2 는 전등용 터미널(1. 각종 터미널들은 통합관리 시스템의 말단에 위치하여 접속된 전기장치들을 제어하는 처리장치로서 인터페이스 기능과 제어기능을 가지고있다. 2. 통합관리 시스템에 접속되는 각 전기장치들은 자체적으로 이 터미널 기능을 지원해 주어야한다. 그 이유는 각 전기장치마다 동작방법과 제어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을 블록도로 그린것으로 AC 220V 입력단자 L1, L2 와 AC 220V 출력단자 M1, M2 와 제어코드를 입력 받기위한 입력단자 MTD 와 동작상태 정보를 출력하기위한 출력단자 MRD 를 가지고 있다.
<*> RC1 은 사용자로부터 전기장치의 동작실행 명령을 입력 받기위한 리모콘수신용 터미널로서 일반 터미널(TM1, TM2)과 반대로 동작한다. 출력단자 MRD 에는 전기장치 제어를 지시하기위한 제어코드가 출력되고 입력단자 MTD 에는 전기장치 제어 실행후의 결과 상태코드가 입력된다. 그리고 포토 트랜지스터 PTR1 은 사용자의 리모콘으로 부터 빛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것이고, 스피커 SPK1 은 지정된 전기장치에서 동작실행 에러가 발생 하였을때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것이다.
<*> 이 회로는 TM1 과 TM2 와 RC1 의 출력단자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H" 값 출력과 "L" 값의 출력이 서로 충돌 하게되어 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도면 제 4 도는 도면 제 3 도에서 TM1 과 TM2 와 RC1 의 신호충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접속회로* BUF1 을 사용한 통합관리 시스템 전등회로의 블록도로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자동접속회로 BUF1 은 동시에 연결을 시도하는 전기장치들중 1 개의 전기장치만이 공통 신호선에 연결되게 하는 회로로서 BUF1 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면 제 5 도와 6 도의 설명에서 이루어진다.)
1) 사용자가 전등을 켜기위해 리모콘을 누르면 리모콘에서 빛신호가 출력되어 포토 트랜지스터 PTR1 을 통해 리모콘 터미널 RC1 에 입력된다.
2) 이 신호는 리모콘 터미널 RC1 에서 제어코드(리모콘터미널 주소값 + 전등터미널 주소값 + 제어종류)로 변환되어 출력단자 TD 를 통해 BUF1 의 RD3 단자에 입력된후 다시 BUF1 의 출력 단자 MRD 를 통해 MICO1 의 RD 단자에 입력된다.
3) 이 제어코드는 MICOM1 에서 재구성(지정된 전등 터미널의 코드형식에 맞추어)되어 출력단자 RD 를 통해 BUF1 의 MTD 단자로 입력된후 다시 BUF1 의 출력단자 TD1, TD2, TD3 을 통해 TM1 과 TM2 와 RC1 의 입력단자 RD 로 동시에 입력된다.
4) 그후 각 터미널은 이 제어코드가 자신에게 보내어진것인지를 확인한다.
5) 그후 선택된 전등터미널 TM1 은 전등을 켜는 작업을 실행후 전등의 동작상태를 검사하여 결과 상태값을 만든후 다시 출력단자 TD 를 통해 BUF1 의 입력단자 RD1 에 이 리턴코드를 입력시키게되고 BUF1 은 다시 출력단자 MRD 를 통해 MICOM1의 RD 단자에 입력시킨다.
6) MICOM1 은 전등의 동작상태를 검사하여 적당한 처리를 한후 리턴 코드를 재구성하여 출력단자 TD 를 통해 BUF1 에 출력 하게되고 BUF1 은 다시 출력단자 TD1, TD2, TD3 을 통해 TM1 과 TM2 와 RC1 에 동시에 출력 하게된다.
7) 그후 리모콘 터미널 RC1 은 리턴코드가 자신에게 온것임을 확인후 이 리턴코드로서 전등의 동작상태를 검사후 에러가 발생 하였을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게 된다.
<*> 이때 리모콘터미널 RC1 은 경보음 출력기능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어야한다. 만약에 RC1 에 이 기능이 없어서 중앙통제 관리시스템 MICOM1 을 이용하여 이 기능을 실현 하므로서 MICOM1 에 부담을 주게된다면 수백개 이상의 연결된 터미널중 다수의 터미널들이 동시에 작업요구를 하였을경우 시스템 처리 속도에 부담을 주어 긴급처리를 원하는 작업요구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 때문에 본 통합관리 시스템에서는 리모콘터미널의 작업요구 처리속도를 높이기 위해 도면 제 5 도와 같이 한쌍의 회선(송/수신 각 1 회선)을 추가한 백그라운드 작업방식을 사용하고있다. 이렇게 백그라운드 작업방식을 사용할경우 본 회선은 작업요구 터미널의 번지값(2 바이트)을 취득하여 백그라운드 작업큐에 저장 후 것만으로 작업이 종료되므로 터미널의 대기시간을 이전의 1/10 ~ 1/100 정도로 줄일수 있게된다.
그후 백그라운드 작업루틴은 작업큐를 검색 하게되고 새로운 작업의 우선순위값(각 터미널의 우선순위값 정보가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있다.)이 현재작업 보다 높을 경우 먼저 처리하게된다.
(본 회선 작업과 백그라운드 회선작업은 멀티 타스킹에의해 따로 이루어진다.)
(도면 제 5 도의 회로에서 필요할 경우, 본회선의 작업효율을 높이기위해 본회선 작업루틴에서 주기적으로 자동접속 동작을 실행 하면서, 병행하여 본 회선으로 접속된 전기장치의 작업을 실행 할수도있다.)
<*> 특히 차후의 "통합관리 시스템" 에서는 제어시스템이 아닌 데이터처리 시스템으로 발전하여 백그라운드회선으로 각종 고속통신망 방식을 지원하게 될것이다.
도면 제 5 도는 백그라운드 작업을 지원하는 통합관리 시스템 전등회로의 블록도로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입출력단자 이름 뒤에 'B' 가 붙은것은 백그라운드 회선용 입출력단자 이다.)
1) 사용자가 리모콘을 사용하여 리모콘 터미널 RC1 에 작업을 지시하면 RC1 은 먼저 제어코드(전등 터미널 주소값 + 제어종류)를 작성후 본 회선으로 부터의 접속가능 신호를 기다린다.
2) 그후 MICOM1(중앙제어장치) 의 본회선 작업루틴은 접속을 시도하는 각 터미널들이 자동 접속회로 BUF2 에 접속 되게하기위해 접속가능 신호를 모든 터미널에 출력 하게 된다. (MICOM1-TD => BUF2-MTD => BUF2-TD3 => 각 터미널-RD)
3) 그후 리모콘 터미널 RC1 은 자동접속 회로에 접속하기위해 접속 요구신호를 BUF2 로 출력한다. (RC1-TD => BUF2-RD3 => BUF2-MRD => MICOM1-RD)
4) 자동접속회로에 접속된후 RC1 은 본 회선으로 자신의 번지값을 출력(RC1-TD => BUF2-RD3 => BUF2-MRD => MICOM1-RD) 후, 입력 라인을 백그라운드 회선으로 변경하여 MICOM1 의 백그라운드 작업 루틴에서의 호출을 기다린다.
5) 이때 MICOM1 의 본회선 작업루틴은 본 회선으로 입력된 리모콘 터미널의 주소값을 작업큐에 저장후, 백그라운드루틴에서 작업큐를 검색 하도록 하기위해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발생시킨후, 곧 바로 위 2) 의 동작과 같이 다른 터미널의 접속을 허용하기위해 본 회선으로 접속가능 신호를 다시 출력한다.
6)이때 백그라운드 작업루틴은 인터럽트의 발생으로 작업큐를 검색하게되고, 그후 우선 순위가 높은 작업 또는 마지막 작업일때, 주소값을 사용하여 백그라운드 회선을 통해 모든 터미널에 제어코드 전송요구 메세지를를 보낸다.
(MICOM1-TB => BUF2-MTB => BUF2-TB3 => RC1-RB)
7) 그후 RC1 은 그 메시지가 자신에게 온것임을 확인(메세지에 들어있는 번지값으로 확인한다.) 후 백그라운드 회선을 통해 MICOM1 에 제어코드를 전송한다.
(RC1-TB => BUF2-RB3 => BUF2-MRB => MICOM1-RB)
(백그라운드 회선에서는 지정된 터미널만이 응답을 하기때문에 자동 접속회로를 사용하지않고 바로 MICOM1 으로 바로 송신 하게된다.)
8) 그후 MICOM1 의 백그라운드 작업루틴은 RC1 에서 보내어진 제어코드를 재구성하여 백그라운드 회선을 통해 모든 터미널로 출력한다.(MICOM1-TB => BUF2-MTB => BUF2-TB3 => TM1-RB)
9) 그후 전등 터미널 TM1 은 백그라운드 회선을 통해, 이 제어코드가 자신에게 온것임을 확인후, 요구된 동작을 실행(전등 ON/OFF)하게되고, 그후 TM1 은 실행결과 상태코드를 만들어 MICOM1 로 다시 출력 한다.(TM1-TB => BUF2-RB1 => BUF2 => MRB => MICOM1-RB) (리모콘 터미널과 달리 전등용 터미널은 MICOM1 로 제어코드를 보내지 않으므로, 고장 발생(비상사태)과 같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백그라운드 회선에서 호출 대기상태로 지내게된다.)
10) 그후 MICOM1 은 상태코드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실행후, TM1 의 결과 상태코드를 RC1 으로 출력((MICOM1-TB => BUF2-MTB => BUF2-TB3 => RC1-RB) 한다.
11) 그후 리모콘 터미널 RC1 은 이 상태코드가 자신에게 보내어진것임을 확인후 이 상태코드를 검사후 에러가 발생 하였을경우 스피커로 경보음을 출력한다.
도면 제 6 도는 도면 제 5 도에서 BUF2 로 사용될수있는 "래치를 포함하는 단방향 자동 접속회로"의 내부 회로도로서, 게이트 K1, O1 ~ , N1, T1, D1 ~ (본 회선) 들로 이루어진 자동 접속회로(다수의 터미널들이 본 회선에 접속을 요구할때 1 개의 터미널 만이 접속될수 있게 하는회로)와 게이트 K2 와 T2 (백그라운드 회선)로 이루어진 버퍼 회로가 들어있다.
(본 명세서에는 자동접속회로(BUF2)로 도면 제 6 도와 제 15 도와 제 16 도 3개의 회로가 제시되고있다.)
위에서 뒤에 설명된 버퍼회로는 백그라운드회선(이름 뒤에 'B' 가 붙은 단자회선)을 위한 회로로서, MICOM1 로 부터의 백그라운드신호 출력을 MTB 단자로 입력 받은 후 게이트 T2 로 안정시켜 RB1, RB2, RB3, RB4 단자들을 통해 각 터미널로 출력하는 송신용 버퍼회로와, 각 터미널로 부터의 백그라운드신호 출력을 RB1, RB2, RB3, RB4 단자로 입력받은후 게이트 K2 로 입력을 모아서 MRB 단자 를 통해 MICOM1로 출력하는 수신용 버퍼회로로 이루어져있다.
<*> 백그라운드 회선에서는 본 회선과 달리 MICOM1 에서 먼저 1 개의 터미널만을 지목하여 백그라운드 통신이 이루지는 관계로 다수의 터미널 출력들이 서로 충돌하는 일은 일어나지않기 때문에 자동접속 회로가 사용되지않는다.
위에서 앞에 설명된 자동접속 회로는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회로로서, BUF2 의 RD1 또는 RD2 또는 RD3 또는 RD4 단자를 통해 다수의 터미널들이 동시에 MICOM1과의 접속을 요구할때 오직 1 개의 터미널만이 MICOM1 에 접속 되게하는 기능의 회로로서, 앞에서 설명 된바와 같이 다수의 터미널들이 동시에 신호들을 출력할 경우 "H" 값 출력 과 "L" 값 출력이 서로 섞이는것을 막기위해 다수의 입력 RD1, RD2, RD3, RD4 들의 입력신호중 1 개의 입력 신호만이 게이트 K1 을 통과하여 MRD 로 출력 되게하여 자동접속 동작이 이루어진다.
게이트 K1, O1 ~ , N1, T1, D1 ~ (본 회선)으로 이루어진 자동 접속회로의 동작을 도면 제 5 도의 버퍼 BUF2 와 연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앞의 도면 제 5 도 4) 번의 설명중 "다른 터미널의 접속을 허용 하기위해 본 회선으로 접속가능 신호를 새로 출력한다." 의 동작에서 "L" 값의 HOLD 신호가 MTD 단자로 입력된다. (도면 제 13 도의 회로 참고.)
2) MTD 단자로 입력된 "L" 값의 HOLD 신호는 출력단자 TD1 ~ TD4 로 출력되고, 이 신호는 다시 모든 터미널의 RD 단자에 입력되어 "접속가능" 신호로 사용된다.
3) 그후 다수의 터미널중 MICOM1 에 접속을 원하는 터미널은 접속을 위해 "L" 값의 "응답신호" 를 TD 단자로 출력하게되고, 이 신호는 다시 BUF2 의 RD1 또는 RD2 또는 RD3 또는 RD4 단자에 입력되어 SET 신호로 사용된다.
4) "L" 값의 HOLD 신호는 "H" 값으로 바뀌어 게이트 D1 ~ D4 에 입력되는데, 이때 "L" 값의 SET 신호도 게이트 D1 ~ D4 에 동시에 입력되어지고, 이때 SET 신호가 입력된 게이트의 출력은 "H" 값으로 되어 선택회로(래치:Latch)에 입력되어, 이 선택회로의 출력단자 값에 따라 BUF2 에 접속되는 터미널이 결정된다.
5) 그후 MTD 단자로 입력된 신호가 "L" 에서 "H" 로 바뀌어 HOLD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서 게이트 D1 ~ D4 에 "L" 의 값이 입력되어, 선택회로에 입력되는 SET 신호를 차단 시키므로서 이후에 입력되는 RD1 ~ RD4 신호들은 선택회로(래ㅔ?의 출력을 바꾸지 못하게된다.
6) 이때 각 터미널들도 출력단자 TD1 ~ TD4를 통해 "H" 값의 HOLD 종료 신호를 입력 받은후 자동접속 작업이 종료 되었음을 감지하여 BUF2 의 입력단자 RD1 ~ RD4 에 "H" 값의 SET 종료 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선택작업 종료후 RD1 또는 RD2 또는 RD3 또는 RD4 로 다시 출력되는 신호는 BUF2 로 보내는 SET 신호가 아닌, MICOM1 로 보내는 시리얼 데이터가된다.
7) 그후 SET 신호에의해 다수의 터미널들중 1 개의 선택회로가 선택되어 게이트 D15 ~ D18 중 하나의 출력값을 "L" 만들어 게이트 O1 ~ O5 에 입력 시키게되므로서 RD1 ~ RD5 신호중 1 개의 신호만이 게이트 K1 에 입력되어 MRD 로 출력되게된다.
8) 그후 응답신호(SET 신호)를 출력 하였던 터미널들중 선택된 터미널은 SET 신호가 아닌 제어코드로서의 데이터를 BUF2 의 RD1 또는 RD2 또는 RD3 또는 RD4 단자에 입력시켜 게이트 O1 또는 O2 또는 O3 또는 O4 를 통과한후 다시 게이트 K1 을 거쳐 MICOM1 의 입력단자 RD 로 보내게된다.
9) 그후 MICOM1 에서 이 자신이 아닌 다른 터미널을 호출 한다면 다른 터미널이 접속 된것이므로 위의 1) 번 부터 8) 번의 과정을 다시 실행하여준다.
도면 제 7 도는 도면 제 6 도의 BUF2 에서 자동 접속 회로 부분만을 분리하여 부논리 회로를 정논리 회로를 바꾼후 블록도로 처리한것이다.
여기서 블록으로 처리한것은 자동접속 회렇: 구성함에 있어, 게이트회로가 아닌 다른 논리소자 또는 프로그램으로도 구성될수 있음을 보이기위한것이고, 또 부논리 회로를 정논리회로로 바꾸어 그린것도 동일한 회로 이지만 논리 신호를 바꾸므로서 구성 방법에는 또 다른 방법이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것이다.
앞도면 제 6 도는 HOLD 신호(또는 송신 데이터)와 SET 신호(또는 수신데이터)에서 "L" 의 값을 유효값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MICOM1 과는 상관없이 부논리회로가된다.
동작은 제 6 도에서 신호의 논리값을 꺼꾸로 하면 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된다.
<*> 이 도면에서의 게이트 기호는 도면 제 6 도의 게이트 기호 정리에 따른것이다.
도면 제 8 도는 도면 제 7 도 구성에서 인버터를 제거하여 다시 구성 한것이다. 이렇게 도면 제 7 도를 도면 제 8 도와 같이 바꾸어 그린것은, 이와 같이 논리소자 바꾸므로서 구성 방법에는 또다른 방법이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것이고, 이 경우는 도면 제 15 도와 도면 제 16 도 에서도 적용된다.
이 도면 제 8 도는 도면 제 6 도의 자동 접속회로를 구성함에 있어, 정논리 신호와 정논리 소자만을 사용하여 구성한것이다.
동작에 있어 도면 제 7 도와 달라진점은, 도면 제 7 도에서 인버터 제거후 게이트 A1 ~ A4 를 K5 ~ K8 로 바꾼후 래치의 SET 입력이 "L" 에서 "H" 로 바뀌어 신호만 바뀌었을뿐 동작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된다.
<*> 이 도면에서의 게이트 기호는 도면 제 6 도의 게이트 기호 정리에 따른것이다.
도면 제 9 도와 제 10 도는 도면 제 5 도의 BUF2 에서 자동 접속회로의 동작을 설명 하기위한 MTD 단자와 MRD 단자의 신호 동작 타이밍도로서 도면 제 13 도와 제 17 도의 설명에서 사용된다.
그중 도면제 9 도는 HOLD(접속 허용)신호 와 SET(응답) 신호를 송수신 데이터의 일부분으로 보내는 방식에서의 MTD 단자와 MRD 단자의 신호가된다.
(이 방식에서는 MTD 단자로서 자동접속 동작을 실행 하면서 동시에 본 회선으로 제어 작업을 병행 하므로서 본회선의 작업효율을 높일수가 있다.)
그리고 도면제 10 도는 HOLD 신호와 SET 신호를 보내기위해 8251A(시리얼 데이터 송수신용 LSI)를 사용하지않고 별개의 신호 발생회로를 사용하여 보내는 방식에서의 MTD 단자와 MRD 단자의 신호가된다. (도면 제 13 의 HOLD 단자와 SET 단자.)
(이 방식에서는 MTD 단자로서 자동접속 동작만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으므로서, 터미널의 접속에서 대기 시간을 최대한 줄일수가 있다.)
도면 제 11 도는 TTL 레벨과 RS-422 간의 인터페이스 규격 회로로서 TTL 신호에서 RS-422 규격의 신호로의 변환은 인터페이스 75174 에 의해 이루어지고, RS-422 신호에서 TTL 신호로의 변환은 인터페이스 75175 에 의해 이루어진다.
TTL 레벨의 신호는 불평형 회로로 되어있어 잡음에 약하기 때문에 단거리 통신에 주로 쓰이지만 RS-422 신호는 평형회로로 되어있고 또 선로 임피턴스가 낮기 때문에 잡음에 강하고 높은 전송속도를 지원한다. RS-422 규격의 전송회로를 사용할 경우 전송거리 100M 이내 에서는 데이터 전송속도를 1 Mbps 까지 얻을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의 실제회로 도면 제 13 도 회로 에서는 RS-422 규격으로 되어있다.
도면 제 12 도는 도면 제 5 도의 BUF2(자동 접속회로)의 회로 즉, 도면 제 6 도 또는 제 15 도 또는 제 16 도의 회로를 위의 RS-422 규격용으로 변환한 회로 로서 도면 제 13 도와 도면 제 17 도의 회로에 사용된다.
도면 제 12 도는 도면 제 5 도의 회로를 RS-422 규격으로 변환한 회로로서 MICOM1 과 TM1 과 RC1 의 인터페이스부 실제 회로를 보여주고있다.
도면 제 13 도는 도면 제 5 도의 실제회로, 즉 통합관리 시스템의 실제 회로도로서 RS-422 규격의 전송선로를 사용하고있으면, MICOM1 과 TM1 과 RC1 의 인터페이스부 실제 회로를 보여주고있다. (통신선로에 사용될수 있는 케이블은 8 심(4 쌍)의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로서 UTP 또는 STP 케이블이 사용될수있다.)
도면 제 13 도에 사용되는 버퍼는 도면 제 6 도 또는 도면 제 15 도와 같이 래치(터미널 선택을 위한 기억회로)를 내장한 자동 접속회로(BUF2)가 사용된다.
먼저 도면 제 13 도를 도면 제 9 도의 타이밍도와 연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1) 중앙통제 시스템의 본회선 작업 루틴에서 현재 처리중인 작업이 종료될 때, 도면 제 9 도와 같이 종료코드((16)FF, (16)FF)와 HOLD 코드((16)00)를 연속하여 출력한다. (도면 제 9 도에서 MTD 의 신호파형.)
2) 접속 대기중인 터미널은 앞의 종료코드로 다음 코드가 접속허용 코드임을 알게되고, 다음 코드 (16)00 의 스타트 비트에서 2 비트 정도 지연하여 접속 대기중인 터미널에서 출력단자 TD 로 SET(응답) 코드 (16)00 을 출력하여 BUF2 의 래치회로에 이력되게한후 제어코드를 연속하여 출력한다.
(도면 제 9 도에서 MRD 의 신호파형.)
3) 이때 자동 접속회로에서 래치에의해 터미널이 선택되어진다.
4) 그후 MTD 파형의 HOLD 코드끝(패리티비트)에서 "L" 에서 "H" 로 바뀌면서 래치로 입력되는 SET 신호가 모두 차단된다.
5) 그후 MICOM1 은 MRD 파형의 SET 코드끝(패리티비트)이 지난후 뒤의 제어코드를 입력 받기 시작하여 리모콘 터미널 번지값 2 바이트와 전등 터미널의 번지값 2 바이트와 제어코드 1 바이트를 입력받게된다. 그후 MICOM1 은 이 제어코드를 재구성하여 전등 터미널로 출력하게된다.
6) 그후 MICOM1 은 제어코드뒤에 종료코드를 추가하여 전등터미널로 제어코드를 전송 한다.
7) 이때 2 가지 동작이 발생하는데, 그것은 전등 터미널에서 이 제어코드가 자신에게 온것임을 판단후 제어코드를 받아들이는 동작과, 접속 대기중이던 다른 리모콘 터미널이 이 제어코드의 끝(HOLD 신호) 에서 접속하여 위의 2) 번 동작으로 자신의 제어코드를 MICOM1 로 전송하여 작업큐에 저장토록 하는 동작이다.
8) 그후 전등 터미널은 또다른 제어코드의 끝에서 접속하여 동작결과 상태값을 MICOM1 로 전송하게 된다.
8) 그후 MICOM1 은 동작결과 상태코드뒤에 종료코드를 추가하여 MTD 단자를 통하여 리모콘 터미널 RC1 으로 상태코드를 전송 한다.
<*> 여기서 중요 한것이있는데 터미널에서 MICOM1 으로 보내는 제어코드중 첫번째 바이트 SET 신호 (16)00 이 시리얼데이터 입출력 LSI 8251A 에 입력되지 못하도록 하여야한다. 이 동작은 MTD 의 출력 파형에서 HOLD 파형 시간만큼 (-)HOLD 단자를 "L" 값 으로 하여주므로서 자동으로 해결된다.
<*> 이 방식에서는 MTD 단자로서 자동접속 동작을 실행 하면서 동시에 본 회선으로 제어 작업을 병행 하므로서 본회선의 작업효율을 높일수가 있다.
도면 제 13 도를 도면 제 10 도의 타이밍도와 연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1) 중앙통제 시스템의 본회선 작업 루틴에서, 접속 대기중인 리모콘 터미널이 자동접속회로에 접속될수 있도록 (-)HOLD 단자를 통하여 "L" 의 값을출력하여 BUF2 의 MTD 단자에 입력되게한후, 모든 터미널에 출력되게한다.
2) 접속대기중인 리모콘 터미널 RC1 은 이 신호를 BUF2 의 TD3 단자를 통하여 입력받게 되고, (-)HOLD 단자를 통하여 HOLD 신호 "L" 값을 입력받은 RC1 은 (-)SET 단자를 통하여 SET 신호 "L" 값을 출력하여 BUF2 에 접속되게한다.
3) 이때 MICOM1 은 SET 신호 "L" 값을 BUF2 의 MRD 단자를 통하여 입력받아 (-)SET 단자가 "L" 값임을 확인후, 래치가 선택 되었음을 확인후 MICOM1 은 래치 작업을 종료하기 위해 (-)HOLD 단자의 출력을 "L"에서 "H" 값으로 바꾸어 출력한다. (도면 제 10 도에서 MTD 의 HOLD 신호파형.)
4) 이때 BUF2 의 MTD 파형이 "L" 에서 "H" 로 바뀌면서 래치로 입력되는 SET 신호가 모두 차단되고, 동시에 이 신호는 RC1 의 TD3 을 통하여 (-)HOLD 단자에 출력되어 RC1 은 자동접속회로의 래치 동작이 종료 되었음을 확인한후, RC1 은 (-)SET 단자의 출력을 "L" 에서 "H" 값으로 바꾸어 SET 신호 출력을 종료 시킨다.
(도면 제 10 도에서 MRD 의 SET 신호파형.)
5) 그후 RC1 은 자신의 번지값 2 바이트를 연속 출력하여 백그라운드 작업큐에 저장되게한다. (도면 제 10 도에서 MRD 신호파형.)
6) 그후 MICOM1 은 2 바이트 번지값을 백그라운드 작업큐에 저장후, 또 다른 리모콘 터미널이 자동접속회로에 접속될수 있도록 (-)HOLD 단자를 통하여 "L" 의 값으로 HOLD(접속 가능) 신호를 출력한다.(도면 제 10 도에서 MTD 신호파형.)
<*> 이 방식에서 도면 제 10 도의 RD 신호파형 처럼 SET 신호를 미리 출력하면 다른 터미널보다 먼저 BUF2 에 접속할수있다.
<*> 이 방식에서는 MTD 단자로서 자동접속 동작만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으므로서, 터미널의 접속에서 대기 시간을 최대한 줄일수가 있다.
도면 제 14 도는 긴급 제어코드 디코드회로로서 도면 제 22 도의 회로에서 사용될수 있다. 만약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전기장치의 고장 또는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게될경우, MICOM1 에의해 모든 터미널로 통신 중단을 요구하기 위해 긴급 제어코드를 보내게 되는데, 각 터미널에서는 이 제어코드를 해독하여 사용중인 회선을 자동으로 바꾸어서 사용중인 회선을 MICOM1 에 양보 하게된다.
도면 제 15 도는 래치를 포함하는 쌍방향 통신용 자동접속회로로서, 기본적인 동작은 도면 제 6 도의 래치를 포함하는 단방향 자동접속회로와 같지만, MICOM1을 통하지 않고 터미널과 터미널이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을수있는 쌍방향 통신용 자동접속회로이다. 기본적인 동작은 도면 제 16 도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이 회로에서 터미널과 터미널간의 쌍 방향 통신이 가능할수 있게 하는것은 바로, BUF2 에서 터미널로의 출력 TD1 과 TD2 와 TD3 과 TD4 들을 BUF2 의 MTD 단자에서 취하지않고 다른 출력단자들에서 취하기때문에 가능하게된다.
<*> 이 회로도 도면 제 7 도와 같이 정논리로 논리 신호를 바꾸거나 도면 제 8 도와 같이 논리 소자를 바꾸므로서 다른 회로를 구성할수있다.
도면 제 16 도는 래치를 포함하지않는 쌍방향 자동접속회로로서, 이 회로 역시 터미널과 터미널간의 쌍 방향 통신이 가능할수 있게 하는것은 바로, BUF2에서 터미널로의 출력 TD1 과 TD2 와 TD3 과 TD4 들을 BUF2 의 MTD 단자에서 취하지않고 다른 출력단자들에서 취하기때문에 가능하게된다.
그리고 중요한 동작으로 래치회로가 없이 자동선택동작을 할수 있는것인데 이동작설명은 아래 도면 제 17 도의 설명에서 하게된다.
도면 제 17 도는 도면 제 5 도의 실제회로, 즉 통합관리 시스템의 실제 회로도로서 RS-422 규격의 전송선로를 사용하고있으면, MICOM1 과 TM1 과 RC1 의 인터페이스부 실제 회로를 보여주고 있다. )
도면 제 13 도에 사용되는 버퍼는 도면 제 16 도의 래치(터미널 선택을 위한 기억회로)를 내장하지않은 자동 접속회로(BUF2)가 사용된다.
1) 중앙통제 시스템의 본회선 작업 루틴에서 현재 처리중인 작업이 종료될 때, 종료코드((16)FF, (16)FF)를 출력한다.
이때 MICOM1 의 (-)VOID 단자에도 "L" 의 값의 짧은 펄스를 출력후 다시 "H" 값으로 원위치 시킨다.(자동접속중의 신호를 차단한다.)
2) 그후 접속 대기중인 리모콘 터미널 RC1 은 (-)HOLD 단자에 "L" 의 값을 출력하여 BUF2 의 RD3 에 입력시킨후 게이트 G1, G2, G4 들의 출력을 "H" 로 만들어 다른 터미널의 입력 RD1, RD2, RD4 들을 차단시킨다.
3) 그후 RC1 은 BUF2 의 TD3 을 통해 입력된 SET 단자의 출력 신호가 "H" 값을 가짐을 확인하여 유일하게 자신이 선택되었음을 확인한다.
4)그후 RC1 은 (-)HOLD 단자의 출력을 "L" 에서 "H" 값으로 바꾸어 출력하여 자동 접속 작업을 종료 시킨다.
5) 그후 RC1 은 8251A 의 RxD 단자로 자신의 번지값을 출력하여 MICOM1 의 백그라운드 루틴의 작업큐에 저장되게 하거나, RC1 자신이 직접 전등 터미널을 호출하여 제어코드를 전달(쌍방향 통신 가능)할수있다.
<*> 이 자동 접속회로의 장점은 래치를 가진 자동 접속회로와 달리 터미널과 터미널간의 쌍방향 통신 또는 완전한 전 2 중 통신이 가능하다는것이다.
<*> 이 회로도 도면 제 7 도와 같이 정논리로 논리 신호를 바꾸거나 도면 제 8 도와 같이 논리 소자를 바꾸므로서 다른 회로를 구성할수있다.
도면 제 18 도는 전기장치를 통합관리 시스템에 최초로 설치할때 또는 정전후 1 분이 경과 했을경우에 발생하는 하드웨어 인터럽트에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터미널 장치에서 번지값 자동으로 셋팅하여 번지값을 일일이 지정하여주는 불편함을 없애주는 프로그램의 순서도로서 전기장치의 터미널에서 지원해 주어야 한다. 최초의 전기장치의 이름은 전기장치 고유의 시리얼 번호로로 되어있는데, 이것은 후에 적당한 이름으로 고쳐주면된다.
1) 자신의 C-MOS RAM(또는 쓰기 가능한 ROM) 에 들어있는 터미널 자신의 번지값과 자신의 C-MOS RAM 에 들어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의정보와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자신의 정보가 옳바른지를 확인한다.
2) 한 가지라도 잘못되었으면 모든 데이터를 갱신하여준다.
<*> 순서도에서 채널 A 는 본회선을 말하고, 채널 B 는 백그라운드 회선을 말한다.
도면 제 19 도는 통합관리 시스템의 실제 사용(설치) 예를 보여주기위한 보기그림으로서 통합관리 시스템이 어떻게 이용될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1) 장치 1 은 중앙통제 시스템의 본체로서 중앙통제 시스템을 운영하기위한 자동 제어 관리프로그램과 제어를 주고 받기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중앙 통제 시스템카드와 인터넷접속용 프로그램과 인터넷통신을 가능하게하는 LAN 카드를 가지고 있다.(중앙 통제시스템의 홈페이지 주소는 www.Main@HomeAPT.co.kr 로함.)
(인터넷 프로그램과 중앙통제관리 프로그램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을 통한 중앙 통제시스템의 접근이 가능하게된다. 데이터의 교환도 가능하다.)
2) 장치 2 는 터치스크린 모니터로서 키보드없이 중앙 통제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게된다.
3) 장치 3 은 중앙 통제 시스템(1)의 LAN 카드와 안방 컴퓨터(5)의 LAN 카드와 디지털 TV(11)의 LAN 장치를 서브 시스템에 접속 시켜주는 허브 장치이다.
4) 장치 4 는 허브에 연결된 인터넷 사용장치(유저)들을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서브 시스템 장치이다.
5) 장치 5 는 인터넷이 설치된 안방의 컴퓨터이다. (www.101a@HomeAPT.co.kr)
(이 컴퓨터를 이용하면 중앙 통제 시스템을 직접 제어할수있다.)
6) 이 장치는 리모콘 터미널 장치로서 각 방에 설치되어있다.
이 장치는 리모콘 입력을위한 포토 TR 과 동작을 직접 입력 하기위한 버턴 스위치와 동작 결과를 출력하기위한 LCD 화면과 음성 또는 소리를 입력 하기위한 마이크와 음성을 출력 하기위한 스피커를 가지고있다.
(인터폰과 겸용으로 사용할수도 있다.)
7) 이 전화기는 외출시에 전화를 이용하여 전기장치의 안전여부를 확인하고 제어할수있도록 터미널 기능이 내장되어있다
8) 이 장치는 자동접속기 장치(BUF2)이다.
전기장치의 추가를 대비하여 1 개의 잭단자를 여분으로 가지고있다.
9) 이 케이블은 LAN 카드와 허브를 연결하기위한 UTP 케이블이다.
10) 이 케이블은 중앙통제 시스템과 자동접속기 또는 자동접속기와 터미널을 연결하기위한 UTP 또는 STP 케이블이다.
11) 이 장치는 디지털 TV 로서 거실에 설치되어 중앙 통제 시스템을 직접 제어할수 있는 중앙통제 시스템 기능을 가지면서, 인터넷과 연결되어있다.
(www.101a@HomeAPT.co.kr)
12) 이 장치는 대부분의 통합관리 시스템용 전기장치를 연결 할수있도록 UTP 케이블 잭을 가진 AC 220V 콘센트이다. (도면 제 22 도 참고.)
<*> 대 부분의 전기 장치는 이 콘세트 또는 아래의 콘센트에 연결될것이다.
예를 들면 VTR, TV, 밥솥, 세탁기, 선풍기 등등.
13) 이 장치는 대부분의 통합관리 시스템용 전기장치를 연결 할수있도록 플러그에 신호선이 추가된 플러그를 위한 AC 220V 콘센트이다. (도면 제 20, 제 21 도 참고.)
<*> 대 부분의 전기 장치는 이 콘세트 또는 위의 콘센트에 연결될것이다.
예를 들면 VTR, TV, 밥솥, 세탁기, 선풍기 등등.
14) 이 장치는 통합관리 시스템용 전기장치가 아닌 일반 전기장치들을 연결하여 통합관리 시스템용 전기장치로 사용할수 있게 해주는 콘센트로서, 내부에 터미널 인터페이스 회로와 제어회로를 내장하고 있어 히터와 전등 같은 간단한 전기장치를 연결하여 ON/OFF 동작 또는 흐르는 전류의량을 제어하여주는 기능을 가진 AC 220V 콘센트이다. (도면 제 5 의 전등 터미널에 콘센트를 달은것과 같다.)
15) 이 장치는 장치 12) 와 비슷하지만 콘센트 대신 연결용 나사단자를 가지있는 것이 다르다. (이 장치는 벽 또는 천정에 매입되는 전기장치에 사용될수있다.)
16) 이 장치는 도면 제 5 에 사용될수있는 전등 터미널로서, 1 개의 장치에5 개의 전등을 달수있게 하였지만 전등은 3 개만 달고 나머지 4 번과 5 번 단자에는 정/역회전용모터에 연결되어있다. 이 모터는 차고문을 열고, 닫는데 쓰일수있다.
이 전등터미널은 독립된 5 개의 터미널들을 합쳐 1 개의 장치에 넣어져있다.
이렇게하면 1 개의 터미널 만으로 5 개의 터미널 번지를 관리할수 있으므로 생산원가를 낮출수 있을것이다.
17) 이 모터는 정/역회정 모터로서 4 번이 정회전 5 번이 역회전 단자가된다.
18) 이 장치는 무선 터미널 장치로서 AC 전원을 사용 하지않는 이동형 전기장치를 중앙통제 시스템에 연결시켜 관리할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미래에는 청소용 로봇을 이 무선 터미널로 연결하여 위치 확인과 동작 제어를 할수있게 될것이다.)
19) 이 장치는 스테레오 스피커와 함께 천정에 매입되는 디지털 녹음 장치로서, 앰프로 부터 멜로디나 음향 데이터를 전송받아 녹음시킨후 알람 출력용 또는 앰프대용으로 사용할수있는 장치이다.
20) 이 장치는 통합 관리시스템에 연결될수 있도록 터미널 기능을 가지고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용 앰프이다.
21) 이 장치는 통합 관리시스템에 연결될수 있도록 터미널 기능을 가지고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용 노래방기기이다.
22) 이 장치는 노래방 기기와 한 셋트를 이루는 조명 장치로서, 노래방 기기와 터미널로서 데이터를 주고받아 각각의 곡에 따라 조명이 자동으로 변화되게 하는 장치이다.
23) 이 장치는 통합관리 시스템을 지원 하지않는 전기장치에 범용적으로 설치되어 그 장치를 마음대로 복잡한 제어할수있도록 도와주는 터미널 아답터 장치이다.
도면 제 20 도는 각 전기장치의 터미널과 자동접속 회로 사이에 신호선을 연결함에 있어 플러그에 접지선 단자와 같은 형태로 8 개(5, 6, 7, 8, 9, 10, 11, 12)의 연결단자를 부착하여 간단하게 플러그만으로 신호선을 연결할수 있게해주는 플러그를 꽂을수 있는 콘센트이다.
<*> 여기서 또 다른 방법으로는, 13 번과 14 번에 포토 TR와 LED 와 같은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 할수있는 전기소자를 설치하여 연결단자 (5 ~ 12)들을 제거하는 방법도 생각 해볼수있다.
도면 제 21 도는 각 전기장치의 터미널과 자동접속 회로 사이에 신호선을 연결함에 있어 플러그에 접지선 단자와 같은 형태로 8 개(5, 6, 7, 8, 9, 10, 11, 12)의 연결단자를 부착하여 간단하게 플러그만으로 신호선을 연결할수 있게해주는 플러그이다.
도면 제 22 도는 각 전기장치의 터미널과 자동접속 회로 사이에 신호선을 연결함에 있어 위와 달리 콘센트에 연결용 잭단자를 설치후통합관리 선풍기를 연결할때의 예를 보여주고있다. (도면 제 19 도의 12) 번 참고.)
이상이 본 전기.전자제품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 방법과 사용예로서, 아직은 베이스밴드 전송 방식이 시스템의 가격과 다수의 전기장치에서 터미널회로에 투자 할수있는 비용면에서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방식이고, 이 경우 본 발명의 기본회로인 자동접속회로가 최적의 회로로 될것이다.
.
1. 종래 가정집의 전등회로 블록도.
2. 비동기식 시리얼 데이터 통신의 포맷.
3. 문제 해결전의 통합관리 시스템 전등회로 블록도.
4. 문제 해결후의 통합관리 시스템 전등회로 블록도.
5. 최종 방식의 통합관리 시스템 전등회로 블록도.
6. 래치를 포함하는 단방향 자동 접속회로도.(제 13 도 에서 BUF2 로 사용.)
7. 도면 제 6 도를 정논리로 바꾸어 구성한 블록도.
8. 도면 제 7 도에서 인버터를 제거후 재구성한 블록도.
9. TxD 데이터(송신 데이터)를 사용할때의 자동접속회로 동작 타이밍도.
10. TxD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을때의 자동접속회로 동작 타이밍도.
11. TTL 과 RS-422 간의 인터페이스 규격을 보여주는 회로도.
12. RS-422 규격용 자동접속회로 만들기(제 6, 15, 16 도의 회로로서 만든다.)
13. 래치-자동접속회로(제 6, 15 도)를 사용한 통합관리 시스템의 실제 회로도.
14. 긴급 제어코드 디코드회로.
15. 래치를 포함하는 쌍방향 자동접속회로도.(제 13 도 에서 BUF2 로 사용.)
16. 래치를 포함하지않는 쌍방향 자동접속회로도.(제 17 도 에서 BUF2 로 사용.)
17. 비래치-자동접속회로(제 16 도)를 사용한 통합관리 시스템의 실제 회로도.
18. 터미널 장치에서 번지값 자동셋팅 기능을 구현 하기위한 프로그램순서도.
19. 통합관리 시스템의 실제 사용(설치) 예를 보여주기위한 보기그림.
20. 신호선 또는 센서가 추가된 220V용 콘센트의 보기그림.
21. 신호선 또는 센서가 추가된 220V용 플러그의 보기그림.
22. 도면 제 21 도의 플러그 대신 UTP 케이블을 사용한 방법의 보기그림.
.
.

Claims (1)

1. 모든 터미널들을 1 개의 케이블에 연결후
공통 케이블과 각각의 터미널 사이에 자동접속회로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면 제 6 도 또는 제 15 도 또는 제 16 도의 자동접속 회로를 기본으로 하여 이 자동 접속회로의 동작이 시작될수 있도록 접속가능신호 또는 접속가능 코드를 발생시키는 중앙제어장치와 이 자동접속회로에 접속하기위해 자동 접속 장치용 접속요구 신호 또는 접속요구 코드를 발생시키는 터미널로 구성되는 통신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가능 신호(또는 접속가능 코드)를 발생하는 회로(또는 프로그램)를 가진 중앙제어장치 또는 도면 제 6 도 또는 제 15 도 또는 제 16 도 회로의 동작원리를 기본으로 하는 자동접속회로 또는 접속요구 신호(또는 접속요구코드)를 발생 시키는 회로(또는 프로그램)를 가진 터미널 장치.
KR1020000003004A 2000-01-21 2000-01-21 다중접속장치와이를이용한전기.전자제품통합관리시스템. KR20010073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004A KR20010073856A (ko) 2000-01-21 2000-01-21 다중접속장치와이를이용한전기.전자제품통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004A KR20010073856A (ko) 2000-01-21 2000-01-21 다중접속장치와이를이용한전기.전자제품통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856A true KR20010073856A (ko) 2001-08-03

Family

ID=1964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004A KR20010073856A (ko) 2000-01-21 2000-01-21 다중접속장치와이를이용한전기.전자제품통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385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562A (ko) * 1994-02-01 1995-09-18 김용현 가정 및 사무실 통합관리 전자시스팀
JPH1079800A (ja) * 1996-09-03 1998-03-24 San Denshi Kk リモ−トコントロ−ルホ−ムオ−トメ−ション装置
KR19990002303A (ko) * 1997-06-19 1999-01-15 김영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데이터통신 장치와 그 방법
KR19990007729A (ko) * 1998-10-27 1999-01-25 서정선 통합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19990031084A (ko) * 1997-10-08 1999-05-06 구자홍 홈 오토메이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562A (ko) * 1994-02-01 1995-09-18 김용현 가정 및 사무실 통합관리 전자시스팀
JPH1079800A (ja) * 1996-09-03 1998-03-24 San Denshi Kk リモ−トコントロ−ルホ−ムオ−トメ−ション装置
KR19990002303A (ko) * 1997-06-19 1999-01-15 김영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데이터통신 장치와 그 방법
KR19990031084A (ko) * 1997-10-08 1999-05-06 구자홍 홈 오토메이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07729A (ko) * 1998-10-27 1999-01-25 서정선 통합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0817B1 (en) Network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s
US20070223500A1 (en) Home Network System
US20040117068A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standards in the same
US20050015458A1 (en)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A029200B1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и соедин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иборов и устройств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ими и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об их состоянии
JP2006524012A (ja) リモコンが使用可能な無線データを備える電気器具
WO2004107659A1 (en) Home network system
KR20130081227A (ko) 잉여 통신 경로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
US8484323B2 (en) Network system connected with multiple master devic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8152343A (ja) 家電制御装置および家電制御方法
EP1905198A1 (en) Telematic network for managing devices and events in a domestic environment
KR20030062732A (ko)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디바이스 제어방법
CN101127607A (zh) 网络适配器
KR20010073856A (ko) 다중접속장치와이를이용한전기.전자제품통합관리시스템.
JPH09215067A (ja) 家電品インテリジェントシステム
KR100712922B1 (ko) 네트워크 통합시스템
KR100592407B1 (ko)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
JP2005354159A (ja) 通信モジュール
JP2005062977A (ja) 制御装置付帯モジュールおよび制御情報転送システム
KR100425762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KR100638026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2003087871A (ja) ホームバスシステム
CN106444554A (zh) 一种无线智能开关系统
JPH0398397A (ja) 機器制御装置
JP2000050474A (ja) 情報コンセントおよび配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