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265A - 장식블록 - Google Patents

장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265A
KR20010073265A KR1020000001500A KR20000001500A KR20010073265A KR 20010073265 A KR20010073265 A KR 20010073265A KR 1020000001500 A KR1020000001500 A KR 1020000001500A KR 20000001500 A KR20000001500 A KR 20000001500A KR 20010073265 A KR20010073265 A KR 20010073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layer
block
mortar layer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3718B1 (ko
Inventor
최승팔
Original Assignee
최승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팔 filed Critical 최승팔
Priority to KR102000000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718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9Building elements with a natural stone 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에 자연적인 미감을 강조할 수 있는 장식부재를 부착하여 자연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블록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블록의 상면에 임의의 형상으로 외곽을 형성하는 테두리부재를 고정설치하고, 그 내부에 몰탈층을 충진시키며, 몰탈층의 상면에 장식부재를 부착함으로서, 장식부재에 의해 자연적인 미감을 강조함과 동시에 이를 벽이나 실내장식등에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서,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식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식블록{BLOCK FOR DECORATION}
본 발명은 블록에 자연적인 미감을 강조할 수 있는 장식부재를 부착하여 자연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블록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식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인공적인 이미지보다는 자연적인 이미지를 느끼기 위해 벽이나 실내장식을 자연미가 강조되도록 꾸미고, 이에따라 인테리어회사등에서는 이같은 소비자의 욕구에 맞추어 자연미가 강조되는 제품 및 실내장식을 많이 선보이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추세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자연미를 강조할 수 있는 장식블록을 구현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록의 상면에 임의의 형상으로 외곽을 형성하는 테두리부재를 고정설치하고, 그 내부에 몰탈층을 충진시키며, 몰탈층의 상면에 장식부재를 부착함으로서, 장식부재에 의해 자연적인 미감을 강조함과 동시에 이를 벽이나 실내장식등에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서,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 발명 장식블록의 사용상태도
도2는 본 발명 장식블록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3은 본 발명 외곽 형성단계를 나타낸 구조도
도4는 본 발명 충진단계를 나타낸 구조도
도5는 본 발명 부착단계를 나타낸 구조도
도6은 본 발명 부착단계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B - 장식블록 1 - 블록
11 - 테두리부재 2 - 몰탈층
21 - 접착층 22 - 장식층
23 - 압착층 3 - 장식부재
31 - 돌 32 - 나무
4,5 - 고정부재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은 본 발명 장식블록의 사용상태도로서, 블록(1)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테두리부재(11)와, 상기 테두리부재(11)의 내부에 충진되는 몰탈층(2)과, 상기 몰탈층(2)의 외면에 돌출 고정되어 자연미를 강조하는 장식부재(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식부재(3)는 돌(31)과 나무(32)등 자연적인 장식물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합성수지재 및 기타의 재료로 형성된 장식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식블록(B)을 벽이나 실내의 내벽면에 사용하게 되면 인공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자연적인 미감을 느낄 수 있는 인테리어가 된다.
한편, 상기 장식블록(B)을 제조하는 방법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록(1)의 상면에 테두리부재(11)를 고정설치하는 외곽 형성단계(S1)와, 상기 단계(S1)를 진행하고 시멘트와 모래등을 섞어 몰탈을 만든 후 블록(1) 상면의 외곽 내부에 충진시키는 충진단계(S2)와, 상기 단계(S2)를 진행한 후 그 상면에 자연적인 미감이 강조된 장식부재(3)를 부착하는 부착단계(S3)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단계(S1)(S2)(S3)들을 도3 내지 도6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3에서와 같이 상기 외곽 형성단계(S1)에서는 블록(1)의 상면에 임의의 형상으로 테두리부재(11)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그 내부에 충진되는 몰탈층(2)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테두리부재(11)의 복수개소에는 고정부재(4)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는 테두리부재(11)의 외측면에 돌출시키지 말고, 내측면에만 돌출되도록 결합하여야 하며, 이는 블록(1)들이 서로 측면을 면접촉하며 설치됨으로서, 고정부재(4)에 의해 틈새가 발생되면 않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재(11)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정부재(4)의 끝단부를 절곡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테두리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으로 형성하여도 되고, 원형이나 삼각형등 여러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충진단계(S2)는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된 테두리부재(11)들의 내측에 몰탈층(2)을 충진하는 것으로, 상기 몰탈층(2)은 모래와 시멘트 및 방수재 그리고 흙등을 혼합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몰탈층(2)은 내부층과 외부층으로 구분되는바, 상기 내부층은 모래와 시멘트등이 혼합된 접착층(21)으로 충진되어 블록(1)과 견고히 접착됨과 함께 테두리부재(11)의 내측면에 돌출된 고정부재(4)도 견고히 고정시켜 테두리부재(11)가 블록(1)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층은 황토색이 나는 흙등의 재료와 시멘트 그리고 방수재를 혼합한 장식층(22)으로 충진되며, 이는 흙등의 재료를 혼합사용하여 자연적인 미감을 더욱 강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부착단계(S3)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31)이나 나무(32), 또는 자연적인 미감을 강조할 수 있는 기타 장식품들을 몰탈층(2)에 그 일부를 함입시켜 고정하는 것이다.
이에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돌(31)을 이용하여 장식블록(B)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돌(31)은 그 중량이 많이 나가므로 돌(31)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몰탈층(2)의 일부를 파내고 그 부분에 압착시멘트가 혼합된 몰탈을 충진시켜 압착층(23)을 형성한 후 돌(31)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돌(31)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돌(31)의 지름이 가장 긴 부분을 몰탈층(2)에 함입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나무(32)를 이용하여 장식블록(B)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나무(32)는 테두리부재(11)와 동일하게 고정부재(5)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즉, 상기 나무(32)의 하면에 고정부재(5)를 돌출되도록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부재(5)를 몰탈층(2)에 함입시키게 되면 나무(32)가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때 상기 나무(32)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부재(5)의 끝단을 내측으로 절곡하고, 상기 고정부재(5)를 몰탈층(2)에 함입 후 나무(32)를 조금 회전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5)를 몰탈층(2)에 함입시킬 때 몰탈층(2) 깊숙히, 즉 접착층(21)까지 함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충진단계(S2)를 진행한 후 부착단계(S3)를 진행함에 있어서, 몰탈층(2)이 완전 건조된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건조되기 이전에 모든 단계(S2)(S3)를 완료한 후 건조작업을 실시하게 되며, 이때 하나의 블록(1) 상면에 다수개의 장식부재(3)를 부착시켜도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5)를 도면에서는 못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외에도 비스나 고정핀등 다양한 고정구를 사용하여도 되고, 상기 몰탈층(2)을 형성시, 접착층(21)과 장식층(22)을 각각 형성하지 않고, 접착층(21)이나 장식층(22) 중 하나만으로 충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3)로 돌(31)을 사용시 압착층(23)을 충진하지 않고 몰탈층(2)에 함입시켜도 되며, 돌(31)의 후면에 고정부재(4)(5)를 결합시켜 고정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슴은 자명하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블록의 상면에 임의의 형상으로 외곽을 형성하는 테두리부재를 고정하고, 그 내부에 몰탈층을 충진시키며, 몰탈층의 상면에 장식부재를 부착함으로서, 장식부재에 의해 자연적인 미감을 강조함과 동시에 이를 벽이나 실내장식등에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서,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블록(1)의 상면에 임의의 형상으로 고정설치되어 외곽을 형성하는 테두리부재(11)와;
    상기 테두리부재(11)의 내부에 내층은 접착력을 발휘하는 접착층(21)이 충진되고 외층은 자연적인 질감을 발휘하는 장식층(22)이 충진된 몰탈층(2)과;
    상기 몰탈층(2)의 상면에 돌출 고정되어 자연미를 강조하는 장식부재(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블록.
KR1020000001500A 2000-01-13 2000-01-13 장식블록 KR100363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500A KR100363718B1 (ko) 2000-01-13 2000-01-13 장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500A KR100363718B1 (ko) 2000-01-13 2000-01-13 장식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265A true KR20010073265A (ko) 2001-08-01
KR100363718B1 KR100363718B1 (ko) 2002-12-05

Family

ID=1963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500A KR100363718B1 (ko) 2000-01-13 2000-01-13 장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37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974B1 (ko) * 2000-02-25 2002-05-02 최승팔 장식용 목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688B1 (ko) 2009-12-02 2012-07-16 이장현 옹이결합용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974B1 (ko) * 2000-02-25 2002-05-02 최승팔 장식용 목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3718B1 (ko)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5416B1 (en) Three-dimensional reconfigurable wall adornment system
KR100363718B1 (ko) 장식블록
KR101703335B1 (ko) 부조장식 벽면형성방법
KR100222197B1 (ko) 돌이 부착된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334974B1 (ko) 장식용 목판
KR100428648B1 (ko) 석화 제조방법
US7749346B1 (en) Decorative inlay repair method
CN206267457U (zh) 一种家用装饰板
KR200430184Y1 (ko) 인조 대리석 부분 장식 판재
KR200353605Y1 (ko) 가로에 설치된 기둥의 친환경적 장식 커버
KR100821338B1 (ko)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0910322B1 (ko) 에폭시 퍼티를 이용한 장신구의 스톤세팅 방법
AU2002326616A1 (en) A decorative surface covering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200236200Y1 (ko) 무늬 석재 및 타일
KR200177497Y1 (ko) 행어(hanger)
KR100355710B1 (ko) 돌이 부착된 판재
KR10149911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 간단하게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KR200196164Y1 (ko) 장식용 몰딩
KR0141538B1 (ko) 모자이크벽화 시공방법
KR200488676Y1 (ko) 레진-석고방향제
KR0135582B1 (ko) 석토화(石土畵)의 표출방법
AU2006230714A1 (en) Polystyrene Structures
JPH10151405A (ja) 発泡スチロールの表面の施工方法
JP3112883U (ja) 外壁材製プランター
JPH084270A (ja) 幅木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