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038A - 효율적인 발동 주기 사용을 위한 페이징 채널 구성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발동 주기 사용을 위한 페이징 채널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038A
KR20010073038A KR1020017002528A KR20017002528A KR20010073038A KR 20010073038 A KR20010073038 A KR 20010073038A KR 1020017002528 A KR1020017002528 A KR 1020017002528A KR 20017002528 A KR20017002528 A KR 20017002528A KR 20010073038 A KR20010073038 A KR 20010073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control channel
timeslots
timeslo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5723B1 (ko
Inventor
도그니 파레니우스
폴 덴트
이-핀 에릭 왕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010073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대기 모드 전력 성능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설명된다. 이동국이 아이들 모드 (idle mode)에서 발동 (wake-up)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다른 번호로 지정된 시간슬롯 (timeslot)으로 전송되는 동기화 심볼, 예를 들면 장기 코드 마스크 심볼 (long code masked symbol)을 판독하도록 허용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효율적인 발동 주기 사용을 위한 페이징 채널 구성 {PAGING CHANNEL CONFIGURATION FOR EFFICIENT WAKE-UP PERIOD UTILIZATION}
종래에는 가입자가 새로운 호출을 초기화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새로운 호출을 수신하도록 대기할 때 대화 사이의 시간 동안 배터리 동작 휴대용 전화기를 대기 모드 (또는 때로 "아이들 모드 (idle mode)"라 칭하여지는)로 동작시킴으로서 그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대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메카니즘은 수신기만이 동작하도록, 즉 지정된 네트워크 호출 채널만을 청취하도록 전송기를 off 상태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의 휴대용 전화기는 너무 작아서 작은 내부 배터리의 이용가능한 용량이 수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수신기를 동작시키기에 충분한 정도이다.
따라서, 수신기의 대기 모드 전력 소모를 더 줄이기 위해, 예를 들면 GSM (Europea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 표준에 따라 설계된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또 다른 방법이 설명되고 사용된다. 이 방법은 낮은 듀티 팩터 (duty factor)로 수신기를 on 및 off 펄스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별히, 네트워크는 특정한 원격 디바이스로의 페이징 (paging) 메시지 전송이 임의의 시간에 원격 디바이스에 도착하게 시간 조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이동국내의 수신기에 전력이 주어지는 주기를 알고 있다. 이 기술은 때로 "슬립 모드 (sleep mode)"로 원격 디바이스를 배치한다고 칭하여지고, 여기서 원격 디바이스는 호출이 셋업되는가를 결정하고 페이징 채널을 판독하도록 주기적으로 "발동 (wake up)"된다.
휴대용 전화기는 GSM 시스템 조건서에 따라, 그 전화 번호 중 일부 디지트 (digit)나 네트워크 작동자가 지정한 바에 의해 슬립-모드 그룹으로 나뉜다. 간단한 예로, 그 번호가 0으로 끝나는 전화기는 슬립-모드 그룹 0에 속할 수 있고; 1로 끝나는 전화기는 슬립-모드 그룹 1에 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호출 채널 용량은 시간상에서 슬립-모드 그룹에 대응하여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다수의 주기 (시간슬롯 (timeslot))로 나뉜다. 전화기로의 호출은 발동된 상태인 것으로 알려질 때 슬립-모드 그룹에 대응하는 주기에만 전송된다. 발동되어 네트워크로부터 이러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자신의 전화 번호나 식별 번호(ID)가 호출되고 있음을 검출하면, 휴대용 수신기는 펄스화를 중단하고 정보를 연속하여 더 수신하도록 유지될 수 있고, 휴대용 전송기는 가입자가 예를 들어 적절한 버튼을 눌러 호출을 수용할 때 그 호출에 응답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의해 호출되고 있는가를 결정하도록 지정된 페이징 주기 동안 발동되는 것에 부가하여, 원격 디바이스는 또한 높은 질의 연결을 제공하는 바람직한 기지국을 청취하고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인접한 기지국의 전송을 주기적으로 모니터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더 명확해질 바와 같이, 소정의 배터리 소스와 연관된 대기 시간을 증기시키기 위해서는 원격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인 시간량을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원격 디바이스는 동시에, 예를 들면 원격 디바이스가 페이징 채널을 판독하도록 발동될 때 상술된 작업, 즉 식별 번호를 갖는 페이징 메시지를 청취하는 것과 또 다른 보조 기능을 모두 실행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선통신 시스템의 복잡성은 일반적으로 성능 및 용량에서의 증가를 지지하도록 증가되므로,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를 적절하게 검출하여 복호화할 수 있도록 원격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의 수와 복잡성도 또한 증가된다. 특정하게 제안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억세스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구조는 원격 디바이스가 다양한 종류의 시간 동기화에 부가하여, 예를 들면 다양한 기지국의 전송과 연관된 역확산 코드(despreading code)를 식별하기 위해 특정한 다른 기능을 실행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추가 기능은 원격 디바이스가 각 수퍼프레임 (superframe)내의 지정된 페이징 시간슬롯에 부가하여, 방송 제어 채널의 프레임 구조내에 다수의 다른 시간슬롯, 즉 다르게 번호가 정해진 시간슬롯을 판독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원격 디바이스가 페이징을 목적으로 모든 수퍼프레임에서 똑같은 번호의 시간슬롯 또는 다수 시간슬롯에 "발동"되도록 지정되면, 원격 디바이스가 제어 채널 및 페이징 채널 모두에 대해 각 수퍼프레임에서 똑같은 번호의 시간슬롯을 판독하게 되므로, 페이징 기능과 다른 보조 기능이 동시에 실행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원격 디바이스는 보조 처리에 필요한 다른 번호의 시간슬롯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각 수퍼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시간슬롯 동안 "발동"되어야 한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는 대기 모드 동안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지정된 페이징 시간슬롯 동안 원격 디바이스가 페이징 기능과 다른 보조 기능 (예를 들면, 기지국 코드 식별 기능)을 모두 실행하도록 허용함으로서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설계된 시스템, 원격 디바이스, 및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요약>
종래 슬립 모드 (sleep mode) 및 페이징 (paging) 기술의 이러한 제한 및 결함과 다른 결함은 지정된 페이징 시간슬롯 (timeslot)을 판독하는데 필요한 최소의 시간량 동안만 발동되면서, 원격 디바이스가 제어 채널에서 다른 번호로 지정된 시간슬롯으로부터 정보를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 본 발명의 모범적인 실시예에 따라 극복된다. 한 모범적인 실시예에 따라, 이는 제어 채널에서 보다 페이징 채널에서 수퍼프레임 (superframe) 당 다른 수의 시간슬롯을 제공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제어 채널 수퍼프레임과 페이징 채널 수퍼프레임 사이에는 증가된 시간슬롯 오프셋 (offset)이 생성된다. 그래서, 원격 디바이스가 지정된 페이징 시간슬롯을 판독하도록 발동될 때, 이는 동시에 수신된 제어 채널 시간슬롯을 동시에 판독할 수 있다. 생성된 오프셋으로 인해, 동시에 수신된 제어 채널 시간슬롯은 원격국이 페이징 채널 수퍼프레임 구조에 관련되어 똑같은 페이징 시간슬롯을 판독하고 있을 때라도, 수퍼프레임에 따라 변화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모범적인 실시예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시간상의 전력 제공을 최소화하면서 제어 채널 중 다른 번호로 지정된 시간슬롯에서 정보를 판독하는 것은 원격 디바이스를 다른 페이징 그룹으로 재맵핑 (remapping)하고 추가 발동 시간을 이용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원격 디바이스를 다른 페이징 그룹으로 재맵핑함으로서, 원격 디바이스는 제어 채널에서 다른 번호의 시간슬롯을 판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격 디바이스가 지정된 페이징 시간슬롯 보다 조금 더 길게 발동될 필요가 있으면, 이 추가 시간은 또한 제어 채널에서 다른 번호의 시간슬롯을 판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모범적인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원격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지정된 초기 시간슬롯은 페이징 메시지를 청취하도록 발동될 때 다른 제어 채널 시간슬롯에서 정보를 판독할 기회를 원격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수퍼프레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로 동작되는 코드리스 (cordless) 또는 무선 (radio) 전화기의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에어 인터페이스 (air interface)와 연관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과 연관되어 사용될 수 있는 모범적인 전송기 및 수신기 구조의 블록도.
도 2b는 확산 코드 (spreading code)/시간슬롯 시퀀스 (timeslot sequence)와 장기 코드 (long code) 그룹 사이의 모범적인 맵핑 (mapping)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페이징 (paging) 구조에 대한 페이징 채널 시간슬롯 구조 및 페이징 그룹 맵핑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모범적인 실시예에 따라 수정된 페이징 채널 시간슬롯 구조 및 페이징 그룹 맵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모범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범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모범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다음의 설명에서는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도록 특정한 회로, 회로 구성성분, 기술 등과 같은 구체적인 상세 내용이 설명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는 본 발명이 이 구체적인 상세 내용에서 벗어나 다른 실시예로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에서, 이미 공지된 방법, 디바이스, 및 회로의 상세 설명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생략된다.
여기서 논의되는 모범적인 무선 (radio) 통신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hybrid) TDMA/CDMA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여기서 기지국과 이동 단자 사이의 통신은 확산 코드 (spreading code)를 사용하여 실행되지만, 정보는 또한 이산적인 시간슬롯 (time slot)으로 운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는 여기서 설명된 개념이, 제한되지는 않지만, 주파수 분할 다중 억세스(FDMA), TDMA, CDMA, 또는 다른 억세스 방법을 포함하여 다른 방법에서도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하게 된다.유사하게, 일부 모범적인 실시예는 특정한 제3 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모범적인 프레임 및 논리적 채널 구조에 관련된 예를 제공하지만, 여기서 설명되는 기술은 임의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대부분의 통신 시스템에서 원하는 정보 신호의 제1 프레임이 수신기에 의해 수신될 때, 전송기의 클럭과 수신기의 클럭은 "로킹 (locking)"되지 않는다. 즉, 이들은 시간상으로 동기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로킹 과정의 한 일부는 일반적으로 프레임 동기화라 칭하여진다.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시스템에서 에어 인터페이스 (air interface)와 연관된 모범적인 프레임 및 시간슬롯 구조를 고려해 본다. 여기서는 10 ms의 무선 프레임 (radio frame) 72개가 각각 수퍼프레임 (superframe)을 구성한다. 각 무선 프레임내에는 16개의 시간슬롯이 있다. 각 시간슬롯은 대응하는 채널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분야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BCCH1 및 BCCH2와 같은 2개의 채널이 도시된다. 특별히 제안된 기술에서는 이 2개의 제어 채널이 각각 Perch1 및 Perch2라 칭하여진다.
이 2개의 채널은 기지국에 의해 그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내의 모든 이동국으로, 예를 들면 이동국에 의해 미리 공지된 다른 단기 코드 (short code)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방송 제어 채널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제어 채널은 시간슬롯 당 하나의 동기화 심볼 (또는 비트)을 포함한다. 이들 동기화 심볼은 또한 장기 코드로 마스크된 심볼 (long code masked symbol, LCMS)이라 칭하여진다. BCCH2의 동기화 심볼 (또는 비트)은 이후 설명될 바와 같은 프레임 동기화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이 채널을 전송하고 있는 기지국과 연관된 장기 코드 그룹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BCCH1은 또한 예를 들어 채널 평가를 실행하는데 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파일럿 (pilot) 심볼과,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작동자, 섹터 등을 식별하도록 다양한 종류의 오버헤드 (overhead) 정보를 운반할 수 있는 논리적 정보 채널을 운반한다.
도 2a는 도 1에서 설명된 프래임 및 시간슬롯 채널 구조를 사용하여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전송 및 수신 구성성분 일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단일 기지국의 다른 전송기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소스(40, 50)는 확산 스펙트럼 기술을 사용하여 똑같은 주파수 스펙트럼을 통해 다른 신호를 전송한다. 각 소스와 연관된 입력 데이터는 직교 단기 코드로 곱하여지고 추가 장기 코드로 스크램블 (scramble) 처리된다. 이어서, 코드화 확산 사용자 데이터의 합은 무선 주파수 캐리어 (radio frequency carrier) 및 전송 안테나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예를 들면, 도 2a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41)는 직교 단기 코드(43)로 곱하여지고 장기 코드(45)를 사용하여 스크램블 처리된다. 코드화 확산 사용자 데이터의 합(47)은 전송 안테나(42)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 캐리어(49)를 변조하는데 사용된다. 유사하게, 사용자 입력 데이터(51)는 직교 단기 코드(53)로 곱하여지고 장기 코드(55)를 사용하여 스크램블 처리된다. 코드화 확산 사용자 데이터의 합(57)은 전송 안테나(52)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 캐리어(59)를 변조하는데 사용된다. 전송 안테나(42)는 신호(44)를 전송하고, 전송 안테나(52)는 신호(54)를 전송한다.
수신기(60)는 수신 안테나(62)를 갖는다. 신호(44, 54)는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것에 의한 채널 효과, 예를 들면 가변 길이의 다른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신호(44, 54)의 반향을 겪게 된다. 이러한 반향 사이의 상호작용은 소정의 시간에 이동국의 특정 위치에 따라 그 효과가 변하게 되는 다중경로 페이딩 (fading)을 일으키고, 이들 신호의 강도는 소스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 감소된다. 수신기(60)는 다른 신호 경로로부터 신호 에너지를 모으는데 RAKE 수신기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이미 공지되어 있는)를 사용할 수 있다. 수신기(60)가 신호(98)를 수신할 때, 수신기(60)는 복합적인 신호(67)를 제공하도록 캐리어 신호(64)를 사용하여 신호를 복조한다. 복합적인 신호(67)는 동기화된 장기 코드(65)를 사용하여 역확산되고, 동기화된 직교 코드(63)를 사용하여 복호화된다. 수신기(60)는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재생성하는데 적분기(68) 및 샘플러(69)를 사용할 수 있다.
유일한 단기 코드를 사용하여 지정된 트래픽 채널에서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것에 부가하여, 이동국은 또한 다른 신호 처리 작업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전력이 제공되고 아이들 (idle) 상태일 때, 이동국은 다양한 정보, 예를 들면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방송 제어 채널을 청취하게 된다. 주기적으로, 이동국은 청취하고 있는 방송 제어 채널의 질, 예를 들면 신호 강도 및 다른 인접한 셀 (cell)에 의해 방송된 제어 채널의 질을 측정하여 인접한 기지국에 알리므로, 시스템은 아이들 상태의 이동국이 적절한 제어 채널을 청취하고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인접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제어 채널의 질을 모니터하는 과정에서, 이동국은 또한각 전송을 스크램블 처리하도록 다양한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장기 코드를 식별하고 그에 동기화되어야 한다.
시동, 셀간의 이동, 및 셀 재선택과 연관된 신호 처리 작업을 이루기 위해, 수신기(60)는 다양한 비동기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 구조에 시간 동기화될 수 있어야 한다. 한 기술에 따라, 이동국은 먼저 시간슬롯 (또는 1차) 동기화를 수용하고, 이어서 프레임 동기화, 장기 코드 그룹 식별, 및 장기 코드 식별로 이어진다. 시간슬롯 동기화는 제1 방송 제어 채널 BCCH1에서 발견되는 동기화 정보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장기 코드 그룹 식별 처리는 예를 들면, 특정한 기지국에 의해 스크램블 처리에 사용되는 장기 코드인 특정한 장기 코드 그룹과 연관된 소정의 시퀀스에 따라 BCCH2에서 시간슬롯내의 정보를 확산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확산 (즉, 단기) 코드를 변화시킴으로서 (기지국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은 다수의 시간슬롯을 판독하고, 가능한 단기 코드의 세트 각각에 각 시간슬롯내의 한 심볼을 상관시킴으로서 각 시간슬롯에 대해 사용되는 확산 코드를 식별한다. 이동국은 이어서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단기 코드의 시퀀스를 결정하고, 그 시퀀스를 예를 들면, 도 2b에 도시된 저장 테이블과 비교할 수 있다. 이는 이동국이 소정의 BCCH2를 전송하는 기지국과 연관된 장기 코드 그룹을 결정하도록 허용하고, 그로부터 이동국은 또 다른 상관관계 세트를 실행함으로서 특정한 장기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b에서 소정의 장기 코드 그룹 식별 시퀀스는 유일한 주기적 쉬프트를 가지므로, 그 쉬프트를 식별함으로서, 이동국은 또한 프레임 동기화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장기 코드 그룹 식별이 상술된 것 이외의 방식으로 실행되면, 프레임 동기화를 실행하기 위해 다른 기술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 동기화는 BCCH2에서 다른 번호로 지정된 시간슬롯 방송에서 발견되는 동기화 심볼 또는 비트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 동기화 심볼 또는 비트 (예를 들면, LCMS)는 현재 청취하고 있는 기지국에 대한 프레임 경계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이동국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소정의 주기적인 패턴에 따라 이 제어 채널의 각 시간슬롯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다. 동기화 시퀀스는 전형적으로 양호한 자기-상관관계 특성, 예를 들면 최대 길이의 시퀀스를 갖도록 선택된 것이다. 동기화 시퀀스로 사용되도록 이전에 제안되었고 여기서 본 발명을 더 잘 설명하도록 사용될 한가지 모범적인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비록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이 임의의 비트 순차를 사용하여, 또는 그 문제에 대해 심볼이 이진수 알파벳 (이 시퀀스의 임의의 쉬프트를 포함하는)이나 M진수 알파벳을 사용하여 나타내지는가 여부에 관계없이 임의의 심볼 시퀀스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이 시퀀스에 대해, 기지국은 BCCH2의 시간슬롯 #1에서 동기화 비트로 '1'을 전송하고, 시간슬롯 #2에서 동기화 비트로 '1'을 전송하고, ... 또한 시간슬롯 #16에서 동기화 비트로 '1'을 전송하게 된다.
패턴이 미리 정해진 것이고 주기적이므로, 이동국은 프레임 동기화를 이루기 위해 시간슬롯이 수신된 순서와 프레임의 시작 사이의 시간 쉬프트를 식별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이동국에 의해 수신된 16개 심볼의 시퀀스를 기지국에 의해 반복되고 있는 소정의 주기적 시퀀스와 정합시키는데 얼마나 많은 쉬프트가 요구되는가를 결정함으로서 직접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은 특정한 이동국에 의해 전송된 BCCH2의 16개 연속적인 시간슬롯을 수신하여 복호화하였고, 수신된 동기화 비트로 다음의 패턴을 식별한 것으로 가정한다: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이 패턴을 7 위치 우측으로 (또는 9 위치 좌측으로) 쉬프트함으로서, 수신된 패턴은 소정의 패턴과 정합되어, 이동국에 프레임 경계의 위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프레임 동기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아이들 상태의 이동국이 다수의 다른 번호의 시간슬롯 각각에서 동기화 심볼 (예를 들면, LCMS)을 판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업은 동기화 심볼이 기지국에 의해 반복적으로 전송되므로 다수의 다른 수퍼프레임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페이징 구조는 이동국이 한 수퍼프레임에서 똑같은 번호의 시간슬롯 또는 다수의 시간슬롯 동안 발동되도록 설계된다. 도 3에서 설명될 최근 제안되는 페이징 구조의 다음 예를 고려해본다.
여기서는 각 수퍼프레임 (페이징 채널 및 방송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에 대해)이 1152개 시간슬롯으로 구성됨을 볼 수 있다. 이들 1152개 시간슬롯은 288개의 페이징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여기서 활성화 상태인 (즉, 전력이 제공된) 각 이동국은 288개 페이징 그룹 중 하나에 지정된다. 이러한 특정 제안에서, 페이징 정보는 6개의 세그먼트 (segment)에서 전송되어, 수퍼프레임 당 총 4개의 시간슬롯주기에 이른다. 도 3에서는 예를 들어, 페이징 그룹 1이 시간슬롯 #4 및 #8의 1/4, 시간슬롯 번호 #12의 1/2, 또한 시간슬롯 #17, #22, 및 #27 모두를 사용함을 볼 수 있다. 비록 본 논의에 특별히 관련되지는 않지만, 이 페이징 구조 제안은 예를 들면, 페이징 그룹 1의 시간슬롯 #4 및 #8에서 2개의 표시자 세그먼트를 제공하고, 이는 페이징 그룹 1에 지정된 이동국에서 주어지는 페이징 메시지가 있는가 여부를 그에 알리는 반복적인 표시자이다. 이동 유닛이 시간슬롯 #4에서 정보를 정확하게 복호화하고 이 정보가 이 수퍼프레임에서 그에 대한 페이징이 없음을 나타내면, 이는 슬립 모드 동작으로 복귀될 수 있으므로, 그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나머지 시간슬롯, 예를 들면 시간슬롯 #8, #12, #17, #22, 및 #27을 판독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이 제안된 페이징 구조에서는 각 이동국이 시스템에 대한 억세스 요구를 초기화하거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각 수퍼프레임에서 똑같은 번호의 시간슬롯 동안에만 반드시 발동됨을 알 수 있다.
이동국이 페이징 메시지를 청취할 목적으로 각 수퍼프레임에서 똑같은 번호의 시간슬롯 동안에만 발동될 수 있으므로, 이는 상기에 설명된 프레임 동기화 및 장기 코드 그룹 식별을 위해 다른 번호의 시간슬롯에서 동기화 심볼을 판독할 기회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최근 제안된 이 페이징 구조하에서는 이러한 시간슬롯을 판독하도록 다른 시간슬롯 동안 이동국을 발동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슬립 모드 동작의 효율성을 감소시킨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원격 디바이스가 지정된 페이징 시간슬롯 또는 다수의 시간슬롯 동안에만 발동되어, 일련의 수퍼프레임에 걸쳐 다른 번호의 시간슬롯으로부터 동기화 심볼을 여전히 판독할 수 있게 하는 이후 설명될 다른 방법의 기술을 개발하였다. 도 4에서 설명되는 제1 실시예에 따라, 이는 방송 제어 채널, 예를 들면 도 1의 BCCH2의 프레임 구조와 페이징 채널의 프레임 구조 사이에 오프셋을 도입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서, 출원인은 페이징 채널 수퍼프레임 구조에 시간슬롯을 부가하도록, 예를 들면 도 3에서와 같은 1152 대신에 수퍼프레임 당 1153개의 시간슬롯을 제공하도록 제안한다. 이 추가 시간슬롯은 페이징 채널의 수퍼프레임 구조와 방송 제어 채널의 수퍼프레임 구조 사이에 오프셋을 제공하고, 그 오프셋은 페이징 채널의 이어지는 수퍼프레임에서 똑같은 번호의 시간슬롯을 판독하도록 발동될 때 방송 제어 채널 정보의 이어지는 수퍼프레임에서 원격 디바이스가 다른 번호의 시간슬롯을 판독하도록 허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별히, 페이징 그룹 K의 원격 디바이스는 앞서 제안된 도 3의 페이징 구조에서와 같이 수퍼프레임 NSF(NSF= 0, 1, 2, ...)의 슬롯 4K 동안 발동된다. 그러나, 방송 제어 채널의 구조에 대한 페이징 채널 수퍼프레임 구조에서의 추가 시간슬롯으로 인하여, 원격 유닛은 방송 제어 채널 프레임의 제N 시간슬롯으로부터 또한 동기화 슬롯을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N = (4K + NSFmod 16)이고, 연산자 "mod"는 제1 연산수 (예를 들면, 4K + NSF)를 제2 연산수 (예를 들면, 16)로 나누어 나머지를 출력하는 것을 칭한다. 그래서, NSF가 증가됨에 따라, 원격 디바이스는 방송 제어 채널 프레임에서 다수의 다른 시간슬롯으로부터, 예를 들면 다른 번호로 지정된 모두 16개의 시간슬롯으로부터 동기화 심볼, 예를 들면 LCMS를 수신할 기회를 갖는다. 이 방식으로, 원격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수퍼프레임 당 하나 이상의 시간슬롯 동안 발동될 필요없이, 프레임 동기화 또는 방송 제어 채널에서 다른 시간 슬롯의 판독을 요구하는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기술은 도 5의 흐름도를 통해 요약될 수 있다. 단계(100)에서는 원격 디바이스가 제1 수퍼프레임 동안 페이징 채널에서 지정된 시간슬롯 n을 판독하고, 동시에 예를 들면 시간슬롯 m에서 전송된 동기화 심볼을 판독하도록 방송 제어 채널에서 동시에 전송된 시간슬롯 m을 판독한다. 다음 수퍼프레임 동안, 단계(102)에서, 원격 디바이스는 다시 페이징 채널에서 지정된 시간슬롯 n을 판독하지만, 이때는 시스템이 각 페이징 채널에서 추가 시간슬롯을 방송하고, 그에 의해 페이징 채널과 방송 제어 채널 사이에 수퍼프레임 오프셋 만큼 수퍼프레임을 도입하므로, 방송 제어 채널에서 시간슬롯 m+1을 판독한다. 그래서, 원격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다음 동기화 심볼을 수용하고,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 예를 들면 원격 디바이스가 프레임 동기화를 수용하게 할 수 있는 LCMS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103)에서 나타내진 바와 같이, 프레임 당 시간슬롯의 수에 따라, 싸이클은 일정 반복 회수 p 이후에, 다시 한번 제어 채널의 시간슬롯 m을 판독하는 것으로 복귀된다.
도 4에서 페이징 그룹과 시간슬롯 사이의 맵핑은 도 3과 똑같지만,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는 반드시 그 경우일 필요는 없음을 이해하게 됨을 주목한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페이징 채널에 부가된 추가 시간슬롯 #1024이 아이들 슬롯이 된다. 다른 방법으로, 다른 정보가 이 시간슬롯 동안 시스템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본 실시예는 방송 제어 채널에서 연속적인 번호의 시간슬롯 일부가 원격 디바이스의 지정 페이징 시간슬롯 동안 각각 판독되도록 허용하여 페이징 채널과 방송 제어 채널 사이에 한 시간슬롯의 모범적인 오프셋을 설명하지만,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는 다른 오프셋을 생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시간슬롯이 페이징 채널 구조에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페이징 정보를 적절하게 수신하고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지정된 페이징 시간슬롯 보다 더 많이 원격 디바이스가 발동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페이징 그룹 1의 이동국은 정보가 수신될 때 시간슬롯 #4의 정보를 적절하게 복호화할 수 있도록 파일럿 심볼의 채널 평가를 실행하기 위해 페이징 채널 수퍼프레임 구조에서 시간슬롯 #4에 앞서 하나 이상의 시간슬롯 동안 발동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는 시스템이 페이징 채널 및 방송 제어 채널에 대해 모두 똑같은 수퍼프레임 시간슬롯 구조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고, 원격 디바이스가 방송 제어 채널에서 다수의 다른 번호의 시간슬롯을 계속 판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또 다른 모범적인 실시예에 따라 페이징 그룹을 재맵핑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별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원격 디바이스는 방송 제어 채널에서 다른 번호의 시간슬롯을 수신할 수 있도록 수퍼프레임에 따라 페이징 그룹을 변화시킨다.
지정된 페이징 시간슬롯에서 적절하게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원격 디바이스가 4개 시간슬롯 동안 발동되어야 하는 다음의 예를 고려해본다. 이때, 4개 수퍼프레임의 코스를 통해 방송 제어 채널에서 다른 번호로 지정된 모두 16개의 시간슬롯을 판독하도록 허용하는 방식으로 원격 디바이스가 페이징 그룹 사이에서 변화되는 재맵핑 기능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i)가 식별 번호 i를 갖는 원격 디바이스에 대한 페이징 그룹 번호 NPG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원래 함수를 나타낸다고 하면 (여기서, 0 ≤ f(i) ≤ NPG- 1), 페이징 그룹 지정은 g(i) = (f(i) + NSF) mod NPG에 따라 수퍼프레임의 함수로 변화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특정한 원격 디바이스가 속할 페이징 그룹은 수퍼프레임 0, 1, 2, ... 동안 각각 f(i), f(i) + 1, f(i) + 2, ...가 된다. 상기의 도 3에서 설명된 모범적인 페이징 슬롯 지정을 사용하고 (즉, 초기 페이징 슬롯 = g(i) mod 16), 한 예로 f(i) = 0이라 가정하면, 연속적인 각 수퍼프레임 동안 원격 디바이스가 판독할 페이징 시간슬롯의 번호는 시간슬롯 #0, #4, #8, #12, #1, #4, ... 사이에서 순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페이징 시간슬롯 번호가 제어 채널 시간슬롯 번호에 대응하므로, 원격 디바이스가 지정된 페이징 채널 시간슬롯을 판독하도록 총 4개의 시간슬롯 동안 발동되면, 원격 디바이스는 다른 번호의 제어 채널 시간슬롯 모두를 판독할수 있게 된다.
그래서, 제2 실시예는 도 6의 흐름도에 의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단계(200)에서는 원격 디바이스가 제1 페이징 그룹으로 지정되고, 그에 의해 이것이 호출되고 있는가를 보도록 페이징 시간슬롯 #n을 판독한다. 그러나, 원격 디바이스는 채널 평가 정보를 수용하도록 앞서 3개의 시간슬롯 동안 발동되고, 그 시간을 제어 채널 시간슬롯 #n-3, #n-2, #n-1을 판독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전송된 동기화 (LCMS) 심볼 각각을 수용하는데 사용한다.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는 비록 원격 디바이스가 추가 채널 평가 정보를 수용하도록 "앞서" 발동되어 지정된 페이징 시간슬롯 n을 더 잘 복호화할 수 있더라도, 이것이 LCMS 정보 (비록 무선 채널에 대한 정보를 덜 포함하지만) 중 처음 수개의 슬롯을 아직까지 판독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게 된다. LCMS 정보가 각 프레임에서 반복되므로, 초기 채널 정보의 부족으로 처음 판독이 부정확하면, 원격 디바이스는 이 정보를 재판독할 다른 기회를 갖게 된다.
원격 디바이스는 이어서 단계(202)에서 다른 수퍼프레임의 페이징 시간슬롯 #n+4를 판독하도록 다음 수퍼프레임 동안 다른 페이징 그룹으로 재지정 (또는 재맵핑)된다. 다시, (본 실시예에서) 원격 디바이스가 채널 평가를 실행하도록 앞서 발동되므로, 동기화 심볼 및/또는 이 시간 동안 이용가능한 다른 정보을 수용하도록 제어 채널에서 시간슬롯 #n+1, n+2, 및 n+3을 판독할 수 있다. 이 처리는 단계(203)에서 나타내진 바와 같이, 원격 디바이스가 다시 원래의 페이징 그룹으로 지정되는 지점으로 싸이클이 복귀되어 흐름이 시작부로 복귀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계속된다. 이 방식으로, 원격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프레임 패턴을 결정하도록 모두 16개의 동기화 심볼을 수용하고,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그 프레임에 동기화하도록 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는 원격 디바이스를 다른 페이징 그룹으로 재맵핑하고, 원격 디바이스가 또한 그에 전해지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용하도록 발동될 필요가 있는 추가 시간을 이용함으로서, 제어 채널에서 다른 시간슬롯을 판독하는 것과 연관된 보조 기능이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나중의 실시예에서 설명된기술은 또한 원격 디바이스가 추가 시간슬롯 동안 발동될 필요가 없는 상황 및/또는 지정된 페이징 시간슬롯 이외의 추가 시간슬롯을 판독할 수 없는 상황에서, 원격 디바이스가 제어 채널에서 다른 번호의 시간슬롯으로부터 동기화 심볼을 구하게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 디바이스를 다른 페이징 그룹에 재맵핑하는 대신에, 시스템은 각 그룹에 대해 지정된 초기 페이징 시간슬롯이 수퍼프레임에 따라 변하는 수퍼프레임 구조를 재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페이징 그룹 K에 대해 초기 페이징 정보가 전송되는 시간슬롯 수는 다음과 같이 변할 수 있다:
N = 4K + (NSFmod 16)
페이징 정보가 다른 위치,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대해 제공된 예에서 6 부분에서 전송되면, 추가 부분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슬롯은 예를 들어, 소정의 수퍼프레임에서 시간슬롯 #N+4, N+8, N+13, N+18, 및 N+23을 사용하여 각각 초기 페이징 시간슬롯과 함께 쉬프트된다. 이 방식으로 초기 페이징 시간슬롯을 변화시킴으로서, 원격 디바이스는 또한 제어 채널에서 다른 번호의 시간슬롯을 판독할 기회를 갖게 되고, 그에 의해 그와 연관된 다른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특정한 실시예의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본성을 전체적으로 나타내어, 일반적인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고 기존의 지식을 적용시킴으로서 다른 사람들이 용이하게 수정하고 또한/또는 다양한 응용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적응 및 수정은 설명된 실시예의 범위 및 의미내에서 이해되도록 의도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의 어법은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6)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디바이스에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 채널상에 제어 채널 시간슬롯 (timeslot)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어 채널 시간슬롯 각각은 연속적인 수퍼프레임 (superframe)에서 반복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수퍼프레임 각각은 제1 수의 제어 채널 시간슬롯을 포함함 -; 및
    페이징 (paging) 채널상에 페이징 시간슬롯으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시간슬롯 각각은 연속적인 수퍼프레임에서 반복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수퍼프레임 각각은 제2 수의 페이징 시간슬롯을 가짐 -
    을 포함하되,
    제어 채널 시간슬롯의 상기 제1 수는 페이징 시간슬롯의 상기 제2 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채널 시간슬롯의 상기 제1 수는 n이고, 페이징 시간슬롯의 상기 제2 수는 n+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확산 코드 (spreading code)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상기 정보를 확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단계는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페이징 시간슬롯 중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단계는 각 제어 채널 시간슬롯에서, 동기화 심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연속적인 제어 채널 시간슬롯에서의 다수의 동기화 심볼은 프레임 경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채널상에 제어 채널 시간슬롯으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어 채널 시간슬롯 각각은 연속적인 수퍼프레임에서 반복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수퍼프레임 각각은 제1 수의 제어 채널 시간슬롯을 포함함 -; 및
    페이징 채널상에 페이징 시간슬롯으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페이징 시간슬롯 각각은 연속적인 수퍼프레임에서 반복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수퍼프레임 각각은 제2 수의 페이징 시간슬롯을 가짐 -
    을 포함하되,
    제어 채널 시간슬롯의 상기 제1 수는 페이징 시간슬롯의 상기 제2 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제어 채널 시간슬롯의 상기 제1 수는 n이고, 페이징 시간슬롯의 상기 제2 수는 n+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들은 모두 적어도 하나의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상기 정보를 확산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페이징 시간슬롯 중 하나를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각 제어 채널 시간슬롯에서, 동기화 심볼을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연속적인 제어 채널 시간슬롯에서의 다수의 동기화 심볼은 프레임 경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11. 대기 모드 (standby mode)에 있는 동안 확산 스펙트럼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수퍼프레임에서 할당된 페이징 시간슬롯 동안 제어 채널 및 페이징 채널 모두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수퍼프레임 이후에 상기 할당된 페이징 시간슬롯을 변화시키는 단계; 및
    제2 수퍼프레임에서 상기 변화된 할당 페이징 시간슬롯 동안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페이징 채널 모두에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퍼프레임 동안의 제어 채널 시간슬롯 및 상기 제2 수퍼프레임 동안의 다른 제어 채널 시간슬롯에서, 동기화 심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연속적인 제어 채널 시간슬롯에서의 다수의 동기화 심볼은 프레임 경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이동국에 있어서,
    제1 수퍼프레임에서 할당된 페이징 시간슬롯 동안 제어 채널 및 페이징 채널 모두에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수퍼프레임 이후에 상기 할당된 페이징 시간슬롯을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 및
    제2 수퍼프레임에서 상기 변화된 할당 페이징 시간슬롯 동안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페이징 채널 모두에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상에 수신된 다른 번호로 지정된 다수의 시간슬롯상의 장기 코드 마스크 심볼 (long code masked symbol)을 복호화함으로서 프레임 동기화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디바이스에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제어 채널상에 연속하여 번호가 지정된 시간슬롯으로 오버헤드 (overhead)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연속하여 번호가 지정된 시간슬롯은 연속적인 프레임에서 반복적으로 전송됨 -;
    페이징 채널상에 연속하여 번호가 지정된 시간슬롯으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연속하여 번호가 지정된 시간슬롯은 연속적인 수퍼프레임에서 반복적으로 전송됨 -;
    상기 페이징 채널과 연관된 상기 연속하여 번호가 지정된 시간슬롯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원격 디바이스를 할당하는 단계; 및
    다수의 수퍼프레임 각각에서 상기 원격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페이징 채널의 상기 지정된 시간슬롯으로 상기 시스템에 의해 전송된 정보와 상기 방송 제어 채널의 상기 연속하여 번호가 지정된 시간슬롯 중 동시에 전송된 것으로 상기 시스템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제어 채널의 상기 연속하여 번호가 지정된 시간슬롯 중 상기 동시에 전송된 것은 수퍼프레임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동기화 채널이고, 상기 제어 채널 시간슬롯은 프레임 동기화를 획득하도록 상기 원격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시간슬롯은 장기 코드 그룹을 식별하도록 상기 원격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동기화 채널이고, 상기 제어 채널 시간슬롯은 프레임 동기화를 획득하도록 상기 원격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시간슬롯은 장기 코드 그룹을 식별하도록 상기 원격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단계는 각 제어 채널 시간슬롯에서, 확산 코드의 시퀀스로부터 선택된 확산 코드에 의해 확산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연속적인 제어 채널 시간슬롯에서 다수의 확산 코드는 장기 코드 그룹 식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각 제어 채널 시간슬롯에서, 확산 코드의 시퀀스로부터 선택된 확산 코드에 의해 확산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연속적인 제어 채널 시간슬롯에서 다수의 확산 코드는 장기 코드 그룹 식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퍼프레임 동안의 제어 채널 시간슬롯 및 상기 제2 수퍼프레임 동안의 다른 제어 채널 시간슬롯에서, 다른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확산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연속적인 제어 채널 시간슬롯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확산 코드는 장기 코드 그룹 식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에서 수신된 다른 번호로 지정된 다수의 시간슬롯으로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확산 코드의 시퀀스를 식별함으로서 장기 코드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24. 확산 스펙트럼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수퍼프레임에서 할당된 페이징 시간슬롯 동안 제어 채널에서 다수의 이동국에 또한 페이징 채널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이동국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수퍼프레임 이후에 상기 할당된 페이징 시간슬롯을 변화시키는 단계; 및
    제2 수퍼프레임에서 상기 변화된 할당 페이징 시간슬롯 동안 상기 페이징 채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이동국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페이징 시간슬롯을 변화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이동국을 제1 페이징 그룹에서 상기 제2 페이징 그룹으로 재맵핑 (remapp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페이징 시간슬롯을 변화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지정된 페이징 시간슬롯을 1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02528A 1998-08-31 1999-08-27 효율적인 발동 주기 사용을 위한 페이징 채널 구성 KR100625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44,272 US6480504B1 (en) 1998-08-31 1998-08-31 Paging channel configuration for efficient wake-up period utilization
US09/144,272 1998-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038A true KR20010073038A (ko) 2001-07-31
KR100625723B1 KR100625723B1 (ko) 2006-09-20

Family

ID=2250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528A KR100625723B1 (ko) 1998-08-31 1999-08-27 효율적인 발동 주기 사용을 위한 페이징 채널 구성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480504B1 (ko)
EP (1) EP1110423B1 (ko)
JP (1) JP4316810B2 (ko)
KR (1) KR100625723B1 (ko)
CN (1) CN100352310C (ko)
AT (1) ATE308217T1 (ko)
AU (1) AU757220B2 (ko)
DE (1) DE69927989T2 (ko)
HK (1) HK1040873B (ko)
MY (1) MY122224A (ko)
WO (1) WO20000134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0238B2 (en) 2004-12-30 2013-01-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evice patterning using irradi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1250B1 (en) * 1999-08-17 2003-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deep paging
US6965634B1 (en) * 1999-11-12 2005-11-1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Non-stationary dither code generation and detection
US6728300B1 (en) 2000-02-11 2004-04-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standby time in remote stations configured to receive broadcast databurst messages
US6934655B2 (en) * 2001-03-16 2005-08-23 Mindspee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line analysis
US6996082B2 (en) 2001-05-14 2006-02-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the amount of data necessary to signal code and timeslot assignments
US7158502B2 (en) * 2001-06-14 2007-01-02 Motorola, Inc. Slot cycle assignment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68024A1 (en) 2001-10-05 2003-04-10 Jones William W. Communication system activation
CA2474252A1 (en) * 2002-01-22 2003-07-31 Knut Odman Method for transmission of isochronous and asynchronous data in a radio network
US7418239B2 (en) * 2002-02-13 2008-08-26 Motorola Inc. Reselection optimization i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US6950684B2 (en) 2002-05-01 2005-09-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power resources in wireless devices
KR20050098009A (ko) 2002-05-06 2005-10-1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동기화 방법
US7486637B2 (en) * 2002-09-26 2009-02-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ly managing paging windows and data messages
US7272376B1 (en) * 2003-05-13 2007-09-1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Look-up table implementation of WCDMA frame synchronization and cell group ID detection
US7130668B2 (en) * 2003-09-01 2006-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584446B1 (ko) * 2004-02-11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방법
US7324449B2 (en) * 2004-03-11 2008-01-2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backhaul resour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72487A1 (en) * 2004-09-22 2006-04-06 Howard John S Power conservation for a wireless device
KR100622875B1 (ko) * 2004-10-27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대기 시간 향상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8073470B1 (en) 2005-01-31 2011-12-06 Jasper Wireless, Inc Paging windows for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networks
US8073469B2 (en) 2005-01-31 2011-12-06 Jasper Wireless, Inc. Paging for non-real-time communications wireless networks
US7742444B2 (en) 2005-03-15 2010-06-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other sector information combining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50908B2 (en) 2005-06-16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9055552B2 (en) 2005-06-16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20070087767A1 (en) * 2005-10-17 2007-04-19 Sameer Pareek Techniques to manage paging operations for idle mode mobile stations
US8675549B2 (en) 2005-10-27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serving sector mainten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90207790A1 (en) * 2005-10-27 200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tuneawaystatus in an ope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0397934C (zh) * 2005-12-08 2008-06-2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判定是否忽略寻呼信道消息的方法及其手机、设备、系统
US20100317374A1 (en) * 2009-06-11 2010-12-16 Yaron Alpert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aging paging interval access on a mobile station
DE102010001358B4 (de) * 2010-01-29 2015-06-18 Lantiq Deutschland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Datenübertragung
US8842643B1 (en) * 2010-07-16 2014-09-23 Sprint Spectrum L.P. Dynamic adjustment of the maximum period between overhead-message transmissions on a paging channel
CN102413549B (zh) * 2010-09-21 2015-05-13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无线通信终端与其省电方法
CN101925132B (zh) * 2010-09-21 2013-02-06 济南普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传感网络的新型多信道介质访问控制方法
US8400995B2 (en) * 2010-09-22 2013-03-1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descrambling data
CN103179644B (zh) 2011-12-21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读取系统消息的方法、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4744A (en) 1992-10-05 1997-02-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Digital control channels having logical channels for multiple access radiocommunication
US5491718A (en) 1994-01-05 1996-02-13 Nokia Mobile Phones Ltd. CDMA radiotelephone having optimized slotted mode and long code operation
GB2313253B (en) 1996-05-13 2000-08-09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telephone
US5991600A (en) * 1997-07-09 1999-11-23 Ericsson Inc. Integration of mobile station channel measurement with paging channel displacement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1999003228A1 (en) * 1997-07-14 1999-01-21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Error and flow control method with a group reject arq
US6725068B2 (en) * 1997-08-05 2004-04-20 Tokyo Digital Phone Co., Ltd. Digital wireless telephon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0238B2 (en) 2004-12-30 2013-01-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evice patterning using irradi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2224A (en) 2006-03-31
EP1110423B1 (en) 2005-10-26
JP2002524944A (ja) 2002-08-06
EP1110423A1 (en) 2001-06-27
ATE308217T1 (de) 2005-11-15
AU6014199A (en) 2000-03-21
DE69927989D1 (de) 2005-12-01
CN100352310C (zh) 2007-11-28
AU757220B2 (en) 2003-02-06
JP4316810B2 (ja) 2009-08-19
HK1040873A1 (en) 2002-06-21
WO2000013451A1 (en) 2000-03-09
CN1316171A (zh) 2001-10-03
KR100625723B1 (ko) 2006-09-20
US6480504B1 (en) 2002-11-12
HK1040873B (zh) 2008-10-31
DE69927989T2 (de)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723B1 (ko) 효율적인 발동 주기 사용을 위한 페이징 채널 구성
US6473410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first and second control channels operate as an initial acquisition channel and a broadcast channel, respectively
US5596571A (en) CDMA radiotelephone having optimized slotted mode and long code operation
US6532223B1 (en) Communication method,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RU218390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для системы связи множественного доступа с кодовым разделением каналов
KR100253104B1 (ko) Cdma 무선 전화기에서 정합 필터를 이용한빠른 파일럿 채널 획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4094675B2 (ja) セルラ移動端末の電力低減動作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3585333B2 (ja) Cdma基地局装置
EP2285166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standby time in remote stations configured to receive broadcast databurst messages
KR100295734B1 (ko)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이동국 장치 및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송신 방법
CN100593931C (zh) 无线通信系统中的帧同步与扰码识别及其方法
US6920123B1 (en) Cell search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4391692B2 (ja) スペクトル拡散無線通信用のフレーム同期技法及びシステム
US6339588B1 (en) Method and system of CDMA communication
EP1342325B1 (en) Fast decoding of long codes
US6937586B2 (en) Scanning procedure for EDGE compact system
KR100272570B1 (ko) 씨디엠에이 방식의 페이징 채널구조 및 페이징 신호 송수신 방법
KR20010075226A (ko) 메시지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방법
RU2255425C1 (ru) Способ приема-передачи широкополосными сигналами и система приема-передачи широкополосными сигнал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