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284A -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284A
KR20010072284A KR1020017001565A KR20017001565A KR20010072284A KR 20010072284 A KR20010072284 A KR 20010072284A KR 1020017001565 A KR1020017001565 A KR 1020017001565A KR 20017001565 A KR20017001565 A KR 20017001565A KR 20010072284 A KR20010072284 A KR 20010072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ttern
data block
block
uniqu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317B1 (ko
Inventor
요시리호 호리
마사까즈 다구찌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72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11B20/1005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using partial response filtering when writing the signal to the medium or reading it therefrom
    • G11B20/10083PR1 or PR(1,1,), i.e. partial response class 1, polynomial 1+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11B20/1005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using partial response filtering when writing the signal to the medium or reading it therefrom
    • G11B20/10101PR2 or PR(1,2,1), i.e. partial response class 2, polynomial (1+D)2=1+2D+D2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cluster, i.e. a data structure which consists of a fixed number of sectors or ECC blo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9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serves a specific purpose
    • G11B2020/1298Enhancement of the signal qual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는 광자기 디스크(3)에 적합하도록 프리디코드한 기록 데이터를 소정 길이의 데이터 블록으로 분할하여 상기 데이터 블록의 전후에 고유 패턴을 부가하는 기능(202, 206, 207)을 갖는다. 상기 고유 패턴은 각 데이터 블록의 단부에 있어서 최대 개연성 복호의 복호 오류를 저감하는 패턴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프리디코드 후에 데이터를 삽입한 경우라도, 프리디코드 후의 신호의 부호 상관이 분할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기록 장치{RECORDING APPARATUS}
광자기 기록 재생계는 전체를 기저 대역 전송로로 본 경우, 가우스형의 저영역 통과 필터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밀도를 올리면, 인접하는 기록 영역의 최소 신호간에서 부호간 간섭이 발생하고, 재생 신호 파형이 열화된다.
이러한 부호간 간섭을 방지하는 방식의 하나로서, 광자기 기록 재생계의 후단에 등화기를 넣어 전송로 전체의 주파수 특성을 나이키스트 특성으로 보정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식으로는 전송 대역이 한정되기 때문에, 고 밀도의 광자기 디스크의 기록 재생에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부호간 간섭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부호간 간섭도 갖게 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PR(Partial Response : 부분·응답) 방식이 고밀도의 광자기 디스크의 기록 재생용에 채용되고 있다.
PR 방식을 광자기 디스크에 적용한 경우의 전송계에 관해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코더(701), 광 픽업(702)과 자기 헤드(703)에 의해 신호가 기록 재생되는 광자기 디스크(704) 및 등화기(705)에 의해 전송계가 형성된다. 프리코더(701)에서는 PR 방식으로 전송하는 부호를 복호할때의 오류 전파가 제거된다. 등화기(705)에서는 광자기 디스크(704)로부터 재생한 RF 신호의 파형등화 처리가 행해진다. 이에 따라, 전송계로서 기지의 상관을 갖는 부호간 간섭이 생기된다.
다중값 판별부(706)에서는 최대 개연성 복호에 의해 신호의 가장 확실할 것 같은 상태가 추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PR 방식이 갖는 진폭 상관을 이용하여, 식별 시각 이전(또는 식별 시각 전후)의 복호 신호의 상태를 참조하여 통계적으로 가장 확실할 것 같은 값을 상기 식별 시각에 있어서의 신호의 상태로 추정한다.
그런데, PR 방식의 신호 전송에 있어서, 프리코드 후의 신호를 소정 비트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의 전후로 드라이브 시스템의 고유 패턴 등을 삽입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704)에 미리 클럭 성분을 갖게 하고, 상기 클럭 성분의 위치를 제외하고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프리코드 후에 데이터를 삽입하면, 프리코드 후의 신호의 부호 상관을 블록 분할 위치에서 유지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식별 시각 전후의 신호의 상관을 이용하는 최대 개연성 복호에 있어서, 복호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의 복호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프리코드 후의 신호에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는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르면, 부호간 간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식의 기록 매체에 대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입력한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적합하도록 프리코드하는 프리코드 수단과, 프리코드한 데이터를 복수의 데이터 블록에 블록 분할하여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에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부가하는 포맷 수단과,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결정하는 패턴 결정 수단과, 포맷 수단의 출력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패턴 결정 수단은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복호 오류를 저감하도록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패턴 결정 수단은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마다 대응하는 고유 패턴으로서 미리 정해진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유 패턴 중으로부터 1개를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고유 패턴은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에 인접하는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블록 분할 전에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단부에 인접하고 있는 데이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록 장치에 따르면, 프리코드 후의 데이터에 대해 고유 패턴을 삽입하여 기록하고, 기록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파형등화하여 최대 개연성 복호를 행한 경우라도 블록 분할 위치에서의 부호 상관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분할 위치에서의 최대 개연성 복호의 복호 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국면에 따르면, 부호간 간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식의 기록 매체에 대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입력한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적합하도록 프리코드하는 프리코드 수단과, 프리코드한 데이터를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블록 분할하여,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전단에 대응하는 제1 고유 패턴을,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후단에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을 부가하는 포맷 수단과,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제1 고유 패턴 및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을 결정하는 패턴 결정 수단과, 포맷 수단의 출력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패턴 결정 수단은 대응하는 제1 고유 패턴을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에 따라서 결정하고,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을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에 따라서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은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와 조합됨으로써 트레이스백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제1 고유 패턴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는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와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기록 장치에 따르면, 프리코드 후의 데이터에 대해 고유 패턴을 삽입하여 기록하고, 기록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파형등화하여 최대 개연성 복호를 행한 경우라도 블록 분할 위치에서의 부호 상관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블록 분할 위치에서의 최대 개연성 복호의 복호 오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트레이스백을 발생시키는 고유 패턴을 삽입한 경우에는 각 데이터 블록마다 최대 개연성 복호를 완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지어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광자기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기록 재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변조부(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복조부(6)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A 및 도 5B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포맷시에 참조하는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광자기 디스크(3)의 구조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A 및 도 8B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포맷시에 참조하는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종래의 PR 방식에 대응하는 전송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 실시예
도 1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의한 기록 재생 장치는 오류 정정 부호부(1) 및 변조부(2)를 포함하는 기록계(10)와, 광자기 디스크(3)에 대해 배치되는 광 픽업(4) 및 자기 헤드(5)와, 복조부(6) 및 오류 정정 복호부(7)를 포함하는 재생계(20)를 구비한다.
오류 정정 부호부(1)는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에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한다. 오류 정정 부호부(1)의 출력은 변조부(2)에 있어서 디지털 변조된다. 디지털 변조후의 데이터는 광 픽업(4)과 자기 헤드(5)를 이용하여 광자기 디스크(3)에 기록된다.
광자기 디스크(3)에 기록된 기록 데이터는 광 픽업(4)을 이용하여 판독되고, 복조부(6)에 있어서 디지털 복조된다. 디지털 복조된 데이터는 오류 정정 복호부(7)에 있어서 오류 정정되어 외부로 출력된다.
변조부(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 유닛 U0∼U15와, 변조 유닛 U 0∼U15에 의해 변조된 데이터의 DSV(digital sum value)를 비교하여 DC 성분이 가장 적은 데이터를 판별하는 판별부(205)와, 판별부(205)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변조 유닛 U0∼U15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변조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부(204)와, 선택된 데이터에 대해 기록 재생 장치에 고유한 패턴을 부가하는 포맷터(formatter)(206)와, 선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포맷터(206)를 제어하는 예측부(207)를 구비한다.
변조 유닛 U0∼U15는 각각 스크램블기(201)와, 프리코더(202)와, DSV 산출부(203)를 포함한다. 스크램블기(201)는 각각 상호 다른 스크램블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스크램블함과 함께 상기 스크램블 키를 데이터에 부가한다. 프리코더(202)는 스크램블 후의 데이터에 대해 오류 전파를 막기 위한 프리코드를 행한다. DSV 산출부(203)는 프리코드 후의 데이터의 DSV를 산출한다.
오류 정정 부호부(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변조 유닛 U0∼U15에 있어서 1 6종류의 프리코드 데이터로 변환된다. 판별부(205)는 변조 유닛 U0∼U15의 각각의 DSV 산출부(203)의 출력을 받아 상술한 판별을 행한다. 그리고, 선택부(204)에 있어서, 16종류의 프리코드 데이터 중으로부터 DC 성분이 최소인 프리코드 데이터가 선택된다. 포맷터(206)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으로 분할(블록 분할로 칭함)하고, 예측부(207)에 의해 결정되는 고유 패턴을 각 데이터 블록에 부가한다.
광자기 디스크(3)의 기억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 영역과, 기록 재생 장치의 고유 데이터가 기록되는 시스템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된다.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맷터(206)에 있어서 512DCB(데이터·채널·비트) 단위의 데이터 블록으로 분할된다. 각 데이터 블록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D(0)∼D(512)로 기록한다.
데이터 블록의 전후에는 프리 라이트 필드, 포스트 라이트 필드 및 FCM(Fine Clock Mark : 파인 클럭 마크) 필드가 부가된다. 프리 라이트 필드 및 포스트 라이트 필드는 모두 4DCB 단위, FCM 필드는 12DCB 단위로 한다.
데이터 블록, 프리 라이트 필드, 포스트 라이트 필드 및 FMC 필드는 데이터 세그먼트를 구성한다. 도 3에 있어서는 데이터 세그먼트 N∼N+3이 대표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하, 데이터 세그먼트 K(단, K는 0 이상의 정수)를 구성하는 데이터 블록을 데이터 블록 K로 기록한다.
광자기 디스크(3)의 트랙 상에는 제조시에 클럭 생성용의 마크(FCM : 파인 클럭 마크)가 물리적 형상으로서 미리 형성되어 있다. FCM 필드는 상기 FCM이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시킨다. 프리 라이트 필드 및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는 예측부(207)의 지시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고정 패턴이 데이터로서 기록된다. 또,프리 라이트 필드 및 포스트 라이트 필드는 데이터 블록의 기록 위치가 통상보다 약간 어긋난 경우에 데이터 블록의 일부(전방부 또는 후방부)가 FCM에 걸러지지 않도록, 완충용으로서 배치된다. 즉, 프리 라이트 필드 및 포스트 라이트 필드는 FCM과 데이터를 연결하기 위한 완충용 데이터로서 기능한다. 이렇게 해서 포맷된 사용자 데이터가 광자기 디스크(3)에 기록된다.
도 1에 도시한 복조부(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픽업(4)에 의해 재생된 RF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는 A/D 변환기(601)와, 재생된 RF 신호를 원하는 특성으로 파형등화하는 등화기(602)와, 등화기(602)의 출력 진폭 레벨에 따라 2진 데이터를 복조하는 최대 개연성 복호를 행하는 다중값 판별부(603)와,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언포맷터(unformatter)(604)와, 추출된 사용자 데이터를 스크램블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크램블하는 디스크램블기(60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예측부(207) 및 포맷터(206)에 의한 포맷 처리에 관해서, 데이터 블록 N, N+1을 일례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 블록 N+1 대응(데이터 세그먼트 N+1)의 프리 라이트 필드에는, 데이터 세그먼트 N의 데이터 블록 N에 포함되는 최종의 데이터 D(511)에 의해 결정되는 고유 패턴을 삽입한다. 데이터 블록 N 대응(데이터 세그먼트 N)의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는, 데이터 세그먼트 N+1의 데이터 블록 N+1에 포함되는 최초의 데이터 D(0)에 의해 결정되는 고유 패턴을 삽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A 및 도 5B의 테이블(변환 법칙)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 라이트 필드에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1000”, “0011”로 하고, 데이터블록 N에 있어서의 최후의 데이터 D(511)가 “0”이면 “1100”을, 최종의 데이터 D(511)가 “1”이면 “0011”을, 데이터 블록 N+1 대응의 프리 라이트 필드에 삽입한다.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0011”, “1100”으로 하고, 데이터 블록 N+1에 있어서의 최초의 데이터 D(0)가 “0”이면, “0011”을, 최초의 데이터 D(0)가 “1”이면, “1100”을 데이터 블록 N 대응의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 삽입한다.
예측부(207)는, 도 5A∼도 5B의 테이블(변환 법칙)을 참조하여, 고유 패턴을 결정한다. 포맷터(206)는 예측부(207)의 지시에 기초하여 데이터 블록의 전후에 위치하는 프리 라이트 필드 및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 고유 패턴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블록 분할에 의해 얻어지는 블록 데이터의 전후(블록 분할 위치)에 인접하는 데이터 블록의 단부의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고유 패턴을 삽입함으로써, 블록 분할 위치 D(0), D(511)에서의 부호 상관이 유지된다.
따라서, 다중값 판별부(603)에서의 최대 개연성 복호에 있어서의 복호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프리코드 후의 데이터에 특정한 고유 패턴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데이터 포맷에 상관없이, 프리코드 후의 데이터를 소정 길이의 데이터 블록으로 블록 분할하고, 각 데이터 블록에 특정한 패턴을 삽입하는 데이터 포맷을 갖는 스트림에 대해 유효하다.
또, 데이터 블록의 전후뿐만 아니라, 어느 한쪽에 상술한 변환 법칙에 따라고유 패턴을 삽입하여도 좋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포맷에 관해 설명한다. 광자기 디스크(3)에는 도 6에 도시된 그루브(홈)가 스파이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에는 소정 간격으로 볼록부(55)가, 인접하는 그루브간에 위치하는 랜드에는 소정 간격으로 오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0) 및 볼록부(55)는 클럭 마크로서 제조시에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이러한 오목부(50) 및 볼록부(55)를 제외한 그루브와 랜드에 기록된다.
포맷터(20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블록간에 비기록 영역(Reserve)을, 각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프리 라이트 필드를, 각 데이터 블록의 바로 뒤에 포스트 라이트 필드를 부가한다. 이 비기록 영역(Reserve)은 상술한 오목부(50) 및 볼록부(55)에 대응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는 프리코더(202)에서의 구속 길이 L+1(단, L은 자연수)의 프리코드 후, 소정 길이의 데이터 블록으로 블록 분할되는 것으로 한다.
예측부(207)는 프리 라이트 필드 및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 특정한 고유 패턴을 삽입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이 때, 고유 패턴 길이는 L 이상이고, 포스트 라이트 패턴 길이와 프리 라이트 패턴 길이와의 관계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하여도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여기서,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예측부(207) 및 포맷터(206)에 의한 포맷 처리에 관해서, 데이터 블록 N, N+1을 일례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 블록 N 대응의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는 데이터 블록 N+1의 가장 전방부의 데이터가 연속하여 반복되는 패턴으로 시작되는 고유 패턴을 삽입한다. 또, 반복 횟수는 L+1개 이상이다. 데이터 블록 N+1 대응의 프리 라이트 필드에는 데이터 블록 N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로 종료되는 고유 패턴을 삽입한다.
예를 들면, PR(1,1) 방식에 있어서는, 데이터 블록 N+1의 최초의 데이터가 “0”이면, 데이터 블록 N 대응의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 삽입하는 고유 패턴의 전방부는 “0”으로부터 시작되는 패턴으로 한다. 데이터 블록 N의 최후의 데이터가 “0”이면, 데이터 블록 N+1 대응의 프리 라이트 필드에 삽입하는 고유 패턴의 후방부는 “0”으로 종료되는 패턴으로 한다.
즉, 예측부(207)는 프리코드 처리에 따라서, 블록 분할 위치에서의 부호 상관을 유지하는 고유 패턴을 지정한다. 포맷터(206)는 이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블록의 전후에 고유 패턴을 삽입한다. 이에 따라, 다중값 판별부(603)에서의 최대 개연성 복호에 있어서의 복호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프리코드 후의 데이터에 특정한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데이터 블록의 전후뿐만 아니라, 어느 한쪽에 상술한 변환 법칙에 따라 고유 패턴을 삽입하여도 좋다.
제3 실시예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광자기 디스크(3)에 기록한 데이터를 재생하는 전송계의 전달 계수 H(D)가 식 (1)∼(2)를 만족시키도록 등화기(602)에 있어서 파형등화를 행하고 있다. 이러한 전달 계수 H(D)로 나타내는 신호 전송 방식을 PR(1, 1) 방식으로 칭한다.
H(D)=1+D …(1)
D=ejwT…(2)
또, 식 (1)∼(2)에 있어서, 기호 T는 비트 주기를, 기호 w는 주파수를, 기호 D는 비트 주기 T의 지연 연산 소자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대해, 전송계의 전달 계수 H(D)가 식 (3)∼(4)를 만족시키도록 등화기(602)에 있어서 파형등화하는 경우도 있다.
H(D)=(1+D)2… (3)
D=ejwT… (4)
이러한 전달 계수 H(D)로 나타내는 신호 전송 방식을 PR(1, 2, 1) 방식으로 칭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PR(1, 2, 1) 방식의 신호 전송을 대상으로 한다. 또, 데이터 포맷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여기서,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예측부(207) 및 포맷터(206)에 의한 포맷 처리에 관해서, 데이터 블록 N, N+1을 일례로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 블록 N+1 대응(데이터 세그먼트 N+1)의 프리 라이트 필드에는 데이터 세그먼트 N의 데이터 블록 N에 포함되는 최종의 데이터 D(511)에 따라서 결정되는 고유 패턴을 삽입한다. 이것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변환 법칙과 마찬가지로, PR 방식의 부호 상관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데이터 블록 N 대응(데이터 세그먼트 N)의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는, 데이터 세그먼트 N의 데이터 블록 N에 포함되는 최종 데이터 D(511)에 따라서 결정되는 고유 패턴을 삽입한다. 이것은 포스트 라이트 필드와 데이터 블록과의 경계에 있어서 트레이스백을 발생시켜 최대 개연성 복호의 복호 오류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PR 방식의 신호 전송에서의 최대 개연성 복호에서는 각 시각에 있어서 각 상태에 입력하는 패스 중, 가장 확실할 것 같은 패스가 “생존(survivor) 패스”로서 선택된다. 이 때, 특정한 패턴이 입력되면, “생존 패스”와 그 기본이 되는 상태를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머지). 이 일의적으로 결정된 상태로부터 패스를 찾아갈(트레이스백)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패턴이 입력된 이전의 패스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블록의 전후로 특정한 패턴을 삽입한 경우, 삽입하기 이전의 패스를 일의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PR(1, 2, 1) 방식의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최대 개연성 복호에서는, 신호“000” 또는 “111”이 입력되면 트레이스백이 발생한다. 이 트레이스백을 포스트 라이트 필드 부분에서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데이터 세그먼트 N의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 삽입하는 고유 패턴을 데이터 세그먼트 N에 있어서의 최종의 데이터 D(511)에 따라서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 라이트 필드에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1100”, “0011”로 하고, 데이터 블록 N에 있어서의 최후의 데이터 D(511)가 “0”이면 “1100”을, 최후의 데이터 D(511)가 “1”이면“0011”을, 데이터 블록 N+1 대응의 프리 라이트 필드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PR 방식에 있어서의 부호 상관을 유지한다.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0011”, “1100”으로 하고, 데이터 블록 N에 있어서의 최후의 데이터 D(511)가 “0”이면 “0011”을, 최후의 데이터 D(511)가 “1”이면 “1100”을 데이터 블록 N 대응의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최대 개연성 복호에 있어서의 복호 오류의 발생을 방지함과 함께, 트레이스백의 발생에 의해 데이터 블록마다 최대 개연성 복호를 완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데이터 블록의 전후뿐만 아니라, 어느 한쪽에 상술한 변환 법칙에 따라서 고유 패턴을 삽입하여도 좋다.
제4 실시예
제1 실시예의 확장으로서 제2 실시예로 나타내는 구성이 성립한 것 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3 실시예의 확장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제4 실시예의 구성이 가능해진다. 즉, 구속 길이 L+1(L은 자연수)의 프리디코드 후의 데이터를 소정 길이의 데이터 블록으로 블록 분할함과 함께, 데이터 블록간에 특정한 패턴을 삽입하는 데이터 포맷의 스트림에 대해,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변환 법칙을 적용한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맷터(206)는 데이터 블록간에 비기록 영역(Reserve)을, 각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프리 라이트 필드를, 각 데이터 블록의 바로 뒤에 포스트 라이트 필드를 부가한다. 예측부(207)는 프리 라이트 필드 및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 특정한 고유 패턴을 삽입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예측부(207) 및 포맷터(206)에 의한 포맷 처리에 관해서, 데이터 블록 N, N+1을 일례로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 블록 N+1 대응의 프리 라이트 필드에는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 N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고유 패턴을 입력한다. 이에 따라, 부호 상관을 유지한다.
데이터 블록 N 대응의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는 데이터 블록 N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연속하여 반복되는 패턴을 삽입한다. 또, 반복 횟수는 구속 길이가 L+1이면 L 이상으로 한다. 이에 따라, 포스트 라이트 필드와 데이터 블록과의 경계에서 트레이스백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대 개연성 복호의 복호 오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PR(1, 2, 1) 방식의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데이터 블록에 있어서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비트열을 D(0), …, D(J)로 한다(단, J는 자연수). 데이터 블록 N+1 대응의 프리 라이트 필드에 삽입되는 고유 패턴은 데이터 블록 N에 있어서의 최종의 비트 및 상기 비트의 1비트 전의 비트(즉, D(J) 및 D(J-1))로 이루어지는 2비트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블록 N 대응의 포스트 라이트 필드에 삽입되는 고유 패턴은 상기 데이터 블록 N의 최종 비트 및 상기 비트의 1비트 전의 비트(즉, D(J) 및 D(J-1))로 이루어지는 2비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프리디코드 후의 데이터를 블록으로 분할하고 고유 패턴을 삽입하여 이것을 기록하고, 기록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파형등화하여 최대 개연성 복호하는 경우라도, 각 데이터 블록 단부에서의 최대 개연성 복호의 복호 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로 앞의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를 그 바로 뒤의 데이터 블록의 가장 전방부에 부가하고, 또한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에 상기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에서 트레이스백을 발생시키는 데이터를 부가한 경우에는 각 데이터 블록마다 최대 개연성 복호를 완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데이터 블록의 전후뿐만 아니라, 어느 한쪽에 상술한 변환 법칙에 따라서 고유 패턴을 삽입하여도 좋다.
이번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라고 생각되어야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도시되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46)

  1. 부호간의 간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식의 기록 매체(3)에 대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입력한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3)에 적합하도록 프리코드하는 프리코드 수단(202)과,
    상기 프리코드한 데이터를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블록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에,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부가하는 포맷 수단(206)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에 대해,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결정하는 패턴 결정 수단(207)과,
    상기 포맷 수단(206)의 출력을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4, 5) 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결정 수단(207)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복호 오류를 저감하도록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결정 수단(207)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마다,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으로서, 미리정해진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유 패턴 중으로부터 1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은,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에 인접하는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상기 블록 분할 전에,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단부에 인접하고 있는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은,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에 인접하는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상기 블록 분할 전에,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단부에 인접하고 있는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은,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단부의 데이터와 조합됨으로써 트레이스백(traceback)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은,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단부의 데이터와 조합됨으로써 트레이스백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전단이고,
    상기 패턴 결정 수단은,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전단이고,
    상기 패턴 결정 수단은,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후단이고,
    상기 패턴 결정 수단은,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전방부의 데이터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후단이고,
    상기 패턴 결정 수단(207)은,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을,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전방부의 데이터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후단이고,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의 가장 전방부의 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후단이고,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의 가장 전방부의 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후단이고,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은,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1"일 때에는 "1100",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0"일 때에는 "0011"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후단이고,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은,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1"일 때에는 "1100",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0"일 때에는 "0011"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은,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1"일 때에는 "0011",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0"일 때에는 "110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은,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1"일 때에는 "0011",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0"일 때에는 "110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은,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전방부의 데이터가 "1"일 때에는 "1100",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전방부의 데이터가 "0"일 때에는 "0011"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은,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전방부의 데이터가 "1"일 때에는 "1100",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전방부의 데이터가 "0"일 때에는 "0011"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후단이고,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의 가장 전방부의 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적어도 2회 이상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후단이고,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의 가장 전방부의 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적어도 2회 이상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결정 수단(207)은, 제1 패턴과 상기 제1 패턴을 반전한 제2 패턴 중 어느 한쪽을 상기 대응하는 고유 패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결정 수단(207)은, 제1 패턴과 상기 제1 패턴을 반전한 제2 패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상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간 간섭을 이용한 재생 방식은, PR(1, 1)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간 간섭을 이용한 재생 방식은, PR(1, 1)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간 간섭을 이용한 재생 방식은, PR(1, 2, 1)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간 간섭을 이용한 재생 방식은, PR (1, 2, 1)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3)에는 소정의 정보가 미리 물리적 형상으로서 기록되어 있고,
    상기 포맷 수단(206)은,
    상기 프리디코드한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3)에 있어서의 상기 물리적 형상을 제외한 기록 영역에 대해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분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3)에는 소정의 정보가 미리 물리적 형상으로서 기록되어 있고,
    상기 포맷 수단(206)은,
    상기 프리디코드한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3)에 있어서의 상기 물리적 형상을 제외한 기록 영역에 대해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분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9. 부호간 간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식의 기록 매체(3)에 대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입력한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3)에 적합하도록 프리코드하는 프리코드 수단(202)과,
    상기 프리코드한 데이터를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블록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전단에 대응하는 제1 고유 패턴을,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후단에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을 부가하는 포맷 수단(206)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각각에 대해, 상기 대응하는 제1 고유 패턴 및 상기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을 결정하는 패턴 결정 수단(207)과,
    상기 포맷 수단의 출력을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4,5)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결정 수단(207)은,
    상기 대응하는 제1 고유 패턴을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에 따라서 결정하고, 상기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을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은,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와 조합됨으로써 트레이스백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의 가장 전방부 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제1 고유 패턴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의 가장 전방부의 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적어도 2회 이상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의 가장 전방부의 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적어도 2회 이상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간섭을 이용한 재생 방식은, PR(1, 1)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간섭을 이용한 재생 방식은, PR(1, 1)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간섭을 이용한 재생 방식은, PR(1, 2, 1)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간섭을 이용한 재생 방식은, PR(1, 2, 1)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은,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1"일 때에는 "1100",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0"일 때에는 "0011"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은,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1"일 때에는 "1100",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0"일 때에는 "0011"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제1 고유 패턴은,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1"일 때에는 "0011",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0"일 때에는 "110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2.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제1 고유 패턴은,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1"일 때에는 "0011",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의 가장 후방부의 데이터가 "0"일 때에는 "110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결정 수단(207)은,
    제1 패턴과 상기 제1 패턴을 반전한 제2 패턴 중 어느 한쪽을 상기 대응하는 제1 고유 패턴으로 하고, 제1 패턴과 상기 제1 패턴을 반전한 제2 패턴 중 어느 한쪽을 상기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결정 수단(207)은,
    제1 패턴과 상기 제1 패턴을 반전한 제2 패턴 중 어느 한쪽을 상기 대응하는 제1 고유 패턴으로 하고, 제1 패턴과 상기 제1 패턴을 반전한 제2 패턴 중 어느 한쪽을 상기 대응하는 제2 고유 패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3)는 소정의 정보가 미리 물리적 형상으로서 기록되어 있고,
    상기 포맷 수단(206)은,
    상기 프리디코드한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3)에 있어서의 상기 물리적 형상을 제외한 기록 영역에 대해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분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3)는 소정의 정보가 미리 물리적 형상으로서 기록되어 있고,
    상기 포맷 수단(206)은,
    상기 프리디코드한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3)에 있어서의 상기 물리적 형상을 제외한 기록 영역에 대해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분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KR10-2001-7001565A 1998-08-07 1999-08-04 기록 장치 KR100504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502898 1998-08-07
JP1998-225028 1998-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284A true KR20010072284A (ko) 2001-07-31
KR100504317B1 KR100504317B1 (ko) 2005-07-28

Family

ID=1682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565A KR100504317B1 (ko) 1998-08-07 1999-08-04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77533B1 (ko)
EP (1) EP1107250A4 (ko)
JP (1) JP3717404B2 (ko)
KR (1) KR100504317B1 (ko)
CN (1) CN1143305C (ko)
AU (1) AU5065499A (ko)
WO (1) WO20000086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2035528A1 (ja) * 2000-10-26 2004-03-04 三洋電機株式会社 再生クロックの位相を調整可能な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位相調整方法
US7395482B2 (en) * 2003-12-18 2008-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systems
US8276038B2 (en) 2007-08-03 2012-09-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0373B2 (ja) * 1989-05-11 1997-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87495A (ja) * 1994-06-27 1996-01-12 Hitachi Ltd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媒体
JP3243138B2 (ja) * 1995-02-13 2002-01-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ータ変換方式及び復号方法
JP3845849B2 (ja) * 1996-10-18 2006-11-1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並びに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065499A (en) 2000-02-28
KR100504317B1 (ko) 2005-07-28
WO2000008644A1 (fr) 2000-02-17
US6377533B1 (en) 2002-04-23
EP1107250A4 (en) 2006-06-28
CN1312940A (zh) 2001-09-12
EP1107250A1 (en) 2001-06-13
CN1143305C (zh) 2004-03-24
JP3717404B2 (ja)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9539A (en) Data detec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direct access storage device
KR100753966B1 (ko) 연속 최소 런 길이 제한이 있는 변조/복조 장치 및 방법
US6678230B2 (en) Waveform equalizer for a reproduction signal obtained by reproducing marks and non-marks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JP2547299B2 (ja) 2値符号記録媒体
KR100370416B1 (ko) 고밀도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US6127951A (en) Modulating device, modulating device, demodulating device, demodulating device, and transmission medium run length limited coder/decoder with restricted repetition of minimum run of bit sequence
JPH10106161A (ja) 光学的情報再生装置
EP0823787A2 (en) A rate 16/17 ENDEC with independent high/low byte decoding
US6154504A (en) Encoding method, encoding apparatus, decoding method, deco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6347390B1 (en) Data encoding method and device, data 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data supply medium
US5786950A (en) PR4 sampled amplitude read channel employing an NRZI write modulator and a PR4/NRZI converter
KR100408532B1 (ko) 데이타저장기기의prml코드생성방법
KR100450782B1 (ko) 고밀도 데이타 저장기기를 위한 피알엠엘 코드의 부호화 및복호화 방법
KR100504317B1 (ko) 기록 장치
US6222808B1 (en)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JPH08116275A (ja) ディジタル信号復号化処理装置
US6141783A (en) Error propagation limiting encoder/decoder for multilevel 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EP0853805B1 (en) Transmiss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JP3716421B2 (ja) 復調装置および復調方法
US5861825A (en) Method and device for code modulation, method and device for code demodulation, and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US6898166B2 (en) Synchronous signal generating method, recording apparatus, transmitt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transmission medium
EP0880234A2 (en) Data modulation and transmission
JP4014606B2 (ja) 記録装置
JP3760966B2 (ja) 変調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509083B2 (ja) 符号変調方法、符号復調方法、および符号復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