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443A - 구부릴 수 있는 베이스를 갖춘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구부릴 수 있는 베이스를 갖춘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443A
KR20010071443A KR1020007013933A KR20007013933A KR20010071443A KR 20010071443 A KR20010071443 A KR 20010071443A KR 1020007013933 A KR1020007013933 A KR 1020007013933A KR 20007013933 A KR20007013933 A KR 20007013933A KR 20010071443 A KR20010071443 A KR 20010071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heel
skate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5750B1 (ko
Inventor
스벤슨존이.
메이벅안토닌에이.
Original Assignee
밴더크리프트 제임스 에이.
케이-2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밴더크리프트 제임스 에이., 케이-2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밴더크리프트 제임스 에이.
Publication of KR2001007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3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6Skating boots
    • A43B5/1641Skating boots characterised by the sole ;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sk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22Skates with special foot-plates of the boot
    • A63C1/28Pivotally-mounted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61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relative movement of sub-parts on the chassis
    • A63C17/0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relative movement of sub-parts on the chassis with a pivotal frame or cradle around transversal axis for relative movements of th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65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movements during use of the foot plate or shoe relative to the chassis, e.g. inline clap sk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67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adjustable position of the foot plate or shoe relative to the chas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구부러지는 베이스를 갖는 스케이트(10)의 첫 번째 실시예는 베이스(14) 상에 장착된 상부 신발부분(12)을 포함한다. 베이스는 앞바퀴(18a,18b)를 지지하는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에 고정된 앞부분(20)을 포함한다. 베이스의 뒤축부분(24)은 뒷바퀴(18c,18d)를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는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뒤꿈치 및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가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에 관하여 자유로이 들어올려 지는 얇은 척골헤드부분(22)에서 형성되어 구부러진다. 스프링(72)은 베이스에 결합되어 스케이트를 구부러지지 않은 형상으로 가압한다. 전방 프레임 단면은 횡방향의 안정성을 위하여 후방 프레임 단면을 덮는다. 변경적인 실시예는 단지 앞부분(106)이 프레임에 장착된 완전한 길이의 강성 프레임(112) 및 구부릴 수 있는 베이스(104)를 제공한다. 베이스(104)는 척골헤드부분(108)에서 구부러지며, 프레임에 대해서 베이스를 가압하는 일체형 스프링을 형성하도록 제조되어 있다. 베이스는 프레임과 뒤축부분(110)의 횡방향의 정렬을 위한 가이드(11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부릴 수 있는 베이스를 갖춘 스케이트{FLEXING BASE SKATE}
종래의 외줄 롤러 스케이트는 강성이거나 반 강성의 베이스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상부부츠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뒤축부분(heel) 및 앞끝부분(toe)을 포함하는 상기 롤러 스케이트의 길이를 따라 순차로 강성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바퀴는 프레임의 측벽사이에서 공통적인 길이방향의 축선을 따라 저널식으로 되어있다.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이 왼쪽과 오른쪽 스케이트를 번갈아 사용하는 동안, 반대쪽 스케이트가 미끌어지는 동안 한쪽 스케이트는 밀어내게 된다. 그러나, 강성의 프레임이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뒤축 및 앞끝에 고정되어 있기때문에, 추력을 충분히 갖추고 그것에 의해 최대 전진 모멘트를 얻기위한 능력은 제한을 받게된다.
상기 스케이트의 프레임 및 베이스가 강성, 즉 구부러질 수 없도록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스케이트를 타는동안 최적의 스피드에 도달하는 것을 시도하는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은 밀어내는 동작을 행하는 동안 발목의 족저굴곡(plantarflexing)을 필요로 하지 않는 동작을 채택할 수 있다. "족저굴곡"이라는 용어는 다리에 의해서 한정된, 다리에 관하여 앞발이 멀어지게 이동하는 수평면에서 그 다리에 대한 발의 회전과 연관이 있다. 발목에서 족저굴곡을 피함으로써 모든 스케이트의 바퀴는, 그 스케이트의 베이스와 프레임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지면에 남아있게 된다. 그래서 맨 앞 바퀴가 두드러지게 피벗하지 못한다. 변경적으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이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발목에 족저굴곡을 수반하는 스타일을 채택할 수 있고, 앞발이 다리에서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여, 그로인해서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장딴지 근육이 보다 많은 힘이 발생하도록 한다. 그러나 프레임 및 베이스의 단단한 특성때문에, 이것은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목이 지면에서 과도하게 들어올려지게 하여, 이는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을 불편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상체와 다리의 과도한 움직임을 수반하고, 앞 바퀴에 과도한 마모를 수반하게 된다.
스케이트의 앞끝과 뒤축 아래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분리된 프레임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바퀴를 수반한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발을 구부릴 수 있는 직렬 스케이트가 제안되어 왔다. 예를들어, 미국특허 제5,634,648호에는 발의 횡의 측면에서 강성의 뒤축부분에 피벗하도록 결합된 강성의 앞끝 부분을 갖춘 부츠를 포함하고 있는 스케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2개의 바퀴를 지지하고 있는 제 1 프레임 세그먼트는 앞끝 부분 아래에 고정되어 있고, 두개의 부가적인 바퀴를 지지하고 있는 제 2 프레임 세그먼트는 뒤축부분 아래에 고정되어 있다. 태브는 앞쪽 부분의 베이스로부터 뒤쪽으로 뻗어있고, 뒤축부분의 베이스에 형성된 상응슬롯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스케이트를 사용하는 동안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은, 길이를 따라 구부러진태브를 수반한 상부의 측벽 피벗지점에서 발을 구부릴 수 있어서, 뒤축부분과 후방 프레임 부분은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발의 구부러짐이 허용되는 동안, 구부러짐은 해부학적으로 볼때 중심에 모아지지 않거나 또는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의 척골헤드에서 주로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구부러짐은 불편할 수 있다. 또한, 부츠가 전방 프레임과 바퀴의 뒤쪽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뒷꿈치를 들어올리고 추력을 내는 동안 프레임의 전방 세그먼트에 의해 불안정한 플랫폼이 제공된다. 게다가 두개의 프레임 세그먼트가 분리되어 있고 항상 결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두개의 프레임 부분이 지면위에 있을 때 조차 프레임에 측면 강성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스케이트가 직선으로 움직이도록 의도되었을 때, 상부의 뒤축 및 앞끝단면 그리고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태브 사이의 피벗 조인트에 의해 제한되어진 범위을 제외하면 스케이트의 비틀림 강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유럽특허출원 제 0 778 058 A2호에 변경적인 구부러 질 수 있는 스케이트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개시된 스케이트는 후방 부츠부분의 앞쪽 끝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분리된 앞끝 세그먼트를 수반한 상부 부츠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스케이트의 베이스의 아래와 접하고 있는 후방 부츠 세그먼트와 피벗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전방과 후방 프레임 부분은 부츠의 전방과 후방 세그먼트의 아래에 고정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 부분 측벽의 뒤쪽 끝부분은 후방 프레임 부분 측벽의 앞쪽 끝부분과 겹쳐진다. 제 2 피벗 핀은 전방 프레임 단면 측벽에 정렬된 구멍을 통해, 그리고 후방 프레임 단면의 둘러싸여진 측벽에 있는 상응슬롯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슬롯가공된 후방 프레임 단면이 전방 프레임 단면에 의해서 유지되는 제2 피벗 핀에서 움직임과 더불어, 스케이트 사용시 추력을 내는동안 발이 구부러지는 것을 가능하도록 부츠는 피벗한다. 그래서, 프레임 세그먼트의 피벗 커플링이 또한 횡방향의 안정성 및 비틀림 강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제한된 구부림이 제공된다.
그러나 유럽특허출원 058에서 개시된 스케이트의 구부림 정도는 후방 프레임 부분에 형성된 비교적 짧은 길이의 슬롯에 의해 제한된다. 게다가 스케이트의 뒤쪽 끝의 상부와 하부 위치결정은 단지 사용자의 발과 다리에 의해 제공된 힘에 의해서만 조절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바퀴가 공통적으로 정렬되리라 의도하는 평평한 선상의 지표면 위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바람직하지 않게 스케이트의 뒤쪽이 위,아래로 부딪칠 수 있다. 유럽특허출원 058에서 공개한 변경적인 스케이트의 실시예에서는, 완전한 길이의 강성 프레임을 가지며 후방 부츠부분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프레임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에 비해 부츠의 뒤축부분의 횡방향의 안정성에 대한 대책이 없기때문에, 프레임에 관하여 부츠의 바람직하지 못한 비틀림 또는 횡방향의 운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프레임 실시예에서, 뒤축이 부적당한 때에 바람직하지 않게 프레임으로부터 올라갈 수 있다.
본 발명은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부릴 수 있는 베이스를 갖는 외줄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따라 제조된 구부러지는 베이스와 분리된 프레임을 갖는 스케이트의 측면도(도시된 스케이트는 구부러 지지 않고 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
도 2는 도 1에 제시한 스케이트가 구부러져 있는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제시한 스케이트의 분해도;
도 4는 도 1에 제시한 스케이트의 베이스 평면도;
도 5는 교환가능한 스프링 요소를 수반한 도 1의 스케이트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베이스의 교호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경질의 프레임 및 베이스의 뒤축 끝부분이 프레임으로부터 자유로이 구부러지는 베이스를 갖는, 본 발명의 제 2 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스케이트의 측면도(구부러지지 않은 상태);
도 7은 도 6에 제시한 스케이트가 구부러진 형태의 측면도;
도 8은 베이스 상에 브레이크 요소를 장착한 스케이트를 포함한 도 6의 스케이트의 변경적인 형태의 측면도(구부러지지 않은 상태);
도 9는 도 8에 제시한 구부러진 상태의 스케이트의 상세한 부분단면 측 입면도(가이드는 미도시).
본 발명은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부분을 갖는 롤러 스케이트 및 수용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신발부분의 밑면에 고정 가능한 상부면을 갖는 베이스를 제공한다. 베이스는 뒤축부분 및 앞부분을 포함하며, 앞부분은 척골헤드부분(metatarsal head)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은 적어도 베이스의 앞부분 아래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어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이 뒷꿈치를 들어 올리고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베이스는 앞부분과 뒤축부분의 중간에서 구부러 질 수 있다. 프레임은 베이스의 아래로 뻗어서 복수의 바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앞 바퀴는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뒷 바퀴는 베이스의 뒤축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의 척골헤드부분은 척골헤드부분에서 베이스의 구부러짐이 집중되는 응력집중 형상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한층 더한 외형에서, 스케이트는 베이스의 뒤축부분을 낮은위치로가압하기 위해 베이스에 결합된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베이스의 뒤축부분은 프레임, 뒷바퀴 그리고 지면을 압박한다. 가압부재는 바람직하게 뒤축부분이 낮은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의 뒤축부분 상에 하향 예압을 가한다.
본 발명에서 제 1 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케이트의 프레임은 베이스의 앞부분 아래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된 전방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뒤축부분 아래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된 후방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전방 세그먼트는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앞 바퀴를 장착하고 있고, 반면 후방 세그먼트는 베이스의 뒤축부분의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뒷 바퀴를 장착하고 있다.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트 중 하나는 제 1 및 제 2 안정 플랜지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안정 플랜지는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 중 다른 하나의 마주보고 있는 겹쳐진 제 1 및 제 2 측면을 향하여 미끄럼가능하게 뻗어있다. 전방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는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동안 각각 서로에 관하여 자유롭게 미끄러지고 피벗한다.
본 발명의 변경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케이트는 베이스의 앞부분에서 베이스의 아래면에 고정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베이스의 뒤축부분은 낮은 지역에서는 프레임을 압박하고,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높은 위치로 프레임으로부터 상승한다. 가이드는 프레임 및 베이스의 뒤축부분 중 하나에 고정되어 있어서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동안 프레임 및 베이스의 뒤축부분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하여 미끄럼가능하게 맞물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발의 해부학적으로 볼때,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의 척골헤드 아래에서 바람직하게 구부러지는 베이스를 가진 스케이트를 제공한다. 첫 번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두개의 세그먼트로 분리되어 횡방향의 안정성을 위해 서로 겹치고 있으나, 구부러지는 동안은 서로에 대해서 자유롭고 미끄럽가능하게 피벗한다. 변경적인 실시예에서, 구부러지는 동안 신발부분의 뒤축은 프레임으로부터 올려지고, 움직이는 동안 프레임에 비해 상부의 측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가이드가 제공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스케이트는 발을 구부릴 수 있는 능력때문에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증가된 추력을 제공하고, 발에 있어서 해부학적으로 가장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지점에 구부림을 집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프링 판과 같은 낮은 위치에서 스케이트의 뒤축을 예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에 각각의 동작후에 프레임과 지면이 완전히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뒤축이 제 위치로 스냅맞춤 된다.
여기에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외관이나 거기에 수반된 많은 장점들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구부러지는 베이스를 갖는 스케이트(10)의 제 1 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다. 스케이트(10)는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 및 발목을 수용하거나 둘러싸는 상부 신발부분(12)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신발부분(12)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구부러질 수 있는 베이스(14) 상에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14)는 사용자의 발을 밑에서 받쳐주고 지지한다. 베이스(14)는 그 베이스(14)의 밑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분리된 프레임 조립체(16)에 순차로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바퀴(18a,18b,18c,18d)는 프레임 조립체(16)의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고 있는 제 1 및 제 2 측벽 사이에 저널식으로 되어있다.
베이스(14)는 사용자의 발의 볼록튀어나온 부분과 발가락을 밑에서 받쳐주고 지지하는 앞부분(20)을 포함한다. 베이스의 앞부분(20)은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의 척골헤드에 상응하는 지역을 밑에서 받쳐주는 척골헤드부분(22)을 포함한다. 베이스(14)는 후방으로 뻗어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 뒤꿈치를 밑에서 떠받쳐 주는 뒤축부분(24)에서 끝난다. 프레임 조립체(16)는 베이스(14)의 앞부분(20)에 고정되어 있는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 그리고 베이스(14)의 뒤축부분(24)에 고정되어 있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방"은 스케이트의 앞부분(20)방향을 나타내며, 반면 "후방"이란 스케이트의 뒤축부분(24)의 대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베이스(14)의 전방 및 후방 끝 부분의 중간에서 구부러지도록 하기 위한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의 포함, 그리고 베이스(14)의 형성은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 및 상부 신발부분(12)이 구부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베이스(14) 및 상부 신발부분(12)이 낮은 위치로부터 구부러져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6,28)가 길이방향으로 정열되어 있는 것을 도 1에 도시하였고, 그리고 높은 위치에서 구부러져 베이스(14)의 뒤축부분(24)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가 베이스(14)의 앞부분(20) 및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에 관하여 위로 피벗하는 것을 도 2에 도시하였다. 스케이트(10)의 각각의 요소들은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해 보면, 상부 신발부분(12)은 사용자의 발의 발가락, 측면,뒷꿈치 그리고 발목을 둘러싸는 종래의 구조를 하고 있다. 상부 신발부분(12)은 신발끈 구조와 같은 등가죽(29), 슈우텅 그리고 폐쇄부를 포함한다. 앞서 도시한 상부 신발부분(12)은 강성 또는 반강성의 내부 힐 컵 및 발목지지 커프(미도시)에 의해 지지되어 스케이트를 수직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외부 발목지지 커프 및 힐 컵에 의해 강화된 구부러질 수 있는 상부를 포함한, 다른 종래의 상부 신발부분의 구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상부신발부분(1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재료들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신발부분(12)은 베이스(14)와 함께 구부러질 수 있다.
베이스(14)는 도 1, 3 그리고 4에서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14)는 상부신발부분(12)의 밑면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상부면(30,도 4)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14)는 볼트이음, 리벳이음, 꿰매기 그리고 접착제를 이용하는등 종래의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상부신발부분(12)에 고정된다. 반면 베이스(14)가 상부신발부분(12)으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더라도, 상부신발부분(12)과 베이스(14)가 여기서 좀더 설명할 방법으로 구부러짐을 수용하는 한, 베이스(14)가 또한 상부신발부분(12)과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베이스(14)의 상부면(30)은 베이스(14)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세워진 립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다. 립은 사용자의 앞 끝 및 뒤축의 낮은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해 후방 및 전방 끝 부분의 윗쪽으로 뻗어 있다.
도 1 및 3에서 가장 잘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14)는 길이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리브(40)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면(39)을 포함하고 있으며, 리브(40)는 베이스(14)의 하부면(40)의 내부 및 외부의 길이방향면을 따라 뻗어 있다. 리브(40)는 베이스(14)의 단면 두께를 증가시키도록 형성되었으며, 베이스(14)의 뒤축부분(24) 및 앞부분(20)의 전방부분에 강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리브(40)는 베이스의 앞부분(20)의 척골헤드부분(22) 아래로 길이방향으로 뻗어있지는 않다. 그래서, 베이스(14)의 척골부분(22)의 유효두께는 베이스(14)를 둘러싸고 있는 영역의 두께에 관하여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감소한 두께는 베이스(14)가 척골헤드부분(22)에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14)의 구부러짐을 척골헤드부분(22)에 집중시켜,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척골헤드부분의 길이를 따라 완만한 원호를 그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척골헤드부분(22)의 구부러질 수 있는 능력은 척골헤드부분(22)을 통하여 가로로 길다란 구멍(42)의 구조에 의해 보다 강화된다. 구멍(42)은 척골헤드부분(22)의 폭의 대략 절반을 가로질러 횡 및 중앙으로 뻗어있고, 또한 헤드부분(22)의 길이 대부분을 가로질러 전방 및 후방으로 뻗어있다. 이러한 구멍(42)은 척골헤드부분(22)에 발생하는 구부러짐에 의한 응력을 보다 집중시키는 역활을 한다. 게다가 구멍(42)은 횡으로 길다란 계란형태로 형성되었으며, 척골헤드부분(22)의 중앙선을따라 구부러짐을 보다 집중시키는 역활을 한다. 그래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14) 및 상부신발부분(12)은 해부학적으로 척골헤드의 바로 아래 바람직한 위치에서, 척골헤드가 구부러 질 수 있는 자연스런 형상부를 따라 구부러진다.
주의사항은 분리 프레임 조립체(16)의 구조를 기술하는 도 3에 관한 것이다.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는 각각 독립된 비틀림 박스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는 베이스(14)의 앞부분(20)의 전방 스케이트 앞끝부분의 바로 아래로부터 척골헤드부분(22)의 바로 앞까지, 후방으로 뻗어있는 최상부벽(31)을 갖는다.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는 베이스(14)의 길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대향하는 왼쪽 및 오른쪽 측벽(32)을 더 포함한다.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도 이에 상응하는 최상부벽(34) 및 길이방향의 왼쪽 및 오른쪽 측벽(36)을 포함한다. 최상부벽(34)은 베이스(14)의 뒤축부분(24)의 아치부분 밑으로부터 뒤축부분(24)의 후방끝까지 미치고 있다. 무게감소 구멍(38)이 최상부벽(34)의 중심으로부터 절단되어 있다.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6,28)의 최상부벽(31,34)은, 그곳으로부터 하향으로 수직으로 돌출한 측벽(32,36)을 수반하고 수평으로 향해있다. 각각의 프레임 세그먼트(26,28)는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의 왼쪽 및 오른쪽 측벽(32) 그리고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의 왼쪽 및 오름쪽 측벽(36)사이를 단단히 죄어주는 일련의 하부 수평 브레이스(40)에 의해 완비된다. 하부 브레이스(40)는 수평을 유지하고 최상부벽(31,34)으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바퀴(18a,18b,18c 및 18d) 사이를 향해 있다.
보다 자세히는,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는 대향하는 측벽(32)사이에 저널되어 있는 제 1 앞 바퀴(18a) 및 제 2 앞 바퀴(18b)를 지지하고 있다. 각각의 바퀴는 측벽(32)에 정렬된 구멍(46)을 통해 삽입되어서 캡스크루(48)에 의해 유지되는 회전축선(45)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중심허브 및 베어링 조립체(44)를 포함한다. 프레임의 전방 세그먼트(26)에서, 단일 수평 브레이스(40,미도시)는 제 1 앞 바퀴(18a) 및 제 2 앞 바퀴(18b)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도 유사하게 측벽(36)의 축선(45) 상에 저널되어 있는 제 1 뒷 바퀴(18c) 및 제 2 뒷 바퀴(18d)를 지지하고 있다. 제 1 수평 브레이스(40)는 측벽(36)사이의 제 1 뒷바퀴(18c) 바로 앞쪽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수평 브레이스(40,미도시)는 제 1 및 제 2 뒷 바퀴(18c,18d)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전방과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6,28)의 최상부벽, 측벽 및 하부 수평 브레이스는, 좋은 비틀림 강성을 가진 구조와 같은 굳고 길다란 박스와 같은 각각의 프레임 세그먼트를 통해 완비된다. 수평 브레이스(40)에 의해 제공된 비틀림 강성은 바람직 하지만 대각재(crossbracing)없이 제조된 프레임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게다가 베이스(14)로부터 하부로 뻗어있는, 대각의 내부 대각재 또는 베이스(14)로부터 하부로 뻗은 외부 브레이스와 같은 변경적인 대각재도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 세그먼트(26,28)는 알루미늄, 티타늄, 다른 금속 및 합금, 공업용 열가소물, 및 강화된 열가소물 섬유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와 같은 다른 적당한 경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여전히 도 3을 참조하면,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는 후방 연장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측벽(32)에 고정하거나 또는 측벽(32)과 일체로 형성된 안정 플랜지(50)를 포함한다. 안정 플랜지(50)는 가장 안쪽, 다시말해 제 2 앞 바퀴(18b)의 후방으로, 가장 안쪽, 다시말해 제 1 뒷 바퀴(18c)를 향하여 뻗어있다. 안정 플랜지(50)는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의 측벽(32)에 용접(금속재료를 사용해서)될 수 있고, 나사로 고정되고, 부착 또는 리벳될 수 있다. 변경적으로, 안정 플랜지(50)를 포함한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는 일체를 형성하도록 주조, 주형 또는 기계가공될 수 있다. 안정 플랜지(50)는 내부에 이격되어 분리된 두개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어서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 측벽(36)의 앞쪽 끝을 밀접하면서도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 안정 플랜지(50)사이의 간격은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 측벽(32)의 나머지 부분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다. 그래서 측벽은 안정 플랜지(50)를 형성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외부로 뻗어서 횡으로 바깥쪽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구부러진다.
도 1은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 측벽(36)의 앞쪽 끝을 덮고 있는 안정 프랜지(50)를 도시하고 있다. 안정 플랜지(50)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 측벽(36)의 겹쳐진 맞춤부는, 좌측 측벽(36)의 바깥 면에서부터 우측 측벽(36)의 바깥 면까지의 폭이 안정 플랜지(50)의 내부면 사이의 폭보다 단지 조금 작게 밀접해 있다. 이러한 근접한 맞춤부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가 횡으로 피벗하는것, 다시말해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에 관하여 길이방향 축선을 벗어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기에 바람직하다. 그래서 안정 플랜지(50)는 독립된 프레임 세그먼트(26,28), 특히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구부러지지 않은 베이스(14)에 있어서 비틀림 커플의 역활을 한다. 프레임 세그먼트(26,28)는 단지 이러한 겹치는 부분에 의하여, 그리고 둘다 베이스(14)에 고정되는 효과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반면 둘은 바람직하게 독립되어 있다. 이러한 안정을 위해 겹치는 부분은 베이스(14)가 구부러지는 모든 과정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된다.
프레임 조립체(16)의 비틀림 강성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하여, 안정 플랜지(50)는 플랜지(50)의 낮은 에지부분을 통해 형성되어 정렬된 구멍을 통해 삽입된 가로축 안정 핀(52)에 의해 강화된다. 안정 핀(52)은 한쪽 끝에서는 헤드에 의해, 다른쪽 끝에서는 캡스크루 또는 플레어에 의해 적소에 유지된다. 안정 핀(52)은 (스케이트를) 사용하는 동안 안정 플랜지(50)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밖으로 튀어나오거나 또는 각각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격된 수평배열 상태를 유지한다.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 측벽(36)의 앞 끝부분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부러지지 않은 형상에서 프레임 세그먼트(26,28)가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 안정 핀(52)을 수용하고 조절하는 오목부같은 노치(54)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치(54)는 최대 가로 고정을 위해서 안정 핀(52)이 가능한 한 후방에 설치되도록 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안정 플랜지(50)의 뒷쪽 끝부분은 그들이 후방으로 뻗어나갈수록 수직 폭은 하향으로 테이퍼진다. 역으로, 측벽(36)의 앞쪽 끝부분은 그들이 앞쪽으로 뻗어나갈수록 수직 폭은 전방 및 윗방향으로 테이퍼진다. 이러한 구조는 안정 플랜지(50) 및 측벽(36)이 최대로 겹치도록 한다. 그러나 안정 플랜지(50) 및 옆벽(36)이 뭉툭한 끝을 가지는 다른 구조도 가능하다. 게다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독특한 안정 플랜지(50)를 포함한 것이 오히려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를 조절하기 위해,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의 측벽(32)이 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측벽(32)의 뒷쪽 부분이 넓은 폭을 형성하기 위해 구부러질 수 있다. 이 모든것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게다가 고정 플래임은 변경적으로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38) 상에 장착되어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측면 플랜지라기 보다는, 이와 다른 길이방향의 돌기(들)가 상응슬롯, 오목부,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 내의 공간에 밀접하면서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된,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6,28)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안정 플랜지(50)의 겹치는 부분과 달리,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6,28)는 각각 독립되어 있다. 그래서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6,28)는 베이스(14)가 구부러지는 동안 제한없이 각각 서로에 관하여 피벗 또는 미끄러지는 것이 자유롭다.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6,28)의 미끄럼가능하게 피벗하는 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테플론 플루오르화물 중합체 패드(56)같이 마찰이 적은 면이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 측벽(36) 각각의 앞쪽 끝의 외부면에 바람직하게 적용되었다. 변경적으로, 저마찰패드(56)는 안정플랜지(50)의 내부면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안정 플랜지(50)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 둘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나이론 패드나 베어링같은 저마찰 재료들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전방과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6,28)의 움직임사이의 마찰저항은 최소화된다. 베이스(14)의 구부러짐은 단지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의 위치 및 행동에 의해서, 그리고 프레임 조립체(16)에 의해서라기 보다 베이스(14)의 가압(아래에서 논의되어짐)에 의해서만 제한을 받는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프레임 조립체(16)는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를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있어, 프레임 조립체(16)는 그것의 길이를 따라 단단하게 된다. 이것은 아마도 예를들어, 단단한 프레임위에서 보다 편안히 스케이트를 타기 원하는 초보자들에게 바람직할 것이다. 앞서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 핀(58)은 한쪽 끝에는 헤드를, 반대 쪽에는 스프링에 의해 하중을 받고 있는 디텐트 볼을 가지고 있어서, 안정 플랜지(50)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 측벽(36)의 앞쪽 끝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정렬되어있는 구멍(60)을 통해서 원하는 경우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것처럼, 베이스(14)가 구부러지지 않아 전방과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가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고정 핀(58)은 원하는 경우 삽입될 수 있다. 앨렌 렌치 또는 다른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 핀(58)을 디텐트면으로부터 밀어냄에 의해 고정 핀(58)은 제거되어, 스케이트를 다시 구부러질 수 있는 형상으로 회복시킨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6,28)는 횡 및 수평의 조정을 위해 각각 베이스에 독립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베이스(14)는 이격된 4개의 가로 장착 슬롯(62)을 포함한다. 각각의 장착 슬롯(62)은 하향으로 돌출한 보스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다. 각각의 장착 슬롯(62)은 상부면(30) 및 하부면(40)사이의 중간부분에서 베이스(14)에 주형되거나 또는 부착된 상응하도록 슬롯가공된 금속판에 의해 보강된다. 보강판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에 의해서 적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상응슬롯(62)의 주변에 대해 내부로 돌출한 립(63)을 형성한다. 스터드(64)의 헤드는 베이스(14)의 상부면으로부터 각각의 슬롯내에 수용되며, 보강판에 의해 형성된 립(63)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스터드(64)는 슬롯(62) 및 립(63)을 통해 하부로 뻗어있는 내부 나사가공된 스템를 포함한다. 스터드(64)는 슬롯(62)의 길이를 따라 좌우로 미끄러질 수 있다.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의 최상부벽(31)은 길이방향으로 향해있는 두개의 장착슬롯(66)을 포함한다.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의 최상부벽(34) 또한 길이방향으로 향해있는 두개의 장착슬롯(66)을 포함한다.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에서 길이방향의 장착 슬롯(66)은 베이스(14)에 형성된 두개의 맨앞 가로 장착 슬롯(62)과 정렬가능하다. 이러한 맨앞의 장착 슬롯(62)은 베이스(14)의 앞부분(20)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케이트 앞 끝부분 바로 아래 및 척골헤드부분(22) 바로 앞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장착 볼트(68)는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를 베이스(14)의 앞부분(20)에 장착하기 위하여,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의 아래부분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슬롯(66)을 통해 상응 스터드(64)내에 삽입된다. 장착 볼트(28)가 느슨하게 스터드(64)에 수용되면,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는 슬롯(66)의 길이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또한 슬롯(62)의 길이를 따라 가로로 왼쪽 및 오른쪽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바람직한 전방 및 후방의 위치 그리고 좌,우 위치 게다가 각형성까지 이루어지면,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를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볼트(68)는 스터드(64)내에 꽉 죄어진다.
이와 비슷하게, 장착 볼트(68)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 내의 길이방향 슬롯(66)을 통해 베이스(14)의 뒤축부분(24)의 맨뒤 두개의 가로 슬롯(62) 내에 유지된 스터드(64) 내에 삽입된다. 맨뒤 두개의 가로 슬롯(62)은 베이스(14)의 뒤축의 바로 아래 및 아치의 바로 아래에 형성된다.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는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처럼 길이방향으로, 횡으로 그리고 각변위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6,28)는 각각 독립하여 조정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6,28)의 조정가능한 장착은 스케이트(10)의 프레임 조립체(16)를 늘이거나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긴 프레임은 속도증가에 바람직하고, 반면 보다 짧은 프레임은 조종성 증가에 바람직하다. 게다가 프레임 세그먼트의 왼쪽 및 오른쪽 위치결정은 똑바로 달리거나 또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인의 스케이트를 타는 스타일을 위해 바람직하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전방 프레임 단면(26)에 베이스(14)의 앞부분(20)의 장착은 스케이트를 탈때 추력을 내는 동안 밀어내는 동작으로부터 안정된 플랫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척골헤드부분(22)에서, 베이스(14)가 구부러지는 지점은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의 가장 안쪽 앞바퀴(18b)의 회전축선의 바로 위 또는 앞부분에 배치된다. 가장 안쪽 앞 바퀴(18b)의 회전축선은 상응축선(45)에 의해서 형성되고, 가장 안쪽 앞 바퀴(18b)가 지면과 접촉하는 지점에 상응한다. 그래서 스케이트가 구부러지는 동안,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 및 뒤쪽 바퀴(18c,18d)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할 때, 안정된 플랫폼이 여전히 제공된다. 왜냐하면 바퀴(18b)에 의해 제공된 지면과 가장 뒤쪽에서 접촉하는 지점이, 척골헤드부분(22)에서 구부러지는 지점의 바로 아래부분 또는 뒷쪽부분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가 예상치 못하게 위로 튀는 것을 방지하며, 그래서 스케이트를 미는 동작을 하는 동안 맨 앞의 앞바퀴(18a)는 지면에서 올라가게 된다.
도 2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부러지는 스케이트(10)는 바람직하게 베이스(14)의 하부로 또는 도 1의 구부러지지 않은 형태로는 압력을 가하고, 상부 또는 도 2의 구부러진 형태에서는 압력을 제거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가압부재는 베이스(14)와 동일평면상에서 베이스(14)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에 의해서 제공된다. 예를들어, 베이스(14)는 섬유조직에 의해 강화된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복합재와 같은 탄성 복합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의 탄성 복합 재료의 적합한 예중 하나는 탄소섬유의 가닥으로 강화된 에폭시로서, 이는 베이스(14)의 길이방향 축선에 관하여 45°각을 이루고 짜여져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가로의 척골헤드부분(22)에서 여전히 비틀림 강성과, 길이방향의 탄성적인 구부러짐 역시 유지하는 결과를 야기한다.
베이스(14)에 스프링을 결합시키는 변경적인 방법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보다 자세히는, 베이스(14)의 상부면(30)에 넓고 길다란 오목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0)는 베이스(14) 폭의 대부분을 가로질러 뻗어서, 맨앞 장착슬롯(64)의 바로 뒤인 베이스(14)의 스케이트 앞 끝부분(20)의 전방 끝에서부터, 세번째 장착슬롯(64)의 바로 앞인 베이스(14)의 길이를 따라 대략 중간부분까지 뻗어 있다. 이러한 얕은 오목부(70)는 오목부의 폭 및 길이의 대부분에 미치는 스프링 판(72)을 수용하고 있다. 스프링 판(72)은 척골헤드부분(22)의 위를 지나 중심에 위치해 있다. 스프링 판(72)은 스프링 스틸 스트립 또는 변경적으로 강화된 복합재와 같은 다른 탄성재료의 스트립으로 적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판(72)은 적소에 적합하게 부착되거나, 리벳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지막 공정을 하는 동안 스프링 판은 베이스(14) 및 상부 신발부분(12)사이에서 상부 및 하부면 상에 부착되어 진다. 게다가 4개의 리벳(74)은 베이스(14) 및 스프링 판(72)의 각각의 코너를 통해 삽입되어 있고, 상응하는 스프링 판(72) 내에 형성된 짧은 길이방향 슬롯(76)을 통해 삽입되어 있다. 이것은 베이스(14)가 구부러지는 동안 베이스(14)에 관하여 스프링 판(72)이 길이방향으로 다소 이동하게 한다. 오목부(70)는 또한 스프링 판(72)의 전방 및 후방 끝에 접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위치한 두개의 가로 탄성 중합체 스트립(78)을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 중합체 스트립(78)은 베이스(14)가 구부러지는 동안 슬롯(76)에 의해 허용된, 스프링(72)의 길이방향 움직임을 압축하고 흡수한다. 베이스(14)가 구부러지지 않은 형태로 회복시 탄성 중합체 스트립(78)은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그래서 스프링(72)이 부가적인 힘을 수반한 본래 형태로 되도록 보다 더 가압하게 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도 1의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 판(72)은 스케이트(10)의 뒤축부분(24)을 하부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스프링 판(72)은 바람직하게 예압을 받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 판(72)은 바퀴(18a,18b,18c및 18d)의 길이방향의 배향에 음의 캠버를 도입하기에 충분하게 베이스(14)의 뒤축부분(24)을 가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은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이 횡단할 평평한 지면(76)을 도시한 것이다. 베이스(14)에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체중이 도입되기 전에는, 스케이트(10)는 스프링 판(72)에 의해서 가압되기 때문에 중간바퀴(18b,18c)는, 가장 앞에 위치한 바퀴(18a) 및 가장 뒤에 위치한 바퀴(18d)에 관하여 약간 들어올려 진다. 그래서 바퀴의 바닥면은, 도 1에서 라인(78)으로 도시한 것 처럼, 하부로 약간 수평인 원호를 형성한다. 사용자의 체중이 베이스(14)에 가해지자마자, 스프링 판(72)의 예압을 압도하게 되어, 중간바퀴(18b,18c)는 모든 바퀴가 지면위에 마치 평평한 형상으로 존재하게 될 때까지 하부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스프링 판(72)의 예압은 스케이트(10)의 로커링을 제거하고, 로커링이 발생하지 않는 스케이트를 만들고자 할때 사용될 수 있다.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이 땅을 밀치는 동작을 시작할 때 각각의 동작을 하는 동안, 중간바퀴(18b,18c)는 처음에는 지면과 닿지 않지만, 그러한 동작의 부분이 반복되는 동안 바람직하지 않은 트래킹은 제거 될 것이다. 바퀴(18)의 초기 캠버링은 전방 및 후방 바퀴가 항상 지면과 적당하게 접촉하여 머무르는 것을 보장한다.
한편 도 1에서 4개의 바퀴를 가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는 반면, 바퀴의 수를 달리하여 보다 많거나 적게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5개의 바퀴를 가진 것 처럼 많은 수의 바퀴는 속도를 증가시키는데 바람직할 것이다.
스케이트(10)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베이스(14)는 분리 프레임 조립체(16)의 길이방향의 축선에서 가로로 형성되어, 횡으로 뻗은 축선에 대해서 구부러진다. 그러나, 얇은 척골헤드부분(22)의 응력집중 형상부는 변경적으로 프레임 조립체(16)의 길이방향 축선에 관하여 약간 각을 이룬 것처럼 배향될 수 있다. 그것으로 인해 이것은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의 척골헤드의 형상을 따라 보다 근접하여 약간의 각을 이루는 가로 회전축선을 형성한다. 베이스(14)와 스케이트(10)의 회전 중심은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의 척골헤드의 바로 아래 수평면에 있게 되고, 다른 위치에서의 회전중심은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에 경련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의 중심은 바람직하다.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이 땅을 밀치는 동작을 시작할 때,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이 본 발명의 스케이트(10)를 사용하면, 구부러지는 발이 베이스(14)의 척골헤드부분(22)위에 있는 동안은 발목은 발바닥이 구부러지게 될 것이다.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가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질 때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는 지면에 확고히 남아있게 된다.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의 무게는 발의 척골헤드를 회전시키고,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체중은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에 압박을 가한다. 두개의 맨 앞쪽 바퀴(18a,18b)에 의해 안정된 플랫폼이 제공되고, 그로부터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이 스스로 전진하는 추진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스케이트를 타는 행동은 함께 계류중인, 참고로 개시된 출원 제08/957,436호에 보다 완전하게 기술하였다.
스케이트를 타는 동작중 밀어내거나 추력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하는 동안, 뒷꿈치가 들리고 발이 구부러질때, 스프링 판(72)은 스케이트의 전방 끝부분에서보다 큰 힘을 수반하여 추력을 내게 한다. 스프링 판(72)은 스케이트의 척골헤드부분(22)에서 구부러지며, 스케이트의 전방은 베이스(14)의 앞부분(20)의 나머지부분 상의 척골헤드 전방에 하중을 가한다. 스케이트를 타는 동작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발에서 긴장을 완화하자마자, 스프링(72)은 베이스(14)의 뒤축부분(24)이 앞쪽으로 스트라이드를 계속하는 동안 스케이트에 반환된 에너지를 가지고 도 1의 구부러지지 않은 형상으로 되돌아 가도록 한다. 게다가 스프링 판(72)의 예압은 스케이트(10)를 아래로 단단하고 명확하게 스냅맞춤시켜,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정령되게 해준다.
스케이트(10)의 구부러지는 베이스(14)의 사용은, 특히 오래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보다 향상 된 조종성능을 제공한다. 스케이트는 스케이트를 타는 전 과정동안 사용자의 체중하에서 확고히 유지되며, 사용자는 직선 라인에서 무게중심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종래의 강성 프레임 스케이트에 비해서 구부러지는 스케이트(10)의 사용에 의해 보다 긴 행정 및 보다 향상 된 속력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분리 프레임 조립체(16) 및 구부러지는 베이스(14)는 사용자가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로 점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고, 위로 점프운동을 하는 동안 발이 구부러질 때 다리 및 발의 도약하는 행동에 사용되며, 스케이트에서 체중이 제거된 후에 스케이트를 구부러지지 않은 형태로 되돌린다. 그래서 본 발명의 스케이트(10)는 점프에 있어서 램프 또는 다른 들어올리는 장치의 사용없이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대신 단지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로 도약한다.
분리 프레임 형태(16) 및 구부러지는 베이스(14)의 또 다른 장점은스케이트(10)가 일체형 현가장치 시스템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지면에서 스케이트(10)가 장애물 및 돌출부 위를 지날 때,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에 진동 및 충격을 줄이기 위해서, 그에따라 베이스(14)가 구부러지게 됨과 동시에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26)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28)의 하나는 다른 부분에 관하여 상승될 수 있다. 그래서 우수한 조종능력 및 빠른 속력을 내는것이 가능하다.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뒤꿈치는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의 발가락으로부터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케이트에 의해 제공된, 발이 완전히 활같이 휠수 있는 구부러짐은 조종성, 스피드 및 점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도 10의 스케이트의 베이스(14)에 변화를 준 것이다. 앞서 가장 관심을 갖고 기술한 베이스(14)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는 변경적인 베이스(80)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단일의 길이방향의 오목부(70) 및 스프링 판(72)이라기 보다는, 폭이 좁은 길다란 스프링 스트립(82,84)이 스케이트의 왼쪽 및 오른쪽 에지를 따라 상응하는 길다란 오목부 내에, 그리고 다시 스케이트의 앞부분(20)내에 장착되어 있고 척골헤드부분(22)위로 중심이 지나고 있다. 폭이 좁은 스프링 스트립(82,84)은 베이스(80) 주변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베이스(80)에 횡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각각의 스프링 스트립(82,84)은 스프링 스트립(82,84)의 제거 및 설치를 위해 손이나 플라이어로 죌수 있는 태브(86)를 포함한다. 한번 설치되면 스프링 스트립(82,84)은 오목부 내에 밀접하게 수용되고, 이 위치에서 스프링(82,84)의 예압은 스프링 스트립(82,84)을 유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특별한 사용자 또는 특별한 용도로 원한다면 스프링 스트립(82,84)이 제거될 수 있거나, 더 크거나 작은 일정한 가압력을 갖는 고급 또는 저급의 다른 스프링 스트립으로 교환될 수 있다. 피에조 전기(Piezoelectric) 트랜스듀서처럼 교환가능하거나 또는 조정가능한 다른 형태의 가압요소가 사용되어질 수 있는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피에조 전기 트랜스듀서는 진동을 줄이고 구부러짐량과 구부러짐 회복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다양한 표면 상태에 반응하여 예압하는 캠버의 역활을 수행하고, 반응 현가장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구부러지는 베이스를 갖는 스케이트(100)의 변경적인 실시예가 도 6 및 7에 도시되어 있다. 스케이트(100)는 스케이트의 아랫면을 따라 베이스(104)에 고정된 상부(102)를 다시 포함한다. 상부(102) 및 베이스(104)는 앞서 기술한 실시예의 스케이트(10)의 상부(12) 및 베이스(14)와 실질적으로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다. 도 6 및 7에 도시한 스케이트에서, 상부(102)는 경주용 스케이트 부츠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서 기술한 스케이트 부츠처럼 다른 형태의 부츠가 변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104)는 도 1에서 도시한 베이스(14)와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척골헤드부분(108)을 가지는 앞부분(106) 및 뒤축부분(110)을 포함한다. 베이스(104)는 도 1 내지 4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시된, 앞서 기술한 스프링 판(72)과 같이 적합한 스프링과 결합되어 있다. 변경적으로, 탄성 복합 재료의 사용같은 다른 스프링 구조는 도 6의 실시예에서 베이스(104) 및 일체형 스프링을 형성하는 사용에 적합하다.
도 6은 스케이트의 길이방향 축선에 비해 45°방향을 향하고 있는 섬유재료로 제조진 복합재료로부터 적합하게 제조된 복합재료 베이스 및 스프링을 도시하고 있다. 그래서, 베이스(104)는 발의 척골헤드 아래에서 베이스에 구부러짐을 제공하는 척골헤드부분(108)에서 베이스(104)의 형상을 수반하는 하나의 구조를 가지며, 복합재료는 도 6에서 도시된 구부러지지 않은 형태로 만들기 위해 베이스(104)의 가압부재에 탄력을 제공하는 베이스(104)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구부러질 수 있는 척골헤드부분(108)의 전방 및 후방부분을 단단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104) 또한 바람직하게 길이방향으로 강화되었다. 길이방향의 강화는 앞선 실시예에서 기술한것 처럼 리브를 결합함으로서 얻을 수 있다. 변경적으로 유리기포 강화 플라스틱(syntactic foam) 강화 스트립 또는 다른 강화부재는 척골헤드부분(108)의 전방 및 후방에서 베이스(104)구조에 결합될 수 있다.
스케이트(100)는 또한 강성의 길이방향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앞서 기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프레임(112)은 하나의 구조로 되어서 스케이트의 전체길이만큼 뻗어있다. 프레임(112)은 하향으로 열린 U자형태의 대향하는 왼쪽 및 오른쪽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길다란 채널을 복합재료로 적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비틀림 박스 구조와는 유사하지만 스케이트의 길이를 따라 하나로 뻗은 변경적인 프레임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스케이트(100)는 프레임의 대향하는 측벽사이의 축선(116) 상에 저널되어 있는 복수의 바퀴(114)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104)의 앞부분(106)은 프레임(112)의 전방 끝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은 프레임(112)의 상부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나사가공된 삽입물이 몰드가공된 형내에 수용되거나 또는 베이스(104)의 상부면 위에 캡쳐되어 있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두개의 볼트(미도시)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베이스(104)로부터 하향으로 뻗어서 프레임(112)내에 수용된 너트를 수용하는 스터드와 같은, 또는 리벳가공과 같은 변경적인 구조도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104)는 단지 앞부분(106)에서 프레임(112)에 확고히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104)는 척골헤드부분(108) 및 뒤축부분(104)을 포함한 척골헤드부분(108) 뒷부분의 후방에서 프레임(112)과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유롭다. 그래서 도 7에서 도시된 구부러진 형태와 같이, 베이스(104)의 뒤축부분(110)은 척골헤드부분(108)에서 베이스(104)의 구부러짐을 수반하고, 프레임(112)으로부터 위로 그리고 떨어져서 상승되거나 올라갈 수 있다. 앞서 기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사용자는 뒤꿈치를 들어 올리기 위해 발을 구부릴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112)의 전체 길이는 모든 바퀴(114)가 지면위에 접하고 있거나 구르고 있는 상태로 지면과 수평하게 남아있게 된다.
베이스의 뒤축부분(104)이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프레임(112)으로부터 들어올려 질 수 있다 하더라도, 뒤축부분(104)의 중심이 베이스(112)위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뒤축부분(110)이 프레임(112)의 양쪽 측면으로 횡으로 움직이는 것을 야기하는, 베이스(104)의 비틀림에 의한 꼬임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베이스(104)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재료의 단면에 의해 베이스(104)에는 부분적으로 비틀림 강성제공된다. 그래서 복합재료를 사용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척골헤드부분(108)에 구부러짐이 허용되는 동안 강화된 섬유조직은 높은 비틀림 강성을 제공한다. 게다가 프레임(112)에 관한 베이스(104)의 측면 안정성 및 정렬은 베이스(104)의 하부면, 뒤축부분(110)의 후방 끝쪽 바로 아래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118)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가이드부재(118)는 길다란 U자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베이스(104)에 볼트, 리벳 그리고 그밖의 다른 방법으로 고정된 센터 탑부분(120)을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18)는 센터 탑부분(120)으로부터 연직 하향으로 프레임(112)의 양측면 상에 매달려 있는 제 1 및 제 2 플랜지(122)를 더 포함한다. 프레임(112)은 왼쪽 및 오른쪽 플랜지(122)사이에서 미끄럼가능하고 밀접하게 수용되고 있다. 가이드부재(118)는 높은 강성을 수반하고 바람직하게 구조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18)는 강화된 복합재료의 내부 및 외부 층내에 둘러싸여 있거나 캡슐로 보호되고 있는 유리기포 강화 플라스틱의 박판으로부터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과 같은 다른 재료들도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레임(112)의 측벽 또는 가이드부재(118)의 내부 중 한쪽에 저마찰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 부재는 서로에 관하여 쉽게 미끄러진다.
낮은 면에서 도 6의 구부러지지 않은 형태 및 높은 면에서 도 7의 구부러진 형태 사이에서 스케이트가 구브러지는 동안 도시하였으며, 프레임(112)은 가이드부재(118)의 대향하는 측면 플랜지(122)사이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그래서 베이스(104)의 뒤축부분(110)은 높은 횡의 안정성을 수반하고 프레임(112)위에 중심을 유지한다. 이렇게 구부러지는 스케이트(100)의 뒤축을 들어 올리는 능력은, 뒤축에 의해 지지되는 무게가 적기때문에 방해받지 않는 움직임을 제공한다. 베이스(104)에 결합된 스프링은 앞서 기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장점을 제공하며,도 6의 낮은 위치에서 베이스(104)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역활을 한다. 베이스(104)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은 바람직하게 예압을 받고있기 때문에, 베이스(104)는 프레임(112)에 대해서 명확하게 가압되고 있다. 척골헤드부분에서 베이스(104) 및 스케이트 상부(102)의 구부러짐에 의한 장점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나, 도 6 및 7의 실시예에서 모든 바퀴는 보강된 힘 및 안정성을 위해, 스케이트를 타는 동작이 끝날때 까지도 지면과 접촉하여 남아있다. 그리고 상기 트랙은 건강 및 스케이트를 경주용에 적용할때 좋다.
도 8에 도시한 구부러지는 베이스를 가진 스케이트(100)는 브레이크 조립체(130)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조립체(130)는 베이스(104)의 뒤축부분(110)에 고정된 상부 끝부분을 갖고, 그곳으로부터 후방 및 하향으로 뻗어서 가장 뒤쪽 바퀴(114)의 후방에서 끝나는 브레이크 암(132)을 포함한다. 탄성 중합체 브레이크 패드(134)는 나사와 같은 것으로 브레이크 암(132)의 뒤쪽 끝에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암(132)의 구조 및 장착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암(132)은 베이스(104)의 뒤축부분(110)에 볼트(138)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평평한 상부 부분(136)을 가진다. 가이드(118)는 브레이크 암(132)으로 일체로 형성되었다. 그래서 브레이크 암(132)의 상부 부분(136)은 가이드(118)의 최상부면(120)과 같은 역활을 한다. 가이드의 측면 플랜지(122)는 상부면(136)으로부터 하향으로 프레임(112)의 양측면 상에 매달려 있다. 구부러지는 초기 단계 동안 프레임(112)에 관하여 베이스(104)의 정렬을 더 유도하기 위해, 브레이크 암(132)은최상부면(136)으로부터 중앙 아래부분으로 돌출해 있는 테이퍼 진 원통형의 가이드보스(140)를 또한 포함한다. 가이드보스(140)는 측면 플랜지(122)까지 아래로 뻗어 있지는 않다. 가이드보스(140)는 프레임(112)의 상부벽에 형성된 슬롯가공된 구멍(142) 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그래서 스케이트가 도 8의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있을때, 안내보스(140)는 슬롯가공된 구멍(142) 내에 수용되고, 게다가 프레임(112)에 관해 베이스(104)를 횡으로 고정시킨다. 도 8에 도시된 이러한 형상에서, 브레이크 패드(134)는 지면과 인접하게 된다. 가장 뒤쪽 바퀴(114)상에서 뒤로 흔듬에 의해, 사용자는 제동하는 동작을 위해 패드(134)를 지면과 맞물릴 수 있다. 스케이트(100)가 구부러지는 동안, 브레이크 조립체(130)는 스케이트의 뒤축과 함께 위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조는, 변경적으로 브레이크 조립체가 대신에 프레임(112)에 장착되었을때 야기될 수 있는 과도한 레버 암 효과(lever arm effect)를 피하게 한다.
중앙에 있는 가이드보스(140)는 또한 브레이크 암(132)이 결합되어 있든 아니든 분명하게 도 6 및 7의 가이드(118)에 결합되어 있어야 한다.
도 6 내지 9의 구부러지는 스케이트의 자유로운 뒤축은 앞서 기술한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와 유사한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한다. 그래서, 스케이트의 뒤축은 지면의 돌출부 위를 지날때 프레임(112)으로부터 위로 피벗할 수 있다. 그렇지만 프레임(112)에 결합된 스프링의 가압부재는 프레임(112)에 관하여 베이스(104)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기계음이 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충격흡수장치는 베이스(104) 및 프레임(112)사이에 장착된 탄성중합체 감쇠요소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그래서 도 9는 프레임(112)위로 돌출된 상부 립을 포함하는 슬롯가공된 구멍(142)주변에 꼭 맞게 끼워져 있는, 탄성중합체 그로밋(grommet)(144)을 도시하고 있다. 베이스(104)가 낮은 위치로 아래로 피벗할 때, 베이스는 탄성중합체 그로밋(144)과 접촉하게 되고, 탄성중합체 그로밋(144)은 두 부재를 보호하고 그들 사이의 진동 및 충격을 줄이는 역활을 한다.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로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를들어, 탄성복합부재는 프레임의 다른위치에 또는 베이스(104)상에 장착될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부재가 프레임의 양측면 상에서 아래로 돌출된다기 보다는 베이스의 양측면 상에서 아래로 뻗도록 프레임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가 변경적으로 프레임으로부터 위로 돌출될 수 있으며, 베이스에서 뒤로 뻗은 부분에 형성된 구멍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2)

  1.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부분과 복수의 바퀴를 갖는 롤러 스케이트에 있어서,
    수용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신발부분의 밑면에 고정가능한 상부면을 가지며, 뒤축부분과 척골헤드부분을 포함하는 신발앞부분을 가지고 있는 베이스; 그리고
    적어도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인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되어,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뒷꿈치가 들어올려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베이스가 앞부분과 뒤축부분의 중간부분에서 구부러 질 수 있으며, 베이스 아래로 뻗어서 베이스의 앞부분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앞바퀴와 베이스의 뒤축부분의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뒷바퀴를 갖춘 복수의 바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고,
    베이스의 척골헤드부분은 베이스의 구부러짐을 척골헤드부분에 집중시키는 응력집중 형상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베이스의 앞부분 아래에 적어도 제 1및 제 2 앞바퀴를 장착하고 있고, 제 2 앞바퀴는 제 1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앞바퀴의 회전축선이 베이스의 척골헤드부분의 응력집중 형상부의 바로 아래나 후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응력집중 형상부는 베이스의 척골헤드부분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횡으로 뻗어 있는, 베이스의 얇은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응력집중 형상부는 베이스의 척골헤드부분을 통과하여 형성된 구멍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응력집중 형상부는 베이스의 척골헤드부분을 통과하여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뒤축부분이 프레임, 뒷바퀴 및 지면을 압박하는 낮은 위치로 베이스의 뒤축부분을 가압하기 위해서 베이스에 결합된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가압부재는 베이스의 앞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8. 제 7 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탄성재료로 제조되고 가압부재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9. 제 6 항에 있어서, 가압부재는 베이스를 따라 고정된 탄성재료 스트립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가압부재는 교환 가능성을 위해 베이스로부터 제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1. 제 6 항에 있어서, 가압부재는 뒤축부분이 낮은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의 뒤축부분상에 하향 예압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베이스의 아래에서 스케이트 앞끝부분으로부터 뒤축부분까지 뻗어있는 강성 프레임을 포함하며, 그리고 베이스의 만곡은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베이스의 뒤축부분이 프레임을 압박하는 낮은 위치와 베이스의 뒤축부분이 프레임에 비해 상승된 높은 위치 사이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꿈치가 올라가는 것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프레임과 베이스의 뒤축부분중 하나에 고정되고,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동안 프레임과 베이스의 뒤축부분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어 미끄럼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가이드는 베이스로부터 아래로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가이드는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내로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구멍은 슬롯을 형성하고, 베이스가 낮은 위치에 있을때 베이스와 접촉하기 위해 슬롯의 주위를 둘러싸고 프레임의 표면 위 상방으로 돌출한, 탄성 중합체 완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7. 제 14 항에 있어서, 가이드는 프레임의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측벽 상의 베이스로부터 아래로 돌출한 제 1 및 제 2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8. 제 12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뒤축부분이 낮은 위치로 움직일 때, 프레임과 베이스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프레임 또는 베이스 중 하나에 고정된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충격흡수부재는 탄성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20. 제 12 항에 있어서, 지면 또는 바퀴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브레이크 패드를 수반하고 있는 브레이크 암을 더 포함하고, 브레이크 암은 신발부분 또는 베이스에 고정되어서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동안 신발부분 또는 베이스에 수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21. 제 12 항에 있어서, 낮은 위치로 그리고 프레임에 대해서 베이스의 뒤축부분을 가압하기 위해서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2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된 전방 세그먼트와 뒤축부분의 아래에서 베이스 밑면에 고정된 후방 세그먼트를 가지는 길다란 프레임을 포함하며,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세그먼트는 각각 앞 바퀴 및 뒤 바퀴를 장착하고 있고, 베이스의 구부러짐은 베이스상의 뒤축부분의 상승 및 베이스의 앞부분에 관한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의 상승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23. 제 22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뒤축붑분이 낮아지거나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세그먼트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중 하나로부터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의 다른 하나를 향하여 뻗어서 미끄럼가능하게 맞물리는 길이방향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동안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가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미끄러지고 피벗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24. 제 23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돌출부는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중 하나로부터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의 다른 하나의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측벽을 향하여 돌출하여 덮는, 제 1 및 제 2 안정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25. 제 24 항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의 겹쳐진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측벽 각각의 외부, 또는 제 1 및 제 2 안정 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된 저마찰 베어링 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26. 제 24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안정 플랜지 사이에 걸쳐서 제 1 및 제 2 안정 플랜지에 고정된 횡방향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27. 제 26 항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중 하나의 겹쳐진 제 1 및 제 2 측벽은 각각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가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 안정 플랜지의 횡방향 보강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롤러 스케이트.
  28. 제 24 항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가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잠금요소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29. 제 22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세그먼트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과 측방향 모두로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하기위해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30. 제 29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세그먼트의 다른 하나는 길이방향과 측방향 모두로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에 또한 장착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31. 제 22 항에 있어서,
    앞 바퀴 및 뒷 바퀴사이에서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멘트중 하나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바퀴; 그리고
    베이스의 뒤축부분을 가압하기 위해 베이스에 아래쪽으로 결합되어 있어서,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세그먼트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체중이 베이스에 가해지기 전에 중간바퀴가 앞 바퀴 및 뒷 바퀴에 비해 약간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32.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부분과 지면을 이동하기 위한 복수의 바퀴를 가지는 롤러 스케이트에 있어서:
    수용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신발부분의 밑면에 고정가능한 상부면을 가지며, 뒤축부분과 척골헤드부분을 가지는 앞부분을 포함하는 베이스;
    적어도 베이스의 베이스 앞부분의 아래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되고, 베이스의 아래로 뻗어서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앞바퀴 및 베이스의 뒤축부분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뒷바퀴를 가진 복수의 바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베이스에 고정되어서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베이스의 뒤축부분이 프레임, 뒷바퀴 그리고 지면을 압박하는 낮은 위치와 베이스의 뒤축부분이 베이스의 앞부분에 비해서 들어올려지는 높은 위치 사이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뒷꿈치가 들어올려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앞부분과 뒤축부분의 중간위치에서 베이스를 구부러지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그리고
    낮은 위치로 베이스의 뒤축부분을 가압하기 위해서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으며, 뒤축부분이 낮은 위치에 있을때 베이스의 뒤축부분 상에 하향 예압을 가하는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33.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부분과 복수의 바퀴를 가진 롤러 스케이트에 있어서:
    수용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신발부분의 밑면에 고정가능한 상부면을 가지며, 뒤축부분과 척골헤드부분을 가지는 앞부분을 포함하는 베이스;
    적어도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되고, 베이스의 아래로 뻗어서,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앞바퀴 및 베이스의 뒤축부분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뒷바퀴를 가진 복수의 바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베이스에 고정되어서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베이스의 뒤축부분이 프레임, 뒷바퀴 그리고 지면을 압박하는 낮은 위치와 베이스의 뒤축부분이 베이스의 앞부분에 비해 들어올려지는 높은 위치 사이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뒤꿈치가 들어올려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베이스가 척골헤드부분에서 구부러지게 하는 프레임; 그리고
    낮은 위치로 베이스의 뒤축부분을 가압하기 위해 베이스와 결합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34.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부분과 복수의 바퀴를 가진 롤러 스케이트에 있어서:
    수용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신발부분의 밑면에 고정가능한 상부면을 가지며, 뒤축부분 및 앞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앞부분에 비해 뒤축부분이 들어올려지게 하기 위해 뒤축부분과 앞부분의 중간에서 구부러지기에 적합하게 된 베이스; 그리고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된 전방 세그먼트와 뒤축부분의 아래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된 후방 세그먼트를 가지며,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는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서 적어도 하나의 앞바퀴를 장착하고 있고 후방 세그먼트는 베이스의 뒤축부분의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뒷바퀴를 장착하고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중 하나는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의 다른 하나의 마주보고 있는 제 1 및 제 2 측벽을 향해 뻗어서 미끄럼가능하게 덮는 제 1 및 제 2 안정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는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동안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미끄러지고 피벗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35. 제 34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안정 플랜지를 포함하는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중 하나는 제 1 및 제 2 측벽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측벽은 하나 이상의 바퀴가 저널되어 있는 제 1 부분 및 측면 바깥쪽으로 뻗어서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의 다른 하나를 덮기 위해 제 1 부분과 평행인 제 2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36. 제 34 항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의 겹쳐져 있는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측벽 각각의 외부, 또는 제 1 및 제 2 안정 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저마찰 베어링 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37. 제 34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고정 플랜지 사이에 걸쳐서 제 1 및 제 2 안정 플랜지에 고정된 횡방향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38. 제 37 항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중 하나의 겹쳐진진 제 1 및 제 2 측벽은 각각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가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 안정 플랜지의 횡방향 보강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39. 제 34 항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가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잠금요소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40. 제 34 항에 있어서,
    앞 바퀴 및 뒷 바퀴사이에서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멘트중 하나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바퀴; 그리고
    베이스의 뒤축부분을 가압하기 위해 베이스에 아래쪽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세그먼트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체중이 베이스에 가해지기 전에 중간바퀴가 앞 바퀴 및 뒷 바퀴에 비해 약간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41. 제 34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스케이트의 앞부분은 척골헤드부분에서 베이스의 구부러짐을 집중시키는 응력집중 형상부를 형성하는 척골헤드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42. 제 41 항에 있어서,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는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서 적어도 제 1 및 제 2 앞 바퀴를 장착하고 있으며, 제 2 앞 바퀴는 제 1 앞 바퀴와 뒷바퀴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앞 바퀴의 회전축선은 베이스의 척골헤드부분에서 응력집중 형상부의 바로 아래 또는 뒤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43. 제 34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세그먼트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과 측방향 모두로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하기위해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44. 제 43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세그먼트의 다른 하나는 길이방향과 측방향 모두로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에 또한 장착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45.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부분과 복수의 바퀴를 가지고 있는 스케이트에서:
    수용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신발부분의 밑면에 고정가능한 상부면을 가지며, 뒤축부분 및 앞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앞부분에 비해 뒤축부분이 들어올려지게 하기 위해 뒤축부분과 앞부분의 중간에서 구부러지기에 적합하게 된 베이스; 그리고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된 전방 세그먼트와 뒤축부분의 아래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된 후방 세그먼트를 가지며,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는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서 적어도 하나의 앞바퀴를 장착하고 있고 후방 세그먼트는 베이스의 뒤축부분의 아래에서 적어도 하나의 뒷바퀴를 장착하고 있는 길다란 프레임을 포함하고,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중 하나는 베이스의 뒤축부분의 위치가 낮아지고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세그먼트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의 다른 하나를 향해 뻗어서 미끄럼가능하게 맞물리는 길이방향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는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동안 서로에 대해서 자유롭게 미끄러지고 피벗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46. 제 45 항에 있어서,
    앞 바퀴 및 뒷 바퀴사이에서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멘트중 하나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바퀴; 그리고
    베이스의 뒤축부분을 가압하기 위해 베이스에 아래쪽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세그먼트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체중이 베이스에 가해지기 전에 중간바퀴가 앞 바퀴 및 뒷 바퀴에 비해 약간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47. 제 45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앞부분은 척골헤드부분에서 베이스의 구부러짐을 집중시키는 응력집중 형상부를 형성하는 척골헤드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48. 제 47 항에 있어서,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는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서 적어도 제 1 및 제 2 앞 바퀴를 장착하고 있으며, 제 2 앞 바퀴는 제 1 앞 바퀴와 뒷 바퀴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앞 바퀴의 회전축선은 베이스의 척골헤드부분에서 응력집중 형상부의 바로 아래 또는 뒤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49.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부분과 지면위를 이동하기 위한 복수의 바퀴를 가지는 스케이트에 있어서:
    수용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신발부분의 밑면에 고정가능한 상부면을 가지며, 뒤축부분과 앞부분을 포함하는 베이스; 그리고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된 전방 세그먼트와 뒤축부분의 아래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된 후방 세그먼트를 가지며,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는 베이스의 앞부분의 아래에서 적어도 하나의 앞바퀴를 장착하고 있고 후방 세그먼트는 베이스의 뒤축부분의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뒷바퀴를 장착하고 있으며, 그리고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중 적어도 하나는 앞 바퀴 및 뒷 바퀴 사이에 중간바퀴를 장착하고 있는 길다란 프레임;
    프레임의 증가된 비틀림 강도를 위해서 전방 프레임 세그먼트를 후방 프레임 세그먼트에 결합시키는 길이방향의 부재; 그리고
    낮은 위치로 베이스의 뒤축부분을 가압하기 위해 베이스에 결합된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는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베이스의 뒤축부분이 프레임의 후방 세그먼트, 뒷바퀴 그리고 지면을 압박하는 낮은 위치와 베이스의 앞부분에 비해 베이스의 뒤축부분과 프레임의 후방 세그먼트가 들어 올려지는 높은 위치 사이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 뒤꿈치가 들어 올려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앞부분과 뒤축부분의 중간부분을 구부리기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50.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부분과 복수의 바퀴를 가지고 있는 스케이트에 있어서:
    수용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신발부분의 밑면에 고정가능한 상부면을 가지며, 뒤축부분과 척골헤드부분을 가지고 있는 앞부분을 포함하며,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척골헤드부분에서 구부러지기 적합한 베이스;
    베이스의 앞부분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고 복수의 바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있으며,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베이스의 뒤축부분은 낮은 위치에 있는 프레임을 압박하고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때에 프레임으로부터 높은 위치로 들어 올려지도록 하는 프레임; 그리고
    프레임과 베이스의 뒤축부분중 하나에 고정되어 있고,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동안 프레임과 베이스의 뒤축부분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어 미끄럼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51. 제 50 항에 있어서, 가이드는 베이스로부터 아래로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52. 제 51 항에 있어서, 안내부재는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내로 미끄럽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53. 제 52 항에 있어서, 구멍은 슬롯을 형성하며, 베이스가 낮은 위치에 있을때 베이스와 접촉하기 위해 슬롯의 주위를 둘러싸고 프레임과 지면위 상방으로 돌출한, 탄성 중합체 완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54. 제 51 항에 있어서, 가이드는 프레임의 마주보고 있는 제 1 및 제 2 측벽 상의 아래로 돌출한 제 1 및 제 2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55. 제 50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뒤축부분이 낮은 위치로 움직일 때, 프레임과 베이스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프레임 또는 베이스 중 하나에 고정된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56. 제 55 항에 있어서, 충격흡수부재는 탄성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57. 제 50 항에 있어서, 지면 또는 바퀴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브레이크 패드를 수반하고 있는 브레이크 암을 더 포함하고, 브레이크 암은 신발부분 또는베이스에 고정되어서,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동안 신발부분 또는 베이스에 수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58. 제 50 항에 있어서, 낮은 위치로 그리고 프레임에 대해서 베이스의 뒤축부분을 가압하기 위해서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59. 제 50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앞부분은 척골헤드부분에서 베이스의 구부러짐을 집중시키는 응력집중 형상부를 형성하는 척골헤드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60.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부분과 복수의 바퀴를 갖는 스케이트에 있어서:
    수용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신발부분의 밑면에 고정가능한 상부면을 가지며, 뒤축부분과 척골헤드부분을 가지고 있는 앞부분을 포함하며,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척골헤드부분에서 구부러지기 적합한 베이스;
    베이스의 앞부분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고 복수의 바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있으며,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베이스의 뒤축부분은 낮은 위치에 있는 프레임을 압박하고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때에 프레임으로부터 높은 위치로 들어 올려지도록 하는 프레임; 그리고
    낮은 위치로 베이스의 뒤축부분을 가압하기 위해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고, 뒤축부분이 낮은 위치에 있을 때 프레임에 대해서 베이스의 뒤축부분을 예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61. 지면위을 이동하기 위한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고 있는 스케이트에 있어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부분;
    수용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신발부분의 밑면에 고정가능한 상부면을 가지며, 뒤축부분과 척골헤드부분을 가지고 있는 앞부분을 포함하며,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척골헤드부분에서 구부러지기 적합한 베이스;
    베이스의 앞부분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고 복수의 바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있으며,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베이스의 뒤축부분은 낮은 위치에 있는 프레임을 압박하고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때에 프레임으로부터 높은 위치로 들어 올려지도록 하는 프레임; 그리고
    지면 또는 바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브레이크 패드를 수반하고, 신발부분 또는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으며,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동안 신발부분 또는 베이스에 수반되어지는 브레이크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62.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부분과 복수의 바퀴를 가지는 스케이트에 있어서,
    수용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신발부분의 밑면에 고정가능한 상부면을 가지며, 뒤축부분과 척골헤드부분을 가지고 있는 앞부분을 포함하며,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척골헤드부분에서 구부러지기 적합한 베이스;
    베이스의 앞부분에서 베이스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고 복수의 바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있으며,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베이스의 뒤축부분은 낮은 위치에 있는 프레임을 압박하고 베이스가 구부러지는 때에 프레임으로부터 높은 위치로 들어 올려지도록 하는 프레임; 그리고
    베이스의 뒤축부분이 낮은 위치로 이동될 때, 프레임과 베이스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프레임 또는 베이스 중 하나에 고정된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KR10-2000-7013933A 1998-06-09 1999-03-17 구부릴 수 있는 베이스를 갖춘 스케이트 KR100445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94,425 US6120040A (en) 1997-10-24 1998-06-09 Flexing base skate
US09/094,425 1998-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443A true KR20010071443A (ko) 2001-07-28
KR100445750B1 KR100445750B1 (ko) 2004-08-25

Family

ID=2224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933A KR100445750B1 (ko) 1998-06-09 1999-03-17 구부릴 수 있는 베이스를 갖춘 스케이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6120040A (ko)
EP (2) EP1094868B1 (ko)
KR (1) KR100445750B1 (ko)
AT (2) ATE320292T1 (ko)
AU (1) AU3188299A (ko)
CA (2) CA2512252A1 (ko)
DE (2) DE69936951T2 (ko)
NO (1) NO314713B1 (ko)
WO (1) WO19990641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9187B2 (en) 1997-10-24 2008-09-02 K-2 Corporation Double klap flex base boot with heel linkage
US6666463B2 (en) * 1997-10-24 2003-12-23 K-2 Corporation Flexing base skate
FR2804878B1 (fr) * 2000-02-11 2002-07-05 Salomon Sa Chassis pour article de sport
GB2363078A (en) * 2000-06-07 2001-12-12 Chou Tien Chiu An in line roller skate
FR2811905B1 (fr) * 2000-07-18 2003-02-07 Salomon Sa Patin a roulettes a semelle flexible
EP1305090A2 (en) * 2000-08-04 2003-05-02 K-2 Corporation Flexing base skate
US6736412B1 (en) * 2000-10-04 2004-05-18 K2 Corporation Klop skate having pushing and pulling capabilities
US6572121B2 (en) * 2001-09-28 2003-06-03 Fang Chuan Shih Shoe and wheel combination having detachable structure
US6592131B1 (en) * 2002-04-04 2003-07-15 Yio Deng Bai In-line roller skate having solid cushioning device
US20040160023A1 (en) * 2003-02-14 2004-08-19 Shi-Pei Liu In-line skate having pliable boot and tracking system
ITPN20030009U1 (it) * 2003-04-04 2004-10-05 Mgm Spa Pattino con ruote in linea, particolarmente da competizione.
US20050288133A1 (en) * 2003-05-07 2005-12-29 Elliot Rudell Ball with internal impact detector and an indicator to indicate impact
US8251377B2 (en) * 2003-08-25 2012-08-28 Green Brian J Roller skate and wheel trucks therefor
ITPN20040069A1 (it) * 2004-10-07 2005-01-07 Nordica Spa Pattino con ruote in linea o con lame da ghiaccio
EP1767253A3 (en) * 2005-09-19 2009-01-07 Bont Footwear PTY Ltd Inline Skate
US7341262B2 (en) * 2005-12-27 2008-03-11 Jack Liu Cushion for in-line skate
US8292308B2 (en) * 2009-11-16 2012-10-23 Brian Green Roller skate
US9056241B2 (en) * 2009-11-16 2015-06-16 Cardiff Sport Technologies, Llc Roller skate
US8348284B2 (en) * 2009-11-16 2013-01-08 Green Brian J Roller skate
US8857824B2 (en) * 2011-03-31 2014-10-14 Riedell Shoes, Inc. Truck assembly
CA2773256C (en) * 2011-03-31 2019-05-14 Riedell Shoes, Inc. Truck assembly
US8556275B1 (en) 2011-03-31 2013-10-15 Riedell Shoes, Inc. Truc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44A (en) * 1862-08-19 Improvement in skates
US609401A (en) * 1898-08-23 Skate
US601013A (en) * 1898-03-22 Skate
DE78733C (de) * K. HANNES, Raitenhaslach, Post Burghausen, Oberbayern Schlittschuh mit in vertikaler Ebene drehbarer Fufsplatte
DE484530C (de) * 1929-10-18 Karl Hollenbach Gelenkiger Schlittschuh
US63946A (en) * 1867-04-16 Improvement in skates
DE488768C (de) * 1929-12-31 Georg Fruehbeis Gelenk-Schlitt- oder Rollschuh
US1228544A (en) * 1916-04-19 1917-06-05 Carl Louis Falstrem Ice-skate.
US1603588A (en) * 1925-04-17 1926-10-19 Eberle Ferdinand Skate
US1751692A (en) * 1925-12-18 1930-03-25 Fruhbeis Georg Ice skate
US1702316A (en) * 1927-02-15 1929-02-19 Horace L Ridgers Skate
DE488740C (de) * 1927-12-16 1930-01-13 Polar Werke A G Schlittschuh
US1789182A (en) * 1929-10-07 1931-01-13 Klevstad Edward Ice skate
US2120987A (en) * 1935-08-06 1938-06-21 Alan E Murray Process of producing orthopedic shoes and product thereof
US2093915A (en) * 1937-01-27 1937-09-21 Klevstad Edward Skate
GB505349A (en) * 1938-11-21 1939-05-09 Hugo Dornseif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mbination skates and skating boots
DE811095C (de) * 1949-01-04 1951-08-16 Karl Thomae Schlittschuh
US2987834A (en) * 1959-01-19 1961-06-13 Howe Folding Furniture Inc Snowshoe harness
US3114562A (en) * 1960-09-06 1963-12-17 Robert J Goodman Latches and mechanical couplings
US3749413A (en) * 1972-03-03 1973-07-31 J Nicolson Wheeled ski
US3936061A (en) 1974-04-05 1976-02-03 Mahmut Starkow Roller skate
US3900203A (en) 1974-07-08 1975-08-19 Adolph F Kukulowicz Tandem wheeled roller skate
US4126323A (en) * 1975-05-15 1978-11-21 Scherz Hans Rudi Skate boot
US4108450A (en) * 1976-04-28 1978-08-22 Bernard Cote Roller skate
US4107856A (en) * 1976-09-13 1978-08-22 The Garcia Corporation Fast closing athletic boot
US4061348A (en) * 1976-12-20 1977-12-06 Carter Lewis H Roller skates
US4272090A (en) * 1979-03-09 1981-06-09 Wheat Ira N Roller skate
US4470205A (en) * 1980-08-13 1984-09-11 Warrington Inc. Two piece skate boot with integral hinge pin
EP0192312A3 (en) * 1985-02-21 1987-11-25 Gerrit Jan Van Ingen Schenau Skate, more particularly ice-skate for speed skating
DE3542251A1 (de) * 1985-11-29 1987-06-04 Lothar Herbert Haupt Eislaufschuh
US4839972A (en) * 1986-02-28 1989-06-20 Pack Roger N Footwear with pivotal toe
NL8702068A (nl) * 1987-09-02 1989-04-03 Gerrit Cornelis Van Ooijen Noorse schaats.
US5148853A (en) 1989-06-14 1992-09-22 Aluminum Company Of Americ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heat transfer of liquid coolant in continuous casting
US5014450A (en) * 1989-08-21 1991-05-14 Mcgrath James J Snowshoe
DE3941241C2 (de) * 1989-12-14 2002-03-2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Kolbendruckspeicher, insbesondere für antriebsschlupfgeregelte Bremsanlagen, sowie Schaltanordnung dazu
FR2659534B1 (fr) * 1990-03-16 1994-09-23 Salomon Sa Ensemble chaussure/patin et chaussure destinee a un tel ensemble.
US5228705A (en) * 1990-08-29 1993-07-20 Merle Smith Edmund Wintertime exercise device
GB9025843D0 (en) * 1990-11-28 1991-01-09 Helm Prod Ltd A foot transport device
CA2077087A1 (en) * 1990-12-28 1992-06-29 Alessandro Pozzobon Skate with aligned wheels
FR2672812A1 (fr) * 1991-02-18 1992-08-21 Wong Jack Patin a roulettes extensible.
US5331752A (en) * 1992-01-14 1994-07-26 Rollerblade, Inc. Skate with detachable shoe
US5257793A (en) * 1992-01-21 1993-11-02 Pierre Fortin Skate with adjustable runner
DE69317067T2 (de) * 1992-04-29 1998-06-18 Benetton Sportsystem Spa Rollschuh mit Bremsvorrichtung
US5505468A (en) * 1992-10-23 1996-04-09 Nordica S.P.A. Braking device particularly for skates
IT1266076B1 (it) * 1993-01-14 1996-12-20 Nordica Spa Struttura di pattino perfezionato
US5951027A (en) * 1993-03-22 1999-09-14 Oyen; Gerald O. S. Shock absorbent in-line roller skate with wheel brakes-lock
US5342071A (en) * 1993-05-06 1994-08-30 Mike Soo In-line roller skate brake assembly
US5505467A (en) * 1993-06-11 1996-04-09 Built For Speed, Inc. Adjustable skate support and bracket system
CA2101718C (en) * 1993-07-30 1997-05-27 T. Blaine Hoshizaki In-line skate construction
IT1273897B (it) * 1994-06-08 1997-07-11 Nordica Spa Struttura di pattino a rotelle a calzabilita' migliorata
US5484149A (en) * 1994-06-10 1996-01-16 Yuh Jou Co., Ltd. Adjustable roller skate structure
US5503413A (en) * 1994-10-31 1996-04-02 Pavel Belogour In-line roller skates with suspension
ATE265878T1 (de) * 1995-05-24 2004-05-15 Salomon Sa Sportvorrichtung
US5904359A (en) * 1995-05-26 1999-05-18 Nordica S.P.A. Skate with in-line wheels
US5498009A (en) * 1995-06-14 1996-03-12 Young; Gang Ice skate with an extendible sole plate
US5904360A (en) * 1995-06-30 1999-05-18 99 Innovations, Inc. Flexible skate frame
US5704620A (en) * 1995-06-30 1998-01-06 99 Innovations, Inc. Flexible skate frame
US5586774A (en) * 1995-09-15 1996-12-24 Dentale; Patsy Spring supported in-line skate
FR2740985B1 (fr) * 1995-11-14 1997-12-12 Salomon Sa Patin a roues en ligne a chassis deformable
EP0778058B1 (en) * 1995-12-04 2001-03-14 BENETTON GROUP S.p.A. Skate with in-line wheels
US5690344A (en) * 1996-01-23 1997-11-25 Playmaker-Co., Ltd. In-line roller skate with a sole plate structure
FR2744033B1 (fr) * 1996-01-29 1998-04-17 Rossignol Sa Patin a roulettes en ligne
US5957470A (en) * 1996-03-07 1999-09-28 Powell; David A. Flexible skate
DE19654899A1 (de) 1996-04-02 1997-11-13 K2 Corp Inline-Skater
FR2749183B1 (fr) * 1996-05-28 1998-09-04 Salomon Sa Patin a roues en ligne amorti
FR2750878B1 (fr) * 1996-07-15 1998-10-16 Rossignol Sa Patin a roulettes en ligne
FR2753107B1 (fr) * 1996-09-12 1998-11-06 Rossignol Sa Patin a roulettes en ligne a chaussure amovible
CA2203331C (en) * 1997-04-22 2006-02-21 Darrel Rowledge Flexible footbed skate
US5842706A (en) * 1997-05-22 1998-12-01 Chang; Sreter Skate having simplified accelerating device
US6007075A (en) * 1997-09-16 1999-12-28 Nike, Inc. Clap skate with spring and cable biasing system
ITTV980050A1 (it) * 1998-03-31 1999-10-01 Benetton Sportsystem Spa Struttura perfezionata di pattin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64125A1 (en) 1999-12-16
DE69930373D1 (de) 2006-05-11
CA2331959A1 (en) 1999-12-16
DE69936951D1 (de) 2007-10-04
CA2331959C (en) 2006-07-25
US6325394B1 (en) 2001-12-04
AU3188299A (en) 1999-12-30
KR100445750B1 (ko) 2004-08-25
US20020017764A1 (en) 2002-02-14
EP1614453A1 (en) 2006-01-11
DE69936951T2 (de) 2008-05-15
EP1094868A1 (en) 2001-05-02
ATE370775T1 (de) 2007-09-15
NO314713B1 (no) 2003-05-12
EP1094868B1 (en) 2006-03-15
DE69930373T2 (de) 2006-08-03
EP1614453B1 (en) 2007-08-22
NO20006242L (no) 2000-12-11
NO20006242D0 (no) 2000-12-08
ATE320292T1 (de) 2006-04-15
CA2512252A1 (en) 1999-12-16
US6120040A (en) 2000-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750B1 (ko) 구부릴 수 있는 베이스를 갖춘 스케이트
US20060038362A1 (en) Flexing base skate
US7419187B2 (en) Double klap flex base boot with heel linkage
EP1121181B1 (en) Double hinged skate
US7175187B2 (en) Wheeled skate with step-in binding and brakes
US20050127621A1 (en) In-line roller skate with vibration absorption system
US5957470A (en) Flexible skate
US5343636A (en) Added footwear to increase stride
JP2786392B2 (ja) ブレーキ装置
JPH09173525A (ja) インライン型車輪を備えたスケート靴
JPH09122291A (ja) インラインローラースケート
WO2002011828A2 (en) Flexing base skate
EP0993326B1 (en) Ergonomic skate boot with shock absorber
WO1997011758A1 (en) In-line roller skate with brake system including a flexible brake band
CA2295783A1 (en) Skate boot with forward flexing regulator
KR20020028172A (ko) 링크 롤러 스케이트
MXPA99000463A (en) Asoci rubber and footwea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