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190A - 카테터 고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테터 고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190A
KR20010071190A KR1020007012000A KR20007012000A KR20010071190A KR 20010071190 A KR20010071190 A KR 20010071190A KR 1020007012000 A KR1020007012000 A KR 1020007012000A KR 20007012000 A KR20007012000 A KR 20007012000A KR 20010071190 A KR20010071190 A KR 20010071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support
channel
attachment
fix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7007B1 (ko
Inventor
스티븐에프 비에르만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베네텍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069,029 external-priority patent/US6290676B1/en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베네텍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7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clip or clamp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8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mainly rigid support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26Cannula supporters

Abstract

카테터 고정 시스템(10)은 환자의 피부에 카테터(14)와 액체 공급 튜브(12)의 연결부위를 단단하게 연결시킨다. 고정 시스템(10)은 지지대(20)가 카테터 부착기(22)를 다양한 위치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착기(22)는 카테터(14)와 액체 공급 튜브(12)를 연결시킨다. 일 실시 태양으로, 부착기(22)는 부착기(22) 주위로 방사상 홈으로 구성된다. 고정장치(10)는 부가적으로 지지대(20)와 튜브 클립(24)을 지지해 주는 유동성 접착 패드(16)를 포함한다. 지지대(20)는 부착기(22)를 빠르게 붙였다 뗄수 있게 할 수 있는 채널(44)를 포함한다. 좀더 부가적으로, 지지대(20)는 측면으로 배열된 다수의 슬롯(50)을 포함하거나, 또는 채널 벽(46)으로부터 채널(44)쪽으로 확장되는 돌기(400)를 포함한다. 각각의 슬롯(50) 또는 방사상의 홈은 채널(44)내에서 부착기(22)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의 지지대(20)가 삽입되어 단단히 고정되도록 형성되었다.

Description

카테터 고정 시스템{Catheter Anchoring System}
환자의 의학적 치료는 보통 피부를 통하여 삽입하는 카테터를 이용하여 혈류, 특정 기관 또는 환자의 내부로 직접 유체(fluid)를 투입하거나 또는 환자의 생명 유지에 필요한 기능을 모니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동맥 내부에 삽입되는 카테터는 유체나 약물을 직접 환자의 혈류 속으로 투입할 때 흔히 사용된다. 경막 외부용(epidural) 카테터는 대체로 환자의 특정 부분을 마취시키기 위하여 경막 외부 공간에 마취제를 투입하는데 이용된다. 혈관 사이(intervascular)용 카테터는 동맥의 혈압을 재는데 이용된다.
유체(즉, 비경구로 투여하는 액체, 약물 또는 마취제)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상부에 위치한 용기로부터 배출된다. 유체는 튜브(tubing)를 통과하여내재(indwelling) 카테터로 들어간다. 카테터와 유체 튜브는 일반적으로 미국특허 제4,224,937호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은 형태의 공지의 루어 형태(lure-type)의 연결기(connector)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간호사(본 명세서에서 쉽게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된 "간호사("Nurse")"의 의미는 일반적인 의료인을 의미하며, 그 자체의 의미에 국한되지 않음) 또는 의사와 같은 의료인은 환자의 피부에 카테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반창고 또는 수술용 테이프를 사용한다. 튜브와 카테터 사이의 연결은 마찬가지로 테이프를 사용하여 유지된다.
간호사는 튜브에 안전 루프(safty loop)를 만들어 튜브에 가해지는 어떠한 신장력도 카테터 관(cannula)에 직접 가해지지 않고 느슨한 안전 루프에 흡수되도록 한다. 간호사는 일반적으로 루프를 환자의 피부에 느슨하게 고정시킨다.
이 테이핑 방법의 전과정은 의료인의 귀중한 시간이 소요된다. 더욱이, 간호사는 장갑을 끼고 이러한 테이핑 작업을 할 때 힘들고 성가시게 느끼므로 대개 장갑을 벗는다.
카테터 부착 작업은 카테터와 유체 공급 튜브를 자주 분리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정맥 내부에 부착된 카테터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수일간 부착된 채로 있게 된다. 카테터 튜브는 유체를 멸균 상태로 유지하고 유체가 튜브를 통하여 자유롭게 흐르게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매 24 내지 48시간 마다 교환해 준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튜빙을 자주 갈아주고 연결 부위를 테이프로 붙이는 작업을 반복해야 한다. 게다가, 카테터를 환자의 피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테이프는관(cannula)의 삽입 부위까지 덮어 붙이게 된다. 간호사는 삽입 부위가 염증을 일으키거나 감염되지 않았는지 살피기 위하여 테이프를 떼어내고 또 다시 전기의 테이핑 작업을 반복해야 한다. 그러므로, 내재 카테터에 많은 수술용 테이프를 붙이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이런 빈번한 테이프 교환은 환자의 삽입 부위 주위 조직을 손상시킨다.
최근에 카테터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빈번한 테이프의 교환이 필요 없는 카테터 부착 시스템가 여러 가지 개발되었다. 이러한 시스템 중의 하나는 미국특허 제 5,192,27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참고문헌에 포함하였다.
전기 특허는 카테터와 유체 공급 튜브를 상호 연결시키는 부착기를 개시하고 있다. 부착기는 점착성 패드에 의해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 기저부(base)에 꾹 눌러 잠그게 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간호사는 기저부의 위로 향한 고리 사이로 부착기를 압박한다. 부착기 고리 위의 멈춤쇠(detent)는 부착기를 기저부에 고정시키도록 부착기 몸체의 해당 환상홈(annular groove)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기저부가 부착기를 제자리에 단단히 고정시킬지라도, 멈춤쇠가 기저부에 있다면 간호사는 부착기의 환상홈에 위치를 잡고 배열시키기가 어려울 것이다. 급박한 상황에서는 부착기를 기저부에 적절하게 위치시키기가 더욱 어려울 것이다. 어떤 간호사나 의료인들은 카테터 부착기를 기저부와 어떻게 맞물리게 해야할지 어려움을 가질 수 도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시스템는 위치나 기술에 상관 없는 부착기 지지대(adaptor retainer)를 제공한다. 즉, 간호사는 카테터 부착기를 지지대 위에 놓고, 부착기를 지지대 안으로 눌러 넣기만 하면 된다. 잘 맞물리기 위해서는 부착기와 지지대를 대강만 배열하면 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측면에 따르면, 고정 시스템는 적어도 하나의 홈(recess)이 있는 부착기를 가진 카테터에 사용되기 위해 제공된다. 고정 시스템는 부착기를 수용하기 위해 지지대를 갖는다. 지지대는 종단축을 따라서 지지대를 통과하여 확장하는 채널(channel)을 포함한다. 채널은 적어도 부착기의 한 부분을 찰칵 끼워 수용할 수 있게 조형된다. 지지대 위의 적어도 한 개의 돌기(projection)가 대체로 종단축을 향해 채널 안으로 확장된다. 돌기의 종단 길이는 부착기 홈의 종단 길이와 사실상 동일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지지대 돌기와 부착기 홈의 결합은 부착기가 지지대에 대하여 종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정 시스템는 지지대와 고정 패드(anchoring pad)를 포함한다. 지지대는 종단축을 따라서 지지대를 통과하여 확장되는 채널을 포함한다. 채널은 적어도 부착기의 한 부분을 찰칵 끼워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돌기의 종단 길이는 부착기 홈의 종단 길이와 사실상 동일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지지대 돌기와 부착기 홈의 결합은 부착기가 지지대에 대하여 종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 패드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할수 있는 하부 접착면과 지지대에 부착할 수 있는 상부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정 시스템는 이음쇠(fitting)에서 돌출하여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부재(radially extending member)가 있는 부착기를 가진 카테터에 사용되기 위해 제공된다. 고정 시스템는 첫번째와 두 번째 채널부(channel portion)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채널부는 종단축을 따라 확장하며 각 채널부는 카테터 이음쇠의 해당 부분을 수용하도록 조형된다. 여러개의 측방홈(lateral slot)이 채널부 사이에 위치한다. 카테터가 종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측방 홈은 카테터 이음쇠의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부재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카테터 이음쇠가 지지대 안에 있을 때 카테터 이음쇠의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종단 방향의 여러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측방 홈들은 종단축을 따라서 서로 가까이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카테터 및 카테터를 환자에게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대를 가지는 카테터 부착 시스템를 포함한다. 카테터는 이음쇠로부터 돌출되는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부재를 가진 이음쇠를 포함한다. 지지대는 종단축을 따라 확장하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채널부(channel portion)을 포함한다. 각 채널부는 종단축을 따라서 개구부(opening)가 있는 잘려진(truncated) 단면 형태를 갖는다. 각 채널은 180 이상의 호(arc)를 통하여 종단 축을 따라서 이음쇠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쌀 수 있는 크기이다. 지지대의 적어도 한 개의 측방 홈은 대체로 종단축과 수직으로 확장되며, 첫 번째와 두 번째 채널부 사이에 위치한다. 홈의 종단길이는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부재를 가진 이음쇠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고 일반적으로 첫 번째와 두 번째 채널부의 종단 길이를 합친 것 보다 작다. 이러한 채널부와 홈 사이의 크기 관계는,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부재가 지지대의 측방홈 안에 위치하였을 때, 카테터 이음쇠의 측방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테터 고정 시스템는 카테터 부착기, 지지대 그리고 기저부 패드(base pad)를 포함하는데, 기저부 패드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고 지지대를 지지한다. 카테터 부착기는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지지팔(support arm)에 연결되는 관상체(tubular body)를 포함한다. 지지팔은 다시 관상체에 대하여 선회하는 클립(clip)에 연결된다.
지지대는 한쌍의 마주보는 종단벽(longitudinal wall)을 포함한다. 각 벽은 일련의 홈(slot)을 결정한다. 각 홈의 크기는 카테터 부착기의 지지팔 일부분이 홈을 통하여 확장 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홈은 지지팔이 지지대의 종단 방향과 대체로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대는 또한 종단 방향과 대체로 평행인 축에 대하여 지지대를 통과하는 중앙 채널(central channel)을 포함한다. 채널은 서로 마주보는 종단벽들 사이에 위치하며 잘라진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중앙 채널 단면의 크기는 180 이상의 각도로 관상체를 에워싸는 크기이다.
고정 시스템는 튜브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튜브 클립(tube clip)을 포함한다. 고정 시스템는 또한 S-클립을 포함한다. 부착기에 의해 튜브에 연결된 미세구멍 튜브(microbore tubing)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여러개의 지지대를 갖는 S-클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내재 카테터(indwelling catheter)를 환자의 체강 안에 고정하고 내재 카테터를 튜브에 단단히 연결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를 제공한다. 카테터 고정 시스템는 근위와 원위 말단 사이에 결정되는 관상체를 갖는 카테터 부착기를 포함한다. 원위 말단은 카테터의 근위말단과 연결되고 근위말단은 유체 공급 튜브의 원위말단과 연결되게 조형된다. 카테터 부착기는 부가적으로 관상체의 외표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카테터 고정 시스템의 지지대는 부착기의 관상체를 찰칵 끼워 삽입할 수 있는 종단 채널을 포함한다. 지지대는 또한 채널 안에 위치한 부착기의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부재를 수용하고 잡아줄 수 있는 크기의 측방홈이나 돌기를 여러개 포함한다. 홈들은 여러개의 간극(gap)을 서로 가까이 측방으로 배열하여 지지대의 서로 마주보는 벽들을 통과하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들은, 여러개의 돌기를 서로 가까이 측방으로 배열하고 돌기를 채널 안쪽으로 돌출 시키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는 부착기가 종단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부재는 클립을 관상체에 연결하는 지지팔(support arm)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부재는 관상체를 둘러싸는 환상 원주(annular collar)를 포함한다.
내재 카테터/튜브의 연결 부위를 환자에게 고정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에 의하면, 부착기는 대체로 홈(recess)을 갖는 관상체로 제공된다. 고정 패드는 또한 접착성 후면(adhesive back)과 함께 제공된다. 고정 패드는 부착기를 수용하도록 조형된 지지대를 지지하며 일련의 측방 돌기를 갖는다. 고정 패드는 내재 카테터에 가깝게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다. 부착기의 홈은 일련의 돌기 위에 위치한다. 지지대는 채널을 부착기에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열어 부착기를 채널 안으로 삽입하기 위해 비스듬히 구부러진다. 홈은 돌기들 중 한 개의 최소한 일 부분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나면, 지지대는 관상체가 지지대 안에 포획 되도록 비스듬하지 않은 원래의 형태로 돌아 온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경피용 카테터 부착 시스템(percutaneous catheterization system)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내재 카테터와 튜브를 단단하게 연결시키고, 전기 연결 부위를 환자의 피부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catheter anchoring system)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구성은 하기 첨부도면 및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한, 환자의 손등에 장착된, 카테터 고정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테터 고정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카테터 고정 시스템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지지대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한, 카테터 고정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카테터 고정 시스템의 지지대와 레일 조립품의 정면도이다.
도 7b는 도 6의 지지대와 레일 조립품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a의 지지대와 레일의 조립품을 8-8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한, 카테터 고정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카테터 고정 시스템의 S-클립을 10-10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한, 카테터 고정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부착기를 도시하는 도 11의 카테터 고정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3a는 도 12의 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도 13b는 도 12의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고정 시스템와 함께 사용되는 카테터 부착기의 대체 실시태양의 부분 절개된 사시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한, 카테터 부착 시스템 지지대의 단면을 함께 나타낸 카테터 부착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5b는 화살표 15b-15b 방향으로 나타낸 도 15a의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15c는 화살표 15c-15c 방향으로 나타낸 도 15a의 지지대의 정면도(front end elevational view)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 의하여 조형된, 카테터 부착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카테터 부착 시스템의 지지대로부터 분리된 카테터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 의하여 조형된, 카테터 부착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여러개의 방사상 홈을 포함하는 카테터 부착기 및 지지대가 카테터 부착기를 수용할 때 홈과 결합하는 여러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지지대를 도시한다;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 의하여 조형된, 카테터 부착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여러개의 방사상 홈을 포함하는 카테터 부착기 및 점진 감소하는 직경을 가진 채널 안으로 확장하는 여러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지지대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anchoring system, 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카테터 고정 시스템(10)은 튜브(tube, 12, 즉 유체 공급 튜브)를 내재(indwelling) 카테터(catheter, 14)에 단단히 연결시키고 카테터(14)를 바람직한 내재 위치에 유지시킨다. 고정 시스템(10)의 부품을 정확하게 정렬시키거나 특정한 위치에 배치할 필요 없이 카테터(14)를 환자에게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시스템(10)을 고안하였다.
더욱이, 수술용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카테터 부착 시스템를 단단하게고정 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카테터 부착에 있어서 고정시스템는 환자에게 단 한번만 부착하면 된다. 정맥에 카테터를 부착할 때, 유체 공급 튜브(12)는 매 24 내지 48 시간 간격으로 교체해야 하지만 환자에게 부착된 고정 시스템(10)의 부품들은 그 자리에 남아 있다. 그러므로, 수술용 테이프를 환자의 피부에 여러 번 붙이고 떼고 할 필요가 없다.
카테터 고정 시스템(10)은 주로 유연성(flexible) 패드(pad, 16)를 포함하며 패드의 하부 접착면(adhesive bottom surface, 18)이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다. 패드(16)는 지지대(20)을 지탱해 준다. 지지대(20)는 카테터 부착기(22)를 수용하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었으며, 부착기는 내재 카테터(14)의 통(hub, 30)과 유체 공급 용기(보여지지 않는다)에 연결되어진 유체 공급 튜브(12)를 서로 연결 시켜 준다. 용기는 환자에 대한 유체의 공급을 유지 시켜 주며 유체 공급은 중력 또는 압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튜브(12)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여 클램프(표시 안됨)를 사용할 수 있다. 패드(16)는 튜브 클립(24)도 지탱해 주며 클립은 튜브(12)의 일부분을 잡아 주는데 사용된다.
도 1은 환자의 손등(점선으로 도시됨)에 부착된 카테터 고정 시스템를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의도는 환자 몸의 어느 부위에든지 본 고정 시스템를 이용하여 카테터를 부착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정 시스템는 손목의 중앙에 요골동맥(radial artery)과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정 시스템(10)은 하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경막외(epidural) 카테터 부착에 사용 될 수 있으며, 따라서, 환자 체부(torso)의 앞뒤면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하기의 사항을 기술하기 위하여 카테터 고정 시스템(10)에 대한 종단축, 측방축, 횡단축을 도시하였다. 아울러, 여기서 사용되었듯이, "종단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은 실제적으로 종단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측방향(lateral direction)"과 "횡단방향(transverse direction)"은 측방축, 횡단축 각각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근위" 및 "원위"는 튜브(12)에 부착된 유체 공급 용기에 근접한 정도를 기준으로 한다(참조: 도 1). 카테터 고정 시스템(10)의 부품 각각에 대하여 지금부터 자세하게 기술하겠다.
카테터 부착기(Catheter Adaptor)
도 1은 카테터(14)와 상호 연결된 카테터 부착기(22)를 도시한다. 도 2는 카테터(14)로부터 분리된 카테터 부착기(22)를 도시한다. 이 도면들은 미국특허 제 5,193,273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종류의 부착기(22)를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종류의 부착기도 본 고정시스템(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 부착기(22)는 도 11에 도시되고 하기에 기술된 것 같은 루어 형태(lure-type)의 부착기이거나, 도 14에 도시되고 하기에 기술된 것 같은 루어 잠금 형태(lure-lock type)의 부착기가 될 수 있다. 당 기술 분야에서 숙달된 자라면 개개의 용도에 따라서(즉, 정맥, 동맥, 경막외부, 말초 등) 본 카테터 고정시스템(10)에 사용하기 위하여 부착기(22)와 같은 종류의 카테터 부착기를 쉽게 선택할 것으로 생각된다.
도 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부착기(22)는 원위말단(26)과 근위말단(28)사이에 한정되어지는 관상(tubular) 몸체(body, 25)를 포함한다. 근위말단(28)은 튜브(12)의 원위말단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전형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유체 공급 튜브의 적어도 일부분이 몸체의 근위말단(28)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도2에서 보듯이, 튜빙의 근위말단은 유체 공급 튜브(12)와 연결하기 위하여 표준형 루어형태(lure-type) 연결기(connector, 29)를 포함한다.
원위말단(26)은 카테터(14)의 근위 통(hub, 30)(참조: 도 1)과 맞물리거나 또는 어떤 종류의 루어 형태의 연결기와도 맞물리게 조형되어 있다. 도 2는 표준형 루어 형태의 카테터 통(30)과 맞물리게 조형된 원추대 모양으로 부착기(22)를 도시하고 있으나, 원위말단(26)은 예를 들어 터피-부르스트(Toughy-Bourst) 부착기 같은 다른 종류의 카테터 부착기와도 맞물리게 조형될 수 있다.
지지팔(support arm, 32)은 외팔보(cantilever) 형태로 관상체(25)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뻗쳐 있다. 지지 팔(32)은, 팔(32)의 방사상으로 외측 말단위에, 관상체(25)의 종단축과 거리를 두고 평행한 클립 지지 요소(표시 안됨)를 지지한다.
도 2는 또한 카테터 부착기의 클립(clip, 34)을 도시한다. 클립(34)은 클립지지 요소에 종단축 방향으로 부착되어 미끄러지게 되어 있다. 부착기(22)를 카테터 통(30)에 단단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클립(34)은 일반적으로 통 원주(hub collar, 38)(참조: 도 1)의 원위에서 카테터 통(30)의 외부 표면을 잡아줄 수 있도록 포크 모양 원위걸쇠(distal latch, 36)를 포함한다.
클립 지지 요소와 클립(34) 간의 상호 맞물리는 구조(표시 안됨)는 클립(34)이 근위 방향으로는 미끄러질 수 있어도 원위 방향으로 미끄러짐은 방지해 준다.상호 맞물리는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클립 지지 요소의 상부 표면에 놓인 일련의 깔쭉 톱니(ratchet teeth, 표시 안됨)와 클립(34)에 연결되어 깔쭉 톱니의 역방향 진행을 막는 멈춤쇠(pawl, 표시 안됨)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 5,193,273호에 자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참고문헌에 포함됨) 멈춤쇠는 클립(34)으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바깥쪽으로 뻗쳐 있으며, 클립이 원위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깔쭉 톱니를 잡아준다.
관상체(25),지지 팔(32) 및 클립 지지 요소는 대체로 딱딱하지만 어느 정도 유연성이 있도록, 예를 들어,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같은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팔(32)은 구부러질 수 있도록 충분한 탄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립(34)의 근위말단을 관상체(25) 쪽으로 내리 눌러서 클립(34)의 걸쇠(36)를 관상체(25)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이렇게 해서, 클립(34)이 관상체(25)를 선회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클립 지지 요소는 클립 지지 요소의 내면(inner surface, 42)에, 클립(34)의 근위말단에 가까이 위치한, 돌기(protuberance, 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는 지지 팔로부터 거리 L만큼 떨어져 있다. 하기에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돌기(40)는 클립(34)이 지지대(20)에 의해 고정 되었을 때 선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참고문헌에 포함된 미국 특허 제 5,193,273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돌기(40)는 피로(fatigue)를 감소 시키기 위하여 지지팔(32)의 휨(deflection)의 정도를 제한한다.
카테터 부착기 지지대(Retainer for Catheter Adaptor)
도 3 내지 5는 지지대(20)를 도시한다. 지지대(20)는 일반적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종단벽(longitudinal wall,46) 사이의 중앙 채널(channel, 44)로 이루어지는 평행육면체(parallelepiped)의 형태를 하고 있다. 중앙 채널(44)은 지지대의 종단축과 평행한 축을 따라서 지지대(20)를 통과하여 확장된다.
도 4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중앙 채널(44)은 원형의 단면이 상부 말단에서 절단되어 상부 개구부(upper opening, 47)이 있는 U-모양의 채널을 이룬다. 중앙 채널(44)은 카테터 부착기(22)의 관상체(25)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중앙 채널(44)의 직경은 관상체(25)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크다.
중앙 채널(44)의 단면은 채널의 축을 중심으로 180 이상의 호(arc)를 이루므로 상부 개구부(47)의 횡단 길이는 중앙 채널(44)의 직경 보다 작다. 전형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중앙채널(44)은 채널의 축을 중심으로 약 200의 호를 이룬다.
도 5는 지지대(20)의 기저부 표면(base surface, 48)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비스듬한(skewed) 채널 축을 도시한다. 기저부 표면(48)과 채널 축이 이루는 입사각(θ)는 45 이하이다. 입사각 θ의 바람직한 범위는 0 내지 30이다. 정맥에 이용되는 전형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각도 θ는 약 7가 바람직하다. 동맥에 이용되는 또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입사각 θ는 약 22가 바람직하다. 말초 삽입 중앙 카테터(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PICC)에 이용되는 또 다른실시태양에 따르면, 입사각 θ는 0가 바람직하다.
종단벽(46)들은 대체로 동일하다. 각각의 벽(46)은 측방향 두께가 지지팔(32)의 길이 보다 작다. 그러므로 벽(46)은 관상체(25)를 중앙 채널에 삽입 했을 때 관상체(25)와 클립(34)사이에 놓이게 된다. 측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각 벽(46)의 길이는 지지대(20)의 길이와 같이 확장되는 것(coextensive)이 바람직하다.
각 벽(46)은 일련의 동일한 홈(slot, 50)을 포함한다. 한줄에 홈(50)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며 20개를 넘지 않는다. 한줄에 7개 이하의 홈(50)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응용예에 도시되었듯이, 한줄에 4개의 홈(50)을 포함한다.
각 홈(50)의 크기는 하기에 논의 되었듯이 부착기(22)의 종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테터 부착기(22)의 지지팔(32)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다. 각 홈(50)은 직사각형 모양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보듯이, 홈(50)은 외표면(exterior surface, 52)으로부터 벽(44)을 통과하여, 중앙 채널(44)로 열린다. 각 홈(50)의 너비(width)는 (종축 방향으로 측정하여) 지지 팔(32)을 수용하기 위하여 하기에 논의 된 바와 같이 지지 팔(32)의 너비 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홈(50)은 종축벽(46)의 상부 언저리(upper edge, 54)와 중앙 채널(44)의 바닥(bottom, 56) 사이에 횡단 방향으로 측정되는 높이가 있다. 홈(50)의 높이는 지지팔(32)의 너비와 거의 비슷하여 지지팔(32)이 지지대(20)로부터 횡단 방향으로 튀어 나오지 않도록 한다.
홈들(50) 중앙 사이의 거리 S는 카테터 부착기(22)의 지지팔(32)과 돌기(40) 사이 거리 L의 반이 바람직하다(참조: 도 2).
도 3에 도시되었듯이, 가장 원위 홈(50)과 지지대(20)의 원위말단 사이의 거리 X는 지지팔(32)과 가장 근위에 위치한 걸쇠(36) 사이의 종축방향 거리 Y 보다 작다(참조: 도 2). 이 공간들은 걸쇠(36)가 지지대의 원위말단의 원위에 있는 카테터 통(30)을 잡아주며 동시에 지지팔(32)이 가장 원위 홈(50)에 놓여질 수 있게 한다.
도 5는 종단벽(46)의 상부 언저리(54)를 도시하는데, 상부 언저리(54)는 각각이 홈(50)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는 일련의 테이퍼 부(모서리를 깍아 만든 면,chamfer,58)를 포함한다. 즉, 홈(50)을 에워싸는 종단벽(46)의 상부 언저리(54) 일부분은 한쌍의 테이퍼 부(58)를 포함하는데, 한 개의 테이퍼 부는 홈(50)의 어느 쪽에도 위치할 수 있다.???? 하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홈(50) 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 부(58)는 카테터 부착기(22)의 지지팔(32)이 홈(50)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도 3과 5에서 보듯이, 각각의 종단벽(46)은 또한 지지대(20)의 근위말단에 위치하는 릴리프(relief, 60)를 포함한다. 릴리프(60)는 부착기(22)의 돌기(4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다.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릴리프(60)의 깊이는 돌기(40)의 높이 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즉, 돌기가 내부표면(42)로부터 돌출된 거리).
릴리프(60)는 가장 근위 홈(50)으로 부터 종축 방향으로 홈(50)들 사이의 거리 S 만큼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하기에 자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돌기(40)는가장 근위 홈(50)들 중의 하나에 위치한 지지팔(32)과 함께 릴리프(60)에 놓여진다.
도 3과 4는 지지대(20)의 열쇠식 홈(key-way groove, 62)을 도시한다. 하기에 자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열쇠식홈(62)은 카테터 부착기(22)를 지지대(20)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열쇠식 홈(62)은 지지대(20)의 근위말단에 위치한다. 열쇠식 홈(62)은 지지대(20) 내부로 확장되고, 중앙 채널(44)의 바닥 표면(56)으로부터 지지대 기저부 표면(48) 쪽으로 확장된다. 열쇠식 홈(62)의 횡단 너비는 중앙 채널(44)의 직경 보다 작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앙 채널(44) 직경의 약 3분의 2가 적당하다. 열쇠식 홈(62)의 종단 길이는 종단벽(46)의 함몰 부위(recess, 60 ??)의 종단 길이와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20)는 비교적 딱딱한 플라스틱 물질(즉,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 지지만, 어느 정도 유연하여, 간호사가 부착기(22)를 지지대(20)의 중앙 채널(44)로 압박했을 때, 부착기(22)가 종단벽(46)의 상부 언저리(54)를 바깥 쪽으로 밀어낼 수 있어야 한다. 부착기(22)가 중앙 채널(44)에 놓여졌을 때, 종단벽(46)의 상부 언저리(54)가 원래의 위치인 안쪽으로 찰칵 물려 부착기(22)를 지지대(20)안에 닫단하게 고정시킨다.
지지대(20)는 접착제로 기저부 패드(16)에 고정시킨다. 또는, 비슷한 방법(즉, 매립(embedding)이나 또는 지지대(20)를 기저부 패드(16)에 조립(weaving))으로 지지대(20)를 기저 패드(16)에 고정시킨다.
기저부 패드(Base Pad)
도 1에 도시되었듯이, 유연성 기저부 패드(16)는 상부 종이 또는 다른 직조 또는 비직조 천층(paper or cloth layer, 64), 내부 셀룰로즈 발포층(inner cellulose foam layer, 66), 및 바닥 접착층(bottom adhesive layer, 18)으로 이루어진 적층 구조(laminate structure)를 포함한다. 또는, 유연성 기저부 패드(16)는 바닥 접착층과 상부 셀룰로즈 발포층으로 이루어진다. 발포층의 상부 표면은 당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낮은 전하(low electric charge)의 코로나 처리(corona treating)를 하여 거칠게 만들었다. 거친 또는 다공질의 기저부 패드(16) 상부 표면은 지지대(20)를 패드(16)에 부착시킬 때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 또는 다른 접착제의 접착성을 증진시킨다.
사용하기 전에는 탈착식 종이 또는 플라스틱 뒤덮개(backing)(표시 안됨)로 바닥 접착층을 덮어 두는 것이 좋다. 하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뒤덮개는 찢어지지 않아야 하며, 환자 피부에 패드(16)를 쉽게 부착하기 위해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진 것이 좋다. 한번에 하부 접착면(18)의 반쪽만 노출되게 하기 위하여 뒤덮개는 유연성 패드의 중앙선을 따라 갈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뒤덮개는 하부 접착층(18)에서 쉽게 떼어 낼 수 있도록, 기저부 패드(16)의 한 쪽 끝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보듯이,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탭(tab, 67)을 뒤덮개의 일부분에 부착하여 유연성 기저부 패드(16) 보다 길게한다. 전형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탭(67)은 기저부 패드(16)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갖는다. 탭(67)은 종이 뒤덮개를 기저부 패드(16) 보다 길게하여 만들 수 있다. 탭(67)은 뒤덮개를 패드(16)에서 떼어낼 때 손가락으로 잡는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점, 글자, 그림이나 비슷한 형태의 표지(indicia, 69)를 포함할 수 있다.
간호사는, 바람직하게는 표지(69)의 위치에, 탭(67)을 꽉 잡고 하부 접착층(18) 반쪽의 뒤덮개를 떼어낸다. 그런다음, 간호사는 하부 접착층(18)을 환자에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부 접착층을 환자 피부에 올려 놓는다. 상부층(64)을 살짝 눌러 기저부 패드(16)와 환자 피부가 잘 붙도록 한다. 기저부 패드(16)는 유연하므로 패드(16)가 부착되는 표면의 모양대로 붙는다. 간호사는 패드(16)의 나머지 부분도 같은 방법으로 부착한다. 또는, 간호사는 패드(16)를 환자 피부에 부착하기 전에 뒤덮개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기저부 패드(16)는, 패드(16) 위의 지지대(20)로부터 원위이며 카테터 관의 삽입 점 근처에, 노치(notch, 68)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68)는 카테터 부착 지점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2에서 보듯이, 기저부 패드(16)는 화살표 형태의 표지(indicia, 70)를 포함하는데, 카테터 부착 지점에 대한 기저부 패드(16)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면에는 표지들이 화살표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글자 또는 그림 같은 다른 형태의 표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하였듯이, 적절한 사용법으로, 표지(70)는 내재 카테터(14) 쪽으로 근위 방향을 향하거나, 또는 내재 카테터에 대하여 패드(16)의 적절한 위치를 표시해야 한다.
전형적인 실시태양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기저부 패드의 적층 구조는 3M으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Item No. 9777L) 의료용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발포형 테이프 위에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3M의 MICRO-PORE 테이프(Item No. 1530) 같은 미세 다공질 레이온 테이프 등의 종이 테이프를 굴려서 만들 수 있다. 발포형 테이프는 라이너(liner) 혹은 뒤덮개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부 패드(16)와 탭(67)은 발포층과 종이의 적층 판으로부터 찍어낸다. 그러나, 패드(16)의 접착면(18)을 덮는 뒤덮개에 탭(67)이 붙어 있도록 탭과 기저부 패드 사이의 뒤덮개는 절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탭(67)들 사이에 있는 패드(16)의 중앙선을 따라서 뒤덮개를 두 조각으로 가른다.
튜브 클립(Tube clip)
도1과 2에 튜브 클립(24)이 도시되어 있다. 클립(24)은, 당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듯이, 유체 공급 튜브(12)를 안전 루프 형태로 고정한다.
튜브 클립은 기저부 패드(16)에 부착되어 있거나 매립되어 있는 판형 기저부(plate-like base, 72)를 포함한다. 튜브 클립(24)은 기저부 패드(16) 위에 위치하는데 왼손 또는 오른손 잡이에 상관 없이 시스템할 수 있도록 지지대(20)의 어느 쪽에도 위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었듯이, 고정 시스템(anchoring system, 10)는 지지대(20)를 중심으로 첫 번째 클립(24)의 반대편에 두 번째 튜브 클립(24)을 가질 수 있다.
클립(24)은 채널(74)을 결정하는데, 채널은 상부 개구부(upper orifice, 76)이 되기 위해 끝이 절단된 모양이며, 절단면이 원형의 단면이다. 상호 연결을 확실히 하기 위해, 채널(74)의 직경은 유체 공급 튜브(12)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튜브(12)에 약간의 압력을 가하거나 튜브(12)를 튜브클립(24)의 상부 개구부(76)을 통과해서 끌어당김으로써, 채널(74)은 상부 개구부(76)을 통해서 유체 공급 튜브(12)의 일부분을 수용한다. 클립은 채널(74) 내부에 있는 튜브(12)와 함께 튜브(12)의 상당 부분을 감싼다.
도 2에 보듯이, 채널의 상부 언저리는 클립(24)의 근위말단과 원위말단에 점진감소말단(tapered end, 77)을 포함한다. 각각의 점진감소말단(77)은 채널(74)의 측면 언저리와 상부 언저리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전환되며, 측면 언저리에서 클립(24)의 중앙을 향해 측방 너비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간호사가 클립(24)을 통과하여 튜브를 잡아당기면 점진감소말단(77)은 유체 공급 튜브(12)가 채널(74)로 들어가게 해준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튜브(12)를 클립(24)에 삽입하기 위해 튜브를 힘들게 끼울 필요가 없다. 또한, 간호사가 튜브를 클립에 삽입하기 위해 튜브를 끼울 때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간호사의 장갑이 클립에 끼여들어 가는데, 그런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슬라이드 클램프(Slide Clamp)
도 1과 2에 도시하였듯이, 카테터 고정 시스템(10)는 튜빙을 통해 흐르는 유체를 조절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클램프(slide clamp, 7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78)의 한쪽 끝에는 유체 공급 튜브(12)를 수용하는 구멍(aperture, 80)이 있고 반대쪽 끝에는 탭(82)이 있다. 클램프(78)는 대체로 한쌍의 프롱(prong, 84)으로 이루어진 포크 모양이며, 프롱(84)은 구멍(80)을 결정한다. 튜브(12)는 프롱(84)들 사이 구멍(80) 안으로 끼워지며, 구멍의 직경은 유체 공급 튜브(12) 보다 약간 크다.
프롱(84)은 탭(82) 쪽으로 함께 모아져 구멍(80)으로 열리는 점진감소슬롯(tapered slot, 86)을 형성한다. 프롱(84)은 슬롯(86)에 위치한 튜브(12)를 꼭 끼워 그곳을 통과하는 유체를 차단한다. 그러나, 클램프(78)는 구멍(80)을 통과하여 놓여진 튜브(12) 위를 미끄러진다.
탭(82)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모양이며 대체로 지지대(20)의 열쇠식 홈(62)의 모양과 일치한다. 탭(82)의 두께는 횡단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열쇠식 홈(62)의 두께 보다 두꺼우며 따라서 부착기(22)를 지지대(20)로부터 들어올릴(pry) 수 있다. 하기에 자세히 설명되었듯이, 탭(82)은 지지대(20)로부터 카테터 부착기(22)를 제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지지대 위치조절기구(Retainer Location Adjustment Mechanism)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10a)를 도시한다. 적절한 곳에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자 "a"와 함께 나타낸 숫자를 두 가지 실시태양의 비슷한 부품을 나타내는데 사용하였다.
카테터 고정시스템(10a)는 상당 부분 상술한 카테터 고정시스템(10)와 동일하며 지지대 위치 조절 기구(90)를 포함한다.
도 8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지지대 위치조절기구(90)는 기저부(base, 92)와 결합기구(interlocking mechanism, 94)를 포함하는데 결합기구(94)는 기저부(92)와 지지대(20)를 서로 연결시켜 준다. 지지대(20)는 기저부(92) 위를 미끄러져 움직이며 결합기구(94)가 지지대(20)를 기저부(92)에 여러 종단 위치에 고정 시킨다. 그러므로, 조절기구는 패드(16)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한 후 카테터(14)에 대한 지지대(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한다.
기저부(92)는 일반적으로 평행육면체(parallelepiped) 모양이며 레일(rail, 96)을 포함한다. 도 7은 레일(96)의 단면이 바람직하게 "비둘기 꼬리(dove tail)" 모양인 것을 가장 잘 도시한다. 즉, 레일(96)의 단면은 평평한 상부 언저리(upper edge, 98)와 한쌍의 마주보는 측면 언저리(side edge, 100)가 있으며, 각 측면 언저리(100)는 상부 언저리(98)로부터 레일(96)의 중앙을 향해 안쪽으로 각이진다. 레일(96)은 기저부(92)의 원위말단(102)에서 근위말단(104) 바로 직전까지 기저부(92)의 종단 길이를 따라서 확장된다. 기저부(92)는 근위말단(104)에 한쌍의 정지시스템(stop, 106)를 포함하며 이는 레일(96)의 근위말단(104)을 차단한다.
기저부(92)는 접착제로 기저부 패드(16a)에 고정시킨다. 또는 기저부(92)는 비슷한 방법으로(즉, 매립(embedding)이나 또는 기저부(92)를 기저부 패드(16a)에 조립(weaving)) 기저부 패드(16a)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지지대(20a)는 레일(96)의 단면과 일치하는 단면모양을 가진 홈(groove, 108)을 포함한다. 지지대 홈(108)은 지지대(20a)가기저부(92) 위를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지만 지지대(20a)가 기저부(92)로부터 횡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는 방법으로 기저부 레일(96)을 수용한다. 기저부 정지시스템(106)는 또한 지지대가 근위 방향에서 종단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결합기구(94)는 기저부(92)의 상부표면(upper surface, 112)에 있는 여러개의 톱니(teeth,110)와 지지대(20a)에 연결된 멈춤쇠(pawl, 114)를 포함한다. 톱니(110)는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기저부(92)의 종단축을 따라서 차례로 위치한다. 각 톱니(110)의 상부 표면은 멈춤쇠(114)가 이웃한 톱니(110) 사이에 이루어진 공동(hollow, 116)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테이퍼 부(chamfer, 112)를 포함한다. 각 톱니(110)의 종단 길이는 기저부(92)의 종단축 까지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멈춤쇠(114)는 톱니(110)들 사이에 결정되는 동공(116)안으로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형성된 모양이다. 멈춤쇠(114)는 종측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너비가 동공(116)의 너비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20a)는 지지대 기저부 표면(base surface, 48a)과 채널 바닥 표면(56a) 사이를 확장하는 구멍(aperture, 118)을 포함한다. 유연한 핑거(finger, 120)는 외팔보(cantilever) 형태로 지지대(20a)로부터 지지대 구멍(118) 안으로 확장된다. 유연한 핑거(120)는 원위말단에서 멈춤쇠(114)를 지지해 준다. 도 8은 원위 방향으로 확장되는 핑거(120)를 도시하지만, 핑거(120)는 근위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유연한 핑거(120)는, 핑거(12)가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가 아닐 때, 채널 바닥 표면(56a)을 통과하여 위쪽 중앙 채널(44a) 안으로 확장되는 돌기(protuberance, 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클립(Clip)
도 9와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10b)를 도시한다. 적절한 곳에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자 "b"와 함께 나타낸 숫자를 실시태양들의 비슷한 부품을 나타내는데 사용하였다.
카테터 고정시스템(10b)는 상당 부분 상술한 카테터 고정시스템(10)와 동일하며, 고정시스템는 미세구멍(microbore) 또는 작은 구멍(small bore)의 튜브(microbore tubing, 126)를 잡아주기 위하여 S-클립(124)을 첨가하였다. 예를 들어 미세구멍 튜브는 하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경막외 카테터 부착 방법에 사용된다.
S-클립은 기저부 판(base plate, 132)으로부터 확장되어 위쪽으로 서있는 한쌍의 아치형 벽(wall, 130)을 포함한다. 도 10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S-클립은 또한 여러개의 지지대(134)를 포함하는데, 각 지지대는 원주형 자루(cylindrical stem, 138)에 의해 지지되는 구형 머리(spherical head, 136)를 갖는다. 자루(138)는 기저부 판(132)으로부터 확장된다. 지지대 자루(138)는 서로서로로부터 그리고 위쪽으로 서있는 벽(130)으로부터 미세구멍 튜브(126)의 직경보다 약간 큰 거리 만큼 떨어져 있다. 또한 지지대(134)의 구형 머리(136)들이 서로서로로부터 그리고 위쪽으로 서있는 벽(130)으로부터 미세구멍 튜브(126)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거리 만큼 떨어져 있도록 지지대(134)가 놓여져 있다. 도 10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지지대 머리(136)는 미세구멍 튜브(126)가 지지대(134)와 위로 향한 벽(130) 사이에 한번 끼워지면 미세구멍 튜브(126)가 S-클립(124)으로부터 횡단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S-클립의 기저부 판(132)은 기저부 패드(16b)에 접착제로 부착된다. 또는, 기저부 판(132)은 기저부 패드(16b)에 비슷한 방법으로(즉, 매립(embedding)이나 또는 기저부 판(132)을 기저부 패드(16b)에 조립(weaving)) 고정시킨다.
고정시스템(10)의 부품들은, 기저부 패드(16)(즉, 지지대(20), 튜브 클립(24), 부착기(22), 슬라이드 클램프(78), 기저부(92) 그리고 S-클립(124))를 제외하고는, 당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부품들은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이나 열가소법(thermoplasty)에 의한 성형 같은 방법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부품들은 내구성이 있고, 유연한 재료,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불활성, 무독성 재료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부품들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trafluoroethylene, 즉 테프론, TEFLON),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trafluoroethylene, 별칭은 PTEF), 아세탈수지(acetal resin, 즉, 델린, DERLIN),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hlorotrifluoroethylene, 즉, KEL-F), 나일론 또는 중합체(polymers)들 같은 플라스틱을 성형하여 만든다.
사용법(Method of Use)
사용법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도 1과 2가 참조될 것이며, 정맥용 카테터 부착(intravenous catheterization)의 설명으로 시작된다. 그러나, 다음에 설명되듯이, 고정시스템(10)는 다른 용도의 카테터 부착 방법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뜻한다. 사용법에 대한 설명은 발명에 대한 상기의 설명을 확대하는 의도이므로, 상기 설명과 함께 읽어야 한다.
간호사는 일반적으로 카테터(14)를 정맥 위의 원하는 위치에 올려 놓는 것으로 카테터 부착 작업을 개시한다. 간호사는 카테터의 관(cannula) 부분을 통하여 바늘(needle)이나 다른 바늘같은 것(stylus)을 환자의 피부에 적절한 입사각으로 도입한다. 정맥에 이용될 때는 카테터가 통상적으로 7의 입사각을 갖는다. 그런다음, 간호사는 카테터(14)의 관을 환자에게 삽입하고 바늘을 제거한다. 카테터 통(hub, 30)은 피부위에 노출된다.
간호사는 부착기의 원위말단(26)을 카테터 통(30)에 삽입한다. 클립(34)은 가장 원위에 미끄러지게 시스템하여 부착기의 원위말단(26)을 카테터 통(30)에 삽입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다음, 간호사는 클립(34)을 근위 방향으로 밀어서 카테터 통(30)과 맞물리게 한다. 이렇게 수동으로 선택한 위치에서, 클립(34)은 부착기(22)를카테터(14)에 부착시킨다. 부착기(22)의 래치트 톱니(rachet teeth)는 멈춤쇠(pawl)와 결합하여 클립(34)이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동으로 선택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간호사는 기저부 패드(16)의 하부 접착면(18)을 덮고 있던 뒤덮개(backing)를 제거하고, 패드(16)를 환자의 피부의 내재 카테터(14) 가까운 곳에 부착한다. 구체적으로, 간호사는 지지대(20)에 가까운 쪽 뒤덮개 탭(67)을 꽉 잡는다. 탭(67)에 있는 표지(69)는 간호사가 탭(67)을 잡는 위치를 표시한다. 그런다음, 간호사는 탭(67)을 잡아당겨 하부 접착층(18)의 뒤덮개 반을 벗겨낸다. 간호사는 표지(70, 즉, 지시 화살표)가 카테터(14)를 향하게 하여 패드(16)의 슬롯(68)을 카테터(14) 관 주위에 위치 시킨다. 다음으로, 간호사는 기저부 패드(16)가 환자에게 부착되도록 하부 접착층(18)을 환자의 피부에 올려놓는다. 상부층(64)을 살짝 눌러 기저부 패드(16)와 환자 피부가 잘 붙도록 한다. 기저부 패드(16)는 유연하므로 패드(16)가 부착되는 표면의 모양대로 붙는다.
간호사는 패드(16)의 나머지 부분도 같은 방법으로 부착한다. 또는, 간호사는 패드(16)를 환자 피부에 부착하기 전에 뒤덮개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간호사는 클립(34)을 이용하여 부착기(22)를 관상체(25)의 측면에 놓이도록 하고(즉, 측방향으로 확장되는 지지팔(32)을 이용하여 ), 걸쇠(36)를 지지대 원위말단의 원위에 위치시켜 부착기의 지지팔(32)을 일련의 지지대 홈(slot, 50) 위에 위치 시킨다.
다음, 간호사는 부착기(22)를 패드 노치(68) 근위에 위치한 지지대(20) 안으로 찰칵 끼워 넣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부착기(22)는 지지팔(32)이 측방향으로 확장된 상태에서 지지대(20)의 종단벽(46)들 사이에 눌러 끼워진다. 간호사가 부착기(22)를 지지대(20) 안으로 눌러 주면, 종단벽(46)의 홈(50) 주위의 테이퍼 부(chamfered edge, 58)가 지지팔(32)을 하나의 홈(50)으로 들어가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44)의 상부 개구부(47)은 측방향으로 측정했을 때의 너비가 관상체(2)의 직경 보다 작다. 그러므로 종단벽(46)은 측방향 바깥쪽으로 비스듬해 진다. 부착기(22)의 관상체(25)가 지지대의 중앙 채널(44)에 한번 끼워지면 종단벽(46)이 원위치 하여 부착기(22)를 제자리에 찰칵 끼워 놓는다. 그러므로 지지대(20)의 벽(46)은 부착기(22)의 의도하지 않은 횡단 이동과 종단 이동을 방지한다.
이런 위치에서, 부착기(22)의 돌기(40)는 홈(50)이나 릴리프(60) 에 놓이는데, 홈(50)의 근위는 지지팔(32)이 통과한다. 클립(34)이 관상체를 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40)는 릴리프(60) 또는 홈(50)을 형성하는 종단벽(46)의 일부를 잡아준다. 그러므로, 돌기(40)는 걸쇠(36)가 카테터 통(30)을 꽉 잡고 있게 해준다.
지지팔(32)이 통과하는 홈(50)은 부착기(22)가 종단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홈(50)은 부착기(22)가 중앙 채널(44)에 고정되었을 때, 종단 방향 이탈을 방지한다.
지지대(20)의 인간공학적 디자인은 부착기(22)가 지지대(20) 안에서 여러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므로, 지지대(20)는 기술이나 위치에 크게 상관이 없다.즉, 간호사는 지지팔(32)이 놓인 방향이나 특정한 홈(50)에 대한 지지팔(32)의 위치에 관계없이 부착기(22)를 지지대(20) 안으로 누르기만 하면 된다. 지지팔(32)이 일련의 홈(50) 위에 놓이는 한, 벽(46)의 테이퍼 부(58)는 지지팔(32)이 홈(50)으로 들어갈 수 있게 유도해 준다. 부착기(22)의 돌기(40)는 또한 인접한 홈(50)이나 릴리프(60)에 잘 맞는다.
지지팔이 지지대(20)의 홈(50)을 통과하여 확장되면, 부착기(22)는 "낮은 자세(low profile)" 위치에 놓인다. 즉, 부착기(22)의 지지팔(32)은, 고정시스템(10)를 횡단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전체의 높이를 줄이기 위해 측방향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부착기(22)의 형세는 고정시스템(10)가 주변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지지대(20)는 부착기(22)가 지지팔(32)이 횡단 방향으로 확장하는 위치나, 또는, 부착기 클립(34)을 지지대(20)의 반대편에 놓기 위하여 원래 위치의 180 방향, 어느 쪽으로도 회전할 수 있게 해야한다.
한번 낮은자세 위치에 놓이면, 부착기(22)와 그와 관련된 튜브(12)를 제거하거나 교체할 때까지 부착기(22)는 그 자리에 남아 있는다.
도 1에 도시하였고 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대로, 간호사는 유체 공급 튜브(12)에 안전 루프(safty loop)를 만들어 튜브(12)의 일부분을 튜브 클립(24)에 삽입하여 안전 루프를 환자에게 고정시킨다. 안전 루프는 부착기(22) 및/또는 카테터(14)가 끌어 당겨지지 않도록 유체 공급 튜브에 가해지는 어떤 신장력도 흡수한다.
간호사는 지지대로부터 부착기 몸체(25)를 제거하기 위하여 슬라이드클램프(78)를 이용할 수 있다. 간호사는 지지대(20)의 근위말단에 있는 열쇠식 홈(62)에 슬라이드 클램프(78)의 탭(82)을 삽입한다. 탭(82)은 횡단 방향으로 측정한 열쇠식 홈(62)의 깊이 보다 크기 때문에, 간호사가 탭(82)을 열쇠식 홈(62)에 원위 방향으로 삽입하면, 탭(62)이 관상체(25)를 중앙 채널(44)로부터 들어올린다(pry). 간호사는 또한 관상체(25)의 근위말단을 지지대(20)의 상부 개구부(47)으로 지레의 힘을 이용하여 꺼내는데 슬라이드 클램프(78)를 이용할 수 있다. 부착기(22)의 근위말단이 지지대(20)로부터 이탈하고 나면, 간호사는 지지대(20)로부터 부착기의 근위말단을 쉽게 꺼낼 수 있다. 또는, 간호사는 다른 손으로 패드(16)나 지지대(20)를 누르고 있는 동안 관상체(25)를 들어올림으로써 관상체(25)를 꺼낼 수 있다.
도 6 내지 8은 동맥용 카테터 부착에 특히 적합한 카테터 고정시스템(10)를 도시한다. 카테터(14a)에 유지되어야 하는 입사각(즉, 카테터(14a)가 환자 내부로 들어가는 각도)이 매우 중요하므로, 지지대(20a)를 정확하게 위치 시켜 지지대(20)가 카테터(14a)를 바람직한 입사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한 입사각의 범위는 동맥용 카테터 부착의 경우 대체로 약 5 - 30도이다. 입사각의 바람직한 범위는 약 15 내지 25도 사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도이다.
간호사는 정맥용 카테터 부착과 연결하여 상술된 것과 비슷한 방법으로 카테터(14a) 관을 동맥에 삽입한다. 이어서 간호사는 부착기(22)를 전기한 방법으로 내재 카테터(14a)에 연결한다. 간호사는 또한 유연성 패드(16a)를 전기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부착한다. 필요하다면 간호사는 패드(16a)를 환자에게 부착하기 전에절취선을 따라 패드(16a)를 찢어서 패드(16a)의 날개(wing, 140)들 중 하나를 제거할 수 있다.
간호사는 관상체(25)의 측면에 위치한 클립(34)으로(즉, 측방향으로 확장하는 지지팔(32a)로) 부착기(22a)의 방향을 잡고, 지지대 원위말단의 원위에 위치한 걸쇠(36a)를 이용하여 부착기 지지팔(32a)을 일련의 지지대 홈(50a) 위에 위치 시킨다. 만일 간호사가 패드(16)를 내재 카테터(14a)로부터 너무 가까이 또는 너무 멀리 놓았으면, 간호사는 지지대 홈(50a)을 부착기 지지팔(32a) 하부에 위치하도록 지지대(20a)를 원하는 방향으로 미끄러뜨려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간호사는 부착기(22a)를 패드 노치(68a)에 가까이 위치한 지지대(20a)에 찰칵 집어넣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종단벽(46a) 홈(50a) 주위의 테이퍼 부(58a)가 지지팔(32a)을 홈(50a)으로 유도한다. 지지대(20a)는 자동으로 종단 방향으로 미끄러져 해당 홈(50a)을 지지팔(32a)의 하부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부착기(22a)는 카테터(14a)의 실질적인 움직임을 야기하지 않고 지지대(20a) 속으로 찰칵 들어간다.
부착기 관상체(25a)가 중앙 채널(44a)로 찰칵 들어가면 관상체(25a)는 핑거(120)의 돌기(122)와 접촉하여 핑거(120)를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한다. 이번에는, 멈춤쇠(114)가 일련의 톱니(110)와 맞물려 부착기(22a)를 잡고 있는 동안 지지대(20a)의 종단 이동을 방지한다. 만일 간호사가 부착기(22a)를 제거하면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클램프 탭(82)를 사용하여- 핑거(12)는 기울지 않은 상태로 돌아가고 지지대(20a)는 레일(96) 위를 자유롭게 미끄러진다.멈춤쇠(114)는 일련의 톱니(110)들과 맞물리지 않는다.
지지대(20a)를 카테터(14a)와 연결된 카테터 부착기(22a) 하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능력은, 간호사가 카테터(14a)를 안정된 위치에서 잡을 수 있게 하고, 지지대(20a)가 부착기(22a)를 지탱하는 것을 확실하게 하며, 따라서 카테터(14a)를 정확한 입사각에 놓이게 한다. 지지대(20a)의 종단 위치를 조절할 수 없다면, 간호사는 기저부 패드(16a)와 지지대(20a)를 내재 카테터(14a)에 대하여 적절하게 위치하기 위하여 일련의 위치 설정 작업을 반복해야 할 것이다.
경막외 카테터 부착을 위해서, 예를 들어, 마취 전문의가 미세구멍 튜브(126)의 원위말단을 경막외 공간에 삽입한다. 미세구멍 튜브(126)의 근위말단은 마취제를 운반하는 유체 공급 튜브(12b)와 연결하기 위하여 터피-부르스트 부착기(Toughy-Bourst adapter, 144) 또는 다른 부착기 시스템를 관행적으로 포함한다. 미세구멍 튜브(126)와 유체 공급 튜브(12b) 사이의 연결이 손상되지 않아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므로 미세구멍 튜브(126)의 원위말단이 제자리에 있어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만일 경막외 공간이 공기중의 미생물에 노출되면, 수막염(meningitis)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미세구멍 튜브(126)와 유체 공급 튜브(12b) 사이는 튼튼하게 상호 연결되어야 하고, 미세구멍 튜브(126)는 유체 공급 튜브(12b)나 부착기(22b)에 가해지는 어떤 신장력(tension)도 피해야 한다.
도 9와 10은 경막외 카테터 부착에 특히 적절한 카테터 고정시스템(10b)를 도시한다. 의사가 부착기(22b)를 미세구멍 튜브(126)에 연결하고 기저부 패드(16b)를 환자의 체부(torso)에 부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의사는 정맥용 카테터 부착과연결하여 상술된 것과 비슷한 방법으로 본 고정시스템(10b)를 사용한다.
의사는 이어서 먼저 지지대(134)와 벽(130) 사이의 튜브(126)를 눌러 끼우고, 첫 번째와 두 번째 지지대(134) 사이에 튜브(126)를 감아, 미세구멍 튜브(126)를 S-클립(124)을 통해 잡아당긴다. 가벼운 압력은 튜브(126)를 지지대(134)들 사이에 밀어 넣는다. 다음, 의사는 두 번째 지지대(134)와 두 번째 벽(130) 사이에 튜브(126)를 뒤로 돌려 감아 그 사이에 튜브(126)를 눌러 끼운다. S-클립(124)은 미세구멍 튜브(126)를 제 자리에 고정시키고, 부착기(22b) 및/또는 미세구멍 튜브(126)가 연결된 유체 공급 튜브(12b)에 가해지는 신장력으로부터 미세구멍 튜브(126)를 격리 시킨다.
추가 실시태양(Additional Embodiments)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에 개시된 부착기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부착기도 본 카테터 고정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 11과 12는 다른 스타일의 카테터 부착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는 카테터 고정시스템(10c)를 도시한다. 적절한 곳에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자 "c"와 함께 나타낸 숫자를 실시태양들의 비슷한 부품을 나타내는데 사용하였다.
상술한 카테터 고정시스템 처럼, 본 카테터 고정시스템(10c)는 주로 유연성 패드(16c)를 포함하며 패드의 하부 접착면(18c)이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다. 패드(16c)는 지지대(20c)를 지탱한다. 지지대(20c)는 카테터 부착기(22c)를 수용하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었으며, 부착기는 내재 카테터(14c)에 연결된다.패드(16c)는 튜브 클립(24c)도 지탱해 주며 클립은 튜브(12c)의 일부분을 잡아 주는데 사용된다.
도 11은 원위말단(26c)과 근위말단(28c) 사이에 결정되어지는 관상체(25c)를 포함하는 부착기(22)를 도시한다 . 근위말단(28c)은 튜브(12c)의 원위말단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전형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유체 공급 튜브(12c)의 적어도 일부분이 몸체의 근위말단(28c)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원위말단(26c)은 내재 카테터(14c)의 근위말단을 잡아 주도록 형성되었다(표시 안됨). 도 11과 12는 표준형 루어 형태의 카테터 통(30c, 표시 안됨)과 맞물리게 조형된 원추대 모양으로 부착기(22c)를 도시하고 있으나, 원위말단(26c)은 다른 종류의 연결기와도 맞물리게 조형될 수 있다.
도 14는 카테터 부착기(22d)의 원위말단(26d)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다시, 일관성을 위해, 첨자 "d"와 함께 나타낸 숫자를 도 11의 카테터 부착기와 도 14의 카테터 부착기의 비슷한 부품을 나타내는데 사용하였다.
카테터 부착기(22d)는 카테터 부착기(22d)의 몸체(25d)에 부착되는 표준형 루어-잠금 형태의 이음쇠(fitting, 220)를 포함하여 카테터 부착기(22d) 원위말단(26d)의 주위를 둘러싼다. 루어-잠금 이음쇠(220)는 이음쇠(220)가 카테터 부착기 몸체(25d)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정한 용도에 필요하다면, 부착기의 원위말단은 암루어-잠금 형태의 연결기(female lure-lock type connector, 즉, nub 또는 외표면이 나사 형태의 통)를 생각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의하면, 이음쇠(220)는 대체로 닫힌 근위말단(closed proximal end, 222)을 갖는 관형태(tubular)이다. 닫힌 근위말단(222)은 하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부착기 몸체(25d)의 일부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구멍(aperture, 224)을 포함한다. 이음쇠(220)는 일반적인 암루어-잠금 이음쇠 나사(표시 안됨)와 맞물리는 일반적인 내부 나사(internal threads, 226)를 포함한다.
부착기 몸체(25d)는, 이음쇠(220)와 부착기 몸체(25d)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이음쇠(220)의 닫힌 근위말단(222) 일부를 수용하는 환상홈(annular groove, 22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호연결은 이음쇠(220)가 부착기 몸체(25d) 주위를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카테터 부착기(22d)를 조립하기 위하여, 원추형 원위말단(26d)을 이음쇠 닫힌말단(222)의 구멍(224)에 삽입한다. 그런다음, 몸체(25d)를 이음쇠(220)에 밀어 넣어, 닫힌말단(222)이 몸체(25d)의 환상홈(228)에 찰칵 들어 갈 때까지 닫힌말단(222)이 구부러지게(deflect) 한다. 이런 상태에서, 몸체(25d)는 이음쇠(220)의 일부를 잡아주어 이들 부품들을 서로 연결 시킨다.
도 11을 참조하여, 부착기(22c)는 관상체(25c)의 근위, 원위말단(28c,26c)사이에 적어도 한 개의 환상원주(annular collar, 200)를 포함한다. 도 14의 부착기(22d)도 비슷한 환상원주(200d)를 포함한다. 도 11의 부착기(22c)의 환상원주(200)와 도 14의 부착기(22d)의 환상원주(200d)는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 설명은 양쪽 모두의 실시태양에 똑같이 적용된다.
환상원주(200)는 방사상 바깥쪽으로 펼쳐져 관상체(25c)를 둘러싼다.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환상원주(200)는 종단 방향 두께가 지지대 벽(46c)의 홈(50c)의 너비 보다 약간 작아서 원주(200)가 지지대 벽(46c)의 홈(50c)에 들어 맞는다.
부착기(22c)는 견고하고, 생체적합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호사가 부착기(22c)를 통과하는 공기방울이나 역류현상을 볼 수 있도록, 부착기(22c)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부착기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지만, 당 분야에 숙달된 자라면 부착기는 이미 알려진 다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1과 12는 상술된 지지대(20)와 상당부분 동일한 지지대(20c)를 도시한다. 지지대(20c)는 한쌍의 서로 마주 보는 종단벽(46c) 사이에 위치한 중앙 채널(44c)를 포함한다. 중앙 채널(44c)는 지지대(20c)의 종단축에 대체로 평행한 축을 따라서 지지대(44c)를 통과하여 확장한다.
중앙 채널(44c)은 원형의 단면이 상부 말단에서 절단되어 상부 개구부(upper opening, 47)을 형성한다. 중앙 채널(44c)은 카테터 부착기(22c)의 관상체(25c)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중앙 채널(44c)의 직경은 관상체(25c)의 직경과 대체로 같다.
중앙 채널(44c)의 단면은 채널의 축을 중심으로 180 이상의 호(arc)를 이루므로 상부 개구부(47c)의 횡단 길이는 중앙 채널(44c)의 직경 보다 작다. 전형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중앙채널(44c)의 단면 형태는 채널의 축을 중심으로 약 200의 호를 이룬다.
도 13a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지지대(20ㅊ)의 기저부 표면(base surface, 48c)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비스듬한(skewed) 채널 축을 도시한다. 기저부 표면(48c)과 채널 축이 이루는 입사각(θ)은 45 이하이다. 입사각 θ의 바람직한 범위는 5 내지 30이다. 정맥에 이용되는 전형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각도 θ는 약 7가 바람직하다.
종단벽(46ㅊ)들은 대체로 동일하다. 각각의 벽(46c)은 측방향 두께가 부착기(22)의 지지팔(32)의 길이 보다 작으므로, 본 지지대(20c)가 클립(34)에 연결된 지지팔(32)을 포함하는 상술한 부착기(22)와 환상원주(200)을 포함하는 본 부착기(22c)를 모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46c)의 측방향 두께는 관상체(25c)의 외표면을 넘어서 까지 확장되는 원주(200)의 방사상 거리(즉, 방사상 높이)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각 벽(46c)의 측방향 길이는 지지대(20c)의 길이와 같이 확장되는 것(coextensive)이 바람직하다.
각 벽(46c)은 일련의 동일한 홈(slot, 50c)을 포함한다. 한줄에 홈(50c)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며 20개를 넘지 않는다. 한줄에 7개 이하의 홈(50c)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되었듯이, 한줄에 4개의 홈(50c)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홈(50c)의 크기는, 부착기(22,22c)의 종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기(22c)의 원주(200)와 카테터 부착기(22)의 지지팔(32)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다. 각 홈(50c)은 직사각형 모양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보듯이, 홈(50c)은 외표면(exterior surface, 52c)으로부터 벽(44c)을 통과하여, 중앙 채널(44c)로 열린다. 홈(50c)의 너비는 지지 팔(32)의 너비와 원주(200)의 너비 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홈(50c)은 종축벽(46c)의 상부 언저리(upper edge, 54c)와 중앙 채널(44c)의 바닥(bottom, 56c) 사이에 횡단 방향으로 확장된다. 그러므로, 홈(50c)의 횡단 방향 높이는 지지대(20c)의 상부 언저리(upper edge, 54c)와 중앙 채널(44c)의 바닥(bottom, 56c) 사이의 거리 보다 크다. 그러므로, 서로 마주보는 홈(slot, 50c)과 나선홈(groove, 202)은 측방향으로 지지대(20c)를 통과하여 확장되고, 상부 언저리(54c)로부터 채널 바닥(56c) 밑의 지점까지 지지대(20c) 안쪽으로 들어간 측방 채널을 형성한다. 나선홈(202)은 원주(20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가 되어, 중앙 채널(44c)에 위치한 관상체(25c)와 함께 원주(202)가 서로 마주보는 홈(50c)들 사이와 나선홈(202) 안으로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중앙 채널(44c)의 바닥(56c)과 횡단방향으로 나선홈의 바닥 사이를 측정한 나선홈(202)의 깊이는 환상 원주(200)의 방사상 높이 보다 크다.
도 13b는 홈들(50c) 중앙 사이의 거리 S는 바람직하게 카테터 부착기(22)의 지지팔(32)과 돌기(40) 사이 거리 L의 반임을 도시한다. 지지대(20c)의 근위, 원위말단(26c,28c)에 대한 홈들의 위치는 바람직하게 지지대(22)와 관련지어 상기에 기술한 거리와 위치에 따르므로, 본 지지대(20c)를, 클립을 포함하여, 상술한 부착기(22)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도 11과 13a는 지지대(20)와 관련지어 상기에 개시한 대로 제조되고 위치한 일련의 테이퍼 부(chamfer, 58c)를 포함하는 각 종단벽(46c)의 상부 언저리를 도시한다. 상기에 논의된 대로, 상술한 카테터 부착기(22)의 지지팔(32)이나 본 카테터 부착기(22c)의 환상 원주(200)가 홈(50c)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테이퍼 부(58c)는 홈(50c)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진다.
도 11 내지 13b에 도시되었듯이, 각각의 종단벽(46c)은 또한 지지대(20c)의 근위말단에 위치하는 릴리프(relief, 60c)를 포함한다. 릴리프(60c)의 형태와 위치는 바람직하게 지지대(20)에 대한 상기의 기술에 따른다. 도 11은 지지대(20c)가 카테터 부착기(22c)를 지지대(20c)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열쇠식 홈(62c)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열쇠식 홈(62c) 또한 지지대(20)과 관련지어 상기에 개시한 위치와 형태가 바람직하다.
지지대(20c)는 비교적 딱딱한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지지만, 어느 정도 유연하여, 간호사가 부착기(22c)를 지지대(20c)의 중앙 채널(44c)로 압박했을 때, 부착기(22c)가 종단벽(46c)의 상부 언저리(54c)를 바깥 쪽으로 밀어낼 수 있어야 한다. 지지대(20c)는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다. 부착기(22c)가 중앙 채널(44c)에 놓여졌을 때, 종단벽(46c)의 상부 언저리(54c)가 원래의 위치인 안쪽으로 찰칵 물려 부착기(22c)를 지지대(20c)안에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지지대(20c)는 접착제로 기저부 패드(16c)에 고정시킨다. 또는, 비슷한 방법, 즉, 매립(embedding)이나 또는 고정 패드(16c)에 조립(weaving)하는 방법으로 지지대(20c)를 고정 패드(16c)에 고정시킨다.
도 11은 고정 패드(16c)를 도시하는데, 패드(16c)는 상부 종이 또는 다른 직조 또는 비직조 천층(paper or cloth layer, 64c) 및 하부 접착층(18c), 그리고 그 사이에 내부 셀룰로즈 발포층(inner cellulose foam layer, 66c) 으로 이루어진 유연한 적층 구조(laminate structure)를 포함한다. 또는, 유연성 기저부 패드(16)는 하부 접착층(18)과 상부 셀룰로즈 발포층으로 이루어진다. 발포층의 상부 표면은 당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낮은 전하(low electric charge)의 코로나 처리(corona treating)를 하여 거칠게 만들었다. 발포층(66c)은 환자의 피부와 딱딱한 플라스틱 지지대(20c)나 클램프(24c) 사이에 쿠션 역할을 한다. 접착층(18c)은 환자 피부 조건에 따라 발한성(diaphoretic) 또는 비발한성 물질의 피복을 포함할 수 있다. 발한성 또는 비발한성 접착제가 도포된 의료용 발포 테이프는 NDM Manufacturers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바닥 접착층(18)은 사용하기 전에는 탈착식 종이 또는 플라스틱 뒤덮개(backing)(표시 안됨)로 덮어 두는 것이 좋다. 상기에 설명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덮개는 환자 피부에 패드(16)를 쉽게 부착하기 위해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져 있고 뒤덮개를 패드(16)로부터 쉽게 제거하기 위해 탭(tab, 67c)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탭(67c)은 뒤덮개를 패드(16c)에서 떼어낼 때 손가락으로 잡는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점, 글자, 그림이나 비슷한 형태의 표지(indicia, 69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고정 패드(16)은 대체로 모서리가 둥근 사고리꼴이 바람직하다. 고정 패드(16c)의 원위 언저리(distal edge, 206)의 측방향 너비는 근위 언저리(proximal edge, 204)의 측방향 너비 보다 넓다. 긴 원위 언저리(206)는 예를 들어 손가락 관절이나 척추 부분 같은 거친 접촉면에 더욱 긴 접착 면을 제공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고리꼴 형태는 고정 패드(16c)가 환자에게 접촉되는 부분을 감소시킨다. 사고리꼴 형태는 또한 더 작은 정사각형 형태와 같은 표면적을 제공한다. 고정 패드(16c)의 종단면(longitudinal side, 208)은 원위 언저리(206)로부터 근위 언저리(204) 쪽으로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목한(concave) 모양이다.
고정 패드(16c)는, 패드(16c)의 근위 언저리(204)를 따라서 위치하고 카테터 관의 삽입 점 근처에, 노치(notch, 68)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68c)는 고정 패드(16c)에 부착된 지지대(20c)의 채널(44c)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68c)의 크기는 카테터 부착 지점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이어야 하고 삽입 지점에 대한 패드(16c)의 위치를 변경 시킬 수 있을 정도로 커야 한다. 즉, 노치(68c)의 크기는 내재 카테터(14c)에 대하여(표시 안됨) 간호사가 환자의 피부에 패드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필요가 없을 정도로 충분히 커야한다.
도 11과 12에 보듯이, 고정 패드(16c)는 때때로 화살표 형태의 표지(indicia, 70c)를 포함하는데, 카테터 부착 지점에 대한 고정 패드(16)의 방향을 나타낸다. 적절한 사용법으로, 표지(70c)는 내재 카테터(14c, 표시 안됨) 쪽을 향한다.
고정 패드(16c)는 바람직하게 유체 공급 튜브(12c)를 고정 패드(16c)에 고정시키는 클립(24c)을 지탱한다. 도 12에 보듯이, 유체 공급 튜브(12c)는 근위 방향으로 뒤로 돌려 고리를 만들고 클립(24c)에 삽입하여 당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안전 루프를 만든다. 튜브 클립(24c)은 상기 기술에 따라 작제 된다. 클립(24c)은 다양한 구경(caliber)의 유체 공급 튜브(12c)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크기로 작제 될 수 있다.
간호사는 일반적으로 카테터 고정시스템(10c)를 내재 카테터(14c, 표시 안됨)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카테터(14c)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정맥 같은 체강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간호사는 부착기(22c)를 카테터(14c)에 연결하기 위하여 부착기(22c)의 원위말단(26c)을 카테터 통(30c, 표시 안됨)으로 삽입한다. 다음, 간호사는 래치트(rachet) 클립이나 루어-잠금 이음쇠를 이용하여 부착기(22c)를 카테터(14c)에 고정시킨다.
간호사는 상술한대로 고정 패드(16c)의 하부면(18c)을 덮고 있는 종이 뒤덮개를 제거하고, 고정 패드(16c)를 내재 카테터(14c)에 가깝게 환자의 피부에 부착시킨다. 간호사는 화살표 표지(70c)가 카테터를 향하도록 해서 패드(16c)의 노치(68c)를 카테터(14c)관 주위에 위치시킨다. 간호사는 일반적으로 고정 패드(16c)의 근위 언저리(204)를 삽입 지점과 일렬로 놓는다.
간호사는 부착기(22)를 일련의 지지대 홈(50c) 위에 놓고, 부착기(22c)를 지지대(20c) 안으로 찰칵 끼워 넣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부착기(22)는 지지대의 종단벽(46c)들 사이에 눌러 끼워지고 환상 원주(200)가 마주보는 홈(50c)과 지지대의나선홈(202) 안으로 확장된다. 간호사가 부착기(22)를 지지대 안으로 눌러 끼우면, 종단벽(46c)의 홈(50c) 주위의 테이퍼 부(58c)가 환상 원주(200)를 홈(50c) 안으로 유도해 준다. 지지대(20c)는 상술한 대로 부착기(22)를 고정시킨다.
환상 원주(200)가 마주 보는 홈(50) 사이에 위치하여 부착기(22)가 종단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대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태양 처럼, 인간공학적 디자인은 부착기(22c)가 지지대(20c) 안에서 여러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므로, 지지대(20)는 기술이나 위치에 크게 상관이 없다. 즉, 간호사는 지지대의 특정한 홈(50)에 대한 환상 원주(200)의 위치에 관계없이 부착기(22)를 지지대(20c) 안으로 누르기만 하면 된다. 환상 원주(200)가 일련의 홈(50c) 위에 놓이는 한, 벽(46c)의 테이퍼 부(58c)는 환상 원주(200)가 홈(50)으로 들어갈 수 있게 유도해 준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대(20c)의 본 실시태양은 클립(34)을 갖는 상술한 부착기(2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간호사는 상술된 동일한 방법으로, 상술한 부착기(22)와 함께 상술한 지지대(20)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만일 카테터 통(30, 도 1 참조)이 표준형 암루어-잠금 이음쇠라면, 공지의 방법대로 부착기(22d)의 루어-잠금 이음쇠(220, 도 14))는 해당 이음쇠(220)와 맞물리기 위해 카테터 통(30)에 삽입된 원위말단(26d)와 함께 회전한다. 그런 다음,카테터 부착기(22d)는 상술한 방법 대로 고정시스템와 함께 사용된다.
상기의 실시태양은 튜브 셋트나 다른 유체 공급줄(fluid line)의 끝에 부착되어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부재를 갖는 부착기를 기술한다.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부재는 카테터 몸체의 근위말단에 부착된 부착기나 이음쇠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15c는 이러한 배열을 도시한다.
도 15a 내지 1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라서 형성된 카테터 부착 시스템(catheterization system)을 도시한다. 카테터 부착 시스템는 카테터 및 지지대와 고정패드를 포함하는 고정시스템를 포함한다. 도 15a 내지 15c에서는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고정 패드를 누락시켰으나, 고정 패드는 상술한 대로 작제하여 도 16에 나타낸 모양으로 형성한다. 다시, 일관성을 위해, 첨자 "e"와 함께 나타낸 숫자를 도 11과 도 15a 내지 15c의 고정 시스템의 비슷한 부품을 나타내는데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비슷한 부품들에 대한 상기의 기술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본 실시태양에 동일하게 적용됨을 뜻한다.
카테터는 바람직하게 몸체에 부착된 관상 부착기나 이음쇠를 가진 길쭉한 관상체를 포함한다. 적어도 부착기의 내강(lumen) 한 개는 카테터의 해당 내강과 통해 있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부착기(22e)는 이음쇠 근위말단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유체용 선(fluid line)의 원위말단에 부착된 해당 부착기와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관상 부착기(22e)는 카테터 몸체와 유체 공급줄 사이의 연결부(coupling)의 암-부품(female-component)으로 형성된다. 부착기(22e)는 물론 연결부의 수-부품(male-component)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든지, 연결부의 암수 부착기는 일반적으로 해당 원추대 모양이므로 유체가 새지 않게 연결된다. 연결 부착기는 또한 부착기들을 서로 잠그는 상호 물림 요소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태양의 관상 부착기(22e)는 부착기(22e)의 근위말단(300)을 에워싸는(run about) 외부 나사로 이루어진 나사형 연결부(thread coupler,306)를 포함한다. 나사형 연결부의 외부 나사는, 도 14에 도시된 종류와 같은 해당 부착기의 말단에 있는 회전 너트(spin nut)의 내부 나사에 따라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부착기(22e)의 관상체는 나사형 연결부(306)의 원위면(distal side, 302) 위에 원추대형 섹션(frusto-conical shaped section, 304)을 포함한다. 부착기(22e)의 형태는 대체로 도 1에 도시된 형태 같은 공지의 카테터 통에 상응한다.
그러나, 공지의 카테터 통과는 달리, 부착기(22e)는 관상체로부터 돌출되어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부재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부재는 관상체의 원추대형 섹션(304) 일부를 둘러싸는 환상 원주(200e)를 포함한다. 환상 원주(200e)는 대체로 관상체의 근위와 원위말단(300,302) 사이에 거의 중앙에 위치한다; 그러나, 도 16의 실시태양에 설명된 것과 같을 필요는 없다.
도15a 내지 15c로부터 이해된 바와 같이, 지지대(20e)는 대체로 부착기 관상체의 모양에 상응하는 원추형 중앙 채널(44e)를 결정한다. 채널(44)은 서로 수렴하는 한쌍의 마주보는 종단벽(46e)사이에 있다.
벽(46e)은 벽들 사이에 다양한 측방 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벽(46e)은 근위말단의 너비가 원위말단의 너비 보다 바람직하게 넓은 근위말단(300)과 원위말단을 갖는다.
중앙 채널(44e)은 지지대(20e)를 통과하여 종단축을 따라서 서로 수렴하는 벽(46e)들 사이로 확장된다. 채널(44e)은 종단축 방향을 따르는 지점에서 측정했을 때 다양한 종단 크기를 갖는다.
중앙 채널(44e)은 원형의 단면이 상부 말단에서 절단되어 상부 개구부(upper opening, 47e)이 있는 U-모양의 채널을 이룬다. 채널(44e)의 하부면과 측면은 아치형으로 되어 있어 그곳에 수용될 카테터 부착기(22e)의 모양과 상당히 잘 맞는다. 채널(44e)의 다양한 직경은 카테터 부착기(22e)의 측방 길이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다. 채널의 각 부분은 카테터 부착기(22e)의 해당되는 부분과 잘 맞도록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 이 아치형을 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곡률 반경들은 채널(44e)의 종단 길이를 따라서 변한다; 그러나, 채널(44e)은 상기 실시태양에 도시되었듯이, 일반적으로 균일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5c로부터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중앙 채널(44e)의 단면은 종단축을 중심으로 180 이상의 호(arc)를 이루므로 상부 개구부(47)의 측방 길이는 종단 방향의 주어진 지점에서 중앙 채널(44)의 직경 보다 작다. 전형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채널(44e)은 채널의 축을 중심으로 약 200의 호를 이룬다.
지지대는 또한 일반적으로 종단축에 수직으로 놓인 적어도 한 개의 홈(50e)을 포함하는데, 이 홈(50e)은 채널(44e)을 가로질러 채널(44e)을 근위 채널부와 원위 채널부으로 가른다. 근위 채널부와 원위 채널부는 대체로 동일한 종단 길이를 갖지만 꼭 같을 필요는 없다. 채널부의 길이는 지지대로 카테터 부착기(22e)가 삽입되었을 때 안정감을 부여하여, 카테터 부착기(22e)가 흔들거리는 것(즉, 고정 패드와 평행면 내에서 지지대에 대한 선회)을 방지한다. 지지대(20e)의 각 채널부는 카테터 부착기(22e)의 상응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다. 각 홈(50e)은 카테터 부착기(22e)의 원주(20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다.
홈(50e)의 두께는 부착기 원주(200e)의 두께와 맞는다. 그러나, 홈(50e)의 두께는 근위 채널부와 원위 채널부의 종단 길이를 합한 것 보다 작다. 이러한 크기의 관계는 지지대에 삽입했을 때 고정된 카테터 부착기(22e)의 안정감을 더해 준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지지대(20e)는 근위 채널부와 원위 채널부 사이에 나란히(서로 근접하게)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측방 홈(50e)을 포함한다. 홈(50c)의 개수는 한줄에 2개 이상이며 20개를 넘지 않는다. 한줄에 7개 이하의 홈(50c)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태양은 2개의 홈을 포함한다.
상술하였듯이, 각 홈(50e)의 크기는, 카테터의 종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기(22e) 원주(200e)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다. 각 홈(50e)은 직사각형 모양이 바람직하며, 외표면(52e)으로부터 벽(44e)을 통과하고 중앙 채널(44e)을 통과하여 확장된다. 홈(50e)의 종축 방향 너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음쇠(304??)를 수용하도록, 이음쇠(304??)의 종축 방향 너비 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20e)는 채널(44e)의 바닥에 형성된 릴리프(308)를 포함한다. 릴리프(relief, 308)는 홈(50e)에 놓여졌을 때 환상 원주(200e)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다.
손잡이 대(finger platform, 310)는 지지대(20e)의 측벽(46e)으로부터 확장된다. 손잡이 대(310)는 의료인이 카테터 부착기(22e)를 지지대(20e)로부터 떼어낼 때, 카테터 부착기(22e)를 위로 잡아당기는 동안 지지대(20e)를 환자의 피부 위로 압박할 수 있게 크기와 모양이 정해진다.
홈(50e)과 환상 원주(200e)의 상호 맞물림과 더불어, 원추형 채널과 원추대형 이음쇠(304)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카테터의 근위에서 원위쪽으로 종단 방향 이동이 더욱 저해된다. 즉, 가해진 힘이 이음쇠(304)를 원위 방향으로 유도할 때, 이음쇠(304)가 벽(46e, 벽의 근위말단 쪽으로 측정한 직경이 균일하게 더 작다)의 일부분과 만날 때까지 전진한다. 이음쇠(304)가 벽과 만나면, 거기에 부착된 카테터는 원위 이동이 정지된다.
도 16은 도 15a 내지 15c와 관련지어 상술한 것과 비슷한 카테터 부착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따라서, 첨자 "f"와 함께 나타낸 숫자를 이 실시태양들 사이에 비슷한 부품을 나타내는데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비슷한 부품들에 대한 상기의 기술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본 실시태양에 동일하게 적용됨을 뜻한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카테터 통(304)의 원추형 부분은 원주(200f)의 근위(proximal, 300f) 측면과 원위(distal, 302f) 측면 사이의 직경이 불규칙하게 단계적이다. 즉, 원주(200f) 근위(300f) 측면쪽 원추부분의 최소 직경은 원주(200f) 원위(302f) 측면쪽 원추부분의 최대 직경 보다 크다.
지지대(20f)의 형태는 카테터 부착기(22f)의 원추형 부분의 형태에 상응한다.근위(300f) 채널부의 곡률 반경은 부착기(22f)의 원추형 부분의 근위(300f) 측면의 형태와 잘 맞는다. 그리고, 원위(302f) 채널부의 곡률 반경은 부착기(22f)의 원추형 부분의 원위(300f) 측면의 형태와 잘 맞는다. 그와 같이, 근위(300f) 채널부의 최소 직경은 원위(302f) 채널부의 최대 직경 보다 크다.
지지대(20f)는 지지대의 상부 개구부(47f)이 노출되고 고정 패드(16f)의 반대 쪽을 향하게 하여 고정 패드(16f) 위에 장착된다. 고정 패드(16f)와 지지대(20f)의 작제 및 고정 패드(16f) 위에 지지대(20f)의 부착은 상술한 방법에 따른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패드(16f)는 또한 튜브 클립(24f)을 지지한다.
상기 실시태양과 비슷하게, 본 카테터 부착 시스템의 사용은 먼저 카테터를 유체용 선(공급 또는 배출용)에 연결한다. 카테터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정맥 같은 체강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부착기들을 같이 연결하기 위하여 간호사는 연결 부착기(22c) 한 개의 원위말단을 카테터 부착기로 삽입한다. 다음, 간호사는, 카테터 부착기 근위말단 위의 나사형 연결부와 유체용 튜브에 부착된 부착기 말단 위의 회전 너트 사이에 형성된, 상술한 래치트(rachet) 클립이나 루어-잠금 이음쇠를 이용하여 부착기들을 연결한다.
간호사는 상술한대로 고정 패드(16f)의 하부면을 덮고 있는 종이 뒤덮개를 제거하고, 고정 패드(16f)를 내재 카테터에 가깝게 환자의 피부에 부착시킨다. 간호사는 패드(16c)의 노치를 카테터 몸체 또는 관 주위의 특정한 위치에 놓는다. 간호사는 일반적으로 고정 패드(16f)의 근위 언저리를 삽입 지점과 일렬로 배열한다.
간호사는 부착기(22f)를 일련의 지지대 홈(50f) 위에 위치시키고,부착기(22f)를 지지대(20f)에 찰칵 끼워 넣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부착기(22f)는 지지대의 종단벽(46f)들 사이에 눌러 끼워지고 환상 원주(200f)가 마주보는 홈(50f)과 지지대(20f) 안으로 확장된다. 간호사가 부착기(22f)를 지지대 안으로 눌러 끼우면, 종단벽(46f)의 홈(50f) 주위의 테이퍼 부(58f)가 환상 원주(200f)를 홈(50f) 안으로 유도해 준다(참조: 도 15a). 환상 원주(200f)가 한개의 홈(50f) 안에 위치하여 부착기(22f)가 종단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대(20f)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태양 처럼, 지지대의 인간공학적 디자인은 부착기(22f)가 지지대(20f) 안에서 여러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므로, 지지대(20f)는 기술이나 위치에 크게 상관이 없다. 즉, 간호사는 지지대(20f)의 특정한 홈(50f)에 대한 환상 원주(200f)의 위치에 관계없이 부착기(22f)를 지지대(20f) 안으로 누르기만 하면 된다. 환상 원주(200f)가 일련의 홈(50f) 위에 놓이는 한, 벽(46f)의 테이퍼 부(58f)는 환상 원주(200f)가 홈(50f)으로 들어갈 수 있게 유도해 준다.
도 17과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 따라서 형성된 카테터 부착 시스템(catheterization system)을 도시한다. 카테터 부착 시스템의 다른 실시태양들 처럼, 본 실시태양은 지지대와 고정시스템를 포함한다. 다시, 일관성을 위해, 첨자 "g"와 함께 나타낸 숫자를 도 11과 도 16의 고정 시스템의 비슷한 부품을 나타내는데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비슷한 부품들에 대한 상기의 기술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본 실시태양에 동일하게 적용됨을 뜻한다.
본 실시태양은, 이전의 실시태양들 처럼, 지지대와 고정시스템가 서로 결합하여 카테터를 환자의 몸에 고정시킴으로써 카테터가 종단, 횡단, 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대와 고정시스템를 제공하는 개념을 사용한다. 또한 이전의 실시태양들 처럼, 고정시스템는 기술이나 위치에 크게 상관이 없는 개념을 포함한다. 즉, 의료인이 카테터 부착기를 지지대 위에 대강 놓고 부착기를 지지대 안으로 눌러 넣기만 하면 된다.
도 17은 한쌍의 대체로 평행인 벽(46g)들 사이에 형성되어 부착기(22g)의 관상체를 찰칵 끼우는 방법으로 수용하도록 조형된 종단 채널(44g)을 포함하는 지지대(20g)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채널의 작제 방법은 상술된 방법과 비슷하며 종단축 L에 대하여 작제한다.
지지대(20g)는 한 개의 벽(46g)으로부터 종단축을 향해서 측방향으로 확장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돌기 또는 돌기(400)를 포함한다. 돌기(400)는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카테터 부착기(22g)의 함몰 부위(recess)와 결합하도록 크기나 모양이 결정된다. 그러나, 돌기(400)는 종단축을 향해서 횡단 방향으로 채널(44g) 내부로 확장된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지지대(20g)는 여러 개의 돌기(400)를 갖는다. 한가지 모양에서는, 두 개의 돌기가 서로 마주보는 벽(46g)위에 서로 건너편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돌기(400) 한 세트는 서로 마주본다. 지지대(20g)는 또한 바람직하게 채널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여러 개의 돌기(400) 세트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지지대(20g)와 부착기(22g)가 서로 맞물리기 전에 대강만 배열을 하면 되도록, 여러 셋트의 돌기(400)는 부착기(22g)가 지지대(20g) 안에 놓여질 수 있는 여러개의 위치를 제공한다. 종단 방향 또는 횡단 방향으로 확장하는 돌기(400) 모두를 지지대에 사용할 수 있다.
돌기(400)는 바람직하게 채널의 첫 번째 부분과 두 번째 부분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한 개의 채널부는 채널(44g)의 근위말단에 형성되고 또다른 하나는 채널의 원위말단에 형성된다. 부착기(22g)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채널부는 충분히 길어서 부착기(22g)의 충분한 길이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돌기는 일반적으로 가해지는 힘, 즉, 의료인이 눌렀을 때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한 두께 또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테터 부착기(22g)의 종단 방향 이동은 방지하고 카테터 부착기(22g)의 채널 내 또는 외에 위치시키는 것은 방해하지 않도록, 채널 안으로 돌출된 돌기(400)의 일부분은 측방향 또는 횡단 방향으로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즉, 하기에 기술되었듯이, 돌기(400)는 카테터 부착기(22g)의 대응 구조와 맞물릴 수 있도록 충분히 채널 안으로 확장한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각 돌기(400)는 지지대 기저부(48g)에 대체로 평행한 면 안에서 직사각형을 이룬다. 그러므로, 돌기(400)는 채널(44g)의 상부 가장자리에 각 벽(46g)의 일부분을 따라 일련의 사각형 톱니를 형성한다. 그러나, 돌기(400)는 반원, 사각형, 곡선, 삼각형 등을 포함하는(그러나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로 조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돌기(400)는 카테터 부착기(22g)가 종단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특정한 용도에 따라서, 도시되었듯이, 직선이거나 구부러지거나 곡선이 될 수 있다.
채널(44g)의 상부 가장자리 아래에, 각 돌기는 대응하는 측벽(46g)을 향해 점점 가늘어진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하기에 기술되었듯이, 이러한 테이퍼(taper, 406)는 대체로 부착기(22g) 표면에 바람직하게 대응하는 아치형 통로를 따라간다. 그러나, 돌기(400)는 채널(44g)의 호(arc) 전체(즉, 한쪽 벽을 따라 내려가 채널 바닥을 건너서 다른 벽을 올라가는)에 확장될 수 있거나 또는 돌기(400)는 채널 바닥을 향해 아래쪽으로 확장된다(도 18).
상술되었듯이, 돌기(400)는 카테터 부착기(22g)의 함몰 부위(recess)와 결합하도록 크기나 모양이 유리하게 결정된다. 제한 없이, 카테터 부착기(22g)는, 도 17에 보듯이, 유체용 튜브의 말단이나, 도 18에 보듯이 카테터(즉, 카테터 통)의 말단에 끼워진다.
한가지 형태에 의하면, 돌기(400)는 함몰 부위에 꼭 맞으며 함몰 부위의 측면을 맞물어 부착기(22g)가 에 대하여 종단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부착기(22g)는 여러 개(즉, 3개)의 환상홈(annular groove, 408)을 포함한다; 그러나, 몇 개의 환상홈(408)도 지지대(20g)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부착기(22g)를 지지대(20g) 안의 여러 위치에 수용하기 위해서 돌기(400)의 개수는 환상홈(408)의 개수 보다 적어야 한다.
각 환상홈(408)이 부착기(22g)의 근위, 원위말단(28g,26g) 사이에 위치하여 부착기(22g)를 둘러싸며 방사상 안쪽으로 확장된다. 각 환상홈(408)은 종단방향의 두께가 돌기(400)의 종단방향 길이 보다 약간 작아서 적어도 환상홈(408)의 일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 벽(46g)의 돌기(400)에 돌려 맞는다.
그러므로, 각 환상홈(408)은 부착기(22g) 외쪽의 아치형 표면을 결정한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따르면, 이 아치형 표면의 반지름은 바람직하게는 상술했듯이 돌기(400)가 각각의 벽(46g) 쪽으로 가늘어지며 생기는 곡률 반경 보다 크지 않다.
도 18은, 지지대(20g)가 균일한 직경을 가진 부착기(22g)가 아니라 부착기(22g)의 원추대형 섹션(304)을 수용하도록 조형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7과 비슷하다. 지지대(20g)와 점진 감소형(tapered) 부착기(22g)가 찰칵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채널(44g)은 지지대(20g)를 통과하여 종단축을 따라서 서로 수렴하는 벽(46g) 사이에 확장하므로, 점점 가늘어지거나 단계적인 부분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태양은 또한 지지대(20g) 위에 형성된 4개의 돌기(400)를 나타내지만, 어떤 적절한 수(2 내지 20개)의 돌기도 지지대(20g)에 사용될 수 있다.
카테터 부착 시스템의 본 실시태양은 먼저 카테터를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정맥 같은 체강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의료인은 카테터를 유체용 튜브에 부착하기 위하여 카테터 부착기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다음, 의료인은 카테터 부착기 근위말단 위의 나사형 연결부와 유체용 튜브에 부착된 부착기 말단 위의 회전 너트 사이에 형성된, 상술한 래치트(rachet) 클립이나 루어-잠금 이음쇠를 이용하여 부착기들을 연결한다.
의료인은 부착기(22g)를 일련의 지지대 돌기(400) 위에 위치시키고, 부착기(22g)를 지지대(20g)에 찰칵 끼워 넣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환상홈(408)의 적어도 일부가 대응하는 돌기(400)를 수용하여 부착기(22g)는 지지대의 종단벽(46g)들 사이에 눌러 끼워진다. 환상홈(408)의 적어도 일부가 돌기(400)의주변에 위치하여, 부착기(22g)가 종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의료인은 상술한대로 고정 패드(16g)의 하부 접착면을 덮고 있는 종이 뒤덮개를 제거하고, 고정 패드(16g)를 내재 카테터에 가깝게 환자의 피부에 부착시킨다.
상술하였듯이, 지지대(20g)의 인간공학적 디자인은 부착기(22g)가 지지대(20g) 안에서 여러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므로, 지지대(20g)는 기술이나 위치에 크게 상관이 없다. 즉, 의료인은 지지대(20g)의 특정한 돌기(400)에 대한 환상홈(408)의 위치에 관계없이, 부착기(22g)를 지지대(20g) 안으로 눌러 넣기만 하면 된다. 또한, 환상홈(408)이 일련의 돌기(400) 위에 놓이는 한, 벽(46g)의 테이퍼 부(chamfered edge, 312g)는 환상홈(408)이 적어도 돌기(400)의 일부분 주위에 놓일 수 있게 유도해 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1)

  1. 부착기로부터 방사상으로 확장된 부재를 가진 부착기를 포함하는 카테터; 및,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를 가지고, 각 채널부는 길이방향으로 뚫린 단면적을 가지며, 각 채널부는 전기 길이방향축에 대해 180보다 큰 호를 통하여 적어도 부착기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크기이고, 전기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통상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행 홈이 첫번째와 두번째 채널부 사이에 위치하며, 전기 홈은 실질적으로 전기 부착기의 방사상 확장 부재의 두께와 동일하고, 전기 1번째와 2번째의 채널부의 길이 합보다 적게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전기 평형 홈에 위치한 방사상 확장 부재를 가진 지지대내에서 부착기의 측면 안정성을 부여한 지지대를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카테터 부착기는 원추형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부착기의 방사상으로 확장된 부재는 부착기의 일부를 감싸는 환상칼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부착기는 카테터의 본체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부착기는 카테터의 본체와 영구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하부의 접착면과 지지대가 위치하는 상면을 가지는 유연성 패드를 추
    가로 포함하고, 전기 지지대는 전기 채널부의 개구부에 위치한 전기
    상부표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지지대는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평행한 홈을 포함하고, 각각의 평행한 홈은 카테터가 종단방향으
    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테터 부착기의 방사상 확장 부재
    에 맞출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전기 방사상 확장 부재가 삽입되는
    종단방향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위치를 제공하도록 전기 평행홈을 종
    단축을 따라 나란히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각각의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는 각 채널부에 부착되는 카
    테터 부착기의 대응되는 부분이 맞도록, 적당한 곡률반지름을 갖는 형
    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전기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의 곡률반지름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전기 첫번째 채널부의 최소 곡률반지름이 두번째 채널부의 최대 곡
    률반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중 최소한 하나는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12.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를 가지고, 각 채널부는 길이방향으로 뚫린 단면적을 가지며, 각 채널부는 전기 길이방향축에 대해 180보다 큰 호를 통하여 적어도 부착기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크기이고, 전기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통상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행 홈이 첫번째와 두번째 채널부 사이에 위치하며, 전기 홈은 실질적으로 전기 부착기의 방사상 확장 부재의 두께와 동일하고, 전기 1번째와 2번째의 채널부의 길이 합보다 적게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전기 평형 홈에 위치한 방사상 확장 부재를 가진 지지대내에서 부착기의 측면 안정성을 부여한 지지대; 및,
    하부 접착면과 지지대가 위치한 상면을 가지고, 전기 지지대는 전기 채널부의 노출된 개구부가 상면에 위치하는 유연성 고정 패드를 포함하며,
    방사상 확장 부재로 구성된 부착기를 가지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전기 지지대는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평행한 홈을 포함하고, 각각의 평행한 홈은 카테터가 종단방향으
    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테터 부착기의 방사상 확장 부재
    에 맞출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전기 방사상 확장 부재가 삽입되는
    종단방향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위치를 제공하도록 전기 평행홈을 종
    단축을 따라 나란히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전기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는 일반적으로 아치형인 것을
    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전기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의 곡률반지름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첫번째 채널부의 최소 곡률 반지름이 두번째 채널부의 최대 곡률
    반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17. 제 12항에 있어서,
    채널부는 한쪽면을 따라 잘려진 원추형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18.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를 가지고, 각 채널부는 카테터 부착기의 대응되는 부분과 맞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평행 홈, 각각의 평행홈은 길이방향으로 카테터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카테터 부착기의 방사상 확장 부재를 받아들일 수 있는 크기이고, 전기 방사상 확장 부재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의 다양한 위치를 제공하도록 전기 평행 홈은 종단축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어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방사상 확장 부재로 구성된 부착기를 가지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전기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 각각은 각 채널부에 의해 수용되는
    카테터 부착기의 부분에 맞도록, 곡률 반지름이 일반적으로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전기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의 곡률반지름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21. 제 19항에 있어서,
    첫번째 채널부의 최소 곡률 반지름이 두 번재 채널부의 최대 곡률 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22. 제 18항에 있어서,
    하부 접착면과 지지대가 위치한 상면을 가지고, 전기 지지대는 전기
    채널부의 노출된 개구부가 상면에 위치하는 유연성 고정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23. 제 18항에 있어서,
    채널부는 한쪽면을 따라 잘려진 원추형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24.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진 카테터 부착기; 및
    종단축에 대하여 지지대를 통하여 확장되는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고, 전기 채널은 누름방식으로 적어도 부착기의 일부 및 종단축에 대해 일반적인 방향에서 채널 안쪽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전기 돌출부는 부착기 홈의 길이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길이방향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25. 제 24항에 있어서,
    채널은 종단축을 따라 개구부를 갖는 잘려진 횡단면을 가지고, 종단축
    에 대하여 180보다 큰 호를 통해 적어도 부착기의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26. 제 25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종단축에 대하여 채널의 호를 통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27. 제 24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지지대의 하부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측면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28. 제 24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지지대의 하부에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29. 제 24항에 있어서,
    채널은 종단축을 따라 확장되는 첫번째와 두번째 채널부을 포함하
    고, 각 채널부는 종단축을 따라 개구부를 가지는 잘려진 횡단면을 가
    지며, 각 채널부는 종단축으로 180보다 큰 호를 통해 적어도 부착기
    의 일부가 둘러싸일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30. 제 29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의 길이 합보다 적은 길이방향의
    길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31. 제 2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32. 제 29항에 있어서,
    첫번째와 두번째의 채널부 각각은 각각의 채널부에 수용되는 카테터
    부착기에 대응되는 부분과 일반적으로 일치되는 곡률반지름을 가진
    아치형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33. 제 2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지지대 하부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면을 가지
    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34. 제 24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부가적으로 다른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전기 돌출부는
    돌기쌍을 이루기위해 채널의 반대편에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35. 제 34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다수의 돌기 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36. 제 34항에 있어서,
    부착기는 다수의 홈을 가지고, 전기 홈의 갯수는 돌기 쌍의 수보다
    많은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37. 제 36항에 있어서,
    각 홈은 부착기의 종단축에 대하여 부착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쌀
    정도로 확장되도록 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38. 제 24항에 있어서,
    카테터 부착기는 프루스토-원뿔형(frusto-conical) 단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39. 제 24항에 있어서,
    점진감소 부위는 채널을 한정하는 지지대에 모여지는 벽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40. 제 24항에 있어서,
    부착기의 홈은 나선형의 안쪽으로 확장되고, 부착기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41. 제 24항에 있어서,
    하부의 접착면과 지지대가 위치한 상면을 가지는 유연성 패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전기 지지대는 전기 채널의 개구부에 노출된 전기
    상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 시스템.
  42. 종단축에 대하여 지지대를 통하여 확장되는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고, 전기 채널은 누름방식으로 적어도 부착기의 일부 및 종단축에 대해 일반적인 방향에서 채널 안쪽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전기 돌출부는 부착기 홈의 길이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길이방향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 및,
    하부의 접착면과 지지대가 위치한 상면을 가지는 유연성 패드를 포함하고, 홈이 있는 부착기를 가지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43. 제 42항에 있어서,
    채널은 종단축에 따라 개구부가 있는 잘려진 횡단면을 가지며, 종단축
    에 대하여 180보다 큰 호를 통해 부착기의 최소한 일부분을 둘러쌀 정
    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44. 제 43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종단축에 대하여 채널의 호를 통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45. 제 42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지지대 하부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측면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46. 제 42항에 있어서,
    돌기는 지지대 하부에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47. 제 4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지지대의 하부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면이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48. 제 42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다른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돌출부는 돌출 쌍을 형성하
    도록, 채널의 반대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49. 제 48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다수의 돌출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50. 제 48항에 있어서,
    부착기는 다수의 홈을 가지고, 홈의 수는 돌출 쌍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이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51. 홈을 가지고, 카테터에 연결된 부착기를 제공하는 단계;
    종단축 방향으로 확장되는 채널부와 종단축 방향의 채널 안쪽으로 대체적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제공하는 단계;
    지지대를 떠받치고, 뒷면에 접착면을 갖는 고정 패드를 제공하는 단계;
    내재 카테터에 가장 가까운 환자의 피부에 고정 패드를 붙이는 단계;
    지지대의 돌출부 상단에 부착기의 홈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지지대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부착기의 움직임을 방해하기 위하여, 돌출부를 수용하는 홈을 가지는 채널안에 부착기를 위치시키도록, 지지대안에 부착기를 밀어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재 카테터/튜브의 연결부를 환자에 고정하는 방법.
KR10-2000-7012000A 1998-04-27 1999-04-27 의료용 관의 고정장치 KR100527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69,029 US6290676B1 (en) 1989-07-24 1998-04-27 Catheter anchoring system
US09/069,029 1998-04-27
US09/165,367 US6837875B1 (en) 1993-03-19 1998-10-02 Catheter anchoring system
US09/165,367 1998-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190A true KR20010071190A (ko) 2001-07-28
KR100527007B1 KR100527007B1 (ko) 2005-11-09

Family

ID=2674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000A KR100527007B1 (ko) 1998-04-27 1999-04-27 의료용 관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37875B1 (ko)
EP (2) EP1475122A3 (ko)
KR (1) KR100527007B1 (ko)
AT (1) ATE273726T1 (ko)
AU (2) AU3868799A (ko)
CA (1) CA2329785C (ko)
DE (1) DE69919532T2 (ko)
WO (1) WO199905540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78A1 (ko) * 2018-05-24 2019-11-28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피하주사용 커넥터
KR20210039581A (ko) *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피하주사용 커넥터
KR102322577B1 (ko) * 2021-08-11 2021-11-08 엔지오텍 주식회사 의약품 직접 주입 기구
KR20230027712A (ko) *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위루관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7705B2 (en) * 1993-03-19 2004-12-07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anchoring system
US6572588B1 (en) 2000-03-10 2003-06-03 Venetec International, Inc. Medical anchoring system
US6428515B1 (en) * 2000-06-01 2002-08-06 Venetec International, Inc. Anchoring system for leur lock connector
US6551273B1 (en) 2000-08-23 2003-04-22 Scimed Life Systems, Inc. Catheter having a shaft keeper
DE10055281B4 (de) * 2000-11-08 2004-12-23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Adapter für eine PEG-Sonde
EP1499380A2 (en) 2002-05-01 2005-01-26 Venetec International, Inc. Medical line securement device
US7014627B2 (en) * 2002-08-15 2006-03-21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20060084922A1 (en) * 2002-09-04 2006-04-20 Ruark Botha Device for securing a blood vessel cannula to a body
US7931658B2 (en) 2002-09-20 2011-04-26 Interrad Medical, Inc. Temporary retention device
US8480629B2 (en) 2005-01-28 2013-07-0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Universal utility board for use with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9248258B2 (en) 2005-03-16 2016-02-02 Carefusion 303,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I.V. needle and luer fitting
US8197447B2 (en) * 2005-04-19 2012-06-12 Venetec International, Inc. Flexible IV site protector
US8057440B2 (en) * 2005-05-26 2011-11-15 Venectec International, Inc. Anchoring system for use with neonates
WO2007006080A1 (en) * 2005-07-12 2007-01-18 Ventracor Limited Restraining device for a percutaneous lead assembly
US7988673B2 (en) * 2005-07-14 2011-08-02 Venetec International, Inc. Protective dressing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642987B2 (en) 2005-08-31 2017-05-09 C.R. Bard, Inc. Anchoring system for a catheter
EP1988961A4 (en) 2005-09-19 2011-07-27 Medical Device Group Inc ARRANGEMENT FOR FIXING A MEDICAL TUBE AND APPLICATION METHOD
US7879013B2 (en) 2005-12-21 2011-02-01 Venetec International, Inc. Intravenous catheter anchoring device
US8052648B2 (en) 2005-12-21 2011-11-08 Venetec International, Inc. Intravenous catheter anchoring device
US9138560B2 (en) * 2006-01-12 2015-09-22 Venetec International, Inc. Universal catheter securement device
ES2895905T3 (es) 2006-01-12 2022-02-23 Venetec Int Inc Dispositivo universal de fijación de catéteres
US8016794B2 (en) 2006-03-09 2011-09-13 Interrad Medical, Inc. Anchor device and method
US7806873B2 (en) * 2006-07-13 2010-10-05 Venetec International, Inc. Intravenous securement device with adhesively interconnected anchoring component and permeable adhesive strip
US8500698B2 (en) * 2006-09-08 2013-08-06 Zefon International, Inc. Catheter anchor
US20080200880A1 (en) * 2007-02-15 2008-08-21 Kurt Kyvik Catheter anchor
US8834425B2 (en) * 2007-07-16 2014-09-16 C.R. Bard, Inc. Securement system employing polymeric gel
US9993619B2 (en) 2007-07-17 2018-06-12 C. R. Bard, Inc. Securement system for a medical article
US8323251B2 (en) 2008-01-14 2012-12-04 Fenwal, Inc. Phlebotomy needle assembly and frangible cover
US20090187153A1 (en) * 2008-01-14 2009-07-23 West Richard L Winged needle assembly and frangible cover
US8235948B2 (en) 2008-06-27 2012-08-07 Interrad Medical, Inc. System for anchoring medical devices
US9480821B2 (en) 2008-06-30 2016-11-01 Venetec International, Inc. Anchoring system for a medical article
US8038653B2 (en) 2008-07-16 2011-10-18 Interrad Medical, Inc. Anchor systems and methods
CA2737640C (en) 2008-09-19 2017-10-31 C.R. Bard, Inc. Medical device securement system
US20100100049A1 (en) * 2008-10-22 2010-04-22 Godfrey Mark W Securement device for vascular access system
US8328764B2 (en) 2009-02-06 2012-12-11 Interrad Medical, Inc. System for anchoring medical devices
EP2403579A4 (en) 2009-03-04 2012-08-01 Bard Inc C R DEVICE FOR ATTACHING A CATHETER
EP2429617A1 (en) 2009-05-15 2012-03-21 C.R. Bard, INC. Stabilization device with integrated dressing
US8394067B2 (en) 2009-05-21 2013-03-12 C.R. Bard, Inc. Medical device securement system
US8323249B2 (en) 2009-08-14 2012-12-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AU2009351641A1 (en) 2009-08-25 2012-03-08 C.R. Bard, Inc. Medical article securement device
US9731097B2 (en) 2009-10-06 2017-08-15 Venetec International, Inc. Stabilizing device having a locking collet
US9694130B2 (en) 2009-10-06 2017-07-04 Venetec International, Inc. Stabilizing device having a snap clamp
US20110098669A1 (en) * 2009-10-26 2011-04-28 Boyes George R Intravenous spike holder for easier penetration of sealed intravenous bag
US10537714B2 (en) 2009-11-11 2020-01-21 Venetec International, Inc. Stabilizing device for an extension set
WO2011109542A1 (en) 2010-03-03 2011-09-09 Venetec International , Inc. Medical article with rotable wings
WO2011146781A1 (en) * 2010-05-19 2011-11-24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Catheter stabilization device
WO2011146769A2 (en) * 2010-05-19 2011-11-24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US8814833B2 (en) 2010-05-19 2014-08-26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Safety needle system operable with a medical device
CA2807045A1 (en) 2010-07-30 2012-02-02 Venetec International, Inc. Securement device
US9872976B2 (en) 2010-08-20 2018-01-23 Thoratec Corporation Assembly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percutaneous cable
US9962524B2 (en) 2011-03-11 2018-05-08 Venetec International, Inc. Medical article securement device
WO2012145683A1 (en) 2011-04-21 2012-10-26 Venetec International, Inc. Anchoring system
US8556859B2 (en) 2011-12-21 2013-10-15 Securcath LLC Securement device for medical fixtures
CA3096148C (en) 2013-03-15 2023-01-10 C.R. Bard, Inc. Securement device having an integral strap and dressing
US20160106958A1 (en) * 2013-05-05 2016-04-21 Resqdevices Pty Ltd An Intravenous Cannula Retainer
US9248259B2 (en) 2013-08-14 2016-02-02 Tidi Securement Products, Llc Double notched catheter securement assembly
EP3102258A4 (en) 2014-02-04 2017-12-27 ICU Medical, Inc. Self-priming systems and methods
KR200474714Y1 (ko) 2014-03-10 2014-10-13 (주)지온메드 의료용 튜브 고정장치
USD864384S1 (en) 2014-03-13 2019-10-22 Tidi Products, Llc Split-loop 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9358366B2 (en) 2014-03-13 2016-06-07 Tidi Securement Products, Llc 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10576251B2 (en) 2014-03-13 2020-03-03 TDI Products, LLC 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with removable retention member
USD780914S1 (en) 2014-09-05 2017-03-07 Tidi Products, Llc Catheter adhesive device
USD842986S1 (en) 2014-09-05 2019-03-12 Tidi Products, Llc Narrow IV securement device
US10350388B2 (en) 2014-09-05 2019-07-16 Tidi Securement Products, Llc Peripheral intravenous and arterial catheter securement device
KR101711725B1 (ko) * 2015-03-03 2017-03-02 이상철 일회용주사기 밀착 고정장치
EP3384954B1 (en) 2015-09-09 2021-01-27 B. Braun Melsungen AG Infusion systems, connectors for use with catheter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D834711S1 (en) 2016-02-04 2018-11-27 Tidi Products, Lcc Catheter and connector securement device
USD789527S1 (en) 2016-02-04 2017-06-13 Tidi Products, Llc Catheter and connector securement device
CN113876488B (zh) 2016-05-13 2022-09-13 C·R·巴德股份有限公司 包括导向鼻部的导管固定装置
KR102257238B1 (ko) 2016-06-27 2021-05-28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주사기 안정화기
USD816833S1 (en) 2017-01-10 2018-05-01 Tidi Products, Llc Access needle securement device
US10857320B2 (en) * 2017-09-11 2020-12-08 Christopher Walters Pre-cut adhesive strips for securing airway tubes
CN109011104A (zh) * 2018-08-28 2018-12-18 南京市第医院 嵌合式胸腔引流导管
CN113692298B (zh) 2019-04-17 2024-02-13 巴德阿克塞斯系统股份有限公司 包括延伸的锚定垫和释放衬垫扣合特征的导管固定装置
CA3183520A1 (en) * 2020-06-30 2022-01-06 Mark BRUNING Chest drainage system securing apparatus
US11850342B2 (en) 2022-03-21 2023-12-26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Securing connections to dialyzers

Family Cites Families (10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5398A (en) 1948-02-02 1950-10-10 Arthur L Collins Hypodermic syringe holder and guide
US2533961A (en) 1949-09-29 1950-12-12 Wilfrid J Rousseau Intravenous needle immobilizer
US3064648A (en) 1958-04-16 1962-11-20 Abbott Lab Intravenous needle assembly
US3245567A (en) 1962-08-27 1966-04-12 Johnson & Johnson Sterile container
US3167072A (en) 1962-10-11 1965-01-26 Stone Hester Ellen Intravenous needle and flow tube stabilizing means
US3394954A (en) 1966-05-06 1968-07-30 Sarns Inc Tube coupling for medical appliances
US3529597A (en) 1968-04-19 1970-09-22 George T Fuzak Fingertip bandage
US3686896A (en) 1969-09-29 1972-08-29 Smiths Industries Ltd End fittings for flexible drive cables
CA938850A (en) 1970-07-24 1973-12-25 W. Edwards Donald Device for venipuncture
US3677250A (en) 1971-02-11 1972-07-18 Morton I Thomas Tabbed anchoring tape means
US3766915A (en) 1971-12-21 1973-10-23 Illinois Tool Works Plastic needle holder
DE2305896C3 (de) 1973-02-07 1975-11-20 C.H. Boehringer Sohn, 6507 Ingelheim Venenverweilkatheter mit Innennadel
US3973565A (en) 1973-07-20 1976-08-10 Everett Medical Products Limited Winged cannula with skin securing means
US4020835A (en) 1973-08-16 1977-05-03 Boehringer Ingelheim Gmbh Catheter placement assembly
US3856020A (en) 1973-09-17 1974-12-24 S Kovac Trocar-catheter assembly
US3900026A (en) 1973-11-19 1975-08-19 William H Wagner Device for holding and protecting intravenous injection needles
US3942228A (en) 1974-07-19 1976-03-09 Buckman Thomas P Tubing clamp
US4037599A (en) 1976-01-26 1977-07-26 Raulerson James D Continuous flow catheter device
CH596843A5 (ko) 1976-02-12 1978-03-31 Intermedicat Gmbh
USD243477S (en) 1976-03-24 1977-02-22 Omnimed, Inc. Intravenous tube anchor
US4059105A (en) 1976-03-24 1977-11-22 Omnimed, Inc. Cannula securing device
US4082094A (en) 1976-09-13 1978-04-04 Dailey Calvin L Locking device for intravenous insert
US4133312A (en) 1976-10-13 1979-01-09 Cordis Dow Corp. Connector for attachment of blood tubing to external arteriovenous shunts and fistulas
US4114618A (en) 1976-12-15 1978-09-19 Vargas Jorge J Catheter assembly
US4142527A (en) 1977-02-07 1979-03-06 Garcia Nelson C Endotracheal tube holder
US4316461A (en) 1977-02-22 1982-02-23 Marais Henri J Intravenous vascular stabilizer
US4129128A (en) 1977-02-23 1978-12-12 Mcfarlane Richard H Securing device for catheter placement assembly
US4116196A (en) 1977-03-17 1978-09-26 Survival Technology, Inc. Additive adapter
US4123091A (en) 1977-11-21 1978-10-31 Renal Systems, Inc. Tube connector
USD256162S (en) 1978-04-06 1980-07-29 Xomed, Inc. Pad for anchoring an infusion needle and the tubing connected thereto to the skin of a patient
BE887056Q (fr) 1979-01-19 1981-05-04 Whitman Med Corp Monture de stabilisation pour un catheter intraveineux
US4397647A (en) 1979-01-19 1983-08-09 Whitman Medical Corporation Catheter stabilization fitting having a snap-over cover
US4250880A (en) * 1979-06-08 1981-02-17 Whitman Medical Corporation Stabilizing fitting for an intravenous catheter
US4362156A (en) 1979-04-18 1982-12-07 Riverain Corporation Intravenous infusion assembly
US4496348A (en) 1979-11-29 1985-01-29 Abbott Laboratories Venipuncture device
US4324236A (en) 1979-12-03 1982-04-13 Whitman Medical Corp. Fitting for use in performing a vascular puncture
DE2949865C2 (de) 1979-12-12 1985-04-18 B. Braun Melsungen Ag, 3508 Melsungen Schlauchverbindung für medizinische Geräte
US4326519A (en) 1980-02-21 1982-04-27 Abbott Laboratories Venipuncture device
GB2086466A (en) 1980-10-08 1982-05-12 Wallace Ltd H G Security clamp for surgical device
US4392853A (en) 1981-03-16 1983-07-12 Rudolph Muto Sterile assembly for protecting and fastening an indwelling device
US4449975A (en) 1981-11-09 1984-05-22 Perry Michael K Intravenous anchor and wound shield
US4453933A (en) 1981-11-24 1984-06-12 Speaker Mark G Intravenous device
US4480639A (en) 1982-01-18 1984-11-06 Peterson Edward D Medical tube retaining device
USD273993S (en) 1982-02-05 1984-05-22 Pudenz-Schulte Med, Research Corp. Catheter clip
US4516968A (en) 1982-09-28 1985-05-14 Marshall Charles A Catheter shield and method of use
US5344414A (en) 1983-01-24 1994-09-06 Icu Medical Inc. Medical connector
US4752292A (en) 1983-01-24 1988-06-21 Icu Medical, Inc. Medical connector
US4474559A (en) 1983-03-03 1984-10-02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Home parenteral nutrition trainer
US4585435A (en) 1984-05-31 1986-04-29 The Telescope Folding Furniture Co., Inc. Extension set for drug delivery
GB8418655D0 (en) 1984-07-21 1984-08-22 Wallace H G Prevention of needle retraction in intravascular devices
US4955864A (en) 1984-08-02 1990-09-11 Hajduch James D Tube holding clamp
US4660555A (en) 1984-09-21 1987-04-28 Payton Hugh W Oxygen delivery and administration system
US5037397A (en) 1985-05-03 1991-08-06 Medical Distributors, Inc. Universal clamp
US4633863A (en) 1985-09-27 1987-01-06 Filips Chester P Arterial anchor bandage
US4711636A (en) 1985-11-08 1987-12-08 Bierman Steven F Catheterization system
EP0245211A1 (en) 1986-03-04 1987-11-11 HOECHST ITALIA SUD S.p.A. Kidney-ureter catheter unit particularly adapated to evacuate crumbled calculi
US4838858A (en) 1986-03-11 1989-06-13 Pal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fluids
JPS62281965A (ja) 1986-05-29 1987-12-07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テルおよびカテ−テル用固定部材
US4863432A (en) 1986-09-10 1989-09-05 Critikon, Inc. Winged catheter assembly
USD302304S (en) 1986-09-10 1989-07-18 Baxter International Inc. Secondary set lock to secure a secondary intravenous set line to a primary intravenous set line
CH672363A5 (ko) 1986-09-29 1989-11-15 Contempo Products
US4742824A (en) 1986-11-19 1988-05-10 Hugh W. Payton Oxygen tube support patch
US4826486A (en) 1986-12-10 1989-05-02 Dale Medical Products, Inc. IV connector lock and stabilizer
US4997421A (en) 1986-12-10 1991-03-05 Dale Medical Products, Inc. IV connector lock and stabilizer
US4792163A (en) 1987-05-13 1988-12-20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Secondary lock for medical tube coupling
US4834716A (en) 1987-07-17 1989-05-30 Ims, Limited Protected cannula
US4795429A (en) 1987-10-28 1989-01-03 Feldstein Marvin A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the control of intravenous medication introduction
US4880412A (en) 1988-02-09 1989-11-14 Sol Weiss Tube insertion apparatus
US4934375A (en) 1988-03-04 1990-06-19 Spectramed, Inc. Flush-valve assembly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catheter
US4981469A (en) 1988-04-18 1991-01-01 Dij Catheter Corp. Septum adapter assembly and external needle adapter fitting
US4852844A (en) 1988-04-25 1989-08-01 Villaveces James W Device for aiding in preparation of intravenous therapy
US4857058A (en) 1988-07-11 1989-08-15 Payton Hugh W Support patch for intravenous catheter
US4919654A (en) 1988-08-03 1990-04-24 Kalt Medical Corporation IV clamp with membrane
DE8809933U1 (ko) 1988-08-04 1988-10-27 Fresenius Ag, 6380 Bad Homburg, De
CA2001732A1 (en) 1988-10-31 1990-04-30 Lawrence A. Lynn Intravenous line coupling device
US4898587A (en) 1988-11-15 1990-02-06 Mera Csaba L Intravenous line stabilizing device
SE8804110L (sv) 1988-11-15 1990-05-16 Viggo Ab Kopplingsanordning
US4897082A (en) 1989-03-20 1990-01-3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pparatus for providing a suture tab
US4966582A (en) 1989-06-30 1990-10-30 Sit James K Injection site platform
US5084026A (en) 1989-07-14 1992-01-28 Shapiro Robert A Intravenous apparatus holder
US5354282A (en) * 1990-05-04 1994-10-11 Bierman Steven F Catheter anchoring system
US5192273A (en) * 1989-07-24 1993-03-09 Steven F. Bierman Catheterization system
US5456671A (en) 1989-07-24 1995-10-10 Bierman; Steven F. Catheter anchoring system
US5578013A (en) * 1989-07-24 1996-11-26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anchoring system
USD323390S (en) 1989-08-08 1992-01-21 Paine Donald A Security clip for joining a feed line to a cannula
US5193273A (en) 1989-12-26 1993-03-16 Robertshaw Controls Company Method of making a set burner constuction
US4976700A (en) 1990-02-07 1990-12-11 Tollini Dennis R Medical securing tape
US5156641A (en) 1990-03-07 1992-10-20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Naso-gastric catheter anchor system
US5484425A (en) 1990-05-01 1996-01-16 Cathco, Inc. Radiopaque non-kinking thin-walled introducer sheath
US5395344A (en) 1990-06-08 1995-03-07 Genetic Laboratories Wound Care, Inc. Catheter anchoring device
AU1328292A (en) 1991-01-14 1992-08-17 Precision Dynamics Corporation Cannula guard
SE470052B (sv) 1991-01-25 1993-11-01 Lic Hygien Ab Venkateterförband
AU2167892A (en) 1991-05-03 1992-12-21 Steven F. Bierman Sideport connector for catheterization system
US5192274A (en) 1991-05-08 1993-03-09 Bierman Steven F Anchor pad for catheterization system
US5135506A (en) 1991-06-10 1992-08-04 Conmed Corporation Cannula holding device
US5147322B1 (en) 1991-11-26 1996-01-02 Tcnl Tech Inc Medical appliance securing device
FR2687916B1 (fr) 1992-02-28 1994-05-13 Michel Forster Dispositif de fixation d'un tuyau souple a un materiau transpercable, notamment d'un drain sur la peau d'un patient.
US5382239A (en) 1992-04-24 1995-01-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epositional catheter fixation device
US5380301A (en) 1992-07-10 1995-01-10 Sherwood Medical Company Catheter/hub strain relief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GB2274783B (en) 1993-02-03 1996-12-11 Graham Cameron Grant Intravenous infusion set with needle protection
CA2156724C (en) * 1993-03-19 2008-12-09 Steven F. Bierman Catheter anchoring system
US5413562A (en) * 1994-06-17 1995-05-09 Swauger; Jonathan L. Stabilizing fitting for an intravenous catheter or syringe
CA2166428A1 (en) * 1995-01-05 1996-07-06 William R. Dobkin Surgical attachment device
US5810781A (en) * 1995-10-24 1998-09-22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fitting securement device
US5690617A (en) * 1995-11-08 1997-11-25 Wright; Charles R. Adjusting catheter holding device
US6213979B1 (en) * 1997-05-29 2001-04-10 Venetec International, Inc. Medical line anchoring system
GB2353855B (en) 1999-08-23 2002-02-20 Airdri Ltd Gap scann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78A1 (ko) * 2018-05-24 2019-11-28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피하주사용 커넥터
KR20190133859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피하주사용 커넥터
KR20210039581A (ko) *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피하주사용 커넥터
KR102322577B1 (ko) * 2021-08-11 2021-11-08 엔지오텍 주식회사 의약품 직접 주입 기구
KR20230027712A (ko) *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위루관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7007B1 (ko) 2005-11-09
AU2003248201B2 (en) 2005-09-29
US6837875B1 (en) 2005-01-04
EP1475122A3 (en) 2005-03-30
DE69919532T2 (de) 2005-09-01
CA2329785C (en) 2010-02-02
EP1475122A2 (en) 2004-11-10
ATE273726T1 (de) 2004-09-15
DE69919532D1 (de) 2004-09-23
WO1999055409A1 (en) 1999-11-04
EP1075299B1 (en) 2004-08-18
EP1075299A1 (en) 2001-02-14
AU2003248201A1 (en) 2003-10-30
CA2329785A1 (en) 1999-11-04
AU3868799A (en) 1999-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1190A (ko) 카테터 고정 시스템
US5833667A (en) Catheter anchoring system
US5827230A (en) Catheter anchoring system
EP1685868B1 (en) Catheter anchoring system
US6290676B1 (en) Catheter anchoring system
US5456671A (en) Catheter anchoring system
US5947931A (en) Tube fitting anchoring system
US6786892B2 (en) Catheter anchoring system
US6827705B2 (en) Catheter anchoring system
AU2002236837B2 (en) Medical device connector fitting
US20120041378A1 (en) Catheter anchoring system
JP2008302237A (ja) カテーテル固定システム
AU2008229705B2 (en) Catheter anch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