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495A - 자동차의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495A
KR20010070495A KR1020010001464A KR20010001464A KR20010070495A KR 20010070495 A KR20010070495 A KR 20010070495A KR 1020010001464 A KR1020010001464 A KR 1020010001464A KR 20010001464 A KR20010001464 A KR 20010001464A KR 20010070495 A KR20010070495 A KR 20010070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hicle
user
central process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해
김지태
Original Assignee
김 종 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 종 해 filed Critical 김 종 해
Priority to KR102001000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0495A/ko
Priority to PCT/KR2001/000495 priority patent/WO2001073247A1/en
Priority to AU48864/01A priority patent/AU4886401A/en
Priority to GB0222472A priority patent/GB2378480B/en
Publication of KR2001007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495A/ko
Priority to US10/254,944 priority patent/US6897767B2/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by access privileges are related to the ident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anual input of alphanumerical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엔진의 시동장치를 지능화하여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데이터로 시동을 걸게 함으로서 열쇠가 없는 시동장치를 제공하며 아울러, 운전자가 납치 당하거나 자동차를 탈취 당할 시 시동장치가 이를 인식하여 자동차의 엔진과 에어백과, 경적과 깜박임과 조향장치 전원 등의 자동차에 내장된 수단을 제어하여 경보함으로서 운전자의 납치나 자동차 탈취를 포기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며, 또한 열쇠 없는 자동차에서 대리인이 벨렛 파킹 시 특정한 시간 동안만 열쇠없이 임시운행을 가능케 하는 임시 운행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Intelligent ignition control and warn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를 지능화하여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데이터로 시동을 걸게 함으로서 열쇠가 없는 시동장치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납치 당하거나 차량을 탈취 당할 시 시동장치가 이를 인식하여 자동차의 구동을 제어하며, 자동차의 경적과, 깜박임과 에어백과 조향장치 등을 제어하여 운전자의 납치나 자동차의 탈취를 포기하도록 하는 기술과 대리인의 벨렛 파킹 시 열쇠 없이 일정시간동안 대리운전을 가능케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종래의 자동차는 열쇠만 있으면 누구든지 자동차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납치 당하거나 차량을 탈취 당하더라도 이를 인식하고 자동차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경보하는 수단이 없었다.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부녀자나 기업인이 운전 중 납치되어 자동차의 트렁크에 감금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납치된 사람이 외부에 구조를 요청할 수단이 없으며, 자동차 또한 이와 같은 사태를 인식하여 엔진의 구동을 거부하는 수단이 없으므로 운전자는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RF나 IR 리모콘으로 자동차의 시동을 거는 기술이 개발된바 있으나, 이는 열쇠대신 엔진의 시동을 거는 수단일 뿐이며, 엔진구동모터의 선로를 강제로 연결할 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할 수 없으며, 벨렛(VALET)파킹 시에는 리모콘이나옅쇠를 주차원에게 맡길 수밖에 없으므로 주차원이 열쇠를 몰래 복제하여 두었다가 후에 자동차를 훔쳐갈 시에는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문으로 자동차의 문을 열고 시동을 거는 방법이 개발된 바 있으나 벨렛 파킹 시 지문을 맡길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또한, RF카드나 IC카드나 전자열쇠(이모빌라이즈)로 자동차의 문을 열고 시동을 거는 방법이 개발된바 있으나, 카드나 열쇠를 분실할 시 속수무책이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운전자가 납치 당하거나 자동차를 탈취 당하는 카잭킹(Carjacking)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엔진에 시동 거는 장치를 지능화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ID데이터를 시동제어장치에 미리 메모리 시켜두고, 자동차를 운행코자할 시 자신의 ID를 입력하여 ID데이터가 일치하면 시동버튼이나 열쇠로 시동을 걸 수 있게 제어하며, 아울러, 사용자가 강제로 자동차를 탈취 당하거나 납치 될 시에는 시동 제어장치가 사태를 인식하여 자동차의 구동을 제어하고 자동차에 설치된 경적이나 깜박임이나 에어백이나 조향 제어장치 등 자동차에 내장된 수단으로 경보함으로서 자동차의 탈취나 운전자의 납치를 포기하도록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벨렛 파킹 시 대리인이 열쇠 없이 일정한 시간동안 한시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서 벨렛 파킹 시 열쇠나 카드가 복제되는 문제점을 해소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에서 부가기능을 추가한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ID(Identification)데이터 입력수단
2 : 키패드 수단
3 : 메모리 수단
4 : 명령 데이터 입력수단
5 : 에어백 제어수단
6 : 도어 개폐 감지수단
7 : 자동차 경적 제어수단
8 : 자동차 깜박이 제어수단
9-1, 9-2, 9-3, …, 9-N : 리레이 수단
10 : 자동차 조향장치의 Power ON/OFF 제어수단
11 : 중앙처리장치
12 : 트렁크 자물쇠 제어수단
13 : IR 센서수단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 블록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서 부가기능을 추가한 실시 예시도이다. 도1에 의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ID데이터를 입력하는 ID입력수단(1)과, 사용자가 ID를 숫자나 문자로 입력하는 키패드수단(2)과, 위의 ID데이터를 기억 저장하는 메모리수단(3)과, 자동차의 트렁크내에서 사용자가 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명령데이터 입력수단(4)과, 자동차의 에어백(Airbag)의 폭발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수단(5)과, 자동차 문의 개폐여부를 인식하는 도어 개폐감지수단(6)과, 자동차의 경적을 제어하는 경적제어수단(7)과, 자동차의 전조등과 후미등의 깜박임을 제어하는 깜박이 제어수단(8)과, 자동차 엔진의 ECU등 각 전기회로의 전원을 ON/OFF하는 다수개의 리레이수단(9-1, 9-2, 9-3, …, 9-N)과, 자동차의 조향장치에서 Power를 ON/OFF하는 제어수단(10)과 자동차 트렁크의 문을 개폐하는 제어수단(12)과, 위의 각 수단을 중앙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1)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ID(Identification)를 ID입력수단(1)으로 입력하여 메모리수단(3)에 메모리 시킨다. ID를 입력하는 수단(1)은 마그네틱 카드리더나, IC카드리더나 RF카드리더나 지문인식 스캐너나, 홍채인식 스캐너나, 음성인식수단이나, 영상인식수단 등의 하나로 구성하거나 보안의 강도에 따라 위 수단의 1가지 또는 2가지 이상으로 혼합하여 2개 이상의 수단으로 ID인식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ID입력수단(1)은 운전자가 손으로 제어할 수 있는 거리에 설치하는 방법과, 운전석 도어의 외부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ID를 자동차의 외부에서 입력하고, ID의 입력으로 도어의 손잡이를 잡는 것만으로 도어를 열수 있게 하고, 운전석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ID입력장치를 복수로 하여 도어외부에 1개, 운전석에 1개를 추가 설치하여 보안의 강도를 높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컨데, 도어 외부에는 지문인식 스캐너로 ID입력수단을 구성하고 운전석에서는 운전면허증 등의 카드로 ID를 2중으로 입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사용자가 ID를 입력한 다음, 비밀번호를 키패드수단(2)으로 입력하여 메모리수단(3)에 메모리 시키며, 비밀번호는 키패드의 버튼 구성에 따라 문자나 숫자로 비밀번호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자동차의 엔진 시동을 정상적으로 제어할 「정상 비밀번호」와, 비정상적으로 제어할 「비상 비밀번호」를 함께 메모리 수단(3)에 메모리 시킨다. 사용자가 자동차를 정상적으로 운행코자할 시에는 자신의 ID데이터를 ID입력수단(1)으로 입력시키고 「정산 비밀번호」를 키패드수단(2)에 입력시키게 되면 중앙 처리장치(11)가 정상으로 인식하여 다수 개의 리레이수단(9-1, 9-2, 9-3, …, 9-N)를 정상으로 ON시켜 사용자는 시동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일 자동차를 탈취하거나 운전자를 납치하려고 하게되면 자동차의 문을 열어야 하는 것이므로 자동차의 문을 열게되면, 도어개폐 감지수단(6)이 이를 인식하여 중앙처리장치(11)에 감지한 신호데이터를 송신하게되고 중앙처리장치는 다수 개의 리레이수단(9-1, 9-2, 9-3, …, 9-N)을 제어하여 엔진을 끄게 되는 것이다.
엔진이 꺼진 상태에서 탈취자가 자동차를 운행코자 비밀번호를 입력할 시에는 사용자가 비정상적으로 제어할 「비상 비밀번호」를 알려 주게 되는 것이며 자동차를 탈취한 사람이 사용자로부터 비정상적으로 제어할 「비상 비밀번호」를 받아 입력할 시에는 중앙처리장치가 이를 인식하여 자동차의 시동이 걸리고 운행을 할 수 있으나 중앙처리장치에 프로그램 된 시간 동안만, 즉 20초로 프로그램하였다면 20초동안만 운행하다가 중앙처리장치가 자동차의 경적제어수단(7)을 제어하여 경적을 계속 울리며, 깜박이 제어수단(8)을 제어하여 계속 깜박이가 작동하게 제어하고, 동시에 트렁크 문 제어수단(12)을 제어하여 트렁크의 문이 열리게 되므로 경찰이나 사람들이 모여들게 되어 차량 탈취자나 운전자를 납치한 사람은 자동차의 탈취나 운전자의 납치를 포기토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경적이 계속 울리고 트렁크 문이 열린채 깜박이가 계속 깜박이는 상태에서도 탈취자가 자동차의 탈취나 납치를 포기하지 않을 시에는 프로그램 된 2차 제어시간 후 즉 10초로 프로그램 되었다면 10초 후 자동차의 리레이수단(9-1, 9-2,---9-N)을 제어하여 중앙처리장치가 자동차 조향장치와 엔진에 대한 Power 를 OFF시켜 자동차의 운행을 정지시킴으로서 자동차의 탈취를 포기케 하는 것이다.
만일 운전자가 납치되어 트렁크 속에 감금될 시에는 트렁크 속에 설치된 구조명령 입력수단(4)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중앙처리장치(11)가 이 신호를 인식하여자동차의 시동장치를 위에 설명한 비정상적인 「비상 비밀번호」가 입력된 것과 동일하게 간주하여 트렁크 문을 열고, 경적과 깜박이로 경보하며 자동차의 운행을 정지시키고 필요 시 에어백을 폭발시켜 탈취자를 퇴치하는 것이다.
자동차가 탈취 당하거나 운전자가 납치될 시 탈취나 납치를 포기케 하는 프로그램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이외에도 여러 가지로 프로그램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카드로 ID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정산운행용카드」와 「비상운행용카드」를 미리 입력시켜두고, 자동차가 탈취당하는 비상시에는 탈취자에게 「비상운행용카드」를 수교하여 「비상운행용카드」가 입력될 시에는 중앙처리장치가 비상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위의 「비상비밀번호」가 입력된 것과 동일하게 트렁크문을 열고, 경적과 깜박이로 1차 경보하고 자동차의 엔진과 조향장치에 대한 전기회로를 OFF시켜 자동차의 탈취를 포기케 하는 2차 제어를 하게 되는 것이며, 경보수단의 선정이나 경보수단을 가동시키는 시간이나 엔진과 조향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2차 제어시간은 임의로 프로그램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차량 탈취자가 엔진의 점화 모터를 강제로 가동시키기 위하여 전기선로를 강제로 연결한다 하더라도 중앙제어장치(11)가 자동차의 ECU회로와 디스트리부티(Distributer)회로와 점화회로 등을 제어하므로 모든 전기회로를 모두 강제 연결시키지 아니하는 한 강제로 시동을 걸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를 운전자와 함께 승차하고 있던 사람이 자동차 내에서 운전자를 협박하여 운전대를 협박자에게 넘겨줄 시에는 운전자가 운전석을 떠나야 하는 것이며 이때 운전자의 존재 사실을 인식하던 IR센서수단(13)이 운전자가 운전석을 떠나는 사실을 감지하여 이 감지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1)에 송신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11)는 리레이수단(9-1, 9-2, 9-3, …, 9-N)을 제어하여 엔진의 작동을 멈추게 되는 것이고, 탈취자가 시동을 걸고자하면 비상 비밀번호나 비정상운행용카드로 시동을 걸게되어 결국 자동차의 운행이 정지되고 에어백과 경적과 깜박이와 조향장치의 제어로 탈취자는 자동차의 탈취를 포기하게 되는 것이다.
운전자의 이석(자리를 떠나는 것) 여부를 식별하는 감지센서수단은 운전자를 향하여 IR센서를 설치하거나 혹은 운전석 의자 바닥에 무게감지 센서를 설치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는 벨렛 파킹 시 임시 운전자에게 임시로 특정한 시간동안만 자동차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등록된 ID데이터와 비밀번호를 ID입력수단(1)과 키패드수단(2)으로 입력한 다음 「임시 운행용 비밀번호 설정 버튼」을 키패드로 누른 후 임시 운행할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유효시간 데이터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게 되면 중앙처리장치(11)는 이를 인식하여 입력된 임시비밀번호의 사용을 허가 하게된다. 이때 임시 비밀번호는 입력한 시점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동안만 임시 비밀번호 만으로 별도의 ID입력이 없이 시동을 걸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임시 비밀번호는 무효가 되어 이 비밀번호로는 운행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ID입력수단(1)을 카드리더로 구성할 시에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임시 비밀번호 대신에 임시 카드를 카드리더에 그어 벨렛 파킹용으로 특정한 시간까지만 유효한 임시 카드를 발행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 임시 카드는일정한 설정시간이 지나면 무효가 되는 것이므로 이 카드를 복제한다 하더라도 효력이 없으며, 벨렛 파킹으로 인한 열쇠나 카드의 복제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에 이모빌라이저 등 시동제어 회로가 내장된 ECU를 설치한 경우에는 ECU와 중앙처리장치(11)간에 데이터를 교환하여 자동차의 엔지과 기능을 데이터로 제어하도록 프로그램하여 사용자가 정당한 ID나 비밀번호를 입력치 아니할 시에는 중앙처리장치(11)가 자동차의 운행을 근본적으로 불가능하게 ECU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2에 의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에 PCS등의 통신수단을 부가하고 GPS나 음성녹음수단이나 마이크수단이나 카메라나 인터넷을 부설할 시에는 통신수단으로 자동차의 위치를 알 수 있는 것이며 자동차 내부를 카메라로 원격 모니터 할 수도 있고 대화내용을 감청할 수도 있는 것이며, 통신수단으로 중앙처리장치(11)를 제어하여 운행중인 자동차를 정지시키거나 비정상적인 운행으로 제어하여 운행을 포기토록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뿐만 아니라 선박이나 항공기나 탱크, 미사일, 자주포차 등의 군용 무기운반 체계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지능형 시동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전기선로를 강제 접속할 경우에도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자동차를 탈취 당하거나 운전자가 납치 당할 시에 대응하는 유용한 경보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벨렛 파킹 시 한정적인 시간 동안만 제3자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허가하는 기술을 제공하여 벨렛 파킹 시에 열쇠나 카드나 복제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며 지문이나 영상인식 등의 ID입력 수단을 설치하더라도 임시 비밀번호로 벨렛 파킹 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Claims (20)

  1. 자동차의 엔진 시동제어장치에 있어서,
    (1)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 데이터를 입력하는 ID데이터 입력수단과;
    (2)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 수단과;
    (3) 위의 ID데이터와 비밀번호 데이터를 기억저장하는 메모리 수단과;
    (4) 자동차 엔진의 시동관련 전기회로를 ON / OFF하는 최소 2개 이상의 리레이 수단과;
    (5) 자동차의 전, 후미등의 깜박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6) 자동차의 경적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7) 위의 각 수단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ID데이터와 비밀번호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중앙처리장치가 자동차의 엔진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키거나 혹은 비정상적으로 가동하며 자동차의 경적과 깜박임으로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2. 청구항1에 있어서,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대한 Power를 ON/OFF하는 리레이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3. 청구항1에 있어서,
    자동차의 트렁크 문을 개폐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중앙처리장치가 경적과 깜박임 등으로 경보모드로 가동할 시 동시에 트렁크의 문을 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4. 청구항1에 있어서,
    에어백 제어수단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ID데이터와 비밀번호 데이터에 따라 중앙처리장치가 경보수단을 제어할 시 일정한 시차로 에어백을 폭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5. 청구항1에 있어서,
    자동차문의 개폐 감지수단을 부가하여 자동차 문을 열면 중앙처리수단이 이를 인식하여 자동차의 엔진을 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6. 청구항1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IR신호를 발진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운전자의 존재여부를 식별하고 운전자가 부 존재할 시 중앙처리장치가 자동차의 엔진을 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7. 청구항1에 있어서,
    운전자의 운전석 의자에 무게 감지센서수단을 부가하여 운전자의 존재여부를 무게로 식별하고 운전자가 부 존재할 시 중앙처리장치가 이를 인식하여 자동차의 엔진을 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8. 청구항1에 있어서,
    자동차의 트렁크 내에 감지스위치수단을 부가하여 트렁크에 납치된 사용자가 감지 스위치수단으로 중앙처리장치에 비상신호 데이터를 입력시켜 자동차의 운행을 정지시키고 경적과 깜박임으로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9. 청구항8에 있어서,
    경보수단으로 에어백 폭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1) 사용자가 ID 입력수단으로 ID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2) 특정한 시간동안 임시 비밀번호만으로 자동차의 시동을 걸 수 있는 임시 비밀번호를 키패드 수단으로 입력단계와;
    (3) 위 임시 비밀번호의 사용 유효시간을 키패드로 입력하는 유효시간 입력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특정한 시간동안만 운행이 가능한 임시 운행용 비밀번호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11. 청구항1에 있어서,
    (1) 사용자가 ID카드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2) 특정한 시간동안 임시 카드만으로 운행이 가능한 임시카드를 카드리더로 입력하고 확인하는 단계와;
    (3) 위 임시카드의 유효시간을 키패드수단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임시 운행용 임시카드를 발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12. 청구항1에 있어서,
    자동차의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부가하여 특정한 비밀번호가 입력될 시 중앙처리장치가 리레이수단을 제어하여 엔진의 구동을 OFF시킨 후 브레이크 제어수단으로 자동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시스템
  13. 청구항1에 있어서,
    자동차의 가속패달(악세레이터)제어수단을 부가하여 특정한 비밀버호가 입력될 시 중앙처리장치가 가속패달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자동차의 가속패달을 무력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 시스템
  14. 청구항1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와 자동차의 중앙처리장치(ECU)간에 데이터 통신수단을 부가하여 중앙처리장치가 ECU에 제어데이터를 송신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15. 청구항1에 있어서,
    이동통신수단과 GPS장치를 부가하여 중앙처리장치가 자동차의 위치를 이동통신 수단으로 외부 수신자에 송신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16. 청구항1에 있어서,
    자동차 시동버튼 대신 자동차의 기존 열쇠로 시동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17. 청구항1에 있어서,
    (1) 중앙처리장치에 ID데이터가 미리 기억시킨 마스터카드를 발행하는 단계와;
    (2) 사용자가 마스터 카드를 ID입력수단으로 입력한 후 다수 사용자의 카드와 비밀번호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3) 위와 같이 다수 사용자의 카드와 비밀번호를 입력시킨 후 이를 메모리수단에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마스터카드로 다수 사용자의 카드와 비밀번호를 발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18. 청구항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Display)수단을 부가하여, 입력하는 비밀번호와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19. 사용자의 ID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과; 사용자가 입력한 ID데이터를 기억 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중앙처리장치와,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엔진 시동장치에 있어서,
    (1) 정상운행용 ID데이터 입력수단과, 임시 운행용 ID데이터 입력수단과 비상운행용 ID데이터 입력수단을 부설하고,
    (2) 정상운행용 ID데이터 입력수단을 작동시킨 후 입력시키는 ID데이터는 정상운행용 ID데이터가 되어, 사용자가 이 ID데이터를 입력하면 엔진 시동장치를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게 되며,
    (3) 임시운행용 ID데이터 입력수단을 작동시킨 후 ID데이터와 시간데이터를 입력할 시에는 후에 이 ID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시킨 시간동안만 임시운행이 가능하도록 중앙처리장치가 제어수단을 제어하며;
    (4) 비상운행용 ID데이터 입력수단을 작동시킨 후 ID데이터를 입력할 시에는 후에 이 ID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가 프로그램 된 경보방법과 시동제어 방법으로 비정상 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데이터 설정방법
  20.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 데이터를 입력하는 ID데이터 입력수단과;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 수단과; 위의 ID데이터와 비밀번호 데이터를 기억 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자동차 엔진의 시동관련 전기회로를 ON/OFF하는 최소 2개 이상의 리레이수단과; 자동차의 전, 후미등의 깜박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자동차의 경적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위의 각 수단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ID데이터와 비밀번호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중앙처리장치가 자동차의 엔진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키거나 혹은 비정상적으로 가동하며 자동차의 경적과 깜박임으로 경보하는 자동차의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1) 사용자가 ID데이터 입력수단에 ID데이터만 입력시켜 ID데이터만으로 위 시스템을 가동시키는 방법과;
    (2) 사용자가 키패드수단으로 문자나 숫자로 된 데이터만 입력시켜 위 시스템을 가동시키는 방법과;
    (3) 사용자가 ID데이터 입력수단과 키패드 수단 모두에 데이터를 입력시켜 ID데이터와 키패드의 문자나 숫자를 모두 입력하여야만 위의 시스템을 가동시키는 방법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선택과 취향에 따라 위 3가지 방법으로 사용자의 선택과 취향에 따라 위 3가지 방법으로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을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WAY 방식의 시스템 가동방법
KR1020010001464A 2000-03-28 2001-01-10 자동차의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KR20010070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464A KR20010070495A (ko) 2001-01-10 2001-01-10 자동차의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PCT/KR2001/000495 WO2001073247A1 (en) 2000-03-28 2001-03-28 Multiway control system for keyset
AU48864/01A AU4886401A (en) 2000-03-28 2001-03-28 Multiway control system for keyset
GB0222472A GB2378480B (en) 2000-03-28 2001-03-28 Multiway control system for keyset
US10/254,944 US6897767B2 (en) 2000-03-28 2002-09-23 Multiway control system for key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464A KR20010070495A (ko) 2001-01-10 2001-01-10 자동차의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032U Division KR200200123Y1 (ko) 1999-09-07 1999-09-07 자동차의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495A true KR20010070495A (ko) 2001-07-25

Family

ID=1970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464A KR20010070495A (ko) 2000-03-28 2001-01-10 자동차의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04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475B1 (ko) * 2000-12-06 2003-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동 장치
KR20160090177A (ko) * 2015-01-21 2016-07-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운행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475B1 (ko) * 2000-12-06 2003-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동 장치
KR20160090177A (ko) * 2015-01-21 2016-07-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운행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7117B1 (en) Vehicle security device and system
US5307048A (en) Vehicle security system including an anti-carjacking system
US6140939A (en) Biometric characteristic vehicle control system having verification and reset features
US4754255A (en) User identifying vehicle control and security device
JP4214199B2 (ja) 車両のドアアンロック装置
US6703919B2 (en) Method of confirming remote keyless entry lock button status
US5850173A (en) Vehicle alarm system
CN110027509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车辆防盗监控设备及方法
US9878691B2 (en) Self-arming immobilizer system, apparatus and method
AU2015100226A4 (en) Anti-Intruder Vehicle Door Locking System
WO2001032479A1 (en) A vehicle anti-theft device
US10870411B1 (en) Using vehicle fob location to improve vehicle systems
KR20080072551A (ko) 차량용 도난방지 장치
US6323762B1 (en) Car jacking prevention system
JP2007083761A (ja)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US110462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theft prevention
JP3981025B2 (ja)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JP3885022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2005194799A (ja) 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及びインロック解除方法
KR20010070495A (ko) 자동차의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KR200200123Y1 (ko) 자동차의 지능형 시동제어 및 경보시스템
JP3835293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3521126B2 (ja) 車両用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JP2004276798A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H09132114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