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8993A - 항공기 연료의 이물질 감지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연료의 이물질 감지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8993A
KR20010068993A KR1020000001186A KR20000001186A KR20010068993A KR 20010068993 A KR20010068993 A KR 20010068993A KR 1020000001186 A KR1020000001186 A KR 1020000001186A KR 20000001186 A KR20000001186 A KR 20000001186A KR 20010068993 A KR20010068993 A KR 20010068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mpurities
discharge unit
sensor
air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태
Original Assignee
김석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태 filed Critical 김석태
Priority to KR102000000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8993A/ko
Publication of KR2001006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9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18Trunk or parts thereof
    • A61F2007/0022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의 이물질을 감지하여 경보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항공기의 연료탱크 내에 발생되는 응결수와 외부적 요인에 의해 연료 이외의 물과 같은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을 때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감지장치와 비중차이를 이용한 감지장치를 통하여 이중으로 감지하게 하고 감지장치의 자가진단기능을 통하여 감지장치의 정상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항공기의 연료에 물과 같은 이물질이 있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대비를 가능하게 하여 항공기의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항공기 연료의 이물질 감지 경보장치{a different fuel sensor in aircraft}
본 발명은 연료의 이물질을 감지하여 경보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항공기의 연료탱크 내에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응결수와 외부적 요인에 의해 연료 이외의 물과 같은 이물질이 혼입되면 엔진에 손상을 줄 뿐 아니라 정상적인 운전을 저해하고 정도에 따라서는 운전불능 상태까지 진행되어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사고사례 있음)을 가지고 있는 바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에서는 연료의 주입시나 비행하기 전에 일정량의 연료를 토출하여 연료상태를 점검확인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는데 이는 항시 시행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성으로 인해 관리가 허술해 질 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해이해진 관리의 연장선 상에서 예기치 못한 혼입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이는 대형사고로 이어지고 막대한 물적, 인적 손해로 나타나게 되는데 실제 이러한 내용이 원인이 된 사고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료에 혼합된 이물질을 감지하고 경보함으로써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여 정상적인 연료만을 사용하게 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관리상 헛점을 보완할 뿐 아니라 계기의 오동작에 대한 자체진단 기능을 부여하여 만의 하나 발생할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항공기 연료탱크 또는 연료의 공급경로상에 물과 같은 이물질이 고이도록 경사진 구조나 오목하게 구성된 최저단부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물질의 양을 다단계로 나타낼 수 있고 오동작이 없도록 물의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감지장치와 물과 연료의 비중차를 이용한 감지장치를 2중으로 구성하고 이를 신호처리하여 경보작동 및 자동배출장치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도1의 10은 본 발명의 감지장치의 몸체로 각 부분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도1의 20은 연료탱크의 최저단부에 위치하는 전극으로 물의 고임에 따라 전극 21 및 22, 23과 단계적으로 전기전도성의 차이에 의하여 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되어있는데, 21에서 23의 전극은 필요에 따라 전극의 높이와 설치 숫자를 가감할 수 있다.
또한 연료와 물의 비중이 다른 점을 이용하여 비중센서를 병행 설치하여 이중으로 감지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1의 30과 같이 물의 비중보다밀도가 작고 연료의 비중보다 밀도가 큰 물체로 부구(30)을 설치하여 연료탱크내에 물이 차면 부구가 떠오르고 이때 부구에 내장된 자석(31)이 부구의 떠오른 지점에서 반응하게 한 자력감지센서(32)를 작동하게 하여 신호처리부에 연료보다 비중이 큰 이물질의 존재를 인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2중 감지 장치를 통하여 물과 이물질을 감지하여 신호처리부에 연결된 신호전송선(11)을 따라 신호를 전달하여 항공기의 엔진시동전 점검시 드레인코크의 조작필요 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거나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이용한 배출장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의 고장이 있을 경우 물의 존재를 감지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상적으로 부구를 떠오르게 함으로써 감지기능의 정상작동여부를 자체 진단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체 일부에 부구를 뜨게하는 힘을 가해줄수 있는 자가진단용 코일(40)을 설치하고 이에 별도의 진단용 전원을 공급할 때 부구에 연결된 철편이 힘을 받아 부구가 떠오르며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여부를 확인하여 고장여부를 자체 진단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감지장치는 연료탱크에 설치하여 이륙전에 이물질을 발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으며, 연료의 공급계통에 설치하면 연료 공급시 이물질의 존재를 확인하여 이물질이 통과할 경우 연료를 공급하는 쪽과 공급받는 쪽의 장치들에 대하여 해당되는 점검을 실시하여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료 공급계통에 본 발명의 감지장치와 연동하는 배출장치를 하여 일정수준의 이물질이 누적되면 자동으로 배출하는 어댑터를 만들 수 있는데 이를 도2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댑터 장치는 입구(60)와 출구(61) 및 감지장치(50)와 배출장치(51)로 구성되고 그림의 예처럼 형성시킬 수 있다.
연료가 공급되면 입구 60으로 들어와 61로 나가게 되는데 이때 경로 상에 형성된 공간을 지나는 동안 연료보다 무거운 물과 같은 이물질이 아래로 분리되어 모이게 되고 이를 감지장치(50)가 감지하면 최저 위치에 있는 배출장치(51)가 이를 방출시키게 되며 감지장치의 최저감지 수준까지 배출된뒤 배출을 멈추게 된다.
감지장치(5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으며, 배출장치(51)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이용하고 전자식으로 개폐하여 작동되게 할 수 있다.
감지장치(50)와 배출장치(51)의 상호작용으로 어댑터를 통과하는 연료에는 최저수준(70)과 최고수준(71)이 일정히 유지되므로 출구(61)쪽으로는 순수한 연료만 나오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항공기의 연료탱크 또는 연료 공급계통에 물이 있을 경우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경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안전을 보장하는 데 유용하며, 자가 진단기능으로 안정성있는 감지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료공급계통에서 자동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부착하여 순수한 연료만을 공급하여 연료를 공급받는 기기의 작동에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용한 점이 있다.

Claims (3)

  1. 연료에 물이나 이물질이 들어 있을 경우 물의 전도성을 감지하는 전극을 통하여 감지하는 수단, 연료와의 비중이 다른 이물질을 감지하는 부구 등을 통한 비중차이 감지 수단, 및 자가진단을 위한 솔레노이드코일을 통하여 자가 진단기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연료의 이물질 감지 경보 장치
  2. 1항에 있어서의 물의 전도성을 감지하는 전극을 통하여 감지하는 수단이나 연료와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감지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제작되어진 항공기의 부품
  3. 1항에 있어서의 물의 전도성을 감지하는 전극을 통하여 감지하는 수단이나 연료와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감지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제작되어진 연료 공급경로 상의 물 등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000001186A 2000-01-11 2000-01-11 항공기 연료의 이물질 감지 경보장치 KR20010068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186A KR20010068993A (ko) 2000-01-11 2000-01-11 항공기 연료의 이물질 감지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186A KR20010068993A (ko) 2000-01-11 2000-01-11 항공기 연료의 이물질 감지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993A true KR20010068993A (ko) 2001-07-23

Family

ID=1963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186A KR20010068993A (ko) 2000-01-11 2000-01-11 항공기 연료의 이물질 감지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89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9984A (zh) * 2014-10-28 2016-05-18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飞机低燃油量告警点位置优化设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9984A (zh) * 2014-10-28 2016-05-18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飞机低燃油量告警点位置优化设计方法
CN105589984B (zh) * 2014-10-28 2019-01-25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飞机低燃油量告警点位置优化设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4404B1 (en) Filter device
KR100741001B1 (ko) 전형적으로 디젤엔진용의, 차량 연료필터 내에 축적된 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개량된 장치
US7368060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cting contaminant in a fuel system
JPS61500157A (ja) 一端が閉塞された螺着型油水分離器
CN109209707B (zh) 具有自动放水功能的燃油滤清器及自动放水方法
US20100117842A1 (en) Contaminant Detection Unit
KR920700773A (ko) 분리장착된 통내의 범람방지 오수분쇄펌프 액체레벨제어시스템
US5139653A (en) System for draining water from oil storage tanks with periodic monitoring and recirculation
US4569312A (en) Hot water tank warning system
US10406465B2 (en) Drain control device for a filter system as well as filter system with a drain control device
KR20010068993A (ko) 항공기 연료의 이물질 감지 경보장치
US3916936A (en) Redundant automatic moisture dump system
US10406464B2 (en) Drain control device for a filter system as well as filter system with a drain control device
KR100895707B1 (ko) 건설중장비용 연료탱크 수분 배출 시스템
CN218477414U (zh) 油箱排水装置及工程机械
JP6646962B2 (ja) 燃料供給装置
JP3171437B1 (ja) 液体漏洩検知センサー
KR20130092139A (ko) 급수용기용 정수기
CN112243388B (zh) 用于在一定坡度上检测的带腔燃料包水传感器
JP2010181040A (ja) 水検知付きオイルストレーナー
EP1334071B1 (en) A plant and a method for purifying water and a device for detecting organic compounds
KR20020027752A (ko) 연료탱크의 물배출장치
KR20010061167A (ko) 차량의 연료탱크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어방법
JPH10272383A (ja) 分離板型遠心分離機用漏洩検知器
KR200184156Y1 (ko) 반도체 포토레지스트 코팅장비의 드레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