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8346A - 전자 상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상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8346A
KR20010068346A KR1020000000234A KR20000000234A KR20010068346A KR 20010068346 A KR20010068346 A KR 20010068346A KR 1020000000234 A KR1020000000234 A KR 1020000000234A KR 20000000234 A KR20000000234 A KR 20000000234A KR 20010068346 A KR20010068346 A KR 20010068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list
menu
displaying
commerce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일
Original Assignee
김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일 filed Critical 김동일
Priority to KR1020000000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8346A/ko
Publication of KR20010068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346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 상거래 방법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쇼핑몰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메인 주소 또는 URL들을 마련하고,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도메인 주소 또는 URL들중의 어느 하나를 접속하였을 때, 접속된 도메인 주소 또는 URL에 포함된 상품명에 상응하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한다. 또한, 분류별 검색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쇼핑 몰의 홈페이지를 표시하고, 이러한 분류별 검색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었을 때, 제2 프레임에 당해 분류의 일람 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쇼핑몰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메인 주소를 마련하고, 대표 도메인 주소를 선정하여 그 하위 주소(또는 서브디렉토리)에 상품명이 부여되는 복수의 URL들을 마련하며 상기 URL중 어느 하나의 URL로 사용자가 접속하였을 때, 접속된 URL에 포함되는 상품명에 상응하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람 테이블식 메뉴는 해당 상품 매장에 접속이 단 1회의 클릭만으로도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쇼핑몰을 형성하는 복수의 도메인 주소 또는 URL들을 마련하고, 사용자가 상기 도메인 주소 또는 URL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할 때 접속된 도메인 주소 또는 URL에 포함되는 상품명에 상응하는 상품 매장이 홈페이지로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 매장 또는 입점 업체별 쇼룸에 액세스하는데 소요되는 클릭수와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전자 상거래 방법{Electronic Commerce Method}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상거래는 상품의 판매가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매자는 웹사이트 상에서 상품의 형상과 판매 가격을 제시하고 구매자는 이를 클릭하고 소정 결제 절차를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구매자는 해당 상품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사이트의 주소를 일일이 기억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 만일 구매자가 찾고자 하는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사이트 주소(도메인 주소 또는 URL, 예를 들어 buy.seoul.kr)를 기억하고 있지 못하는 경우에는, 각종 검색 사이트를 방문하여 검색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명만을 기억하면 손쉽게 해당 상품의 매장에 액세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곳이 전체 전자상거래 매장의 일부이기 때문에 타사의 전자상거래 매장으로 접속해 나갈 필요 없이 동일한 전자상거래 매장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일체의 상품들도 구입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상품 매장 또는 쇼룸 매장에 액세스하는데 소요되는 클릭수와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전자 상거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직접 상품 매장 표시 방식과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계층 구조 방식의 전자 상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직접 상품 매장 표시 방식(즉, 일람 테이블식 메뉴 표시)에 관련된 전자 상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해당 상품매장으로 직접 연결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대표 도메인 주소인 예를 들어 buy.seoul.kr 을 입력하였을 때 메인 홈페이지로서 표시될 수 있는 화면(상품 광고, 공지 사항, 추천 상품 등으로 구성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품명.seoul.kr을 입력하였을 때 홈페이지로서 표시될 수 있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일람 테이블식 메뉴에서 단1회의 클릭으로 상품 매장에 액세스한 경우에 상품 매장으로서 표시되는 화면의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일람테이블 식 메뉴상의 어느 하나의 상품명상의 입점/공급 링크를 클릭한 경우에 표시되는 공급업체별 매장 (이하 쇼룸 매장이라 함)목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공급업체별 쇼룸 매장 목록 중에서 한 공급업체(예;삼성 전자)의 '상품 목록'부분을 클릭할 경우에 표시되는 해당 공급업체의 쇼룸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쇼핑몰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메인 주소들을 마련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도메인 주소들중의 어느 하나를 접속하였을 때, 접속된 도메인 주소에 포함된 상품명에 상응하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일람 테이블식 메뉴에서 상기 접속된 도메인 주소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명에 상응하는 부분이 강조되어 표시되고 그 상품명 또는 그 아래 구체적인 사양이나 구체상품을 1회 클릭함으로서 구체상품들의 형상 및 가격이 수록되어 있는 상품매장 파일이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또한, 상기 일람 테이블식 메뉴에 포함된 해당 상품이 한 종류(또는)인 경우, 상기 일람 테이블식 메뉴가 나타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추가 클릭없이 구체상품들의 형상 및 가격이 수록되어 있는 상품매장 파일이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일람 테이블식 메뉴에는 구체 상품을 공급하는 입점업체들의 목록에 대한 링크인 입점/공급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점/공급 링크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상기 입점업체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점업체들의 목록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입점업체의 쇼룸 매장을 표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일람 테이블식 메뉴란, 다양한 개별 상품들의 매장(또는 각 개별 상품들을 공급하는 입점업체의 쇼룸 매장)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한눈에 볼 수 있는 테이블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일람 테이블식 메뉴는 상기 접속된 도메인 주소 또는 URL(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Uniform Resource Locator))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명에 상응하는 부분이 미리 지정된 배경색으로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메인 주소는 통상 도메인 네임으로 불리는 서브디렉토리가 없는 네트워크상의 주소(예를 들어, buy.seoul.kr)를 의미하며, URL은 도메인 주소뿐만 아니라 도메인 주소와 서브디렉토리가 결합된 주소를 포함하는(예를 들어, buy.seoul.kr/printer 또는 buy.seoul.kr의 양자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테이블은 상기 선택된 상품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체 상품과, 상기 구체 상품의 형상 및 판매 가격이 수록되어 있는 상품 매장 파일에 대한상품 리스트 링크(또는 상품 매장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일람테이블식 메뉴에 포함된 상기 상품에 소속되는 구체상품이 한종류밖에 없을 경우 상기 일람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추가 클릭(또는 선택)할 필요없이 그 안에 포함되는 구체 상품의 형상 및 가격이 수록되어 있는 상품 매장 파일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모든 상품들을 효과적으로 분류하고 검색하는데 있어 통상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의 계층식의 구조를 사용한다. 점으로써 여러 단계로 구분되어 있는 도메인 주소의 제일 왼쪽 부분 또는 URL 중 서브디렉토리에 상품명을 입력하여 접속할 때는 상품의 매장파일로 직접 연결되거나 그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상에서 그 상품이 표시되며 그 상품이 있는 부분의 배경색이 변하거나 글자 모양(예를 들어, 글자 크기, 글자 색상, 글자 속성 등) 변하도록 하거나 테이블 내의 해당 부분의 테두리의 모양을 변경하는 것과 같이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고객이 목표하는 곳으로 무사히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25인치 TV를 전자상거래를 통해서 구매할 경우를 생각해 보자. 고객은 도메인 주소의 일부로서 TV(텔레비젼)를 입력할 수도 있고 보다 상위 개념인 VIDEO(영상제품)를 입력할 경우도 있고, 나아가 그보다 더 상위 개념인 ELECTRONICS(전자제품)를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TV(구체적으로 TV.SEOUL.KR)를 입력하여 접속할 경우 TV와 TV아래 개념인 각종 사양(예; 17인치, 25인치)에 해당하는 부분이 강조되어 나타나고, VIDEO를 입력하여 접속할 경우 TV뿐 아니라 VTR, 캠코드 등 모든 VIDEO 상품 부분이 강조되어 나타나고 ELECTRONICS를 입력하여 접속할 경우 VIDEO제품품뿐 아니라 AUDIO상품, 컴퓨터, 통신제품, 생활가전 등의 모든 전자제품들이 한꺼번에 나타난다. 그러나 ELECTRONICS로 접속해 올 경우 ELECTRONICS전체를 가리키기 때문에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들을 강조할 필요가 없다(여기서, ELECTRONICS는 전자제품으로서 대분류 개념이라고 상정한 것이며, VIDEO 및 ELECTRONICS도 본 발명의 상품명에 해당함).
상기 일람 테이블식 메뉴는 구체 상품의 공급 업체 목록 파일 링크(입점/공급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점/공급 링크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해당 구체 상품뿐 아니라 해당 업체에서 공급할 수 있는 상품일체의 형상 및 판매 가격이 표시되어 있는 쇼룸 매장들의 목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분류별 검색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쇼핑 몰의 홈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분류별 검색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었을 때, 제2 프레임에 당해 분류의 일람 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일람 테이블식 메뉴는 하위 카테고리들의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하위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클릭하거나 마우스 포인터가 지나가면 상기 하위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하위 일람 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쇼핑몰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메인 주소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도메인 주소 중 대표 도메인 주소을 선정하여 그 하위 주소 또는 서브디렉토리에 상품명이 부여되는 복수의 URL들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URL중 어느 하나로 사용자가 접속하였을 때, 접속된 URL에 포함되는 상품명에 상응하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쇼핑몰을 형성하는 복수의 도메인 주소를 마련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도메인 주소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할 때 접속된 도메인 주소에 포함되는 상품명에 상응하는 상품 매장이 홈페이지로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이 제공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직접 상품 매장 표시 방식과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계층 구조 방식의 전자 상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대표 도메인 주소(예를 들어, buy.seoul.kr 사이트)을 방문하면, 단계 101에서 홈페이지 및 대분류 카테고리별 메뉴를 표시한다. 대분류 카테고리는, 도 4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도면에는 분류별 검색이라 표시되어 있음), 예를 들어, 의류, 패션 잡화, 화장품/향수...과 같은 항목들을 포함한다.
이어서 단계 102에서 중분류 카테고리별 메뉴를 표시하고 그런 다음 단계 103에서 소분류 카테고리별 분류를 표시한다. 소분류 카테고리별 분류에서 구체 상품을 구매자가 클릭하면 비로소 원하는 상품 매장 파일이 열리게 된다(단계 104).도 1에서, 계층 구조의 각 단계는 인터넷 쇼핑 몰을 운영하는 운영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을 어떻게 분류하느냐에 따라 늘어날 수도 있고 줄어들 수도 있다. 상품 매장 파일이 열리면 구매자는 일반적인 전자 상거래 방법에 따라 상품을 선택하고 대금을 지불함으로써 상거래가 이루어지게 된다(단계 105).
도 2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직접 상품 매장 표시 방식에 관련된 전자 상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쇼핑몰을 운영하고자 하는 자는 복수의 도메인 주소(또는 도메인 네임)을 마련한다. 여기서, 도메인 주소은 적어도 각각 점으로 구별되는 다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좌측 단계는 상품명으로 구성되고, 그 이후 단계들은 동일한 명칭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tv.seoul.kr; cd.seoul.kr; clothes.seoul.kr; printer.seoul.kr; telephone.seoul.kr; refrigerator.seoul.kr; perfume.seoul.kr 등과 같이, 가장 좌측 단계는 상품명(즉, tv, cd, clothes, printer, telephone, refrigerator, perfume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나머지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3단계로 구성하는 다른 예를 들면, television.ne.kr; clothes.ne.kr; printer.ne.kr 등으로 하거나, television.abc.com; clothes.abc.com; printer.abc.com 등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4단계로 구성하는 경우, tv.yahoo.co.kr; cd.yahoo.co.kr; clothes.yahoo.co.kr; printer.yahoo.co.kr; telephone.yahoo.co.kr; refrigerator.yahoo.co.kr; perfume.yahoo.co.kr 등으로 하거나, tv.abc.ne.kr; cd.abc.ne.kr; clothes.abc.ne.kr; printer.abc.ne.kr; telephone.abc.ne.kr;refrigerator.abc.ne.kr; perfume.abc.ne.kr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쇼핑몰 운영자가 복수의 도메인 주소를 마련한 다음, 단계 201에서 구매자가 상품명(즉, printer, tv 등).seoul.kr과 같이 상품명에 관련된 주소를 입력한다. 구매자가 입력한 도메인 주소가 조회되어(단계 202), 해당 도메인 주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20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203으로 진행하여 에러 메시지가 출력된 다음 단계 201로 리턴한다. 구매자가 입력한 도메인 주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204에서 당해 상품을 포함하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당해상품의 홈페이지에 해당함)가 나타나고 사용자는 단 1회의 클릭으로 원하는 상품매장에 도달하게 되어 소요되는 클릭수와 시간이 단축된다. 즉,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바로 상품 매장 파일을 열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일람 테이블식 메뉴는, 예를 들어, 도 5a 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인 인터넷상거래에서는 원하는 상품매장에 이를 때 까지 대분류 카테고리 -> 중분류 카테고리 -> 소분류 카테고리를 거쳐서 구체상품에 이르는 계층구조방식의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각 단계의 카테고리는 10개 안팎의 작은 규모의 메뉴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분류 카테고리는 각각 별도로 구분해 놓았으나 그 각각 대분류 카테고리와 그 아래 속해있는 중분류 카테고리, 소분류 카테고리 및 최종 상품에 이를 때까지의 모든 단계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테이블식 메뉴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일람 테이블식 메뉴라 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람 테이블식 메뉴는 대분류 카테고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하위 분류 카테고리(예를 들어, 중분류 카테고리, 소분류 카테고리)에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분류에 속하는 구체 상품이 지나치게 많아서 구매자가 한눈에 파악하는 것이 오히려 불편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대분류는 단지 목록만 개재하고, 그 하위분류(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분류) 카테고리에 속하는 구체 상품들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일람 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보다 더 하위 분류에 대해서도 또한 같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장 좌측단계에 상품명이 포함된 도메인 주소로 접속해 오거나 대표 도메인 주소와 상품명인 서브디렉토리로 구성된 URL에 접속해 오면 일람 테이블식 메뉴 중에서 해당 상품이 있는 부분의 배경색을 달리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 일람 테이블식 메뉴 중에서 해당 상품이 있는 부분의 글자 모양(즉, 글자의 크기, 색상, 속성 등)를 변하게 하거나, 테두리 모양을 달리하거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구매자로 하여금 해당 상품이 있는 곳으로 성공적으로 연결되었음을 확인시켜주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a에서 바지(PANTS) 부분을 연두색으로 하이라이트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일람 테이블 식 메뉴에는 상품 리스트 링크(즉 상품 매장 링크)가 표시되어 있다. 도 5b에서 나란히 늘어서 있는 2개의 링크 표시 단추중 좌측 단추는 상품 리스트 링크를 나타내고 우측 단추는 입점 업체 리스트 링크를 나타낸다. '상품 리스트' 는 예를 들어 도 6에 표시된 것과 같은 상품 매장 파일에 대한 링크이다. 상품 매장 파일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업체(즉, 입점업체)들의 당해 상품에 대한 구체 상품들의 형상 및 가격이 표시되고 곧 바로 비교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b에 표시된 일람 테이블식 메뉴에서 영상제품 칼라 TV 중에서 25∼27인치 항목의 상품 리스트 링크를 나타내는 왼쪽 단추를 클릭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업체(삼성전자 ,LG전자 등)들의 해당되는 상품들의 형상 및 판매 가격 등이 표시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일람테이블 식 메뉴에는 입점/공급 링크 또는 입점 업체 리스트 링크(즉, 입점 업체별 쇼룸 목록 링크)도 또한 표시되어 있다. 입점/공급 링크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상품(즉, TV25∼27인치)을 당해 매장에 올려 놓은 입점업체들의 목록이 나타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상에서 다시 '상품 목록' 링크(입점업체별 쇼룸) 버튼을 클릭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입점 업체(예; 삼성전자)가 당해 쇼핑몰에서 공급할 수 있는 상품 일체의 형상과 판매 가격에 대한 화면이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입점/공급 업체의 일체의 상품 대신에 해당 입점/공급 업체의 상품중에서 당해 상품에 상응하는 분류에 속하는 모든 상품들의 형상 및 판매 가격이 화면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삼성 전자가 공급하는 상품 중에서 '전자 제품'만을 표시할 수도 있고, 삼성 전자가 공급하는 상품 중에서 '텔레비젼'만이 표시될 수도 있고, 삼성 전자가 공급하는 상품 중에서 25-27인치 텔레비전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입점/공급 업체의 상품중 어느 범위에 속하는 상품들을 표시하느냐는, 화면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상품 수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0인치 모니터 상에서 표시하기에 적절한 상품수를 대략 10-100개 정도라고 하면,표시하고자 하는 분류의 상품수가 대략 이 범위에 속할 때, 당해 분류에 속하는 모든 상품의 형상과 판매가격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삼성 전자가 공급하는 전자 제품의 상품의 종류가 500가지이고, TV가 20가지이고, 25-27인치 텔레비전이 3가지인 경우, 당해 삼성 전자의 쇼룸은 삼성 전자가 공급하는 모든 TV 상품의 형상과 판매가격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고객)가 한 종류밖에 없는 상품(예:이 테이블식 메뉴에서는 '팩시밀리'에 해당)에 해당하는 도메인 주소(즉 fax.seoul.kr)로 접속해 올 경우, 일람 테이블식 메뉴상에서 그 상품(팩시밀리)을 클릭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품 매장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의 각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며, 단계 304만이 다르다. 여기서는 동일한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304를 참조하면, 도 2에서와는 달리, 테이블식 메뉴가 표시되는 대신에 상품 매장 파일이 당해 도메인의 홈 페이지로서 곧 바로 열리게 된다. 이는 구매자가 상품 매장에 액세스 하는 시간을 더욱 줄이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fax.seoul.kr에 접속한 경우, 당해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모든 fax 상품들의 형상과 가격을 표시하는 상품 매장이 열리도록 한다. 이 경우, 홈페이지로서 열리는 상품 매장에는 대표 도메인 주소의 홈페이지와 연결될 수 있는 링크를 포함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buy.seoul.kr과 같은 대표 도메인 주소에 접속하였을 때 홈페이지로서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류별 검색'(즉, 계층구조적 엑세스 방식)의 바로 아래에 열거되어 있는 대분류 카테고리상의 항목을 시작점으로 해서 단계적으로 클릭해 내려감으로서 사용자는 원하는 상품 매장에 접속할 수 있다. 도 4의 우측 프레임에는 광고상품이나 특판 상품들에 대한 가격 및 형상이 표시되어 있고 공지사항도 있을 수 있다.
또 그 아래에는 쇼핑몰 내에서의 상품 검색을 지원하는 검색 상자가 표시되어 있다.
이외에 상단 프레임에 표시되어 있는 이용 안내, 회원 가입, 회원 정보 수정, 장바구니 보기, 가계부, 고객 지원, 자유 게시판 등은 공지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분류별 검색에서 각 카테고리가 표시된 화면 위를 마우스 포인터가 지나갈 때, 자동으로 당해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일람 테이블식 POP-UP메뉴 또는 PULL-DOWN 메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표 도메인 주소(예를 들어, buy.seoul.kr)을 통해 사용자가 쇼핑 몰에 접속한 경우뿐만이 아니라 하나의 쇼핑몰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메인 주소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쇼핑 몰에 접속한 경우에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고, 이어서 사용자가 대분류 카테고리(도 4에 도시된 화면상에서 '분류별 검색'이라 표시된 부분) 중 어느 하나를 클릭(즉, 선택)하였을 때 비로소 해당 분류의 일람 테이블식 메뉴가 나타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쇼핑몰을 형성하는 복수의 도메인 주소들에 대하여,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제한을 둘 필요가 없다. 사용자가 하나의 쇼핑몰을 형성하는 복수의 도메인 주소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쇼핑 몰의 메인 홈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이어서 사용자가 대분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였을 때 비로소 해당 분류의 일람 테이블식 메뉴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일람 테이블식 메뉴에서 개별 상품 매장 또는 입점/공급 업체의 쇼룸 매장으로의 링크 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람 테이블식 메뉴가 지나치게 크거나 복잡할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뉴를 카테고리별로 쪼개어 여러개의 일람 테이블식 메뉴들로 분리하여, 가장 적절한 상품 수를 가진 카테고리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개 상품명을 모두 나열하는 대신에 일람 테이블식 메뉴 내에 보다 하위 카테고리명들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그리하여, 일람 테이블식 메뉴 내에 포함된 하위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 위를 마우스 포인터가 지나갈 때, 하위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하위 일람 테이블식 메뉴 또는 하위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상품들의 목록(팝업 방식 또는 풀 다운 방식의 메뉴 등)이 표시되도록 하는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품들의 목록은,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상품들의 매장들에 대한 링크 및 각 상품들을 공급하는 입점/공급 업체의 쇼룸 매장에 대한 링크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상을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어느 하나에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하고, 또 다른 프레임에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클릭한 부분에 상응하는 하위 카테고리의 일람 테이블식 메뉴 또는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들의 목록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도메인명으로 하나의 쇼핑몰을 구성하면서도 쇼핑몰의 홈페이지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람 테이블식 메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메인명은 하나이지만 하위 주소(또는 서브디렉토리)에 상품명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hopping.com/printer, shopping.com/television, ... 또는 buy.seoul.kr/printer, buy.seoul.kr/television, buy.seoul.kr/video, ...과 같이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URL들을 마련하고, 이러한 URL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가 쇼핑 몰에 접속하면, 당해 상품에 상응하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당해 상품에 상응하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절한 상품 수를 포함하는 카테고리의 일람 테이블식 메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도메인 주소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쇼핑몰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television.seoul.kr, printer.ne.kr, skirt.co.kr를 각각buy.seoul.kr/television, buy.seoul.kr/printer, buy.seoul.kr/skirt에 연결되도록 하여, 해당 상품 또는 해당 상품이 속하는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television.seoul.kr, printer.ne.kr, skirt.co.kr 등과 같이 일정한 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이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쇼핑몰에 접속하면, 당해 도메인 주소에 포함된 상품명에 상응하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일람 테이블식 메뉴가 표시된 프레임과 다른 프레임에는 대표 도메인 주소의 홈 페이지에 대한 링크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은 복수개, 예를 들어 대략 100-500개 정도(URL에 대한 제한이 없는 경우에는 보다 많은 수를 하는 것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바람직함. 그러나, 단지 2-3개 정도로도 첨부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을 이용할 수 있음을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의 서로 다른 URL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또는 구매자)가 원하는 특정 상품 매장으로 단시간내에 직접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많은 URL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결국 한 개의 전자 쇼핑몰에 링크되어 있으므로 그 결과, 옷을 사러 옷매장(clothes.seoul.kr 또는ot.seoul.kr)에 접속해 온 고객이 옷을 구입한 후 타 쇼핑몰로 나갈 필요 없이 같은 쇼핑몰 내에서 TV매장(전자제품 카테고리)이나 음반매장(CD/DVD 카테고리)들러 TV 나 음악 CD를 구입할 수 있다. 즉 고객은 위 100-500개의 상품명 중에 한 개의 상품명에 해당하는 URL(예; scarf.seoul.kr, shop.com/scarf, scarf.shop.com, 또는 scarf.shop.co.kr)만 알아도 그 곳을 통해서 하나의 쇼핑몰에 접속하여 원하는 모든 물건들을 한자리에서 구입할 수 있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요컨대 고객이 전자 상거래 회사(또는 쇼핑몰)의 URL 잘 모르더라도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명만으로 당해 상품을 파는 매장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고 또한 아무 상품명이라도 한가지만 알면 그 상품명을 URL의 최하위 단계로 하여 쇼핑몰로 쉽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명으로 된 URL로 접속할 경우 해당상품이 있는 매장에 이르기까지의 클릭 횟수는 다른 기존 쇼핑몰에서는 3-4회인 것에 비해 본 전자상거래 방법에서는 대략 0-1회 만으로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쇼핑몰을 구성하는 복수의 URL들을 마련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URL들중의 어느 하나를 접속하였을 때, 접속된 URL에 포함된 상품명에 상응하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람 테이블식 메뉴에서 상기 접속된 URL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명에 상응하는 부분이 강조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람 테이블식 메뉴에 포함된 해당 상품이 한 종류인 경우, 상기 일람 테이블식 메뉴가 나타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추가 클릭없이 구체상품들의 형상 및 가격이 수록되어 있는 상품매장 파일이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일람 테이블식 메뉴에는 구체 상품을 공급하는 입점업체들의 목록에 대한 링크인 입점/공급 링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점/공급 링크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상기 입점업체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점 업체들의 목록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입점 업체의 쇼룸 매장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6. 분류별 검색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쇼핑 몰의 홈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분류별 검색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었을 때, 제2 프레임에 당해 분류의 일람 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람 테이블식 메뉴는 하위 카테고리들의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하위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 위를 마우스 포인터가 지나가면 상기 하위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하위 일람 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8.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쇼핑몰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URL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URL중 대표 URL을 선정하여 그 하위 주소에 상품명이 부여되는 복수의 주소들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주소 중 어느 하나의 주소로 사용자가 접속하였을 때, 접속된 주소에 포함되는 상품명에 상응하는 일람 테이블식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9.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쇼핑몰을 형성하는 복수의 URL을 마련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URL중 어느 하나에 접속할 때 접속된 URL에 포함되는 상품명에 상응하는 상품 매장이 홈페이지로서 표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KR1020000000234A 2000-01-04 2000-01-04 전자 상거래 방법 KR20010068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234A KR20010068346A (ko) 2000-01-04 2000-01-04 전자 상거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234A KR20010068346A (ko) 2000-01-04 2000-01-04 전자 상거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346A true KR20010068346A (ko) 2001-07-23

Family

ID=1963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234A KR20010068346A (ko) 2000-01-04 2000-01-04 전자 상거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83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533A (ko) * 2000-02-03 2001-08-20 유복림 가변형 포탈 사이트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010105855A (ko) * 2000-05-19 2001-11-29 김종훈 인터넷 종합쇼핑몰의 운영을 위한 전문쇼핑몰 집단의도메인 명명 방법
KR20210112221A (ko) * 2020-03-04 2021-09-14 홍자민 5 클릭 이하의 최단거리 온라인 구매 동선을 제공하는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533A (ko) * 2000-02-03 2001-08-20 유복림 가변형 포탈 사이트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010105855A (ko) * 2000-05-19 2001-11-29 김종훈 인터넷 종합쇼핑몰의 운영을 위한 전문쇼핑몰 집단의도메인 명명 방법
KR20210112221A (ko) * 2020-03-04 2021-09-14 홍자민 5 클릭 이하의 최단거리 온라인 구매 동선을 제공하는 장치
KR20210112222A (ko) * 2020-03-04 2021-09-14 홍자민 드래그 또는 터치 기술 적용을 통한 장바구니 간편 담기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8307B1 (en) User interface for internet application
US8938478B2 (en) Dynamic presentation of web content
WO2001093074A9 (en) Product feature and relation comparison system
KR20070105252A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JP2002032335A (ja) 画面表示方法および画面表示システム
US6658424B1 (en) Method for the database-supported selection of products for electronic-commerce applications on the internet
KR20010026474A (ko) 온라인 쇼핑몰 운용 방법
JPH10105829A (ja) インターネット上の電子モールシステムにおける商品情報表示方法
JP2002092020A (ja) 色検索による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KR20010068346A (ko) 전자 상거래 방법
EP1072009A1 (en) System for providing a display of merchandise as specified by retail and wholesale merchandise providers
KR100720565B1 (ko) 쇼핑몰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이 시스템의구축을 위한 운영 방법
KR20010058456A (ko) 전자 상거래 방법
JP7395696B1 (ja) 検索結果ページ送信装置、検索結果ページ送信方法、及び検索結果ページ送信プログラム
JP7382477B1 (ja) 商品ページ送信装置、商品ページ送信方法、及び商品ページ送信プログラム
JP2001357036A (ja) サーチエンジン(検索エンジン)システムとそのシステムの商品検索方法
TWI837070B (zh) 商品頁面送訊裝置、商品頁面送訊方法、及商品頁面送訊程式
KR20010048944A (ko) 인터넷 전자상거래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상점 자체카테고리 관리 방법
JP732011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10114004A (ko)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성방법
KR20010078839A (ko) 사용자의 자국어에 의한 전 세계 인터넷(Internet) 상품비교 검색 구매 시스템.
KR20020007584A (ko)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인터넷 쇼핑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2203150A (ja) 商品情報の提供方法
KR20000054368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사이버카드 관리시스템 및 그실행방법
JP2003036380A (ja) コンピュータを使用した商品購入方法および商品登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