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8209A -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8209A
KR20010068209A KR1020000039441A KR20000039441A KR20010068209A KR 20010068209 A KR20010068209 A KR 20010068209A KR 1020000039441 A KR1020000039441 A KR 1020000039441A KR 20000039441 A KR20000039441 A KR 20000039441A KR 20010068209 A KR20010068209 A KR 20010068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payment
account
buy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075B1 (ko
Inventor
양재춘
Original Assignee
조두현
넥스비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두현, 넥스비텍(주) filed Critical 조두현
Priority to KR1020000039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075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075B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상의 거래서버로부터 입력받은 다수의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거래정보 데이타와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업체별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구매자의 계좌로부터 구매자금을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받고, 판매자의 계좌로 이와 동행인 제 2 결제계좌로부터 판매대금이 이체되도록하므로써 은행입출금에 대한 수수료를 줄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간에 거래하는 멀티오더셀(Muti-order-sell)을 지원하므로써 동시에 다수의 거래처에 대해 단 한번의 신청으로 모든 결제를 저렴한 수수료로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 {Electronic payment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업간의 전자상거래를 위한 인프라로서의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금융결제시스템에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공개공보 제 2000-012298(2000.03.06) 호에 게재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이 기술은 '금융 포털 서버 및 그를 포함하는 금융 포털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금융 온-라인 거래에 사용되는 자동화 단말기의 연결망을 금융기관 공동의 통신망을 통해 구축하고, 각 금융기관의 호스트 컴퓨터를 바탕으로 상기 자동화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함으로써, 각 금융기관마다에 독립적으로 자체 상품 및 거래규칙에 따른 금융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 다수의 금융기관 및/또는 제휴기관과 통신 가능한 공동의 통신망을 구축하고, 상기 다수의 금융기관 및/또는 제휴기관 중의 어느 하나와의 금융 거래를 위해 선택 입력되는 이용자정보를 상기 공동의 통신망을 통해 해당 금융기관 및/또는 제휴기관의 호스트 컴퓨터를 통해 검증 및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에 따라 해당 금융기관 및/또는 제휴기관의 금융 상품 및 수수료 부과체계에 맞게 각각의 금융기관마다에 독립적인 자체 거래를 지원하도록 자동화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웹 쇼핑몰(Web shopping mall) 또는 가상전자시장(e-market place) 등에서는 자체적으로 금융결제시스템이 부재하였기 때문에 은행 공동의 통신망 이용이 불가피 했고, 공동의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금융기관에 접속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게한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해당 금융기관에서 제시하는 수수료 부과체계에 따라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고, 또한 보안을 위해 전용망을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거래 주체인 기업으로부터 은행으로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개인의 신용정보나 거래 정보가 누출되는 위험이 높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인터넷상의 거래서버로부터 입력받은 다수의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거래정보 데이타와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업체별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구매자의 계좌로부터 구매자금을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받고, 판매자의 계좌로 이와 동행인 제 2 결제계좌로부터 판매대금이 이체되도록하므로써 은행입출금에 대한 수수료를 최소로 할 수 있어 가상전자시장(e-marketplace) 운영자 입장에서 편리하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자결제 인프라(Infra)로서의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간의 거래를 단 한번의 신청으로 최소의 수수료만을 부담하면서 모든 결제를 한꺼번에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시스템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 방법의 제 1 실시도
도 4 는 본 발명 방법의 제 2 실시도
도 5 는 본 발명 중 배송처리의 제 1 실시도
도 6 은 본 발명 중 배송처리의 제 2 실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거래서버 20 :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21 : 제 1 통신 입출력수단 22 : 메모리수단
22a : 제 1 메모리 수단 22b : 제 2 메모리 수단
23 : 인증수단 24 : 제어수단
25 : 제 2 통신입출력수단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로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다수의 구매자및 판매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컴퓨터(60,70)를 통해 접속하여 서비스 받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래서버(10)와, 상기 거래서버(10)로 부터 거래정보 데이타를 수신하고, 거래처리 내용을 송신하는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20)과, 상기 금융결제 시스템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계좌 입출금을 시행하는 다수의 은행 또는 해외은행(30a, 30b, 30c)과, 은행간의 온라인 처리를 위한 CD공동망, 타행환망 및 국제거래를 위한 SWIFT 망을 구비한 금융결제원(40)과, 다수의 위탁배송업체(5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본 발명 시스템을 연결하는 통신라인은 보안을 고려하여 하드웨어적으로 보안화된 전용망 또는 전용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시스템은 판매자 아이디, 구매자 아이디, 거래 금액, 거래 종류를 포함하는 최소의 거래 정보 데이타를 주고 받는다.
이에 의해 불필요하게 많은 정보, 예를 들어 거래 당사자의 계좌번호와 같은 정보들이 네트워크상에서 유통되지 않아도 되어 보안상의 잇점을 가진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시스템 블럭도로서, 상기 도 1 에 도시한 전체구성 중 본 발명 시스템인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20)은 거래서버(10)로부터 최소의 거래정보 데이타를 수신하고, 거래완료 후 상기 거래서버(10)로 거래처리 내역을 출력하는 제 1 통신 입출력수단(21)과; 회사명, 사용자명 및 패스워드(Password), 주거래 은행 및 거래계좌를 포함하는 각 회원 업체별 등록정보를 데이타베이스(Database)화하여 저장하는 메모리수단(22)과; 상기 메모리수단(22)에 저장된 각 회원 업체별 등록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액세스(Access)하여 상기 제 1 통신 입출력수단(21)에 의해 입력받은 거래정보에 포함된 회사정보와 비교하므로써 유효한 사용자인지 판별하는 인증수단(23)과; 상기 제 1 통신 입출력수단(21)에 의해 입력된 거래정보 데이타와 상기 메모리수단(22)에 저장된 업체별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구매자의 계좌로부터 구매자금을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받고, 판매자의 계좌로 이와 동행인 제 2 결제계좌로부터 판매대금이 이체되도록하는 구매 및 판매대금 이체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수단(24)과; 상기 제어수단(24)으로부터 발생한 이체요청신호를 구매자 및 판매자 거래은행에 통보하는 제 2 통신입출력수단(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상기한 필수구성요소에 부가하여 상기 제 1 통신 입출력수단(21)은 배송정보 데이타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수단(24)은 구매자 또는 판매자의 계좌로부터 배송자금을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받고, 배송자의 계좌로 이와 동행인 제 2 결제계좌로부터 배송대금이 이체되도록하는 배송대금 이체요청신호를 발생하여 제 2 통신입출력수단(21)을 통해 통보하는 배송처리관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확장된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중 제 2 통신입출력 수단(25)은 상기 제어수단(24)으로부터 발생한 이체요청신호를 통보받은 구매자 및 판매자 거래은행이 금융결제원을 경유하여 이체 처리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구매자가 다수이고 판매자가 하나인 멀티오더(Multi-order) 방식을 포함하며, 구매자가 하나이고 판매자가 다수인 멀티셀(Multi-sell) 방식을포함하는 동시에 구매자가 다수이고 판매자가 다수인 멀티오더셀(Multi-order-sell) 방식을 포함한다.
즉, 거래서버를 통해 다자간의 거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 입력된 정보를 저장된 데이타베이스 내의 데이타와 비교하여 그 등록정보에 따라 입출금을 처리를 하게 된다.
이 때, 1:1 거래를 위한 거래 패킷의 경우에는 거래 주체 필드가 구매자 및 판매자의 2개이고 거래종류 및 금액정보를 포함하지만, 다자간의 거래인 경우에는 송수신되는 거래 패킷에서거래 주체의 일방 혹은 쌍방이 멀티 필드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거래 종류 및 금액 정보도 멀티 필드로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관계는 구매자 및 판매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컴퓨터(60,70)를 통해 거래서버(10)에 접속하여 거래가 이루어지게 되면, 거래서버(10)는 거래 물품, 거래 가격, 거래 수량, 회사명, 사용자명 및 패스워드(Password) 등을 포함한 거래정보 데이타를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20)의 제 1 통신 입출력수단(21)을 통해 전달한다.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20)의 인증수단(23)은 상기의 거래정보 데이타와 메모리수단(22)에 저장된 각 회원 업체별 등록정보를 비교하여 유용한 사용자일 경우 제어수단(24)으로 제어를 넘긴다.
제어수단(24)은 구매자의 계좌로부터 구매자금을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받고, 판매자의 계좌로 이와 동행인 제 2 결제계좌로부터 판매대금이 이체되도록하는 구매 및 판매대금 이체요청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때, 제 1 결제계좌 및 제 2 결제계좌는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20)의 운영자측이 소유한 해당 금융기관 거래 계좌이고,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20)은 모든 사용자의 거래에 대응하기 위하여 모든 거래 금융기관에 그 계좌를 개설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제어수단(24)으로부터 발생한 이체요청신호는 제 2 통신입출력수단(25)을 통해 구매자 및 판매자 거래은행에 통보되어 상기 제어수단(24)에 의해 요청된 거래 대금 입출금 작업이 시행된다.
즉, 구매자의 거래은행의 계좌로부터 이 구매자와 동행에 개설된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20)의 제 1 결제계좌로 구매금액이 입금되므로써 자행간의 계좌이체가 되어 수수료의 납부가 면제되거나 감면될 수 있다.
또한, 판매자의 거래은행의 계좌로 이와 동행에 개설된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20)의 계좌로 판매대금이 입금되므로써 이 역시 자행간의 계좌이체가 되어 수수료의 납부가 면제되거나 감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구매대금을 지불할 때 소요되는 수수료의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외상거래의 경우에는 거래서버(10)로부터 거래 주체 및 거래 종류와 결제 금액 정보 및 결제예정 시각을 포함하는 최소의 거래정보 데이타를 수신하고, 거래완료 후 상기 거래서버(10)로 거래처리 내역을 출력하는 제 1 통신 입출력수단(21)과; 회원사 정보, 회원사별 주거래 은행 및 거래계좌를 포함하는 각 회원 업체별 등록정보를 데이타베이스(Dataase)화하여 저장하는 제1 메모리수단(22a)과; 상기 수신한 거래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의 메모리 수단(22b)과; 상기 제 2 메모리 수단(22b)에 저장된 거래정보를 액세스하여 결제예정시각과 현재시각을 비교하여 결제 예정시각이 도래하면, 상기 제 2 메모리수단(22b)에 저장된 거래정보 데이타와 상기 메모리수단(22b)에 저장된 업체별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구매자의 계좌로부터 구매자금을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받고, 판매자의 계좌로 이와 동행인 제 2 결제계좌로부터 판매대금이 이체되도록하는 구매 및 판매대금 이체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수단(24)과; 상기 제어수단(24)으로부터 발생한 이체요청신호를 구매자 및 판매자 거래은행에 통보하는 제 2 통신입출력수단(25)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는 시스템상의 변경은 없고, 단지 결제예정 시각을 거래정보 데이타에 더 포함하여 그 결제 예정시각이 도래하면 자행간 이체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 입출력수단(21)은 배송정보 데이타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수단(24)은 구매자 또는 판매자의 계좌로부터 배송자금을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받고, 배송자의 계좌로 이와 동행인 제 2 결제계좌로부터 배송대금이 이체되도록하는 배송대금 이체요청신호를 발생하여 제 2 통신입출력수단(25)을 통해 통보하는 배송처리관계를 더 포함하므로써 판매자로부터 구입한 물품을 구매자가 이 배송회사를 통해 전달 받는 시점에 배송대금 정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배송처리관계에서도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지급하는 배송비 이외의 은행 입출금 수수료는 동행간의 거래 이체에 의해 면제되거나 감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전자 금융결제시스템은 상기한 것과 같이 직접 해당 은행으로이체요청신호를 통보하는 이외에도 이체요청신호를 접수받은 구매자 및 판매자 거래은행이 금융결제원의 CD 공동망, 타행환망 및 SWIFT 망을 통하여 이 요청을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에 거래 정보를 통보하는 거래서버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거래서버상에서 거래하는 거래자 또한 다수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거래서버를 통해 다자간의 거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 입력된 정보를 저장된 데이타베이스 내의 데이타와 비교하여 그 등록정보에 따라 입출금을 수수료 없이 송금할 수 있으므로 구매자가 다수이고 판매자가 하나인 멀티오더(Multi-order) 방식과, 구매자가 하나이고 판매자가 다수인 멀티셀(Multi-sell) 방식 및 구매자가 다수이고 판매자가 다수인 멀티오더셀(Multi-order-sell) 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방법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도 3 은 본 발명 방법의 제 1 실시도로서, 거래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간의 거래정보를 통보받는 거래 통보단계(Step 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 거래은행들에 구매대금을 각각의 구매자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각각 동일한 은행에 개설된 제 1 결제계좌들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구매대금 출금 및 이체요청단계(Step 2)와;
이체완료후 구매대금 출금완료를 통보받는 구매대금 출금완료통보단계(Step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 거래은행들에 판매대금을 각각의 판매자 거래은행에 개설된 제 2 결제계좌들로부터 출금하여 대응하는 판매자의 계좌들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판매대금 출금 및 이체요청단계(Step 4)와;
이체완료후 판매대금 입금완료를 통보받는 판매대금 입금완료통보단계(Step 5)와;
거래서버에 판매자와 구매자의 거래처리 내역을 통보하는 거래처리내역 통보단계(Step 6)로 이루어진다.
즉, 이 방법은 본 발명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이 거래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간의 거래정보를 통보받아 구매자 거래은행에 구매대금을 구매자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고, 이체완료후 구매대금 출금완료를 통보받은 다음 판매자 거래은행에 판매대금을 동행의 제 2 결제계좌로부터 출금하여 판매자 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고, 이체완료후 판매대금 입금완료를 통보받아 거래서버에 판매자와 구매자의 거래처리 내역을 통보하는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 방법의 제 2 실시도로서, 도 3 에 도시한 방법 중 구매대금 출금 및 이체요청단계(Step 2)와, 구매대금 출금완료통보단계(Step 3)와, 판매대금 출금 및 이체요청단계(Step 4) 대신 구매자 거래은행에 구매대금을 구매자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고, 금융결제원의 CD 공동망, 타행환망 또는 SWIFT 망을 통하여 국내 또는 해외의 판매자 거래은행의 판매자 계좌로 이와 동행의 제 2 결제계좌로부터 판매대금이 이체되도록 요청하는 구매대금 출금 및 이체요청단계(Step 2')를 적용한 것이다.
즉, 이 방법은 기존의 금융결제원의 CD 공동망, 타행환망 또는 SWIFT 망을 경유하여 거래대금이 이체되도록 한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 중 배송처리의 제 1 실시도로서, 거래서버로부터 물품의 배송을 완료했다는 통보를 받는 배송완료 통보단계(101)와;
구매자 또는 판매자 거래은행에 배송대금을 구매자 또는 판매자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배송대금 출금 및 이체요청단계(Step 102)와;
이체완료후 배송대금 출금완료를 통보받는 배송대금 출금완료통보단계(Step 103)와;
배송자 거래은행에 배송대금을 동행의 제 2 결제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배송자 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배송대금 출금 및 이체요청단계(Step 104)와;
이체완료후 배송대금 입금완료를 통보받는 배송대금 입금완료통보단계(Step 105)와;
거래서버에 판매자 또는 구매자와 배송자간의 거래처리 내역을 통보하는 거래처리내역 통보단계(Step 106)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거래처리내역 통보단계 이후에 거래서버로부터 물품의 배송을 완료했다는 통보를 받아 구매자 또는 판매자 거래은행에 배송대금을 구매자 또는 판매자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고, 이체완료후 배송대금 출금완료를 통보받은 다음 배송자 거래은행에 배송대금을 동행의 제 2 결제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배송자 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고, 이체완료후 배송대금 입금완료를 통보받아 거래서버에 판매자 또는 구매자와 배송자간의 거래처리 내역을 통보하도록 하는 배송처리단계를 더 포함한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 중 배송처리의 제 2 실시도로서, 도 5 에 도시한 배송처리단계 중 배송대금 출금 및 이체요청단계(Step 102)와, 배송대금 출금완료통보단계(Step 103)와, 배송대금 출금 및 이체요청단계(Step 104) 대신 구매자 또는 판매자 거래은행에 배송대금을 구매자 또는 판매자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고, 금융결제원의 CD 공동망, 타행환망 또는 SWIFT 망을 통하여 국내 또는 해외의 배송자 거래은행의 배송자 계좌로 이와 동행의 제 2 결제계좌로부터 배송대금이 이체되도록 요청하는 배송대금 출금 및 이체요청단계(Step 102')를 적용한 것이다.
즉, 이 방법은 기존의 금융결제원의 CD 공동망, 타행환망 또는 SWIFT 망을 경유하여 배송대금이 이체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동작관계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인터넷상의 거래서버로부터 입력받은 다수의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거래정보 데이타와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업체별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구매자의 계좌로부터 구매자금을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받고, 판매자의 계좌로 이와 동행인 제 2 결제계좌로부터 판매대금이 이체되도록하므로써 은행입출금에 대한 수수료를 최소로 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간에 거래하는 멀티오더셀(Muti-order-sell)을 지원하므로써 동시에 다수의 거래처에 대해 단 한번의 신청으로 모든 결제를 최소의 수수료로 할 수 있어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촉진시킬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거래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간의 거래정보를 통보받는 거래 통보단계(Step 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 거래은행들에 구매대금을 각각의 구매자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각각 동일한 은행에 개설된 제 1 결제계좌들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구매대금 출금 및 이체요청단계(Step 2)와;
    이체완료후 구매대금 출금완료를 통보받는 구매대금 출금완료통보단계(Step 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 거래은행들에 판매대금을 각각의 판매자 거래은행에 개설된 제 2 결제계좌들로부터 출금하여 대응하는 판매자의 계좌들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판매대금 출금 및 이체요청단계(Step 4)와;
    이체완료후 판매대금 입금완료를 통보받는 판매대금 입금완료통보단계(Step 5)와;
    거래서버에 판매자와 구매자의 거래처리 내역을 통보하는 거래처리내역 통보단계(Step 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금융결제 방법.
  2. 거래서버(10)로부터 거래 주체 및 거래 종류와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최소의 거래정보 데이타를 수신하고, 거래완료 후 상기 거래서버(10)로 거래처리 내역을 출력하는 제 1 통신 입출력수단(21)과;
    회원사 정보, 회원사별 주거래 은행 및 거래계좌를 포함하는 각 회원 업체별 등록정보를 데이타베이스(Dataase)화하여 저장하는 메모리수단(22)과;
    상기 제 1 통신 입출력수단(21)에 의해 입력된 거래정보 데이타와 상기 메모리수단(22)에 저장된 업체별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구매자의 계좌로부터 구매자금을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받고, 판매자의 계좌로 이와 동행인 제 2 결제계좌로부터 판매대금이 이체되도록하는 구매 및 판매대금 이체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수단(24)과;
    상기 제어수단(24)으로부터 발생한 이체요청신호를 구매자 및 판매자 거래은행에 통보하는 제 2 통신입출력수단(25)으로 이루어진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3. 청구항 2 의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22)에 저장된 각 회원 업체별 등록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액세스(Access)하여 상기 제 1 통신 입출력수단(21)에 의해 입력받은 거래정보에 포함된 회사정보와 비교하므로써 유효한 사용자인지 판별하는 인증수단(23)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4. 거래서버(10)로부터 거래 주체 및 거래 종류와 결제 금액 정보 및 결제예정 시각을 포함하는 최소의 거래정보 데이타를 수신하고, 거래완료 후 상기 거래서버(10)로 거래처리 내역을 출력하는 제 1 통신 입출력수단(21)과;
    회원사 정보, 회원사별 주거래 은행 및 거래계좌를 포함하는 각 회원 업체별등록정보를 데이타베이스(Database)화하여 저장하는 제 1 메모리수단(22a)과;
    상기 수신한 거래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의 메모리 수단(22b)과;
    상기 제 2 메모리 수단(22b)에 저장된 거래정보를 액세스하여 결제예정시각과 현재시각을 비교하여 결제 예정시각이 도래하면, 상기 제 2 메모리수단(22b)에 저장된 거래정보 데이타와 상기 메모리수단(22b)에 저장된 업체별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구매자의 계좌로부터 구매자금을 출금하여 동행의 제 1 결제계좌로 이체받고, 판매자의 계좌로 이와 동행인 제 2 결제계좌로부터 판매대금이 이체되도록하는 구매 및 판매대금 이체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수단(24)과;
    상기 제어수단(24)으로부터 발생한 이체요청신호를 구매자 및 판매자 거래은행에 통보하는 제 2 통신입출력수단(25)으로 이루어진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KR1020000039441A 2000-07-11 2000-07-11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0346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441A KR100346075B1 (ko) 2000-07-11 2000-07-11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441A KR100346075B1 (ko) 2000-07-11 2000-07-11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209A true KR20010068209A (ko) 2001-07-23
KR100346075B1 KR100346075B1 (ko) 2002-07-24

Family

ID=1967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441A KR100346075B1 (ko) 2000-07-11 2000-07-11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291B1 (ko) * 2001-10-18 2005-05-11 주식회사 국민은행 가상계좌의 충전/결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123B1 (ko) * 2000-02-08 2002-09-12 김석민 인터넷을 통한 금융기관간 금융이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291B1 (ko) * 2001-10-18 2005-05-11 주식회사 국민은행 가상계좌의 충전/결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6075B1 (ko)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038B2 (en) Conducting commerce between individuals
US5974146A (en) Real time bank-centric universal payment system
US7092913B2 (en) System for inexpensively executing online purchases
US7082412B1 (en) Electronic factoring
CN102812480B (zh) 用于验证交易的方法和系统
US20110137751A1 (en) Computerized system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between parties on the internet using e-mail
KR20040010510A (ko) 제3자 지불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2531887A (ja) 電子的ファクタリング
US20080114691A1 (en) Processing transactions
TW201013557A (en) Online processing for offshore business transactions
KR20010065400A (ko) 전자 상거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1819A (ko) 해외직구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0346075B1 (ko)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00531A (ko) 결제 중개 서버 시스템 및 그 결제 중개방법
KR20170082997A (ko)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KR100674802B1 (ko) 전자지불시의 이원적 전자화폐 지불서비스 방법
KR100767416B1 (ko) 상거래를 이용한 상품권 유통방법
KR20010076644A (ko) 전자우편주소를 이용한 상품권 판매방법
KR20000030790A (ko) 거래 당사자간 신뢰 및 개인정보 보호 기능이 있는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71144A (ko) 지불유보 은행계좌를 이용한 대금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2098A (ko)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KR20020034643A (ko)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거래에 있어서의 무통장입금 확인대행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2002063523A (ja) 決済システム
KR20030083122A (ko) 실시간 전자 상거래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4897A (ko) 전자결제포탈서버 및 그 전자결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