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819A - 해외직구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해외직구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819A
KR20210121819A KR1020200039154A KR20200039154A KR20210121819A KR 20210121819 A KR20210121819 A KR 20210121819A KR 1020200039154 A KR1020200039154 A KR 1020200039154A KR 20200039154 A KR20200039154 A KR 20200039154A KR 20210121819 A KR20210121819 A KR 20210121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payment
open market
station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탁용
Original Assignee
김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탁용 filed Critical 김탁용
Priority to KR102020003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819A/ko
Publication of KR2021012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외전자상거래온라인 결제 방법은, 제2국의 소비자 단말이 제2국의 오픈마켓서버를 통해 제1국 공급자의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와, 오픈마켓서버가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결제중계서버 및 제1국 공급자서버에 전송하는단계와, 상기 제1국 공급자서버는 상품을 배송하고, 상기 결제중계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결제 대금에 대한 전자적 매출채권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중계서버가 생성된 전자적 매출채권의 추심을 금융거래서버에 의뢰하는 단계와, 상기 금융거래서버가 상기 오픈마켓서버로부터 채권추심을 수행하여, 매출채권에 대한 대금을 제1국공급자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외직구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Online payment system for overseas direct sale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창 이슈가 되고 있는 '직구'란 국내 소비자들이 해외상품을 해외사이트에서 직접 소비하는 행위를 일컫는 말이다.
반대로 '역직구'는 해외 소비자들이 국내 온라인 쇼핑목에서 우리나라 제품을 직접 소비하는 것을 뜻한다.
이런 역직구는 한류 열풍 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제품을 구매하고 싶은 해외 소비자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유명 수입 브랜드의 경우 직구입 가격이 백화점 구매가보다 최소 30%에서 최대 60% 정도 저렴하기 때문에역직구 소비형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역직구 온라인 결제 시스템은 외환거래법상의 제약에 의해 결제처리가 원할하지 않아 활성화되는데 한계가 있었다. 외환거래법상의 제약에 의해 현재 시스템에서는 해외결제가 가능한 특정카드만 역직구 결제에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역직구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합법적인 온라인 결제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역직구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합법적인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시스템의 결제방법은, 제2국의 소비자 단말이 제2국의 오픈마켓서버를 통해 제1국 공급자의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와, 오픈마켓서버가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결제중계서버 및 제1국 공급자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국 공급자서버는 상품을 배송하고, 상기 결제중계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결제 대금에 대한 전자적 매출채권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중계서버가 생성된 전자적 매출채권의 추심을 금융거래서버에 의뢰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거래서버가 상기 오픈마켓서버로부터 채권추심을 수행하여, 매출채권에 대한 대금을 제1국 공급자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시스템은 제1국 공급자의 상품을 구매와 결제를위한 인터페이스를 제2국의 소비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정상결제가 수행되면 결제정보를 생성하는 제2국오픈마켓서버와, 상기 제2국 오픈마켓서버로부터 제2국 소비자 단말의 결제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통지받으면, 상품 배송을 수행하는 제1국 공급자서버와, 상기 제1국 공급자서버로부터 구매된 상품의 대금을 담보로하는 전자적 매출채권의 발행을 요청받고 전자적 매출채권을 생성하는 결제중계서버 및 상기 결제중계서버로부터상기 전자적 매출채권에 대하여 추심 의뢰를 요청받고, 상기 제2국 오픈마켓서버에 추심을 수행하여, 매출채권에 대한 대금을 제1국 공급자 계좌로 이체하는 금융거래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는 타국의 공급자가 판매하는 상품을 자국의 오픈마켓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판매자는 해외소비자를 획득할 수 있으며, 금융거래기관은 신사업 개발로 외환 실적 제고 및 수익성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전자상거래 온라 결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마켓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중계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자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거래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시스템은 소비자 단말(100), 오픈마켓서버(200), 결제중계서버(300), 공급자서버(400) 및 금융거래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100)와 공급자서버(400)는 서로 다른 국가에 존재하고, 소비자 단말(100)과 오픈마켓서버(200)는동일 국가내에 존재한다. 결제중계서버(300)는 오픈마켓서버(200)와는 타국내에 존재한다. 결제중계서버(300)는공급자서버(400)와 동일국내에 존재할 수 있다. 즉, 공급자서버(400)가 제1국, 소비자 단말(100)과 오픈마켓서버가 제2국, 결제중계서버와 금융거래 서버는 제1국 또는 제3국에 존재한다.
결제중계서버와 금융거래 서버는 제1국에 존재한다는 것은 공급자 서버와 동일 국가내에 존재함을 의미하고, 결제중계서버와 금융거래 서버는 제1국에 존재한다는 것은 공급자 서버와 다른 국가내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소비자 단말(100)은 공급자서버(400)에 직접접속하거나 또는 오픈마켓(도시 생략)을 통해 공급자의 상품을 구매(1)하기 위해 결제(2)를 수행하는 단말이다.
소비자 단말(100)은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 전화 단말일 수도 있고, 노트북이나 데스크탑과 같은 컴퓨터 장치이거나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태블릿 PC, 스마트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통신 가능한 휴대 단말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신 및 정보 입출력이 가능하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오픈마켓서버(200)는 소비자와 동일 국가(제1국)에 존재하는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오픈마켓은 온라인상에서 개인이나 소규모 업체가 개설한 점포를 통해 구매자가 직접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상거래사이트를 총칭한다.
오픈마켓서버(200)는 소비자에게 상품 구매를 위한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시, 결제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소비자의 결제진행을 돕는다. 오픈마켓서버(200)는 소비자 단말(100)에게 제공한 결제인터페이스에 따라 결제가정상적으로 완료되면 결제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통지하기 위하여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관련 서버(2-1, 2-2, 2-3)에 전송한다.
오픈마켓서버(200)는 결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2국에 존재하는 결제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공급자서버(400)는 상품 판매 및 배송(3)을 관리하고, 결제 대금을 미리 정산하기 위해 결제중계서버(300)를 통해 매출채권을 결제중계서버(300)에 발행한다(4-1). 공급자서버(400)는 매출채권발행을 위해 결제정보를 이용한다.
결제중계서버(300)는 공급자서버(400)의 요청에 따라 전자적 매출채권을 생성하고, 금융거래서버(500)에 매출채권의 추심을 의뢰한다(4-2).
금융거래서버(500)는 상품 판매에 대한 공급자서버(400)가 발행한 매출채권에 대하여 결제중계서버(300)로부터추심을 의회받으면 오픈마켓서버(200)로부터 추심을 수행하고(4-3), 오픈마켓으로부터 대금을 지급받는다(4-4).
금융거래서버(500)는 자신의 계좌로 대금이 입금되면 공급자서버(400)에 대금을 지급한다(4-5).
제2국의 소비자는 결제시, 현금결제, 신용카드 결제, 상품권 결제 등으로 행할 수 있다.
신용카드 결제의 경우 결제시 결제 정보를 수집하는 밴(VAN)사를 경유하여 신용카드사 서버에서 오픈 마켓의 소유 계좌로 결제 대금이 입금되므로, 해당 신용카드 결제에 대한 승인, 매입, 청구, 취소 등의 매입 단계를 고려하여 확정할 매출채권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상에서는 결제지급대행사(본 실시예의 결제중계장치)가 직접 물품대금을 수령하거나 지급하지 않으므로 합법적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마켓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오픈마켓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30) 및 데이터베이스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소비자 단말(도 1의 100), 중계결제서버(도 1의 300), 금융거래서버(도 1의 50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어부(230)는 해외전자상거래 상에서 온라인 전자상거래를 중계하기 위하여 오픈마켓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30)는 상품 구매 및 결제를 위하여 접속한 사용자 단말(100)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인터페이스에 따라 입력된 입력정보를 확인하여 구매 및 결제를 처리한다. 이 때 결제정보를 확인하거나 사용자 인증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다고 판단되면,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관련 서버 및 단말에 전송한다. 관련 서버는 결제중계서버(300), 공급자서버(400) 및 금융거래서버(5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금융거래서버(500)로부터 매출채권에 대한 추심을 통지받으면 대금에 대한 매출채권을 확인하여물품 대금을 금융거래서버의 전용 계좌에 이체한다.
데이터베이스부(250)는 해외전자상거래 상에서 온라인 전자상거래를 중계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부(250)는 판매자DB(252), 상품DB(254) 및 결제DB(256)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DB(252)는 판매자 식별자를 포함한 판매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DB(254)는 판매자별 상품 설명, 가격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DB(254)는 소비자 단말(100)이 상품 결제를 위한 결제매체, 결제일, 결제금액, 상품 및 판매자 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결제관련 정보를 저장한다.각각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는 [0041] 서로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중계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결제중계서버(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30) 및 데이터베이스부(35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오픈마켓서버(도 1의 200)와 공급자서버(도 1의 400)와 금융거래서버(도 1의 50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어부(330)는 해외전자상거래 상에서 온라인 결제를 중계하기 위하여 결제중계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30)는 공급자서버(400)가 판매한 상품대금에 대한 매출채권의 발행을 요청하는 경우, 획득한 결제정보를 확인하여 전자적 매출채권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30)는 채권생성 인터페이스를 공급자 서버(4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매출채권의 매입금액을 산정시, 환율을 고려할 수있다. 이 때, 제어부(330)는 소비자가 결제를 행하는 시점의 환율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소비자가 결제한 카드의 카드대금정산 시점에서의 환율이 기준환율이 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금융거래서버(500)에 매입한 매출채권의 추심을 의뢰한다. 추심의뢰는 미리 정해진 주기 마다 각공급자별로 모아 일괄 의뢰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50)는 해외전자상거래 상에서 온라인 결제를 중계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부(350)는 판매자DB(352), 결제DB(354) 및 채권DB(356)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DB(352)는 판매자 식별자, 판매자의 개인적 또는 법인적 관련 정보와, 판매자의 판매 상품, 판매 실적,판매 일시, 상품 관리 내용, 상품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판매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DB(354)는 소비자 단말(100)이 상품 결제를 위한 결제매체, 결제일, 결제금액, 상품 및 판매자 식별자 등을포함하는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채권DB(356)는 공급자서버(400)로부터 매입한 매출채권과 관련된 정보로서, 매출채권을 매입하기 위한 기저장된매입금액 산출과 관련된 정보, 매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매입금액 등의 매입이 이루어진 채권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는 관련 정보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외에도 데이터베이스부(350)에는 전자적 매출채권을 발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자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공급자서버(400)는 통신부(410), 제어부(430) 및 데이터베이스부(45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중계결제서버(40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어부(430)는 통신부(410)를 통해 결제정보를 수신받으면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배송을 수행한다.
제어부(430)는 배송이 수행되면 배송된 상품의 대금에 대한 매출채권의 발행을 결제중계서버에 의뢰한다.
데이터베이스부(450)는 상품DB(452), 결제DB(454), 배송DB(456) 및 채권DB(4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DB(452)는 판매자별 상품 설명, 가격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DB(454)는 소비자 단말(100)이 상품 결제를 위한 결제매체, 결제일, 결제금액, 상품 및 판매자 식별자 등을포함하는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배송DB(456)는 배송전, 배송중, 배송 완료, 배송 취소, 반품, 취소, 교환 요청 여부와 같은 배송 정보를 관리하고, 배송된 시간, 배송시 유의사항 및 배송업체 연락처를 포함하는 배송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채권DB(356)는 공급자서버(400)로부터 매입한 매출채권과 관련된 정보로서, 매출채권을 매입하기 위한 기저장된매입금액 산출과 관련된 정보, 매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매입금액 등의 매입이 이루어진 채권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거래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금융거래서버(500)는 통신부(510), 제어부(530) 및 데이터베이스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오픈마켓서버(200), 중계결제서버(300) 및 공급자서버(40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어부(530)는 매출채권 추심을 수행하기 위하여 금융거래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530)는 결제중계서버(400)로부터 매출채권추심을 의뢰받으면 오픈마켓서버(200)로부터 매출채권의 추심을 수행한다.
제어부(530)는 자신의 전용계좌에 상기 매출채권에 대한 대금이 입금되면 공급자에게 대금을 지급한다. 여기서대금을 지급한다 함은 공급자의 계좌로 대금을 이체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30)는 매출채권에 대한 대금이 외화로 입금된 경우, 공급자 계좌에 외하로 지급하지만, 공급자의요청에 따라 환전을 수행하여 공급자의 계좌로 대금을 이체할 수도 있다. 오픈마켓 서버로부터 외화를입금받고, 환전을 수행하고, 수수료 등을 제한 나머지 금액에 대하여 공급자에게 지급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는 오픈마켓서버(200)로부터 환율적용된 대금을 이체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수료만 제한금액을 공급자에게 지급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국의 소비자 단말(100)이 오픈마켓서버(200)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구매 및 결제를 수행한다(S100).
오픈마켓서버(200)는 정상적으로 결제가 수행되면 결제정보를 생성하고(S110), 생성한 결제정보를 관련 서버에전송한다(S112, S114). 관련 서버는 결제중계서버(300), 공급자서버(400) 및 금융거래 서버(500) 중 어느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는 결제정보를 소비자 단말(100)에게도 전송할 수 있다.
공급자서버(400)는 결제정보를 수신받으면, 결제정보를 확인하고, 정해진 시간 내에 소비자에게 상품을 배송한다(S120). 상품 배송을 위한 소비자 정보는 미리 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고, 상품 배송 위한 정보를 입력받아 진행할 수도 있다.
공급자서버(400)는 배송을 수행한 후, 결제정보를 참조하여 결제중계서버(300)에 매출채권을 발행을 요청한다(S130).
결제중계서버(300)는 제1국 공급자서버(400)의 요청에 따라 전자적 매출채권을 생성하여 제1국 공급자서버(400)에게 제공한다(S135). 결제중계서버(300)는 판매자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판매자 정보에 포함된 판매자 신용도, 판매자 거래 정보등을 근거로 매출채권 매입금을 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판매자의 신용도가 낮거나 거래한 이력이 적은 경우 채권의 금액에 높은 퍼센트의 수수료를 제한금액을 매입금으로 산정할 수 있다. 판매자의 신용도 평가는 자체적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수해할 수도 있고, 은행의 서비스 제공안전성을 위해 외부의 신용 평가 기관이나 신용 보증 기관 서버로부터 판매자의 관련 신용 정보를 수신하여 참고할 수도 있다.
결제중계서버(300)는 금융거래서버(500)에 매출채권의 추심을 의뢰한다(S140).
결제중계서버(300)는 복수개의 공급자서버의 전자적 매출채권의 관리를 위해 전자적 매출채권 이력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이러한 전자적 매출채권 이력정보 및/또는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공급자의 매출관련 정보(이하, 매출정보라고 함)를 확인할 수 있다. 결제중계서버(300)는 이와 같이 자신의 전자적 매출채권 이력정보나 오픈마켓을 통해 획득한 공급자의 매출정보를 통해 미리 정해진 주기로 매출채권의 추심을 의뢰할 수 있다.
또한, 결제중계서버(300)는 상품 배송 정보를 고려하여 배송 완료 건에 대해서만 매입을 수행할 수 있다. 상품배송 정보는 미리 등록된 배송 담당 택배사 서버일 수 있고, 결제중계서버(300)가 상기 배송 담당 택배사 서버로부터 직접 상품 배송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공급자서버(400)나 오픈마켓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을 수도있다.
금융거래서버(500)는 결제중계서버(300)로부터 매출채권의 추심을 의뢰받으면, 오픈마켓서버(200)로부터 채권추심을 수행한다(S150). 금융거래서버(500)는 결제중계서버(300)부터 매출채권의 추심을 의뢰받으면 오픈마켓서버(200)에 접속하여 매출관련 정보를 확인한 후 채권추심을 수행할 수 있다.__ 또한 금융거래서버(500)는 매출채권의 추심을 의뢰받으면 오픈마켓서버(200)[0083] 에 미리 지정된 기간동안의 각 공급사의 매출들을 합한 총 대금을 합산하여 추심할 수 있다. 이렇게 총 대금을 추심받아 오플마켓서버(200)로부터획득한 매출관련 정보 또는 결제중계서버(300)부터 수신받은 전자적 매출채권 이력정보 등을 확인하여 공급자각각에게 대금을 지급한다.
이 때 오픈마켓서버(200)는 추심입금금액인 대상원금에서 미리 정한 수수료율 예컨대 0.5%을 제한 금액에 환율을 적용하여 금융거래서버(500)의 전용계좌로 입금할 수 있다. 여기서, 환율은 소비자가 결제를 행하는 시점일수도 있고, 소비자가 결제한 카드의 카드대금정산 시점일 수도 있다.
채권추심에 대한 정산은 미리 설정된 정산 조건에 따라 수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채권의 지급일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산될 수도 있고, 지급일별로 이를 배분하여 일별 정산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자, 또는 수수료를 선취할 수도 있고, 이자 또는 수수료는 추후 다시 정산할 수도 있다.
또한, 환율차로 인한 정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판매금액의 미리 약정된 비율의 일부 금액에 대해서만 매출채권을 발행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환율, 이자, 수수료 등을 고려하여 추후 정산을 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타국가에 존재하는 공급자와 소비자가 서류상 약정없이 편리하게 물건을 사고 팔 수 있게됩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소비자 단말
200 : 오픈마켓서버
300 : 결제중계서버
400 : 공급자서버
500 : 금융거래서버

Claims (1)

  1. 공급자서버가 제1국, 소비자단말과 오픈마켓 서버가 제2국, 결제중계서버와 금융거래서버가 제1국 또는 제3국에위치하는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방법으로서,
    상기 제2국의 소비자 단말이 상기 제2국의 오픈마켓서를 통해 상기 제1국 공급자서버의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오픈마켓서버가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결제중계서버 및 제1국 공급자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국 공급자서버는 상품을 배송하고, 상기 결제중계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결제 대금에 대한 전자적 매출채권을 발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결제중계서버가 상기 전자적 매출채권의 발행 요청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를 확인하여 매출채권 및 매출채권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적 매출채권의 추심을 금융거래서버에 의뢰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거래서버가 상기 오픈마켓 서버로부터에 채권추심을 수행하여 매출채권에 대한 대금을 제1국 공급자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오픈마켓서버가 매출채권에 대한 추심을 통지받으면 매출채권을 확인하여 대금을 상기 금융거래서버의 전용 계좌에 이체하고,
    상기 금융거래서버가 자신의 전용 계좌에 이체된 대금을 상기 매출채권 이력정보를 확인하여 공급자 각각에게대금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방법.
KR1020200039154A 2020-03-31 2020-03-31 해외직구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10121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154A KR20210121819A (ko) 2020-03-31 2020-03-31 해외직구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154A KR20210121819A (ko) 2020-03-31 2020-03-31 해외직구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819A true KR20210121819A (ko) 2021-10-08

Family

ID=7861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154A KR20210121819A (ko) 2020-03-31 2020-03-31 해외직구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18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358A (ko) 2022-02-18 2023-08-25 주식회사 오케이해외품질 글로벌 제품 인증 규격을 이용한 해외 제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358A (ko) 2022-02-18 2023-08-25 주식회사 오케이해외품질 글로벌 제품 인증 규격을 이용한 해외 제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7088B2 (en) Method and system for hosted order page/silent order post
US8612344B2 (en) Online processing for offshore business transactions
US87129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icropayments in a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WO2013019567A2 (en) Passing payment tokens through an hop/sop
CN116171450A (zh) 使用数字资产的电子金融交易系统及该系统的支付方法
JP2001283115A (ja) 企業間代金決済管理システム及びこれらを用いた企業間代金決済管理方法
KR102129949B1 (ko) 신용거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관련한 컴퓨터 실행가능한 코드
WO2008055215A2 (en) System and/or method for dynamic determination of transaction processing fees
TWI462047B (zh) To achieve overseas transactions online trading methods and online trading system
CA2988443A1 (en) Cross-funds management server-based payment system,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CN110659992A (zh) 基于区块链的重金属交易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20170037445A (ko) 매출채권의 유통을 중개하는 은행서버 및 그 방법
US8799089B1 (en) Virtual payment system for the physical world
KR102160676B1 (ko) 소상공인 카드매출 상생운용 정산 시스템
CA2988818C (en) Cross-funds management server-based payment system,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KR20210121819A (ko) 해외직구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725632B1 (ko)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A3082102A1 (en) Cross-funds management server-based payment system, method, device and server
KR20200109961A (ko)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p2p 금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67416B1 (ko) 상거래를 이용한 상품권 유통방법
KR100475859B1 (ko) 소액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38654A (ko) 가맹점에 대한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10090161A (ko) 전자상거래의 지급보증방법
KR100346075B1 (ko)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066341B1 (ko) 전자화폐의 신용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