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261A - 저소비전력과 대기억용량을 갖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저소비전력과 대기억용량을 갖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261A
KR20010067261A KR1020000057320A KR20000057320A KR20010067261A KR 20010067261 A KR20010067261 A KR 20010067261A KR 1020000057320 A KR1020000057320 A KR 1020000057320A KR 20000057320 A KR20000057320 A KR 20000057320A KR 20010067261 A KR20010067261 A KR 20010067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memory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terminal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154B1 (ko
Inventor
기무라데츠로
무라나가데츠로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10067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저소비전력과 대기억용량 모두를 실현하는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1메모리와, 제1메모리보다 더 큰 기억용량과 더 큰 소비전력을 갖고, 복수의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2메모리, 제1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판독하여 처리하고, 원하는 파일이 제1메모리에 없을 때 제2메모리에 접근하도록 구성된 처리유닛,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유닛, 판단유닛이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면, 제2메모리의 활성화를 금지시키도록 구성된 금지유닛 및, 제2메모리의 활성화가 금지유닛에 의해 금지되는 기간동안 접근될 가능성이 기대되는 지정파일을 선택하여, 지정파일을 제1메모리에 미리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저소비전력과 대기억용량을 갖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 {PORTABLE INFORMAT 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LARGE MEMORY CAPACITY}
본 발명은 저소비전력과 대기억용량 모두를 실현하는,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Data) Assistants) 등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와 그 파일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컴퓨터는 반도체기술의 향상에 의해 더욱 소형·경량으로 되고 있기 때문에, 각종 핸디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PDA와 팜탑(palm top) PC로 예시되어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소형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기에 있어서, 통상, 그 크기와 무게 및 배터리 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동작가능한 시간의 한계에 의한 하드디스크 등의 어떤 대용량 기억장치를 제공하는 일없이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보조기억장치로서 반도체 메모리만이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파일의 수나 크기는 최근에 끊임없이 대단히 증대하기 때문에, 이들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기의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기억장치 실현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그 기억용량이 매우 클지라도, 모터와 헤드를 포함하는 그 구동시스템 때문에, 하드디스크는 매우 큰 소비전력을 갖게 된다. 이 때문에, 배터리 구동모드로 종종 사용되는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연속적으로 동작가능한 시간이 상당히 짧아지기 때문에, 하드디스크가 실현될 때마다 문제점을 갖게 된다.
한편, 대용량 배터리가 배터리를 이용하는 연속적으로 동작가능한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실현되면, 단말기의 크기와 중량은 단말기의 휴대성을 방해할 정도로 증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소비전력과 대기억용량 모두를 실현함으로써, 휴대성을 방해하지 않고 충분한 데이터 기억용량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 및 그 파일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전형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이용되는 캐시(cache) 관리표의 전형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파일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전원장치 판단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4는 도 1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파일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파일판독처리의 하나의 전형적인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1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파일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파일판독처리의 하나의 전형적인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1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파일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새 파일생성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1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파일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캐시 스페이스 보안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8은 도 1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파일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파일 수정/추가 데이터 기록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9는 네크워크를 매개로 파일생성요구을 수신할 때, 도 1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파일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파일생성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0은 네크워크를 매개로 파일수정/추가요구을 수신할 때, 도 1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파일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기록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1은 도1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파일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캐시 재기록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2는 도 1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파일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파일저장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1실시태양에 따르면,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1메모리와, 제1메모리보다 더 큰 기억용량과 더 큰 소비전력을 갖고, 복수의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2메모리, 제1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판독하여 처리하고, 원하는 파일이 제1메모리에 없을 때 제2메모리에 접근하도록 구성된 처리유닛,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유닛, 판단유닛이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할 때 제2메모리의 활성화를 금지시키도록 구성된 금지유닛 및, 제2메모리의 활성화가 금지유닛에 의해 금지되는 기간동안 접근될 가능성이 기대되는 지정파일을 선택하여, 지정파일을 제1메모리에 미리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구비한 정보처리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1메모리와, 제1메모리보다 더 큰 기억용량과 소비전력을 갖고, 복수의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2메모리를 갖춘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파일관리방법이 제공되고, 파일관리방법은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단계가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할 때 제2메모리의 활성화를 금지시키는 단계 및, 제2메모리의 활성화가 금지단계에 의해 금지되는 기간동안 접근될 가능성이 기대되는 지정파일을 선택하여 지정파일을 제1메모리에 미리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1메모리와, 제1메모리보다 더 큰 기억용량과 소비전력을 갖고, 복수의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2메모리를 갖춘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파일관리방법으로 컴퓨터가 기능하게 하기 위해, 거기에 구체화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와, 제1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할 때, 상기 컴퓨터가 제2메모리의 활성화를 금지시키기 위한 제2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및, 제2메모리의 활성화가 제2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금지되는 기간동안 억세스될 가능성이 기대되는 지정파일을 상기 컴퓨터가 선택하여, 지정파일을 제1메모리에 미리 저장하게 하기 위한 제3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잇점은 첨부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발명의 실시예)
도 1 내지 도 12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전형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PDA나 팜탑 PC로서 알려진 것과 유사한 휴대형 컴퓨터이고, 데이터 처리유닛(11)과 주메모리(12), 데이터 입/출력유닛(13), 통신제어유닛(14), 전원유닛(15), 디스크장치 (16) 및 보조메모리를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는 디스크장치(16)에 의한 소비전력을 억제하는 제어기능을 갖춘 파일시스템으로 실현된다.
이 파일시스템(18)은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서 사용되는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고, 데이터 처리유닛(11)에 관해서 파일의 입/출력을 실행하는 파일 입/출력유닛(101)과, 디스크장치(16)와 보조메모리(17)에 저장된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관리유닛(102)을 구비하며, 이 파일시스템(18)을 이용함으로써 디스크장치(16)의 활성화를 금지시키는 제어를 실현할 수 있게 되고, 처리는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방문위치에 있는 경우에 소비전력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 환경에서는 보조메모리(17)내의 파일만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디스크장치(16)와 보조메모리(17) 모두는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보조기억장치로서 기능하고, 파일시스템(18)에 의해 관리되는 프로그램 파일과 데이터파일을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디스크장치(16)는 하드디스크장치 등의 기계적 구동유닛을 갖춘 대용량 메모리장치이고, 수백 메가바이트 내지 수십 기가바이트의 기억용량을 갖는다. 이 디스크장치(16)는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과, 이들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파일을 저장한다. 게다가, 디스크장치 (16)는 여러 가지 파일을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예컨대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와 다른 플랫폼(platform)인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의해서만 실행/처리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보조메모리(17)는 반도체메모리에 의해 형성되고, 디스크장치(16)의 기억용량보다 더 작은 기억용량을 갖는다. 이 보조메모리(17)는 디스크장치(16)의캐시로서 기능하는 메모리이거나, 디스크장치(16)상에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독립적인 보조기억장치로서 이용되는 메모리이어도 좋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메모리(17)는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방문위치에 있는 환경 등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동안 높은 휴대성을 갖는 파일을 저장하는데 근본적으로 이용될 것이다.
데이터 처리유닛(11)은 디스크장치(16)나 보조메모리(17)로부터 필요한 파일을 주메모리(12)상으로 읽어내어 그것들을 처리하는 기능을 갖추고, CPU에 의해 실행되는 운영시스템 등의 소프트웨어와 CPU에 의해 실현된다. 목적으로 하는 처리목표파일을 보조메모리(17)에서 찾을 수 없으면, 이 데이터 처리유닛(11)은 디스크장치(16)에 접근한다. 이 데이터 처리유닛에 의해 디스크장치(16)와 보조메모리 (17)에 대한 접근은 파일시스템(18)을 매개로 실행된다.
운영시스템과 파일시스템(18)은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운영동안 주메모리 (12)에 영구히 자리잡은 상태에서 CPU에 의해 근본적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이들 운영시스템과 파일시스템(18)은 디스크장치(16)와 보조메모리(17)중 어느 한쪽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크장치(16)의 활성화가 금지되는 상태에서조차 시스템 활성화/재활성화시에 무조건적으로 허가되는 세팅(setting)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영시스템과 파일시스템(18)은 디스크장치(16)에 기록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해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사용되는 키보드, 디스플레이 등의 입/출력장치에 의해 형성된다.
통신제어유닛(14)은,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를 네트워크에 접촉시킴으로써, 여러 가지 형태의 다른 정보처리장치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제공되고, LAN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휴대형 전화기 등을 매개로 공중네트워크(public network)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또, 통신제어유닛(14)은 IrDA 등을 이용하는 통신 등의 다른 정보처리장치와의 직접접속을 매개로 1대 1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전원유닛(15)은 배터리(전지)와 외부 AC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각 유닛에 운영전력 공급한다.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외부 AC전원에 접속되면, 전원유닛(15)은 배터리(전지)를 충전하는 동안 외부 AC전원을 이용하여 운영전력을 발생시킨다.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외부 AC전원에 접속되지 않으면, 전원유닛(15)은 배터리를 이용하여 운영전력을 발생시킨다.
<이용방법>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사용자(엄밀히 말하자면, 소유자나 사용자)는 다른 정보장치와 통합하여 또는 분리하여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를 사용할 수 있다.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파일시스템(18)에 의해 관리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업을 실행한다. 또, 응용프로그램은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파일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문서파일이나 데이터파일에 지시한다.
게다가, 사용자는 다른 정보장치와 통합하여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를 사용할 수 있다.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제어유닛(14)을 구비하고, 통신제어유닛(14)을 이용하여 다른 정보처리장치와 파일을 교환하는 등의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외부 PC 등과 접속함으로써, 파일제공 서비스나 파일저장 서비스는 PC에 관련하여 제공된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PC로부터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파일에 접근하여 처리할 수 있고,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는 배터리로 실현되고,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안 배터리 구동모드로 작동된다.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 (10)가 사무실의 사용자 자신의 책상에서 이용되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는 케이블 등을 매개로 외부 AC전원에 접속함으로써 작동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남아 있는 전력을 저장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배터리 구동모드로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를 이용하는 경우에, 큰 소비전력을 갖는 디스크장치(16)의 활성화는 배터리 구동 가동시간을 가능한 많이 연장하기 위해 가능한 많이 피해야만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구동 가동동안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파일그룹은 디스크장치(16)로부터 미리 보조메모리(17)로 복사되고, 파일 판독/기록은 배터리 구동 가동동안 디스크장치(16)를 활성화하지 않고 보조메모리(17)만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이 때문에, 파일관리유닛(102)은 전원장치 판단유닛(103)과 디스크 활성화 금지유닛(104)을 갖추고 있다.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은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능과 전원유닛(15)을 매개로 배터리의 남아 있는 전력을 검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의 유무에 대한 판단은 외부 AC전원이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 등의 실제 가능성과 반드시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고,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이용환경 등에 따라 지정기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판단에 대한 특정 절차는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디스크 활성화 금지유닛(104)은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이 외부 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디스크장치(16)의 활성화를 금지시킨다. 디스크장치(16)의 활성화의 금지는 (1) 전원유닛(15)으로부터 디스크장치(16)로의 운영전력의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디스크장치(16)의 전력을 턴오프(turn off)시키는 방법, 또는 (2) 디스크장치(16)의 전력을 유지하는 동안 단지 모터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 방법 (3)은 방법 (1)과 (2)와 비교해서 열등한 소비전력 저감효과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3) 디스크장치(16)에 대해 접근요구의 어떤 결과를 전적으로 금지시키고, 대기상태에서 디스크장치(16)를 유지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조차, 디스크장치(16)의 헤드 등의 기계적 구동 메커니즘의 운영을 효과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캐시되는 파일>
디스크장치(16)의 활성화가 금지되는 동안, 배터리 구동모드의 기간중에 접근될 높은 확률을 갖는 이들 파일은 파일시스템(18)에 의해 미리 보조메모리(17)로 읽어들인다. 보조메모리(17)는 배터리 구동모드의 기간중에 더 큰 우선순위로 보조메모리(17)에 접근되는 더 높은 확률을 갖는 이들 파일을 판독하는 것이 중요하도록 그 용량의 엄밀한 한계를 갖는다.
이 때문에, 각 파일에 우선순위레벨을 할당하고, 보조메모리(17)로 미리 읽어들이는 이들 파일에 더 높은 우선순위레벨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우선순위레벨은 보조메모리(17)에 빈 영역이 있으면, 디스크장치(16)에 저장된 파일로부터 보조메모리(17)로 읽어들일 파일을 선택하는데 이용될뿐만 아니라, 보조메모리(17)에서 빈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보조메모리의 파일로부터 삭제될 파일을 선택하는데에도 이용될 것이다.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 외에 플랫폼에서만 실행할 수 있는 이들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크장치(16)로부터 보조메모리(17)로 읽어들일지라도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 결과, 배터리 구동모드의 기간동안 접근될 높은 확률을 갖는 파일, 즉 높은 우선순위 레벨이 부여되는 파일은, 예컨대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서 실행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과, 이들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 파일, 이들 응용프로그램의 여러 가지 세팅 파일 및 이들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데이터파일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파일이 배터리 구동모드의 기간동안 접근될 매우 높은 확률을 갖도록 분리하여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 (1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 대한 파일이다.
또, 보조메모리(17)는, 보조메모리(17)에만 저장되고 디스크장치(16)에는 저장되지 않는 몇몇 응용프로그램 파일이 있을 수 있도록 디스크장치(16)로부터 독립한 보조기억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보조메모리(17)에만 존재하는 이들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파일은 디스크장치(16)에 저장된 파일그룹으로부터 선택되어, 보조메모리(17)로 미리 읽어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서 실행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 파일인지의 여부와 그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파일인지의 여부는 각 파일의 파일속성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파일속성으로서는, 확장자, 파일이름, 사용자 데이터/시스템 데이터의 ID정보, 프로그램파일/데이터파일의 ID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파일형태를 명백하게 식별하는 전용 ID정보를 각 파일에 부여할 수 있어, 판단시에 파일속성으로서 ID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더 높은 우선순위로 보조메모리로 읽어들이기를 원하는 이들 파일을 사용자가 명백하게 나타내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높은 우선순위레벨을 갖는 ID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명백하게 나타내지는 파일에 파일속성으로서 부여될 것이다.
또, 파일데이터로부터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서 이용될 수 있는 파일(특히, 마법숫자로 불리는 맨 앞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각 파일에 대한 억세스의 로그에 따라 우선순위레벨을 결정하여, 높은 이용빈도를 갖는 이들 파일이나 최근에 이용된 이들 파일에 높은 우선순위레벨을 부여할 수 있다.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블루투스(Bluetooth), IrDA 등을 매개로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휴대형 전화기나 전자 포켓북 등의 정보장치와 통합하여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배터리 구동모드동안 그 정보장치로부터 유출되는 파일접근요구을 가질 높은 확률이 있다. 이 때문에, 파일이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서 처리될 수 없을지라도 그 정보장치에 의해 캐시로 접근될 수 있는 이들 파일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파일이 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서 처리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높은 우선순위레벨은 원하는 정보장치를 위한 파일에 부여될 수 있다.
<파일관리유닛>
파일관리유닛(102)은 보조메모리(17)에 저장된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캐시관리표를 이용하여, 파일이름, 보조메모리(17)에서의 저장장소, 업데이트 정보, 최종 접근시간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게다가, 파일관리유닛(102)은 보조메모리(17)에 존재하는 이들 파일뿐만 아니라, 디스크장치(16)에만 존재하는 이들 파일에 대한 캐시관리표의 관리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디스크장치(16)에 있는 파일인 경우와 이것은 존재하지 않는 파일에 대한 접근요구이 있는 경우를 구별할 때, 접근요구이 디스크 접근이 금지되는 상태의 기간동안 이루어지는 파일이 보조메모리(17)에서 찾을 수 없으면 이 제공은 이용될 수 있다.
또, 모든 파일에 대한 기입이 캐시관리표에 제공되면, 캐시관리표는 매우 커질 수 있기 때문에, 파일이 계층 디렉토리구조를 이용하여 관리되면, 어떤 디렉토리보다 더 낮은 계층레벨에 위치한 이들 파일을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이 디렉토리 아래에 존재하지 않는 파일에 대한 접근요구이 있으면, 파일의 존재유무는 캐시관리표로부터 판단될 수 없다.
도 2는 3개 파일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전형적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2는, "/program/prog1"이 보조메모리(17)의 저장위치 "1"에 저장되고, 이 파일의 업데이트 정보는 파일내용이 디스크장치(16)와 보조메모리(17)에서 동일하다는 것을 내포하는, "불변(unchanged)"이고, 이 파일의 최종접근시간(또는 파일생성 데이터와 시간)은 "1999/7/2 13:45", 이 파일의 접근모드는 "판독전용'인 것을 나타낸다. 또, 도 2는, "/data/data1"이 보조메모리(17)의 저장위치 "2"에 저장되고, 이 파일의 업데이트 정보는 디스크로의 재기록이 앞으로 필요하거나, 이 파일이 보조메모리(17)에만 존재하는 상태(디스크장치에는 원파일이 없다)에 있도록 보조메모리 (17)의 파일 혼자 업데이트되는 것을 내포하는, "변경(modified)"인 것을 나타낸다.
또, 도 2는, "/data/data2"가 저장위치 "-"에 저장되는, 즉 보조메모리(17)에는 없고 디스크장치(16)에만 저장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에서 "/dir1/dir2/*"는 이 디렉토리 아래에 위치한 모든 파일이 보조메모리(17)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원장치 판단처리>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의 유무를 판단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은 먼저, 전원유닛(15)을 매개로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 판단 오퍼레이션은 전원유닛(15)으로부터의 방해신호를 이용하거나 또는 전원유닛(15)을 일정하게 폴링(polling)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외부 AC전원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 접속되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외부 AC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단계 S1 NO),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은 전력이 외부 AC전원으로부터 실제로 공급되기 때문에,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있다"라고 판단하고, 디스크장치를 디스크 접근 허가상태로 하는 한편, 디스크 활성화 금지유닛(104)의 기능을 중단시킨다(단계 S2).
한편, 외부 AC전원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 접속되지 않아,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단계 S1 YES),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은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없다"라고 근본적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환경에서는 외부 AC전원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때조차도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있다"라고 다음 절차에 따라 판단될 수도 있다.
즉, 외부 AC전원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은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단계 S3 YES), 외부 AC전원이 이용될 수 있는 환경에 있지는 어떤지를 추정하기 위해,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은 네트워크 접속에 현재 이용되는 통신채널이 형태를 한층 더 체크(휴대형 전화기를 이용하는 네트워크에 대해 LAN접속인지 다이얼 업(dial-up)접속인지를)한다.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LAN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단계 S4 YES),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는 외부 AC전원이 접속될 수 있는 사무실 등의 환경에서 크게 이용될 것 같기 때문에,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은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디스크장치(16)를 디스크 접근 허가상태로 하는 한편, 디스크 활성화 금지유닛(104)의 기능을 중단시킨다(단계 S2).
휴대형 전화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다이얼 업접속이고, LAN접속은 아닌 경우(단계 S4 NO),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는 외부 AC전원이 이용될 수 없는 이동환경에서 크게 이용될 것 같기 때문에,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은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디스크 활성화 금지유닛(104)을 이용하여 디스크장치(16)의 활성화를 금지시킴으로써, 디스크장치(16)를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 한다(단계 S5).
또, 채널형태가 블루투스나 IrDA인 경우, 대응하는 것이 전자 포켓북이나 휴대형 전화기 자체이면, 대응하는 것을 식별하여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없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전화기를 매개로 한 다이얼 업접속의 경우와는 다른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대응하는 것과 직접 통신하는 경우). 또, 대응하는 것이 PC, 워크스테이션 등이면,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있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밖에, 또 채널형태에 상관없이 대응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어,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의 유무의 판단이 다른 대응하는 것에 대해 다르게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휴대형 전화기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어, LAN접속만을 할 수 있는 는 장치의 경우, 네트워크 접속을 검출할 때에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있다"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파일판독/기록 처리>
다음으로, 파일판독 경우와 파일기록 경우의 연산을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보조메모리(17)가 다음 설명에서 편의상 캐시로 칭해진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상에서 판독>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상에서의 응용프로그램의 활성화에 대한 연산이 이루어지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운영시스템(OS)은 요구된 응용프로그램의 실행파일을 판독하여 파일시스템(18)을 매개로 활성화시킨다. 이 점에서, 파일판독 요구을 수신하면, 파일관리유닛(102)은 먼저 캐시관리표를 참조하여 캐시(17)를 검색하고, 이 파일이 캐시(17)에 있으면, 이 파일은 캐시(17)로부터 판독된다(단계 S11, S12).
그 후, 파일관리유닛(102)은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에 있는지 또는 디스크접근 금지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3). 디스크접근 허가상태로 되도록 디스크 활성화 금지유닛(104)에 의해 금지되지 않은 경우, 파일관리유닛(102)은 캐시관리표의 업데이트 정보를 체크하여, 캐시(17)의 판독요구파일이 업데이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
업데이트되면(단계 S14 YES), 파일관리유닛(102)은 이 파일을 디스크장치 (16)에 기록한다(단계 S15). 또, 이 재기록 처리는 원파일이 디스크장치(16)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실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파일관리유닛(102)은 필요에 따라 캐시관리표의 관련필드(저장위치, 업데이트 정보, 최종 접근시간 등)을 업데이트한다(단계 S16).
판독요구파일을 캐시(17)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단계 S11 NO), 파일관리유닛(102)은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에 있는지 디스크접근 금지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7).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에 있도록 디스크장치(16)의 활성화가 디스크 활성화 금지유닛(104)에 의해 금지되지 않는 경우, 파일관리유닛(102)은 판독요구파일이 디스크장치(16)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8). 대응하는 파일이 디스크장치(16)에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디스크접근이 금지된 상태에서, 파일관리유닛(102)은 에러를 보내어(단계 S23), 처리를 종료시킨다.
디스크접근이 허가되고, 대응하는 파일이 디스크장치(16)에 존재하는 경우에, 파일관리유닛(102)은 그 파일을 디스크장치(16)로부터 주메모리(12)로 판독되고, 응용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준비를 한다(단계 S19). 이 때, 캐시(17)에 충분히 빈 용량이 있으면, 이 파일의 복사본은 캐시(17)에 저장될 수 있다(단계 S20, S22). 이 경우, 디스크장치로부터 판독되는 파일의 속성정보는 체크되고, 이 파일이 배터리 구동모드의 기간 등의 디스크접근 금지상태의 기간동안 접근될 높은 확률을 갖는 파일인 경우에만, 파일의 복사본은 캐시(17)에서 생성된다. 게다가, 빈 용량이 불충분한 경우에조차, 최근에 접근되지 않은 파일 등을 검색하여 삭제함으로써, 충분히 빈 스페이스를 확보한 후에 이 파일은 저장될 수 있다(단계 S20, S21, S22).
마지막으로, 파일관리유닛(102)은 필요에 따라 캐시관리표의 관련필드(저장위치, 업데이트 정보, 최종 접근시간 등)을 업데이트하고(단계 S16), 처리를 종료시킨다.
여기에서, 디스크접근이 금지되는 경우에조차, 디스크장치(16)상에서만 판독요구파일이 존재하면,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있다고 일시적으로 판단함으로써 디스크접근을 허가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전형적인 처리절차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단계 S24 내지 S26은 도 4의 처리절차에 추가되고, 이들 단계 S24 내지 S26의 처리는 도 4의 단계 S17에서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 판단된 후에 실행된다.
즉, 단계 S17에서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파일관리유닛(102)은 "장치는 현재 디스크접근상태에 있습니다. 당신은 디스크접근 허가상태로 변경하여 디스크를 검색하길 원합니까?"라는 물음으로 사용자에게 질문한다. 사용자의 응답이 "No(검색하지 않겠다)"이면(단계 S25 NO),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사용자의 응답이 "YES(검색하겠다)"이면(단계 S25 YES), 파일관리유닛(102)은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이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있다"라고 일시적으로 판단하게 하여, 디스크접근 허가상태로 변경시키고, 디스크를 검색하여 대응하는 파일이 디스크장치(16)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8). 일시적으로만 디스크접근을 허가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이 상태는 파일판독후에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 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이 파일판독 처리는,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응용프로그램의 활성화시 뿐만 아니라, 응용프로그램 활성화에 관련하여 판독되는 라이브러리 파일과 세팅파일은 물론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요구되어 판독될 처리목표 데이터 파일에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행될 것이다.
<네트워크로부터의 판독>
다음으로,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LAN 등을 매개로 그 정보처리장치와 통합하여 작동됨으로써,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원하는 파일을 제공하는 경우에서의 판독처리를 설명한다.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LAN을 매개로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대해 통신상태에 있는 경우,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는 디스크접근 허가상태로 된다.
통신상태의 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파일판독요구를 수신하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OS는 파일시스템(18)으로부터 요구파일을 검색하여 판독하고, 그것을 그 정보처리장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도 4의 파일판독처리와 유사한 파일판독처리는 파일시스템(18)에 의해 실행된다.
즉, 파일관리유닛(102)은 먼저 캐시관리표를 참조하여 캐시(17)를 검색하고, 이 파일이 캐시(17)에 있을 때 이 파일은 캐시(17)로부터 판독된다. 게다가, 이 때 캐시관리표의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크장치(16)의 원파일과의 비교를 행할 수 있고, 그 후 캐시(17)의 파일이 업데이트되면 판독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판독요구파일이 캐시(17)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 파일관리유닛(102)은 디스크장치(16)를 한층 더 검색한다. 이 파일이 디스크장치(16)에서 발견되면, 파일관리유닛(102)은 디스크장치(16)로부터 그 파일을 판독한다. 이 경우, 그 파일의 속성정보가 체크되고, 그 파일이 캐시(17)에 저장될 파일이면, 캐시(17)의 빈 용량은 한층 더 체크된다. 그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충분히 빈 용량이 있으면, 파일의 복사복은 캐시(17)에 저장된다. 빈 용량이 불충분한 경우에조차, 최근에 접근되지 않은 파일 등을 검색하여 삭제함으로써, 충분히 빈 스페이스를 확보한 후에 이 파일은 저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파일관리유닛(102)은 필요에 따라 캐시관리표의 관련필드(저장위치, 업데이트 정보, 최종 접근시간 등)을 업데이트한다(단계 S16). 이 파일을 디스크장치(16)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에, 파일관리유닛(102)은 에러를 보낸다.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상의 새 파일의 생성>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새 파일생성처리에 대한 절차를 설명한다.
새 파일생성요구가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상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 등으로부터 나오면, 파일관리유닛(102)은 먼저 캐시의 빈 용량을 체크하고, 충분히 빈 스페이스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 충분히 빈 스페이스가 있으면, 파일관리유닛(102)은 캐시관리표에 새 파일에 대한 기입을 추가하고, 거기에 관리정보(파일이름, 저장위치, 업데이트 정보, 파일생성시간, 접근모드정보 등)를 생성한다(단계 S33). 충분히 빈 스페이스가 없다면, 캐시 스페이스 확보처리가 실행(단계 S32)된 후에, 새 파일에 대한 관리정보가 생성된다(단계 S33).
다음으로, 파일관리유닛(102)이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34),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이면, 파일관리유닛(102)은 디스크장치 (102)상의 파일관리표를 업데이트하고, 새 파일에 대한 관리정보를 디스크에 생성한다(단계 35). 디스크장치(16)상에 생성되는 관리정보는 정규파일에 의해 다루어지는 관리정보와 같고, 파일이름, 디스크장치(16)상의 저장위치, 파일생성시간 및 접근모드 등의 정보를 갖추고 있다. 디스크접근 금지상태에 있으면, 처리는 디스크장치(16)상에 관리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종료된다.
<캐시 스페이스 확보처리>
지금, 도 7을 참조하여 단계 S32의 캐시 스페이스 확보처리를 설명한다.
먼저, 파일관리유닛(102)은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인지 디스크접근 금지상태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41). 디스크접근 금지상태이면, 파일관리유닛(102)은 동일파일이 디스크장치(16)상에 존재하는 업데이트되지 않은 파일(업데이트 정보="불변")을 캐시(17)에 이미 저장된 파일 사이에서 삭제목표파일로서 선택하고(단계 S47), 이 파일은 캐시(17)로부터 삭제한다(단계 S45). 업데이트정보="불변"을 갖는 많은 파일이 있는 경우, 캐시(17)에 저장될 필요성이 낮은 오래된 최종접근시간을 갖는 파일이나 낮은 우선순위레벨을 갖는 파일(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상에서 실행될 수 없는 파일 등과 같은)은 더 높은 우선순위로 삭제목표파일로서 선택될 것이다.
한편,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이면, 파일관리유닛(102)은 캐시(17)에 저장될 필요성이 낮은 오래된 최종접근시간을 갖는 파일이나 낮은 우선순위레벨을 갖는 파일을 캐시(17)에 이미 저장된 파일 사이에서 삭제목표파일로서 더 높은 우선순위로 선택한다(단계 S42). 그 후, 파일관리유닛(102)은 선택된 삭제목표파일이 업데이트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43), 업데이트되지 않으면(단계 S43 NO), 그 파일을 캐시(17)로부터 즉시 삭제한다(단계 S45). 업데이트되면(단계 S43 YES), 디스크장치(16)로의 재기록이 실행(단계 S44)된 후에, 이 파일은 삭제된다(단계 S45).
마지막으로, 파일관리유닛(102)은 캐시관리표를 업데이트하고, 처리를 종료시킨다(단계 S46).
또, 상술한 캐시 스페이스 확보처리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기록시에 실행될 것이다. 즉, 생성파일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파일크기는 기록이 완료될 때마다 증대할 것이고, 캐시(17)의 빈 용량을 기록 도중에 다 써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록처리는 일시적으로 중단되고, 그 후 기록처리는 스페이스가 상술한 절차에 따라 캐시(17)로부터 파일을 삭제하여 확보된 후에 재개된다.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상의 기록>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서 나온 파일내에 데이터 수정/추가에 대한 요구에 관한 데이터기록처리를 설명한다.
파일시스템(18)에 이미 존재하는 파일에 대해 데이터 수정이나 추가에 대한 요구가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상에서 실행디는 응용프로그램 등으로부터 나오면(뿐만 아니라 새 파일에 대한 관리정보를 생성한 후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파일관리유닛(12)은 먼저 데이터수정/추가요구에 의해 열거되는 파일이 캐시(17)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51).
파일이 캐시(17)에 존재하지 않으면, 파일관리유닛(102)은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 S52),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이면, 파일관리유닛(102)은 대응하는 파일이 디스크장치(16)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한층 더 체크한다(단계 S53). 디스크접근이 금지되거나(단계 S52 NO), 대응하는 파일이 디스크장치(16)에 존재하지 않으면(단계 S53 NO), 파일관리유닛(102)은 요구 응용프로그램이나 사용자에게 에러를 복귀시키고(단계 S54), 처리를 종료한다. 물론, 사용자에게 질문을 할 수 있어, 도 5의 절차와 유사한 절차에 의해 디스크접근 허가상태로 일시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수정이나 추가에 의해 기록되는 데이터는 캐시(17)의 파일에 대해 처리된다. 이 때문에, 대응하는 파일이 디스크장치(16)에 존재하면(단계 S53 YES), 파일관리유닛(102)은 캐시(17)에 충분히 빈 용량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55), 만일 충분히 빈 용량이 없으면, 캐시 스페이스 확보처리가 실행된(단계 S56) 후에 대응하는 파일이 디스크장치(16)로부터 캐시(17)로 복사된다(단계 S57). 그 후, 데이터 기록처리는 기록하는 파일이 캐시(17)에 존재하는 경우(단계 S51 YES)와 마찬가지로, 다음 절차에 의해 캐시(17)상에서 실행된다.
데이터 기록처리에 있어서, 파일관리유닛(102)은 먼저 캐시에 기록될 데이터량을 위한 충분히 빈 용량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8). 만일 충분히 빈 용량이 없으면, 캐시 스페이스 확보처리는 실행되고(단계 S59), 캐시(17)로의 데이터기록은 충분히 빈 용량을 확보한 후에 실행된다(단계 S60).
그 후에, 파일관리유닛(2)은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1). 만일 디스크접근 금지상태에 있으면(단계 S61 NO), 파일관리유닛(102)은 캐시의 대응하는 파일의 업데이트 정보를 "변경"으로 설정하고(단계 S62), 최종접근시간 등에 관해 캐시관리표를 업데이트하여 처리를 종료시킨다(단계 S63).
만일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에 있으면(단계 S61 YES), 파일관리유닛(102)은 디스크장치(16)의 원파일에 대해서도 동일 데이터 기록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64). 그 후, 파일관리유닛(102)은 캐시의 업데이트 정보를 "불변"으로 설정하고(단계 S65), 최종 접근시간 등에 관해 캐시관리표를 업데이트하여 처리를 종료시킨다(단계 S63).
<네트워크로부터 새 파일생성>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그 정보처리장치와 통합하여 작동됨으로써, LAN 등의 네트워크를 매개로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새 파일생성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LAN에 접속되는 경우,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은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디스크장치(16)의 활성화는 금지되지 않고,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는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상태로 된다. 또,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 등으로부터의 파일생성요구의 경우와 달리, 네트워크로부터의 파일생성요구가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상에서 실행/처리될 수 없는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서 새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 파일관리유닛(102)은 먼저 속성정보(파일형태를 나타내는 확장자 및 파일이름 또는 다른 ID정보 등)를 체크하고(단계S71), 캐시로 저장될 파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2).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상에서 실행가능한 응용프로그램 파일이나 그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파일은, 이러한 파일이 캐시(17)에 저장딜 파일로 판단될 수 있도록 배터리 구동모드동안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 접근될 높은 확률을 갖는다. 판단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 캐시에 저장될 파일의 유무에 대해 사용자에게 질문할 수도 있다.
수신파일 생성요구가 캐시(17)에 저장될 파일에 대한 것이면(단계 S72 YES), 파일관리유닛(102)은 캐시(17)의 빈 용량을 체크하고, 충분히 빈 용량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3). 만일 충분히 빈 용량이 있으면, 파일관리유닛(102)은 캐시관리표에 새 파일에 대한 기입을 추가하여, 관리정보(파일이름, 파일생성시간, 접근모드 정보 등)를 생성한다(단계 S75). 만일 충분히 빈 용량이 없으면, 캐시 스페이스 확보처리는 실행(단계 S74)된 후에, 새 파일에 대한 관리정보가 생성된다(단계 S75).
다음으로, 파일관리유닛(102)은 디스크장치(16)상의 파일관리표를 업데이트하고, 뿐만 아니라 새 파일에 대한 관리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76). 디스크장치상에 생성될 관리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규파일 시스템에 의해 다루어지는 것과 동일하다.
한편, 생성된 요구파일이 캐시(17)에 저장될 파일이 아니면(단계 S72, NO), 파일관리유닛(102)은 캐시(17)에 새 파일에 대한 관리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디스크장치(16)상에 관리정보만 생성한다(단계 S76).
<네트워크로부터의 기록>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LAN 등의 네트워크를 매개로 다른 외부 정보처리장치로부터 나온 파일의 데이터수정/추가에 대한 요구에 대해 데이터 기록처리를 설명하고, 그것은 그 정보처리장치와 통합하여 작동됨으로써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다.
파일시스템(18)에 이미 존재하는 파일에 대해 데이터수정이나 추가에 대한 요구가 외부 정보처리장치로부터 나오면(뿐만 아니라 새 파일에 대한 관리정보를 생성한 후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파일관리유닛(12)은 먼저 캐시(17)에 특정파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게 S81).
만일 파일이 캐시(17)에 존재하면, 파일간리유닛(102)은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2).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LAN을 매개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디스크접근 허가상태로 판단된다. 이 경우, 파일관리유닛(102)은 대응하는 파일이 디스크장치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3). 네트워크 접속의 경우에조차,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가 다이얼 업접속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예컨대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에서와 같이 디스크접근이 금지되는 몇몇 특정 경우일 수 있다. 디스크접근이 금지되는 경우(단계 S82 NO), 또는 디스크접근이 허가되지만 대응하는 파일이 디스크장치(16)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83 NO), 파일관리유닛(102)은 에러를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요구하는 외부 정보처리장치나 사용자에게 복귀시키고(단계 S84), 처리를 종료한다. 물론, 사용자에게 질문을 할 수 있어,도 5의 절차와 유사한 절차에 의해 디스크접근 허가상태로 일시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대응하는 파일이 디스크장치(16)에 존재하는 경우(단계 S83 YES), 파일관리유닛(102)은 그 파일의 속성정보를 얻고, 캐시에 저장될 파일의 유무를 판단한다(단계 S91). 만일 캐시(17)에 저장될 파일이 있으면(단계 S91 YES), 파일관리유닛 (102)은 캐시(17)에 충분히 빈 용량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92), 충분히 빈 용량이 없으면, 캐시 스페이스 확보처리가 실행되고(단계 S94), 캐시관리표는 캐시 스페이스 확보처리의 내용에 따라 업데이트되며(단계 S95), 그 후 대응하는 파일은 디스크장치(16)로부터 캐시(17)로 복사된다(단계 S93). 그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차는 단계 S96으로 진행되고, 데이터 기록처리는 캐시(17)상에서 실행된다.
만일 캐시에 저장될 파일이 없으면(단계 S91 NO), 파일관리유닛(102)은 디스크장치(16)상의 대응하는 파일에 대해 데이터기록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89).
한편, 기록할 특정 파일이 캐시(17)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경우(단계 S81 YES), 파일관리유닛(102)은 그 파일의 속성정보를 얻어 캐시(17)에 저장될 파일의 유무를 판단한다(단계 S85).
만일 캐시(17)에 저장될 파일이 있으면(단계 S85 YES), 절차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계 S96으로 진행되고, 데이터 기록처리는 캐시(17)상에서 실행된다.
만일 캐시(17)에 저장될 파일이 없으면(단계 S85 NO), 파일관리유닛(102)은 캐시관리표를 참조하여 데이터가 업데이트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6).데이터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디스크장치(16)로의 재기록은 필요에 따라 실행되고(단계 S87), 캐시(17)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단계 S88). 이 처리후에, 데이터수정/추가에 대한 데이터 기록처리는 디스크장치(16)상의 파일에 대해서만 실행되고(단계 S89), 캐시관리표는 필요에 따라 업데이크되어(단계 S90) 처리는 종료된다. 만일 업데이트되지 않은 캐시(17)의 파일의 데이터가 있으면, 이 파일은 캐시(17)로부터 삭제되고(단계 S88), 디스크장치(16)에 대해 데이터 기록처리는 실행된다(단계 S89).
캐시(17)상의 데이터 기록처리는 다음 절차에 의해 실행된다.
즉, 파일관리유닛(102)은 먼저 캐시(17)에 기록될 데이터량을 위한 충분히 빈 용량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6). 만일 충분히 빈 용량이 없으면, 캐시 스페이스 확보처리가 실행되고(단계 S97), 캐시(17)로의 데이터기록은 충분히 빈 용량을 확보한 후에 실행된다(단계 S98).
그 후, 파일관리유닛(2)은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99). 만일 디스크접근 금지상태에 있으면(단계 S99 NO), 파일관리유닛 (102)은 캐시(17)의 대응하는 파일의 업데이트 정보를 "변경"으로 설정하고(단계 S100), 최종접근시간 등에 관해 캐시관리표를 업데이트하여 처리를 종료시킨다(단계 S101).
만일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에 있으면(단계 S99 YES), 파일관리유닛(102)은 디스크장치(16)의 원파일에 대해서도 동일 데이터 기록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2). 그 후, 파일관리유닛(102)은 캐시의 업데이트 정보를 "불변"으로 설정하고(단계S103), 최종 접근시간 등에 관해 캐시관리표를 업데이트하여 처리를 종료시킨다(단계 S101).
<캐시 재기록에 대한 타이밍>
남아 있는 배터리전력이 제로로 되어 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가 사라질 수 있는 경우를 예상하여,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 업데이트되는 캐시(17)의 이들 파일을 적절한 타이밍으로 디스크장치(16)에 재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캐시(17)의 용량에는 엄밀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캐시(17)로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는 경우에조차 적절한 타이밍으로 디스크장치(16)로의 재기록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시(17)의 업데이트된 파일의 디스크장치(16)로의 재기록에 대한 타이밍은, 다음중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1) 재기록은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부터 디스크접근 허가상태로의 천이의 타이밍으로 실행된다. (2) 사용자 명령에 의해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 유지하는 경우에조차, 예컨대 디스크접근 허가상태로 일시적으로 설정한 후에 재기록이 종료된 다음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재기록은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부터 디스크접근 허가상태로의 천이의 타이밍으로 실행된다. (3) 재기록은 남아 있는 배터리전력이 외부전원장치가 없는 상태의 지정량보다 더 낮아지는 타이밍으로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4) 재기록이 실행되는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 사용자에게 물은 후에, 사용자에 의해 명령되는 타이밍으로 재기록은 실행된다.
또, 입력장치에 재기록 명령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임의의 타이밍으로 재기록을 명령할 수 있어, 재기록은 명령받을 때마다 실행된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캐시(17)로부터 디스크장치(16)로의 재기록에 대한 처리절차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한다.
외부 AC전원의 접속 때문에,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에 의한 판단이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없다"로부터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있다"로 변경되면, LAN접속 등 디스크 활성화 금지유닛(104)에 의해 디스크장치(16)의 활성화의 금지는 해제되어,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부터 디스크접근 허가상태로 절환된다.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부터 디스크접근 허가상태로의 천이가 이와 같이 발생하면(단계 S111 YES), 파일관리유닛(102)은 먼저 캐시관리표를 참조하여 디스크접근 금지상태 기간동안 업데이트되는 모든 파일을 캐시(17)의 파일로부터 선택하고, 이들 선택된 파일을 캐시(17)로부터 디스크장치(16)로 총괄적으로 재기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17).
그 후, 파일관리유닛(102)은 캐시(17)에 저장되지 않을 파일을 재기록되는 각 파일의 파일 속성정보에 따라 이들 파일 사이에서 선택한다(단계 S118). 이 경우,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상에서 실행/처리될 수 없는 응용프로그램 파일/데이터파일 등의 파일과 사용자에 의해 캐시에 불필요한 파일은 캐시(17)에 저장되지 않을 파일로서 선택된다. 그 후에, 파일관리유닛(102)은 선택된 파일을 캐시(17)로부터 삭제하고(단계 S119),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동안, 파일관리유닛(102)은 전원장치 판단유닛 (103)을 매개로 배터리의 남아 있는 전력을 체크하고, 배터리의 남아 있는 전력이지정값(로우(low) 배터리상태)보다 더 낮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2). 로우 배터리상태로 검출되면(단계 S112 YES), 파일관리유닛(102)은 이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재기록이 실행되는지의 여부에 대해 사용자에게 묻는다(단계 S113, S114). 재기록의 실행은 사용자로부터 명령받고, 전원장치 판단유닛(103)이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의 여부를 일시적으로 판단하게 하여, 파일관리유닛(102)은 일시적으로 디스크접근 허가상태로 된다. 그 후, 파일관리유닛(102)은 상기와 같이 단계 S116 내지 S119의 처리를 실행하고,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 되돌린 후에 처리를 종료시킨다.
<캐시로의 파일저장>
다음으로, 디스크접근 금지상태로의 천이에 대한 준비중에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의 기간동안 실행되는 디스크장치(16)로부터 캐시(17)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처리를 설명한다.
디스크접근 금지상태의 기간동안에조차 휴대형 정보처리장치(10)이 이용성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캐시(17)로 이 기간동안 억세스될 높은 가능성을 가능한 많이 갖는 이들 파일을 저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판독요구에 응답하여 디스크장치(16)로부터 판독되고, 필요에 따라 캐시(17)로 저장되는 이들 파일의 캐시제어외에 또, 디스크장치(16)로부터 캐시(17)로 저장될 파일일 능동적으로 선택하고 이들 선택된 파일의 복사본을 캐시(17)로 미리 읽어들이는 저장처리는 실행될 것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저장처리에 대한 전형적인 절차를 설명한다.
파일관리유닛은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에 있는지 디스크접근 금지상태에 있는지를 규칙적으로 체크한다(단계 S121). 만일 디스크접근 허가상태에 있으면, 캐시(17)로 미리 읽어들일 수 있는 파일이 선택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파일관리유닛(102)은 디스크장치(16)에 저장된 복수의 파일 각각의 파일속성정보를 체크하기 때문에, 디스크장치(16)의 파일그룹으로부터 캐시(17)로 아직 복사되지 않은 이들 파일중에서 높은 우선순위레벨을 갖는 파일을 선택하게 된다. 그 후, 파일관리유닛(102)은 선택된 파일을 디스크장치(16)로부터 캐시(17)로 총괄적으로 복사한다(단계 S123).
단계 S122의 파일선택처리는, 디스크장치(16)에 저장된 복수의 파일 모두에 대한 관리정보를 캐시(17)의 지정영역의 캐시관리표에 저장하여, 디스크장치(16)를 실제로 접근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그 결과, 이 경우, 디스크접근 금지상태의 기간동안 파일선택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디스크접근 금지상태가 해제된 후에 디스크장치(16)로부터 캐시(17)로 복사하는 처리만을 실행할 수 있다.
저장처리를 행하기 위한 타이밍은 다음중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파일관리유닛(102)은 일정 시간간격으로 캐시(17)의 빈 용량을 체크하고, 빈 용량이 있으면, 아직 캐시(17)로 복사되지 않은 높은 우선순위레벨을 갖는 이들 파일은 디스크장치(16)로부터 검색되어, 캐시(17)로 복사된다.
여기에서, 그러나, 휴대용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전력이 항상 턴온(turn on)인 것을 보증하지 않기 때문에, 이 처리는 전력이 복사의 시작시에 턴온되지 않으면 다음에 턴온될 때까지 지연될 수 있다. 또, 복사의 시작시에 배터리 구동모드에 있으면, 이 처리는 다음에 외부전원장치가 있을 때가지 지연될 수 있다.
또, 일정시간간격보다는 트리거로 휴대용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통신상태나 전력공급상태의 천이를 이용하여, 저장처리를 시작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턴온시, 배터리 구동모드로부터 외부 AC구동모드로의 천이시, 다른 정보처리장치와의 통신시 등에 실행될 수 있다.
또, 복사가 시도될 때 캐시(17)에 충분히 빈 용량이 없는 경우, 디스크장치 (16)에 저장되고 캐시(17)에는 저장되지 않는 파일의 우선순위레벨을 캐시에 이미 저장된 파일의 우선순위레벨과 비교할 수 있고, 만일 캐시(17)에 저장된 파일이 우선순위레벨이 더 낮다면, 이 파일은 삭제될 수 있으며, 디스크장치(16)에 저장되는 높은 우선순위레벨을 갖는 파일은 복사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크장치(16)로의 재기록은, 캐시(17)에서 낮은 우선순위레벨을 갖는 파일이 업데이트되면 실행될 것이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시스템(18)의 기능에 의해 저소비전력과 대기억용량 모두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성을 방해하는 일없이 충분한 데이터 기억용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파일시스템(18)은 컴퓨터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파일시스템(18)은 기록매체나 통신매체를 매개로 통상의 정보처리장치에 도입되어 이용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그 결과, 이 실시예의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본 파일시스템(18)을 간단히 도입함으로써, 파일을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메모리와 디스크장치를 갖춘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디스크장치(16)로부터 선택된 파일의 복사본이 보조메모리 (17)에서 생성되는 경우에 주로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보조메모리(17)는 디스크장치(16)에 대한 캐시로서 이용되고 있지만, 디스크장치(16)와 보조메모리(17)에 서로 다른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크장치(16)와 보조메모리(17)는 기억장치계층의 점에서 보면 보조기억장치로서 기능할 것이다.
또, 주메모리(12)의 메모리영역의 일부분을 RAM 디스크 등으로 할당하고, 그 영역을 캐시로서 이용하거나, 자유로이 분리할 수 있는 방식으로 휴대용 정보처리 단말장치(10)상에 장착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등의 저장매체를 캐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디스크장치(16)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한정되지 않고,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나 위상이동타입 광디스크 드라이브도 디스크장치(16)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소비전력과 대기억용량 모두를 실현할 수 있게 되어,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10)의 휴대성을 방해하는 일없이 충분한 데이터 기억용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디스크장치의 활성화가 금지되는 기간동안 이용될 높은 확률을 갖는 것이 예측되는 이들 파일을 디스크장치로부터 메모리로 미리 판독함으로써, 휴대형정보처리 단말장치의 이용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크장치의 활성화가 금지되는 기간동안조차도 아무런 문제없이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설명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기술에 따라 프로그램된 통상적인 일반 목적 디지털 컴퓨터를 이용하여 컴퓨터 분야에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편리하게 수행되어질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적절한 소프트웨어 코딩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기초로 소프트웨어 분야에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통상적인 프로그래머에 의해 용이하게 준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설명한 실시예의 트랜잭션 처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형태로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본 발명의 개시된 기능 및 처리를 수행하도록 컴퓨터를 프로그램하는데 이용되는 저장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채용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일 수 있다. 저장매체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정 형태의 통상적인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CD-ROM, 광자기 디스크, ROM, RAM, EPROM, EEPROM, 자기 또는 광학 카드, 또는 전자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소비전력과 대기억용량 모두를 실현함으로써 휴대성을 방해하지 않고 충분한 데이터 기억용량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 및 그 파일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1메모리와,
    상기 제1메모리보다 더 큰 기억용량과 더 큰 소비전력을 갖고, 복수의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2메모리,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판독하여 처리하고, 원하는 파일이 상기 제1메모리에 없을 때 상기 제2메모리에 접근하도록 구성된 처리유닛,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유닛,
    판단유닛이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메모리의 활성화를 금지시키도록 구성된 금지유닛 및,
    상기 제2메모리의 활성화가 상기 금지유닛에 의해 금지되는 기간동안 접근될 가능성이 기대되는 지정파일을 선택하여, 지정파일을 상기 제1메모리에 미리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모리는 디스크 메모리장치가 아니고, 상기 제2메모리는 디스크메모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메모리의 활성화가 상기 금지유닛에 의해 금지되지 않는 기간동안,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파일로부터 지정파일을 선택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지정파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 외의 특정 정보장치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데이터파일 및/또는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데이터파일을 상기 지정파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메모리의 활성화가 상기 금지유닛에 의해 금지되지 않는 기간동안,상기 처리유닛에 의해 이용될 높은 확률을 갖도록 기대되는 이들 파일을 높은 우선순위의 지정파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유닛은,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가 배터리를 이용하여 작동되면,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유닛은,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면,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유닛은,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데 이용된 통신채널의 형태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를 매개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와 접속되어 있는 대응하는 것에 따라,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유닛은, 상기 제2메모리의 활성화가 상기 금지유닛에 의해 금지되는 기간동안, 상기 처리유닛에 의해 상기 제2메모리에 대한 접근이 일어나면,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있다고 일시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유닛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지유닛에 의한 상기 제2메모리의 활성화 금지를 해제시킨 후에, 상기 제2메모리의 활성화가 상기 금지유닛에 의해 금지되는 기간동안 업데이트되는 상기 제1메모리상의 이들 파일을 지정 타이밍으로 상기 제2메모리에 재기록하도록 구성된 재기록유닛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단말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파일 각각이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될 파일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메모리이 활성화가 상기 금지유닛에 의해 금지되지 않는 기간동안,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될 파일로서 판단되는 이들 파일을 상기 제2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메모리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14.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1메모리와, 제1메모리보다 더 큰 기억용량과 소비전력을 갖고, 복수의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2메모리를 갖춘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파일관리방법에 있어서,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가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2메모리의 활성화를 금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메모리의 활성화가 상기 금지단계에 의해 금지되는 기간동안 접근될 가능성이 기대되는 지정파일을 선택하여, 지정파일을 상기 제1메모리에 미리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관리방법.
  15.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1메모리와, 제1메모리보다 더 큰 기억용량과 소비전력을 갖고, 복수의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2메모리를 갖춘 정보처리 단말장치의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파일관리방법으로서 컴퓨터가 기능하게 하기 위해, 거기에 구체화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갖춘 컴퓨터 이용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컴퓨터가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의 유무를 판단하게 하기 위한 제1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제1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외부전원장치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면,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2메모리의 활성화를 금지시키게 하기 위한 제2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제2메모리의 활성화가 상기 제2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금지되는 기간동안 억세스될 가능성이 기대되는 지정파일을 상기 컴퓨터가 선택하여, 상기 지정파일을 상기 제1메모리에 미리 저장하게 하기 위한 제3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이용가능 매체.
KR1020000057320A 1999-09-30 2000-09-29 저소비전력과 대기억용량을 갖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 KR100360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78260 1999-09-30
JP27826099A JP3756708B2 (ja) 1999-09-30 1999-09-30 情報処理端末装置およびそのファイル管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261A true KR20010067261A (ko) 2001-07-12
KR100360154B1 KR100360154B1 (ko) 2002-11-07

Family

ID=1759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320A KR100360154B1 (ko) 1999-09-30 2000-09-29 저소비전력과 대기억용량을 갖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415359B1 (ko)
EP (1) EP1089159A3 (ko)
JP (1) JP3756708B2 (ko)
KR (1) KR100360154B1 (ko)
CN (1) CN1197021C (ko)
TW (1) TW4840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197B1 (ko) * 2006-11-23 2014-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메모리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6708B2 (ja) * 1999-09-30 2006-03-1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端末装置およびそのファイル管理方法
JP3998405B2 (ja) * 2000-07-28 2007-10-24 富士通株式会社 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記憶装置
JP4734750B2 (ja) * 2001-04-16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016610B2 (ja) * 2001-05-11 2007-12-0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階層ディレクトリ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検索装置、検索プログラム、及び検索方法
US7769823B2 (en) 2001-09-28 2010-08-03 F5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requests for content
US7370217B2 (en) * 2001-11-16 2008-05-06 Intel Corporation Regulating file system device access
JP2004021669A (ja) * 2002-06-18 2004-01-22 Sanyo Electric Co Ltd 転送制御システム、転送制御装置、記録装置および転送制御方法
US7072637B2 (en) * 2002-07-18 2006-07-0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rranging frequently accessed data to optimize power consumption
JP4147877B2 (ja) * 2002-09-20 2008-09-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213085B2 (en) 2002-11-15 2007-05-01 Microsoft Corporation Use of a media cache for subsequent copying acceleration
DE60305980T2 (de) * 2002-12-30 2007-01-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fzeichnungsapparat für optischen datenträger
US7100062B2 (en) * 2003-01-28 2006-08-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management controller and method
US7647585B2 (en) * 2003-04-28 2010-01-12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ct patterns in programs
US7774759B2 (en) * 2003-04-28 2010-08-10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ct a macroscopic transaction boundary in a program
JP4266725B2 (ja) 2003-06-27 2009-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憶システム
EP1650665B1 (en) * 2003-07-24 2012-07-11 Panasonic Corporation File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GB0320142D0 (en) * 2003-08-28 2003-10-01 Ibm Data storage systems
US8392655B2 (en) * 2003-09-30 2013-03-05 Lenovo (Singapore) Pte Ltd. Apparatus for reducing accesses to levels of a storage hierarchy in a computing system
TW200518070A (en) * 2003-10-10 2005-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US20050138296A1 (en) * 2003-12-18 2005-06-23 Coulson Richard L. Method and system to alter a cache policy
US7480749B1 (en) * 2004-05-27 2009-01-20 Nvidia Corporation Main memory as extended disk buffer memory
US20060157115A1 (en) * 2005-01-11 2006-07-20 Andrew Dorogi Regulator with belleville springs
JP4561462B2 (ja) * 2005-05-06 2010-10-13 富士通株式会社 ダーティデータ処理方法、ダーティ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ダーティ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US20070073989A1 (en) * 2005-08-31 2007-03-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data storage and management
US7739662B2 (en) 2005-12-30 2010-06-15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analyze processor systems
JP4757038B2 (ja) * 2006-01-25 2011-08-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システム及び記憶制御装置
JP4783646B2 (ja) * 2006-02-08 2011-09-28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2008140076A (ja) * 2006-11-30 2008-06-19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KR20090102789A (ko) * 2006-12-06 2009-09-30 퓨전 멀티시스템즈, 인크.(디비에이 퓨전-아이오) 프로그레시브 raid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7711894B1 (en) * 2007-02-12 2010-05-04 Juniper Networks, Inc. Dynamic disk throttling in a wide area network optimization device
JP4388117B2 (ja) * 2007-12-06 2009-12-24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2009158011A (ja) * 2007-12-26 2009-07-16 Toshiba Corp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JP5209993B2 (ja) * 2008-03-03 201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945257B (zh) * 2008-11-10 2017-08-25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向客户端提供数据的方法
US20110047316A1 (en) * 2009-08-19 2011-02-24 Dell Products L.P. Solid state memory device power optimization
JP2011145838A (ja) * 2010-01-13 2011-07-28 Toshiba Corp 記憶装置管理装置および記憶装置の管理方法
WO2011121869A1 (ja) * 2010-03-29 2011-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アクセス場所選択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35918B2 (ja) * 2010-03-29 2012-05-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装置
US8849775B2 (en) * 2010-12-15 2014-09-30 Yahoo! Inc. Caching web documents in two or more caches
WO2013018808A1 (ja) * 2011-08-02 2013-02-07 日本電気株式会社 分散ストレージ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40281604A1 (en) * 2013-03-15 2014-09-18 Charles Robert Martin Autonomous Power Sparing Storage
US9886207B2 (en) * 2014-09-16 2018-02-06 Mediatek Inc. Memory-access method using batch command queue and associated controller
US9892029B2 (en) 2015-09-29 2018-0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xpanding the scope of systems management applications by runtime independence
US9996397B1 (en) 2015-12-09 2018-06-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device function aggregation
US9939873B1 (en) 2015-12-09 2018-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onfigurable backup and caching devices
US10170908B1 (en) 2015-12-09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device control and management
US10346044B2 (en) * 2016-04-14 2019-07-0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Preloading of directory data in data storag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103A (en) * 1987-12-07 1991-01-08 Fujitsu America, Inc. Method for reading/writing for a floppy disc drive with buffer memory
JP3096489B2 (ja) * 1991-07-09 2000-10-10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EP0525800A2 (en) * 1991-08-02 1993-02-03 Nippon Steel Corporation Battery-powered computer
US5517649A (en) * 1994-04-19 1996-05-14 Maxtor Corporation Adaptive power management for hard disk drives
US5481733A (en) * 1994-06-15 1996-01-02 Panasonic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naging the power distributed to a disk drive in a laptop computer
US5574920A (en) * 1994-10-25 1996-11-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down of a hard disk drive in a computer
US5774292A (en) * 1995-04-13 1998-06-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k drive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5828643A (en) * 1995-06-20 1998-10-27 Sankyo Seiki Mfg. Co., Ltd. Optical pickup head apparatus
US5682273A (en) * 1995-06-30 1997-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k drive for portable computer with adaptive demand-driven power management
JPH09138716A (ja) * 1995-11-14 1997-05-27 Toshiba Corp 電子計算機
GB2310513B (en) * 1996-02-20 2000-02-16 Ibm Computer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KR970066826A (ko) * 1996-03-13 1997-10-13 김광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원 절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480415B1 (ko) * 1996-08-14 2005-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씨디-롬(cd-rom) 드라이브의 동작상태 체크방법
US6173410B1 (en) * 1996-08-21 2001-01-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icroprocessor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ing information prefetching based on resource burden
JPH10190564A (ja) * 1996-12-27 1998-07-21 Sony Corp 携帯電話システムの端末装置及び受信方法
US6105142A (en) * 1997-02-11 2000-08-15 Vlsi Technology, Inc. Intelligent power management interface for computer system hardware
US5905900A (en) * 1997-04-30 1999-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client computer and power management architecture
US6098064A (en) * 1998-05-22 2000-08-01 Xerox Corporation Prefetching and caching documents according to probability ranked need S list
US6134167A (en) * 1998-06-04 2000-10-1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computer memory
JP3756708B2 (ja) * 1999-09-30 2006-03-1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端末装置およびそのファイル管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197B1 (ko) * 2006-11-23 2014-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메모리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23094B2 (en) 2003-02-18
EP1089159A2 (en) 2001-04-04
CN1290893A (zh) 2001-04-11
JP3756708B2 (ja) 2006-03-15
TW484052B (en) 2002-04-21
US20020169928A1 (en) 2002-11-14
US6415359B1 (en) 2002-07-02
KR100360154B1 (ko) 2002-11-07
JP2001100921A (ja) 2001-04-13
CN1197021C (zh) 2005-04-13
EP1089159A3 (en)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154B1 (ko) 저소비전력과 대기억용량을 갖춘 휴대형 정보처리 단말장치
EP15109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ooting operation of a computer system
KR100470413B1 (ko) 대용량 메모리 저장 장치 분할 방법
EP2180422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042660B2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
US7694087B2 (en) Duplicate data storing system, duplicate data storing method, and duplicate data storing program for storage device
EP1956491B1 (en) Data processing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or, and data processing control system
JP4776405B2 (ja) 外部ストレージ装置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
JP4757066B2 (ja) 利用者端末における二次記憶装置の管理方法及び利用者端末
US8838926B2 (en) Interacting with data in hidden storage
AU2782289A (en) Computer program license management system
JP2006178983A (ja) バッファメモリに貯蔵されたデータを無効化させるスキームを有する貯蔵システム及びそれを含んだ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
JP2005157882A (ja) ディスクアレイ装置及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の制御方法
JPH09128276A (ja) 計算機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ファイル管理方法
US7451279B2 (en) Storage system comprising a shared memory to access exclusively managed data
JP4749766B2 (ja) 情報記憶装置及び情報記憶方法
JP5526540B2 (ja) 画像処理装置、アクセス制御方法、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JP2006126919A (ja) フラッシュメモリの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フラッシュメモリの制御方法
JP5295046B2 (ja) 利用者端末装置及び利用者端末装置の制御方法
JPH10124359A (ja) キャッシュ選択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3613336B2 (ja) ファイルアクセス制御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1084115A (ja) 情報記録制御システムおよび情報記録制御方法
AU618056B2 (en) Computer program license management system
JP2009301222A (ja) 記録メディア、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