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6395A - 천정 및 벽면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및 그 시공법 - Google Patents

천정 및 벽면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및 그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6395A
KR20010066395A KR1019990068104A KR19990068104A KR20010066395A KR 20010066395 A KR20010066395 A KR 20010066395A KR 1019990068104 A KR1019990068104 A KR 1019990068104A KR 19990068104 A KR19990068104 A KR 19990068104A KR 20010066395 A KR20010066395 A KR 20010066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layer
wall
ceiling
retarda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알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알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1019990068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6395A/ko
Publication of KR2001006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39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05D7/58No clear coat specified
    • B05D7/584No clear coat specified at least some layers being let to dry, at least partially, before applying the next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6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9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multicolour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10Metallic substrate based on 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20Metallic substrate based on light metals
    • B05D2202/25Metallic substrate based on light metals based on 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연습장, 오락실 등 다중이용업의 출입복도와 실내의 천정과 벽면을 동굴과 같은 자연미가 표출될 수 있도록 장식하기 위한 난연성 장식마감재 및 그 시공법에 관한 것으로, 원하는 높낮이로 울퉁불퉁한 요철형상으로 구겨진 금속 그물망체와, 주재료인 핸디코트 라이트와 부재료인 시멘트 그리고 소량의 화이버글라스를 선택적으로 첨가하여 적당량의 물로서 묽은 죽상태로 반죽된 난연도포제를 상기 금속 그물망체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난연재층 및 상기 복수의 난연재층의 표면에 수성페이트로서 밝고 어두운 색상으로 명암처리되는 명암층으로 구성하여 동굴내부의 형상과 모양과 같은 자연미를 나타내면서 화재의 위험이 없고 화염에 의한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화재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난연성 장식마감재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천정 및 벽면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및 그 시공법{Decoration finishing materials in nature of hard combustion for ceiling and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work thereof}
본 발명은 노래연습장, 오락실 등 다중이용업의 출입복도와 실내의 천정 및 벽면을 동굴과 같은 자연미가 표출될 수 있도록 장식하기 위한 난연성 장식마감재 및 그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연습장에서는 오래된 노래에서부터 최신 노래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을 뿐 아니라 노래방기기에 많은 비용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노래연습장에서의 실내장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즐겁고 유쾌한 기분으로 노래를 부르고 즐길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종래의 노래연습장은 비교적 큰 실내공간을 간막이를 사용하여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여러개의 노래연습실을 만든 다음 구획된 각각의 노래연습실에 노래방기기를 설치하고 있으며, 각 노래연습실 내부의 천정과 벽면은 벽지나 액자 또는 사진 등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있으나, 이러한 노래연습장은 큰 공간의 실내가 단순히 간막이에 의하여 작은 공간으로 구획된 여러개의 노래연습실들은 획일적인 구조로 만들어지고 있고 또 각 노래연습실의 천정과 간막이 벽면 모두가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래연습실의 실내를 보다 아름답고 자연적인 미가 표출되게 장식할 수 없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 와서는 노래연습장의 넓은 실내공간에 독립적으로 제작되고 또 내·외부는 고대의 공룡화석형상이나 분화구형상, 동굴내부형상 또는 외계인의 형상 등이 조각된 자연적인 미를 표출시킬 수 있도록 장식된 돔형의 노래연습실을 설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느낌의 분위기에서 노래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소개되고 있다.
콘크리트 건물의 넓은 실내공간을 노래연습장으로 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독립적으로 제작된 여러개의 돔형의 노래연습실을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각 돔형의 노래연습실 자체는 그 내·외부에 장식된 조각의 형상 및 모양에 의하여 다양한 자연미를 표출하는데 비하여 노래연습장의 천정과 벽면은 평면적인 구조이므로 돔형의 노래연습실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노래연습장의 천정과 벽면을 동굴내부와 같은 형상과 모양으로 만들기 위하여 최근에는 천정과 벽면에 우레탄 폼과 핸디코트 라이트(대리석가루에 수성아크릴본드를 혼합 반죽하여 벽면 등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것으로 난연성 제품임 : 테라코사 제품)라는 재료를 사용하여 실내를 장식하고 있는 바, 이러한 실내장식은 천정과 벽면에 우레탄 폼을 뿌려 발포시킨 다음 그 위에 핸디코트 라이트를 울퉁불퉁하게 도포하는 방식과, 천정과 벽면에 나이론망사를 설치한 다음 상기 나이론망사에 우레탄 폼을 적당한 두께로 뿌려 발포시키고 그 위에 핸디코트 라이트를 도포하여 마감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한 전자의 방식은 평면상으로 된 천정과 벽면에 직접 시공하기 때문에 동굴내부형상과 비슷하도록 노래연습장 내부를 아아치형이 되게 우레탄 폼으로 소정의 두께가 형성되게 할 경우에는 우레탄 폼 원자재가 많이 들고 또한 유기질인 우레탄 폼 위에 무기질인 핸디코트 라이트를 직접 도포할 경우에는 잘 접착이 되질 않아 시공상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기 때문에 시공비가 비싸지게 될 뿐 아니라 시공기간도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한 후자의 방식은 나이론망사를 아치형으로 설치한 다음 우레탄 폼을 발포시킨 다음 핸디코트 라이트를 도포하므로 우레탄 폼은 전자의 방식보다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상기한 나이론망사 자체는 굴곡도가 매우 완만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나이론망사에 도포되는 우레탄 폼과 핸디코트 라이트 역시 완만한 굴곡도로 도포될 수 밖에 없으므로 동굴내부와 같은 모양으로 장식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나이론망사에 우레탄 폼을 부분적으로 두텁게 발포하는 수단으로 급격한 요철모양으로 골곡지게 형성시킬 수 있다는 것이 제안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우레탄 폼의 특성상 발포 후 완만하게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동굴내부의 바위모양과 같이 날카로운 요철모양으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작업현장에서 이를 적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우레탄 폼과 핸디코트 라이트의 시공법은 석유화학제인 우레탄 폼의 화염전도성과 화염에 의한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성질이 있어 질식사를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을 뿐 아니라 우레탄 폼 위에 난연성인 핸디코트 라이트로 마감처리되어 있다 하더라도 화염의 열기가 우레탄 폼에 전달되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과 유독가스의 발생은 항시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 천정과 벽면을 동굴내부형상으로 장식하는 장식마감재 자체를 불연성 재질과 난연성 재질만으로 구성된 마감재료를 사용하므로서 화재로부터 안전성을 도모하고 나아가 자연상태의 동굴내부와 같은 형상 및 모양으로 장식할 수 있는 난연성 장식마감재와 상기한 난연성 장식마감재의 시공법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난연성 장식마감재의 구성은,
원하는 높낮이로 울퉁불퉁한 요철형상으로 구겨진 금속 그물망체와;
주재료인 핸디코트 라이트와 부재료인 시멘트 그리고 소량의 화이버글라스를 선택적으로 첨가하여 적당량의 물로서 묽은 죽상태로 반죽된 난연도포제를 상기 금속 그물망체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복수의 난연재층을 형성시켜서 되는 다중겹난연재층과;
상기 다중겹난연재층의 표면에 수성페이트로서 밝고 어두운 색상으로 명암처리되는 명암층;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난연성 장식마감재의 시공법은,
건물의 실내 천정과 벽면에 적당한 간격으로 앵커를 수직 및 수평상으로 고정 부착시키는 앵커 설치단계와;
금속 그물망체를 부분적으로 구겨서 원하는 높낮이를 갖는 요철형상이 형성되게 한 다음 이를 상기 천정과 벽면에 부착된 각각의 앵커에 동굴모양과 같이 터널형이나 돔형으로 부착시키되 금속 그물망체의 각 끝단부는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석고반죽물로 덧씌우면서 부착하여 은폐시키는 금속 그물망체 설치단계와;
핸디코트 라이트를 주재료로 하고 일반시멘트와 화이버글라스를 부재료로 하는 1차 난연도포제를 물로 혼합 반죽한 다음 이를 에어스프레이건으로 스프레이하여 터널형이나 돔형으로 설치된 상기 금속 그물망체의 요철면에 적당한 두께로 고르게 도포하여 1차 난연재층을 경화시키는 1차 난연재층 도포작업과, 핸디코트 라이트를 주재료로 하고 백시멘트를 부재료로 하는 2차 난연도포제를 물로 혼합 반죽하여 에어스프레이건으로 스프레이하여 상기 1차 난연재층의 요철면에 적당한 두께로 고르게 재차 도포하여 2차 난연재층을 형성시키는 2차 난연재층 도포작업을 반복하여 복수의 난연재층을 형성시키는 다중겹난연재층 설치단계; 및
수성용 페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다중겹난연재층 표면의 요철면을 밝고 어두운 상태로 명암처리하여 명암층을 형성시키는 명암처리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장식마감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난연성 장식마감재 2 : 금속 그물망체
3a,3b,3c : 1차 내지 3차 난연재층
4 : 명암층 5a : 천정앵커
5b : 벽면앵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설치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난연성 장식마감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난연성 장식마감재(1)는 철망 또는 알루미늄망으로 된 금속 그물망체(2)와 그 일면에 복수층으로 도포되어 건조 및 경화된 다중겹난연재층(3)과 상기 다중겹난연재층(3)의 표면에 수성페인트로 밝고 어두운 색상으로 도포되어 명암처리된 명암층(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 그물망체(2)는 원하는 높낮이를 가지며 바위모양과 같이 요철형상으로 울퉁불퉁하게 구겨진 상태에서 건물실내의 천정과 벽면에 돔형 또는 터널형으로 설치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요철형상으로 설치된 금속 그물망체(2)에 상기 다중겹난연재층(3)이 도포되는 것이다.
상기 다중겹난연재층(3)은 적당한 두께로 도포되어 경화되는 1차 난연재층(3a)과 2차 난연재층(3b)만으로 마감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2차 난연재층(3b)에 3차 난연재층(3c) 또는 그 이상의 난연재층을 도포하여 건조 및 경화시키는 마감구조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다중겹난연재층(3)을 구성하고 있는 1차 내지 3차 난연재층(3a)(3b)(3c) 각각은 핸디코트 라이트(상품명 : 테라코사 제품)를 주재료로 하는 것이며, 상기 핸디코트 라이트 재료는 대리석가루에 액상의 수성아크릴접착제가 혼합되어 죽과 같이 반죽된 상태로서 도포된 후 경화하게 되면 난연성의 성질을 같는 무기질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1차 내지 3차 난연재층(3a)(3b)(3c)들 각각은 주재료인 핸디코트 라이트에 부재료가 적당비율로 혼합된 것인데, 상기 1차 난연재층(3a)의 경우는 일반시멘트와 화이버글라스를 부재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2차 및 3차 난연재층(3b)(3c)의 경우는 백시멘트를 부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하 상기 난연성 장식마감재(1)의 다중겹난연재층(3)을 구성하는 각 난연재층을 형성하기 위한 난연도포제의 주재료와 부재료 혼합비율과 난연성 장식마감재를 설치하는 시공법을 설치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앵커 설치단계)
이 단계는 난연성 장식마감재(1)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천정과 벽면에 천정앵커(5a)와 벽면앵커(5b)를 수직 및 수평상으로 고정 부착시키는 단계로서,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앵커(5a)는 난연성 장식마감재(1)의 설치높이에 따라 수직으로 고정 부착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천정앵커(5a)는 난연성 장식마감재(1)를 안정되게 붙잡아 줄 수 있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두고 설치되고 또 천정앵커(5a)의 길이는 천정과 설치하고자 하는 난연성 장식마감재(1)간의 간격에 알맞는 길이로 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앵커(5b)는 천정앵커(5a)로 지지할 수 없는 부분으로서 벽면 쪽에 설치되는 난연성 장식마감재(1)를 지지할 수 있도록 벽면에 고정 부착되는 것이며, 상기 벽면앵커(5b)의 길이 역시 벽면과 난연성 장식마감재(1)의 간격에 알맞는 길이를 갖는 것이 사용된다.
상기한 천정 및 벽면앵커(5a)(5b)는 설치하고자 하는 난연성 장식마감재(1)의 중량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것이면 만족하므로 작업현장의 여건에 따라 목제 또는 금속제로 된 앵커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금속 그물망체 설치단계)
일정규격으로 제조된 다수의 금속 그물망체 각각을 전후좌우로 서로 맞대어 놓고 철사로 연속해서 엮어주고 이어서 그 엮은 부분을 발로 밟아서 철사가 펴지도록 하여 서로 엮어진 금속 그물망체간의 이음새가 잘 나타나지 않게 한 다음 작업자가 손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 그물망체(2)를 구겨서 요철형상으로 만드는 것이며, 상기한 요철형상은 동굴내부의 형상과 같이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오고 들어간 모양을 갖도록 구기는 것인데, 이때 튀어나오게 구겨진 돌부들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전체적으로 조잡해 보일 수 있는 반면에 돌부간의 간격이 너무 넓게 구겨진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밋밋하게 보일 수 있으므로 동굴내부의 형상과 같이 요철형상을 표출시킬 수 있도록 적당한 높이와 깊이를 갖도록 금속 그물망체(2)를 구겨준다.
상기와 같이 금속 그물망체(2)를 요철형상으로 구긴 다음에는 천정의 중앙부위를 기준하여 금속 그물망체(2)를 사방으로 설치한다.
즉, 천정의 중앙부위에 설치된 천정앵커(5a)를 기준하여 구겨진 금속 그물망체(2)를 고정 부착시킨 다음 그 중앙부위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천정앵커(5a)에 금속 그물망체(2)를 고정 부착시키면서 점차적으로 사방 벽면쪽으로 부착시키는 것이며, 금속 그물망체(2)를 천정앵커(5a) 모두에 고정 부착시킨 다음에는 벽면앵커(5b)에 고정 부착시키는데 이 경우에도 높은 위치에 있는 벽면앵커(5b)부터 부착시키는 것이며, 금속 그물망체(2)의 사방 가장자리는 벽면에 밀착시킨 다음 타정못 등으로 고정시키는데, 이때에는 금속 그물망체(2)의 사방 가장자리를 두께가 얇고 폭이 좁은 나무판재를 이용하여 그 가장자리를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무판재를 타정못으로 벽면에 부착시키게 되면 금속 그물망체(2)의 사방 가장자리는 벽면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후 금속 그물망체(2)의 사방 가장자리와 나무판재 위에 석고반죽물을 도포하여 금속 그물망체(2)의 사방 가장자리를 은폐시키게 되면 금속 그물망체(2)의 설치단계가 종료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요철형상으로 구겨진 금속 그물망체(2)를 천정앵커(5a)와 벽면앵커(5b)에 고정 설치할 때 요철형상으로 구겨진 부분이 펴지거나 또는 더 구겨지지 않도록 주위하면서 설치하여야 한다.
(다중겹난연재층 설치단계)
이 다중겹난연재층 설치단계는 1차 난연재층 도포작업과 2차 난연재층 도포작업으로 이루지거나 또는 필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3차 난연재층 도포작업을 시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 1차 난연재층 도포작업
이 작업에서 사용되는 1차 난연도포제의 성분과 그 혼합비율은 다음과 같다.
중량비를 기준하여 핸디코트 라이트 70∼85%(바람직하게는 77%), 일반시멘트 10∼20%(바람직하게는 15%), 화이버글라스 2∼5%(바람직하게는 3%), 물 4∼8%(바람직하게는 5%)를 혼합 반죽하여 죽상태로 된 1차 난연도포제를 펄라이트 건 또는 에어리스 건 등의 에어스프레이 건을 이용하여 전 단계에서 천정과 벽면에 설치된 구겨진 금속 그물망체(2)에 스프레이하여 도포하는 것이며, 이때의 금속 그물망체(2)에 스프레이되어 도포되는 1차 난연도포제의 두께는 2mm 이상이 되게 도포하는 것인데, 천정부분의 경우에는 5mm 이상으로 도포되면 1차 난연도포제가 탈락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천부분은 2∼4mm 정도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편 벽면부분의 경우 위부분은 2∼4mm 정도의 두께로 도포하고 밑으로 내려갈수로 점차로 두텁게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벽면의 아랫부분은 사람의 손이 닿을수 있는 부분이므로 강도를 높여서 사람이 손으로 압력을 가하더라도 부서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에서 1차 난연도포제가 도포되는 두께의 기준치는 금속 그물망체(2)의 요철형상의 표면 중에서 완만한 굴곡면을 갖는 부분에 도포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며, 요철형상의 표면 중 굴곡이 심한 부분은 5mm 이상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으며, 심하게 굴곡진 부분에 1차 난연도포제가 5mm 이상으로 두텁게 도포되더라도 탈락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겨진 금속 그물망체(2)에 2∼4mm 정도의 두께로 도포된 1차 난연도포제가 완전히 굳게 되면 1차 난연재층(3a)의 도포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 2차 난연재층 도포작업
이 작업에서 사용되는 2차 난연도포제의 성분과 그 혼합비율은 다음과 같다.
중량비를 기준하여 핸디코트 라이트 70∼82%(바람직하게는 76%), 백시멘트 14∼22%(바람직하게는 18%), 물 4∼8%(바람직하게는 6%)를 혼합 반죽하여 죽상태의 2차 난연도포제를 얻은 다음 이를 전 도포작업과 같이 에어스프레이 건을 이용하여 1차 난연재층(3a) 위에 도포하는데, 이 도포작업에서도 1차 난연재층(3a)에 도포되는 2차 난연도포제의 두께는 천정부분을 기준하여 2mm 이상이 되게 도포하는 것인데, 천정부분의 경우는 2∼4mm 정도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벽면부분의 경우는 그 아랫부분이 사람의 손이 닿을수 있는 부분이므로 벽면의 윗부분은 2∼4mm 정도의 두게로 도포하면서 밑으로 내려갈수록 점차로 두텁게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1차 난연재층(3a) 위에 2mm 이상의 두께로 도포된 2차 난연도포제가 완전히 굳어 2차 난연재층(3b)이 형성되면 2차 난연재층 도포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1차 및 2차 난연재층 도포작업에 의하여 설치된 1차난연재층(3a)과 2차 난연재층(3b)이 소정의 강도를 지니게 될 경우에는 3차 난연재층(3c)의 도포단계를 시행하지 않고 곧바로 명암처리단계를 시행하여 난연성 장식마감재의 설치를 완료하는 것이며, 상기한 1차 및 2차 난연재층(3a)(3b)이 소정의 강도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3차 난연재층(3c)의 도포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 3차 난연재층 도포작업
이 작업에서 사용되는 3차 난연도포제의 성분과 그 혼합비율은 다음과 같다.
중량비를 기준하여 핸디코트 라이트 50∼70%(바람직하게는 60%), 백시멘트 20∼40%(바람직하게는 30%), 물 5∼18%(바람직하게는 9%), 바탕색소(나머지 분량%)를 혼합 반죽하여 죽상태의 3차 난연도포제를 얻은 다음 이를 전 단계와 마찬가지로 에어스프레이 건을 이용하여 2차 난연층(4) 위에 2mm 이상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인데, 이때에도 천정부분은 3차 난연도포제를 2∼4mm 정도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벽면부분의 경우 윗부분은 2∼4mm 정도의 두께로 도포되게 하는 한편 밑으로 내려갈수록 점차로 두텁게 도포하여 사람의 손이 닿을 수 있는 높이는 강도를 높여준다.
상기에서 3차 난연도포제에 소량(전체중량에 대하여 1∼2% 정도) 첨가되는 바탕색소는 3차 난연재층(3c) 자체가 유색을 띠게 하므로서 다음 단계의 명암처리단계에서 밝고 어두운 명암이 잘 표현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명암처리단계)
이 단계는 난연성 장식마감재(1)의 설치를 완성하는 단계로서, 상기의 다중겹난연재층 설치단계에서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2차 난연재층(3b) 또는 3차 난연재층(3c)의 표면을 유색의 수성페인트로 밝고 어두운 색상을 도포하여 마치 동굴내부와 같이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온 돌들에서 느낄 수 있는 명암을 나타내도록 명암층(5)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 명암처리단계를 끝으로 난연성 장식마감재의 설치는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노래연습장의 천정과 벽면에 돔형이나 터널형으로 설치된 난연성 장식마감재는 소성물질인 금속 그물망체를 요철형상이 되게 울퉁불퉁하게 구겨진 상태에서 스프레이되는 난연도포제를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작업을 반복하는 수단으로 상기 구겨진 금속 그물망체에 복수층으로 형성되는 다중겹난연재층을 동굴내부의 형상 및 모양과 같이 울퉁불퉁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금속 그물망체는 불연성이고 또한 다중겹난연재층은 난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화재의 위험이 없을 뿐 아니라 화재시 화염에 의한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으므로 노래연습장 또는 오락실 등에 실내 마감재로서 설치할 경우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원하는 높낮이로 울퉁불퉁한 요철형상으로 구겨진 금속 그물망체와;
    주재료인 핸디코트 라이트와 부재료인 시멘트 그리고 소량의 화이버글라스를 선택적으로 첨가하여 적당량의 물로서 묽은 죽상태로 반죽된 난연도포제를 상기 금속 그물망체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형성되게 하는 복수의 난연재층과;
    상기 복수의 난연재층의 표면에 수성페이트로서 밝고 어두운 색상으로 명암처리되는 명암층;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및 벽면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2. 건물의 실내 천정과 벽면에 적당한 간격으로 앵커를 수직 및 수평상으로 고정 부착시키는 앵커 설치단계와;
    금속 그물망체를 부분적으로 구겨서 원하는 높낮이를 갖는 요철형상이 형성되게 한 다음 이를 상기 천정과 벽면에 부착된 각각의 앵커에 동굴모양과 같이 터널형이나 돔형으로 부착시키되 금속 그물망체의 각 끝단부는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석고반죽물로 덧씌우면서 부착하여 은폐시키는 금속 그물망체 설치단계와;
    핸디코트 라이트를 주재료로 하고 일반시멘트와 화이버글라스를 부재료로 하는 1차 난연도포제를 물로 혼합 반죽한 다음 이를 에어스프레이건으로 스프레이하여 터널형이나 돔형으로 설치된 상기 금속 그물망체의 요철면에 적당한 두께로 고르게 도포하여 1차 난연재층을 경화시키는 1차 난연재층 도포작업과, 핸디코트 라이트를 주재료로 하고 백시멘트를 부재료로 하는 2차 및 3차 난연도포제 각각을 개별적으로 물로 혼합 반죽한 다음 에어스프레이건으로 스프레이하여 상기 1차 난연재층의 요철면에 2차 및 3차 난연재층을 순차적으로 도포하는 2차 및 3차 난연재층 도포작업을 반복하여 복수의 난연재층을 형성시키는 다중겹난연재층 설치단계; 및
    수성용 유색페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2차 난연층의 요철면을 밝고 어두운 상태로 명암처리하여 명암층을 형성시키는 명암처리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실내에 난연성 장식마감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및 벽면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시공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난연재층은 중량을 기준하여 핸디코트 라이트 70∼85%, 일반시멘트 10∼20%, 화이버글라스 2∼5%, 물 4∼8%의 비율로 혼합된 1차 난연도포제를 요철형상으로 구겨진 금속 그물망체의 스프레이로 2mm 이상으로 도포한 후 건조 및 경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및 벽면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시공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난연재층은 중량을 기준하여 핸디코트 라이트 70∼82%, 백시멘트 14∼22%, 물 4∼8%의 비율로 혼합된 2차 난연도포제를 상기 1차 난연재층 표면에 스프레이로 2mm 이상으로 도포한 후 건조 및 경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및벽면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시공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난연재층은 중량을 기준하여 핸디코트 라이트 50∼70%, 백시멘트 20∼40%, 물 5∼18%, 바탕색소 나머지 분량%의 비율로 혼합된 3차 난연도포제를 상기 2차 난연재층 표면에 스프레이로 2mm 이상으로 도포한 후 건조 및 경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장식마감재 시공법.
KR1019990068104A 1999-12-31 1999-12-31 천정 및 벽면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및 그 시공법 KR20010066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104A KR20010066395A (ko) 1999-12-31 1999-12-31 천정 및 벽면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및 그 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104A KR20010066395A (ko) 1999-12-31 1999-12-31 천정 및 벽면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및 그 시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395A true KR20010066395A (ko) 2001-07-11

Family

ID=1963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104A KR20010066395A (ko) 1999-12-31 1999-12-31 천정 및 벽면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및 그 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639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475A (ko) * 1989-11-23 1991-06-28 이성학 F.r.p조경구조물 표면에 색상처리된 파일을 입히는 방법
KR910016514A (ko) * 1990-03-14 1991-11-05 김득일 인조바위 제조방법
KR960702880A (ko) * 1993-06-02 1996-05-23 클라우스 리테르 건축 자재(Building Component)
KR20000031214A (ko) * 1998-11-04 2000-06-05 김영근 건축물용 내외장판재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475A (ko) * 1989-11-23 1991-06-28 이성학 F.r.p조경구조물 표면에 색상처리된 파일을 입히는 방법
KR910016514A (ko) * 1990-03-14 1991-11-05 김득일 인조바위 제조방법
KR960702880A (ko) * 1993-06-02 1996-05-23 클라우스 리테르 건축 자재(Building Component)
KR20000031214A (ko) * 1998-11-04 2000-06-05 김영근 건축물용 내외장판재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87084B (zh) 一种纸面石膏板、其制备方法及其使用方法
EP2151330B1 (en) Method for obtaining a prefabricated panel for outdoor and indoor decoration
US5543185A (en) Artificial rock climb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CN101302880A (zh) 外隔热装饰加工方法及结构体
US20040128932A1 (en) Foam wall system
US3968274A (en) Textural panel
JP2000135471A (ja) 装飾材の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塗材
KR20010066395A (ko) 천정 및 벽면의 난연성 장식마감재 및 그 시공법
CA2511758A1 (en) Decorative exterior wall panel
JPH05186283A (ja) 擬岩の製造方法
KR200185761Y1 (ko) 건축용 천장패널
JP2006206369A (ja) 内装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Onderdonk The Ferro-concrete Style: Reinforced Concrete in Modern Architecture, with Four Hundred Illustrations of European and American Ferro-concrete Design
JPH03194057A (ja) 壁面施工法
KR100250968B1 (ko) 조립식 룸
JPH05263485A (ja) 内装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CN202131733U (zh) 阻燃型外墙保温装饰板
KR100226654B1 (ko) 건물의 내외장 마감방법
KR200186814Y1 (ko) 폐자재를 이용한 실내,외 조형장식물시공 구조
JPH0338346A (ja) 防水化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防水化粧シート複合パネル
CN2261924Y (zh) 复合防火装饰板
CN2323046Y (zh) 防火防水轻质增强装饰板
CN116988628A (zh) 一种真石漆施工工艺
KR101029200B1 (ko) 건축용 외장 판넬 및 그 시공방법
JPS63100983A (ja) 化粧面の形成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