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6168A -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 - Google Patents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6168A
KR20010066168A KR1019990067754A KR19990067754A KR20010066168A KR 20010066168 A KR20010066168 A KR 20010066168A KR 1019990067754 A KR1019990067754 A KR 1019990067754A KR 19990067754 A KR19990067754 A KR 19990067754A KR 20010066168 A KR20010066168 A KR 20010066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highway
time slot
dtmf
unit
announ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7044B1 (ko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9006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044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405Dual frequency signaling, DTM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교환기의 안내 방송 장치 및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수신 장치에서 사용하는 서브하이웨이를 절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교환기의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Subscriber : ASS-S)에 수용되는 안내 방송부(102)와 DTMF부(103)에는 송신 및 수신 서브하이웨이가 모두 배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량이 큰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경우 또는 특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로 구성시 서브하이웨이의 부족현상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교환기의 안내 방송부(202)와 DTMF부(203)에 있어서 타임 스위치(204)와 정합되는 서브하이웨이를 절감하도록 한다. 따라서, 안내 방송 장치 및 DTMF 장치의 유지 보수 기능도 그대로 수용할 수 있으면서도 서브하이웨이가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케이블 절감 및 타임 스위치(204)의 용량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APPARATUS FOR REDUCING SUBHIGHWAY OF EXCHANGE}
본 발명은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subhighway) 절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환기의 안내 방송 장치 및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수신 장치에서 사용하는 서브하이웨이를 절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사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Local and Global Service Interface : LGSI) 제어부(101), 안내 방송부(102), DTMF부(103), 및 타임 스위치(time switch)(104)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상위의 호 처리 소프트웨어에서 안내 방송 메시지를 특정 가입자에게 송출하라는 명령을 외부 버스를 통해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로 보낸다.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는 안내 방송부(102)의 여러 채널 예로, 32K 가입자 수용시 128 채널 중 가용한 채널을 통하여 필요한 안내 방송 송출을 로컬 버스(local bus)를 통해 안내 방송부(102) 내의 메모리로 명령한다.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는 상기 메모리를 주기적으로 검색함으로써 128ch에 대한 채널을 사용중인지 유휴(idle)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가용 채널을 관리한다.
안내 방송부(102)는 주기 예로, 128ms마다 128 채널에 대한 메모리를 검색하여 해당 채널에 메시지 송출 명령이 있을 경우 내부의 회로를 구동시켜 서브하이웨이의 해당 타임 슬롯(time slot) 즉, 해당 채널을 통해 요구되어진 안내 방송 메시지를 타임 스위치(104)로 전송한다. 안내 방송부(102)는 안내 방송 메시지를 타임 스위치(104)로 전송후 "송신중" 이라는 정보를 메모리에 라이트(write)하여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로 알려주며, 송신 완료후 에도 "완료"라는 정보를 메모리에 라이트하여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가 채널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위 호처리 소프트웨어는 타임 스위치(104)를 제어하여 안내 방송부(102)로부터 수신되는 채널을 필요한 가입자가 연결되어 있는 채널로 스위칭시킴으로써 가입자는 필요한 안내 방송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DTMF부(10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가입자가 DTMF 디지트를 누르면 호 처리 소프트웨어는 이를 인지하여 이 신호가 DTMF부(103)로 수신되도록 타임 스위치(104)를 스위칭시키며,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로 어느서브하이웨이 몇번째 채널로 DTMF 수신을 명령한다. 이때,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는 DTMF부(103)의 채널을 관리하여 상위 호처리 소프트웨어에게 정보를 줌으로써 가용 채널로 DTMF 신호가 스위칭되도록 한다.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는 DTMF부(103)에게 어떤 채널로 DTMF 신호가 수신된다는 정보를 로컬 버스를 통해 알려준다.
DTMF부(103)는 이 정보를 내부의 로컬 버스 정합 메모리를 주기적으로 검색함으로써 알 수 있는데, 이 정보가 수신되면 내부의 회로(DTMF 검출기)를 제어하여 디지트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다시 로컬 버스 정합 메모리에 라이트하여 결과를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로 보고한다.
상기 안내 방송부(102) 및 DTMF부(103)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수 있다.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는 안내 방송부(102) 및 DTMF부(103)를 제어하며, 각각의 채널별로 가용 및 비가용 등의 상태를 관리한다. 실제 서비스를 위하여 안내 방송부(102)는 메시지 송출만을, DTMF부(103)는 DTMF 신호 수신 만을 한다. 즉, 안내 방송부(102)는 송신 서브하이웨이, DTMF부(103)는 수신 서브하이웨이 만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든 교환기를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 방송부(102) 및 DTMF부(103) 각각에 송신/수신 서브하이웨이가 동시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송신/수신 서브하이웨이가 모두 있는 이유는 교환기는 모든 장치의 자동유지보수 기능이 있어 주기(통상 3 분)적으로 각 장치의 기능을 점검하기 때문이다. 즉, 안내 방송부(102)를 3 분마다 한 채널씩 주기적으로 시험하여 결과가 "NOK"일 경우 운용자 터미널을 통하여 장애 메시지(fault message)를 디스플레이하며, DTMF부(203) 또한 동일한다.
시험 방법은 DTMF부(103)의 경우 DTMF부(103) 내부에 송신 장치가 있는데, DTMF 신호를 해당 송신 서브하이웨이의 채널을 통하여 송신하면 타임 스위치(104)에서 루프백시켜, 다시 수신 서브하이웨이를 통하여 DTMF부(103)로 수신된다. DTMF부(103)는 이를 검출하여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로 보고하고,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는 "NOK"시 이 정보를 상위 운용유지보수 소프트웨어에게 보고하여 운용자 터미널로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안내 방송부(102)의 루프백 시험은, 안내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없으므로 임의의 테스트 패턴(test pattern) 신호(AA 또는 채널 번호)를 송출하여 타임 스위치(104)에서 루프백시켜 이 데이터를 검출하여 결과를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로 보고하며,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는 결과가 "NOK"시 상위 유지보수 소프트웨어에게 결과를 보고하여 운용자 터미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안내 방송부(102) 및 DTMF부(103)는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의 제어하에 주기적으로 채널별로 루프백 시험을 수행하며,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101)는 이들 장치(102, 103)의 채널별 상태 관리를 하여 현재 서비스 중인 채널은 시험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주기적인 자동시험 이외에 필요시 운용자가 운용자 터미널로 시험을 수행할 수있는데, 이때도 타임 스위치(104) 루프백 시험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운용 유지보수 기능 때문에 교환기의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Subscriber : ASS-S)에 수용되는 안내 방송부(102)와 DTMF부(103)에는 송신 및 수신 서브하이웨이가 모두 배정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다 보니 용량이 큰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경우 또는 특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로 구성시 서브하이웨이의 부족현상이 생기며, 특히 내장형 지능적 주변 장치(Intelligent Peripheral : IP)의 경우 안내방송 512 채널, DTMF 512 채널을 수용할 경우 서브하이웨이가 1024 채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서브하이웨이의 불필요한 사용을 줄여 효과적으로 사용할수 있다면 교환기의 구조설계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 방송부(102) 및 DTMF부(103)와 같이 송신 또는 수신 전용장치 인 경우 본 발명을 통하여 서브하이웨이를 반으로 줄여 효율적인 교환기 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교환기의 안내 방송부와 DTMF부에 있어서 타임 스위치와 정합되는 서브하이웨이를 절감하는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내 방송부 및 DTMF부와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접속하는 타임 스위치를 구비하는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방송부는, 안내 방송 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안내 방송 송출부; 특정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서브하이웨이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 1 타임 슬롯 제어부; 상기 제 1 타임 슬롯 제어부의 서브하이웨이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안내 방송 송출부의 출력을 상기 서브하이웨이로 제공하는 제 1 출력 제어부; 루프백 시험 기능을 수행하는 루프백 시험 검출부; 특정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서브하이웨이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 2 타임 슬롯 제어부; 상기 제 2 타임 슬롯 제어부의 서브하이웨이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루프백 시험 검출부로 제공하는 제 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사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내 방송부 및 DTMF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타임 슬롯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4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
202 : 안내 방송부
203 : DTMF부
204 : 타임 스위치
301, 311 : 제 1, 제 2 로컬 버스 메모리
302, 312 : 제 1, 제 2 중앙 처리 장치
303 : 안내 방송 송출부
304 : 루프백 시험 검출부
305, 306, 315, 316 : 제 1 내지 제 4 타임 슬롯 제어부
307, 308, 317, 318 : 제 1 내지 제 4 출력 제어부
313 : DTMF 송출부
314 : DTMF 검출부
401 : 래치부
402 : 데이터 변환부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음과 같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201), 안내 방송부(202), DTMF부(203), 및 타임 스위치(204)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내 방송부(202) 및 DTMF부(203)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안내 방송부(202)는 제 1 로컬 버스 메모리(301), 제 1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302), 안내 방송 송출부(303), 루프백 시험 검출부(304), 제 1, 제 2 타임 슬롯 제어부(305, 306), 및 제 1, 제 2 출력 제어부(307, 308)를 구비한다. DTMF부(203)는 제 2 로컬 버스 메모리(311), 제 2 중앙 처리 장치(312), DTMF 송출부(313), DTMF 검출부(314), 제 3, 제 4 타임 슬롯 제어부(315, 316), 및 제 3, 제 4 출력 제어부(317, 318)를 구비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평상시 안내 방송부(202) 내의 제 1 중앙 처리 장치(302)는 주기적으로 제 1 로컬 버스 메모리(301)를 검색하여 안내방송 송출 명령이 있는 채널은 "0", 유휴인 채널은 "1"로 제 1 타임 슬롯 제어부(305)를 세팅하고 모든 채널에 대한 안내 방송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때 루프백 시험 명령이 한 채널도 없으면 제 2 타임 슬롯 제어부(306)는 모두 "1"로 세팅한다.
평상시 DTMF부(203)의 제 2 중앙 처리 장치(312)는 주기적으로 제 2 로컬 버스 메모리(311)를 검색하여 DTMF 수신 명령이 있는 채널은 "0", 유휴인 채널은 "1"로 제 4 타임 슬롯 제어부(316)를 세팅하고 모든 채널에 대한 DTMF 검출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때 루프백 시험 명령이 한 채널도 없으면 제 3 타임 슬롯 제어부(315)는 모두 "1"로 세팅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송신 서브하이웨이로는 안내 방송 송출 서비스 중인 채널만 인에이블(enable)되고 수신 서브하이웨이로는 DTMF 신호 처리중인 채널만 인에이블되고 나머지 채널은 모두 디스에이블(disable)된다.
이때, 안내 방송부(202)에 임의의 채널에 루프백 시험요구가 수신되고, DTMF부(203)에 임의의 채널에 루프백 시험요구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이 경우 두 장치(202, 203)에 루프백 시험 요구는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201)가 수행시키며,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201)는 두 장치(202, 203)의 모든 채널에 대하여 상태관리를 하므로 동시에 같은 채널에다 루프백 시험요구는 하지 않는다.
먼저, 안내 방송부(202) 내의 제 1 중앙 처리 장치(302)는 제 1 로컬메모리(301)를 검색하여 안내방송 송출 서비스 및 임의의 몇 채널에 대한 루프백 시험요구를 인지하여 안내방송 서비스에 대한 채널은 제 1 타임 슬롯 제어부(305)에 "0", 루프백 시험 요구 채널들에 대해서는 타임 슬롯 제어부(305) 및 타임 슬롯 제어부(306) 모두에 "0"을 세팅한다.
이 후, 안내방송 송출서비스 및 루프백 시험데이터 송출 및 검출 기능을 수행하면, 안내방송 메시지는 송신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가입자에게 송출되고, 루프백 시험 데이터는 송신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송출되어 타임 스위치(204)에서 루프되어 수신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수신된다. 이때, 그 채널에 대한 DTMF 수신채널은 유휴 즉, 제 4 출력 제어부(318)는 3-상태 이므로 데이터 충돌 염려가 없다. 따라서, 이 결과를 로컬 및 글로벌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어부(201)로 통보하면 된다.
동시에 DTMF부(203)에 안내방송 송출 점유(안내방송 송출채널 또는 안내방송 루프백시험 요구채널)가 없는 임의의 채널에 대하여 DTMF 루프백 시험 요구가 수신되면 DTMF부(203)의 제 2 중앙 처리 장치(312)는 DTMF 수신 서비스 채널에 대해서는 제 4 타임 슬롯 제어부(316)를 "0"으로, DTMF 루프백 시험 요구채널에 대해서는 제 4 타임 슬롯 제어부(316) 및 제 3 타임 슬롯 제어회로(315)를 "0"으로 세팅한다.
이 후, DTMF 검출 서비스 및 루프백 시험 데이터 송출 및 검출 기능을 수행하면, 원래 DTMF 신호는 가입자로부터 수신되며, 루프백시험 데이터는 인에이블된 제 3 출력 제어부(317)를 통해 송출 타임 스위치(204)에서 루프되어 수신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인에이블된 제 4 출력 제어부(318)를 통해 수신된다. 마찬가지로 이때 해당되는 채널에 대하여는 안내방송의 제 3, 제 4 출력 제어부(317, 318)가 모두 3-상태로 디스에이블되므로 데이터가 충돌할 염려가 없다.
도 4는 제 1 내지 제 4 타임 슬롯 제어부(305, 306, 315, 316)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래치부(401) 및 데이터 변환부(402)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래치부(401)는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각 채널별 사용중 유무 정보를 래치한다.
데이터 변환부(402)는 도 5a와 같은 프레임 동기 및 도 5b와 같은 SQ2 신호에 따라 래치부(401)의 병렬 데이터 출력을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도 5c와 같은 서브하이웨이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안내 방송부(202) 또는 DTMF부(203)의 각 제 1, 제 2 중앙 처리 장치(302, 312)는 주기적으로 제 1, 제 2 로컬 버스 메모리(301, 311)를 각각 검색하여 각 채널에 대한 명령을 수행하기 전, 각 채널에 대한 명령 정보를 받아 사용중인 채널은 "0" 사용하지 않는 채널은 "1"로 도 4의 래치부(401)에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래치부(401)의 크기는 채널 용량과 같다. 즉, 64 채널이면 64 비트가 된다.
2) 정보를 저장하는 순간 이 정보들은 병렬/직렬 변환부의 입력으로 가해진다.
3) 병렬/직렬 변환부는 STLD 신호로 125us의 프레임 동기 신호를 사용하고, 클록 신호로 1채널 즉 한 개의 타임 슬롯에 해당하는 주기의 SQ2 신호를 사용하므로 병렬/직렬 변환부 출력은 해당 타임슬롯 이 사용중이면 "로우" 사용중이 아니면 "하이" 신호가 타임 멀티플렉스 되어 출력된다.
4) 이 신호가 안내방송 장치 그리고 DTMF 장치의 송신 와 수신의 3-상태 버퍼의 제어 신호로 사용 되어 진다.
다음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도면4)로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타임슬롯 제어회로를 도면3) 과 같이 안내방송 장치와 DTMF 장치에 적용하였을 경우 어??게 동작되며, 특히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할 때 어??게 동작되는지 설명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교환기의 안내 방송 장치는 송신 전용 장치이고 DTMF 검출 장치는 수신 전용 장치인 점에 착안하였으며, 최근 지능망 관련 교환기 내장형 지능적 주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기의 안내 방송부(202)와 DTMF부(203)에 있어서 타임 스위치(204)와 정합되는 서브하이웨이를 절감하도록 한다. 따라서, 안내 방송 장치 및 DTMF 장치의 유지 보수 기능도 그대로 수용할 수 있으면서도 서브하이웨이가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케이블 절감 및 타임 스위치(204)의 용량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안내 방송부 및 DTMF부와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접속하는 타임 스위치를 구비하는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방송부는, 안내 방송 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안내 방송 송출부;
    특정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서브하이웨이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 1 타임 슬롯 제어부;
    상기 제 1 타임 슬롯 제어부의 서브하이웨이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안내 방송 송출부의 출력을 상기 서브하이웨이로 제공하는 제 1 출력 제어부;
    루프백 시험 기능을 수행하는 루프백 시험 검출부;
    특정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서브하이웨이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 2 타임 슬롯 제어부;
    상기 제 2 타임 슬롯 제어부의 서브하이웨이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루프백 시험 검출부로 제공하는 제 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TMF부는, DTMF 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DTMF 송출부;
    특정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서브하이웨이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 3 타임 슬롯 제어부;
    상기 제 3 타임 슬롯 제어부의 서브하이웨이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DTMF 송출부의 출력을 상기 서브하이웨이로 제공하는 제 3 출력 제어부;
    DTMF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DTMF 검출부;
    특정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서브하이웨이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 4 타임 슬롯 제어부;
    상기 제 4 타임 슬롯 제어부의 서브하이웨이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DTMF 검출부로 제공하는 제 4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
KR1019990067754A 1999-12-31 1999-12-31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 KR100327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754A KR100327044B1 (ko) 1999-12-31 1999-12-31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754A KR100327044B1 (ko) 1999-12-31 1999-12-31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168A true KR20010066168A (ko) 2001-07-11
KR100327044B1 KR100327044B1 (ko) 2002-03-06

Family

ID=1963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754A KR100327044B1 (ko) 1999-12-31 1999-12-31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61B1 (ko) * 2002-03-12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기의 타임 스위치 타이밍 보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19449D0 (en) * 1993-09-21 1993-11-03 Plessey Telecomm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KR200145941Y1 (ko) * 1995-11-02 1999-06-15 김영환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의 범용신호 처리장치
KR19980082932A (ko) * 1997-05-09 1998-12-05 김영환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의 부하 분담 이중화 장치
KR100283394B1 (ko) * 1998-12-30 2001-03-02 서평원 사설 교환기 시스템의 타임 스위치 정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61B1 (ko) * 2002-03-12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기의 타임 스위치 타이밍 보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7044B1 (ko)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5572A (en) Cordless key telephone system with multiple tenant facility
US5708657A (en) Apparatus for interfacing mobile switching center(MSC) with base station controller(BSC) of CDMA mobile system
KR930009857B1 (ko) 송신 및 수신 경로를 상호 접속하는 채널 장치
KR100327044B1 (ko)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 절감 장치
JPH02159898A (ja) 電子交換機の汎用信号サービス装置
KR100260401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보코더 성능 시험 방법
KR950004424B1 (ko) 다중화/역다중화 및 시분할 스위칭 장치
KR10024741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국간 선로 시험을 위한 패스 연결 방법
KR100480239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착신호에 대해 무응답인 중계대의 호처리 방법
KR100295763B1 (ko) 원격접속스위치모듈의 로컬트렁크 인터페이스 상태에 따른 채널할당 방법
KR10028316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제어 시스템의내부정보 관리방법
KR100298352B1 (ko) 다채널수용광전송장치및운용채널과예비채널간의채널단위절체방법
SU1506568A2 (ru) Многока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дискретной информации
KR19990012478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처리용 통합 단말 장치 및 방법
KR100584339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호 재시도 방법
KR0155335B1 (ko) 데이타 통신용 보드에서의 이중화 접속 구조 및 그 제어방법
KR0165080B1 (ko) 교환기 시스템의 가입자 선로 측정방법
JP2748874B2 (ja) 衛星通信装置
KR960001089B1 (ko) 시스템 상태 감지 및 시험장치
KR100600948B1 (ko) 아날로그 가입자 시험 장치와 교환기 자원을 이용한디지털 가입자 시험 구현 방법
KR100353714B1 (ko) 알.티/큐.알.티 셀 데이터간 이중화 스위칭방법
KR200324708Y1 (ko) 링크중계장치
KR950000970B1 (ko)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전달부의 레벨 3기능 구현을 위한 b-버스 입출력보드
KR20000025698A (ko) 모듈 중복 기능을 구비한 스위치 모듈
JPS623757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