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5832A -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 Google Patents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5832A
KR20010065832A KR1019990066844A KR19990066844A KR20010065832A KR 20010065832 A KR20010065832 A KR 20010065832A KR 1019990066844 A KR1019990066844 A KR 1019990066844A KR 19990066844 A KR19990066844 A KR 19990066844A KR 20010065832 A KR20010065832 A KR 20010065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roup data
video signal
group
semiconductor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6451B1 (ko
Inventor
치아오-옌타이
제프신
Original Assignee
차이 밍-카이
노바텍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 밍-카이, 노바텍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차이 밍-카이
Priority to KR1019990066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45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5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1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elements
    • G09G3/14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Abstract

정상적인 영상 표시를 위하여 영상 신호를 모니터의 명세에 적용하기 위한 모니터에서 종래 3개의 반도체 칩에 의하여 제공되는 기능들을 보다 우수하게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일 반도체 칩이 개시된다. 반도체 칩은 REPROM과 같은 저장 회로에 메인 프로그램, DDC(Display Data Channel) 데이터, 및 DFF(Display Frame Frequency)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는 것과, 저장회로와 구동 회로의 연결배열에 신규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Single semiconductor chip for adapting video signals to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신호 공급장치와 통신하는 반도체 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표시장치에 브이지에이(VGA) 카드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VGA 카드와 통신하는 반도체 칩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음극선관(CRT: 1)은 정상적으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버스(3, 4)를 통하여 VGA 카드(2)와 통신하는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이 시스템은 보통 디에프에프(DFF: Display Frame Frequency, 이하 "DFF"로 언급함)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이피롬(EEPROM)으로 구성되는 제 1 칩(11)과, 버스(4)를통하여 VGA 카드(2)와 통신하는 제 1 그룹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132)와 제 1 그룹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132)에 의하여 접근할 수 있는 디디씨(DDC:Display Data Channel, 이하 "DDC"로 언급함)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이피롬(131)을 포함하는 제 2 칩(13)과, 중앙처리장치(CPU: 121)와 중앙처리장치로써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122), 및 버스(3)를 통하여 VGA 카드(2)와 통신하고 음극선관 모니터(1)의 음극선관이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신호를 출력하도록 중앙처리장치(121)에 의하여 제어되는 논리부(123)로 구성된 마이크로 제어장치(MCU: Micro Control Unit)인 제 3 칩(12)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시스템은 세 개의 반도체 칩(11, 12, 13)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복잡한 상호접촉과 비교적 복잡한 디자인으로 귀결되고, 대량생산에서는 더욱 어려운 문제들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표시장치, 특히 포터블 표시장치의 크기 축소 경향에 부합하도록 크기 감소가 쉽지 않다는 문제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모니터를 위한 필수 구성요소인 세 개의 반도체 칩이 단일 반도체 칩에 구성된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 있도록 단일 반도체 칩 상에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써, 제조 수율의 향상뿐만 아니라 비용을 낮추고, 설계를 용이하게 하고,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비교적 높은 동작 속도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칩은 음극선관 모니터의 분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주목하여야 하다. 실제로, 본 발명의 반도체 칩은 어떠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니터에 사용된 반도체 칩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온 칩의 구성은 REPROM과 같은 저장회로 내에 메인 프로그램, DDC 데이터, 및 DFF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고, 중앙처리장치(CPU),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논리부와 같은 구동회로와 저장 회로 사이에 신규한 배열의 연결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칩은 영상신호 공급장치와 통신하며, 이 반도체 칩은 영상신호 표시장치로 하여금 영상신호 공급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반도체 칩은, 프로그램(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실행가능한 명령 그룹), DDC 데이터와 같은 제 1 그룹의 데이터, DFF 데이터와 같은 제 2 그룹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및 영상신호 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제 1 그룹의 데이터를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제 1 그룹의 데이터를 상기 영상신호 공급장치에 전송하며, 영상신호 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매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매치신호의 데이터 모드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 모드에 따라서, 제 2 그룹의 데이터 중 대응부분을 읽어들이고,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접근하는 프로그램의 지시를 받아, 상기 영상신호제공장치 또는 그와 관련 있는 장치에 의하여 제공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을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의하여 수신되도록 적용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프로그램에 따라 구동수단에 의한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을 적용하는것은 프로그램이 구동수단에 의하여 접속되거나 실행되고, 그 후, 구동수단이 영상표시장치로 하여금 영상신호 공급장치 또는 그와 관련된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의하여 수신될 신호에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을 적용시키는 실행 프로그램의 지시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프로그램에 따라서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은 영상표시장치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는 레벨 또는 유형으로 존재하도록 적용되고, 영상표시장치로 하여금 영상신호제공장치 또는 그와 관련된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신호 공급장치 또는 그와 관련된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영상신호(RGB 성분과 같은)는 반도체 칩으로 반드시 입력되지는 않고, 영상표시장치에 직접 적용될 수 있으며, 영상표시장치가 반도체 칩에 의하여 공급된 제 2 그룹 데이터 대응부분에 의하여 적절하게 가능하게 될 수 있었던 결과로서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영상신호 공급장치는 컴퓨터, 비디오 레코더 출력장치, 또는 표시를 위하여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갖는 임의 장치일 수 있으며, 반도체 칩은 모니터에 설치되어 신호 채널을 통하여 모니터에 있는 영상표시장치의 표시 제어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종래, 표시제어회로는 도 1에 도시된 3개의 반도체 칩들로 구성되는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서 영상표시장치의 표시를 제어한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제어회로는 본 발명의 단일 반도체 칩의 구동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 2 그룹 데이터의 적용 대응 부분에 따라서 영상표시장치의 표시를 제어한다.저장수단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 유형의 메모리일 수 있다.
데이터 요청신호는 제 1 그룹의 데이터를 읽고 구동수단으로 하여금 읽혀진 데이터를 영상신호 공급장치에 전송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전송되고, 그것에 의하여 영상신호 공급장치(또는 그의 관련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니터의 명세가 영상신호 공급장치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고, 이 영상신호는 모니터의 명세에 대응하는 모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은 제 2 그룹 데이터의 일부인 데이터로서, 데이터 매치 신호의 데이터 모드에 대응하며, 데이터 매치 신호는 수직 동기신호 또는 수평 동기신호, 또는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의 조합 신호와 같은 동기신호일 수 있다.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은 영상표시장치에 의하여 항상 수신될 수는 없지만 영상표시장치로 하여금 영상신호 공급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에 따라 적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칩은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에 제 1 그룹의 데이터, 제 2 그룹의 데이터를 읽어서 프로그램에 접근하도록 요구하는 저장수단 사이에 통신 채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동수단은 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읽어들인 제 1 그룹의 데이터를 영상신호 공급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제 1 그룹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단일 반도체 칩은 제 1 그룹의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하여 특히 제 1 그룹의 인터페이스 장치용 DDC 통신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장수단은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완전히 독립적인 두 개의 저장부, 제 1 저장부와 제 2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 저장부는 DDC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1 그룹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여 접근할 수 있는 제 1 그룹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 2 그룹의 데이터는 통신채널을 통하여 구동수단에 의하여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제 2 그룹 데이터 두 가지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칩은 영상신호 전송장치와 통신하며, 이 반도체 칩은 영상신호 표시장치로 하여금 영상신호 전송장치(또는 관련 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반도체 칩은,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에 의하여 접근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실행 가능한 명령들), 제 1 그룹의 데이터, 제 2 그룹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자신에게 적용되는 데이터 요청신호(영상신호 전송장치 또는 관련 장치 또는 영상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장치로부터 출력될 수 있는)에 응답하여 제 1 그룹의 데이터를 저장수단으로부터 영상신호 전송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영상신호 전송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매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매치신호의 데이터 모드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 모드에 따라서 제 2 그룹의 데이터 중 대응부분을 읽어들이고, 상기 프로그램의 지시를 받아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의하여 수신되도록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 부분을 적용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하여금 상기 영상신호 전송장치 또는 그와 관련되거나 그에 의하여 조절되는 임의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영상신호 전송장치는 컴퓨터 시스템, 인터넷 인터페이스, 또는 표시장치에 출력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임시 저장하거나, 적용할 수 있는 임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칩은 영상신호 표시장치로 하여금 영상신호 전송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신호 전송장치와 통신하는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논리 처리장치,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여 접근할 수 있는 제 1 그룹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수단, 상기 논리 처리장치에 의하여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제 2 그룹 데이터 양자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수단을 포함한다.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자신에게 적용된 데이터 요청신호(영상신호 전송장치 또는 관련 장치로부터 출력될 수 있는)에 응답하여 제 1 그룹의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제 1 그룹 데이터를 영상신호 전송장치에 전송하고, 논리 처리장치는 상기 영상신호 전송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매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매치신호의 데이터 모드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 모드에 따라서 제 2 그룹의 데이터 중 대응부분을 읽어들이고, 상기 프로그램의 지시를 받아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가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하여금 상기 영상신호 전송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을 적용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에서, 본 발명에서 제안된 단일 반도체 칩(211)은 VGA 카드와 같은 영상신호 공급장치와 통신하고, 영상표시장치(212)로 하여금 영상신호 공급장치(22) 또는 영상신호 공급장치(22)와 관련된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단일 반도체 칩(211)은 프로그램(2111p),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isplay Data Channel: DDC) 데이터(2111d)와, 디스플레이 프레임 주파수(Display Frame Frequency) 데이터(2111f)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2112);
영상신호 공급장치(2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제 1 그룹의 데이터(2111d)를 읽어들여 영상신호 공급장치(22)로 전송하며, 영상신호 공급장치(2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매치 신호에 응답하여 읽어들일 데이터 매치신호의 데이터 모드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 모드에 따라서, 제 2 그룹의 데이터(2111f)중 대응 부분을 읽어들이며, 저장수단(2111)으로부터 액세스된 프로그램(2111p)의 지시를 받아 영상표시장치(212)가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 부분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 부분을 적용하여 영상표시장치(212)가 영상신호 공급장치(22)에 의하여 제공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구동수단(2112)을 포함한다.
제 1 그룹의 데이터(2111d)는 모니터(21) 또는 영상표시장치(212)의 사양을 나타낸다. 영상신호 공급장치(22)는 구동수단(2112)으로부터 전송된 제 1 그룹의 데이터(2111d)를 수신할 때, 모니터(21)나 영상표시장치(212)의 명세 정보를 수신한다. 영상신호 공급장치(22)에 의하여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표시장치(212)의 실행가능한 또는 최적의 구동모드(예를 들어, 데이터-매치 신호의 데이터 모드와 표시 스크린 사양에 대응하는 구동모드)를 나타내는 제 2 그룹의 데이터(2111f)들 중, 데이터-매치 신호의 감지 모드에 따라서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이 선택되며, 이에 따라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 부분에 의하여 특징을 갖게 되거나 표시되고, 영상표시장치(212)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는 영상표시장치(212)로 하여금 거기에 적용된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적절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반도체 칩(211)은 구동수단(2112)이 제 1 그룹의 데이터(2111d)와 제 2 그룹의 데이터(2111f)를 저장수단(2111)으로부터 읽어들이고 저장수단(2111)으로부터 프로그램(2111p)을 액세스하도록, 예를 들어, 데이터 버스(2113)와 어드레스 버스(2114)로 구성되는 통신 채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칩(211)은 데이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제 1 그룹의 데이터를 읽어 들이고, 감지된 데이터 모드에 따라서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을 읽어들이기 위한 처리장치(2111P)를 포함하는 자신의 구동수단(2112)을 가질 수도 있다. 처리장치(2112P)는 프로그램(2111p)을 실행하고 실행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는 종래의 중앙처리장치(CPU)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칩(211)은 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읽어들인 제 1 그룹의 데이터를 영상신호 공급장치(22)에 전송하기 위한 제 1 그룹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2111d)를 포함하는 자신의 구동수단(2112)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그룹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2111d)는 데이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제 1 그룹의 데이터를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제 1 그룹의 데이터를 영상신호 공급장치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영상신호 공급장치(2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쓰기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쓰기 신호에 포함된 제 1 그룹의 데이터를 저장수단(2111)에 써넣도록 할 수도 있다.
반도체 칩(2111)은 데이터 매치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매치 신호의 데이터 모드를 감지하기 위한 논리 장치(2112c)를 포함하는 자신의 구동수단을 추가로 가질 수도 있는데, 논리 장치(2112c)는 영상표시장치(212)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가 영상표시장치(212)로 하여금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 부분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 부분을 나타내거나 부호화하는 신호는 영상표시장치(212)에 의하여 수신되고 영상표시장치(212)가 영상신호 공급장치(22)에 의하여 제공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적정 형태 또는 적정 레벨로 출력된다. 다른 예로서,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 부분은 영상표시장치(212)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고 영상신호 제공장치(22)에 의하여 제공된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표시장치(212)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되기만 할 수 있다.
더욱이 반도체 칩(211)은 제 1 그룹의 데이터(2111d), 제 2 그룹의 데이터(2111f) 및 프로그램(2111p)이 외부 사용자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외부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2111t)를 포함하는 그 자신의 구동수단(2112)을 가질 수도 있다.
반도체 칩(211)은 설계와 제조상의 편의에 따라 입/출력 장치(2111t) 또는추가적인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제 2 그룹 데이터의 적용되는 대응 부분을 영상표시장치(212)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반도체 칩(211)은 데이터 버스(2113)와 어드레스 버스(2114)로 구성되는 통신채널에 더하여 제 1 그룹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유닛(2111d)이 제 1 그룹의 데이터(2111d)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 1 그룹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유닛(2112d)과 저장수단(2111) 사이에 DDC 통신채널(2115)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데이터 버스(2113)와 어드레스 버스(2114)로 구성되는 통신채널은 여전히 구동수단(2112)으로 하여금 제 1 그룹의 데이터(2111d)와 제 2 그룹의 데이터(2111f)를 읽어 들이고, 프로그램(2111p)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버스(2113)와 어드레스 버스(2114)로 구성되는 통신채널은 구동수단(2112)이 제 2 그룹의 데이터(2111f)를 읽어들이고 프로그램(2111p)에 접근하도록만 할 수도 있다. 도 3에 따른 반도체 칩(211)은 데이터 버스(2113)와 어드레스 버스(2114)로 구성된 통신 채널이 사용중일 때, 제 1 그룹의 데이터(2111d)에 접근하는데 DDC 통신 채널(2115)이 제 1 그룹의 인터페이스 유닛(2112d)에 의해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반도체 칩(211)은 두 개의 저장부(2111-1, 2111-2)를 포함하는 저장수단(2111)을 가질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물리적으로 함께 연결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완전히 독립적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그룹의 데이터(2111d)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2111-1)는 DDC 통신채널(2115)을 통하여 제 1 그룹의 인터페이스 유닛(2112d)에 의하여 접근될 수 있고, 프로그램(2111p) 및 제 2 그룹의 데이터(2111f) 두 가지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2111-2)는 버스(2113, 2114)로 구성되는 통신채널을 통하여 구동수단(2112)에 의하여 접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2111p)과 제 2 그룹의 데이터(2111f) 양자는 구동수단(2112)내 논리블록(2112c) 및/또는 처리장치(2112p)에 의하여 접근 가능하다.
버스(2113, 2114)로 구성되는 통신 채널이나 DDC 통신 채널(2115) 중 어느 것도 데이터 버스(2113)와 어드레스 버스(2114)로 이루어진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하여야 한다. 실제로, 프로그램(2111p), 제 1 그룹의 데이터(2111d) 및 제 2 그룹의 데이터(2111f)가 구동수단(2112)에 의하여 접근되거나 프로그램(2111p)과 제 2 그룹의 데이터(2111f)가 처리장치(2112P)에 의하여 접근될 수 있는 동안 제 1 그룹의 데이터(2111d)는 제 1 그룹의 인터페이스 유닛(2112d)에 의해서만 접근될 수 있는 한 어떠한 방법으로든 구성될 수 있다.
구동수단(2112), 구체적으로 구동수단(2112)의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유닛(2112d)에 적용된 데이터 요청신호는 영상신호 공급장치(22) 또는 영상신호 공급장치와 특별한 관계를 갖거나 영상신호 공급장치(22)에 의하여 제어되는 장치로부터 올 수 있다. 구동수단(2112), 구체적으로는 구동수단(2112)내 논리블록(2112c)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 매치 신호는 항상 영상신호 공급장치(22)가 보내지는 않고, 대신 영상신호 공급장치와 특별한 관계를 갖는 장치 또는 영상신호 공급장치(22)에 의하여 제어되는 장치가 보낼 수 있다. 프로그램(2111p)은 처리장치(2112P)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처리장치(2112P)는 구동수단(2112), 구체적으로는 구동수단(2112)내 중앙처리장치(2112P) 및/또는 논리블록(2112c)으로 하여금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 부분을 영상표시장치(212), 또는 구체적으로 영상표시장치(212)의 표시 스크린(212S)이 영상신호 공급장치(22) 또는 영상신호 공급장치와 특별한 관계에 있거나 영상신호 공급장치(22)에 의하여 제어되는 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게 하는 영상표시장치(212)의 표시제어회로(212C)에 의하여 수신되도록 적용한다. 또한, 프로그램(2111p)이 데이터 매치 신호의 데이터 모드를 감지하고 제 2 그룹의 데이터 중 적용될 대응 부분을 읽어들이도록 중앙처리장치(2111P) 및/또는 논리블록(2112c)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가능하다.
논리블록(2112c)과 처리장치(2112P) 두 부분의 기능은 이하 "논리처리장치"로 명명되는 회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논리처리장치는 앞서 언급한 논리블록(2112c)과 처리장치(2112P)의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논리블록과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회로이다.
반도체 칩(211)은 신호 채널(23, 24, 25, 26)을 통하여 영상신호 공급장치/전송장치(22)와 통신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입/출력 장치는 분명히 입/출력 장치(2112t)와 함께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그의 기능은 입/출력 장치(2112t)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반도체 칩(211)의 구동수단(2112)내 논리블록(2112c),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유닛(2112d), 처리 장치(2112P) 및 입/출력 장치 사이에는 신호 채널들이필요할 수도 있다.
분명히 반도체 칩(211)은 적절한 제 1 그룹의 데이터(2111d)와 제 2 그룹의 데이터(2111f)를 포함하는 자신의 저장수단(2111)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감지된 데이터 모드와 관련된 영상신호가 표시되려면, 제 2 그룹의 데이터(2111f) 중, 데이터 매치 신호의 감지된 데이터 모드에 대응하는 제 2 그룹의 데이터의 대응 부분이 적어도 존재하여야 한다.
한편,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하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그러한 모든 변형과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0)

  1. 영상표시장치가 영상신호 공급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신호 공급장치와 통신하는 반도체 칩에 있어서,
    프로그램, 제 1 그룹 데이터 및 제 2 그룹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영상신호 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제 1 그룹 데이터를 상기 영상신호 공급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영상신호 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매치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매치신호의 데이터 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데이터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 2 그룹의 데이터 중 대응부분을 읽어들이며, 상기 영상신호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지시를 받아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이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의하여 수신되도록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제 1 그룹의 데이터, 상기 제 2 그룹의 데이터를 읽고 상기 프로그램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저장수단 사이에 통신 채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채널은 데이터 버스와 어드레스 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데이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상기 감지된 데이터 모드에 따라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을 읽어들이기 위한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읽어들인 제 1 그룹 데이터를 상기 영상신호 공급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와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상기 프로그램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저장수단 사이의 통신채널과,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저장수단 사이의 DDC 통신채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와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상기 프로그램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저장수단 사이의 통신채널과, 상기 통신채널이 사용중일 때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저장수단 사이의 DDC 통신채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상기 프로그램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저장수단 사이의 통신채널과,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저장수단 사이의 DDC 통신채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DDC 통신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여 액세스 가능한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하여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액세스 가능한 상기 프로그램과 제 2 그룹 데이터 양자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데이터 매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매치신호의 데이터 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상기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의하여 수신되도록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을 적용하기 위한 논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수단은,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 및 상기 프로그램이 외부 사용자 장치에 의하여 액세스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데이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를 상기 영상신호 공급장치에 전송하는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데이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를 상기 영상신호 공급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영상신호 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쓰기 신호에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쓰기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써넣기 위한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의 적용된 대응 부분을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15. 영상신호 전송장치와 통신하며, 영상신호 표시장치로 하여금 상기 영상신호 전송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칩에 있어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액세스 가능한 프로그램, 제 1 그룹 데이터 및 제 2 그룹 데이터 모두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자신에 적용되는 데이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를 상기 영상신호 전송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영상신호 전송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매치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매치신호의 데이터 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데이터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 중 대응부분을 읽어들이며, 상기 프로그램의 지시를 받아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하여금 상기 영상신호 전송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의하여 수신되도록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16. 영상신호 전송장치와 통신하며, 영상신호 표시장치로 하여금 상기 영상신호 전송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칩에 있어서,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논리 처리장치;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여 액세스 가능한 제 1 그룹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수단;
    상기 논리 처리장치에 의하여 액세스 가능한 프로그램과 제 2 그룹 데이터 양자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자신에 적용되는 데이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상기 제 1 그룹 데이터를 영상신호 전송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논리 처리장치는 상기 영상신호 전송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매치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매치신호의 데이터 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데이터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 중 대응부분을 읽어들이며, 상기 프로그램의 지시를 받아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상기 영상신호 전송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의하여 수신되도록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부분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처리장치는 논리블록과 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논리블록은 상기 데이터 매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모드를 감지하여 상기 처리장치가 상기 감지된 데이터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 중 대응부분을 읽어 들이도록 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상기 영상신호 전송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의하여 수신되도록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의 대응 부분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는 상기 감지된 데이터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 대응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상기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그룹 데이터 대응 부분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내 영상표시 제어회로에 의하여 수신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요청신호는 상기 영상신호 전송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KR1019990066844A 1999-12-30 1999-12-30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KR100616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844A KR100616451B1 (ko) 1999-12-30 1999-12-30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844A KR100616451B1 (ko) 1999-12-30 1999-12-30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832A true KR20010065832A (ko) 2001-07-11
KR100616451B1 KR100616451B1 (ko) 2006-08-29

Family

ID=3752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844A KR100616451B1 (ko) 1999-12-30 1999-12-30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240B1 (ko) * 2012-09-18 2014-06-18 셀로코주식회사 센서 네트워크용 시스템 온 칩 프로세서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779A (ko) 2021-01-08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구동 회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8330A (ja) * 1995-11-06 1997-05-16 Sony Corp 映像表示装置
JP3720897B2 (ja) * 1996-03-01 2005-11-30 株式会社東芝 動画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3280867B2 (ja) * 1996-10-03 2002-05-13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5977997A (en) * 1997-03-06 1999-11-02 Lsi Logic Corporation Single chip computer having integrated MPEG and graphical process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240B1 (ko) * 2012-09-18 2014-06-18 셀로코주식회사 센서 네트워크용 시스템 온 칩 프로세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451B1 (ko) 200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693B1 (ko) 플랫 패널 콘트롤러에서의 가상 확장 디스플레이 정보 데이터(edid)
USH2186H1 (en) Acquisition of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in a display controller in a power up mode from a power down mode
US7484112B2 (en) Power management in a display controller
US6232990B1 (en) Single-chip chipset with integrated graphics controller
US10134354B2 (en) Automatic activity detection in a display controller
US20060085627A1 (en) Method for acquiring EDID in a powered down EDID compliant display controller
US20060082586A1 (en) Arbitration for acquisition of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US20060114248A1 (en) Displa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847335B1 (en) Serial communication circuit with display detector interface bypass circuit
US5727191A (en) Monitor adapter
JP4656699B2 (ja) 表示システム
KR100607951B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디스플레이 자동 제어 장치 및방법
US5752010A (en) Dual-mode graphics controller with preemptive video access
US20020033812A1 (en) Impeller driven traveling sprinkler
US5280579A (en) Memory mapped interface between host computer and graphics system
KR100616451B1 (ko) 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 반도체 칩
CN115101025B (zh) 一种支持虚拟帧缓冲的lcd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
US20100169517A1 (en) Multimedia Switch Circuit and Method
JP2015019226A (ja) 受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6567093B1 (en) Single semiconductor chip for adapting video signals to display apparatus
JP2019174990A (ja) タッチモニタ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H09319352A (ja) ディスプレイ制御回路
KR100608047B1 (ko) Pc와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부가 기능 처리 장치
KR100522606B1 (ko) 부가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디지털 av 시스템
TW432877B (en) Semiconductor SOP (system-on-chip) for use in image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