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5817A -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5817A
KR20010065817A KR1019990065769A KR19990065769A KR20010065817A KR 20010065817 A KR20010065817 A KR 20010065817A KR 1019990065769 A KR1019990065769 A KR 1019990065769A KR 19990065769 A KR19990065769 A KR 19990065769A KR 20010065817 A KR20010065817 A KR 20010065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ublic telephone
user
fun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4603B1 (ko
Inventor
권황섭
Original Assignee
최용택
주식회사 코베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택, 주식회사 코베콤 filed Critical 최용택
Priority to KR1019990065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603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1Dynamic pricing, e.g. change of tariff dur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전화기에 팩시밀리기능과 전자우편(E-mail) 송/수신기능 및 인터넷기능과 프린트기능을 통합 및 내장하여 여러 가지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공중전화기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각종 조작에 의해 선택된 입력상태를 판정하는 터치 스크린과; 터치 스크린의 후단에 설치되어, 공중전화기의 현재 작동상태와 각종 표시상태를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패널과; 공중전화기의 전면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공중전화기를 이용한 화상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중전화기 전방의 대상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와; 공중전화기의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원고를 투입할 수 있는 원고 투입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원고를 스캔하고, 스캔작업에서 획득된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하는 스캐너와; 공중전화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인쇄된 출력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적재될 수 있는 배출구와 적재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 이미지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와; 공중전화기에 투입된 카드의 사용여부와 추후 사용금액을 청구할 수 있도록 카드로부터 각종 정보를 검출하고, 공중전화기의 사용량에 따라 카드에 충전된 금액을 읽고 기록하는 카드 판독기와; 공중전화기의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어도 통화제어부와 DTMF신호 발생부 및 변/복조부와 선로 정합부를 포함하는 통화회로와; 카드 판독기와 통화회로의 각종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카드 판독기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상태를 인터페이스하며, 카드 판독기에 의해 검출된 카드의 정보에 따라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통화회로를 제어하여 통화로를 개통여부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와; 공중전화기가 수행할 각종 프로그램데이터가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스캐너에 의해 스캔된 데이터와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할 각종 표시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공중전화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할 각종 정보를 변조 및 복조함과 동시에 각종 정보의 송/수신상태를 제어하는 모뎀과; 모뎀과 통신망을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 제어부와; 공중전화기와 전화망을 인터페이스하는 전화망 제어부와; 인터페이스부와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면서 공중전화기의 각종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중앙처리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데이터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전화기능과 팩시밀리기능 및 전자우편기능과 인터넷검색기능을 표시하고, 표시된 각종 기능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화기능과 팩시밀리기능 및 전자우편기능과 인터넷검색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부를 제어하도록 한 점에 있다.
본 발명은 공중전화기에 팩시밀리기능과 전자우편(E-mail) 송/수신기능 및 인터넷기능과 프린트기능을 통합 및 내장하여 여러 가지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특정 지역에서도 사무자동화기기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A PUBLIC TELEPHONE HAVING MULTI-FUNCTION}
본 발명은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중전화기에 팩시밀리기능과 전자우편(E-mail) 송/수신기능 및 인터넷기능과 프린트기능을 통합 및 내장하여 여러 가지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내장하여 화상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수단의 가장 대표적인 장치로 전화기를 들 수 있다. 전화기는 사용 용도에 따라 가정용 일반전화기와 기업용 키폰 및 일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중전화기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에 등장하는 전화기는 종래 제공되는 단순한 통화장비로서의 전화기 기능에서 벗어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기능들이 전화기에 부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 중, 공중전화기는 전화서비스 업체에서 일반 사용자를 위해 설치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일반적인 통화기능에 한정되었다.
한편, 최근 사무자동화기기의 발달로, 팩시밀리와 프린터 및 모뎀과 스캐너 등이 일반 사용자들에게 널리 보급됨에 따라 업무의 효율성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무자동화기기들은 통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주로 사용하며, 각 기기의 특성상 별도의 제품으로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사무자동화기기를 이용한 업무수행범위가 날로 증가하면서, 이러한 각각의 기기 들을 개별적으로 구입한다는 것이 일반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함에 따라, 이러한 부담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무자동화기기들을 일체화시킨 복합기(MFP: Multi Function Peripheral)가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복합기는 컴퓨터와 연계되어 사용되며, 그 사용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제품을 선택적으로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사무자동화기기에 의하면, 각각의 기기 들을 개별적으로 구입하거나 각각의 기기 들이 하나의 시스템화되어 있는 복합기를 구입하는 경우, 해당 제품들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이를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는 없다. 그러나, 최근의 사무환경은 외부에서도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출력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노트북 컴퓨터, 팜-탑 컴퓨터 등)가 시판되고 있으나, 이러한 컴퓨터들은 순수한 컴퓨터의 기능만을 수행할 뿐, 통신이나 출력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를 별도로 휴대하여야 한다.
결국, 사용자가 불특정 지역에서도 각종 사무 기기를 사용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사무자동화장치를 진일보시킨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중전화기에 팩시밀리기능과 전자우편(E-mail) 송/수신기능 및 인터넷기능과 프린트기능을 통합 및 내장하여 여러 가지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특정 지역에서도 사무자동화기기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는 공중전화기 회선을 통하여 전자우편기능과 인터넷 검색기능 및 스캔기능과 프린트기능 및 팩시밀리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의 개략적 내부블럭도이며,
도 3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로서,
도 3은 서비스 선택모드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4는 카드투입모드의 동작흐름도이며,
도 5는 전화모드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6은 팩스모드의 동작흐름도이며,
도 7은 전자우편모드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8은 인터넷모드의 동작흐름도이며,
도 9는 긴급통화모드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10 내지 도 19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중앙처리장치와 인터페이스부의 프로토콜의 포맷도로서,
도 10a는 중앙처리장치와 인터페이스부의 통신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b는 요청신호 블럭의 구조도이고,
도 10c는 응답신호 블럭의 구조도이며,
도 11a는 인터페이스부의 이상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요청신호 블럭의 구조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대한 응답신호 블럭의 구조도이며,
도 11c는 도 11b의 상태 데이터(Status Data) 블럭의 구조도이고,
도 12a는 신용카드를 읽기 위한 요청신호 블럭의 구조도이며,
도 12b는 도 12a에 대한 응답신호 블럭의 구조도이고,
도 13a는 신용카드 번호의 송출을 요구하기 위한 요청신호 블럭의 구조도이며,
도 13b는 도 13a에 대한 응답신호 블럭의 구조도이고,
도 13c는 도 13b의 상태 데이터(Status Data) 블럭의 구조도이며,
도 14a는 카드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의 요청신호 블럭의 구조도이고,
도 14b는 도 14a에 대한 응답신호 블럭의 구조도이며,
도 14c는 도 14b의 카드 데이터(Card Data) 블럭의 구조도이고,
도 15a는 IC 카드의 금액을 기록하기 위한 요청신호 블럭의 구조도이며,
도 15b는 도 15a에 대한 응답신호 블럭의 구조도이고,
도 15c는 도 15b의 카드 기록 데이터(Card Write Data) 블럭의 구조도이며,
도 16a는 단일 DTMF신호를 송출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요청신호 블럭의 구조도이고,
도 16b는 도 16a에 대한 응답신호 블럭의 구조도이며,
도 17a는 다수의 DTMF신호를 송출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요청신호 블럭의 구조도이고,
도 17b는 도 17a의 DTMF 데이터(DTMF Data) 블럭의 구조도이며,
도 17c는 도 17a에 대한 응답신호 블럭의 구조도이고,
도 17d는 도 17c의 DTMF 데이터(DTMF Data) 블럭의 구조도이며,
도 18a는 전화라인의 루프상태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요청신호 블럭의 구조도이고,
도 18b는 도 18a에 대한 응답신호 블럭의 구조도이며,
도 19a는 "전화모드" 혹은 "긴급통화모드"에서의 뮤트상태를 수행하기 위한 요청신호 블럭의 구조도이고,
도 19b는 도 19a에 도시된 뮤트 데이터(Mute Data) 블럭의 구조도이며,
도 19c는 도 19a에 대한 응답신호 블럭의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공중전화기 101: 터치 스크린
102: 액정 디스플레이패널 103: 카드 투입구
104: 원고 투입구 105: 원고 배출구
106: 송수화기 107: 후크
108: 카메라 109: 중앙처리장치
110: 스캐너 111: 프린터
112: 카드 판독기 113: 인터페이스부
114: 메모리 115: 모뎀
116: 통신망(ISDN 혹은 ADSL) 117: 통신망 제어부
118: 통화회로 119: 전화망 제어부
120: 전화망(PSTN)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공중전화기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각종 조작에 의해 선택된 입력상태를 판정하는 터치 스크린과; 터치 스크린의 후단에 설치되어, 공중전화기의 현재 작동상태와 각종 표시상태를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패널과; 공중전화기의 전면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공중전화기를 이용한 화상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중전화기 전방의 대상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와; 공중전화기의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원고를 투입할 수 있는 원고 투입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원고를 스캔하고, 스캔작업에서 획득된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하는 스캐너와; 공중전화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인쇄된 출력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적재될 수 있는 배출구와 적재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 이미지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와; 공중전화기에 투입된 카드의 사용여부와 추후 사용금액을 청구할 수 있도록 카드로부터 각종 정보를 검출하고, 공중전화기의 사용량에 따라 카드에 충전된 금액을 읽고 기록하는 카드 판독기와; 공중전화기의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어도 통화제어부와 DTMF신호 발생부 및 변/복조부와 선로 정합부를 포함하는 통화회로와; 카드 판독기와 통화회로의 각종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카드 판독기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상태를 인터페이스하며, 카드 판독기에 의해 검출된 카드의 정보에 따라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통화회로를 제어하여 통화로를 개통여부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와; 공중전화기가 수행할 각종 프로그램데이터가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스캐너에 의해 스캔된 데이터와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할 각종 표시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공중전화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할 각종 정보를 변조 및 복조함과 동시에 각종 정보의 송/수신상태를 제어하는 모뎀과; 모뎀과 통신망을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 제어부와; 공중전화기와 전화망을 인터페이스하는 전화망 제어부와; 인터페이스부와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면서 공중전화기의 각종 동작을 전반적으로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중앙처리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데이터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전화기능과 팩시밀리기능 및 전자우편기능과 인터넷검색기능을 표시하고, 표시된 각종 기능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화기능과 팩시밀리기능 및 전자우편기능과 인터넷검색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부를 제어하도록 한 점에 있다.
여기서, 전화기능은,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통하여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하며; 판정 결과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이면,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다이얼 프로그램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다이얼 창을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가 다이얼 창을 통해 입력한 입력상태를 감지하며; 감지된 입력상태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호를 설정하고; 단위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카드에 기록된 금액으로부터 단위금액을 감액 정산한다.
이때, 전화모드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화상정보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함과 동시에, 화상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또한, 팩스기능은,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통하여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하며; 판정 결과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이면, 사용자가 상대방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팩스전송에 필요한 전송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전송정보 입력 창을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가 전송정보 입력 창을 통해 입력한 입력상태를감지하며; 원고를 스캔하고; 스캔작업이 완료되면, 전송정보에 다른 상대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연결하며; 스캔작업을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데이터를 전송하고; 단위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카드에 기록된 금액으로부터 단위금액을 감액 정산한다.
또한, 전자우편기능은,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통하여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하며; 판정 결과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이면,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키보드 프로그램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전자우편주소와 메시지를 포함하는 전송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키보드 창을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가 키보드 창을 통해 입력한 전송정보를 감지하며; 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감지된 전송정보 중 전자우편주소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위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카드에 기록된 금액으로부터 단위금액을 감액 정산한다.
그리고, 인터넷 검색기능은,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통하여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하며; 판정 결과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이면,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검출하여 실행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며;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 메뉴를 표시하고; 서비스를 시작한 후, 단위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카드에 기록된 금액으로부터 단위금액을 감액 정산한다.
한편, 기능이 선택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다이얼 프로그램 및 긴급전화번호부 프로그램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 및 선택할 수 있도록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다이얼 창과 긴급전화번호부 창을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가 다이얼 창과 긴급전화번호부 창 중 어느 하나의 창을 통해 입력한 입력상태를 감지하며; 감지된 입력상태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호를 설정하도록 한 긴급통화모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긴급통화모드는, 공중전화기가 현재 진행중인 모드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언제든지 전환 가능한 비상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긴급통화모드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화상정보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함과 동시에, 화상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한편, 각각의 모드를 수행하기 이전에, 인터페이스부는 카드 판독기의 고장유무를 체크하고; 중앙처리장치는 인터페이스부와 통신하여 카드 판독기가 고장상태이면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다는 항목을 표시하는 카드 판독기 고장진단모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된 표시상태의 언어를 변경 선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언어선택 기능이 선택되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적어도 둘 이상의 국가별 언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도 변경 표시한다.
이때, 언어선택기능은, 공중전화기가 현재 진행중인 모드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언제든지 전환 가능한 비상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공중전화기의 각종 기능에 대한 도움말을 표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도움말 기능이 선택되면, 메모리에 기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도움말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도움말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도움말 항목에 대응하는 도움말정보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한다.
이때, 도움말기능은, 공중전화기가 현재 진행중인 모드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언제든지 전환 가능한 비상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카드가 강제로 배출되면, 중앙처리장치는 공중전화기의 해당 모드를 중지하고,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초기모드로 전환하여 공중전화기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으면, 중앙처리장치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광고정보를 검출하여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한다.
이때, 광고정보 표시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감지되면, 공중전화기를 초기모드로 전환시켜 공중전화기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드 판독기는, 투입된 카드가 신용카드인가를 판단하고; 투입된 카드가 신용카드이면, 카드를 배출하도록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함과 동시에, 신용카드의 사용여부를 판정하며; 투입된 카드가 신용카드가 아니면 IC 카드인가를 판정하고; 투입된 카드가 IC 카드이면 IC 카드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검출하여, 사용 가능한 금액을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의 개략적 내부블럭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능이 공중전화기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 내지 도 19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중앙처리장치와 인터페이스부의 프로토콜의 포맷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공중전화기(100) 본체 전면에는 입력기능과 표시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01)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이 일체화되어 설치되고, 그 하부에 공중전화기용 카드를 투입할 수 있는 카드 투입구(103)가 설치된다.
또한, 카드 투입구(103) 하단에는 스캔할 원고를 투입하기 위한 원고 투입구(104)가 형성되고, 원고 투입구(104) 하단에는 투입된 원고가 배출 및 적재되는 원고 배출구(105)가 형성된다.
또한, 공중전화기(100)의 측면에는 송/수화기(106)가 후크(107)에 의해 걸림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공중전화기(100)의 전면 소정위치에는 화상통신을 수행할 때 공중전화기(100) 전방을 촬영하여 화상데이터를 상대방의 전화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카메라(108)가 설치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공중전화기(100) 내부 구성을 설명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공중전화기(100)의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터치 스크린(101)은 사용자의 각종 조작에 의해 선택된 입력상태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중앙처리장치(109)에 전송한다.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은 공중전화기(100)가 현재 작동중인 상태와 각종 표시상태를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 각종 안내문구 및 광고문구가 표시될 수도 있다.
카메라(108)는 공중전화기(100)를 이용한 화상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중전화기(100) 전방에 위치한 대상물(사용자)을 촬영하고, 촬영된 화상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09)에 전송한다.
스캐너(110)는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원고를 스캔하고, 스캔작업에서 획득된 이미지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09)에 전송한다.
프린터(11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문서데이터 혹은 이미지데이터를 인쇄한다. 특히, 프린터(111)는 공중전화기(100)를 통해 접속된 인터넷상의 검색결과 혹은 전자우편기능을 통해 수신된 메일내용, 원격지로부터 수신된 팩스데이터 등을 인쇄한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원고를 복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드 판독기(112)는 공중전화기(100)에 투입된 카드의 사용가능여부를 체크하고, 공중전화기(100)의 사용량에 따라 카드에 충전된 금액을 정산하거나 금융서버에 해당 사용금액정보를 전송하여 추후 사용금액을 청구할 수 있도록 정보를 검출한다.
인터페이스부(113)는 중앙처리장치(109)와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면서, 카드 판독기(112)와 통화회로(118)의 각종 동작에 대한 제어 및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상태를 인터페이스한다. 즉, 인터페이스부(113)는 카드 판독기(112)에 의해 검출된 카드의 정보에 따라 해당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하고, 사용 가능한 카드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09)에 판정결과를 전송하여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3)는 카드 판독기(112)에 투입된카드에 저장된 잔액정보를 사용금액만큼 정산하고, 새로운 금액을 기록하는 등 카드에 관련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13)는 통화회로(118)를 통한 전화망(120)의 루프 온/오프상태를 제어하고, 통화회로(118)내의 DTMF 발생부를 제어하여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발생시킨다.
메모리(114)는 중앙처리장치(109)가 수행할 각종 프로그램데이터가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스캐너(110)에 의해 스캔된 데이터 혹은 모뎀(115)을 통해 전송할 팩스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14)는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할 각종 표시상태, 특히, 본 발명에서는 광고정보 및 각종 서비스모드에 대응하는 표시정보 등을 저장한다.
모뎀(115)은 공중전화기(100)로부터 통신망(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혹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116)을 통해 전송할 팩스데이터 혹은 전자우편 등의 각종 정보를 디지털신호로 변조하고, 통신망(116)을 통해 수신된 팩스데이터 혹은 전자우편 및 인터넷 검색결과 등의 각종 정보를 아날로그형태로 복조한다.
통신망 제어부(117)는 모뎀(115)과 통신망(116)을 인터페이스한다.
통화회로(118)는 일반적인 공중전화기(100)의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화제어부와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 발생부 및 변/복조부와 선로 정합부 등을 포함한다.
전화망 제어부(119)는 공중전화기(100)와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Telephone Network)(120) 사이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송수화기(106)는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로 집음하여 통화회로(118)에 제공함과 동시에 전화망(120)을 통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동작은 여러 가지의 모드별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09)와 인터페이스부(113)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각종 정보 및 제어신호를 통신한다. 즉,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09)에서 각종 정보에 관련된 요청신호(Request Block)를 보내면 인터페이스부(113)는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Response Block)를 전송한다.
이때, 요청신호의 블럭구조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바이트의 STX(Start of Text)와 수 바이트의 요청명령(Request Command) 및 수 바이트의 데이터(Data) 및 1 바이트의 ETX(End of Text)와, 1 바이트의 LRC(Longitudinal Redundancy Check: 수평중복검사)와, 요청신호블럭의 끝을 나타내는 1 바이트의 CR(Carriage Return)로 구성된다.
또한, 응답신호의 블럭구조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바이트의 데이터들과 각 데이터들에 연결되는 1 바이트의 FS(File Separator: 파일분리)로 구성된다. 이러한 프로토콜 블럭의 구조는 프로토콜 전반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는 일반적인 공중전화기에 있어서의 프로토콜과 동일하므로 그에 관련된 전반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프로토콜을 통하여 먼저, 인터페이스부(113)의 이상여부를 체크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서비스 선택모드>
이 모드는 공중전화기(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하는 초기화면이다. 또한, 사용자가 일정시간동안 입력을 선택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표시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공중전화기(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표시상태는 "전화(Telephone)", "팩스(Fax)", "전자우편(E-mail)", "인터넷(Internet)", "긴급통화(Emergency Call)", "언어선택(Language)", "도움말(Help)" 및 각종 안내문구 등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표시된 안내문구에 따라 각각의 표시상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101)에서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판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중앙처리장치(109)는 해당 모드로 전환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와 프로토콜을 교환하여 카드 판독기(112)에 고장이 발생하였는가를 진단한다(S101). 여기서,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S102), 중앙처리장치(109)는 서비스 제공이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안내문구를 디스플레이하고(S103), 모든 진행을 종료한다.
위의 단계(S101)에서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메모리(114)로부터 기 설정된 초기화면데이터를 검출하여 화상데이터로 변환한 후, 이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다(S104).
이후, "언어선택"기능이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여(S105), "언어선택"기능이 선택되면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변환 가능한 언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로 공중전화기(100)의 각종 표시상태를 변환한다(S106).
그리고, "도움말"기능이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여(S107), "도움말"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메모리(114)에 저장된 "도움말"텍스트정보를 검출하여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도움말 창으로 표시한다(S108).
이후, "도움말"기능이 종료되면(S109), "전화"기능이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여(S110), "전화"기능이 선택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카드투입모드"로 전환하여(도 4 참조)(S111) 카드를 투입하라는 안내문구를 표시함과 동시에 투입된 카드를 검색하여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한 후, 판정 결과가 정상이면 "전화통화모드"(도 5 참조)로 전환한다(S112).
만약, 사용자가 "팩스"기능을 선택하면(S113), 중앙처리장치(109)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드투입모드"로 전환하여(도 4 참조)(S114) 카드를 투입하라는 안내문구를 표시함과 동시에 투입된 카드를 검색하여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한 후, 판정 결과가 정상이면 "팩스모드"(도 6 참조)로 전환한다(S115).
한편, 사용자가 "전자우편"기능을 선택하면(S116), 중앙처리장치(109)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드투입모드"로 전환하여(도 4 참조)(S117) 카드를 투입하라는 안내문구를 표시함과 동시에 투입된 카드를 검색하여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한 후, 판정 결과가 정상이면 "전자우편모드"(도 7 참조)로 전환한다(S118).
사용자가 "인터넷검색"기능을 선택하면(S119), 중앙처리장치(109)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드투입모드"로 전환하여(도 4 참조)(S120) 카드를 투입하라는 안내문구를 표시함과 동시에 투입된 카드를 검색하여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한 후, 판정 결과가 정상이면 "인터넷 검색모드"(도 8 참조)로 전환한다(S121).
사용자가 "긴급통화"기능을 선택하면(S122), 중앙처리장치(109)는 카드투입과 무관하게 "긴급통화모드"(도 9 참조)로 전환한다(S123).
만약, 사용자의 별도 조작이 없이 카드 판독기(112)에 카드가 투입되었다고 감지되면(S124), 중앙처리장치(109)는 카드 제어부(113)를 제어하여 카드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검출한 후 이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다(S125). 따라서, 사용자가 해당 카드의 내역(충전금액, 사용여부 판정결과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일정시간동안 사용자의 조작이 없다면 중앙처리장치(109)는 메모리(114)에 저장된 광고정보를 검출하여 이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다(S126). 그리고, 사용자가 광고가 표시되는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과 터치 스크린(101)의 임의위치를 접촉함에 따라 터치 스크린(101)이 이를 감지하여 광고표시상태를 해제하고, "서비스 선택모드"의 초기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도움말"기능과 "언어선택"기능 및 이후에 설명할 각 모드별 "취소"기능과 "서비스 선택모드" 복원기능을 선택하는 것과 사용 도중에 카드를 배출하는 것은 모두 "비상모드(Emergency Mode)"로 간주하여 현재 진행중인 상태에 무관하게 언제든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중앙처리장치(109)는 해당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이후에 설명할 각종 모드들에 있어서, 위의 "비상모드"에 대한 수행과정은 간략하게 언급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카드 투입모드>
사용자가 전화, 팩스, 전자우편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여 해당하는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카드를 투입하면 카드의 잔액을 확인하고, 사용금액을 정산하여 새로운 금액을 기록하는 모드로서, 카드의 잔액이 단위요금 이상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모드로 전환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의 기능을 선택한 상태에서 카드 판독기(112)로부터의 카드 감지신호에 의해 카드 투입상태가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S201), 중앙처리장치(109)는 메모리(114)에 저장된 안내문구정보 중 카드를 투입하라는 문구를 검출하여 이를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한 후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다(S202).
이후, 일정시간동안 사용자의 조작이 없다면 중앙처리장치(109)는 메모리(114)에 저장된 광고정보를 검출하여 이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다(S203). 그리고, 사용자가 광고가 표시되는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과 터치 스크린(101)의 임의의 위치를 접촉함에 따라 터치 스크린(101)이 이를 감지하여 광고표시상태를 해제하고, "서비스 선택모드"의 초기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만약, 위의 단계(S201)에서 카드가 투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와 도 12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투입된 카드가 신용카드인가를 판별한다(S204). 이 단계(S209)에서 투입된 카드가 신용카드라고 판별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카드의 마그네틱영역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검출한 후 사용자가 카드를 배출하라는 메시지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다(S205). 이후, 카드가 배출되면(S206), 중앙처리장치(109)는 통화로를 개방하여 금융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카드의 사용가능여부를 조회함과 동시에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는 카드가 조회중임을 나타내는 카드조회화면을 표시한다(S207). 이후, 금융서버와의 통신 결과 해당 카드가 사용 불가능한 카드라고 판단되면(S208), 중앙처리장치(109)는 불량카드임을 나타내는 안내문구를 메모리(114)로부터 검출하여 이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하고(S209), 위의 단계(S208)에서 해당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모드로 전환한다(S210).
만약, 위의 단계(S204)에서 투입된 카드가 신용카드가 아니면, 중앙처리장치(109)는 투입된 카드가 IC 카드인가를 판별한다(S211). 이 단계(S211)에서 투입된 카드가 IC 카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불량카드라고 판정하고, 해당 카드를 배출한다는 안내문구를 메모리(114)로부터 검출하여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다(S212). 그리고, 해당 카드를 배출한 후(S213), 도 3에서 설명한 "서비스 선택모드"의 초기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S214). 여기서, 앞서 언급한 단계들 중 카드의 사용 가능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해당 공중전화기(100)가 어떤 카드를 지원하는가에 따라 해당 카드의 사용여부가 결정된다. 즉, 해당 공중전화기(100)가 공중전화 전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였다면, 위의 판단단계(S204, S211)에 공중전화 전용카드인가를 판별하는 단계가 추가되어야 하며, 투입된 카드가 신용카드, IC 카드 및 공중전화 전용카드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때 불량카드로 판정하도록 프로그램하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사성은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이 필요 없이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만약, 위의 단계(S211)에서 투입된 카드가 IC 카드라고 판정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IC 카드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검색하고(S215), 검색된 결과에 따라 해당 IC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 후(S216), 해당 금액이 단위금액(예를 들면, 한번의 통화에 필요한 "50원")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서비스모드로 전환한다(S210).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와 도 14a 내지 도 15c와 같은 프로토콜을 교환하여 해당 서비스를 사용한 후에 사용금액을 정산한 후 새로운 금액을 IC 카드에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전화모드>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하고자 하여 "서비스 선택모드"에서 "전화"기능을 선택한 후 사용 가능한 카드를 카드 판독기(112)에 카드를 투입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와 통신을 수행한 후 공중전화기(100)를 "전화모드"로 전환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와 통신하여 후크-오프상태 즉, 송수화기(106)가 들려진 상태인가를 판단하고(S301), 후크-온상태가 판단되면 송수화기(106)를 들라는 메시지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다(S302).
이후, 공중전화기(100)가 후크-오프상태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프로토콜로 인터페이스부(113)와 통신하면서 라인의 연결 및 해제상태를 요청하고, 인터페이스부(113)는 해당 프로토콜에 응답하여 통화회로(118)를 제어하여 전화망(120)의 라인(Tip, Ring)을 연결시킨다(S303). 이와 동시에, 인터페이스부(113)는 중앙처리장치(109)에 라인이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114)에 저장된 각종 표시정보 중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다이얼관련 이미지데이터를 검출하여 이를 액정 디스플레이장치(102)에 표시한다(S304).
이후, 중앙처리장치(109)는 터치 스크린(101)을 통하여 전화번호가 입력되었는가를 체크하여(S305),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인터페이스부(113)와 도 16a 내지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로 통신하면서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다이얼링정보를 인터페이스부(113)에 송출함과 동시에 다이얼링상태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다(S306).
만약, 사용자가 "재발신"기능을 선택하면(S307),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인터페이스부(113)는 통화회로(118)를 제어하여 현재 연결중인 해당 라인을 해제하고(S308), 위의 단계(S303)로 귀환하여 단계(S303) 이후의 과정들을 반복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전화모드 취소"기능을 선택하거나(S309) 카드를 배출하면(S310),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인터페이스부(113)는 통화회로(118)를 제어하여 현재 연결중인 해당 라인을 해제하고(S311), "서비스 선택모드"의 초기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S312).
만약, 정상적인 다이얼링과정을 수행하여 통화가 연결되면(S313), 인터페이스부(113)는 중앙처리장치(109)에 통화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중앙처리장치(109)는 이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통화가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안내문구와 현재 사용중이라는 안내문구 및 카드의 현재잔액을 표시함과 동시에 인터페이스부(113)를 통하여 카드의 현재 잔액으로부터 단위요금을 감액 정산한다(S314).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13)는 단위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체크하여(S315), 단위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위의 단계(S314)를 수행하여 단위금액을 감산하는 정산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통화가 종료되면(S316), 해당 라인의 연결을 해제하고(S317), 통화정보를 저장한 후(S318), "서비스 선택모드"로 전환한다(S319).
이때, 중앙처리장치(109)는 카메라(108)를 구동시켜 카메라(108) 전방의 사용자를 촬영한 후, 획득된 화상정보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함과 동시에, 모뎀(115) 및 통신망(116)을 통하여 상대방 전화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화상통신이 가능하다.
<팩스모드>
사용자가 팩스전송을 하고자 하여 "서비스 선택모드"에서 "팩스"기능을 선택한 후 사용 가능한 카드를 카드 판독기(112)에 카드를 투입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와 통신을 수행한 후 공중전화기(100)를 "팩스모드"로 전환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09)는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현재 선택된 모드가 "팩스모드"임을 표시하고(S401), 전송하고자 하는 원격지 전화번호 등의 전송정보를 입력하라는 안내문구를 표시한다(S402). 이후, 중앙처리장치(109)는 전송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었는가를 체크하여(S403), 입력이 완료된 상태이면 원고를 스캔하기 위한 대기상태임을 나타내는 안내문구를 표시한다(S404). 이후, 원고가 투입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스캐너(110)를 제어하여 원고를 스캔하도록 제어하고(S405),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스캔작업이 시작되었음을 나타내는 안내문구를 표시한다(S406).
이 과정 중에 사용자로부터 스캔작업 중지명령이 입력되면(S407), 중앙처리장치(109)는 스캐너(110)를 제어하여 해당 스캔작업을 중지시킨 후 "팩스모드"로 전환한다(S408).
만약, 스캔과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S409), 중앙처리장치(109)는 스캔작업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데이터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확인작업을 수행한다(S410). 여기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1)을 통하여 "확인"기능을 선택하면(S411), 전송하고자 하는 총 매수를 확인하는 안내문구가 액정 디스플레이장치(102)에 표시되고(S412), 총 매수만큼 스캔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위의 단계(S405)로 귀환하여 스캔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전송하고자 하는 원고를 모두 스캔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전송"기능이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여(S413), "전송 취소"기능이 선택되면 "서비스 선택모드"로 귀환하고, "전송"기능이 선택되면 통신망(116)을 이용하여 라인을 연결함과 동시에 위의 단계(S402)에서 입력된 전송정보 중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다이얼링한다(S415). 이후, 상대방의 팩시밀리와 호가 설정되면, 임시 저장된 팩스데이터의 전송이 시작되는데(S416), 이때, 전송상태에 에러가 발생하면(S417), 중앙처리장치(109)는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안내문구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하고(S418), 재 전송기능이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한 후(S419), 재 전송기능이 선택되었으면, 위의 단계(S416)로 귀환하여 팩스전송을 다시 시작한다. 또한, 재 전송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위의 단계(S414)로 귀환하여 "서비스 선택모드"로 전환한다.
만약, 팩스전송작업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팩스데이터가 전송중임을 나타내는 안내문구를 표시하고(S420), 단위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카드에 기록된 현재금액을 감산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인터페이스부(113)를 제어하여 카드에 기록된 현재금액으로부터 단위금액을 감산하여 정산 및 기록한다(S421).
이후, 팩스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S422), 중앙처리장치(109)는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안내문구를 표시함과 동시에 인터페이스부(113)로부터 카드의 최종 잔액정보를 요청하여 잔액정보를 표시한 후(S423), "서비스 선택모드"로 전환하여 초기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S424).
한편, 원격지로부터 수신된 팩스데이터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109)는 수신된 팩스데이터를 메모리(114)에 일시 저장함과 동시에 프린터(111)를 제어하여 수신된 팩스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우편모드>
사용자가 전자우편을 전송하고자 하여 "서비스 선택모드"에서 "전자우편"기능을 선택한 후 사용 가능한 카드를 카드 판독기(112)에 카드를 투입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와 통신을 수행한 후 공중전화기(100)를 "전자우편모드"로 전환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09)는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현재 선택된 모드가 "전자우편모드"임을 표시하고(S501),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사용자가 상대방의 전자우편주소 및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S502) 키보드 입력상태와 전송하고자 하는 전자우편주소 및 메시지를 입력하라는 안내문구를 표시한다(S503). 이후, 중앙처리장치(109)는 전송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었는가를 체크하여(S504), 입력이 완료된 상태이면 전송정보 입력단계(S503)에서 입력된 전송내용(전자우편주소 및 메시지)을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확인작업을 수행한다(S505). 여기서, 사용자가 "재입력"기능을 선택하면(S506), 위의 단계(S503)로 귀환하여 전송정보를 다시 입력한다.
만약,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1)을 통하여 "전송"기능을 선택하면(S507), 중앙처리장치(109)는 모뎀(115)을 제어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서버에 연결한다(S508). 이에 따라, 모뎀(115)은 통신망 제어부(117)를 제어하여 통신망(116)을 통해 서버에 접속한다.
공중전화기(100)가 서버에 연결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메모리(114)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S509), 상대방의 전자우편주소로 메시지를 전송한다(S510).
이후, 전송작업이 완료되면(S511),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와 통신하여 카드의 요금을 사용요금만큼 정산한 후 새로운 금액을 기록하도록 제어하고(S512), 통신망(116)을 통하여 전송종료신호를 송출한 후(S513),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와 카드의 잔액을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하고(S514), "서비스 선택모드"로 전환하여 초기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S515).
만약, 위의 단계(S511)에서 전송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전자우편"기능에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체크하여(S516), 에러가 발생한 경우 해당 에러내용을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 후(S517), "전자우편모드"를 종료한다는 안내문구를 표시하고(S518), "서비스 선택모드"로 전환하여 초기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S519).
한편, 원격지로부터 수신된 전자우편 메시지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109)는 수신된 메시지를 메모리(114)에 일시 저장함과 동시에 프린터(111)를 제어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인터넷모드>
이 모드는 사용자가 서버에서 제공하는 목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의 검색 및 전자상거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모드이며,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고자 하여 "서비스 선택모드"에서 "인터넷"기능을 선택한 후 사용 가능한 카드를 카드 판독기(112)에 카드를 투입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와 통신을 수행한 후 공중전화기(100)를 "인터넷모드"로 전환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09)는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현재 선택된 모드가 "인터넷모드"임을 표시하고(S601), 메모리(114)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웹 브라우저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다(S602). 이후, 중앙처리장치(109)는 모뎀(115)을 제어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서버에연결한다(S603). 이에 따라, 모뎀(115)은 통신망 제어부(117)를 제어하여 통신망(116)을 통해 서버에 접속한다.
이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는 인터넷 서비스 메뉴가 표시되고(S604), 사용자가 임의의 서비스를 선택함에 따라(S605)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와 통신하여 카드의 단위요금을 삭감하라는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해당 단위금액이 삭감되었다는 것을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다(S606).
만약, 서비스가 종료되거나(S607) 혹은 카드가 배출되면(S608), 중앙처리장치(109)는 서버의 연결상태를 해제하고(S609), "서비스 선택모드"로 전환하여 초기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S610).
만약, 서비스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중앙처리장치(109)는 단위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계속 체크하여(S611), 단위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위의 단계(S606)로 귀환하여 단계(S606)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인터넷 검색결과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프린터(111)로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중앙처리장치(109)는 사용자가 검색한 결과에 대한 출력기능이 선택되었는가를 감지하여, 출력기능이 선택되면, 해당 프레임의 이미지정보를 프린터(111)로 전송하여 인쇄하도록 함으로써, 인터넷 검색결과의 출력이 가능해진다.
<긴급통화모드>
이 모드는 사용자가 지불수단 즉, 카드를 투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긴급한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모드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서비스 선택모드"에서 "긴급통화"기능을 선택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현재 선택된 모드가 "긴급통화모드"임을 표시하고(S701), 현재 송수화기(106)가 후크-오프상태(송수화기가 들려진 상태)인가를 체크한다(S702).
이 단계(S702)에서 현재 송수화기(106)가 후크-오프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메모리(114)에 저장된 각종 안내문구 중 송수화기를 들라는 안내문구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다(S703).
만약, 위의 단계(S702)에서 송수화기(106)가 후크-오프상태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09)는 메모리(114)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다이얼링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다이얼 창을 표시함과 동시에(S704), 사용자가 긴급전화번호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긴급전화번호부 창을 표시한다(S705).
이후,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와 통신하여 라인을 연결하도록 요청하고, 인터페이스부(113)는 통화회로(118)를 제어하여 전화망(120)을 연결한다(S706).
이때,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S707) 혹은 긴급전화번호부 창에서 긴급전화번호를 선택하면(S708), 중앙처리장치(109)는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부(113)에 전송함과 동시에 다이얼이 송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안내문구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3)는 통화회로(118)를 제어하여 중앙처리장치(109)로부터 전송된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S709).
이후, 사용자에 의해 송수화기(106)가 후크-온(송수화기가 후크스위치에 올려진 상태)되면(S710), 인터페이스부(113)는 통화회로(118)를 제어하여 해당 라인의 연결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S711), 라인의 연결상태가 해제되었음을 중앙처리장치(109)에 통보한다. 중앙처리장치(109)는 인터페이스부(113)로부터의 통보에 응답하여 현재 모드를 "서비스 선택모드"로 전환한다(S712).
한편, 위의 "전화모드" 혹은 "긴급통화모드"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뮤트(Mute)기능을 선택하면, 도 19a 내지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109)와 인터페이스부(113)가 통신하면서 통화회로(118)를 일시적으로 뮤트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공중전화기에 팩시밀리기능과 전자우편(E-mail) 송/수신기능 및 인터넷기능과 프린트기능을 통합 및 내장하여 여러 가지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특정 지역에서도 사무자동화기기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사무자동화기기들을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해소한다.

Claims (18)

  1. 공중전화기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각종 조작에 의해 선택된 입력상태를 판정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중전화기의 현재 작동상태와 각종 표시상태를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공중전화기의 전면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공중전화기를 이용한 화상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공중전화기 전방의 대상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
    상기 공중전화기의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원고를 투입할 수 있는 원고 투입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상기 원고를 스캔하고, 스캔작업에서 획득된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하는 스캐너;
    상기 공중전화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인쇄된 출력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적재될 수 있는 배출구와 적재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 이미지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
    상기 공중전화기에 투입된 카드의 사용여부와 추후 사용금액을 청구할 수 있도록 상기 카드로부터 각종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공중전화기의 사용량에 따라 카드에 충전된 금액을 읽고 기록하는 카드 판독기;
    상기 공중전화기의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어도 통화제어부와 DTMF신호 발생부 및 변/복조부와 선로 정합부를 포함하는 통화회로;
    상기 카드 판독기와 상기 통화회로의 각종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카드 판독기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상태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카드 판독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카드의 정보에 따라 상기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통화회로를 제어하여 통화로를 개통여부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공중전화기가 수행할 각종 프로그램데이터가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스캐너에 의해 스캔된 데이터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할 각종 표시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공중전화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할 각종 정보를 변조 및 복조함과 동시에 각종 정보의 송/수신상태를 제어하는 모뎀;
    상기 모뎀과 상기 통신망을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 제어부;
    상기 공중전화기와 전화망을 인터페이스하는 전화망 제어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면서 상기 공중전화기의 각종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데이터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전화기능과 팩시밀리기능 및 전자우편기능과 인터넷검색기능을 표시하고, 표시된 각종 기능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화기능과 상기 팩시밀리기능 및 상기 전자우편기능과 상기 인터넷검색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능은,
    상기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정보를 통하여 상기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하며;
    상기 판정 결과 상기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이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다이얼 프로그램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다이얼 창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창을 통해 입력한 입력상태를 감지하며;
    감지된 상기 입력상태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호를 설정하고;
    단위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상기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상기 카드에 기록된 금액으로부터 단위금액을 감액 정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모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화상정보를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화상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팩스기능은,
    상기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정보를 통하여 상기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하며;
    상기 판정 결과 상기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이면, 사용자가 상대방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팩스전송에 필요한 전송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전송정보 입력 창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전송정보 입력 창을 통해 입력한 입력상태를 감지하며;
    원고를 스캔하고;
    스캔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전송정보에 다른 상대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연결하며;
    상기 스캔작업을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데이터를 전송하고;
    단위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상기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상기 카드에 기록된 금액으로부터 단위금액을 감액 정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우편기능은,
    상기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정보를 통하여 상기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하며;
    상기 판정 결과 상기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이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키보드 프로그램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전자우편주소와 메시지를 포함하는 전송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키보드 창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 창을 통해 입력한 전송정보를 감지하며;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감지된 상기 전송정보 중 상기 전자우편주소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위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상기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상기 카드에 기록된 금액으로부터 단위금액을 감액 정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검색기능은,
    상기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정보를 통하여 상기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하며;
    상기 판정 결과 상기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이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각종 프로그램 중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검출하여 실행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 메뉴를 표시하고;
    서비스를 시작한 후, 단위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상기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상기 카드에 기록된 금액으로부터 단위금액을 감액 정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다이얼 프로그램 및 긴급전화번호부 프로그램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 및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다이얼 창과 긴급전화번호부 창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창과 긴급전화번호부 창 중 어느 하나의 창을 통해 입력한 입력상태를 감지하며;
    감지된 상기 입력상태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호를 설정하도록 한 긴급통화모드를 더 포함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통화모드는,
    상기 공중전화기가 현재 진행중인 모드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언제든지 전환 가능한 비상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통화모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화상정보를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화상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드를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카드 판독기의 고장유무를 체크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통신하여 상기 카드 판독기가 고장상태이면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다는 항목을 표시하는 카드 판독기 고장진단모드를 더 포함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된 표시상태의 언어를 변경 선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언어선택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적어도 둘 이상의국가별 언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도 변경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선택기능은,
    상기 공중전화기가 현재 진행중인 모드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언제든지 전환 가능한 비상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공중전화기의 각종 기능에 대한 도움말을 표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움말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도움말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도움말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도움말 항목에 대응하는 도움말정보를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말기능은,
    상기 공중전화기가 현재 진행중인 모드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언제든지 전환 가능한 비상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카드가 강제로 배출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공중전화기의 해당 모드를 중지하고,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초기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공중전화기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광고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정보 표시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공중전화기를 상기 초기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공중전화기가 제공 가능한 상기 서비스 목록을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판독기는,
    투입된 카드가 신용카드인가를 판단하고;
    투입된 상기 카드가 신용카드이면, 카드를 배출하도록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신용카드의 사용여부를 판정하며;
    투입된 카드가 신용카드가 아니면 IC 카드인가를 판정하고;
    투입된 상기 카드가 IC 카드이면 상기 IC 카드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검출하여, 사용 가능한 금액을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KR1019990065769A 1999-12-30 1999-12-30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KR100314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769A KR100314603B1 (ko) 1999-12-30 1999-12-30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769A KR100314603B1 (ko) 1999-12-30 1999-12-30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817A true KR20010065817A (ko) 2001-07-11
KR100314603B1 KR100314603B1 (ko) 2001-11-15

Family

ID=1963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769A KR100314603B1 (ko) 1999-12-30 1999-12-30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60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384B1 (ko) * 2001-09-10 2004-02-11 권황섭 멀티미디어 공중통신 단말 네트워크 시스템
KR100425915B1 (ko) * 2001-12-07 2004-04-06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40045949A (ko) * 2002-11-26 2004-06-05 김연일 다기능 공중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방법
KR100806866B1 (ko) * 2006-01-04 200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기 및 그의 제어방법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09022764A1 (en) * 2007-08-16 2009-02-19 Kt Linkus Company Ltd. Remote settlement system using a public phone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20160056845A (ko) * 2015-11-18 2016-05-20 주식회사 에코카 멀티 공중전화 시스템
CN106487873A (zh) * 2015-08-27 2017-03-08 黄世福 一种能方便地实现交换功能的电子名片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384B1 (ko) * 2001-09-10 2004-02-11 권황섭 멀티미디어 공중통신 단말 네트워크 시스템
KR100425915B1 (ko) * 2001-12-07 2004-04-06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40045949A (ko) * 2002-11-26 2004-06-05 김연일 다기능 공중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방법
KR100806866B1 (ko) * 2006-01-04 200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기 및 그의 제어방법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09022764A1 (en) * 2007-08-16 2009-02-19 Kt Linkus Company Ltd. Remote settlement system using a public phone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CN106487873A (zh) * 2015-08-27 2017-03-08 黄世福 一种能方便地实现交换功能的电子名片系统
KR20160056845A (ko) * 2015-11-18 2016-05-20 주식회사 에코카 멀티 공중전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4603B1 (ko) 200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0248C (en) Public fax service and system
JP4872642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GB2412527A (en) Printing device
US20050012966A1 (en) Method for blocking unwanted facsimile transmissions
KR100314603B1 (ko)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
CN103095950B (zh) 操作装置、操作方法以及图像形成装置
JPH0714761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4075499B2 (ja) 画像読取装置
JP3628896B2 (ja) 画像情報伝送装置
JP2730654B2 (ja)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JP4344304B2 (ja) 画像処理装置
US20240045634A1 (en) Image forming system
JP7306949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H0497465A (ja) 複合端末装置
KR100274628B1 (ko) 팩스데이터전송방법
KR100352230B1 (ko) 물품 제공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334100B1 (ko) 특정 문서 수신시 이를 통보하는 방법
JP2730655B2 (ja)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JP344897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604942B2 (ja) 公衆サービス用ファクシミリシステム
KR100260909B1 (ko) 팩시밀리 작업정보의 관리방법
JPH06266636A (ja) 通信記憶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S61224655A (ja) 複合電子機器
JPH0131707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2101239A (ja) 画像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