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5319A -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5319A
KR20010065319A KR1019990065192A KR19990065192A KR20010065319A KR 20010065319 A KR20010065319 A KR 20010065319A KR 1019990065192 A KR1019990065192 A KR 1019990065192A KR 19990065192 A KR19990065192 A KR 19990065192A KR 20010065319 A KR20010065319 A KR 20010065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drain pan
air
indoor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대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1019990065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5319A/ko
Publication of KR2001006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31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드레인팬의 구조 개선을 통해 열교환기의 열교환 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므로써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내기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송풍팬(4)과, 상기 송풍팬(4) 직하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3)와, 상기 열교환기(3)를 받치도록 열교환기(3) 하부에 설치되는 드레인팬(8)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8)의 바닥면상에 상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3) 하단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통공(7)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Structure of drain pan i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드레인팬의 구조 개선을 통해 열교환기의 열교환 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므로써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인간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도구중의 하나로서, 시원하거나 따뜻한 공기를 제공하는 단순한 기능에서 출발하여 요즈음엔 공기정화 등의 다른 기능이 추가되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기능이나 유니트의 구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대별되어 지며, 기능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전용, 냉방 및 제습전용, 냉방 및 난방겸용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유니트의 구성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과 방열기능을 일체화하여 창문등에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측 공간에는 냉각장치를 실외측 공간에는 방열 및 압축장치를 각각 분리시켜 설치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된다.
상기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에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다수의 실내 공간마다 각각 공기조화를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의 실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도 포함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를 이루는 직사각형의 실내기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송풍팬(4)과, 이의 직하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3)(즉,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3)는 냉매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내부로 냉매가 순환되고, 각 냉매관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냉각핀이 구비되어 열교환과정을 통하여 주위를 흐르는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열교환기(3)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차가워진 공기를 실내로 강제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내기 본체(1) 전면 하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그릴(2)이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 본체(1) 전면 상부에는 상기 흡입그릴(2)을 통해 유입되어 열교환기(3)를 거치면서 차가워진 공기가 송풍팬(4)의 회전력에 의해 강제로 토출될 때, 토출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루버(5 ; exhaust louver)가 구비된다.
한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열교환기(3) 하부에는 열교환기(3)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받는 물받이 역할을 하는 드레인팬(8)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그릴(2)을 통해 유입된 실내의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열교환기(3)를 거쳐 냉각된 상태에서, 송풍팬(4)의 강제력에 의해 토출루버(5)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므로써, 실내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 때, 실내기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3)에서의 열교환 작용시, 응축된 응축수는 열교환기(3) 하부의 드레인팬(8)으로 모인후 드레인팬(8)의 드레인공(9)을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에는 드레인팬(8)의 바닥면에는 드레인공(9)만이 형성되어 있을 뿐이어서, 바닥면이 막혀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에는 흡입그릴(2)을 통해 실내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3)쪽으로 유입될 때, 드레인팬(8)에 의해 열교환기(3)의 하부쪽으로는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드레인팬(8)의 구조적인 특징상, 열교환기(3) 하부를 가리게 되어 열교환기(3) 하부측에서의 열교환 작용을 방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열교환기(3) 하단으로부터 2단 ∼ 3단 영역(도 3의 "E" 영역)에서는 열교환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열교환 면적이 감소되므로 인해 열교환기(3)의 전체적인 열교환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드레인팬의 구조 개선을 통해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 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므로써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공기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
도 6은 도 5의 드레인팬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흡입그릴
3 : 열교환기 4 : 송풍팬
5 : 토출루버 6 : 경사루버
7 : 유통공 8 : 드레인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내기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 직하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받치도록 열교환기 하부에 설치되는 드레인팬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의 바닥면상에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 하단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통공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의 드레인팬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본 발명은 실내기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송풍팬(4)과, 상기 송풍팬(4) 직하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3)와, 상기 열교환기(3)를 받치도록 열교환기(3) 하부에 설치되는 드레인팬(8)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8)의 바닥면상에 상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3) 하단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통공(7)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 때, 상기 유통공(7)은 랜싱(lancing)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유통공(7)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유통공(7)을 지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경사루버(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경우, 종래와 마찬가지로 흡입그릴(2)을 통해 유입된 실내의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열교환기(3)를 거쳐 냉각된 상태에서, 송풍팬(4)의 강제력에 의해 토출루버(5)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므로써, 실내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경우에는 드레인팬(8)의 바닥면 상에 드레인공(9)만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바닥면상에 상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3) 하단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통공(7)이 추가적으로 형성되고, 그 주위에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경사루버(6)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그릴(2)을 통해 실내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3)쪽으로 유입될 때, 드레인팬(8)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통공(7)을 통과한 공기가 유통공(7)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루버(6)의 안내를 받아 열교환기(3)의 하부쪽으로 유입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드레인팬(8)의 구조적인 특징상, 드레인팬(8)이 열교환기(3) 하부를 가리지 않게 되므로, 열교환기(3) 하부측에서의 열교환 면적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열교환 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요컨대,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3) 하단으로부터 2단 ∼ 3단 영역(도 3의 "E" 영역)에서도 열교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므로, 열교환기(3)에서의 열교환 면적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결국 열교환기(3)의 전체적인 열교환 성능이 향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드레인팬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의 열교환 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므로써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실내기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 직하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받치도록 열교환기 하부에 설치되는 드레인팬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의 바닥면상에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 하단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통공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공 일측 가장자리에 유통공을 지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경사루버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공 및 경사루버는 랜싱 가공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
KR1019990065192A 1999-12-29 1999-12-29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 KR20010065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192A KR20010065319A (ko) 1999-12-29 1999-12-29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192A KR20010065319A (ko) 1999-12-29 1999-12-29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319A true KR20010065319A (ko) 2001-07-11

Family

ID=1963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192A KR20010065319A (ko) 1999-12-29 1999-12-29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53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50B1 (ko) 2002-03-07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 덕트형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50B1 (ko) 2002-03-07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 덕트형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69677B (zh) 空调
CN111811050B (zh) 空调
KR100238513B1 (ko) 공기조화기
KR19990016577A (ko) 에어컨의 실내기
JP2006177573A (ja) 空気調和機
JP3546032B2 (ja) 空気調和機
KR20010065319A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조
KR20060117832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EP1052457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70007603A (ko) 토출공기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제습기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4365497A1 (en) Air conditioner
KR20040085965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기 냉각구조
JP2005008387A (ja) エレベータ用空気調和機
JP2010190516A (ja) 空気調和機
JP2009168282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327619Y1 (ko) 보조 송풍장치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0312467Y1 (ko) 천장카세트형 에어컨의 흡입그릴 구조
KR20050052142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64463B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토출구조
KR100547687B1 (ko) 공기조화기
KR10085432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388663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0179265B1 (ko) 패키지형 에어컨
CN117387136A (zh) 换热设备和换热设备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