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3835A -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정합모듈의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정합모듈의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3835A
KR20010063835A KR1019990061936A KR19990061936A KR20010063835A KR 20010063835 A KR20010063835 A KR 20010063835A KR 1019990061936 A KR1019990061936 A KR 1019990061936A KR 19990061936 A KR19990061936 A KR 19990061936A KR 20010063835 A KR20010063835 A KR 20010063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multiplexing
transmitting
module
transmiss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3866B1 (ko
Inventor
소운섭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90061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866B1/ko
Publication of KR2001006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3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12Switch control, e.g. arbi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2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많은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고, 교환시스템 내에 장착하여 가입자 스위치망과 연결 스위치망을 통하여 시스템 내부의 유지보수 제어모듈이 제어하거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16개의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에 연결되고, 1개의 비동기전송 모드층 처리장치는 보드당 8채널의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를 처리하는 16보드의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처리장치와 연결되며, 가입자스위치망 모듈과는 데이터 접속을 위한 내부모듈접속(IMI) 및 로컬 타이밍 클럭(LTSI)을 통해 연결되어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에게 대칭 및 비대칭 비동기전송모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ATM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정합모듈에 이용됨.

Description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정합모듈의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ATM CELL MULTIPLEXING EQUIPMENT OF DSL SUBSCRIBER MULTIPLEXING INTERFACE MODULE}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시스템에서 범용 디지털가입자회선(xDSL)을 사용하는 다수의 원거리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해,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 내에 실장할 수 있는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 정합모듈의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다중화 정합모듈의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처리장치와 버스를 통해 접속되었으므로, 접속할 버스 길이의 제한 요소 때문에 접속할 수 있는 가입자 수가 제한되었다. 또한, 교환기 내에 장착되지 않고 교환기와 형상이 다른 형태의 장비로서, 교환기 외부에서만 접속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여러 개의 셀 다중화장치를 사용해야 하며, 교환기 외부에 접속되므로, 시스템 내부의 운용 및 유지보수장치에서 제어하거나 상태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다수의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를 한번 더 다중화하여 많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며, 교환시스템 내에 장착하여 가입자 스위치망과 연결 스위치망을 통하여 시스템 내부의 유지보수 제어모듈에서 제어하거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다중화 정합모듈의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비동기전송모드(ATM) 교환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 정합모듈의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중앙 제어부 42 : 클럭 신호 정합부
43 : 상태 정합부 44 : 하위 링크 정합부
45 : 하위 링크 제어부 46 : 송수신 셀 다중화부
47 : 수신셀 처리부 48 : 송신셀 처리부
49 : 스위치 링크 정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 가입자스위치망모듈과 디지털 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정합모듈의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에 연결된 비동기전송 모드셀 다중화장치에 있어서, 로컬 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로컬 버스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제어 셀을 이용하여 상위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수단; 상기 가입자 스위치망모듈로부터 로컬 타이밍 클럭을 공급받아, 장치내 필요한 클럭 신호를 상기 로컬 버스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로 모듈 타이밍 클럭을 제공하는 클럭신호 정합수단; 상기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의 상태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로컬 버스를 통해 전달하는 상태정합수단; 상기 비동기전달모드층 처리장치와 로컬내부모듈접속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된 데이터의 정합과 디코딩 및 코딩을 수행하는 하위링크 정합수단; 다수 개의 송신셀 및 수신셀 피포(FIFO)를 구비하고, 수신된 셀을 변환하여 상기 수신셀 피포에 저장하거나, 상기 송신셀 피포에 저장된 셀을 변환하여 상기 하위링크 정합수단으로 전달하는 하위링크 제어수단; 상기 각각의 수신셀 피포에 저장된 셀을 읽어 다중화하고, 송신셀 처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셀을 역다중화하여 대응되는 링크의 상기 각 송신셀 피포에 저장하는 송수신셀 다중화수단; 상기 송수신셀 다중화수단에 의해 다중화된 셀을 처리하는 수신셀처리수단; 송신될 셀을 처리하여상기 송수신셀 다중화수단에 제공하는 송신셀처리수단; 및 상기 가입자스위치망모듈과 내부모듈접속을 통해 접속된 스위치링크 정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의 구성도로, 이는 하나의 중앙교환서브시스템(2)과 다수개의 로컬교환서브시스템(1)으로 구성된다.
로컬교환서브시스템(1)은 STM-1(155Mbps) 가입자, DS3(45Mbps) 가입자, DS1(1.5Mbps) 가입자, DS1E(2Mbps) 가입자, 범용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52Mbps~1Mbps, 13Mbps~64kbps)들을 가입자 스위치 망으로 접속해 주는 가입자 정합모듈(11), STM-1(155Mbps) 중계선, STM-4(622Mbps) 중계선을 가입자 스위치망으로 접속해 주는 중계선 정합모듈(12), 가입자 정합모듈(11)과 중계선 정합모듈(12) 및 가입자제어모듈(14)을 연결스위치망모듈(21)에 접속해 주는 가입자 스위치망모듈(13), 로컬교환서브시스템(1) 내의 각 모듈의 경보를 취합하고, 유지보수 제어 및 호연결 제어를 하는 가입자 제어모듈(14)로 구성된다. 각 모듈과 가입자 스위치망(13)과의 접속은 내부모듈접속(IMI: Inter Module Interface)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가입자나 중계선의 속도에 따라 접속되는 IMI의 갯수가 달라진다.
중앙교환서브시스템(2)은 로컬교환서브시스템(1)들을 상호 접속해 주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교환시스템 망 전체의 동기를 목적으로 망동기 클럭을 발생시켜 가입자 스위치망모듈(13)과 연결스위치망모듈(21) 및 유지보수제어모듈(23)에 각각 같은 주기의 내부모듈 타이밍 클럭(IMTI: Inter Module Timing Interface)과 중앙 타이밍 클럭(CTSI : Central Timing Signal Interface)을 공급해 주는 망동기 모듈(22), 가입자 스위치망모듈(13)들을 상호 연결해 주고, 유지보수 제어모듈(23)과의 접속을 갖는 연결스위치망모듈(21), 교환시스템 전체의 유지보수 제어기능과 운용관리기능을 수행하는 유지보수 제어모듈(23)로 구성되며, 각 모듈과 연결스위치망모듈(21)과의 접속은 내부모듈접속(IMI)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로컬교환서브시스템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다중화 정합모듈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는 본 발명인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31), 최대 16개의 비동기 전송 모드층 처리장치(32-1 내지 32-16), 최대 16개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처리장치(33-1 내지 33-16)로 구성되어, 최대 1024개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를 수용하고,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처리하여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에게 고속의 비동기전송모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31)는 내부모듈접속(IMI)을 통해 234.7474 Mbps의 차동신호 직렬 데이터를 가입자 스위치망모듈(13)과 송수신 하며, 로컬 타이밍 클럭(LTSI: Local Timing Signal Interface)인 46.94943MHz 클럭을 가입자 스위치망모듈(13)로부터 받는다. 중앙교환서브시스템의 유지보수 제어모듈(23)과도통신하여 중앙 제어를 받는다. 16개의 비동기 전송 모드층 처리장치와의 통신은 로컬 내부모듈접속(LIMI: Local IMI)을 통해 234.7474Mbps의 차동신호 직렬 데이터로 송수신 하며, 이들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가입자 스위치망모듈(13) 쪽으로 내보내며, 그 역 기능도 수행한다. 가입자스위치망모듈(13)로부터 받은 모듈타이밍 클럭(MTSI: Module Timing Signal Interface)인 46.94943MHz 클럭은 합성 및 버퍼링 하여, 16개의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에게 공급해 준다. 또한,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의 기능 경보신호(FA1 ~ FA16)와 탈장 경보신호(OA0 ~ OA16)를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로부터 입력 받고, 자신의 탈장 경보신호(Off_Alm)와 기능 경보신호(Fun_Alm)는 경보취합장치로 출력해 준다.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32-1)는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31)와 LIMI를 통해 234.7474Mbps의 차동신호 직렬 데이터를 송수신 하며,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처리장치(33-1)와는 송수신 셀 버스 및 제어신호 버스를 통하여 통신한다. 송수신 셀 버스에서는 송신셀 16비트 데이터, 송신셀 시작 신호를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처리장치로 보낸다. 수신셀 16비트 데이터, 수신셀 시작 신호를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처리장치로부터 받고, 셀수신 요청 신호를 16매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처리장치로부터 받으면, 폴링해서 일정한 순서가 되면, 셀의 수신을 요청한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처리장치에게 셀수신 허락 신호를 보내 준다. 제어 신호버스를 통하여서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처리장치 내에 있는 양 포트램을 액세스하기 위해 주소 신호, 데이터 신호, 주소 유효 신호, 데이터 유효 신호, 데이터 읽기/쓰기 신호를 주고 받는다. 모듈 내의 클럭 동기를맞추기 위한 주 클럭(23.4747MHz)과, 송수신 셀버스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셀버스 클럭(11.7373MHz)을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처리장치에게 공급해 준다. 또한, 각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처리장치의 기능 경보신호와 탈장 경보신호를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처리장치로부터 입력 받고, 기능 경보신호(FA)와 탈장 경보신호(OA)는 비동기 전송 모드셀 다중화장치로 출력해 준다.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처리장치(33-1)는 송수신 셀버스를 통하여 송신셀 16비트 데이터와 송신셀 시작 신호를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32-1)로부터 받고, 수신셀 16비트 데이터와 수신셀 시작 신호를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32-1)로 보낸다. 또한, 셀의 수신을 요청하는 셀수신 요청 신호를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로 보내고, 셀수신 허락 신호를 받는다. 제어 신호 버스를 통하여서는 양 포트 램과 정합하기 위해 주소 신호, 주소 유효 신호, 데이터 유효 신호, 데이터 읽기/쓰기 신호 및 주 클럭과 셀버스 클럭을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32-1)로부터 받고, 데이터 신호를 주고 받는다. 또한, 기능 경보신호와 탈장 경보신호를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로 보낸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의 블록 구성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는 가입자 스위치망모듈과는 내부모듈접속(IMI) 및 로컬 타이밍 클럭(LTSI) 신호를 통하여 연결되고,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32-1)와는 로컬 내부모듈접속(LIMI) 및 모듈 타이밍 클럭(MTSI) 신호를 통하여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다음과 같다.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32-1)로부터 입력된 셀은 하위링크 정합부(44)에 입력되고, 하위 링크 제어부(45) 및 수신셀 피포(FIFO)부(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송수신셀 다중화부(46)에 입력된다. 송수신셀 다중화부(46)가 16개의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된 셀을 다중화하고, 수신셀 처리부(47)로 보내면, 수신셀 처리부(47)에서는 관리 셀, 사용자 셀, 내부 제어 셀로 분리하여, 각각의 피포(FIFO)에 저장하여 전달한다. 여기서, 내부 제어 셀은 프로세서(중앙 제어부(41))가 읽어가서 분석하며, 관리 셀과 사용자 셀은 스위치링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및 스위치 링크 정합부(49)를 거쳐 스위치로 전달된다.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셀은 스위치 링크 정합부(49) 및 스위치링크 제어부를 거쳐 송신셀 처리부(48)에 입력된다. 그리고, 송신셀 처리부(48)에서는 각각의 피포에 저장된 관리 셀, 사용자 셀, 제어 셀을 다중화 하여, 다시 송수신셀 다중화 제어부(46)로 입력한다. 그리고, 다중화된 셀은 다시 각각의 송신셀 피포부에 저장되었다가 하위 링크 제어부(45) 및 하위 링크 정합부(44)를 거쳐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의 각 기능부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본다.
중앙 제어부(41)는 32비트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데이터 신호선, 주소 신호선, 제어 신호선을 발생시켜, 이들을 로컬 버스에 공급해 주고, 이들 신호들을 조합하여 셀 다중화장치 내의 각부에 속한 디바이스 및 레지스터들에 대한 주소를 지정해 주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과 각종 데이터 저장을 위한 램 및 전원 제거 후에도 기억해야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여, 셀 다중화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중앙 제어부(41)는 상위 제어 셀을 이용하여 상위 프로세서와 통신하며, 가입자 선로의 상태를 파악하여 상위 프로세서로 보고하고, 각종 연결의 등록 및 삭제, 연결에 대한 파라메터 설정, 라우팅 정보의 설정 등을 수행하고, 가입자로부터 수신한 관리 셀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중앙 제어부(41)는 50MHz의 클럭 발생기를 두어, 상기 클럭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클럭을 버퍼링 및 분주하여 로컬 버스에 공급해 주며, 전원 공급시 및 리셋 스위치에 의한 수동 리셋시에 리셋 신호를 생성하여, 로컬 버스에 공급해 준다. 또한, 직렬 입출력 기능을 통하여 디버깅을 위한 터미널 연결 기능을 제공해 주며, 망과의 접속을 할 수 있도록 이더넷 정합 기능을 제공해 준다.
클럭신호 정합부(42)는 가입자 스위치망모듈로부터 에미터결합논리(ECL: Emitter Coupled Logic) 레벨로 로컬 타이밍 클럭(LTSI)인 46.94943MHz를 공급 받아서, 234.7474MHz로 변환하여 하위 링크 제어부(45) 및 하위 링크 정합부(44)에 공급하고, 다시 로컬 타이밍 클럭(LTSI) 신호를 드라이브 하여, 각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에 ECL 레벨로 1대1 공급한다. 또한, 이 클럭을 2분주 및 4분주하여, 클럭 드라이버를 거친 다음, 셀 다중화장치 내의 모든 소자에 공급한다.
상태 정합부(43)는 접속되는 각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의 기능 경보상태 신호(FA[1:16]) 및 탈장 경보상태신호(OA[1:16])와 연결되어, 프로세서가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의 현재 상태를 읽어갈 수 있도록 해 준다.
하위 링크 정합부(44)는 로컬내부모듈접속(LIMI) 링크 형태를 이용하여, 16개의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와 정합된다. 4개의 4채널용 링크 전용 칩을 이용하여 하위 링크(비동기전송 모드층 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직렬 데이터를 64바이트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블록 코딩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고, 하위 링크 제어부(45)로 전달하고, 하위 링크 제어부(45)에서 받은 64바이트의 병렬 데이터를 블록 코딩을 수행한 뒤, 직렬 데이터로 변경하여 하위 링크로 전달한다. 링크 전용 칩은 로컬 루프백 기능을 제공하며 중앙 제어부(41)의 제어를 받는다.
하위 링크 제어부(45)는 16개의 링크와 정합하여 셀을 송수신 하고, 각각 16개의 송신셀 및 수신셀 피포를 가지고 있으며, 16개의 포트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송수신 셀 다중화부(46)에서 라우팅 정보를 부가한 56바이트 셀을 송신셀 피포에 써 놓으면, 이것을 읽어 64바이트의 셀 형식으로 변환하여 하위 링크 정합부(44)로 전달하고, 하위 링크 정합부(44)로부터 64바이트의 셀을 수신하면 54바이트의 내부 셀 형식으로 변환하여, 수신셀 피포에 써 넣고 송수신 셀 다중화부(46)가 읽어 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위 링크로 전달하는 셀은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셀과 중앙 제어부(41)에서 수신한 내부 제어 셀, 그리고 중앙 제어부(41)에서 내 보내는 관리(OAM) 셀 등이 있다. 하위링크 제어부(45)는 셀에 있는 라우팅 정보의 값을 분석하여, 사용자 셀인 경우는 그대로 하위 링크 정합부(44)로 전달하고, 내부 제어 셀이면 셀의 유료 부하에 대한 CRC-32를 계산하여 삽입하고, 관리 셀인 경우는 CRC-10을 계산하여 삽입한다.
송수신셀 다중화부(46)는 각 링크로부터 입력되어 하위링크 제어부(45)의 수신셀 피포에 쌓여진 각각의 셀을 다중화하는 기능 및 송신셀 처리부(48)로부터 입력된 셀을 역다중화 하여 각 링크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수신셀 다중화부(46)는 하위링크 제어부(45)에 있는 16개 수신셀 피포의 셀 존재 신호에 대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우선 순위를 두고 셀이 존재하는 수신셀 피포에 대해 셀 읽기 신호를 생성하여, 54바이트 단위로 읽어 다중화 기능을 수행한다. 다중화된 셀은 수신셀 처리부(47)로 전달되는데, 이때 53바이트 셀 외에 몇 번째 피포에서 읽었는지를 링크 번호로 변환하여 링크 번호 바이트를 같이 전달한다. 이때, 피포에서 읽은 첫번째 바이트의 셀 타입을 읽어서, 제어 셀이면 사용자 셀과 구분하기 위해 링크 번호를 실제로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16~31로 변환한다. 또한, 송수신셀 다중화부(46)는 하위 링크 제어부(45)로 전달되어야 할 56바이트 셀을 송신셀 처리부(48)로부터 받아 첫번째 바이트를 분석하여 보내야 할 링크 번호를 찾아 해당 하위링크 제어부의 송신셀 피포에 써 넣는다.
수신셀 처리부(47)는 셀의 헤더로부터 가상경로식별자(VPI)와 가상채널식별자(VCI)를 분석하여 해당 셀이 가상경로연결용인지 가상채널연결용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가상경로인덱스와 가상연결식별자를 사용하여 연결 관리 테이블을 검색하고 연결 식별자를 추출한다. 그리고, 헤더 변환 및 라우팅 정보 3바이트를 부가한 56바이트 셀을 출력하고, 입력 셀에 대한 각 연결 별로 입력된 셀 수, 사용자 파라미터, 위반 또는 폐기된 셀 수 등을 계수한다. 또한, 관리 셀과 내부 제어 셀을 각각의 피포에 저장하여 프로세서가 읽어 갈 수 있도록 하며, 최대 4k개의 연결을 제공한다.
송신셀 처리부(48)는 사용자 셀 버퍼와 관리 셀 및 내부 제어 셀 버퍼를 다중화 하고, 다중화 된 셀의 헤더로부터 가상경로식별자와 가상채널식별자를 분석하여, 셀이 가상경로연결용인지 가상채널연결용인지를 확인하며, 해당 가상경로인덱스와 가상연결식별자를 사용하여 연결 관리 테이블을 검색하고, 연결 식별자를 추출한다. 관리 셀 전송 요구가 있으면 연결 식별자를 관리 셀 버퍼로부터 읽어와서 CRC-10을 계산하여 관리 셀 전송 요구와 연결 식별자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전송되는 셀이 사용자 셀인 경우 셀을 계수하고 성능 감시를 수행한다. 또한, 송신셀 처리부(48)는 관리 셀 송신 및 수신 피포의 상태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갖고 있으며, 최대 4k개의 연결을 제공한다.
스위치 링크 정합부(49)는 라우팅 정보를 부가한 56바이트의 사용자 셀이 수신셀 처리부(47)에 있는 사용자 셀 수신 피포에 쓰여지거나 스위치로 향하는 상위 제어 셀이 상위 송신 제어 셀 피포에 쓰여지면, 이를 읽어서 다중화하여 64바이트의 셀 형식으로 변환하여 가입자 스위치망 모듈로 전달하고, 가입자 스위치망 모듈로부터 64바이트의 셀을 수신하면 54바이트의 내부 셀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자 셀일 경우는 송신셀 처리부(48)에 있는 사용자 셀 송신 피포에 써 넣고,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상위 제어 셀일 경우는 상위 수신 제어 셀 피포에 써 넣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 내에서 유지 보수 제어모듈의 제어를 받고,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 다중화 정합모듈의 비동기 전송 모드 셀 다중화장치 당 1024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를 접속할 수 있으며, 원거리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에게 고속의 비동기전송모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 가입자스위치망모듈과 디지털 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정합모듈의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에 연결된 비동기전송 모드셀 다중화장치에 있어서,
    로컬 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로컬 버스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제어 셀을 이용하여 상위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수단;
    상기 가입자 스위치망모듈로부터 로컬 타이밍 클럭을 공급받아, 장치내 필요한 클럭 신호를 상기 로컬 버스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로 모듈 타이밍 클럭을 제공하는 클럭신호 정합수단;
    상기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의 상태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로컬 버스를 통해 전달하는 상태정합수단;
    상기 비동기전달모드층 처리장치와 로컬내부모듈접속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된 데이터의 정합과 디코딩 및 코딩을 수행하는 하위링크 정합수단;
    다수 개의 송신셀 및 수신셀 피포(FIFO)를 구비하고, 수신된 셀을 변환하여 상기 수신셀 피포에 저장하거나, 상기 송신셀 피포에 저장된 셀을 변환하여 상기 하위링크 정합수단으로 전달하는 하위링크 제어수단;
    상기 각각의 수신셀 피포에 저장된 셀을 읽어 다중화하고, 송신셀 처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셀을 역다중화하여 대응되는 링크의 상기 각 송신셀 피포에 저장하는 송수신셀 다중화수단;
    상기 송수신셀 다중화수단에 의해 다중화된 셀을 처리하는 수신셀처리수단;
    송신될 셀을 처리하여 상기 송수신셀 다중화수단에 제공하는 송신셀처리수단; 및
    상기 가입자스위치망모듈과 내부모듈접속을 통해 접속된 스위치링크 정합수단
    을 포함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신호 정합수단은,
    에미터결합로직(ECL) 레벨로 상기 가입자 스위치망모듈로부터 로컬 타이밍 클럭인 46.94943MHz 클럭을 공급받아 234.7474MHz로 변환하여 상기 하위링크 제어수단 및 하위링크 정합수단에 공급하고, 상기 로컬 타이밍 클럭을 드라이브하여 상기 각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에 에미터결합로직 레벨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링크 정합수단은,
    로컬내부모듈접속(LIMI)을 통해 다수 개의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와 정합되고, 4개의 4채널용 링크 전용 칩을 이용하여 상기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블록 코딩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상기 하위링크 제어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하위링크 제어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병렬 데이터를 블록 코딩을 수행한 후, 직렬 데이터로 변경하여 상기 비동기전송모드층 처리장치로 전달하며, 로컬 루프백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링크 제어수단은,
    16개의 송신셀 및 수신셀 피포를 구비하며, 상기 송수신셀 다중화수단에 의해 상기 송신셀 피포 저장된 셀을 읽어, 64바이트의 셀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하위링크 정합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하위링크 정합수단으로부터 수신된 64바이트의 셀을 54바이트의 내부 셀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수신셀 피포에 저장하며, 셀의 형식에 따라 셀의 유료부하에 대한 CRC-32 또는 CRC-10을 계산하여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셀 처리수단은,
    상기 송수신셀 다중화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셀의 헤더로부터 가상경로식별자와 가상채널식별자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관리 테이블을 검색한 다음, 대응되는 연결 식별자를 추출하고, 헤더 변환 및 라우팅 정보를 부가한 셀을 상기 스위치링크정합수단으로 제공하며, 입력셀에 대한 각 연결 별로 입력된 셀의 수, 사용자 파라미터, 위반 또는 폐기된 셀의 수를 계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셀 처리수단은,
    사용자 셀 버퍼와 관리 셀 및 내부 제어 셀 버퍼를 다중화하여, 상기 다중화된 셀의 헤더로부터 가상경로식별자와 가상채널식별자를 분석하여, 상기 연결관리 테이블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 식별자를 추출하며, 관리 셀에 대한 CRC-10을 계산하여 전송하고, 사용자 셀의 수를 계수하고 성능 감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KR1019990061936A 1999-12-24 1999-12-24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정합모듈의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KR100353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936A KR100353866B1 (ko) 1999-12-24 1999-12-24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정합모듈의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936A KR100353866B1 (ko) 1999-12-24 1999-12-24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정합모듈의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835A true KR20010063835A (ko) 2001-07-09
KR100353866B1 KR100353866B1 (ko) 2002-09-26

Family

ID=1962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936A KR100353866B1 (ko) 1999-12-24 1999-12-24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정합모듈의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8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715A (ko) * 2002-06-17 2003-12-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tm 계층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E102011055798A1 (de) 2011-06-29 2013-01-03 Kia Motors Corporation Verfahren zur verbesserung von kraftstoffeffizienz basierend auf laufleistu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542B1 (ko) * 1997-06-20 1999-09-15 정선종 Atm 교환기의 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hdsl) 정합장치
KR100267532B1 (ko) * 1997-12-30 2000-10-16 서평원 에이티엠 통신단말에서의 에이티엠 인터페이스 모듈
KR19990069726A (ko) * 1998-02-12 1999-09-06 윤종용 비대칭디지털 가입자라인 다중화 전송장치의 에이티엠셀 버스제어장치
KR100259717B1 (ko) * 1998-04-11 2000-06-15 서평원 가입자 전송 라인장치 및 데이터 전송방법
KR19990086055A (ko) * 1998-05-25 1999-12-15 김영환 에이디에스엘 광대역 서비스망에서 망접속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715A (ko) * 2002-06-17 2003-12-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tm 계층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E102011055798A1 (de) 2011-06-29 2013-01-03 Kia Motors Corporation Verfahren zur verbesserung von kraftstoffeffizienz basierend auf laufleis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3866B1 (ko)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45557B1 (en) ATM switching system
US6798784B2 (en) Concurrent switching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traffic
US6229822B1 (en) Communications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cells
US5812550A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layer func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an enlarged structure
US6961340B2 (en) AAL2 receiver for filtering signaling/management packets in an ATM system
KR100243415B1 (ko) 프레임 릴레이 망 연동용 에이티엠 스위치 정합장치
KR100353866B1 (ko)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정합모듈의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KR100372519B1 (ko) 복합 비동기 전송 모드 가입자 정합 장치
KR100221300B1 (ko) 에이티이엠교환기의 디에스1이급 가입자 정합장치
KR100233241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의 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 장치
KR0159364B1 (ko) 통신처리시스템의 에이티엠 망 정합 장치
KR100447697B1 (ko) 무선통신 제어국내의 기지국 정합 장치 및 그의 셀 처리방법
KR19990015700A (ko)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이디에스엘) 가입자 정합모듈
KR100219214B1 (ko) Atm 교환기에서 atm 셀과 스위치 정합장치
KR100263389B1 (ko)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atm-vme 접속장치
KR19990004964A (ko) Atm 교환기의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정합장치
KR100194607B1 (ko) Pstn 연동용 atm 스위치 정합장치
KR100219213B1 (ko) Atm 교환기에서 중속 가입자 정합을 위한 물리계층처리장치
KR100252499B1 (ko) Atm 교환기의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보드에 있어서 버스 사이즈 제어회로
KR100230837B1 (ko) 프레임 릴레이와 atm 교환기의 정합장치에 있어서 셀버스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0139585B1 (ko) 단일링 구조하의 기가급 에이티엠 수신장치
KR100233679B1 (ko) Atm 교환기에서 중속 가입자 정합장치
KR100372876B1 (ko) 에스티엠-4씨급 가입자 정합 장치 및 방법
KR0154089B1 (ko) 입력 버퍼형 atm 사설망 교환기
KR19980054672A (ko) Atm 교환기에서 atm 계층 수신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