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586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586A
KR20010062586A KR1020000079695A KR20000079695A KR20010062586A KR 20010062586 A KR20010062586 A KR 20010062586A KR 1020000079695 A KR1020000079695 A KR 1020000079695A KR 20000079695 A KR20000079695 A KR 20000079695A KR 20010062586 A KR20010062586 A KR 20010062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connector
flange
support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8601B1 (ko
Inventor
발세쉬니쟌다니엘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인터레모 홀딩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인터레모 홀딩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6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aper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Physical Deposition Of Substances That Are Compon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커넥터는 원통 형상 인서트(16)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원통형 보어(14)를 구비한 본체(1)를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16)에는 인서트 지지대(20) 상에서 인서트의 위치 조정을 하는 기부(19) 및 제1 플랜지(25)가 구비된다. 제2 플랜지(18)는 인서트가 켤레 암형 요소(17)를 가진 본체(1) 내에서 각방향으로 위치 조정을 하는 것을 보장한다. 인서트 지지대(20)는 외주 전체에 걸쳐 외주 길이의 절반보다 더 크게 연장하는 원통형 벽(23)이 뒤따르는 중공 원통형 부분(21)으로 만들어진 부품이다. 상기 벽(23)은 제1 플랜지(25)가 결합하는 축방향 안내 홈(24)에 의해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각각의 끝에 있는 제1 및 제2 신호 전달 수단을 연결하기 위해 켤레 커넥터(conjugate connector)와 결합하도록 의도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상기 커넥터는 원통 형상의 인서트(insert)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원통형 보어(bore)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는 제1 신호 전달 수단의 각각의 단부를 수용해서, 이들 단부를 제2 신호 전달 수단의 각 단부에 연결하도록 갖추어지며, 또한 상기 인서트에는 인서트 지지대(insert support) 상에 상기 인서트가 위치 조정될 수 있게 해 주는 제1 플랜지(flange) 및 기부가 구비된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주로 전기 전도체들 또는 광섬유들 또는 심지어 이들 둘의 조합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는 공지되어 있고 이러한 커넥터는 특히 인서트의 위치 조정에 대해서는 고 품질의 요구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것은 제2 커넥터의 대응 부재를 가진 그러한 커넥터들의 수형 및 암형 부재가 상호 관통되어야 하므로, 인서트의 정확하면서도 안정적인 위치 조정이 그러한 커넥터의 품질 요구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인서트 본체 내부에서의 부정확한 위치 조정 또는 인서트의 부동(浮動;floating)되나 제어 불능인 위치 조정, 즉 인서트의 각방향(angular) 및/또는 축방향 이동을 미리 결정된 한계내로 제한할 수 없고 연결, 특히 이것이 광섬유를 포함하는 연결인 경우에 대한 품질을 저하시키고, 전달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가 정확하게 작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들 커넥터는 민간용 항공기 및 군용 항공기, 전자 장치 등과 같은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전달 신호의 용도 및 특히 전달 신호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치수를 가진다. 민간용 항공기 또는 군용 항공기와 같이 항공 분야의 용도에 있어서, 커넥터의 여러 요소들은 가속시 진동 및 갑작스런 변화와 같은 어떤 변형 작용에 영향을 받고, 이들 요소들은 대응 전달 수단간에 연속적인 연결을 항상 보장하여야 한다.
전술한 용도로 사용되는 커넥터는 주로 두 가지 타입을 가진다. 푸시풀이라 불리는 제1 타입은,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고, 로킹 부시를 제어할 수 있는 수형 커넥터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외부 본체를 작동시켜 두 커넥터를 연결시키며, 켤레 타입의 두 커넥터는 한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함께 고정되고, 상기 본체 상에서 당김으로써 분리된다. 다른 타입은 일측 커넥터를 다른측 커넥터 또는 동등물속으로 스냅 고정(snap-fastening)하는 것과 같이, 다른 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양 경우에 있어서, 용이하고 신뢰성 있는 인서트의 정확한 각방향 및 축방향 위치 조정 그리고 제어불능의 부동의 부존재가 요구된다.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인서트는 또한 절연 기능을 제공하고, 이 분야에서 인서트는 심지어 기능상 반드시 절연할 필요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 그 연결이 단지 광섬유만 관여하고 있는 경우에서 조차도 절연체로 불려진다.
대개의 경우, 인서트는 원통 형상이고, 그 상방 측부에서 케이블 또는 광섬유의 단부에 연결되는 로드 및/또는 부시를 수용하는 축방향 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인서트에는 인서트 홀더 내에 수용되는 기부 및 플랜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 홀더는 두 개의 반 원통형 쉘(shell)을 포함하는데, 이 쉘은 이들 반 원통형 쉘에 대해 인서트를 위치 조정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서트와 맞추어져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기부와 홈이 맞추어지는 한편, 위치 조정 플랜지는 암형 요소(female element), 특히 그 치수와 형상이 인서트의 플랜지와 대응하는 호울에 수용된다. 하나 이상의 반 원통형 쉘은 또한 수형 요소(male element)를 구비하며, 인서트/인서트 홀더의 조립체를 각방향으로 위치 조정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의 내부에서 대응하는 암형 요소 특히 노치와 결합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을 종종 가진다. 따라서, 인서트는 먼저 인서트 홀더에 대하여 위치 조정되고 나서, 인서트 홀더는 커넥터의 내부에서 상기 조립체가 센터링되는 것을 보장한다. 가령, 케이블용, 너트 또는 콜릿(collet) 너트용의 클램핑(clamping) 수단과 더불어, 와셔(washers) 및/또는 시일(seals)과 같은 보상(complementary) 요소들은 인서트/인서트 홀더 조립체가 상방 측부에서 축방향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타입의 인서트 홀더는 커넥터의 센터링 및 장착과 관련하여 많은 단점을 가진다. 먼저, 이 타입의 커넥터는 저렴하여야 하므로 두 개의 반 원통체가 나사 가공에 의해 제조되고, 그 제조 공차는 인서트 주위에 추가되는 반 원통형 쉘이 완전한 원통체를 만들지 않아 쉘이 제어 불능의 방식으로 부동한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그 반 원통체는 반 원통형 쉘보다 약간 더 커서 인서트 지지대 내에서 인서트의 적절한 유지에 손상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술한 상태 하에서 본체 내부에 인서트 홀더를 설치하면, 그 인서트 홀더는 정확하게 위치 조정되지 않고, 인서트 홀더에 대한 간극(clearance), 즉 부동이 존재하게 되는데, 만약 이 부동이 제어되지 않는 경우 두 커넥터를 함께 연결할 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 이 외에도, 장착할 때 가능한 가장 양호하게 대응되는 쉘을 선택하기 위해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바, 이에 의해 인건비용이 증가하고 이것은 커넥터의 제조 비용에 악영향을 끼친다. 더욱이, 인서트 지지대 내에 인서트를 장착하고 그 후 본체 내에 인서트를 장착하는 것은 몇 번의 처리 작업을 필요로 하고, 케이블의 추력(thrust) 하에서, 인서트는 인서트 지지대의 제조 공차에 의해 허용 한도를 넘어 부동되며, 이것은 인서트를 경사진 위치(skew position)에 두게 하여, 결과적으로 대응 커넥터와 연결할 때 불량한 연결을 가져오거나 심지어 관련된 수형 및 암형 부재를 변형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단점을 제거시킬 수 있는 인서트 및 인서트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때 커넥터가 푸시풀 타입인지 아니지는 불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인서트가 상기 본체의 켤레 암형 요소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본체 내에서 각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는 것을 보장하는 제2 플랜지가 인서트에 구비되고, 인서트를 본체 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을 해 주는 기부의 반경 방향 벽 중 하나를 통해 지탱할 수 있는 쇼울더가 본체에 구비되며, 인서트 지지대는 중공 원통형 부분으로 만들어진 부품이고, 이 부분의 외부 직경은 외주 길이 전체에 걸쳐 외주 길이의 절반보다 더 크게 연장되는 원통형 벽이 뒤따르는 상기 본체의 보어의 직경과 대응되며, 상기 벽은 인서트의 제1 플랜지가 결합되는 축방향 안내 홈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장점, 특히 인서트 및 인서트 지지대에 대한 장점은 다음과 같다.
인서트는 인서트 및 인서트 지지대를 본체 내부에서 각방향으로 위치 조정하여 상기 본체의 암형 요소와 결합하도록 하는 제2 플랜지를 제외하고는 지금까지 사용되었던 인서트와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본체 내부에서 인서트의 각방향 위치 조정은 더 이상 인서트 지지대의 나사 가공에 의한 제조 공정에 의존하지 않고, 더욱 정확하고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는 인서트의 제조 공차에 의존한다. 인서트 지지대에 의해 인서트를 유지하는 것 및 지지대 내에 인서트를 맞추는 것이 매우 용이한데, 이는 제1 위치 조정 플랜지가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된 홈 내로 미끄러지도록 주의하면서, 원통형 벽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개구부에 인서트를 대강 삽입하는 것이 요구되는 모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서트 지지대 내에 인서트를 장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복잡한 조작을 요구하지 않는다. 인서트 지지대 상에 인서트의 축방향 위치 조정을 제한하는 것은 원통형 벽의 가장자리에 접한 인서트의 기부의 반경 방향 벽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본체 내부에서 인서트를 센트링하는 것은 인서트의 독특한 요소, 즉 여러 베어링 면 - 기부의 베어링 면 및 대응하는 직경의 보어를 가진 본체 내의 인서트 하방 부재의 베어링 면 - 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지, 상기한 반 원통형 쉘을 가진 경우와 같이 부품의 집적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인서트는 더 이상 케이블 또는 클램핑 시스템의 추력하에서 제어 불능의 방식으로 부동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중공 원통형 부분은 상기 본체의 상방에 위치한 켤레 암형 요소와 결합되는 안내 플랜지를 가지고 그것의 외부 표면에 제공된다. 인서트 지지대의 상기 중공 원통형 부분에 이 플랜지가 제공되며, 상방에 위치하고 본체의 암형 요소와 결합하는 이 플랜지는 인서트 지지대의 각방향 위치 조정을 보장함과 동시에 인서트의 올바른 각방향 위치 조정을 향상시킨다.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통형 벽의 두 부분은 인서트를 탄성적으로 조이도록 설계되는데, 즉 이 벽이 약간 원뿔 형상을 이루어 탄성적 조임이 용이하게 달성되는데, 이는 이 원통형 벽이 홈 때문에 두 부분 사이에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장착 중의 조작을 더 용이하게 만드는데, 이는 인서트의 대응 원통형부분이 일단 원통형 개구부 안으로 들어오게 되면 이 원통형 벽의 단부에 인서트가 적절하게 유지되게 하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인서트 지지대에는 그 원통형 부분 상에 O 링(O-ring)과 같은 시일이 넣어질 수 있는 슬롯이 구비되어, 필요한 경우 커넥터가 하방 측부 상에서 시일될 수 있게 하고, 너트 또는 콜릿 너트의 클램핑에 대한 와셔에 의해 보호되어야 하는 시일을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추가적으로, 커넥터를 분해할 때 이 시일을 분실할 위험이 없어진다.
상기 커넥터를 광섬유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인서트 지지대에는 그 상방 부분 상에 보다 작은 직경의 튜브형 부분이 구비되어, 접착제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 등을 주입함으로써 들어온 광섬유 또는 섬유가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커넥터가 푸시풀 타입인 경우, 두 개의 암형 요소가 인서트 및 인서트 지지대에 접촉하는 커넥터의 내측 부시 내에 위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인서트 지지대에 대한 인서트의 부정확한 위치 조정을 방지하기 위해, 인서트에는 인서트 홀더 내의 홈의 치수보다 더 큰 치수의 플랜지가 구비되고 배치됨으로써, 인서트가 인서트 지지대 상에 부정확한 방식으로 장착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광섬유를 연결하도록 설계된 푸시풀 타입의 수형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삽입 지지대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를 나타낸 두 도면.
도 6은 광섬유 연결용으로 의도되지 않은 커넥터를 위해 제공된 인서트 지지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1의 수형 커넥터에 대응하는, 푸시풀 타입의 암형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0 : 본체
14,54 : 원통형 보어
16,116 : 인서트
17,51 : 암형 요소
18,118 : 제2 플랜지
19,119 : 기부
20,20',120 : 인서트 지지대
21,21',121 : 중공 원통형 부분
22,22',122 : 안내 플랜지
23,23',123 : 원통형 벽
24,24' : 축방향 안내 홈
25,25' : 제1 플랜지
27,27',127 : 암형 요소
28,28',128 : 슬롯
29,29' : 시일
30,130 : 중공 원통형 돌출부
도 1에서 나타낸 커넥터는 하방 단부 쪽으로 경사면(5)을 가진 캐치(4)로 끝나는 세 개의 탄성 돌출부(3)를 구비한 로킹 부시(2) 위에 장착된 내측 부시(1)로 구성된다. 상기 로킹 부시(4)는 캐치(4)가 통과하는 세 개의 창(7)을 구비한 외부본체(6)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커넥터 하방에서 로킹 부시(2)와 외부 본체(6)의 축방향 고정은 내측 부시(1)의 하방 단부에 끼워진 부착 링(12)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부착 링(12)은 나사 체결, 펀칭, 납땜 등 다른 공지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링(12)에는 외부 본체(6)의 하방 단부가 지탱하는 쇼울더(shoulder;13)가 구비된다. 로킹 부시(2)는 내측 부시(1)의 쇼울더(8)에 접합한다. 동일한 쇼울더(8)는 화살표(F) 방향으로의 외부 본체(6)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부착 링(12)은 로킹 부시(2)와 외부 본체(6)가 끼워진 후에 부시에 고정된다.
이러한 타입의 풀푸시 커텍터는 공지되어 있고 이러한 이유로 더 세부적인 설명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화살표(F) 방향으로의 외부 본체(6)의 이동에 의해, 캐치(4)는 커넥터의 내부 쪽으로 축방향으로 밀어 넣어지고, 따라서 캐치(4)는 내측 부시(1) 쪽으로 이동하여, 커넥터가 켤레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한다. 커넥터를 끼우기 위해 요구되는 모든 것은 대응 켤레 커넥터 안으로 상기 커넥터를 밀어 넣고 캐치(4)가 스냅 고정(snap-fastened)될 때까지, 즉 캐치가 켤레 커넥터의 대응 홈에 결합될 때까지 캐치의 경사면(5)을 내부로 밀어 넣는 것이다.
내측 부시(1)는 보어(bore;14)를 가진다. 상기 보어에는 하방 단부 쪽으로 인서트(insert;16)의 외부 직경과 대응하는, 협착부(15)가 구비된다. 따라서, 보어 직경의 협착부에 의해 만들어진 쇼울더에는 인서트(16)의 플랜지(18)가 위치한 노치(17)가 제공되고,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인서트(16)에는 기부(19)가 구비되고, 이를 통해 인서트(16)는 보어(14, 15)의 직경 차이에 의해 형성된 쇼울더에 대해 위치 조정을 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커넥터의 하방으로 인서트의 축방향 위치의 한계를 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플랜지(18)는 인서트의 각방향 위치 조정을 제공한다. 인서트 및 보어(15)의 하방에서 베어링 면(16a)간 접촉은 인서트를 어떠한 부동 또는 어떠한 제어 불능의 부동 없이 센터링하는 것을 보장한다.
인서트(16)는 인서트 지지대(20)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대의 여러 요소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인서트 지지대(20)는 내측 부시(1)의 노치(23)내에 수용된 플랜지를 구비한 중공 원통형 부분(21)을 포함하고, 따라서 인서트 지지대 및 인서트의 각방향 위치 조정을 또한 가능하게 한다. 상기 플랜지(22)는 그 사용이나 커넥터의 크기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나, 그 존재는 인서트/인서트 지지대 조립체가 적절하게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든다. 인서트 지지대는 원통형 벽(23)을 포함하고, 이 벽은 외주 길이의 절반보다 약간 더 크게 연장되고 원통형 부분(21)의 뒤에 위치한다. 인서트의 벽(23)은 홈(24)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리되고, 상기 홈은 인서트(16)의 제1 플랜지(25)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진다. 벽(23)의 하방 단부는 기부(19)의 반경 방향 단부에 접합한다; 따라서, 고정 너트 또는 콜릿 너트가 내측 부시(1)의 나사산(27) 위에 돌아 들어가면, 인서트는 축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안정적이고 제어 불능의 방식으로 부동하지 않는 위치를 잡는다. 필요하다면, 인서트 홀더에는 시일(29)이 수용된 슬롯(28)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및 인서트 홀더를 포함한 상기 커넥터는 인서트가 적절하게 위치 조정하는 것을 보장하는데, 이는 인서트의 부시(1) 내부에서의 위치 조정이 보어(15) 및 쇼울더 내부에서 인서트(16)의 여러 표면을 가진 베어링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고, 인서트의 축방향 위치 조정이 너트(26)가 끼워진 후에 또한 이루어지고 이 위치 조정이 인서트 지지대의 제조 공차에 의존하지 않고 단지 인서트(16)에만 의존하기 때문이다.
상기 커넥터는 광섬유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인서트 지지대의 상방 부분에는 원통형 부분(21)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 튜브(30)가 구비된다. 상기 튜브(30)에는 호울(31)이 구비되는 바, 전기 케이블의 경우에는 클램프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호울을 통해 이 튜브의 내부에 광섬유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다.
발명자는 뒤따르는 도면을 참조하여 인서트 지지대 및 인서트를 더 세부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인서트는 원통형 통로[(32) 도 1 참조]에 의해 관통된 원통형 부품이고, 이 안에는 다른 커넥터의 대응 요소와 결합(mating)시키기 위해 커넥터의 끝에 있는 전달 수단간의 상호 연결을 허용하는 로드 및/또는 부시가 수용된다. 인서트(16)에는 기부(19) 및 지지대 내에서 인서트를 위치 조정하게 해주는 제1 위치 조정 플랜지(25)가 구비된다. 제1 플랜지와 마주 보는 제2 플랜지(18)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인서트를 부시 내부(1)에서 각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도록 해 준다. 기부(19) 상방의 반경 방향 벽은 인서트 지지대(20)의 원통형 벽(23)의 단부에 대한 정지부로서 역할을 하고 플랜지(25)는 지지대의 원통형벽(23)에 위치한 홈(24) 안으로 삽입됨으로써 인서트를 인서트 지지대에 대해 각방향으로 위치 조정되게 해 준다. 인서트가 인서트 지지대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34)가 측부 벽 상에 구비된다. 플랜지의 치수뿐만 아니라 상기 플랜지(34) 및 플랜지(35)간의 거리는 벽(23)이 인서트(16)에 대해 잘못 위치 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및 도 3에서, 시일 하우징이 구별될 수 있도록 슬롯(28)에 뒤따르는 중공 부분(21)이 있는 인서트 지지대를 측면도로서 및 평면도로서 보여준다. 원통형 벽(23)은 외주 길이의 절반보다 약간 더 크게 연장되고 홈(24)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리된다. 중공 부분(21) 위의 플랜지(22)는 상기한 노치(32)를 가지고 결합함으로써 부시(1) 내부에서 인서트 지지대를 각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인서트가 지지대의 하방 단부에 있을 때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벽(23)의 두 부분은 하방 부분 쪽으로 약간의 원뿔형태가 되어 인서트에 핀칭 효과(pinching effect)를 주고 커넥터를 장착하는 조작 중에 제자리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인서트 부재(20)는 또한 튜브(30)와 원통형 부분(21) 사이에 원뿔대 전이면(frustoconical transition surface)을 포함하는데, 이 면은 켤레 너트의 표면과 결합됨으로써 올바른 축방향 클램핑을 보장한다.
발명자는 도 6에서 커넥터가 이 경우 광섬유용으로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의 부품과 유사한 부품을 보여준다; 따라서, 인서트 지지대의 상방 부분은 필요치 않는다. 발명자는 도 2에서와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지만, '표시를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원통형 부분(21') 뒤에는 케이블 클램프 및 대응 너트 또는 콜릿 너트가 내측 부시(1) 상에 돌아 들어가 끼워진다.
도 7에서 도 1의 수형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의도된 암형 커넥터가 보여진다.
도 1과 동일한 이 커넥터의 여러 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발명자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지만, 앞에 1자가 붙여진다. 따라서, 인서트 지지대는 120의 번호가, 인서트는 116의 번호가 붙여진다. 물론, 인서트는 정확하게 동일한 치수를 가지지는 않으나, 동일한 수단에 의해 인서트 지지대(120) 및 커넥터 본체(50)에 결합된다. 암형 커넥터에는 본체(50) 및 보어(54) 내의 쇼울더(51)가 구비되는데, 인서트(116)는 그 기부(119)의 반경 방향 표면을 통해 쇼울더를 지탱할 수 있다. 상기 본체(50)의 노치(52)는 인서트(116)의 전방 플랜지(118)가 위치 조정되도록 해 준다. 커넥터(50)의 하방 부재에는 수형 커넥터의 하방 부재가 삽입되기에 충분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부분(57)이 구비된다. 커텍터에는 또한 수형 커넥터 상의 캐치(4)가 결합되고 이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리세스(recess;58)가 구비된다. 인서트와 인서트 지지대는 수형 커넥터의 경우에서와 같이 결합된다.
이상의 설명은 푸시풀 타입의 커넥터에 관해 주어진 것이나, 상기 인서트 및 인서트 홀더와 동일한 구조는 부시의 두 암형 부재[(notch) 17, 23]가 인서트 및 인서트 지지대를 각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도록 커넥터의 본체로 이동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커넥터용으로도 유효하다. 물론, 본체의 내부에는 인서트를 그 기부의 반경 방향 표면에 의해 위치 조정되도록 두 개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보어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의하면, 본체 내부에서 인서트의 각방향 위치 조정은 더 이상 인서트 지지대의 나사 가공에 의한 제조 공정에 의존하지 않고, 더욱 정확하고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는 인서트의 제조 공차에 의존한다. 인서트 지지대에 의해 인서트를 유지하는 것 및 지지대 내에 인서트를 맞추는 것이 매우 용이한데, 이는 제1 위치 조정 플랜지가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된 홈 내로 미끄러지도록 주의하면서, 원통형 벽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개구부에 인서트를 대강 삽입하는 것이 요구되는 모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서트 지지대 내에 인서트를 장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복잡한 조작을 요구하지 않는다.

Claims (7)

  1. 각각의 끝에 있는 제1 및 제2 신호 전달 수단을 연결하기 위해 켤레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의도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원통 형상의 인서트(16;116)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원통형 보어(14;54)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본체(1;50)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제1 신호 전달 수단의 각각의 단부를 수용해서 제2 신호 전달 수단의 각 단부에 연결하도록 갖추어지며, 상기 인서트(16;116)에는 또한 인서트를 인서트 지지대 상에 위치 조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부(19;119)와 제1 플랜지(25;25')가 구비되며, 상기 인서트(16;116)에는 상기 본체(1;50)의 켤레 암형 요소(17;51)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본체(1;50) 내에서 각방향으로 상기 인서트가 위치 조정되는 것을 보장하는 제2 플랜지(18;118)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50)에는 상기 인서트(16;116)를 본체 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 해 주는 기부(19;119)의 반경 방향 벽 중 하나를 통해 지탱할 수 있는 쇼울더가 구비되며, 상기 인서트 지지대(20;20';120)는 중공 원통형 부분(21;21';121)으로 만들어진 부품으로 이 부분의 외부 직경은 외주 길이의 절반보다 더 큰 외주 길이로 연장되는 원통형 벽(23;23';123)이 뒤따르는 상기 본체(1;50)의 보어(14;54)의 직경과 대응하는 외부 직경을 가지고, 상기 벽(23;23';123)은 인서트(16;116)의 제1 플랜지(25;25';125)가 결합되는 축방향 안내 홈(24;24')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원통형 부분(20;20';120)에는 그 외부 표면 상에 상기 본체(1;50)의 상방에 위치한 켤레 암형 요소(27;27';127)와 결합하도록 의도된 안내 플랜지(22;22';1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지지대의 원통형 벽의 두 부분(23;23';123)은 인서트(16;116)를 탄성적으로 조이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지지대의 중공 원통형 부분(21;21';121)에는 시일(29;129)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28;28';12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지지대(20;20';120)에는 그 상방 단부에 상기 신호 전달 수단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중공 원통형 부분(21;121)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 중공 원통형 돌출부(30;1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푸시풀 타입이고 상기 본체의 암형 요소(17;23)는 상기 커넥터의 내측 부시(1)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6;116)에는 그 측면에 플랜지(34)가 구비되고, 이 플랜지의 위치 및 치수는 인서트(16)가 인서트 지지대(20;20')에 대하여 부정확하게 위치 조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0-0079695A 1999-12-22 2000-12-21 커넥터 KR100528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811189.2 1999-12-22
EP99811189A EP1111727B1 (fr) 1999-12-22 1999-12-22 Fiche de connex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586A true KR20010062586A (ko) 2001-07-07
KR100528601B1 KR100528601B1 (ko) 2005-11-16

Family

ID=824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695A KR100528601B1 (ko) 1999-12-22 2000-12-21 커넥터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454613B2 (ko)
EP (1) EP1111727B1 (ko)
JP (1) JP4118017B2 (ko)
KR (1) KR100528601B1 (ko)
CN (1) CN1149718C (ko)
AT (1) ATE301337T1 (ko)
AU (1) AU768521B2 (ko)
CA (1) CA2328755C (ko)
DE (1) DE69926517T2 (ko)
DK (1) DK1111727T3 (ko)
ES (1) ES2247775T3 (ko)
HK (1) HK1038105A1 (ko)
IL (1) IL140380A (ko)
NO (1) NO319118B1 (ko)
PT (1) PT1111727E (ko)
RU (1) RU2202140C2 (ko)
SG (1) SG98003A1 (ko)
ZA (1) ZA2000077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18958U1 (de) * 2001-11-21 2002-03-28 Harting Automotive Gmbh & Co Steckerteil für einen Koaxialstecker
CA2454438A1 (en) * 2003-02-07 2004-08-07 Hypertronics Corporation Connecting device
US6929508B1 (en) * 2004-03-30 2005-08-16 Michael Holland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viewing window
US7351095B2 (en) * 2006-05-10 2008-04-01 Craig Olsen Disposable surgical connector
JP2008010340A (ja) * 2006-06-30 2008-01-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8267630B2 (en) * 2009-07-13 2012-09-18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Threaded flanged bushing for fastening applications
US8341838B2 (en) 2010-11-22 2013-01-01 Andrew Llc Method of installing a coaxial cable into an electrical connector
USD787448S1 (en) 2014-08-18 2017-05-23 Interlemo Holding S.A. Electrical connector
USD863221S1 (en) 2015-09-04 2019-10-15 Interlemo Holding Sa Illuminable female connector
CN111342278A (zh) * 2018-12-17 2020-06-26 正凌精密工业(广东)有限公司 高速推拉自锁连接器及连接器组合
RU189026U1 (ru) * 2019-02-19 2019-05-0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Элтерм-С" Вилка кабельного разъем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4364A (en) * 1966-07-19 1968-10-01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US4074927A (en) * 1976-07-26 1978-02-21 Automation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insert member retaining means
US4150866A (en) * 1977-08-26 1979-04-24 Amp Incorporated Environmentally sealed connector
JPS5498987A (en) * 1978-01-20 1979-08-04 Nissan Motor Waterproof connector
JPS6071084U (ja) * 1983-10-24 1985-05-20 星電器製造株式会社 ロツク機構付コネクタ
US4810209A (en) 1987-05-28 1989-03-07 Amphenol Corporation Pressuriz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US4871328A (en) * 1988-09-14 1989-10-03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Hermetically sealing connec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5099572A (en) * 1989-11-06 1992-03-31 The Boeing Company Method of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135268A (en) * 1990-11-08 1992-08-04 Huron Products Industries Quick connector
US5542861A (en) * 1991-11-21 1996-08-06 Itt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ES2081206T3 (es) * 1992-02-14 1996-02-16 Itt Ind Ltd Conectadores electricos.
DE4308358C2 (de) * 1993-03-16 1997-04-17 Grote & Hartmann Steckverbinderanordnung für die Energieübertragung zwischen einem Lichtwellenleiter und einer Diode
US5797761A (en) * 1996-04-30 1998-08-25 Kemlon Products & Development Company Power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225500A (en) 2001-06-28
DK1111727T3 (da) 2005-11-21
SG98003A1 (en) 2003-08-20
EP1111727A1 (fr) 2001-06-27
CN1149718C (zh) 2004-05-12
ATE301337T1 (de) 2005-08-15
ES2247775T3 (es) 2006-03-01
CA2328755A1 (en) 2001-06-22
NO319118B1 (no) 2005-06-20
HK1038105A1 (en) 2002-03-01
KR100528601B1 (ko) 2005-11-16
PT1111727E (pt) 2005-11-30
NO20006524D0 (no) 2000-12-20
ZA200007711B (en) 2001-07-13
RU2202140C2 (ru) 2003-04-10
JP4118017B2 (ja) 2008-07-16
NO20006524L (no) 2001-06-25
JP2001221931A (ja) 2001-08-17
DE69926517D1 (de) 2005-09-08
IL140380A0 (en) 2002-02-10
CN1303149A (zh) 2001-07-11
US6454613B2 (en) 2002-09-24
DE69926517T2 (de) 2006-06-08
US20010005656A1 (en) 2001-06-28
IL140380A (en) 2004-08-31
EP1111727B1 (fr) 2005-08-03
AU768521B2 (en) 2003-12-18
CA2328755C (en)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8121A (en) Connector with optic fiber terminal
US4258977A (en) Optical fibre connector
US4140365A (en) Fiber optic cable connector housing
US6010348A (en) Field-assembled two-piece snap-fit self-sealed electrical connector
US5980290A (en) Coaxial electric connector element with movable contact an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such a connector
EP0223608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20020186934A1 (en) Optical termination
US4824388A (en) Male or female connector floatingly mounted in a mounting plate
KR20010062586A (ko) 커넥터
US4852963A (en) Optical fiber biconic connector
KR870011486A (ko) 광섬유 접속기
EP2592453B1 (en) Floating fiber optic pin contact
KR0134328B1 (ko) 광섬유 정렬 장치
IL150102A0 (en) Hermaphroditic connector systems
CA1294163C (en) Device having a light waveguide plug connector
KR930006018B1 (ko) 콜리트를 사용한 관이음매
US5146523A (en) Alveolar connector comprising at least one connection device for fiber optics
EP0448162B1 (en) Connector for fibre optic cables
CA1218428A (en) Waveguide connector arrangements
CN219016639U (zh) 一种转接装置、连接盒和光纤连接装置
KR200352562Y1 (ko) 광케이블용 컨넥터
KR100288440B1 (ko) 광어댑터
KR20240015972A (ko) 터미널유지구 및 이를 가진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