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368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368A
KR20010062368A KR1020000075854A KR20000075854A KR20010062368A KR 20010062368 A KR20010062368 A KR 20010062368A KR 1020000075854 A KR1020000075854 A KR 1020000075854A KR 20000075854 A KR20000075854 A KR 20000075854A KR 20010062368 A KR20010062368 A KR 20010062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shaft
motor
washing machin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8994B1 (ko
Inventor
아라끼야스시
요시다시게끼
무라오쯔요시
마미야하루오
다께우찌마꼬또
나까니시가즈따까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6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Abstract

밴드 브레이크 기구를 생략하여 구동 장치의 구조를 간단화하고, 또한 세탁과 헹굼시에는 세탁 탈수조를 교반 블레이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세탁과 헹굼 성능을 향상시킨다.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33)에 태양 기어(38)를 설치하고, 세탁 탈수조와 일체 회전하는 외축의 일부를 이루는 케이스(32)의 내주측에 내치 기어(39)를 설치하고, 양자에 맞물리게 유성 기어(40)를 설치하고, 그 축(41)에 교반 블레이드와 일체 회전하는 내축(6)을 연결시킨다. 또한, 케이스(32)와 일체 회전하고 종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가동 연결체(43)의 갈고리형 돌기부(434)를 큰 풀리(18)의 결합 구멍(184)에 삽입 또는 이탈시킴으로써, 구동축(33)과 외축을 연계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성한다. 세탁과 헹굼시에는 구동축(33)과 케이스(32)를 차단하고, 케이스(32)는 유성 기어(40)가 회전할 때의 반력을 받아 내축(6)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외조의 내부에 세탁 탈수조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세탁 탈수조의 내측 바닥부에 교반 블레이드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 전자동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동 세탁기에서는, 세탁 및 헹굼 운전시에는 세탁 탈수조의 내측 바닥부에 배치된 교반 블레이드만이 저속으로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탈수 운전시에는 세탁 탈수조와 교반 블레이드가 일체로 고속으로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 절환을 행하기 위해서, 종래의 대부분의 세탁기에서는 예를 들어 스프링 클러치에 의한 클러치 기구가 구동 기구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클러치 기구에서는 일방향 회전에 있어서만 스프링 클러치가 꼭 죄어져 구동축이 세탁 탈수조의 지지조에 연계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세탁 탈수조의 고속 회전중에 구동축이 정지한 경우에는 구동축과 지지축의 연계가 해제되고, 세탁 탈수조는 타성으로 계속 회전한다. 그래서, 이 구동 장치에는 밴드 브레이크 기구가 구비되고, 탈수 운전 종료시 등에는 이 밴드 브레이크 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세탁 탈수조를 신속하게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이 브레이크 기구는 세탁과 헹굼 운전시에 교반 블레이드를 회전시켰을 때, 세탁 탈수조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제지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클러치 기구나 밴드 브레이크 기구는 구조가 복잡하므로, 세탁기에 있어서 상당한 비용 상승 요인이 되고 있다. 그래서, 특별히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기능이 단순화된 세탁기에 있어서는 밴드 브레이크 기구를 없애는 동시에 클러치 기구의 구조를 간단화한 구동 장치에 대한 요망이 강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세탁과 헹굼시에는 세탁 탈수조는 정지하고 있지만, 세탁 탈수조를 적극적으로 교반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저속 회전시킴으로써 세탁과 헹굼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세탁기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세탁기에서는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이 각각 감속 기구를 거쳐서 세탁 탈수조의 지지축과 교반 블레이드의 축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구동 장치는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기의 구동 장치보다도 한층 더 복잡해지고, 비용적으로 별로 실용적인 것이 아니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세탁과 헹굼 성능을 향상시키려는 시도는 전술한 세탁기의 구동 장치를 간단한 것으로 하고 싶다는 요구와는 전혀 상반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세탁기의 구동 장치의 구조를 간단화하는 동시에, 세탁과 헹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탁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2는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의 측면 외관도.
도3은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의 하면 외관도.
도4는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의 일부 단면 측면도(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시의 상태).
도5는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의 일부 단면 측면도(탈수 행정시의 상태).
도6의 (a), (b)는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배수 밸브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의 (a) 내지 (d)는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큰 풀리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a) 중의 A-A'선 단면도, (c)는 (a) 중의 C부분의 확대도, (d)는 (c) 중의 B-B'선 단면도.
도8은 본 실시예의 세탁기의 요부의 전기계 구성도.
도9는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표준적인 세탁 행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10은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세탁 운전과 저장 헹굼 운전 종료 시점부터 탈수 행정을 종료하기까지의 제어를 도시한 흐름도.
도11은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 운전과 헹굼 운전시에 세탁 탈수조 내에 발생하는 수류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12의 (a) 내지 (c)는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모터의 구동 패턴과 교반 블레이드 및 세탁 탈수조의 회전 상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상호 관계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외조
2a : 바닥면
3 : 세탁 탈수조
4 : 지지축
5 : 교반 블레이드
6 : 내축
10 : 배수구
11 : 배수관
12 : 배수 밸브
13 : 구동 장치
14 : 모터
15 : 모터축
16 : 작은 풀리
17 : 벨트
18 : 큰 풀리
181, 182 : 금속판
183 : 코오킹 구멍
184 : 결합 구멍
185 : 양단부
19 : 감속 기구
20 : 토크 모터
32 : 기어 케이스
321 : 오목부
32a : 상부 케이스
32b : 하부 케이스
33 : 구동축
35 : 커버
37 : 기어 기구
38 : 태양 기어
39 : 내치 기어
40 : 유성 기어
41 : 축
42 : 기어 보유 지지부
43 : 가동 연결체
431 : 원반형부
432 : 내부 원통부
433 : 외부 원통부
434 : 갈고리형 돌기부
44 : 클러치 레버
45 : 클러치 지지 부재
46 : 축
47 : 비틀림 코일 스프링
48, 53 : 연결 로드
49 : 모터축
50 : 캠
51 : 경사면
52 : 홈
53 : 연결 로드
54 : 작동 로드
55 : 밸브 부재
56 : 밸브실
60 : 제어부
61 : 부하 구동부
651 : 세탁 위치 검지용 스위치
652 : 탈수 위치 검지용 스위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는, 외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세탁 탈수조를 설치하고, 상기 세탁 탈수조의 내측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교반 블레이드를 설치한 세탁기에 있어서,
a) 상기 세탁 탈수조와 일체로 회전하는 중공의 외축과,
b) 상기 외축의 내측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교반 블레이드와 일체로 회전하는 내축과,
c) 상기 외축 및 내축과 동축상에 위치하고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과,
d) 상기 외축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되는 내치 기어, 상기 구동축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되는 태양 기어, 상기 내치 기어 및 태양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또한 상기 내축에 결합하는 유성 기어를 포함하는 감속 수단과,
e) 상기 구동축과 외축을 연계 또는 차단시키는 구동 절환 수단,
을 구비하고, 세탁 운전 및 헹굼 운전시에는 상기 구동 절환 수단에 의해 구동축과 외축을 차단시키고, 구동축과 외축을 상기 태양 기어, 유성 기어 및 내치 기어를 개재시켜 결합하고, 교반 블레이드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이 회전에 수반하여 내치 기어에 걸리는 유성 기어의 반력에 의해 세탁 탈수조를 교반 블레이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에서는 세탁 운전 및 헹굼 운전시에는 외축은 구동축과는 차단되지만, 종래의 세탁기와는 달리 외축은 브레이크 기구 등에 의한 강제적인 제동을 받지 않는다. 즉, 외축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기구는 설치되지 않거나 또는설치되어 있어도 사용되지 않는다. 이 때, 외축은 내치 기어, 유성 기어 및 태양 기어를 거쳐서 구동축에 결합되고,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유성 기어로부터 상기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의 부하, 즉 반력을 받는다. 외축은 제지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반력에 의해서 내축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세탁 탈수조는 교반 블레이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교반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타고 이동하는 세탁물에 대해, 그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세탁 탈수조가 회전하므로, 세탁물과 세탁 탈수조의 마찰이 증가하여 세탁 성능과 헹굼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회전하는 세탁 탈수조에 의해서 교반 블레이드에 의한 수류와는 반대 방향의 수류가 발생하므로, 양수류의 충돌에 수반하여 난류가 발생하고 종방향의 수류가 얻어지기 쉬워진다. 그 결과, 이 종방향의 수류를 타고 세탁물이 상하로 교체되므로, 세탁과 헹굼의 균일성도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에서는, 탈수시에는 구동 절환 수단에 의해 구동축과 외축이 연계되고, 구동축과 외축은 정역회전 방향 모두 일체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구동축, 외축 및 세탁 탈수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있을 때 전자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모터를 정지시키면, 구동축, 외축을 거쳐서 세탁 탈수조도 거의 동시에 정지한다. 이에 따라, 탈수시에 세탁 탈수조를 급속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밴드 브레이크 기구는 불필요하며, 구동 장치의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에서는 외축의 회전을 저지하는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는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세탁 운전 및 헹굼 운전시에는 브레이크를 해제하여 외축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탈수 운전의 종료시에는 상기 브레이크에 의해 외축을 제동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절환 수단은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측 결합 수단과, 상기 외축과 일체로 회전하고 또한 상기 구동측 결합 수단과 결합 또는 이탈 가능한 피동측 결합 수단과,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대략 원반형의 캠과,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피동측 결합 수단과 구동측 결합 수단을 결합시키거나 또는 그 결합을 해제시키는 축 연계 작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피동측 결합 수단과 구동측 결합 수단의 결합 및 그 해제에 연동하고,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서 배수 밸브를 폐쇄 및 개방시키는 밸브 작동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세탁과 헹굼시에 제2 모터를 구동하면, 축 연계 작동 수단은 회전하는 캠으로부터 힘을 받아 구동측 결합 수단과 피동측 결합 수단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그러면, 구동축과 외축의 직접적인 결합이 해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교반 블레이드와 세탁 탈수조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동시에, 밸브 작동 수단은 캠으로부터 힘을 받아 배수 밸브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세탁 탈수조 내에 물을 축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탈수시에 제2 모터를 구동하여 캠을 더욱 회전시키면, 축 연계 작동 수단은 구동측 결합 수단과 피동측 결합 수단을 결합시킴으로써 구동축과 외축을 연계하는 동시에, 밸브 작동 수단은 배수 밸브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세탁 탈수조와 교반 블레이드는 고속으로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세탁 탈수조 내에 축적되어 있던 물은 외부로 배출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2 모터와 캠에 의해서 축의 연계 또는 차단과 동시에 배수 밸브의 개폐 동작도 제어되므로, 구동 장치와 배수 밸브가 일체화되어 구조가 간단해지고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터의 구동에 의해 양 쪽의 동작을 한번에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제어도 간단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에서는 상기 모터와, 그 모터축에 부착한 작은 풀리와, 상기 구동축에 부착한 큰 풀리와, 작은 풀리와 큰 풀리 사이에 감겨진 벨트로 이루어지는 감기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측 결합 수단은 상기 큰 풀리에 형성한 결합 구멍인 한편, 상기 피동측 결합 수단은 상기 외축을 내측에 삽입 관통시켜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큰 풀리에 대향하는 면에 갈고리형 돌기를 형성한 가동 연결체로 하고, 상기 갈고리형 돌기 및 상기 결합 구멍은 구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축원을 따른 만곡 형상으로 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이 구성에서는, 연계 동작시에는 가동 연결체가 구동축을 따라서 큰 풀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고, 갈고리형 돌기가 큰 풀리의 결합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양수단이 결합된다. 회전 원주상에서 갈고리형 돌기와 결합 구멍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 갈고리형 돌기는 큰 풀리에 접촉하지만, 갈고리형 돌기 및 결합 구멍이 상기 만곡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다소의 위치 어긋남인 경우에는 양자가 오버랩되는 부분이 커서 구동축 또는 외축을 약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갈고리형 돌기는 결합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에서는, 상기 큰 풀리는 2장의 금속판을 중합하여 코오킹에 의해 고정한 구조를 갖고, 상기 결합 구멍은 그 주위 방향의 양단부에 코오킹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연결체의 갈고리형 돌기가 큰 풀리에 접촉할 때 결합 구멍의 주위 방향의 양단부에 가장 큰 힘이 작용하는데, 상기 양단부에서 코오킹을 행하면 그 부분은 금속판의 장수가 증가하므로 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고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에서는 세탁 또는 헹굼 행정으로부터 탈수 행정으로 이행할 때, 상기 피동측 결합 수단이 구동측 결합 수단에 결합되도록 제2 모터를 작동시킨 후, 상기 구동축이 조금씩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를 행하면, 가동 연결체의 갈고리형 돌기가 큰 풀리의 결합 구멍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큰 풀리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라도, 조금씩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동안에 갈고리형 돌기가 결합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이르러 삽입이 완료된다. 따라서, 외축이 확실하게 큰 풀리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세탁기에서는 제2 모터를 구동하기 시작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캠이 소정의 회전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장 또는 이물질의 끼임 등의 이상 상태라고 가정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에서는 상기 캠의 소정 회전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제2 모터의 구동 개시때부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신호가 얻어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판정 수단에 의해 소정 시간 내에 검지 신호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그 시점에서 운전을 중단하는 동시에 이상을 알려서 사용자에게 경고를 주면 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예의 세탁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외부 하우징(1)의 내부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외조(2)가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현수 로드에 의해 매달려 지지되어 있고, 이에 의해 외조(2)의 진동이 외부 하우징(1)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외조(2)의 내부에는 주위에 다수의 통수 구멍을 지닌 세탁 탈수조(3)가, 그 바닥벽에 고정된 지지축(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세탁 탈수조(3)의 내측 바닥부에는 교반 블레이드(5)가 지지축(4)에 끼워 넣어진 내축(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외부 하우징(1)의 상부 후방에는 외부의 수도꼭지에 접속된 급수관(7)이 배치되고, 급수 밸브(8)가 개방되면 급수관(7)을 통해서 도입된 물이 세제 용기를 구비한 주수구(注水口)(9)에 유입되어 외조(2) 내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있다. 한편, 외조(2)의 바닥부에는 배수구(10)가 형성되고, 배수구(10)에 접속된 배수관(11)은 배수 밸브(12)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외조(2)의 하면에는 세탁 탈수조(3) 및 교반 블레이드(5)를 회전 구동시키는 동시에 배수 밸브(12)의 개폐 동작을 행하기 위한 구동 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즉, 구동 장치(13)는 외조(2)의 하면에 부착된 모터(14)와, 그 모터(14)의 모터축(15)에 고정된 작은 풀리(16)와, 큰 풀리(18)와, 작은 풀리(16)와 큰풀리(18)에 감겨진 벨트(17)와, 작은 풀리(16), 벨트(17) 및 큰 풀리(18)를 거쳐서 전달된 모터(14)의 회전 동력을 상기 지지축(4)과 내축(6)에 전달하는 감속 기구(19)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배수 밸브(12)의 개폐 동작과 감속 기구(19)에 있어서의 축의 연결 또는 이탈 동작(소위 클러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토크 모터(20)도 포함하고 있다.
또, 외부 하우징(1)의 상면에 크게 개구한 의류 투입구(21)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2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덮개(22)가 폐쇄되었을 때 개방을 금지하도록 잠금 실시를 위한 로크 기구(23)가 전방에 구비되어 있다. 본 세탁기는 기본적으로 탈수 운전중[즉, 탈수를 위해서 세탁 탈수조(3)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덮개(22)는 로크 기구(23)에 의해 폐쇄 상태로 로크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동 장치(13)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구동 장치(13)의 측면 외관도, 도3은 하면 외관도, 도4 및 도5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또, 도4는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시의 상태이고, 도5는 탈수 행정시의 상태이다. 또, 도13은 이 구동 장치(13)의 각 구성 요소의 상호 관계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조(2)의 바닥면(2a)에는 상부 베어링(30) 및 오일 시일(31)이 고정되어 있고, 이들을 거쳐서 중공의 지지축(4)이 수밀(水密)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축(4)에는 세탁 탈수조(3)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4)의 내측에는 상단부에 교반 블레이드(5)가 고정된 내축(6)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지지축(4)의 하단부 외측에는 상부 케이스(32a)와 하부 케이스(32b)로 이루어진 기어 케이스(32)가 고정되어 있고, 이 기어 케이스(32)의 내부에는 기어 기구(37)가 수납되어 있다. 이 기어 기구(37)는 하단부에 큰 풀리(18)가 고정된 구동축(33)을 거쳐서 주어지는 회전 구동력을, 소정의 감속비로 감속하여 내축(6)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기어 케이스(32)의 주위는 외조(2)의 하면에 볼트(34)로 고정된 커버(35)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이 커버(35)에 고정된 하부 베어링(36)에 의해 기어 케이스(32)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지지축(4) 및 기어 케이스(32)가 세탁 탈수조(3)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외축으로서 기능한다.
기어 기구(37)는 구동축(33)의 상단부에 고정된 태양 기어(38)와, 상부 케이스(32a)의 대경부의 내주면에 설치된 내치 기어(39)와, 태양 기어(38)와 내치 기어(39)의 양 쪽에 맞물려 태양 기어(38)의 주위를 회전하는 유성 기어(40)와, 내축(6)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유성 기어(40)의 축(41)을 회전 가능하게 피봇하는 기어 보유 지지부(42)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내치 기어(39)는 상부 케이스(32a)와는 별개 부재인 둥근 고리 형상의 부재이고, 상부 케이스(32a)의 대경부의 내주에 형성된 수직홈과 맞물리는 수직홈을 외주면에 형성하여 대경부의 내주측에 끼워 넣음으로써 양자를 고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부 케이스(32a)의 대경부의 내주면에 직접적으로 내치 기어의 이를 형성해도 좋다.
커버(35)와 큰 풀리(18) 사이에는 큰 풀리(18)로부터 입력되는 모터(14)의 회전 동력을 상기 외축[엄밀하게는 하부 케이스(32b)]에 전달 또는 차단하기 위한 클러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 기구는, 하부 케이스(32b)의 소경부를내측에 삽입 관통시키고 하방을 지향하는 복수의 갈고리형 돌기부(434)를 갖는 가동 연결체(43)와, 큰 풀리(18)의 내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형 돌기부(434)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결합 구멍(184)을 포함한다.
가동 연결체(43)는 원반형부(431)와, 원반형부(431)의 중앙에 배치되고 하부 케이스(32b)가 삽입 관통되는 내부 원통부(432)와, 원반형부(431)의 하면에 형성된 외부 원통부(433)를 갖고, 그 외부 원통부(433)의 하단부 모서리에 갈고리형 돌기부(434)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32b)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축에 평행한 방향(즉, 종방향)으로 연신하는 오목부(321)가 형성되어 있고, 한편 가동 연결체(43)의 내부 원통부(432)의 내주면에는 그 오목부(321)에 헐겁게 끼워지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오목부 및 볼록부의 헐거운 끼워짐에 의해서 가동 연결체(43)는 기어 케이스(32)와 일체로 회전하는 동시에, 종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 가동 연결체(43)는 부설된 스프링에 의해 상방향, 즉 큰 풀리(18)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연결체(43)에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서 가동 연결체(43)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7의 (a) 내지 (d)는 큰 풀리(18)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a) 중의 A-A'선 단면도, (c)는 (a) 중의 C부분의 확대도, (d)는 (c) 중의 B-B'선 단면도이다. 도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큰 풀리(18)는 2장의 금속판(181, 182)을 중합시키고, 주로 외주측의 6개의 원 형상의 코오킹구멍(183) 부분에서 고정한 구조로 되어 있다. 4개의 결합 구멍(184)은 큰 풀리(18)의 내주측에, 동심원 상으로 그 원주 방향을 따라서 만곡된 가늘고 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7의 (c),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결합 구멍(184)은 그 주위 방향의 양단부(185)에서 코오킹한 구조로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클러치 기구에서는 연결 동작시에 결합 구멍(184)과 갈고리형 돌기부(434)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갈고리형 돌기부(434)는 결합 구멍(184)과 동축 원주상의 평판부에 강하게 접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결합 구멍(184)의 양단부(185)에는 큰 힘이 가해진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양단부(185)에서 코오킹함으로써, 이 부분의 판두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켜 강도를 높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7의 (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코오킹함으로써 양단부(185)의 모서리부(185a)는 둥근 형상이 된다. 그로 인해, 갈고리형 돌기부(434)가 접촉했을 때 미끄러지기 쉽고, 갈고리형 돌기부(434)가 결합 구멍(184)에 삽입되기 쉬워진다. 물론, 이러한 코오킹에 의하지 않고 모서리부(185a)를 둥근 형상으로 하는 가공을 행하여도 좋다.
또, 커버(35)에 고정된 클러치 지지 부재(45)의 수평한 축(46)을 중심으로 클러치 레버(4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클러치 레버(44)의 일단부[연결체측 단부(44a)]에 상기 가동 연결체(43)는 결합되어 있다. 이 클러치 레버(44)는 축(46)의 주위에 설치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47)에 의해 도2중의 화살표(M1)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또, 클러치 레버(44)의 타단부[모터측 단부(44b)]에는 연결 로드(48)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토크 모터(20)의 모터축(49)에는 원반 형상이고 또한 하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1)을 갖고, 그 경사면(51)에 편심원 형상의 홈(52)을 형성한 캠(5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연결 로드(48)의 상단부는 이 홈(5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캠(50)의 회전에 수반하여 경사면(51)을 따라서 상하 이동한다.
도6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50)에는 상기 홈(52)보다도 내주측에 다른 연결 로드(53)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이 연결 로드(53)의 하단부에는 작동 로드(54)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작동 로드(54)의 선단부에는 원통 형상의 밸브실(56)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 밸브 부재(55)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캠(50)이 회전함에 수반하여 밸브 부재(55)는 수평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배수구(10)에 이르는 관로(11a)를 폐색 또는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 장치(13)는 세탁 운전 및 헹굼 운전시에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이 때, 도2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로드(48)가 가장 낮은 위치가 되도록 캠(50)의 경사면(51)은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연결 로드(48)를 거쳐서 클러치 레버(44)의 모터측 단부(44b)는 압하되어 있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47)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클러치 레버(44)의 연결체측 단부(44a)는 들어올려져 있다. 이에 따라, 가동 연결체(43)를 압하하는 힘은 작용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연결체(43)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져 있다. 따라서, 가동 연결체(43)의 갈고리형 돌기부(434)는 큰 풀리(18)의 결합 구멍(184)에 끼워 넣어져 있지 않고, 구동축(33)의 회전은 직접적으로는 기어 케이스(32)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33)의 회전은 태양 기어(38)를 거쳐서 유성 기어(40)에 전달되고, 유성 기어(40)는 자전하면서 태양 기어(38)의 주위를 공전한다. 이 공전은 기어 보유 지지부(42)를 거쳐서 내축(6)에 전달되고, 내축(6)을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내축(6)에 고정된 교반 블레이드(5)가 저속으로 회전한다. 이 때, 기어 케이스(32)는 내치 기어(39)를 거쳐서 유성 기어(40)의 공전 및 자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력을 받는다. 본 세탁기에서는 이 때 기어 케이스(32) 및 지지축(4)의 회전을 저지하는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그들은 외조(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상기 반력에 의해서 기어 케이스(32) 및 지지축(4)은 유성 기어(40)의 공전 방향, 즉 교반 블레이드(5)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세탁 운전 및 헹굼 운전시에는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로드(54)에 의해 밸브 부재(55)는 밸브실(56) 내에 압입되어 관로(11a)를 폐색한다. 즉, 배수 밸브(12)는 폐쇄된 상태로 되고, 외조(2) 내에 공급된 물은 외조(2) 내에 보유된다.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으로부터 탈수 행정으로 이행하면, 토크 모터(20)가 구동되어 캠(50)이 소정 회전 각도만큼 회전한다. 그러면,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로드(53)는 배수 밸브(1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작동 로드(54)는 화살표(M4) 방향으로 견인된다. 그리고, 밸브 부재(55)는 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고, 관로(11a)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외조(2) 내에 축적되어 있던 물은 배수구(10)를 지나 배수관(11)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캠(50)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하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로드(48)는 상부로 인상된다. 그러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47)의 압박력에 의해서 클러치 레버(44)의 연결체측 단부(44a)는 압하되고, 이 힘에 의해서 가동 연결체(43)는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하강된다. 가동 연결체(43)의 갈고리형돌기부(434)가 큰 풀리(18)의 결합 구멍(184)에 정확하게 삽입되는 위치이면, 가동 연결체(43)는 최대로 하강하여 기어 케이스(32)와 큰 풀리(18)를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큰 풀리(18)와 기어 케이스(32) 및 지지축(4)은 일체로 회전한다.
도8은 본 실시예의 세탁기의 요부의 전기계 구성도이다. 제어의 중심에는 CPU, RAM, R0M, 타이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60)에는 복수의 조작 키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조작부(32)로부터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세탁 탈수조(3) 내의 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64)로부터 수위 검지 신호가, 그리고 캠(50)에 부설된 세탁 위치 검지용 스위치(651), 탈수 위치 검지용 스위치(652)로부터 각각 온/오프 신호가 입력되고 있다. 또, 제어부(60)는 표시부(63)를 구동하기 위한 표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60)는 부하 구동부(61)를 거쳐서 모터(14), 토크 모터(20), 급수 밸브(8), 덮개 로크 해제용 솔레노이드(66)의 동작을 제어한다. 토크 모터(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와 배수 밸브(12)의 양 쪽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9는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표준적인 세탁 행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세탁기의 동작을 도9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세탁이 개시되면, 세탁 탈수조(3) 내에 소정 수위까지 급수가 행해지고, 교반 블레이드(5)를 소정 속도로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또한 세탁 탈수조(3)를 교반 블레이드(5)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이 실행된다(단계 S21). 세탁이 종료하면 토크 모터(20)가 구동되고, 배수 밸브(12)가 개방되는 동시에 가동 연결체(43)를 거쳐서 큰 풀리(18)와 기어 케이스(32)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세탁 탈수조(3) 내의 물은 배수된다. 또한, 세탁 탈수조(3)와 교반 블레이드(5)를 일체로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중간 탈수가 실행된다(단계 S22). 이 중간 탈수에 의해, 세탁물에 스며들어 있는 세제물이 비산하여 제거된다.
다음에, 1회째의 헹굼으로서 탈수 헹굼이 행해진다(단계 S23). 탈수 헹굼은 세탁 탈수조(3)를 회전시키면서 주수구(9)로부터 물을 샤워형으로 세탁물에 끼얹음으로써 세탁물에 깨끗한 물을 흡수시키고, 그 대신에 세탁물에 스며들어 있는 세제물을 압출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세탁물에 충분히 물을 함유시킨 후에, 단계(S22)와 동일한 단계(S24)의 처리에 의해 중간 탈수가 행하여져, 세탁물에 스며들어 있는 물이 비산된다. 중간 탈수 행정후에는 다시 토크 모터(20)가 구동되고, 배수 밸브(12)가 폐쇄되는 동시에 큰 풀리(18)와 기어 케이스(32)의 연결이 해제된다. 그리고, 2회째의 헹굼으로서 세탁 탈수조(3) 내에 소정량의 급수가 이루어지고, 단계(S21)의 세탁 행정시와 마찬가지로 교반 블레이드(5)와 세탁 탈수조(3)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저장 헹굼이 실행된다(단계 S25). 저장 헹굼이 종료하면 토크 모터(20)가 구동되고, 배수 밸브(12)가 개방되어 세탁 탈수조(3) 내의 물은 배수되고, 중간 탈수와 마찬가지로 세탁 탈수조(3)와 교반 블레이드(5)를 일체로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최종 탈수가 실행된다(단계 S26).
또한, 상기 순서는 표준적인 것이며, 세탁물의 종류 등에 따라서 예를 들어 탈수 헹굼 대신에 저장 헹굼을 행하거나, 탈수 헹굼을 2회 실행한 후에 저장 헹굼을 실행하거나, 또는 저장 헹굼 대신에 주수 헹굼을 실행하거나 하는 등, 순서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에, 세탁 운전 또는 저장 헹굼 운전 종료 시점부터 탈수 행정(상기 단계 S22 및 S26)을 종료하는 시점까지의 제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0은 이 때의 제어에 관한 흐름도이다.
우선, 세탁 운전과 저장 헹굼 운전이 종료하여 배수를 개시할 때는 제어부(60)는 부하 구동부(61)를 거쳐서 토크 모터(20)를 온한다(단계 S1). 그 후, 제어부(60)는 탈수 위치 검지용 스위치(652)가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2), 그 스위치(652)가 온된 것을 검지하면 토크 모터(20)를 오프한다(단계 S3). 단계 S2에서 탈수 위치 검지용 스위치(652)가 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토크 모터(20)를 온하고 나서 동작 제한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13), 동작 제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2)로 되돌아간다. 단계(S13)에서 동작 제한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토크 모터(20)의 동작 이상, 탈수 위치 검지용 스위치(652)의 이상 등,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정상적인 동작을 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토크 모터(20)를 오프한 후(단계 S14), 운전을 중단하고 이상을 알린다(단계 S15, S16). 이 이상 알림으로서는 램프의 점등과 점멸에 의한 표시, 버저 등에 의한 경고음, 또는 이들의 병용 등으로 할 수 있다.
단계(S3)에서 토크 모터(20)를 오프했을 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연결체(43)는 하방향으로 압박되어 있지만, 반드시 갈고리형 돌기부(434)가 큰 풀리(18)의 결합 구멍(184)에 삽입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으며, 큰 풀리(18)의 평판부에 접촉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제어부(60)는 부하 구동부(61)를 거쳐서 0.2초 온-0.8초 오프를 1주기로 하고, 이를 3주기 반복하도록 모터(14)를 제어한다(단계 S4). 이에 따라, 큰 풀리(18)는 조금씩 회전하고, 그 회전 이전에는 갈고리형 돌기부(434)가 결합 구멍(184)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갈고리형 돌기부(434)가 결합 구멍(184)에 삽입되는 상태로 되며, 가동 연결체(43)에 의해 큰 풀리(18)와 기어 케이스(32)는 확실하게 연결된다.
그 후, 제어부(60)는 수위 센서(64)로부터의 수위 검지 신호에 의해 소정 수위까지 배수가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5), 배수 종료후에 모터(14)를 온시켜 우선 간헐 탈수를 실행하고(단계 S6), 이어서 연속 탈수를 행한다(단계 S7). 소정의 연속 탈수 시간이 경과하면, 모터(14)에 부설되어 있는 전자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모터(14)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킨다(단계 S8). 모터(14)의 회전이 정지하는 것과 동시에 구동축(33)의 회전도 정지하므로, 가동 연결체(43)를 거쳐서 직결되어 있는 기어 케이스(32), 지지축(4), 더 나아가서는 세탁 탈수조(3)의 회전도 정지한다. 세탁 탈수조(3)가 정지된 것이 확인되면(단계 S9에서 「예」), 큰 풀리(18)와 기어 케이스(32)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동시에 배수 밸브(12)를 폐쇄시키도록 토크 모터(20)를 온한다(단계 S10). 그 후, 제어부(60)는 세탁 위치 검지용 스위치(651)가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11), 스위치(651)가 온되어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토크 모터(20)를 온하고 나서 동작 제한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17), 동작 제한 시간이 경과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S14)로 진행한다. 또한, 동작 제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1)로 되돌아간다.
상기 단계(S11)에서 세탁 위치 검지용 스위치(651)가 온된 것이 검지되면 제어부(60)는 토크 모터(20)를 오프한다(단계 S12). 이에 따라, 가동 연결체(43)는 클러치 레버(44)에 의해 상방으로 인상되고, 큰 풀리(18)와 기어 케이스(32)의 연결이 해제되는 동시에, 배수 밸브(12)는 폐쇄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세탁기에서는 토크 모터(20)의 작동 시간에 제한을 둠으로써, 토크 모터(20)와 스위치 등의 고장, 또는 배수 밸브(12)의 이물질 끼임 등에 따른 동작 이상 등이 검지된다.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 운전과 저장 헹굼 운전시에는 교반 블레이드(5)와 세탁 탈수조(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종래보다도 높은 세탁 성능 및 헹굼 성능이 얻어지는데, 세탁 성능 및 헹굼 성능을 한층 더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모터(14)의 회전 제어를 행하고 있다.
도11은 세탁 운전과 헹굼 운전시에 세탁 탈수조(3) 내에 발생하는 수류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 운전과 헹굼 운전시에는 교반 블레이드(5)의 회전 방향(M5)과 반대 방향(M6)으로 세탁 탈수조(3)가 회전하고 있다. 교반 블레이드(5)는 세탁 탈수조(3)의 바닥부에 있으므로, 세탁 탈수조(3)내에 축적되어 있는 물 중, 하방의 물은 교반 블레이드(5)와 동방향으로 수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수류를 타고 이동하는 세탁물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세탁 탈수조(3)의 내벽에 접촉하여 높은 세탁(또는 헹굼)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교반 블레이드(5)로부터 먼 상부의, 그리고 세탁 탈수조(3)의 내벽을 따른 부분에서는 교반 블레이드(5)의 회전 방향(M5)이 아니라 세탁 탈수조(3)의 회전 방향(M6)으로 수류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세탁물과 세탁 탈수조(3)의 내벽의 마찰에 의한 오염물의 제거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
그래서, 본 세탁기에서는 모터(14)를 좌우 반전시킬 때, 타성에 의해 세탁 탈수조(3)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즉 세탁 탈수조(3)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하기보다도 이전에 모터(14)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모터(14)의 반전에 의해 세탁 탈수조(3) 자체는 바로 회전 방향이 변하므로, 상기 타성에 의한 수류를 타고 이동하는 세탁물과 세탁 탈수조(3)의 회전 방향이 단시간 반대로 된다. 도12의 (a) 내지 (c)는 모터(14)의 구동 패턴과 교반 블레이드(5) 및 세탁 탈수조(3)의 회전 상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4)는 우측 방향 t1초 동안 온-t2초 동안 오프-좌측 방향 t1초 동안 온-t2초 동안 오프를 1주기로 하고, 이것의 반복 패턴으로 구동된다. 모터(14)를 오프하면 세탁 탈수조(3)는 타성으로 회전을 계속하는데, 그 타성 회전이 끝나기 전에 모터(14)가 온되도록 t2는 설정된다. 따라서, 모터(14)가 온된 순간에 세탁 탈수조(3)의 회전 방향은 반전되지만, 타성 회전에 의한 수류는 즉시 추종하지 않으므로, 단시간 동안에 수류의 방향과 세탁 탈수조(3)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된다. 이에 따라,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세탁물도 한층 더 오염물 제거가 촉진된다.
또, 상기 실시예는 일예이며,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형이나 수정을 행할 수 있음은 분명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기의 구동 장치의 구조를 간단화하는 동시에, 세탁과 헹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외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세탁 탈수조를 설치하고, 상기 세탁 탈수조의 내측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교반 블레이드를 설치한 세탁기에 있어서,
    a) 상기 세탁 탈수조와 일체로 회전하는 중공의 외축과,
    b) 상기 외축의 내측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교반 블레이드와 일체로 회전하는 내축과,
    c) 상기 외축 및 내축과 동축상에 위치하고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과,
    d) 상기 외축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되는 내치 기어, 상기 구동축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되는 태양 기어, 상기 내치 기어 및 태양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또한 상기 내축에 결합하는 유성 기어를 포함하는 감속 수단과,
    e) 상기 구동축과 외축을 연계 또는 차단시키는 구동 절환 수단,
    을 구비하고, 세탁 운전 및 헹굼 운전시에는 상기 구동 절환 수단에 의해 구동축과 외축을 차단시키고, 구동축과 외축을 상기 태양 기어, 유성 기어 및 내치 기어를 개재시켜 결합하고, 교반 블레이드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이 회전에 수반하여 내치 기어에 걸리는 유성 기어의 반력에 의해 세탁 탈수조를 교반 블레이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의 회전을 저지하는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의 회전을 저지하는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고, 세탁 운전 및 헹굼 운전시에는 브레이크를 해제하여 외축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탈수 운전의 종료시에는 상기 브레이크에 의해 외축을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절환 수단은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측 결합 수단과, 상기 외축과 일체로 회전하고 또한 상기 구동측 결합 수단과 결합 또는 이탈 가능한 피동측 결합 수단과,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대략 원반형의 캠과,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피동측 결합 수단과 구동측 결합 수단을 결합시키거나 또는 그 결합을 해제시키는 축 연계 작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피동측 결합 수단과 구동측 결합 수단의 결합 및 그 해제에 연동하고,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서 배수 밸브를 폐쇄 및 개방시키는 밸브 작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그 모터축에 부착한 작은 풀리와, 상기 구동축에 부착한 큰 풀리와, 작은 풀리와 큰 풀리 사이에 감겨진 벨트로 이루어지는 감기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측 결합 수단은 상기 큰 풀리에 형성한 결합 구멍인 한편, 상기 피동측 결합 수단은 상기 외축을 내측에 삽입 관통시켜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큰 풀리에 대향하는 면에 갈고리형 돌기를 형성한 가동 연결체로 하고, 상기 갈고리형 돌기 및 상기 결합 구멍은 구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축원을 따른 만곡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큰 풀리는 2장의 금속판을 중합하여 코오킹에 의해 고정한 구조를 갖고, 상기 결합 구멍은 그 주위 방향의 양단부에 코오킹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4항에 있어서, 세탁 또는 헹굼 행정으로부터 탈수 행정으로 이행할 때, 상기 피동측 결합 수단이 구동측 결합 수단에 결합되도록 제2 모터를 작동시킨 후, 상기 구동축이 조금씩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소정 회전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제2 모터의 구동 개시때부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신호가 얻어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0-0075854A 1999-12-14 2000-12-13 세탁기 KR100398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53993 1999-12-14
JP35399399A JP3600098B2 (ja) 1999-12-14 1999-12-14 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368A true KR20010062368A (ko) 2001-07-07
KR100398994B1 KR100398994B1 (ko) 2003-09-22

Family

ID=1843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854A KR100398994B1 (ko) 1999-12-14 2000-12-13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600098B2 (ko)
KR (1) KR100398994B1 (ko)
CN (1) CN116564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576B1 (ko) * 2011-09-01 2012-01-31 (주)에스지에스에이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5445B2 (en) * 2001-10-18 2009-01-13 Haier Group Corporation Counter-rotation wash method and transmission machine
KR100460136B1 (ko) * 2002-01-24 2004-12-04 주식회사 성인전자 전자동세탁기의클러치장치
WO2015109915A1 (zh) * 2014-01-22 2015-07-30 海尔集团公司 洗衣机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05239314B (zh) * 2014-06-30 2019-02-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减速离合器离合驱动装置
CN105200718B (zh) * 2014-06-30 2019-01-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离合驱动装置
CN105274784B (zh) * 2014-06-30 2019-01-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离合驱动装置
CN105463772B (zh) * 2014-06-30 2019-01-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减速离合器离合驱动装置
CN105463768B (zh) * 2014-06-30 2019-02-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减速离合器离合驱动装置
CN105200719B (zh) * 2014-06-30 2019-11-0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电机保护罩
CN105274783B (zh) * 2014-06-30 2019-04-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减速离合器的离合装置及减速离合器
CN105316904B (zh) * 2014-06-30 2019-01-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减速离合器的离合装置及减速离合器
CN204125760U (zh) * 2014-07-12 2015-01-28 安徽聚隆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用离合转换动力装置
CN105332239B (zh) * 2014-07-31 2019-03-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05332241B (zh) * 2014-07-31 2019-04-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及洗衣机
JP2016036400A (ja) * 2014-08-05 2016-03-22 ハイアールアジア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6363423B2 (ja) * 2014-08-05 2018-07-25 アクア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105463770B (zh) * 2014-08-29 2019-04-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05862312B (zh) * 2015-01-23 2020-06-1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双波轮滚筒洗衣机
KR102560457B1 (ko) 2015-10-08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2018198629A (ja) * 2015-10-23 2018-12-20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洗濯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576B1 (ko) * 2011-09-01 2012-01-31 (주)에스지에스에이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9899A (zh) 2001-06-20
JP2001162087A (ja) 2001-06-19
JP3600098B2 (ja) 2004-12-08
CN1165649C (zh) 2004-09-08
KR100398994B1 (ko) 200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8994B1 (ko) 세탁기
KR100215032B1 (ko) 세탁기
KR100762129B1 (ko) 전자동 세탁기
JP2001113088A (ja) 脱水兼用洗濯機
JP3704376B2 (ja) 洗濯/脱水転換ブレーキメカニズムを備えた洗濯機
JP2000334195A (ja) 洗濯機
KR20170018047A (ko) 드럼식 세탁기
KR100720540B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JPH0838788A (ja) 洗濯機の排水装置
KR100205401B1 (ko)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JPS6332478B2 (ko)
KR20040049160A (ko) 직결식 세탁기의 세탁시 탈수조 회전방지 장치
KR19990004881U (ko)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KR100238649B1 (ko) 세탁기의 클러치 풀리 결합구조
KR100813044B1 (ko) 세탁기용 클러치
KR20040013991A (ko)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의 커넥팅로드 및 레버 구조
KR100223427B1 (ko) 세탁기의 브레이크 레버와 작동캠 결합구조
KR100413457B1 (ko)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80760A (ko) 세탁기용 클러치
KR950007076B1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JP2000014969A (ja) 電気洗濯機
KR0130176Y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00474920B1 (ko) 세탁기의 운전제어방법
KR950003688Y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950007079B1 (ko) 전자동세탁기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