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138A - 고정암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정암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138A
KR20010062138A KR1020000073466A KR20000073466A KR20010062138A KR 20010062138 A KR20010062138 A KR 20010062138A KR 1020000073466 A KR1020000073466 A KR 1020000073466A KR 20000073466 A KR20000073466 A KR 20000073466A KR 20010062138 A KR20010062138 A KR 20010062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lug
arm
bending arm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6154B1 (ko
Inventor
스테판펭거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62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이미 잘 알려진 플러그형 커넥터에서는 의도치 않게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합한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래치형 잠금 장치는 일반적으로 후크나 스프링 같은 탄성 부재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래치형 잠금 장치의 잠금력(locking force)은 강화하면서도 적은 힘으로도 조작이 가능한 잠금 장치를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재(7)는 플러그부분(3)의 둘레에 형성된 벤딩암(8)과 이 벤딩암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레버암(9)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형 커넥터의 소켓부분(2)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벤딩암(8) 옆에 리밋스톱(10)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리밋스톱(10)은 리밋스톱(10) 방향으로의 벤딩암(8) 움직임을 제한하고 리밋스톱(1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벤딩암(8)의 회전은 제한하지 않게 배열되어 있으며, 한 개의 소켓부분(2)과 한 개의 플러그부분(3)으로 이루어진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1)에 고정부재(7)가 장착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고정암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 WITH LOCKING ARM}
본 발명은 소켓부분과 그리고 이 소켓부분의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부분으로 이루어진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소켓부분은 플러그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부분에 배열된 고정부재와 맞물리는 한 개 이상의 고정면을 자신의 외측에 가지며, 이 고정부재는 플러그부분의 둘레에 형성된 벤딩암과 이 벤딩암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레버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 레버암은 벤딩암을 중심으로 기본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또는 작동 위치에서 기본 위치로 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
한 개의 플러그부분과 여기에 맞는 소켓부분으로 이루어진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의 경우에 있어서 의도치 않게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합한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래치형 잠금 장치는 일반적으로 플러그형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재에 끼워지는 후크나 스프링 같은 탄성 부재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차량에 사용되는 플러그 형식의 커넥터에서와 같이 상기 플러그 형식의 커넥터에 강한 기계적 부하가 가해질 경우에는 잠금 장치로 사용되는 부재를 보강하여 차량의 운전 중에 플러그형 커넥터에 가해지는 강한 기계적 부하로 인해 플러그형 커넥터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현재 기술 수준에서는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플러그형 커넥터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단면적을 크게 하거나 또는 다른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벤딩암을 보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렇게 할 경우 레버암과 벤딩암 사이의 결합이 너무 강직(stiffness)되어 기본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또는 작동 위치에서 기본 위치로의 레버암 운동이 강한 조작력을 가할 경우에만 가능하게 됨으로써플러그형 커넥터를 결합하기 위해서 강한 힘을 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벤딩암이 유연하게 형성된 플러그형 커넥터가 사용되기도 한다. 여기에서 유연하게 형성되었다는 것은 벤딩암의 단면이 축소되거나 또는 벤딩암의 재질이 유연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온도 변화나 진동 부하가 발생하면 고정결합이 임의적으로 풀릴 수 있어 플러그부분과 소켓부분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래치형 잠금 장치의 잠금력(locking force)은 강화하면서도 적은 힘으로도 이 잠금 장치를 분리시킬 수 있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 원리는, 리밋스톱을 통해 고정부재의 운동을 제한함으로써 플러그부분에 인장 부하가 가해질 경우에도 고정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종래 방식의 고정결합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소켓부분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암 옆에 리밋스톱이 배열되는데, 이 리밋스톱은 벤딩암의 리밋스톱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하지만 리밋스톱과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가장 큰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암이 유연하게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리밋스톱이 장착되어 있어서 래치형 잠금장치에 강한 기계적 부하가 가해질 경우에도 레버암이 고정부재에서 변형되어 고정결합이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고정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벤딩암의 회전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벤딩암이 유연하게 형성되어 있어 적은 힘으로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리밋스톱은 벤딩암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러그부분과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와 도면 그리고 특허청구항을 통해 설명된다.
도 1은 플러그부분과 소켓부분이 서로 분리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결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의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2: 소켓부분
3: 플러그부분 4: 개구부
5: 외측 6: 고정면
7: 고정부재 8: 벤딩암
9: 레버암 9a,9b: 레버의 구간
10: 리밋스톱 14: 홈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1)는 소켓부분(2)과 플러그부분(3)으로 이루어지며, 소켓부분(2)에는 플러그부분(3)을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4)가 포함되어 있다. 소켓부분(2)의 외측(5)에는 고정면(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노우즈(locking nose)의 기능을 한다. 고정면(6)은, 벤딩암(8)과 레버암(9)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부분(3)과 결합된 고정부재(7)에 의해 감싸지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부분(3)의 고정부재(7)는 벤딩암(8)이 플러그부분(3)의 외측 둘레와 거의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벤딩암(8)의 자유 단부와 레버암(9)이 서로 교차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레버암(9)은 두 개의 구간(9a,9b)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레버암(9)의 구간(9a)은 고정부재(7)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하며 레버암(9)의 구간(9b)은 고정면(6)을 결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벤딩암(8)의 하단면은 플러그부분(3)의 표면상에 직접 부착되어 있으며 레버암을 두 개의 구간(9a,9b)으로 분할한다.
리밋스톱(10)은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부분(2)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벤딩암(8)의 옆에 배열되어 있다. 이 리밋스톱(10)은 고정부재(7)가 화살표 방향(11), 즉 축방향으로 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벤딩암(8) 또는 고정부재(7)가 반대 방향(12)으로 수평회전(horizontal sweep)하는 것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1)에서, 플러그부분(3)이 소켓부분(2)에 삽입 위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플러그부분(3)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13)에서 소켓부분(2)의 개구부(4)로 삽입되며, 삽입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7)의 구간(9b)에 존재하는 홈(14)이 고정면(6)을 커버할 때까지 고정부재(7) 또는 벤딩암(8)이 화살표 방향(12)으로 회전한다. 고정부재(7)가 고정면(6)을 커버한 후에는 고정부재(7)는 다시 도 1에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은 본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분(3)에서 예를 들어 화살표 방향(15)으로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벤딩암(8)이 유연하게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리밋스톱(10)에 의해 화살표 방향(11)으로 벤딩암이 밀리지 않고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이 계속 유지된다.
벤딩암(8)이 유연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적은 힘으로 벤딩암을 화살표 방향(16)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런 동작을 통해 고정부재(7) 특히 벤딩암(8)이화살표 방향(12)으로 움직여 고정부재(7)와 고정면(6) 사이의 고정결합을 해제할 수 있어 따라서 소켓부분(2)과 플러그부분(3)의 결합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플러그 결합의 경우에는 리밋스톱이 특수하게 배열되어 있어서, 삽입방향으로는 높은 강성(stiffness)을 가지며 따라서 온도 변화나 진동 부하와 같은 극한 조건 하에서도 안전한 결합이 가능하고 동시에 고정부재가 유연하게 형성되어 있어 조작이 용이하며 플러그 형식의 커넥터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제작할 수 있다.

Claims (4)

  1. 소켓부분(2)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부분(3)에 배열된 고정부재(7)와 결합되는 한 개 이상의 고정면(6)을 자신의 외측(5)에 가지며, 이 고정부재(7)는 플러그부분(3)의 둘레에 형성된 벤딩암(8)과 이 벤딩암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레버암(9)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레버암(9)은 벤딩암(8)을 중심으로 기본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또는 작동 위치에서 기본 위치로 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움직일 수 있으며, 소켓부분(2)의 개구부(4)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부분(3)과 소켓부분(2)으로 이루어진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형 커넥터의 소켓부분(2)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벤딩암(8) 옆에 리밋스톱(10)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리밋스톱(10)은 리밋스톱(10) 방향(화살표 11)으로의 벤딩암(8)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리밋스톱(10)과 이격되는 방향(화살표 12)으로의 벤딩암(8)의 회전은 제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리밋스톱(10)이 플러그부분(3)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리밋스톱(10)이 소켓부분(2)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면(6)은 고정 노우즈(locking nose)의 형태이고, 상기 고정면은 플러그형 커넥터(1)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부재(7)의 레버암(9)에 있는 홈(14)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KR1020000073466A 1999-12-08 2000-12-05 고정암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KR100746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9024A DE19959024A1 (de) 1999-12-08 1999-12-08 Kabelbaumstecker mit Rastarm
DE19959024.9 1999-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138A true KR20010062138A (ko) 2001-07-07
KR100746154B1 KR100746154B1 (ko) 2007-08-06

Family

ID=793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466A KR100746154B1 (ko) 1999-12-08 2000-12-05 고정암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91538B2 (ko)
JP (1) JP2001176609A (ko)
KR (1) KR100746154B1 (ko)
AU (1) AU762105B2 (ko)
DE (1) DE19959024A1 (ko)
IT (1) IT1319515B1 (ko)
TW (1) TW472418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514A (ko) * 2001-08-01 2003-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연결 조립체
KR100855200B1 (ko) * 2006-12-14 2008-09-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공간 절약형 커넥터 조립체
KR20140002391U (ko) * 2010-09-17 2014-04-24 위롯 카남포론판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KR20230041160A (ko) * 2021-09-16 2023-03-24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6450A1 (de) * 2002-10-04 2004-04-29 Wieland Electric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2006156182A (ja) * 2004-11-30 2006-06-15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US7128595B2 (en) * 2005-03-23 2006-10-31 Ampheno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ve lock
DE102006043574A1 (de) * 2006-09-16 2008-03-27 Hirschmann Automation And Control Gmbh Solarsteckverbinder mit verbesserten Rastmitteln
US7361058B1 (en) 2006-12-27 2008-04-22 Hallmark Cards, Incorporated Electrical interconnecting adapter
KR200450092Y1 (ko) 2008-07-18 2010-09-02 이한준 고압 전선용 커넥터
CN102868058A (zh) * 2011-07-05 2013-0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硬盘连接器组合
JP2013101909A (ja)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CN103050805B (zh) * 2011-10-14 2014-12-10 莫列斯公司 连接器
DE102012105774B3 (de) * 2012-06-29 2013-10-1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er mit Verriegelungshebel
EP2741377A1 (en) * 2012-12-06 2014-06-11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Cab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0044142B1 (en) 2017-04-28 2018-08-07 Valeo North America, Inc. Connector locking holder
JP7025373B2 (ja) * 2019-06-11 2022-02-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
CN113078514B (zh) * 2021-03-30 2022-06-07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插头、插座及推拉锁紧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3406A (en) * 1974-01-04 1976-01-20 Ford Motor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block assembly having overcenter locking
JPH0240875A (ja) * 1988-07-29 1990-02-09 Jiyupitaa Dentsu:Kk ケーブルコネクタの抜け外れ防止装置
EP0757411A3 (en) * 1995-08-03 1997-10-15 Sumitomo Wiring Systems Connector
US6083030A (en) * 1998-09-23 2000-07-04 Osram Sylvania Inc. Connector latch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514A (ko) * 2001-08-01 2003-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연결 조립체
KR100855200B1 (ko) * 2006-12-14 2008-09-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공간 절약형 커넥터 조립체
KR20140002391U (ko) * 2010-09-17 2014-04-24 위롯 카남포론판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KR20230041160A (ko) * 2021-09-16 2023-03-24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62105B2 (en) 2003-06-19
US6491538B2 (en) 2002-12-10
JP2001176609A (ja) 2001-06-29
ITMI20002624A1 (it) 2002-06-05
US20010016444A1 (en) 2001-08-23
AU7207100A (en) 2001-06-14
TW472418B (en) 2002-01-11
DE19959024A1 (de) 2001-06-13
KR100746154B1 (ko) 2007-08-06
IT1319515B1 (it) 200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154B1 (ko) 고정암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US6406319B2 (en) Connector module
JP3047159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US5711684A (en) Connector housing locking mechanism
US6368125B1 (en) Connector with lever
US5651697A (en)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20130171892A1 (en) Electrical contact
CN107069349B (zh) 电接插式连接装置和对此的释放元件
EP1006621A3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device
CA2277682C (en) Connector module
US20180191100A1 (en) Socket-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US11600947B2 (en) Electrical connector
EP0896397A2 (en)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US7044018B2 (en) Connecting element
EP1173685A1 (en) Connecting element
JP5015812B2 (ja) コネクタ用カバー
US6174185B1 (en) Panel mounted connector
KR100288724B1 (ko) 전기 커넥터용 자체 정렬식 커넥터 시스템
JP3047175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CN111755901A (zh) 插接连接器、电插接连接器装置和用于其的保持元件
CN212033278U (zh) 连接器
US7081013B2 (en) Structure of removable electrical connector
JP3201978B2 (ja) 電気コネクタの結合構造
KR20220002255U (ko)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EP0901189A2 (en) Mounting syste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