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1160A - 차량용 전자 전원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 전원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1160A
KR20010061160A KR1019990063648A KR19990063648A KR20010061160A KR 20010061160 A KR20010061160 A KR 20010061160A KR 1019990063648 A KR1019990063648 A KR 1019990063648A KR 19990063648 A KR19990063648 A KR 19990063648A KR 20010061160 A KR20010061160 A KR 20010061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ower
power distribution
door module
distribu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9860B1 (ko
Inventor
이진동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3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86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7Controller area network [CAN] ident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각 구동부에 공급하는 구동 전원을 각 구동부에서 요구시 만 공급되도록 한 차량용 전자 전원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밧데리로부터 구동 전원을 받아 분배 공급하는 전자 전원 분배 장치와; 상기 전자 전원 분배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부하단을 구동하는 도어 모듈과; 상기 전자 전원 분배 장치와 도어 모듈 간에는 전원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송 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밧데리로 부터 각 구동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분배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각 구동부와는 통신을 통해서 전원 공급 신호를 받아 전원을 공급하여 주게 되므로, 불필요한 전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 전원 분배 장치{ELECTRONIC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 전원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각 구동부에 공급하는 구동 전원을 각 구동부에서 요구시 만 공급되도록 한 차량용 전자 전원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각 구동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분배 장치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밧데리(BAT)로부터 퓨우즈 박스(10), 그리고 제어 수단(11)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온/오프 구동하는 릴레이 수단(12), 상기 릴레이 수단(12)으로 구동 전원을 받아 구동하는 제어장치(13), 이 제어장치(13)에 의하여 구동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미러 스위치(14), 파워 윈도, 도어럭등을 구동하는 릴레이(15)로 구성되는 도어 모듈(16)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원 분배 장치는 도어 모듈(16)의 부하 구동시 구동 전원이 밧데리(BAT)로부터 퓨우즈(10), 릴레이 수단(12)을 통해서 공급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퓨우즈(10)와 릴레이 수단(12)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장착 부위에 제약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장 발생시 고장 원인을 용이하게 찾을 수 없고, 상기 퓨우즈(10)나 릴레이 수단(12)고장시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전체를 교체하는 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릴레이 수단(12)의 경우 작동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가 하면, 상기 밧데리(BAT)의 전압은 항상 부하단에 공급되어 있어 전류 소비가 많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원 분배 장치는 밧데리의 전원을 서로 분리된 퓨우즈, 릴레이 수단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그 장착 및 구성이 용이하지 않고, 부하단의 보호 장치인 상기 퓨우즈 나 릴레이 수단은 기계적인 접촉에 의하여 항상 전원이 공급되게 되어 전류 소모는 물론, 접점 부위 손상을 자주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부하단에 구동 전원을 분배 공급하는 전원 분배 장치를 반도체와 전자 제어 장치로 구성하여 상기 각 부하단이 전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류 소비를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전원 분배 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 차량용 전자 전원 분배 장치의 회로도.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밧데리로 부터 구동 전원을 받아분배 공급하는 전자 전원 분배 장치와; 상기 전자 전원 분배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부하단을 구동하는 도어 모듈과; 상기 전자 전원 분배 장치와 도어 모듈 간에는 전원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송 수단으로 구성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밧데리로 부터 각 구동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분배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각 구동부와는 통신을 통해서 전원 공급 신호를 받아 전원을 공급하여 주게 되므로, 불필요한 전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차량용 전자 전원 분배 장치의 회로도로서, 밧데리(BAT)로 부터 구동 전원을 받아 분배 공급하는 전자 전원 분배 장치(20)와; 상기 전자 전원 분배 장치(2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부하단을 구동하는 도어 모듈(30)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 전원 분배 장치(20)와 도어 모듈(30)간에는 전원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송 수단(40)을 각각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전자 전원 분배 장치(20)는 도어 모듈(30)로부터 전송 수단(40)을 통해서 구동 전원 요구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1)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스위칭하면서 밧데리(BAT)전원을 구동 전원이 요구된 도어 모듈(30)에 공급하는 반도체 스위치(23)(24)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 모듈(30)은 전자 전원 분배장치(20)로부터 전송 수단(41)을 통해서 전원을 받아 구동하는 전자제어장치(31)와; 상기 전자제어장치(31)로부터 제어된 신호를 받아 스위칭 구동하는 미러 스위치(32), 반도체 스위치(33)와; 상기 부하를 동작 제어하는 콘트롤러(34)(35)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전송 수단(40)(41)은 펄스 폭 변조 방식의 캔 통신 회로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0은 키박스 이고, 51 은 부하 스위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어 모듈(30)에서 부하 스위치(51)의 신호가 전자제어장치(31)에 입력되면 상기 전자제어장치(31)에서는 이 입력된 신호를 제어하여 전송 수단(41)을 통해서 전자 전원 분배 장치(40)의 전송 수단(40)에 송신하고, 상기 전자 전원 분배 장치(40)에서는 전송 수단(40)을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21)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21)에서는 전송 수단(40)을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여 반도체 스위치(22)(23)에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반도체 스위치(22)(23)는 스위칭 동작을 하면서 상기 밧데리(BAT)전원을 반도체 스위치(22)(23)를 통해서 도어 모듈(30)의 콘트롤러(34)(35)에 인가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도어 모듈(30)의 콘트롤러(34)(35)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은 상기 전자제어장치(31)에서 제어된 해당 부하단에만 공급하여 부하단을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각 부하단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 전원 분배장치를 중앙처리장치, 반도체 스위치로 구성하고, 상기 전자전원 분배 장치로 구동 전원을 받아 각 부하단을 구동하는 도어 모듈 역시 반도체 스위치와 콘트롤러로 구성하며, 상기 전자 전원 분배장치와 도어 모듈간에는 전송 수단을 통해서 구동 전원 요구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전원이 요구되는 도어 모듈의 부하단에만 밧데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원 소비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전원 분배장치와 도어 모듈은 모두 반도체 스위치 및 콘트롤러로 동작하게 되므로 안정된 동작은 물론 작동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밧데리(BAT)로 부터 구동 전원을 받아 분배 공급하는 전자 전원 분배 장치와; 상기 전자 전원 분배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부하단을 구동하는 도어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 전원 분배 장치와 도어 모듈간에는 전원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송 수단을 각각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전원 분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전원 분배 장치는 도어 모듈로부터 전송 수단을 통해서 구동 전원 요구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스위칭하면서 밧데리(BAT)전원을 구동 전원이 요구된 도어 모듈에 공급하는 반도체 스위치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전원 분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모듈은 전자 전원 분배장치로부터 전송 수단을 통해서 전원을 받아 구동하는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제어된 신호를 받아 스위칭 구동하는 미러 스위치, 반도체 스위치와; 상기 부하를 동작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전원 분배 장치.
KR1019990063648A 1999-12-28 1999-12-28 차량용 전원 분배장치 KR100349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648A KR100349860B1 (ko) 1999-12-28 1999-12-28 차량용 전원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648A KR100349860B1 (ko) 1999-12-28 1999-12-28 차량용 전원 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160A true KR20010061160A (ko) 2001-07-07
KR100349860B1 KR100349860B1 (ko) 2002-08-22

Family

ID=1963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648A KR100349860B1 (ko) 1999-12-28 1999-12-28 차량용 전원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955A (ko) * 2020-09-10 2022-03-17 모셔널 에이디 엘엘씨 차량 상의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제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955A (ko) * 2020-09-10 2022-03-17 모셔널 에이디 엘엘씨 차량 상의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9860B1 (ko)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4889B1 (en) Process and a control device for a motor output suitable for being controlled through a communication bus
KR970049302A (ko) 컴퓨터 주변기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00041057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KR100487122B1 (ko) 전원 공급 조절기능이 내장된 광통신 보드 및 이 보드를실장한 광통신 시스템
KR20010061160A (ko) 차량용 전자 전원 분배 장치
RU2381921C2 (ru) Распределенная система запуска для локомотива ил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овышенной проходимости
JP3384387B2 (ja) ワイヤード付きリモコン送信機
JP3435699B2 (ja) 車両用負荷制御装置
KR100300537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의전원공급회로
KR100425337B1 (ko) 모듈전원제어장치
JP2000184585A (ja) 電源制御システム
KR100482202B1 (ko) 우선순위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보조 릴레이
KR960009679A (ko) 스탠바이(Stand-by) 모드시 소비전력 감소회로
KR20000006981A (ko) 집적회로의 동작전원과 데이터 입력을 동시에 공급할 수있는 리모콘 송신장치
JP3227794B2 (ja) 対インバータ通信時の通信装置制御電源切換回路
KR0180412B1 (ko)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 회로
KR200361248Y1 (ko) 도어구동용 틸팅 제어장치
JPS62229313A (ja) 電源投入制御方式
KR200155048Y1 (ko) 프린터
JP3161719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増幅器
JP3136020B2 (ja) 多重通信方式
JP2000152493A (ja) 電源制御装置
KR930008548A (ko) 전원 제어장치
KR20010069051A (ko) 절전 제어회로
KR20050083583A (ko) 에스에스알 모듈을 이용한 철도 선로전환기 제어용전용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