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103A - 출력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출력 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103A
KR20010059103A KR1019990066485A KR19990066485A KR20010059103A KR 20010059103 A KR20010059103 A KR 20010059103A KR 1019990066485 A KR1019990066485 A KR 1019990066485A KR 19990066485 A KR19990066485 A KR 19990066485A KR 20010059103 A KR20010059103 A KR 2001005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al force
disk
shaft
strain gauges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섭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6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9103A/ko
Publication of KR2001005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1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8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05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distributed 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axial thrust in a rotary shaft, e.g. of propulsion pl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 G01L5/16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us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출력(axial force) 계측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출력 계측 장치는, 토오크 및 축력을 동시에 받는 축과; 상기 축에 설치된 원판 상의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력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출력 계측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AXIAL FORCE}
본 발명은 출력 계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력 및 토오크를 받는 축에 대하여 정확한 축력값을 얻을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출력 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력(axial force)이란 축방향에 작용하는 외력을 말하고, 토오크(torque)는 물체를 그 회전하는 축 주위로 회전시키려는 회전력 즉, 회전하고 있는 물체가 그 회전축 주위에서 받은 우력을 말한다. 이러한 축력을 계측하기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가 이용된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금속 또는 반도체의 저항체에 변형이 가해지면 그 저항값이 변화하는 압력 저항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즉, 금속 등 재질의 신축량을 전기 저항 등으로 변환하도록 한 미소 변위 검출 센서이다. 그 용도로서는 차압(差押), 압력 발신기 및 와류량계, 토크계, 및 기타 실응력의 측정에 각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축력 계측 장치가 도 1a 및 도 1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b는 도 1a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축(11)의 좌우에 각각 두 개씩 모두 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12,13,14,15)를 부착하여 축력을 측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출력 계측 장치는, 축력과 동시에 토오크를 받는 상기 축(11)에서는 토오크에 의한 스트레인 게이지(12,13,14,15)의 변형률이 크게 발생되어 순수 축력에 의한 변형률에 혼입되므로서 그 축력값이 부정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축력과 토오크를 받는 축에 대하여 정확한 축력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출력 계측 장치를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출력 계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계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브리지 회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축 22. 디스크
23. 제1스트레인 게이지 24. 제2스트레인 게이지
25. 제3스트레인 게이지 26. 제4스트레인 게이지
27. 플랜지부 28. 체결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출력 계측 장치는, 토오크 및 축력을 동시에 받는 축과; 상기 축에 설치된 원판 상의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디스크의 일면에 180도 간격으로 동일 반지름 위치에 설치된 제1,2스트레인 게이지와; 상기 제1,2스트레인 게이지의 설치 대응면인 상기 디스크의 타면에 설치된 제3,4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상기 축에 마련된 플랜지부에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계측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2b는 도 2a의 A 및 B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 계측 장치는 토오크 및 축력을 동시에 받는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그 축력을 계측하는 것으로 그 구성을 상술하기로 한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계측 장치는, 토오크 및 축력을 동시에 받는 축(21)과, 상기 축(21)에 설치된 원판 상의 디스크(22)와. 상기 디스크(22)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디스크(22)의 일면에 180도 간격으로 동일 반지름 위치에 설치된 제1,2스트레인 게이지(23,24)와, 상기 제1,2스트레인 게이지(23,24)의 설치 대응면인 상기 디스크(22)의 타면에 설치된 제3,4스트레인 게이지(25,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22)는 상기 축(21)에 마련된 플랜지부(27)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22)는 상기 플랜지부(27)에 소정의 체결부재(28) 예컨대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출력 계측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2,3,4스트레인 게이지(23,24,25,26)가 설치된 원판 상의 디스크(22)를 축력과 동시에 토오크를 받는 상기 축(21) 상의 플랜지부(27)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디스크(22)는 그 구조적 특성상 비틀림 강성이 큰 반면, 그 두께가 얇다. 따라서 그 중심으로부터 부하되는 축력에 의해 굽힘(bending)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제1,2,3,4스트레인 게이지(23,24,25,26)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리지(bridge) 회로로 구성해 준다.
이에 따라 토오크에 의해 발생되는 비틀림 영향은 상쇄되고, 굽힘 영향을 증폭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Vo)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한 측정방법은 종래와 동일하여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 및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축력 계측 장치는 자동차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차축(drive shaft)과 조향축(steering column) 등의 부품들은 토오크 및 축력을 동시에 받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축력 측정장치를 응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축력의 계측 데이터는 설계의 기초자료 또는 시작품의 시험 조건으로 사용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계측 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토오크 및 축력을 동시에 받는 부품의 축력을 종래에 비해 정확히 계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토오크 및 축력을 동시에 받는 축과;
    상기 축에 설치된 원판 상의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계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디스크의 일면에 180도 간격으로 동일 반지름 위치에 설치된 제1,2스트레인 게이지와;
    상기 제1,2스트레인 게이지의 설치 대응면인 상기 디스크의 타면에 설치된 제3,4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계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상기 축에 마련된 플랜지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계측 장치.
KR1019990066485A 1999-12-30 1999-12-30 출력 계측 장치 KR20010059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485A KR20010059103A (ko) 1999-12-30 1999-12-30 출력 계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485A KR20010059103A (ko) 1999-12-30 1999-12-30 출력 계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103A true KR20010059103A (ko) 2001-07-06

Family

ID=1963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485A KR20010059103A (ko) 1999-12-30 1999-12-30 출력 계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91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6207B2 (ja) 自己校正機能付き角度検出器
US8776616B2 (en) Multiaxial force-torque sensors
EP0579722B1 (en) Axially compact torque transducer
US7520182B2 (en) Torque meter
JP4397629B2 (ja) ねじ締め具を較正するためのトルクセンサ
US6782766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torque, axial position and axial alignment of a rotating shaft
JP4718081B2 (ja) 回転角度及び/又はトルクを検出するためのセンサ装置
WO2000026625A8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orque
KR102641681B1 (ko) 토크 전달 샤프트에 인가되는 힘 및/또는 토크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2010169586A (ja) トルク量変換器
JP7260095B2 (ja) 荷重変換器
KR20010059103A (ko) 출력 계측 장치
US2022021423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onitoring health and performance of a mechanical system
JPH02176415A (ja) 位置センサとそれを用いたトルクセンサ
JP2001330525A (ja) トルク量変換器
JPH11264779A (ja) トルク・スラスト検出装置
JPH1048072A (ja) トルク計測器
JP2019066374A (ja) トルク検出器
JP2002168619A (ja) 歯車の偏心等の誤差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0035637A (ko)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각도측정 방법
EP4227656A1 (en) System for sensing torque
JPH11194057A (ja) 微小トルク測定装置
CN117249927A (zh) 扭矩传感器
RU2085879C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крутящего момента
JPH04161829A (ja) 回転体軸受の異常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