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7549A -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7549A
KR20010057549A KR1019990068206A KR19990068206A KR20010057549A KR 20010057549 A KR20010057549 A KR 20010057549A KR 1019990068206 A KR1019990068206 A KR 1019990068206A KR 19990068206 A KR19990068206 A KR 19990068206A KR 20010057549 A KR20010057549 A KR 20010057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weight
styrene
glass transition
transi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윤수
김상훈
이준상
Original Assignee
김충세
고려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세, 고려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충세
Priority to KR1019990068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7549A/ko
Publication of KR20010057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54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D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3Thickening agents
    • C09D7/44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icken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용으로 금속, 목재, 세라믹스 등의 하도 처리된 소지에 적용시 상도 및 하도의 유기바인더로 사용되는 수성도료 조성물에 서로 다른 유리전이 온도를 가진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를 첨가시켜, 도막의 부착성 및 레올로지 특성이 개선되고 외관 특성이 향상된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Water paint composition for steel roof}
본 발명은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용으로 금속, 목재, 세라믹스 등의 하도 처리된 소지에 적용시 상도 및 하도의 유기바인더로 사용되는 수성도료 조성물에 서로 다른 유리전이 온도를 가진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를 첨가시켜, 도막의 부착성 및 레올로지 특성이 개선되고 외관 특성이 향상된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은 금속소지로 하도 처리 후 합성수지 에멀젼 도료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골재인 안산암 및 백운암을 도포하여 외관을 향상시킨 후, 유리전이가 높은 에멀젼 도료 상도를 도포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합성수지 에멀젼은 하도의 금속과 골재의 부착성을 높이고, 도막의 점착성이 적고 유연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며, 도막형성이 쉽고 비교적 가격이 낮다. 그러나, 최근 휘발 물질에 대한 환경규제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합성수지 에멀젼의 사용은 각종 고도의 기능적 요구가 강화되고 있다.
이에, 합성수지 에멀젼을 바인더로 사용하는 도료에 있어서, 저온에서 도막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일예로, 유리전이 온도가 낮은 합성수지 에멀젼을 사용하는 방법, 가소제를 첨가하는 방법, 및 에멀젼 합체를 돕는 도막조제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은 도막의 점착성을 향상시켜 일시적으로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 같으나 용제형 페인트와는 달리 합성수지 에멀젼이 열가소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부착성이 불량하게 나타낸다.
또한, 종래에는 내후성, 부착성, 및 내알칼리성 등의 성질이 우수한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에멀젼을 바인더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중합체는 그 성분이 유기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도막 형성시 피막의 점착성으로 인하여 그 사용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메틸메타아크릴산과 같은 모노머를 이용하여 상기 아크릴계 수지 유도체들과 공중합하여 도막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중합 합성수지 에멀젼으로 제조된 도막은 강도는 증가되나, 점착성이 적게되어 에멀젼의 최저 도막형성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조막성이 저하되고, 신율이 저하되며 유연성을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둘째로, 왁스와 같은 비점착성 물질을 첨가하여 점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점착성 물질의 첨가에 의해 피막의 접착성의 현저히 낮아지고,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불량하여 도막의 표면성이 저하된다.
셋째로, 아크릴계 합성수지에 가교화기를 도입한 다음, 내부가교를 통해 점착성의 저하를 유도한다. 그러나, 이러한 아크릴계 합성수지의 내부가교에 의하여 피막의 신율이 저하되고, 가교밀도가 너무 높은 경우 피막이 쉽게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크릴계 합성수지에 가교화기를 도입함으로 인해 에멀젼의 안정성이 나빠지고, 가교화기 모노머와 공중합하는 경우 공중합의 정도에 한계가 있어 점착성을 방지하는 것에 충분한 양이 도입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건축용으로 금속, 목재, 세라믹스 등의 하도 처리된 소지에 적용시 유기바인더로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합성수지의 점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유리전이 온도를 가진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를 함유시켜 도막의 점착성을 낮추고, 내후성, 내수성, 유연성, 및 도막의 외관이 우수하도록 개선된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안료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하도 유기바인더 및 합성수지, 첨가제로 이루어진 상도 유기바인더가 함유된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하도 유기바인더는 유리전이 온도 -10 ∼ 40℃인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 15 ∼ 55 중량%, 유리전이 온도 -10 ∼ 10℃인 스타이렌-아크릴계합성수지 에멀젼 2∼40 중량%, 안료 및 충진제 10 ∼ 50 중량%가 함유되어 있고, 상기 수성 도료조성물 중 고형분 함량이 30 ∼ 60 중량%가 함유되고;
상기 상도 유기바인더는 유리전이 온도 -15 ∼ 20℃인 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 20 ∼ 75 중량%, 유리전이 온도 20 ∼ 80℃인 스타이렌 - 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 2 ∼ 40 중량%, 상기 수성 도료조성물 중 고형분 함량이 15 ∼ 45 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금속 지붕재용의 상도 및 하도의 유기바인더로 서로 다른 유리전이 온도를 가진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도막의 점착성을 낮추고, 부착성 및 유연성이 우수된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금속 지붕재용의 상도 및 하도의 유기바인더로 금속소지와의 부착성을 증가시키고, 유연성, 글곡성, 내약품성, 내후성, 및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유리전이 온도가 낮은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은 부착력은 상승하나, 인장강도가 너무 낮아 내후성 및 내수성 등의 도막성능이 저하되고, 유리전이 온도가 높은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은 항장력은 높으나 부착성, 유연성 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유리전이 온도를 가진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을 사용하여 물성면에서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하도 유기바인더는 유리전이 온도 -10 ∼ 40℃인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 15 ∼ 55 중량%, 유리전이 온도 -10 ∼ 10℃인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 2 ∼ 40 중량%가 함유된다. 낮은 유리전이 온도를 가진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은 신율이 낮고 유연성이 높은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하도 처리된 금속소지와의 부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된다. 또한, 높은 유리전이 온도를 가진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된다. 만일, 상기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의 함량이 적은 경우에는 원하는 물성을 얻을 수 없고, 그 함량이 초과된 경우에는 인장강도, 부착성 및 유연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이러한, 스타이렌-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는 수성도료 중의 고형분의 함량이 30 ∼ 60 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도 유기바인더에 사용되는 안료는 통상적인 것으로 티타늄디옥사이드, 리트본, 산화철, 및 산화크롬 등의 무기 안료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하며 통상적으로 평균입경은 0.5 ∼ 10㎛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무기안료는 50 ∼ 80 중량%의 농도 및 pH 6 미만의 에멀젼에 분산시키는데, 만약 pH가 6보다 적거나 많으면 안료의 응집이 일어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도 수성도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안료의 함량은 1 ∼ 20 중량%로, 1 중량% 미만이면 소지 은폐가 부족하고, 20 중량%가 초과되면 도료 저장성 및 부착성이 불량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첨가제로 작업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점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증점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증점제는 고 전단성(High shear) 증점제 및 저 전단성(Low shear) 증점제를 고형분의 부피비가 1:1 ∼ 1:9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고 전단증점제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01 ∼ 1.0 중량%, 저 전단증점제의 함량은 0.05 ∼ 2 중량% 범위내에서 첨가된다. 만일, 상기 증점제의 함량을 소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도막을 얻을 수 없으며 작업이 어렵고, 과량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일정 작업점도를 상회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저전단 증점제만을 사용할 경우, 너무 틱소하여 레벨링이 불량해지고, 고전단 증점제만을 사용할 경우, 양호한 레벨링에 반하여 후도막을 얻기 힘들다.
이외에, 하도 수성도료 조성물에 블랙조색제 1 ∼ 10 중량%, 레올로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충진제로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1 ∼ 10 중량%, 칼슘카보네이트 1 ∼ 20 중량%, 알루미늄실리케이트 1 ∼ 10 중량%, 분산습윤제 0.05 ∼ 2 중량%, 동결방지제 1 ∼ 5 중량%, 소포제 0.1 ∼ 1 중량%, 레벨링제 0.1 ∼ 0.5 중량%, 방부제 0.1 ∼ 0.5 중량%, pH 조절제 0.1 ∼ 1 중량%, 도막조제 1 ∼ 8 중량% 등과 같은 보조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도 유기바인더는 유리전이 온도 -15 ∼ 20℃인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 20 ∼ 75 중량%, 유리전이 온도 20 ∼ 80℃인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 2 ∼ 40 중량%가 함유된다. 낮은 유리전이 온도를 가진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은 신율이 낮고 유연성이 높은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하도 및 골재와의 부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된다. 또한, 높은 유리전이 온도를 가진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된다. 만일, 상기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의 함량이 적은 경우에는 원하는 물성을 얻을 수 없고, 그 함량이 초과된 경우에는 인장강도, 부착성 및 유연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스타이렌-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는 수성도료 중의 고형분의 함량이 1 ∼ 20 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도 유기바인더는 필요에 따라서 분산습윤제 0.05 ∼ 2 중량%, 동결방지제 1 ∼ 5 중량%, 소포제 0.1 ∼ 1 중량%, 레벨링제 0.1 ∼ 0.5 중량%, 방부제 0.1 ∼ 0.5 중량%, 증점제 0.1 ∼ 5.0 중량%, pH 조절제 0.1 ∼ 1중량%, 도막조제 1 ∼ 8 중량%등과 같은 보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조성 및 함량의 수성도료 조성물은 금속소지에 시멘트계의 무기계 도료, 아크릴계, 우레탄계 등의 유기계 도장면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막형성 방법은 에어리스스프레이 도장, 로울러 도장 등, 어느쪽 방법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상기의 방식으로 도장된 하도 및 상도의 피막은 하도 처리된 금속소지, 목재, 세라믹스와의 부착성이 양호하고, 레올로지 특성, 및 도막외관이 뛰어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하도)
합성수지 에멀젼으로는 고형분의 함량이 50 중량%인 스타이렌-아크릴계 에멀젼(바스프사의 아크로날 296DTM), 존슨폴리머사의 Joncryl 537TM, 홱스트사의 DM765TM, 제네카사의 NeoRez R-972TM, 고형분의 함량이 45 중량%인 스타이렌-아크릴계 에멀젼 고려화학사의 CHW52506TM, 분산 및 습윤제는 산노프코사의 Nopco 44-CTM, 동결방지제는 에틸렌글리콜, 백색안료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체질안료로는 마그네슘실리케이트, 알루미늄실리케이트, 및 칼슘카보네이트, 소포제는 비와이케이사의 BYK-024TM, 레벨링제는 비와이케이사의 BYK-345TM, 조막조제는 이스트만사의 TexanolTM, 및 Buthyl carbitol, 방부제는 도어사의 Acticide ASTM, 저 전단성 증점제는 리악스사의 Rheolate 430TM, 고 전단성 증점제는 롬앤하스사의 SCT-270TM, pH 조절제는 공업용 암모니아수, 조색제는 송원칼라의 Starsol 9010 BlackTM을 사용하여 수성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골재도포는 0.5 내지 1.2mm인 백운석을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중력낙하식 도포장치를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상도는 다음 실시예 2의 배합을 적용하였다.
각 성분에 따른 구체적인 조성을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 4
합성수지 에멀젼으로는 고형분이 46.5 중량%인 존슨폴리머사의 Joncryl 537TM, 고형분이 48 중량%인 영남화성의 K-500NTM을 사용하고, 분산 및 습윤제는 산노프코사의 Nopco44-CTM, 동결방지제는 에틸렌글리콜, 조막조제는 이스트만 코닥사의 TexanolTM, 및 Buthyl carbitol, 백색안료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소포제는 비와이케이사의 BYK-024TM, 방부제는 도어사의 Acticide ASTM, 저 전단성 증점제는 리악스사의 Rheolate 430TM, 제네카의 PUR60TM, 및 아쿠아론사의 Natrosol 250HBrTM, pH 조절제는 공업용 암모니아수, 조색제는 송원칼라의 Starsol 9010 BlackTM를 사용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골재도포는 0.5 내지 1.2mm인 백운석을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중력낙하식 도포장치를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상도는 다음 실시예 2의 배합을 적용하였다.
각 성분에 따른 구체적인 조성을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조성(하도) 실시예(중량%) 비교예 (중량%)
1 2 3 4
11.7 8.7 9.7 11.7 11.0
분산 및 습윤제 0.5 0.5 0.5 0.5 0.5
동결방지제 2 2 2 2 2
안료 2 2 2 2 2
충진제 28 28 28 28 28
소포제 0.3 0.3 0.3 0.3 0.3
도막조제 3.5 3.5 3.5 3.5 3.5
방부제 0.1 0.1 0.1 0.1 0.1
저 전단성 증점제 0.55 0.55 0.55 - -
고 전단성 증점제 0.05 0.05 0.05 - -
저전단성 증점제 - - - 0.6 -
고전단성 증점제 - - - - 1.3
레벨링제 0.2 0.2 0.2 0.2 0.2
pH 조절제 0.1 0.1 0.1 0.1 0.1
조색제 3 3 3 3 3
스타이렌-아크릴계 에멀젼 CHW52506TM 18 - - 18 18
296DTM 30 - - 30 30
Joncryl 537TM 51 - - -
K-500NTM - 50 - -
시험예 1(하도)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4에서 얻은 수성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도막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1) 부착성
부착성은 하도 처리 금속소지에 375㎛ 적용 후 25℃에서 7일 동안 건조한 다음, 2mm 크로스 컷(Cross cut) 테이프 부착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골재도포 후 부착성은 둘리(Dolly) 테스트(KS F 4715)를 실시하였다.
2) 냉온반복부착성 시험
냉온반복부착성 시험은 하도 처리 금속소지에 375㎛ 적용 후 25℃에서 7일 동안 건조한 다음, 냉온반복시험(-20℃×12시간, 및 80℃×12시간, 100회 반복)을 실시한 후 둘리(Dolly) 테스트(KS F 4715)를 실시하였다.
3) 신율(%)
기름종이 위에 도료를 500㎛로 적용 후, 25℃에서 7일동안 건조한 다음, 유티엠 테스트 기기를 이용해 도막 자체의 신율 및 항장력을 측정하였다. 신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부착이 불량해지고, 항장력이 낮으면 도막자체 경도가 불량해진다.
4) 내수성
내수성 시험은 하도 처리 금속소지에 375㎛로 도료적용 후 건조하여 침적을 7일 동안 진행시켜 관찰하였다(부착성 규격은 KS F 4715).
5) 작업성
도료의 작업성을 유추하기 위하여 레오맷 RS100을 이용하여, 레올로지 프로파일을 측정하고, 실제 스프레이 작업성과 비교 시험하였다.
레올로지 특성
·고 전단 점도(High shear viscosity) : 도막 필름 빌드와 관계가 있으며, 그 값이 클수록 양호하다.
·항복값(Yield value) : 새깅성과 관계되며, 그 값이 클수록 양호하다.
·복소 점도(Complex viscosity) : 평활성에 관계되며, 작을수록 평활성이우수하다.
작업성
도료의 작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도 처리된 금속소지에 에어리스 스프레이를 분사한 다음 작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부착성 테이프
돌리(kgf/㎠) 12 8 8 8 8
냉온반복부착성 외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부착성(kgf/㎠) 15 8 8 15 14
신율 신율(%) 75 70 55 73 80
항장력(N/㎟) 4.4 3.9 4.2 4.3 4.3
내수성 외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시험 후 부착성(kgf/㎠) 14 8 8 11 13
레올로지성 고 전단점도(poise) 0.78 0.65 0.78 0.42 0.53
항복값(Pa) 84 79 80 27 36
복소 점도(poise) 45 43 49 48 30
작업성 필름빌드 ×
평활성
새깅
새깅(새그메터,Mil) 40 40 40 25 20
[주]평가 ○ : 우수, △ : 보통, × : 불량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내후성 및 레올로지 특성이 양호하며, 하도 처리 금속소지에 적용시 부착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2(상도)
합성수지 에멀젼으로서는 고형분이 50 중량%인 아크릴계 에멀젼인 바스프사의 아크로날 18DTM, 에어프로덕트 Flexbon 3191TM, 제네카 Neocryl XK-90TM, 존슨폴리머의 SCX2560TM, 및 바스프사의 Acronal LR-8958TM, 및 고형분이 45 중량%인 스타이렌-아크릴계 에멀젼인 KCC의 CHA00024TM, 습윤제로서는 유씨씨사의 Triton CF-10TM, 소포제는 비와이케이사의 BYK-024TM, 레벨링제는 비와이케이사의 BYK-345TM, 조막조제는 이스트만사의 TexanolTM, Butyl carbitol, Butyl cellosolve, 방부제는 도어사의 Acticide ASTM, 증점제는 롬앤하스사의 SCT-270TM, pH 조절제로는 공업용 암모니아수를 사용하여 수성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에 따른 구체적인 조성을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 6
아크릴계 에멀젼으로서는 고형분이 46중량%인 에어프로덕트사의 DA440TM과 아크릴계 에멀젼으로는 고형분이 53%인 롬앤하스의 ML200TM을 사용하고, 분산 및 습윤제로서는 산노프코사의 Nopco44-CTM, 동결방지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조막조제는 이스트만 코닥사의 TexanolTM, Buthyl carbitol, 백색안료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소포제는 비와이케이사의 BYK-024TM, 방부제는 도어사의 Acticide ASTM, 증점제는 롬앤하스사의 Acrysol SCT270TM, pH 조절제로서는 공업용 암모니아수를 사용하였다.
각 성분에 따른 구체적인 조성을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조성(상도) 실시예 2(중량%) 비교예 5(중량%) 비교예 6(중량%)
31.6 16.6 24.6
습윤제 0.2 0.2 0.2
소포제 0.3 0.3 0.3
도막조제 3 3 3
방부제 0.1 0.1 0.1
고 전단성 증점제 1.5 1.5 1.5
레벨링제 0.2 0.2 0.2
pH 조절제 0.1 0.1 0.1
스타이렌-아크릴계 에멀젼 CHA00024TM 13 - -
아크릴계 에멀젼 18DTM 50 - -
DA440TM - 65 -
ML200TM - - 57
시험예 2(상도)
실시예 2, 및 비교예 5 ∼ 6에서 수성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도막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1) 부착성
부착성은 하도 처리 금속소지에 250㎛ 적용 후 25℃에서 7일 동안 건조한 다음, 2mm 크로스 컷(Cross cut) 테이프 부착시험을 실시하였다
2) 점착성 시험
점착성 시험은 유리판에 250㎛ 적용 후 건조 도막위에 기름종이를 1㎏의 무게추로 50℃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고, 기름종이를 제거하여 도막손상 및 자국을 관찰하였다.
3) 내후성
도막 내후성은 내후성기기(Weather-o-meter(WOM) 및 QUV313)를 이용하여1000 시간 내후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ΔΕ는 변색도를 나타내고, ΔYI는 황변도를 나타낸다.
4) 내수성
내수성 시험은 하도 처리 금속소지에 375㎛ 두께의 도막을 제조한 다음건조하여 순수 침적성을 7일 동안 진행하여 관찰하였다.
시험 실시예 2 비교예 5 비교예 6
부착성 테이프
점착성 ×
내후성(100시간) WOM ΔΕ 0.70 1.93 0.52
ΔYI 0.25 1.22 0.27
QUV313 ΔΕ 0.94 2.37 0.70
ΔYI -0.75 -2.50 -0.63
내수성 양호 기포발생 양호
[주]평가 ○ : 우수, △ : 보통, × : 불량
상기시험 결과에서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내후성, 선명성 및 점착성이 우수하여, 금속지붕재의 우수한 외관과 내구성을 유지시킴을 보여준다.
상기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성도료 조성물은 하도 처리 금속소지에 적용시 부착성 및 레올로지 특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내후성을 가짐과 동시에 제품 적재시 내점착성으로 작업을 원활히 할 뿐만 아니라 자연질감의 미려한 외관을 가중시킬수 있는 도료조성물로서 작업자들이 가장 선호할 수 있는 도료조성물로 평가될 수 있다.

Claims (3)

  1. 합성수지, 안료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하도 유기바인더와, 합성수지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상도 유기바인더가 함유된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하도 유기바인더에는 유리전이 온도 -10 ∼ 40℃인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 15 ∼ 55 중량%, 유리전이 온도 -10 ∼ 10℃인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 2∼40 중량%, 및 안료 및 충진제 10 ∼ 50 중량%가 함유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하도 유기바인더의 고형분 함량은 30 ∼ 60 중량%이며;
    상기 상도 유기바인더에는 유리전이 온도 -15 ∼ 20℃인 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 20 ∼ 75 중량%, 유리전이 온도 20 ∼ 80℃인 스타이렌-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멀젼 2 ∼ 40 중량%가 함유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상도 유기바인더의 고형분 함량은 15 ∼ 45 중량%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 유기바인더에 도입되는 안료는 티타늄디옥사이드, 리트본, 산화철, 및 산화크롬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 유기바인더의 첨가제로서 고 전단성 증점제와 저 전단성 증점제가 1:1 ∼ 1:9 중량비(고형분 함량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
KR1019990068206A 1999-12-31 1999-12-31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 KR20010057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206A KR20010057549A (ko) 1999-12-31 1999-12-31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206A KR20010057549A (ko) 1999-12-31 1999-12-31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549A true KR20010057549A (ko) 2001-07-04

Family

ID=1963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206A KR20010057549A (ko) 1999-12-31 1999-12-31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75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138B1 (ko) * 2007-11-09 2009-10-08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라돈 방출 방지를 위한 페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201A (ja) * 1991-12-05 1993-06-22 Asahi Pen:Kk 水性塗料組成物
KR100225589B1 (ko) * 1997-05-01 1999-10-15 한영재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201A (ja) * 1991-12-05 1993-06-22 Asahi Pen:Kk 水性塗料組成物
KR100225589B1 (ko) * 1997-05-01 1999-10-15 한영재 도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138B1 (ko) * 2007-11-09 2009-10-08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라돈 방출 방지를 위한 페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63757B (zh) 低voc乳液聚合物涂料组合物
US5445754A (en) Water-based, thermal paint
JP2680508B2 (ja) 常乾用水性塗料
US4385138A (en) Thermosetting powder resin based water-slurry coating composition
JP4540711B2 (ja) 水性塗料組成物及び塗装鋼板
EP3472250B1 (en) Coating composition with improved liquid stain repellency
CN102093804B (zh) 包含小颗粒粘合剂的高pvc快干水性粘合剂组合物以及由其制得的交通标志
CA2270318C (en) Coating bituminous substrates
JP5775800B2 (ja) 1液常温架橋型水性被覆組成物
CN109689808A (zh) 具有优越耐久性的水基密封剂
JP5173121B2 (ja) 水系塗材組成物
JPH10298493A (ja) 超耐候性塗料組成物
KR20010057549A (ko) 금속 지붕재용 수성도료 조성물
TW515828B (en) Multi-layer coat-finishing method by use of aqueous coating composition
JPH0673328A (ja) 塗膜形成方法
JP3142165B2 (ja) 水性耐チッピング塗料組成物
JP2001288415A (ja) 水系艶消し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艶消しコーティング方法
KR20030087450A (ko) 수성 단열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US10351724B1 (en) Coating systems and formulations with high hide and holdout
JP2007002148A (ja) 水性塗材組成物
JPS63162770A (ja) セメント基板用水性被覆組成物
KR20010057550A (ko) 수성도료 조성물
EP3802706B1 (en) Aqueous binder composition,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such aqueous binder composition, process for coating a substrate, and coated substrate
US20210230432A1 (en) Water based peelable paint for architecture coatings
KR100583807B1 (ko) 수성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