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831A -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831A
KR20010054831A KR1019990055815A KR19990055815A KR20010054831A KR 20010054831 A KR20010054831 A KR 20010054831A KR 1019990055815 A KR1019990055815 A KR 1019990055815A KR 19990055815 A KR19990055815 A KR 19990055815A KR 20010054831 A KR20010054831 A KR 20010054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relation
database
db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4978B1 (ko
Inventor
김규환
김영일
서두수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9005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978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5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in networks
    • H04M3/2263Networ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교환기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는 해당 시스템의 안정적 운용 및 가입자 서비스 제공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인 만큼 운용자에 의한 데이터 변경 작업은 세심한 주의를 요하며, 이에 대한검증 역시 중요하다. 그러나 이를 검증하는 프로그램은 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의 릴레이션이 변경될 때 마다 프로그램 소스를 그에 상응하도록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의 변경사항을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갖는 카탈로그(catalog : 목록)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 내의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 구조와 새로 변경된 구조의 차이점을 파악하도록 하여, 이 내용을 기반으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동일한 프로그램 소스로 변경된 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검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가 변경될 때 마다 검증프로그램을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동일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라면 어떠한 버전이라도 검증 및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아직 데이터 검증 및 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지 않은 TDX계열의 타 기종 데이터베이스 검증 및 관리업무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방법{Method for verifing of changed database of Electronic Switching Systems}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에서 변경된 데이터베이스의 검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의 변경사항을 DBMS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갖는 카탈로그(catalog)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 내의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 구조와 새로 변경된 구조의 차이점을 파악하도록 하여, 이 내용을 기반으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동일한 검증/관리 프로그램 소스로 변경된 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검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통신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기존의 전자교환기의 기능 및 데이터의 양을 복잡 다양화 시켜 왔다. 이로 인해, 전자교환기의 새로운 기능이 수시로 추가되고, 데이터도 자주 바뀌게 됨에 따라, 새로 변경된 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검증/관리하는 프로그램의 영역과 중요도 또한,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검증 및 관리 프로그램의 구조는 데이터베이스의 릴레이션의 변화에 따라 프로그램 소스를 매번 수정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의 도메인(Domain = Attribute)이 추가될 경우 기존 데이터는 새로 추가된 데이터 때문에 도메인 순서가 바뀌게 되어,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데이터를 찾는 기존의 프로그램에서는 원하는 데이터를 찾아낼 수 없게 된다. 실제로 1998년도의 검증 및 관리 프로그램의 유지보수 건수의 절반 이상이 변경된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수정작업이었다.
이로 인해 프로그램 유지보수에 할당된 시간이 증가되고, 또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기 위해서 검증 및 관리 프로그램이 수정되기를 무작정 기다려야하므로 적시에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큰 지장을 받아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가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의 변경이 발생하여도 검증 및 관리 프로그램의 수정 없이 프로그램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전자교환기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교환 서비스 제공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DBMS와 실제 데이터를 검증 및 관리하는 Application을 분리하여, DBMS에서만 데이터를 접근하도록 제한하고, DBMS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정의해 놓은 카탈로그(catalog)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를 정의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Application이 요구하는 데이터와, 변경내역을 전달하는 1 단계와, Application에서는 DBMS로부터 전달받은 변경 내역을 참조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2 단계를 구비하여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로서, PLD (Processor Loading Data) 즉, 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 PLD로부터 데이터를 추출 및 수정하고, Application으로 데이터와 PLD 변경 정보를 제공하는 DBMS, 목적에 따라 데이터를 검증 및 관리하는 Application, 각 Application을 동작하기 위해 운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MMI(Man Machine Interface:사용자 정합부)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MI와 Application, DBMS간의 메시지 흐름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연동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BMS에서 상위 Application으로 전달 할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그램의 처리 흐름도.
도 4는 본 본 발명에 따른 Application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검증 및 관리를 수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DBMS로 부터 전송된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체 구성도로서, 백업된 상태의 PLD (Processor Loading Data :10) 즉, 전자교환기의 프로세서에 로딩될 데이터베이스로서, 전자교환기에서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 백업된 데이터이며, DBMS(11)은 후술될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으로부터 요청 받은 데이터를 PLD(10)로부터 추출하고, 변경된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12)으로 전달하기 위한 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12)은 DBMS(11)로부터의 데이터와 변경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데이터를 검증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MMI(Man Machine Interface:13)는 운용자(14)와 여러 Application(12)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MMI(13), Application(12)의 데이터 검증 방법보다는 본 발명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DBMS(11)와 Application(12)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전체 구성도로서, MMI와 Application, DBMS간의 메시지 흐름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연동 절차를 나타낸다.
S20단계에서는 운용자의 요청에 따른 작업종류별 Application 선택(검증 방법에 따른 작업 종류 선택)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얻기 위한 정보(Processor 이름, Relation 이름, Domain이름, tuple번호)를 입력 받는 과정을 나타내고, S21단계에서는, 위에서 입력된 정보를 MMI에서 Application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S22단계는, MMI에서 입력된 정보를 DBMS가 인식할 수 있도록 카탈로그 파일인 G_CAT(릴레이션 이름과 릴레이션 번호를 연결하는 정보), R_A_CAT(릴레이션에 속한 Domain(Attribute)이름과 Domain번호를 연결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변환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S23단계에서는, 변형된 정보와 작업종류를 DBMS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S24단계는, 요청된 데이터를 PLD로부터 추출하는 과정이다. S25단계에서는, 추출된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변경내역을 Application으로 전달하기위해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릴레이션 이름, 릴레이션 번호, 도메인 이름, 도메인 번호, 도메인 범위, 튜플수)를 파일로 저장하여 Application으로 응답 (Ack) 메시지와 같이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S26단계는 Application이 원하는 데이터의 위치를 DBMS로부터 전달 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이용해서 찾는 과정으로, 데이터베이스가 변경(도메인의 추가 또는 삭제 등)되더라도 변경된 내역을 DBMS로부터 전달 된 데이터베이스 정보에서 찾아내어 정확히 원하는 데이터를 찾게 된다.
S27단계는 Application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운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MMI로 요청하는 과정이다. S28단계는 운용자가 요청한 작업의 결과를 운용자에게 보여주는 과정이다.
도 3은 DBMS에서 상위 Application으로 전달 할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그램의 처리 흐름도로 도 2의 S25단계에 해당한다.
먼저 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하면, 그에 대한 형상정보를 카탈로그 파일로 생성하게 되는데 이 카탈로그는 각 데이터베이스 버전마다 존재하므로 DBMS와 Application에서는 이 카탈로그 파일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가 아무리 복잡하게 변하였다고 하더라도, 이에 상관없이 릴레이션, 도메인 순서대로 원하는 데이터를 정확히 찾을 수 있다.
S300은 데이터베이스의 버전에 맞는 카탈로그를 입력하는 단계인데, G_CAT는 모든 릴레이션 이름과 릴레이션 번호, 그리고 릴레이션 location, 튜플 갯수, 도메인 갯수를 가지고 있다. 또, R_A_CAT는 각 릴레이션에 속한 모든 도메인 이름, 도메인 번호를 가지고 있다.
S301은 DBMS가 처리할 수 없는 요청을 받았을 때 이를 처리하는 단계로 오류가 발생되면, 오류내역을 Application에 전달하여, Application은 해당 오류를 출력하게 된다.
DBMS가 처리할 수 있는 요청을 받았을 경우 요청에서 원하는 릴레이션의 도메인 정보를 R_A_CAT로 찾게 되는데, 릴레이션 번호와 도메인 번호를 key로 검색을 수행하여 원하는 도메인을 찾게 된다(S302).
원하는 정보를 찾았으면, 해당 정보를 Application에 전달하기 위한 파일로 저장한다(S303). 이 파일에는 릴레이션 번호, 도메인 이름, 도메인 번호, 도메인의 데이터 범위를 저장하여 Application에서 Rel_dat.msg에서 도메인 번호에 따른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도메인을 찾도록 한다.
도메인 정보를 처리한 후, 릴레이션 정보를 G_CAT에서 찾게되는데(S304), 도메인과 같은 방법으로 릴레이션 번호를 Key로 하여 해당 릴레이션 정보를 찾게 된다. 원하는 릴레이션 정보를 찾았으면, 해당 정보를 Application에 전달하기 위한 파일로 저장한다(S305). 이 파일에는 Application에서 릴레이션 번호를 릴레이션 이름으로 메칭하기 위해 릴레이션 번호와 릴레이션 이름 그리고 전체 튜플 갯수 와 도메인 갯수, 릴레이션 location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 정보파일은 각 버전마다의 고유한 릴레이션 번호 와 도메인 번호 등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맞는 정보를 가지므로 Application에서는 이 정보를 가지고 Rel_dat.msg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게 되므로 릴레이션의 변동에 관계없이 정확한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
즉, S302~S305단계까지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처리한 후 마지막으로 실제 교환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데, 이 방법은 기존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며, 추출된 데이터는 튜플단위로 저장하여 Application으로 전달하여 Application에서 데이터 검증과 관리에 사용되도록 한다(S306).
도 4는 Application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검증 및 관리를 수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DBMS로부터 전송 된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순서도로 위 도 2의 S26단계에 해당한다.
먼저 S400단계에서 만약 DBMS로부터 오류가 전송되면 이에 대응하는 오류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기 DBMS에서부터 전달받은 교환기 데이터(Rel_dat.msg)는 해당 릴레이션의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므로, Applicaton에서 필요로 하는 특정 튜플의 특정 도메인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Rel_dat.msg에서 원하는 데이터의 위치를 파악하여야 한다.
S401단계에서는 데이터의 위치와 기타 Application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DBMS로부터 전달 받은 Rel_inf.msg와 Att_inf.msg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데, 특히 원하는 도메인의 위치는 도메인 번호로 알 수 있다. 만약 데이터베이스에 변경사항이 발생하여 도메인 번호가 바뀐다면, 기존의 검증 및 관리 프로그램에서는 고정된 도메인 번호를 사용하므로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변경된 도메인 번호를 카탈로그로부터 입력받아(Att_inf.msg) 해당 도메인 번호 순서대로 Rel_dat.msg에서 데이터를 추출(S402)하면 되므로, 변경된 데이터베이스에서도 정확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Rel_inf.msg, Att_inf.msg에는 각 도메인들의 특성을 정의하는 정보가 들어 있어 예전의 프로그램에서 구현하기 어려웠던 각종 검증툴을 쉽게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반드시 프로그램을 수정해야만 변경된 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의 검증이 가능했던 기존 검증 및 관리 프로그램을 유지보수하지 않아도 검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환기 데이터베이스 검증 및 관리 프로그램의 유지보수 횟수와 시간을 크게 줄여, 적시에 새로운 교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함에 따라 그 동안 수행할 수 없었던 데이터 범위 검사를 비롯한 많은 검증 도구들을 쉽게 구현하게 되어, 교환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버전 변경 시 새로 제작된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 검증의 효과를 한 차원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동일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라면 어떠한 버전이라도 검증 및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아직 데이터 검증 및 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지 않은 TDX계열의 타 기종 데이터 검증 및 관리 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개발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얻기 위한 정보를 입력됨에 따라, 그 정보를 MMI에서 Application으로 전달하는 제 1과정;
    상기 제 1과정에서 전달된 정보를 DBMS가 인식할 수 있도록 연결 정보를 통해 번호로 변환하는 제 2과정;
    상기 제 2과정에서 변환된 정보와 작업종류를 DBMS로 전달하고, 요청된 데이터를 PLD로부터 추출하는 제 3과정;
    상기 제 3과정에서 추출된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변경내역을 파일로 저장하고, Application으로 응답(Ack) 메시지와 같이 전달하는 제 4과정;
    상기 제 4과정에서 전달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의 위치를 검색 및 가공하는 제 5과정; 및
    상기 제 5과정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MMI로 요청하고, 요청한 결과를 운용자에게 표시하는 제 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에서의 입력정보는 프로세서 이름, 릴레이션 이름, 도메인 이름, 튜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과정은
    데이터베이스 버전에 맞는 카탈로그를 입력하고, DBMS가 처리할 수 있는 요청을 받았는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DBMS가 처리할 수 있는 요청을 받았을 경우 원하는 릴레이션의 도메인 정보를 찾아 파일로 저장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 수행 후, 원하는 릴레이션의 릴레이션 정보를 찾아 파일로 저장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제 3단계 수행 후, PLD로부터 해당 릴레이션 데이터를 추출 및 저장하는 제 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DBMS가 처리할 수 없는 요청을 받았을 경우 오류 내역을 Application에 전달하여 출력하는 단계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의 파일에는 릴레이션 번호, 도메인 이름, 도메인 번호, 도메인의 데이터 범위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의 도메인 정보는 릴레이션 번호 및 도메인 번호를 키로 하여 검색을 수행하여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파일은 Application에서 릴레이션 번호를 릴레이션 이름으로 매칭시키기 위해 릴레이션 번호, 릴레이션 이름, 전체 듀플갯수, 도메인 개수 및 릴레이션 위치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과정은
    DBMS로부터 오류가 전송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오류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 Application으로 해당 데이터 테이블과 데이터 형상 및 변경 정보를 전달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제 2단계에서 전달된 데이터 형상 및 변경 정보를 보고 데이터 테이블에서 해당 데이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검증 및 관리에 해당 데이터를 사용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방법.
KR1019990055815A 1999-12-08 1999-12-08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장치 KR100624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815A KR100624978B1 (ko) 1999-12-08 1999-12-08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815A KR100624978B1 (ko) 1999-12-08 1999-12-08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831A true KR20010054831A (ko) 2001-07-02
KR100624978B1 KR100624978B1 (ko) 2006-09-14

Family

ID=1962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815A KR100624978B1 (ko) 1999-12-08 1999-12-08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762B1 (ko) * 2002-08-19 2004-07-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환기의 중계 회선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286B1 (ko) * 1997-12-30 2005-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기의데이터베이스검증장치및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762B1 (ko) * 2002-08-19 2004-07-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환기의 중계 회선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978B1 (ko)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5152C (zh) 组合书签的方法及建立更新的主书签数据库的计算机设备
US72008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re-populated forms
CN100481070C (zh) 搜索条件的逐渐放宽
JP4278299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US6356916B1 (en) Replica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replica
US7401125B1 (en)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managing documents
US20130138634A1 (en) Intelligent community based results related to a character stream
EP1612699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and connecting to data sources
CN100580675C (zh) 访问不同种类的配置管理数据库储存库的方法和系统
JPH0765032A (ja) データベース言語変換機能を持つ情報処理システム
JPH1174883A (ja) システム管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6725251B2 (en) Local-file-transfer method and local-filed-transfer system for client-server system
US6816861B2 (en) CA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CA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6571297B1 (en) Service interface repository application programming models
US200500105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an identification mechanism and type information configuration process for a real-time data feed to a database
KR100637927B1 (ko)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JP200324201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情報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サーバ装置ならびにクライアント装置と、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0624978B1 (ko)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장치
US20230195792A1 (en) Database management methods and associated apparatus
JPH11213046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電子申請システム
EP1976229B1 (en)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7836084B1 (en) Central database routing for distributed applications
CN115757429A (zh) 一种数据互通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H11134238A (ja) ソフトウェア分散開発環境におけるソフトウェア更新管理方式
KR20120073472A (ko) 멀티 파일 접근 공통 인터페이스 지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