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286B1 - 교환기의데이터베이스검증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의데이터베이스검증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286B1
KR100506286B1 KR1019970078084A KR19970078084A KR100506286B1 KR 100506286 B1 KR100506286 B1 KR 100506286B1 KR 1019970078084 A KR1019970078084 A KR 1019970078084A KR 19970078084 A KR19970078084 A KR 19970078084A KR 100506286 B1 KR100506286 B1 KR 100506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tion
pld
user
pdl
d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002A (ko
Inventor
이현선
서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7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28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검증 방법이, 인수모드시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 오픈하고자 하는 피엘디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여 스택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 과정 후 실제로 피엘디를 오픈하고 상기 피엘디의 헤더부와 카탈로그 정보를 읽어 해당 피엘디 구조정보를 구축하는 과정과, 검증모드시 인수된 피엘디의 이름을 파라미터로 상기 피엘디가 스택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피엘디가 스택에 존재할 경우 상기 피엘디 내에 존재하는 각 릴레이션릴레이션들의 어드레스가 상기 피엘디의 마지막 어드레스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마지막 어드레스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각 릴레이션의 무결성을 체크하여 모든 조건에 부합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모든 조건에 부합될 경우 상기 각 릴레이션들의 정보들을 릴레이션 테이블에 구축하고, 이를 릴레이션 시작 어드레스 순으로 정열하는 과정과, 상기 정렬 과정 후 상기 각 릴레이션간의 연속성을 검사하여 모두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검증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검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및 적재되어 있는 데이터의 검증을 위한 알고리즘과 이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환기는 그 특성상 방대하고 복잡한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가입자 서비스 및 유지보수 기능은 모두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한 교환기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정상적으로 운용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예를 들어 DBMS(Data Base Manegement System)와의 연계수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제대로 찾지 못하는 경우 그 원인을 밝혀낸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 이유인즉, 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가 2진(binery) 파일로 되어 있어 파일을 열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고, 덤프(dump)을 해도 정확한 데이터의 위치를 메모리 어드레스만으로 확인한다는 것은 그 양이 방대하고 데이터베이스의구조를 숙지하지 않으면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결국, 첨부된 도면 도 1에서와 같이 111단계에서 현장에서 운용중인 데이터베이스를 백업(backup)하여 MT(magnetic tape)에 수록후 112단계에서 이를 다시 호스트 컴퓨터로 옮겨 추출 도구인 EXPLD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들을 데이터 타입별로 릴레이션 단위로 분리하여 (113단계, 116단계, 119단계) 이를 가지고 데이터값을 확인할 수 있는 릴레이션을 사용자 입력 파일로 추출하는 EXDS(114단계), EXRD(117단계, 120단계)를 이용하여 ODBS(115단계), DIL(118단계, 121단계)를 생성하여 이들을 확인하는 방법을 써야 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대한 검증을 제대로 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기에서 운용중인 데이터버에스의 구조의 검증 및 로우-레벨의 데이터가 정상 생성되었는지의 여부를 복잡한 과정없이 용이하게 파악할수 있고, 필요하다면 추가 데이터를 별도의 공정 없이 바로 추가, 삭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검증 방법이, 인수모드시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 오픈하고자 하는 피엘디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여 스택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 과정 후 실제로 피엘디를 오픈하고 상기 피엘디의 헤더부와 카탈로그 정보를 읽어 해당 피엘디 구조정보를 구축하는 과정과, 검증모드시 인수된 피엘디의 이름을 파라미터로 상기 피엘디가 스택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피엘디가 스택에 존재할 경우 상기 피엘디 내에 존재하는 각 릴레이션릴레이션들의 어드레스가 상기 피엘디의 마지막 어드레스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마지막 어드레스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각 릴레이션의 무결성을 체크하여 모든 조건에 부합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모든 조건에 부합될 경우 상기 각 릴레이션들의 정보들을 릴레이션 테이블에 구축하고, 이를 릴레이션 시작 어드레스 순으로 정열하는 과정과, 상기 정렬 과정 후 상기 각 릴레이션간의 연속성을 검사하여 모두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항목을 고려하여 구 구현방법을 제시한다. 첫째, 교환기에 로딩(loading)하기 전 호스트 상에서 제작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제작된 데이터베이스의 내요은 조작가능하여야 한다. 셋째, 일괄처리를 위한 배치(batch)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사용자를 위한 대화형 인터페이스에는 GUI가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한 사항을 고려한 본 발명은 교환기 데이터베이스 검증 도구(tool)를 데이터베이스 런타임 시뮬레이터(Database Run_time Simulator; 이하 DRS라 칭함)라 명명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첫째, 사용자를 위한 일괄처리 기능. 둘째, 데이터베이스의 오픈(open) 및 클로우즈(close) 기능. 셋째, 데이베이스 검증(verification) 기능. 넷째, 데이터베이스 구조정보에 대한 출력(printing)기능. 다섯째, 로우-레벨(Low-Level)의 데이터 Print/Dump 기능. 여섯째, 데이터 Select, Update, Insert, Delete 기능. 일곱째, 유닛스-셀(Unix-shell) 모드의 지원. 여덟째, 간단한 통계기능. 아홉째, 도움말 기능.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DRS를 나타내며, 크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과 DRS부217로 나누어진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은 사용자가 별도의 사용자 설명서를 숙지하지 않아도 바로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21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작업을 212단계에서 단지 화면상의 버튼(button)과 에디트(Edit) 화면만을 사용하여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에서는 215단계에서 미리 지정된 이벤트(event)를 발동하여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함수를 호출하게 된다. 상기 함수는 DRS부217에 정의된 함수이며, 실제 DRS 기능을 수행하는 함수이다. 216단계에서는 수행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로 전달하고 이를 화면상에 출력하여 213단계에서 상기 사용자211가 인식하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의 윈도우 트리(Windoew Tree)로 311는 프로그램의 시작을 알리는 시작윈도우이고, 312단계는 DRS를 수행하기전 환경 셋업(setup)을 위한 윈도우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카타로그(catalog), 적용사이트(site)를 설정하는 윈도우이다. 313은 상기 DRS의 주 윈도우(main window)로 모든 작업은 이 윈도우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주 윈도우는 크게 명령윈도우314, 통계윈도우323, 피엘디윈도우327, 상태윈도우330의 하위 윈도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명령윈도우(command window)314는 상기 DRS의 기능중 2/3가량을 이곳에서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Command Window314는 상기 DRS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핵심부로 315에서 322까지(검증윈도우315, 출력윈도우316, 덤프윈도우317, 선택윈도우318, 삽입윈도우319, 삭제윈도우320, 갱신윈도우321, 쉘윈도우322)의 하위 윈도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통계윈도우323은 통계처리를 위한 윈도우로 324에서 328까지(총수윈도우324, 합윈도우325, 평균윈도우326, 최대치윈도우327, 최소치윈도우328)의 하위 윈도우를 가진다. 329는 PLD 윈도우로 상기 PLD란 프로세서 로드 데이터(Processor Load Data;피엘디)의 준말로 교환기에 적재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일컫는 말로서 이후 데이터베이스란 용어대신 PLD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윈도우329에서는 PLD의 오픈/클로우즈를 담당하게 되며, 상태윈도우(Status Windw)330에서 그 수행결과를 보여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 3-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DRS에서 PLD를 인수(import)하기 위한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DRS가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려면 PLD를 오픈하여 각 정보를 읽어 데이터를 구축해야 한다. 먼저, DRS는 511단계에서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 512단계에서 오픈하고자 하는 PLD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여 스택(stack)에 저장한다. 이렇게 상기 PLD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택에 저장하므로서 복수의 PLD를 처리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DRS는 513단계에서 실제로 해당 PLD를 오픈하고, 514단계에서 도 4에 도시된 PLD의 헤더(Header)부와 카타로그 정보를 읽어 해당 PLD에 대한 구조정보를 구축한다.
도 6은 PLD 검증에 대한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DRS는 611단계에서 검증을 위해 인수된 PLD의 이름을 파라미터(parameter)로 해당 PLD의 인수여부를 체크후 스택에 해당 PLD에 대한 정보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해당 PLD 정보가 있으면 상기 DRS는 612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PLD에 대한 정보가 없으면 상기 DRS는 61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에러루틴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상기 612단계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PLD(인수된 PLD)내의 모든 릴레이션에 대해 각 릴레이션의 어드레스가 상기 PLD의 영역을 벗어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릴레이션의 어드레스가 상기 PLD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으면 상기 DRS는 613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PLD의 영역을 벗어날 경우 상기 DRS는 상기 61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에러루틴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상기 613단계에서 상기 각 릴레이션들이 보유하고 있는 튜플(Tuple)에 대한 무결성을 검사한 후 모든 조건이 충족되면 614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조건 중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으면 상기 61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에러루틴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614단계에서 해당 PLD의 릴레이션들의 정보를 릴레이션 테이블에 구축하고, 615단계에서 이를 릴레이션의 시작 어드레스 순으로 정렬(sorting)한다. 그후 616단계에서 해당 PLD의 릴레이션들간의 연속성을 검사한 후 상기의 모든 단계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은 PLD의 DBMS 정보 및 해당 PLD의 릴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DRS는 711단계에서 파라미터로 PLD 이름과 릴레이션 이름, 그리고 찾고자 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파라미터로 입력받고, 712단계에서 파라미터로 PLD 이름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PLD 이름이 파라미터로 넘어왔을 경우 상기 DRS는 713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PLD 이름이 파라미터로 넘어오지 않았을 경우 상기 DRS 는 717단계로 진행하여 가장 최근에 인수된 PLD를 디폴트(default)로 선택한 후 715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713단계에서 상기 PLD의 이름을 인수된 PLD중에서 검색하고, 714단계에서 파라미터로 릴레이션 이름이 넘어왔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파라미터로 릴레이션 이름이 넘어왔을 경우 715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파라미터로 릴레이션 이름이 넘어오지 않았을 경우 716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상기 715단계에서 해당 PLD의 글로벌 디렉토리(Global Directory)에서 해당 릴레이션을 검색하여 그 포인터를 입력받고, 상기 716단계에서 선택한 PLD와 상기 릴레이션의 포인터를 가지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도 8은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PLD 또는 PLD 내의 릴레이션의 메모리 구조를 덤프(dump)하기 위한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DRS는 811단계에서 사용자가 정의한 PLD 또는 PLD내의 릴레이션 이름을 파라미터로 입력받고, 81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특정한 PLD를 정의하였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특정한 PLD를 정의하였으면 상기 DRS는 813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특정한 PLD를 정의하지 않았으면 상기 DRS는 817단계로 진행하여 스택에서 가장 최근에 등록된 PLD 정보를 디폴트로 한후 상기 813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상기 814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정의한 PLD를 인수된 PLD의 정보를 담고 있는 스택에서 검색한 후, 상기 814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릴레이션 이름을 정의하였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원하는 릴레이션 이름을 정의하였다면 상기 DRS는 815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원하는 릴레이션 이름을 정의하지 않았다면 PLD의 메모리만 덤프하려는 것으로 간주하고 815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상기 815단계에서 상기 813단계 또는 상기 817단계에서 검색한 PLD의 글로버 디렉토리를 검색하고, 816단계에서 사용자가 DRS에 요구한 특정 PLD(릴레이션)에 대한 메모리 덤프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9는 셀렉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DRS는 91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파라미터로 특정 PLD 이름, 릴레이션 이름, 조건절을 입력받고, 912단계에서 사용자가 파라미터로 특정한 PLD를 정의하였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특정 PLD를 정의하였으면 상기 DRS는 913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특정 PLD를 정의하지 않았으면 상기 DRS는 파라미터로 가장 최근에 인수된 PLD를 선택하고 914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상기 913단계에서 상기 정의된 PLD의 글로벌 디렉토리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을 검색하고, 상기 914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조건과 그 릴레이션 타입에 맞는 셀렉트 기능을 수행한 후 916단계에서 그 결과를 출력한다.
도 10은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의 특정 튜플에 사용자가 원하는 값을 삽입하기 위한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DRS는 1011단계에서 사용자의 지정에 의한 릴레이션과 값을 입력하기 위한 값과 도메인을 파라미터로 입력받고, 1012단계에서 사용자가 PLD를 지정하였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PLD를 지정하였으면 상기 DRS는 1013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파라미터의 입력이 지정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DRS는 1017단계로 진행하여 가장 최근에 인수된 PLD를 디폴트로 선택한 후 1014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1013단계에서 인수된 PLD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PLD를 검색하고, 1014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PLD가 상기 리드온리 모드(Read-Onry Mode)로 되어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리드온리 모드로 되어 있으면 1018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에러메세지를 출력하며, 상기 리드온리 모드로 되어있지 않으면 상기 DRS는 1015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상기 1015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정의한 릴레이션을 상기 PLD에서 검색한후, 1016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튜플에 주어진 값을 삽입한다.
도 11은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의 특정 튜플을 삭제하기 위한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DRS는 1111단계에서 파라미터로 PLD 이름과 릴레이션 이름, 그리고 삭제하고자 하는 튜플을 찾기위한 조건절을 입력받고, 1112단계에서 사용자가 PLD를 지정하였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PLD를 지정하였을 경우 상기 DRS는 1113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PLD를 지정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DRS는 1118단계로 진행하여 가장 최근에 인수된 PLD를 디폴트로 선택한 후 1114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상기 1113단계에서 인수된 PLD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PLD를 검색하고, 1114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PLD가 리드온리 모드로 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리드온리 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 상기 DRS는 11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에러메세지를 출력하며, 상기 리드온리 모드로 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DRS는 1115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상기 1115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을 해당 PLD의 글로버 디렉토리에서 검색하고, 1116단계에서 사용자가 조건절을 정의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상기 사용자가 조건절을 정의하였으면 상기 DRS는 1120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조건절을 정의하지 않았으면 상기 DRS는 111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의 모든 튜플을 삭제한다. 한편 상기 DRS는 상기 112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조건절이 타당하게 정의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조건절이 타탕하게 정의되었으면 상기 DRS는 상기 11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조건절에 맞는 튜플을 삭제하며, 상기 조건절이 타당하게 정의되지 않았으면 1222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에러메세지를 출력한다.
도 12는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의 튜플에 새로운 도메인 값을 지장하기 위한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DRS는 1211단계에서 파라미터로 PLD 이름과 릴레이션 이름, 그리고 갱신하고자 하는 튜플을 찾기위한 조건절을 입력받고, 1212단계에서 PLD 이름이 입력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PLD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DRS는 1213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PLD 이름이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DRS는 1218단계로 진행하여 가장 최근에 인수된 PLD를 디폴트로 선택한 후 1214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상기 1213단계에서 인수된 PLD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PLD를 검색하고, 1214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PLD가 리드온리 모드로 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리드온리 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 상기 DRS는 12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에러메세지를 출력하며, 상기 리드온리 모드로 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DRS는 1215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상기 1215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을 해당 PLD의 글로버 디렉토리에서 검색하고, 1216단계에서 사용자가 조건절을 정의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상기 사용자가 조건절을 정의하였으면 상기 DRS는 1230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조건절을 정의하지 않았으면 상기 DRS는 121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의 모든 튜플을 갱신(Update)한다. 한편 상기 DRS는 상기 122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조건절이 타당하게 정의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조건절이 타탕하게 정의되었으면 상기 DRS는 상기 12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조건절에 맞는 튜플을 갱신하며, 상기 조건절이 타당하게 정의되지 않았으면 1122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에러메세지를 출력한다.
도 13은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의 튜플에 대해 다양한 통계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DRS는 1311단계에서 파라미터로 PLD 이름과 릴레이션 이름, 그리고 갱신하고자 하는 튜플을 찾기위한 조건식을 입력받고, 1312에서 PLD 이름이 입력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PLD 이름이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DRS는 1313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PLD 이름이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DRS는 1318단계로 진행하여 가장 최근에 인수된 PLD를 디폴트로 선택한 후 1314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상기 1313단계에서 인수된 PLD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PLD를 검색하고, 상기 1314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PLD가 리드온리 모드로 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리드온리 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 상기 DRS는 13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에러메세지를 출력하며, 상기 리드온리 모드로 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DRS는 1315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DRS는 상기 1315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을 해당 PLD의 글로버 디렉토리에서 검색하고, 1316단계에서 사용자가 조건절을 정의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상기 사용자가 조건절을 정의하였으면 상기 DRS는 1320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조건절을 정의하지 않았으면 상기 DRS는 131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에 대해 원하는 통계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계기능으로는 Sum(합), Count(총수), Average(평균), Maxi(최대치), Mini(최소치) 등이 있다. 한편 상기 DRS는 상기 132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조건절이 타당하게 정의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조건절이 타탕하게 정의되었으면 상기 DRS는 상기 13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조건절에 맞는 튜플에 대해 통계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조건절이 타당하게 정의되지 않았으면 1322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에러메세지를 출력한다.
즉, 상술한 DRS의 여러 기능은 PLD를 제작 후 현장에 배포하기전 해당 PLD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PLD내의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간단한 데이터의 변경사항을 PLD에 반영할 경우 번거로운 데이터 추출작업을 통하지 않고 바로 반영할 수 있다는 점과 PLD운용시 발생할 수 LDt는 DB구조의 파손여부 및 기타 PLD의 구조적 문제를 쉽게 찾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검증도구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교환기의 PLD무결성 검증문제에 대한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베이스(PLD) 검증에 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RS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는 상기 도 1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윈도우 트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LD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RS에서 PLD를 인수(import)하기 위한 흐름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PLD 검증에 관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PLD의 DBMS 정보 및 해당 PLD의 릴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PLD 또는 PLD 내의 릴레이션의 메모리 구조를 덤프(dump)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의 특정 튜플을 선택(select)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션의 특정 튜플에 주어진 값을 입력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의 특정 튜플을 삭제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의 특정 튜플을 갱신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릴레이션의 특정 튜플에 대한 통계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2)

  1. 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검증 방법에 있어서,
    인수모드시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 오픈하고자 하는 피엘디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여 스택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 과정 후 실제로 피엘디를 오픈하고 상기 피엘디의 헤더부와 카탈로그 정보를 읽어 해당 피엘디 구조정보를 구축하는 과정과,
    검증모드시 인수된 피엘디의 이름을 파라미터로 상기 피엘디가 스택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피엘디가 스택에 존재할 경우 상기 피엘디 내에 존재하는 각 릴레이션릴레이션들의 어드레스가 상기 피엘디의 마지막 어드레스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마지막 어드레스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각 릴레이션의 무결성을 체크하여 모든 조건에 부합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모든 조건에 부합될 경우 상기 각 릴레이션들의 정보들을 릴레이션 테이블에 구축하고, 이를 릴레이션 시작 어드레스 순으로 정열하는 과정과,
    상기 정렬 과정 후 상기 각 릴레이션간의 연속성을 검사하여 모두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검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엘디의 구조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션의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자가 정의한 조건절에 해당하는 튜플에 대해 삽입, 갱신, 선택, 삭제, 및 통계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검증 방법.
KR1019970078084A 1997-12-30 1997-12-30 교환기의데이터베이스검증장치및방법 KR100506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084A KR100506286B1 (ko) 1997-12-30 1997-12-30 교환기의데이터베이스검증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084A KR100506286B1 (ko) 1997-12-30 1997-12-30 교환기의데이터베이스검증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002A KR19990058002A (ko) 1999-07-15
KR100506286B1 true KR100506286B1 (ko) 2005-11-01

Family

ID=3730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084A KR100506286B1 (ko) 1997-12-30 1997-12-30 교환기의데이터베이스검증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2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624B1 (ko) * 1999-02-24 2001-05-15 이계철 데이터 파일의 릴레이션 비교를 이용한 전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의 오류 검사 방법
KR100594078B1 (ko) * 1999-06-24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기에서 릴레이션 검증방법
KR100624978B1 (ko) * 1999-12-08 2006-09-14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장치
KR100310244B1 (ko) * 1999-12-23 2001-10-17 박종섭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pld 검증장치 및 방법
KR20010097281A (ko) * 2000-04-21 2001-11-08 박종섭 운영중인 이동통신 교환기의 피엘디 파손 여부 진단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488A (ko) * 1993-09-28 1995-04-28 김광호 일반용지 모사전송 장치
KR960010867A (ko) * 1994-09-14 1996-04-20 김정순 레지오넬라특이성 항생물질
KR19990008848A (ko) * 1997-07-04 1999-02-05 윤종용 교환기의 데이터 백업장치 및 방법
KR100256560B1 (ko) * 1997-08-21 2000-05-15 강병호 전전자 교환기의 디스크 백업 데이터 검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488A (ko) * 1993-09-28 1995-04-28 김광호 일반용지 모사전송 장치
KR960010867A (ko) * 1994-09-14 1996-04-20 김정순 레지오넬라특이성 항생물질
KR19990008848A (ko) * 1997-07-04 1999-02-05 윤종용 교환기의 데이터 백업장치 및 방법
KR100256560B1 (ko) * 1997-08-21 2000-05-15 강병호 전전자 교환기의 디스크 백업 데이터 검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002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9365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rsions of objects in an object oriented computing environment
US7921356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addressing handling from a computer program
EP039974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referential integrity within a relational databas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7367006B1 (en) Hierarchical, rules-based, general property visualization and editing method and system
US200801206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deciding priority of test case to be carried out in regression test background of the invention
US20020111699A1 (en) Dynamically configurable generic container
US7251808B2 (en) Graphical debugger with loadmap display manager and custom record display manager displaying user selected customized records from bound program objects
US20030233632A1 (en) Automatically generated client application source code using database table definitions
JP2008217651A (ja) 設計支援装置、設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5122009A2 (en) Document database
US58130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available storage space on a computer system by disposing of data with user defined characteristics
KR100506286B1 (ko) 교환기의데이터베이스검증장치및방법
US5398335A (en) Virtually updating data records by assigning the update fractional addresses to maintain an ordinal relationship without renumbering original records
CN114218371A (zh) 多级目录名称检索匹配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5216604A (en) Method and system for editing data by limiting current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previous operations
JP3887571B2 (ja) ソフトウェア設計要件抽出支援方法、ソフトウェア設計要件決定支援方法、ソフトウェア設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240642B1 (ko) 이동통신 교환기 소프트웨어의 버전 관리를 위한 파일 병행 접근 제어 방법
CN113778758A (zh) 一种数据恢复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3170795B2 (ja) ファイルのグループ処理装置
JP2600613B2 (ja) データ移行時の領域確保情報チェック方式
JPH04131944A (ja) 文書タイトル情報一括変更機能を備えた文書フアイリング装置
JPH0683747A (ja) メニュー情報呼出し装置
JPH08297601A (ja) ファイル管理装置およびファイル管理方法
JPH04115332A (ja) ファイル管理装置
CN115689135A (zh) 角色分配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