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789A - 카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 - Google Patents

카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789A
KR20010054789A KR1019990055761A KR19990055761A KR20010054789A KR 20010054789 A KR20010054789 A KR 20010054789A KR 1019990055761 A KR1019990055761 A KR 1019990055761A KR 19990055761 A KR19990055761 A KR 19990055761A KR 20010054789 A KR20010054789 A KR 20010054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ear
cam
gear
mode
logic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0409B1 (ko
Inventor
조광훈
신순용
주민곤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90055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409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5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second movement only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카 로직 데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드(MODE) 변환을 손쉽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한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은, 로직데크(110)의 내부에 테이프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30) 구동모터(130) 일측에 로딩기어(140)를 개재하여 캠 기어(150)와 접촉하여 상기 캠기어(150)를 회전토록 하는 프릭션 기어(160)가 설치되고, 캠기어(150)의 상부에는 헤드 베이스(180)의 하측으로 돌설되는 부쉬(190)가 안착토록 모드 동작요홈(200)이 각각 형성되는 캠(170)이 돌설되며, 상기 캠기어(150)의 저부에는 모드를 변환하는 브러쉬 스위치(230)가 착설되어 캠기어(150)의 하측의 인쇄회로기판 리일(250)에 인쇄된 모드 선도(240)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CAM GEAR FOR MODE CHANGE OF CAR LOGIC DECK}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카 로직 데크(Car Logic Deck)에 있어서, 상기 로직 데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플레이(PLAY), 빨리감기(FF), 이젝트(EJECT)등과 같은 모드(MODE)를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한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프릭션 기어(Friction Gear)와 맞물려 회전하는 캠기어(Cam Gear)의 상측으로 헤드 베이스의 하측으로 돌설되는 부쉬(Bush)가 안착토록 플레이(PLAY), 빨리감기(FF), 되감기(REW) 및 리버스 플레이(R/P), 이젝트(EJECT) 요홈이 각각 요설되는 캠이 설치되고, 상기 캠기어의 저부에는 모드를 변환하는 브러쉬 스위치가 착설되며, 상기 캠기어 하측에는 모드 선도가 인쇄되는 인쇄회로기판 리일(PCB Reel)이 설치되어 브러쉬 스위치가 인쇄회로기판 리일의 모드 선도와 선택적으로 접촉토록 함으로 인하여, 로직 데크를 구동하는 한 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캠 기어를 회전시켜 로직데크의 원하는 모드 동작을 손쉽고,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모드의 변환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종래의 카 로직 데크에 있어서는,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로직 데크 내부에 설치되는 로딩모터를 구동하여 피니언 기어와 맞물린 랙기어의 로딩 플레이트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동작에 의해 로직데크의 모드 변환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구조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직데크(10)의 샤시(20)에 설치되는 데크 구동모터(30)의 일측으로 테이프 로딩모터(4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로딩모터(40) 일측에는 이와 연설되어 회전 구동토록 로딩기어(50)가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로딩기어(50)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60)의 하측에 위치되는 로딩 플레이트(70)에는 랙기어(70a)가 횡설되어 상기 피니언기어(60)와 치합되는 한편, 상기 로딩 플레이트(70)의 저부에는 브러쉬 스위치(80)가 착설되어 상기 로딩 플레이트(70)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90) 상측의 모드 패턴(1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카 로직데크의 모드 변환장치는, 로직데크(10)의 데크 구동모터(30) 일측으로 설치되는 테이프 로딩모터(40)의 구동에 의해, 로딩모터(40)와 연설되는 다수의 로딩기어(50)가 회전토록 되며, 상기 로딩기어(50)의 회전에 의해 이와 맞물린 피니언기어(60)가 회전하여 그 하측에 위치되는 로딩 플레이트(70)의 랙기어(70a)를 직선 왕복동작 시키게 된다.
상기 랙기어(70a)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딩 플레이트(70)의 저부에 착설되는 브러쉬 스위치(80)가 일체로 좌측 및 우측으로 이송되면서, 로딩 플레이트(70) 하측의 인쇄회로기판(90)에 인쇄된 모드 패턴(1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원하는 모드를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직데크 모드 변환장치는, 로직데크(10) 내부에 별도의 로딩모터(40)를 설치한후, 상기 로딩모터(40)의 구동에 의해 로딩기어(50) 및 피니언 기어(60)를 거쳐 재차 랙기어(70a)가 형성된 로딩 플레이트(70)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 인한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별도의 로딩모터(40)를 설치함에 의해 로직데크의 크기가 커지며,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로딩 플레이트(70) 저부의 브러쉬 스위치가 그 일측 인쇄회로기판(90)의 모드 패턴(100)과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접촉하면서 로직데크의 모드 변환작업을 수행하는 관계로, 신속한 모드 변환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로직 데크를 구동하는 한 개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프릭션 기어를 통해 캠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로직데크의 원하는 모드 동작을 손쉽고,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로직데크의 모드의 변환 동작이 캠기어의 회전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어 모드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되며, 한 개의 구동모터를 통해 테이프 구동은 물론 모드 변환작업을 수행토록 하여 로직데크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도, 제품의 단가를 낮출수 있는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카 로직데크의 테이프 로딩 및 이젝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프 로딩부의 평면 구조도.
도 2는 종래의 카 로직데크에 설치되는 테이프 로딩을 위한 로딩 플레이트 및 인쇄회로기판의 모드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 로직데크의 캠 기어를 통해 모드 변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로직데크 내부의 평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카 로직데크 내부에 설치되어 모드 변환을 수행하는 캠기어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5 A 및 도5 B는 본 발명의 카 로직데크 내부에 설치되어 모드 변환을 수행하는 캠기어 및 모드 선도가 인쇄된 인쇄회로기판 리일의 평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로직데크 130...구동모터
140...로딩기어 150...캠 기어
160...프릭션 기어(Friction Gear)
170...캠 180...헤드 베이스
190...부쉬(Bush) 200...모드 동작요홈
210...방향 전환레버 220...외곽캠
230...브러쉬 스위치 240...모드 선도
250...인쇄회로기판 리일(PCB Re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연설되는 다수의 로딩기어 일측으로 캠 기어를 회전토록 설치되는 프릭션(Friction Gear)기어와,
상기 프릭션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려 회전토록 상측에 캠이 돌설되는 캠기어와,
상기 캠기어(Cam Gear)의 상측에는 헤드 베이스의 하측으로 돌설되는 부쉬(Bush)가 안착토록 플레이(PLAY), 빨리감기(FF), 되감기(REW) 및 리버스 플레이(R/P), 이젝트(EJECT) 요홈이 각각 형성되는 캠과,
상기 캠기어의 저부에 설치되어 캠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며 모드를 변환하는 브러쉬 스위치와,
상기 캠기어 하측으로 위치되어 모드 선도가 인쇄되어 회전하는 브러쉬 스위치가 모드선도와 선택적으로 접촉토록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리일(PCB Reel)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 로직데크의 캠 기어를 통해 모드 변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로직데크 내부의 요부 평면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카 로직데크 내부에 설치되어 모드 변환을 수행하는 캠기어의 설치상태 사시도 및 도5 A 및 도5 B는 본 발명의 카 로직데크 내부에 설치되어 모드 변환을 수행하는 캠기어 및 모드 선도가 인쇄된 인쇄회로기판 리일의 평면 구조도로서, 로직데크(110)의 내부에 데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3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130) 일측에는 이와 연설되어 회전 구동토록 로딩기어(140)가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로딩기어(140) 일측으로 캠 기어(150)와 접촉하여 상기 캠기어(150)를 회전토록 하는 프릭션 기어(160)(Friction Gear)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릭션 기어(160)와 선택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캠기어(150)의 상부에는 캠(170)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캠기어(150)의 상측 캠(170)은, 헤드(미도시)와 연설되는 헤드 베이스(180)의 하측으로 돌설되는 부쉬(190)(Bush)가 안착토록 모드 동작요홈(20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모드 동작요홈(200)에는 플레이(PLAY), 빨리감기(FF), 되감기(REW) 및 리버스 플레이(R/P), 이젝트(EJECT) 요홈이 각각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캠기어(150)의 저부에는 방향 전환레버(210) 일단이 접촉하여 방향전환을 수행하는 외곽캠(220)과, 상기 캠기어(150)와 일체로 회전하며 모드를 변환하는 브러쉬 스위치(230)가 착설된다.
이때, 상기 캠기어(150)의 하측에는 모드 선도(240)가 인쇄되어 회전하는 브러쉬 스위치(230)가 선택적으로 접촉토록 되는 인쇄회로기판 리일(250)(PCB Reel)이 이격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직데크(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데크(테이프)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3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30) 일측으로 다수개 연이어 설치되는 로딩기어(140)가 회전 구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로딩기어(140) 일측으로 캠 기어(150)와 접촉하는 프릭션 기어(160)(Friction Gear)가 상기 캠기어(150)와 맞물리면서 상기 캠기어(1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프릭션 기어(160)와 선택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캠기어(150)에 의한 모드 변환을 설명하면, 상기 캠기어(150)의 상부에는 캠(170)이 돌출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캠기어(150)의 상측 캠(170)은, 헤드(미도시)와 연설되는 헤드 베이스(180)의 하측으로 돌설되는 부쉬(190)가 회전하는 캠에 의해 캠선도를 타고 이동하면서 헤드 베이스(180) 및 헤드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캠기어(150) 상측 캠(170)에는 상기 부쉬(19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플레이(PLAY), 빨리감기(FF), 되감기(REW) 및 리버스 플레이(R/P), 이젝트(EJECT) 요홈이 각각 형성는 모드 동작요홈(200) 설치되어 모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캠기어(1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기어(150) 저부에는 방향 전환레버(210) 일단이 접촉하여 테이프 방향전환을 수행하는 외곽캠(220)이 형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캠기어(150)와 일체로 브러쉬 스위치(230)가 회전하며 모드를 변환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브러쉬 스위치(230)를 통한 방향 전환 작업시, 상기 캠기어(150)의 하측에는 인쇄회로기판 리일(250)(PCB Reel) 상측에 모드 선도(240)가 인쇄토록 됨으로써, 회전하는 브러쉬 스위치(230)가 상기 모드 선도(240)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로직데크의 모드 변환작업을 신속한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에 의하면, 로직 데크를 구동하는 한 개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프릭션 기어와 맞물리는 캠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로직데크의 원하는 모드 동작을 손쉽고,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로직데크의 모드의 변환 동작이 캠기어의 회전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어 모드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되며, 한 개의 구동모터를 통해 테이프 구동은 물론 모드 변환작업을 수행토록 하여 로직데크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도, 제품의 단가를 낮출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구동모터(130)와 연설되는 다수의 로딩기어(140) 일측으로 캠 기어(150)를 회전토록 설치되는 프릭션(160)기어와,
    상기 프릭션 기어(160)와 선택적으로 맞물려 회전토록 상측에 캠(170)이 돌설되는 캠 기어(150)와,
    상기 캠 기어(150)의 상측에는 헤드 베이스(180)의 하측으로 돌설되는 부쉬(190)가 접촉되는 캠(170)과,
    상기 캠 기어(170)의 저부에 설치되어 캠 기어(170)와 일체로 회전하며 모드를 변환하는 브러쉬 스위치(230)와,
    상기 캠 기어(150) 하측으로 모드 선도(240)가 인쇄되어 회전하는 브러쉬 스위치(230)가 모드선도(240)와 선택적으로 접촉토록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리일(2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어(150)의 상측에는 헤드 베이스(180)의 하측으로 돌설되는 부쉬(190)가 접촉되는 캠(170)에는 특징으로 하는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동작요홈(200)은, 플레이(PLAY), 빨리감기(FF), 되감기(REW) 및 리버스 플레이(R/P), 이젝트(EJECT) 요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어(150)의 저부에는 방향 전환레버(210) 일단이 접촉하여 방향전환을 수행하는 외곽캠(2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
KR1019990055761A 1999-12-08 1999-12-08 카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 KR100340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61A KR100340409B1 (ko) 1999-12-08 1999-12-08 카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61A KR100340409B1 (ko) 1999-12-08 1999-12-08 카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789A true KR20010054789A (ko) 2001-07-02
KR100340409B1 KR100340409B1 (ko) 2002-06-12

Family

ID=1962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761A KR100340409B1 (ko) 1999-12-08 1999-12-08 카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825B1 (ko) * 2002-11-05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모드 스위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968A (ko) 2016-12-15 2018-06-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수납함을 구비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스탠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825B1 (ko) * 2002-11-05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모드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0409B1 (ko) 200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10510C (zh) 自动变速箱选档杆装置的换档开关控制装置
KR100340409B1 (ko) 카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
US6859935B2 (en) Disk apparatus with chucking mechanism
JPH0922638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S6132246A (ja) 記録再生装置のモ−ド切換え装置
US5147989A (en) Rotary position detector
JPH039170A (ja) 歯車式変速機の変速装置
KR100320923B1 (ko)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
US4617437A (en) Ignition switch with self-adjusting headlamp dimmer
KR100332877B1 (ko) 카 로직 데크의 테이프 주행방향 변환장치
CN207327870U (zh) 一种色带能动的针式打印机
US4607198A (en) Wiper driving apparatus
KR20010066775A (ko) 카 로직 데크의 구동장치
KR0113741Y1 (ko) 헤드폰 스테레오의 모드 변환장치
KR0131048B1 (ko) 머시닝 센터의 공구교환장치
KR940018837A (ko)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기록 재생 장치의 동작 절환 기구(Mode Changing Apparatus of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a Tape-Shaped Recording Medium)
JP2000161458A (ja) カム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実装装置
KR200150432Y1 (ko) 1개의 모터가 사용된 자동차의 미러
KR960002040Y1 (ko) 모형물 출몰 구동장치
KR100320920B1 (ko) 테이프레코더의 구동장치
KR100316482B1 (ko) 카로직데크의레코드스위치결합장치
KR900003679Y1 (ko) 브이티알의 로오딩 스위치 동작장치
KR900008444Y1 (ko) 단일 캠선도에 의한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변환장치
KR19990052017A (ko) 다단 차량 리프터 장치
KR900006593Y1 (ko) 브이티알의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